KR101504843B1 - 금속판재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금속판재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843B1
KR101504843B1 KR20130161363A KR20130161363A KR101504843B1 KR 101504843 B1 KR101504843 B1 KR 101504843B1 KR 20130161363 A KR20130161363 A KR 20130161363A KR 20130161363 A KR20130161363 A KR 20130161363A KR 101504843 B1 KR101504843 B1 KR 101504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metal plate
clamping member
frame
clam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1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강혁
문창호
임승호
김진호
김병진
박봉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161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843B1/ko
Priority to CN201480062643.7A priority patent/CN105722627B/zh
Priority to JP2016515424A priority patent/JP6182666B2/ja
Priority to EP14845161.0A priority patent/EP3047928A4/en
Priority to PCT/KR2014/008642 priority patent/WO201504145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843B1/ko
Priority to PH12016500515A priority patent/PH1201650051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8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guiding or feeding strap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B23Q2707/04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by means of grippers also magnetic or pneumatic 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awing (AREA)

Abstract

금속판재 이송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절단부와 연결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받은 금속판재를 클램핑하여 상기 절단부로 이송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금속판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1 클램핑 부재; 상기 금속판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클램핑 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클램핑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며, 신장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일단을 밀어올려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 클램핑 부재의 타단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하나 이상의 링크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판재의 두께에 무관하게 금속판재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함과 동시에 표면결함을 유발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폭이 넓은 금속판재의 이송시에도 소재의 회전을 방지하여 원하는 절단위치로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금속판재 이송 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METAL PLATE}
본 발명은 금속판재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판재의 두께와 관계없이 금속판재를 절단위치로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는 금속판재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판재와 같은 금속성 소재는 띠톱기계(band sawing machine)나 산소절단 방식으로 절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띠톱기계는 풀리(pulley)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띠톱을 운동시켜 절단하는 것으로서, 곡선 절단 등에 유리하지만, 가공경화로 인해 절삭이 어려운 스테인리스강이나 경도가 큰 철합금 등의 절단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띠톱기계는 절단속도가 매우 느려 금속 판재와 같은 절단공정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탄소강을 산소절단할 경우에는 절단공정에서 소재가 경화되어 버리므로 절단 후에 별도로 풀림처리를 해야 하는 불편 또한 존재한다.
특히, 띠톱기계와 산소절단의 경우에는 모재의 절삭소멸두께가 3~5mm에 이르고, 절단면이 고르지 않아 반드시 후속적인 기계가공으로 절단면을 마무리해야 하고, 이러한 가공을 위해 여유치를 10~15mm 정도 남겨두어야 하므로, 절단 공정에서 소재의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 밖에 금속성 소재를 절단하는 수단으로서, 원형톱날이 사용되고 있는데, 원형톱날은 텅스텐 카바이드 팁(Tungsten Carbide Tip)의 우수한 절삭성과 내마모성을 응용한 것으로서, 절삭속도가 90~150m/min로 매우 빠르다.
그러나, 기존의 원형톱날은 기계구조적인 취약성으로 인해 대형 금속 판재의 절단이 불가능하여 레일, 환봉, 강관 등 각종 형재의 절단에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원형톱날을 사용하여 금속 판재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원형톱날을 특수한 소재로 제작해야 하고, 판재 절단시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떨림이나 진동을 흡수 및 조절하기 위한 대형의 감속기를 별도로 마련해야 한다.
또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금속소재의 공급이 자동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되고, 이송 중 소재의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어해야 된다.
특히, 소재의 폭이 넓을수록 소재의 조그만 회전에도 그 오차는 급격히 증가하게 되므로 정밀도가 더욱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버터를 이용해 소재를 이송포지션으로 이송시키는 로딩부(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35458호, 발명의 명칭: 원형톱날을 이용한 초고속 수평절단장치)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특허는 넓은 판재가 아닌 원형 또는 다각형의 기다란 금속소재에 관한 것으로서, 넓은 판재의 회전 방지에 대한 방법은 아직 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금속판재의 두께와 관계없이 금속판재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하고, 정렬시킨 상태로 절단위치에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는 금속판재 이송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부와 연결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받은 금속판재를 클램핑하여 상기 절단부로 이송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금속판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1 클램핑 부재; 상기 금속판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클램핑 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클램핑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며, 신장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일단을 밀어올려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 클램핑 부재의 타단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하나 이상의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부에 상기 제1 클램핑 부재가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제2 클램핑 부재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기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클램핑 부재는 상기 기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클램핑 부재의 일단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부재가 신장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은 상기 금속판재의 상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클램핑 부재의 타단은 상기 금속판재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부재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 및 상기 제2 클램핑 부재의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스위블 힌지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각형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형 블록은 사각 블록일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둥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둥부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는 이송용 모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송용 모터는 상기 베이스부와 볼스크류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클램핑부를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직선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클램핑부의 직선 운동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클램핑된 금속판재의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금속판재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배열되어 상기 클램핑된 금속판재의 하부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금속판재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볼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원형톱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판재의 두께에 무관하게 금속판재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함과 동시에 표면결함을 유발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폭이 넓은 금속판재의 이송시에도 소재의 회전을 방지하여 원하는 절단위치로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재 이송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재 이송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재 이송 장치는 금속판재에 대한 후속 공정을 위하여 상기 금속판재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는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금속판재 이송 장치는 금속판재의 절단 공정을 위해 상기 금속판재를 절단부로 이송하는 데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므로, 아래에서는 금속판재를 절단부로 이송하도록 적용한 일례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재 이송 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재 이송 장치(100)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재 이송 장치(100)는 프레임(110), 클램핑부(120), 이송용 모터(130), 가이드롤(140), 볼베어링(15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금속판재의 절단을 위한 절단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의 설치를 위한 기본적인 뼈대를 제공한다.
절단부(미도시)는 금속판재를 절단하기 위하여 원형톱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클램핑부(120)는 프레임(11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크레인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받은 금속판재를 클램핑하여 프레임(110)과 연결된 절단부(미도시)로 이송한다. 클램핑부(120)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다음으로, 이송용 모터(130)는 프레임(110)의 일단에 연결되며, 클램핑부(120)와 볼스크류를 통해 연결되어 클램핑부(120)의 이송 동작을 지원한다. 즉, 이송용 모터(130)는 클램핑부(120)가 프레임(11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볼스크류를 통해 이송용 모터(130)와 클램핑부(120)가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의 구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가이드롤(140)은 프레임(110)의 일측에 클램핑부(120)의 직선 운동 방향으로 배열되어 클램핑된 금속판재의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금속판재의 이송을 가이드한다.
이때, 클램핑된 금속판재가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140)은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볼베어링(150)은 프레임(110)의 상면에 배열되어 클램핑된 금속판재의 하부면과 접촉된 상태로 금속판재의 이송을 가이드한다.
이때에도, 클램핑된 금속판재가 원하는 위치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볼베어링(150)은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판재의 두께와 상관없이 금속판재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하여 정확한 절단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는 바,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클램핑부(1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12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120)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클램핑부(120)는 다수의 제1 클램핑 부재(121), 다수의 제2 클램핑 부재(122), 다수의 링크 부재(123), 다수의 기둥부(124), 다수의 각형 블록(125) 및 베이스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핑 부재(121a), 제2 클램핑 부재(122a), 링크 부재(123a) 및 기둥부(124a)가 하나씩, 그리고, 두 개의 각형 블록(125a)이 모여 하나의 클램핑 모듈(120a)를 형성하고, 클램핑 모듈들(120a, 120b, 120c)이 하부의 베이스부(126)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클램핑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클램핑 모듈(120a)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나머지 클램핑 모듈들(120b, 120c)에도 동일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클램핑 부재(121)는 금속판재(미도시)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금속판재의 상부면을 클램핑하도록 구성된다.
제2 클램핑 부재(122)는 금속판재(미도시)의 하부에 위치하며, 금속판재의 하부면을 클램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링크 부재(123)는 일단(123-1)이 제1 클램핑 부재(121)의 일단(121-1)에 연결되고, 타단(123-2)이 제2 클램핑 부재(122)의 일단(122-1)에 연결되며, 신장 동작함에 따라 제1 클램핑 부재의 일단(121-1)을 상부로 밀어올려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121-2)과 제2 클램핑 부재의 타단(122-2) 사이의 간격을 좁힌다.
이와 같이, 링크 부재(123)가 신장 동작함에 따라,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121-2)은 금속판재의 상부를 지지하고 제2 클램핑 부재의 타단(122-2)은 금속판재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금속판재는 클램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부재(123)는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장치로서, 일례로,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부재(123)에 의한 클램핑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1 클램핑 부재(121)와 제2 클램핑 부재(122)는 기둥부(124)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제1 클램핑 부재(121)는 기둥부(124)에 회전축(12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클램핑 부재(122)는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 부재(123)가 신장 동작하는 경우, 제1 클램핑 부재(121)는 회전축(121-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타단(121-2)이 금속판재의 상부면을 압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기둥부(124)에 고정되어 있는 제2 클램핑 부재의 타단(122-2)도 금속판재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링크 부재(123)의 신장 동작에 의해 제1 클램핑 부재의 일단(121-1)이 상부로 밀어올려질 때,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121-2)이 금속판재의 상부면을 보다 쉽게 압박할 수 있도록, 제1 클램핑 부재(121)는 회전축(121-3)을 기준으로 아래로 꺾인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클램핑 부재(121)는 일단(121-1)이 타단(121-2)보다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클램핑 부재(121), 제2 클램핑 부재(121) 및 링크 부재(123)의 3절 링크 구조로 형성되어 금속판재를 클램핑하게 되는 관계상, 클램핑되는 금속판재에는 압박에 의한 클램핑 자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120)는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121-2) 및 제2 클램핑 부재의 타단(122-2)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각형 블록(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각형 블록(126)은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121-2) 및 제2 클램핑 부재의 타단(122-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으며, 금속판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비스듬하게 진입되는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121-2)의 형상을 보완함으로써, 금속판재에 발생할 수 있는 클램핑 자국을 예방한다.
이때, 각형 블록(126)은 클램핑 부재의 타단(121-2, 122-2)에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는 스위블(swivel) 힌지일 수 있다. 그리고, 각형 블록(126)은 금속판재와의 접촉면을 최대화할 수 있는 사각형 블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클램핑 부재(121, 122)의 첨단은 자유로이 회전하는 사각형 로터리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소재의 두께에 상관없이 클램핑면은 항상 소재에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금속판재의 표면에 클램핑 자국을 유발하지 않고 원하는 절단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램핑 모듈들(120a, 120b, 120c)은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부(126)를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클램핑부(120)를 구성한다.
즉, 기둥부들(124a, 124b, 124c)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베이스부(126)를 통해 클램핑 모듈들(120a, 120b, 120c)은 하나의 클램핑부(120)를 형성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이송용 모터(130)는 베이스부(126)와 볼스크류(미도시)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클램핑부(120)를 프레임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직선 운동시키며, 이에 따라, 클램핑부(120)는 하나의 이송용 모터(130)로도 금속판재를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일례로, 외부 제어에 의해 이송용 모터(130)가 동작하면, 클램핑부(120)가 절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클램핑부(120)에 물려있는 금속판재도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판재의 일측면은 상기 클램핑부의 직선 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가이드롤(140)과 접촉됨으로써, 금속판재는 회전 없이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이는 금속판재가 100mm 이상의 극후물로서 두꺼울 뿐만 아니라 매우 넓은 폭을 갖는 경우에 금속판재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클램핑된 금속판재를 정확한 절단 위치로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금속판재의 하부면은 다수의 롤베어링(150) 위에 놓여져 이송시 마찰력에 의한 표면 스크래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하고자 하는 금속판재의 한쪽 측면을 다수의 가이드롤(140)과 접촉하도록 하여 금속판재의 얼라인먼트를 고정시킬 수 있고, 얼라인먼트가 고정된 후, 클램핑부(120)의 유압 실린더(123)에 의해 클램핑 부재의 타단들(121-2, 122-2)이 좁혀짐에 따라 금속판재가 클램핑될 때, 사각 블록(125)을 통하여 클램핑 면은 평행하게 되어 다양한 두께의 금속판재에 대하여 표면결함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또한, 클램핑된 금속판재가 이송용 모터(130)에 의해 절단부 방향으로 이송될 때, 금속판재의 폭이 넓은 경우에도 얼라인먼트 및 클램핑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에 의한 오차는 발생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이송용 모터(130)에 의해 정확한 절단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금속판재 이송 장치
110 : 프레임 120 : 클램핑부
121 : 제1 클램핑 부재 122 : 제2 클램핑 부재
123 : 링크 부재 124 : 기둥부
125 : 각형 블록 126 : 베이스부
130 : 이송용 모터 140 : 가이드롤
150 : 볼베어링

Claims (12)

  1. 절단부와 연결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받은 금속판재를 클램핑하여 상기 절단부로 이송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금속판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1 클램핑 부재;
    상기 금속판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클램핑 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클램핑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며, 신장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일단을 밀어올려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 클램핑 부재의 타단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하나 이상의 링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부에 상기 제1 클램핑 부재가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제2 클램핑 부재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기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클램핑 부재는 상기 기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클램핑 부재의 일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링크 부재가 신장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은 상기 금속판재의 상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클램핑 부재의 타단은 상기 금속판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 이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 이송 장치.
  6. 절단부와 연결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받은 금속판재를 클램핑하여 상기 절단부로 이송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금속판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1 클램핑 부재;
    상기 금속판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클램핑 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클램핑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며, 신장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일단을 밀어올려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 클램핑 부재의 타단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하나 이상의 링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 및 상기 제2 클램핑 부재의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스위블 힌지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각형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 이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 블록은 사각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 이송 장치.
  8. 절단부와 연결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받은 금속판재를 클램핑하여 상기 절단부로 이송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금속판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1 클램핑 부재;
    상기 금속판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클램핑 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클램핑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며, 신장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일단을 밀어올려 상기 제1 클램핑 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 클램핑 부재의 타단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하나 이상의 링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둥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둥부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는 이송용 모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송용 모터는 상기 베이스부와 볼스크류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클램핑부를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직선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 이송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클램핑부의 직선 운동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클램핑된 금속판재의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금속판재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 이송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배열되어 상기 클램핑된 금속판재의 하부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금속판재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볼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 이송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원형톱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재 이송 장치.
KR20130161363A 2013-09-17 2013-12-23 금속판재 이송 장치 KR101504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1363A KR101504843B1 (ko) 2013-12-23 2013-12-23 금속판재 이송 장치
CN201480062643.7A CN105722627B (zh) 2013-09-17 2014-09-17 金属板切割设备
JP2016515424A JP6182666B2 (ja) 2013-09-17 2014-09-17 金属板切断装置
EP14845161.0A EP3047928A4 (en) 2013-09-17 2014-09-17 METAL PLATE CUTTING DEVICE
PCT/KR2014/008642 WO2015041457A1 (ko) 2013-09-17 2014-09-17 금속판 절단장치
PH12016500515A PH12016500515A1 (en) 2013-09-17 2016-03-17 Metal plate cu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1363A KR101504843B1 (ko) 2013-12-23 2013-12-23 금속판재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843B1 true KR101504843B1 (ko) 2015-03-20

Family

ID=5302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1363A KR101504843B1 (ko) 2013-09-17 2013-12-23 금속판재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1910A (zh) * 2017-12-25 2018-04-20 无锡奥特维科技股份有限公司 隔热条设置机构和汇流条焊接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630A (ja) * 1996-07-03 1998-01-20 Amada Co Ltd 板材加工装置のワーククランプ装置
JPH11114752A (ja) * 1997-10-13 1999-04-27 Amada Wasino Co Ltd 板材加工装置のワーククランプ装置
KR200424644Y1 (ko) * 2006-06-07 2006-08-25 델타기계(주) 판재절단 원형톱기계용 기어박스의 백래쉬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630A (ja) * 1996-07-03 1998-01-20 Amada Co Ltd 板材加工装置のワーククランプ装置
JPH11114752A (ja) * 1997-10-13 1999-04-27 Amada Wasino Co Ltd 板材加工装置のワーククランプ装置
KR200424644Y1 (ko) * 2006-06-07 2006-08-25 델타기계(주) 판재절단 원형톱기계용 기어박스의 백래쉬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1910A (zh) * 2017-12-25 2018-04-20 无锡奥特维科技股份有限公司 隔热条设置机构和汇流条焊接设备
CN107931910B (zh) * 2017-12-25 2024-04-16 无锡奥特维科技股份有限公司 隔热条设置机构和汇流条焊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871875U (zh) 一种激光焊接工装夹具
EP2275215B1 (en) Long-material conveying and positioning apparatus
JP4721220B2 (ja) 被加工板の加工装置
US20160236289A1 (en) Saw table, band saw apparatus and a method for sawing
WO2014010468A1 (ja) ワイヤソー及びそのワイヤソーによるワーク加工方法
JP2005219059A (ja) 鉄筋曲げ機の鉄筋送り込み装置
JP2009220262A (ja) 板材の加工装置
KR100938405B1 (ko) 절단장치
US6460440B1 (en) Cutting apparatus
JPH07185930A (ja) H形鋼切断装置
KR101504843B1 (ko) 금속판재 이송 장치
KR20190082456A (ko) 철판과 파이프의 밴딩이 가능한 멀티 밴딩기
KR20090132949A (ko) 대형 플랜지용 조립구멍 가공기
KR100813570B1 (ko) 파이프 절단 장치
KR20100076598A (ko) 관단 절삭기
CN101863187A (zh) 雕刻机工件夹持装置
KR101142817B1 (ko) 원형톱날을 이용한 초고속 수평절단장치
CN211221474U (zh) 一种石材加工切割装置
CN1880011A (zh) 工件传送装置
CN207155293U (zh) 一种调节夹具
JP2010125568A (ja) 走行切断機
KR100528060B1 (ko) 공작물의 각도절단을 위한 바이스 연동식 띠톱기계
KR20160070261A (ko) 절단장치
JP4134890B2 (ja) シート材の切断方法および切断装置
CN104339091A (zh) 一种激光切割金属薄材料的治具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