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608B1 -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608B1
KR101417608B1 KR1020130027051A KR20130027051A KR101417608B1 KR 101417608 B1 KR101417608 B1 KR 101417608B1 KR 1020130027051 A KR1020130027051 A KR 1020130027051A KR 20130027051 A KR20130027051 A KR 20130027051A KR 101417608 B1 KR101417608 B1 KR 101417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tting
large diameter
diameter pipe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용균
허원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팩트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팩트,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팩트
Priority to KR1020130027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1/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 B23D21/04Tube-severing machines with rotating tool-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10Stops f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metal, e.g. skat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26D3/161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for obtaining more than one product at a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에 서로 다른 크기의 대구경 파이프가 놓여질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롤러부재를 가지는 롤러유닛;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롤러부재들과 일정 이격거리로 배치되어 상기 대구경 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유닛; 상기 절단유닛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유닛에 의해 절단된 대구경 파이프의 절단면을 다듬는 연마유닛; 상기 절단유닛과 연마유닛을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대구경 파이프 지름 변화에 따라 절단지점과 다듬질 지점의 높이를 조절하는 프레임 유닛; 및 상기 프레임 유닛을 요구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 길이에 따라 상기 대구경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유닛, 연마유닛, 프레임유닛 및 이동유닛은 하나의 세트로 구비하여, 이를 2개 이상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Large Diameter Pipe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구경 원본 파이프를 이용하여 유체저장 탱크, 맨홀, 배관설비 등을 제작하기 하기 위해서는 사용 용도에 알맞은 크기로 원본 파이프를 절단하는 공정을 필요로 한다. 또한 파이프를 절단 공정에서 절단표면이 거칠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절단표면을 면 다듬질하는 별도의 가공공정 작업을 필요로 한다.
특히 플라스틱류 대구경 파이프를 가공하여 상·하수도용 맨홀을 제작하는 맨홀 제작공정에서는 1개의 맨홀 원통을 절단하기 위해 대구경 플라스틱류 파이프를 지게차로 대형 밴드 톱 본체에 올려 안착을 시키고, 2명의 작업자가 절단용 파이프의 고정 작업을 한 후 이 대구경 파이프를 회전하는 절단 밴드 톱날에 이동시키면서 절단 작업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절단 작업속도도 느리고, 작업 중 톱날이 파괴되는 경우가 있어 작업자가 위험에 항시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단된 원통을 다른 부품과 접합을 위한 파이프 표면 다듬질 작업도 일반 핸드 그라인더를 이용한 수작업으로 다듬질 공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위험하고 이로 인하여 면 다듬질 품질도 일정하지 못하다는 문제점 또한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9075호(2011.09.2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1071호(2011.07.1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0592호(2008.07.30.)
본 발명은 다양한 직경의 원본 대구경 파이프를 하나의 장치로써 다양한 길이와 다수 개의 대구경 파이프로 동시에 절단하고 동시에 면 다듬질작업까지 가능한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를 제공하여, 기존 장치가 다양한 직경의 원본 대구경 파이프로부터 필요한 길이의 파이프를 절단할 때 한 개씩 절단하고, 절단 후 면 다듬질도 별개의 수작업 공정으로 수행함으로써 고 노동력 저 생산성 공정문제를 해결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에 서로 다른 크기의 대구경 파이프가 놓여질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롤러부재를 가지는 롤러유닛;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롤러부재들과 일정 이격거리로 배치되어 상기 대구경 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유닛; 상기 절단유닛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유닛에 의해 절단된 대구경 파이프의 절단면을 다듬는 연마유닛; 상기 절단유닛과 연마유닛을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대구경 파이프 지름 변화에 따라 절단지점과 다듬질 지점의 높이를 조절하는 프레임 유닛; 및 상기 프레임 유닛을 요구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 길이에 따라 상기 대구경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유닛, 연마유닛, 프레임유닛 및 이동유닛은 하나의 세트로 구비하여, 이를 2개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 유닛은 측면이 직각삼각형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롤러유닛은 서로 동일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제 1 내지 제 3 롤러부재; 상기 제 1 롤러부재와 제 2 롤러부재를 함께 회전 시키는 제 1 동력전달 유닛; 상기 제 1 롤러부재와 제 3 롤러부재를 함께 회전 시키는 제 2 동력전달 유닛; 상기 제 1 동력전달유닛과 제 2 동력전달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제 2 롤러부재를 상향 및 하향으로 움직이는 유압승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유닛은 휠 커터인 커팅모듈; 상기 커팅모듈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모듈; 상기 커팅모듈을 상기 대구경 파이프를 절단하기 위하여 전진시키고 절단작업 후 후진시키기 위해, 상기 대구경 파이프의 외주면과 수직 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 1 이동유닛; 및 상기 커팅모듈 및 제 1 이동유닛을 지지하는 경사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정의 파이프 부재로 구성되며, 펌핑 된 절삭유를 상기 절단유닛의 절단 위치에 분사하는 절삭유 공급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이동유닛은 제 1 경사지지대; 상기 커팅모듈의 전후 이동을 위한 제 1 스크류 유닛; 이동을 가이드 하는 베어링 유닛; 및 제 1 스크류유닛의 회전을 위한 회전 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유닛은 면 다듬질 그라인더; 상기 면 다듬질 그라인더를 대구경 파이프의 절단 외주면의 면 다듬질 작업을 위하여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요동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요동운동 기구 유닛; 상기 면 다듬질 그라인더를 대구경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면 다듬질 지점에 맞게 대구경 파이프 외주 면과 직각인 방향으로 전방 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2 이동유닛; 및 상기 면 다듬질 그라인더 및 이동유닛을 지지하는 경사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요동운동 기구 유닛은 요동운동 동력 모터; 상기 동력모터의 회전력을 구현하는 회전 캠; 상기 회전 캠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요동운동으로 변화하는 링크 절; 상기 링크절에 연결되고 그라인더를 홀딩하는 홀딩지지대; 및 홀딩지지대가 좌우로 요동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제 3 슬라이드 베어링;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동유닛은 제 2 경사지지대; 상기 다듬질 그라인더의 전후 이동을 위한 전후 제 2 스크류 유닛; 및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 2 베어링 유닛; 및 제 2 스크류유닛의 회전을 위한 회전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절단유닛 및 연마유닛을 일체화 시키는 경사 지지대; 상기 경사지지대의 일측인 대구경파이프 쪽은 낮게 하고 타측은 높게 구성되도록 하는 수직받침대; 및 상기 경사지지대 일측과 수직받침대 하단과 결합하여 직각삼각형이 구성되도록 하는 수평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절단유닛, 연마유닛 및 프레임 유닛으로 구성된 세트가 배치되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수평플레이트 하부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제 3 슬라이딩 베어링; 상기 복수개의 제 3 슬라이딩 베어링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레일 샤프트; 및 절단 과 연마작업의 위치에서 제 3 슬라이드 베어링을 고정하는 록킹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에 서로 다른 크기의 대구경 파이프가 놓여질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롤러부재를 가지는 롤러유닛;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대구경 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절단유닛은 가스절단기 및 레이저 절단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커팅모듈; 상기 커팅모듈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모듈; 상기 커팅모듈을 상기 대구경 파이프의 지름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시키는 제 1 이동유닛; 및 상기 커팅모듈 및 제 1 이동유닛을 지지하는 경사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유닛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유닛에 의해 절단된 대구경 파이프의 절단면을 다듬는 연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마유닛은, 면 다듬질 그라인더; 상기 면 다듬질 그라인더를 상기 대구경 파이프의 지름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시키는 회전 캠 링크 절로 마련된 제 2 이동유닛; 및 상기 면 다듬질 그라인더 및 이동유닛을 지지하는 경사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유닛은 제 1 롤러부재; 상기 제 1 롤러부재와 동일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롤러부재에 대하여 거리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롤러부재; 및 상기 제 2 롤러부재를 상기 제 1 롤러부재에 대해 왕복 이동 시키는 롤러이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직경의 원본 대구경 파이프를 하나의 장치로써 복수개의 다양한 길이의 대구경 파이프로 동시에 절단하고 면 다듬질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대구경 파이프의 절단 및 다듬질 공정의 생산성 향상과 품질 향상 효과가 있으며, 작업 진행 시 무인화 작업이 가능하므로 안전사고에 의한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유닛의 구성 측면도와 승강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은 중직경 그룹을 가지는 대구경 파이프들을 절단할 경우의 절단유닛의 구성과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는 대직경 그룹의 대구경 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유닛의 구성요소와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대구경 파이프의 절단면을 후 처리하는 경우의 연마유닛의 구성 요소와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연마유닛의 요동운동기구 유닛 구성과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절단유닛, 연마유닛, 직각삼각프레임 유닛 및 좌우이동유닛이 결합된 절단연마장치 세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유닛의 일 예로서, 중직경 그룹 및 대직경 그룹을 가지는 대구경 파이프들의 직경 변화에 따라 롤러부재 사이의 거리를 가변 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파이프를 가스 가스절단기 및 레이저 절단기를 이용한 절단유닛으로 절단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대구경 절단 장치로 원본 대구경 파이프로부터 한 번에 다양한 길이와 복수 개의 대구경 파이프로 절단 하고 연마 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유닛의 승강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은 중직경 그룹의 대구경 파이프들을 절단할 경우의 절단유닛의 구성요소와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는 대직경 그룹의 대구경 파이프들을 절단할 경우의 절단유닛의 구성요소와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 는 대구경 파이프의 절단면을 후 처리하는 연마유닛의 구성요소와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연마유닛을 구성하는 요동운동기구유닛의 세부구성과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절단유닛, 연마유닛, 프레임 유닛 및 좌우이동유닛이 결합 된 절단연마장치 세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유닛의 일 예로서, 다양한 직경의 대구경 들에 대하여 2개 세트의 롤러부재만으로도 회전작업이 가능한 롤러유닛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파이프들을 레이저나 가스절단기를 이용한 절단유닛으로 절단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대구경 파이프 절단 장치로 원본 대구경 파이프들로부터 한 번에 다양한 길이와 복수 개의 대구경 파이프들로 절단 하고 연마 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는 메인 프레임(100), 롤러유닛(200), 절단유닛(300), 연마유닛(400), 프레임 유닛(340), 이동유닛(700)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절단연마장치 세트(8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유닛(200)과 다수의 절단연마장치 세트(800)들을 지지하는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프레임 부재(110)들을 용접 또는 체결부재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10)들의 결합을 통해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플레이트 부재들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롤러유닛(200)은 메인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상측에 절단하고자 하는 대구경 파이프(P)들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10), 동력전달유닛(220), 제 1 내지 제 3 롤러부재(230)(240)(2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210)는 복수 개의 제 1 내지 제 3 롤러부재(230)(240)(250)의 회전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유닛(220)은 구동모터(21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210)의 동력을 복수 개의 제 1 내지 제 3 롤러부재(230)(240)(250)들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동력전달유닛(22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인 동력공급장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기어, 벨트 풀리 등 다양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동력전달유닛(220)은 메인 프레임(100)과 구동모터(2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유닛(220)은 제 1 동력전달유닛(221) 및 제 2 동력전달유닛(222)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동력전달유닛(221)는 제 1 및 제 2 롤러부재(230)(24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전달하고, 제 2 동력전달유닛(222)은 제 1 및 제 3 롤러부재(230)(25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전달한다. 제 1 내지 제 3 롤러부재(230)(240)(250)는 복수 개의 분할 롤러부재들이 지지 베어링(260)들로 연결되는 것이 좋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롤러부재(230)(240)(250)는 총 3개의 분할 롤러부재로 마련되어 그 양단이 베어링(260)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좋다.
상기 동력 전달 장치를 2 세트의 제 1 동력전달 유닛과 제 2 동력전달 유닛으로 구성한 것은 다양한 크기의 대구경 파이프 모두를 하나의 장치에서 회전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다양한 크기의 대구경 파이프를 대직경 그룹 및 중직경 그룹 2 분류로 분류하여 중직경 그룹에 속하는 대구경 파이프들은 상기 제 1 동력전달유닛(221)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롤러부재(230)(240)에서 회전시키고, 대직경 그룹에 속하는 대구경 파이프들은 제 2 동력전달유닛(222)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3 롤러부재(230)(250)에 회전 시킨다.
도 2와 같이 제 1 및 제 2 롤러부재(230)(240)의 회전축(231)(241) 사이에는 일정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후술한 유압승강유닛(500)에 의해 작동하는 제 2롤러부재의 승강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회전축(231)(241)의 일측 끝단은 제 1 회전링크(270)로 연결되고, 타측은 제 3 회전링크(290)에 연결된다. 이때 제 1 및 제 3 회전링크(270)(29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회전링크회전축(280)이 회전링크(270)(290)와 회전축(231)(241)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및 제 3 회전링크(270)(290)는 제 2 롤러부재(240)가 제 1 롤러부재(230)를 기준으로 피벗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2그룹의 대구경 파이프들을 제 2 롤러부재(240)와 제 1 롤러부재(230)로 일체화된 하나의 장치로써 절단작업을 할 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직경 그룹의 대구경 파이프들에 대하여 절단작업을 하는 경우 제 2 롤러(240)에 간섭현상이 발생하여 작업이 불가능 할 수 있다.
상기 간섭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b)와 같이 대직경 그룹의 대구경 파이프들을 절단작업 할 때는 제2 롤러(240)을 아래로 하강시키고, 중직경 그룹의 대구경 파이프들을 절단작업 할 때는 도 3(a)와 같이 제2 롤러(240)을 위로 상승시킬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제 2 롤러부재(240)의 승강작동을 위한 작동기구로써 제 2 롤러부재(240)의 하측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유압승강 유닛(500)이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유압승강유닛(500)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도3 과 도4 와 같이 제 1 유압승강유닛(500)와 제2 유압승강유닛이(501)에 제 1 롤러부재와 제 2 롤러부재의 양끝 하부에 각각 마련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압승강유닛(500)은 도 2의 C-C'단면인 도 3과 같이 제 1 동력전달 유닛(221)쪽의 제 2 롤러부재(240)의 끝단 하부에 제 1 제 1 유압 실린더(530)를 구성함으로써 유압 실린더의 상하운동에 의해 제 2 롤러부재의 승강작용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제 2 롤러부재가 승강작용을 할 때 제 2 롤러부재와 제 1 롤러부재가 동일거리의 일정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뒤틀림이나 변형 없이 견고한 직각사각형구조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 1 회전링크(270) 와 제 2 회전링크(271)을 마련할 수 있다. 제 1 회전링크(270)의 양 끝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롤러부재의 회전중심축(231)(214)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2 회전링크(271)는 상기 제 1 회전링크(270)와 일정거리를 두고 일측은 제 1 롤러부재지지대(262)에 타측은 제 2 롤러부재지지대(510)에 연결된다.
제 2 유압승강유닛(501)은 도 4(a)(b)와 같이 제 1 동력전달 유닛(221)쪽의 반대 쪽의 제 2 롤러부재(240) 끝단 하부에 제 2 유압 실린더(531)를 구성하고, 제 2롤러부재의 견고한 승강 작용을 위해 도 4(a)와 같이 제 3 회전 링크(290)와 제4 회전링크(520)가 구성되며 제 3 회전링크(290)의 양단은 제 1 및 제 2 롤러부재의 회전중심축(231)(214)과 연결되고 제 4 회전링크(520)의 양단은 롤러베어링 지지대(261)의 밑에 있는 제1 롤러부재지지대(520) 및 제 2 롤러부재지지대(264)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유압승강유닛(501)의 운동기구는 상기 제 1 유압승강유닛(5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유압승강유닛들(500)(501)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도 2 내지 4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링크(270)와 제 1 회전 링크 하측에 배치되어 숨겨진 제 2 회전링크(271), 제 3 회전링크(290)와 제 3 회전링크(290) 하측에 배치되는 제 4 회전 링크(520), 제 2 롤러부재 지지판(510); 및 복수 개 제 1 유압 실린더(5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유압 실린더(53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제 2 롤러부재(240)의 다수개가 설치되어, 제 2 롤러부재(2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 2 롤러부재(240)의 양단은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회전링크(270)(271)(290)(520)로 연결되므로, 평행운동 관절기구 구성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유압 실린더들(530)(531)이 상하 운동을 할 때 유압 실린더들(530)(532)이 회전운동을 하지 않고 수직 상하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제 1 및 제 2 유압 실린더(530)(531)들이 제 2 롤러부재(240)의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 2 롤러부재(240) 양단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전체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 1 및 제 2 롤러유닛(230)(240)은 중직경 그룹을 가지는 대구경 파이프(P)들의 외주면을 지지하고, 제 1 및 제 3 롤러유닛(230)(250)은 중직경 그룹보다 큰 지름인 대직경 그룹을 가지는 대구경 파이프(P)들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를 위해, 제 1 롤러유닛(230)과 제 3 롤러유닛(250)은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고, 제 2 롤러유닛(240)은 제 1 및 제 2 롤러유닛(230)(2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롤러부재의 하부에 2대 이상의 제 1 및 제 2 유압 실린더(530)(531)와 함께 유압 승강유닛을 구성함으로써 제 1 롤러부재(230)를 중심으로 제 2 롤러부재(240)의 전체 시스템을 동일거리의 일정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뒤틀림이나 변형 없이 경고한 직각사각형구조를 유지하면서 수직 승강작용을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다.
절단연마장치 세트(800)는 절단유닛(300), 연마유닛(400), 프레임 유닛(340) 및 이동유닛(7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절단연마장치 세트(8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절단연마장치 세트 (I)(II)(III)로 구성될 수 있다.
절단유닛(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모듈(310), 제 1 이동유닛(330) 및 경사지지대(3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할 연마유닛(400)과 경사지지대(341)에 함께 설치되는 것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절단유닛(300)의 커팅모듈(31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휠 커터(311)와 모터(312)로 구성된 동력 휠 커터, 또는 가스절단기, 또는 레이저 절단기 중 어느 하나 일수 있다.
모터(312)는 커팅모듈(310)의 휠 커터(311)를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제 1 이동유닛(330)은 커팅모듈(310)을 대구경 파이프를 절단하기 위하여 전진시키고 절단작업 후 후진시키는 것으로 대구경 파이프(P)의 외주면과 수직 방향으로 전ㅇ후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제 1 이동유닛(3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타입의 이동유닛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된 스크류 샤프트(332)와, 스크류 샤프트(332)에 암 나사로 결합되는 너트부(335)가 구성되고, 너트부(335)는 커팅모듈(310)의 지지판(331)과는 분리되고 경사지지대(341)와는 결합되어 구성되고, 스크류 샤프트(332)의 바깥 끝 단은 지지판(331)의 끝단지지대(336)에 설치된 회전 휠(334)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휠(334)을 정회전 혹은 역회전 시켜 스크류 샤프트(332)를 정회전 및/또는 역회전 시키면 지지판(331)이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대구경 파이프 절단작업 시 커팅모듈(310)을 전진 혹은 후진 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모듈(310)의 원활한 전진 및 후퇴동작을 위해 소정의 슬라이딩 베어링(333)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절단 작업과 후술할 면 다듬질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331)를 경사지게 한다. 이를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지지판(331)의 하측에 일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 지지대(341)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좋다.
도 5와 도 6의 프레임 유닛(340)은 상기 경사지지대(341)와 상기 경사지지대(341)의 후단에 연결되고 수직하게 설치된 수직지지대(342) 그리고 경사지지대(341) 전단과 수직지지대(342)의 하단과 연결되어 수평을 이루는 수평플레이트(343)에 의해 구성된다.
대구경 파이프들을 절단과 연마작업을 할 때 도 3(a)와 같이 중직경 그룹의 대구경 파이프들을 롤러부재에 안착시키고 절단 및 연마작업을 하려 할 때 전단 및 연마작업지점이 낮아지고, 반대로 대직경 그룹의 경우는 절단 및 연마작업지점이 높아지기 때문에, 높이가 고정된 절단유닛과 연마유닛으로는 절단 및 연마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가 없다. 상기 프레임 유닛(340)은 절단 및 연마 지점의 높이를 자동조절 하여 절단 및 연마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게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및 연마유닛(300)(400)이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할 때, 높이가 자동조절 되는 기능을 구성할 수 있는데, 도 3(a)와 같이 직경이 작은 대구경 파이프(P)들을 롤러부재에 안착시키면 커팅모듈(310) 및 후술할 연마 그라인더(410)가 대구경 파이프(P)의 외주면에서 멀어지면서 절단 및 다듬질지점이 낮아지게 된다. 이때 도 5와 같이 커팅모듈(310) 및 연마 그라인더(410)를 대구경 파이프(P)의 외주면 쪽으로 전진 시키면 프레임 유닛(350)의 구조가 앞쪽이 낮기 때문에 커팅모듈(310) 및 연마 그라인더(410) 높이가 자동으로 낮아져서, 절단 및 연마지점 높이가 자동조절 된다. 반대로 도 6과 같이 직경이 큰 대구경 파이프(P)를 롤러부재에 안착할 경우는 커팅모듈(310)및 연마 그라인더(410)을 후진 시켜야 함으로 후진 시, 프레임 유닛(350)의 뒤쪽이 높게 형성된 경사체이므로, 커팅모듈(310) 및 연마 그라인더(410)가 상승하여 커팅모듈(310) 커팅 지점과 그라인더 다듬질 면이 자동 조절되어 절단 및 연마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게 한다.
또한, 커팅모듈(310)이 회전 방식의 휠 커터로 마련될 경우, 휠 커터의 회전 마찰에 의한 발열 및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유를 공급하는 절삭유 공급장치(3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절삭유 공급장치(370)는 소정의 파이프 부재로 구성되어, 미 도시된 절삭유 저장탱크에서 펌핑 된 절삭유를 커팅모듈(310)의 절단 위치에 분사하여, 커팅모듈(310)에 의해 생성된 파티클의 비산 방지와, 마찰열에 의한 대구경 파이프(P)의 열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판(331)은 커팅모듈(310) 및 모터(312) 등을 지지하기 위한 평평한 플레이트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경사지지대(341)의 상측에는 위와 같이 구성되는 절단유닛(300)과 후술할 연마유닛 (400)이 함께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유닛(4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유닛(300)과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절단유닛(300)이 절단한 대구경 파이프(P)의 절단 외주면을 바로 동시 에 다듬질 가공을 할 수 있다. 연마유닛(400)은, 면 다듬질 그라인더(410), 그라인더 홀더(420), 그라인더 요동운동기구유닛(450), 및 제 2 이동유닛(43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요동운동기구 유닛(450)은 면 다듬질 작업을 폭 넓고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도 8과 같이 동력원(460)의 회전운동을 구현하는 회전 캠(451), 회전 캠(451)은 링크절(452)에 연결되고, 링크절은 그라인더(410)를 홀딩하는 홀딩지지대(453)에 연결되어, 회전그라인더(410)를 파이프(P)의 축 방향 인 좌우로 요동운동을 할 수 있게 하고, 홀딩지지대(453)와 제2 지지대(431) 사이에 제 3슬라이드 베어링(454)을 설치함으로써 요동운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구성 한다.
다듬질 그라인더(410)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제품으로 구성함으로써, 소정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연마 금강석 등과 같은 연마수단이 회전하면서, 대구경 파이프(P)의 절단 외주면을 다듬질을 수 있다.
그라인더 홀더(420)는 도 7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다듬질 그라인더(41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등의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재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제 2 이동유닛(4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유닛(300)의 제1 이유동유닛과 동일한 구성과 구조로, 요동운동기구 유닛을 지지하는 제2 지지판(431)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스크류 샤프트(432)와 제 2 너트부(435), 제2 회전 핸들(434)로 구성되어, 제2 핸들(434)을 회전에 의해 제 2지지판(431)의 전진 과 후진 동작을 하여, 연마유닛(400)을 대구경 파이프(P)의 외주면에 수직하게 전ㆍ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ㆍ후 이동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슬라이드 베어링(433)을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절단유닛(300)의 기능과 동일하다. 이때, 제2 이동유닛(430)은 도 7과 같이 하측에 전술한 절단유닛(300)가 설치된 경사지지대(341)에 동일하게 설치되어 프레임 유닛(350)에 의하여 연마유닛(400)을 대구경 파이프(P) 직경의 크기에 따라 연마지점이 자동조절 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구성된다.
한편, 도 6과 도 7 같이 프레임 유닛(340)의 수평플레이트(343) 하부에는 절단유닛(300)과 연마유닛(400)을 대구경 파이프(P)의 축 방향에 대해 좌ㆍ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좌우이동유닛(700)이 설치될 수 있다.
좌우이동유닛(700)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플레이트(343)의 하부에 구성되며 적어도 복수개의 제 3 슬라이드 베어링(740)이 설치되고, 제 3 슬라이드 베어링(740)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한 쌍의 레일 샤프트(741)가 구성 된다. 이때, 제 3 슬라이드 베어링(740) 주변에는 대구경 파이프(P)의 절단길이 따라 절단유닛(300)과 연마유닛(4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록킹유닛(742)이 설치된다.
이동유닛(700)은 절단유닛(300)과 연마유닛(400)를 대구경 파이프(P)의 축 방향과 평행인 좌우로 이동시켜, 절단파이프의 요구되는 길이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서 대구경 파이프(P)를 절단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도 9는 절단연마장치 세트(800)의 사시도로서, 상기 절단유닛(300), 연마유닛(400), 프레임 유닛(340) 및 이동유닛(700)이 일체화 되어 구성된다.
절단장치유닛(800)은 다양한 직경의 원본 대구경 파이프로부터 다양한 길이의 파이프로 절단하고 동시에 면 다듬질이 가능한 장치이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상기 절단장치유닛(800)을 레일샤프트(741)에 도 1과 같이 다수로 구비하면, 다양한 직경의 원본 대구경 파이프들에 대하여, 다양한 길이와 다수의 파이프들로 동시에 절단하고 동시에 면 다듬질이 가능한 장치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롤러부재를 제거하고 제 제2 롤러부재의 유압승강 유닛(500) 대신 제 3 롤러부재 와 제 1 롤러부재 사이에 이동유닛(600) 및 가이드 모듈(61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롤러 이동유닛(600)과 가이드 모듈(610)은 제 3 롤러부재(250)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제 1 롤러부재(230)를 지지하는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어 롤러 이동유닛(600)의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제 3 롤러부재(250)의 위치를 가변 할 수도 있다. 롤러 이동유닛(60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이동유닛(600)은 유압 실린더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절단유닛(300)의 휠 커터 대신 레이저 절단기 및 가스 절단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커팅모듈(310')로 형성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절단유닛(300)의 휠 커터를 사용하는 커팅모듈(310)의 제 1 실시예와 상기한 제 2 실시예와의 특징을 비교하면, 레이저 절단기나 가스 절단기로 커팅모듈(310')을 구성하면, 물리적으로 절단하는 커팅모듈(310)일 때 보다는 절단 저항이 적어 다양한 형태의 철강 대구경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회전 커터의 경우와는 달리 절삭유의 공급을 필요 없기 때문에, 절삭유 공급장치(370)는 생략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 1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에 대구경 파이프(P)가 안착되면, 절단유닛(300)과 연마유닛(400)을 대구경 파이프(P)의 외주면에 맞게 도 13의 (34) 방향으로 전진시켜서 대구경 파이프 외주면을 절개하고 면 다듬질 하면서 절개 지점과 다듬질 지점이 형성되면 롤러유닛(200)을 가동하여 대구경 파이프(P)를 절단방향과 반대인 좌회전 시키면 자동으로 절단작업 과 면 다듬질 작업이 진행된다. 이때, 연마유닛(400)의 그라인더 날(410) 의 회전운동과 그라인더 몸체(420)의 좌우요동운동이 동시에 작동하여 다듬질 작업을 원활하게 한다.
절단유닛(300)과 연마유닛(400)에 의하여 절단작업과 다듬질 작업이 끝나면 절단유닛(300)과 연마유닛(400)을 도 13의 (34) 방향의 후방으로 후진하여 정 위치에 정지시키고 절단 연마된 대구경파이프를 제거하고, 새로운 대구경 파이프(P)를 절단 및 면 다듬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유닛(300)과 연마유닛(400)이 1 세트로 구성된 절단연마장치 세트(800)을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한 번에 여러 개의 대구경 파이프(P)를 절단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절단연마장치 세트(800)를 이동유닛(700)에 요구되는 절단길이에 따라 좌우 이동하고 록킹유닛(740)으로 고정한 뒤 상기에서 기술한 작업절차에 따라 본 발명품을 작동하면 다양한 크기의 원본 대구경 파이프에 대하여 다양한 길이와 다수의 대구경 파이프로 동시에 생산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대구경 파이프(P)의 절단을 기존의 수작업이 아닌 기계화된 장비를 통해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우려를 줄임은 물론 가공 품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한 번에 적어도 3개 이상의 대구경 파이프(P)를 절단 생산하면서, 동시에 절단 부분에 대한 면 다듬질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과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직경의 대구경 파이프(P)에 대비하여 직경크기의 변화에 따라 최적화된 롤러부재의 지지 위치를 가변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직경의 대구경 파이프 제품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커팅모듈의 종류를 변경하여, 레이저 절단기나 가스 절단기 등을 사용할 경우 플라스틱 재질은 물론 스틸 파이프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의 대구경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지지 프레임 110; 프레임 부재
200; 롤러유닛 210; 구동모터
220; 동력전달유닛 230; 제 1 롤러부재
240; 제 2 롤러부재 250; 제 3 롤러부재
260; 지지 베어링 270; 제 1 회전링크
271: 제 2 회전링크 280; 회전링크 회전축
290; 제 3 회전링크 300; 절단유닛
310; 커팅모듈 320; 동력모듈
330; 제 1 이동유닛 331; 지지판
334; 회전 휠 332; 샤프트
332; 슬라이딩 베어링 340; 프레임 유닛
370; 절삭유 공급장치 400; 연마유닛
410; 면 다듬질 그라인더 420; 그라인더 홀더
430; 제 2 이동유닛 500; 유압승강 유닛
510; 제 2 롤러부재 지지판 520; 제 4 회전링크
530; 유압 실린더 600; 롤러 이동유닛
610; 가이드 모듈 700: 좌우 이동유닛
800; 절단연마정치 세트 P; 대구경 파이프

Claims (14)

  1.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에 서로 다른 크기의 대구경 파이프가 놓여질 수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롤러부재를 가지는 롤러유닛;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롤러부재들과 일정 이격거리로 배치되어 상기 대구경 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유닛;
    상기 절단유닛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유닛에 의해 절단된 대구경 파이프의 절단면을 다듬는 연마유닛;
    상기 절단유닛과 연마유닛을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대구경 파이프 지름 변화에 따라 절단지점과 다듬질 지점의 높이를 조절하는 프레임 유닛; 및
    상기 프레임 유닛을 요구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 길이에 따라 상기 대구경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유닛, 연마유닛, 프레임유닛 및 이동유닛은 하나의 세트로 구비하여, 이를 2개 이상 마련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유닛은,
    측면이 직각삼각형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은,
    서로 동일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제 1 내지 제 3 롤러부재;
    상기 제 1 롤러부재와 제 2 롤러부재를 함께 회전 시키는 제 1 동력전달 유닛;
    상기 제 1 롤러부재와 제 3 롤러부재를 함께 회전 시키는 제 2 동력전달 유닛;
    상기 제 1 동력전달유닛과 제 2 동력전달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제 2 롤러부재를 상향 및 하향으로 움직이는 유압승강 유닛;을 포함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유닛은,
    휠 커터인 커팅모듈;
    상기 커팅모듈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모듈;
    상기 커팅모듈을 상기 대구경 파이프를 절단하기 위하여 전진시키고 절단작업 후 후진시키기 위해, 상기 대구경 파이프의 외주면과 수직 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 1 이동유닛; 및
    상기 커팅모듈 및 제 1 이동유닛을 지지하는 경사지지대;를 포함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소정의 파이프 부재로 구성되며, 펌핑 된 절삭유를 상기 절단유닛의 절단 위치에 분사하는 절삭유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유닛은,
    제 1 경사지지대;
    상기 커팅모듈의 전후 이동을 위한 제 1 스크류 유닛;
    이동을 가이드 하는 베어링 유닛; 및
    제 1 스크류유닛의 회전을 위한 회전 휠;을 더 포함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유닛은,
    면 다듬질 그라인더;
    상기 면 다듬질 그라인더를 대구경 파이프의 절단 외주면의 면 다듬질 작업을 위하여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요동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요동운동 기구 유닛;
    상기 면 다듬질 그라인더를 대구경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면 다듬질 지점에 맞게 대구경 파이프 외주 면과 직각인 방향으로 전방 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2 이동유닛; 및
    상기 면 다듬질 그라인더 및 이동유닛을 지지하는 경사지지대;를 포함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요동운동 기구 유닛은,
    요동운동 동력 모터;
    상기 동력모터의 회전력을 구현하는 회전 캠;
    상기 회전 캠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요동운동으로 변화하는 링크 절; 상기 링크절에 연결되고 그라인더를 홀딩하는 홀딩지지대; 및
    홀딩지지대가 좌우로 요동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제 3 슬라이드 베어링;를 더 포함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유닛은,
    제 2 경사지지대;
    상기 다듬질 그라인더의 전후 이동을 위한 전후 제 2 스크류 유닛; 및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 2 베어링 유닛; 및 제 2 스크류유닛의 회전을 위한 회전 휠; 을 더 포함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절단유닛 및 연마유닛을 일체화 시키는 경사 지지대;
    상기 경사지지대의 일측인 대구경파이프 쪽은 낮게 하고 타측은 높게 구성되도록 하는 수직받침대; 및
    상기 경사지지대 일측과 수직받침대 하단과 결합하여 직각삼각형이 구성되도록 하는 수평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절단유닛, 연마유닛 및 프레임 유닛으로 구성된 세트가 배치되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수평플레이트 하부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제 3 슬라이딩 베어링;
    상기 복수개의 제 3 슬라이딩 베어링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레일 샤프트; 및
    절단 과 연마작업의 위치에서 제 3 슬라이드 베어링을 고정하는 록킹유닛; 을 포함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유닛은,
    가스절단기 및 레이저 절단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커팅모듈;
    상기 커팅모듈을 상기 대구경 파이프의 지름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시키는 제 1 이동유닛; 및
    상기 커팅모듈 및 제 1 이동유닛을 지지하는 경사지지대;를 포함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유닛은,
    면 다듬질 그라인더;
    상기 면 다듬질 그라인더를 대구경 파이프의 절단 외주면의 면 다듬질 작업을 위하여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요동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요동운동 기구 유닛;
    상기 면 다듬질 그라인더를 상기 대구경 파이프의 지름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시키는 회전 캠 링크 절로 마련된 제 2 이동유닛; 및
    상기 면 다듬질 그라인더 및 이동유닛을 지지하는 경사지지대;를 포함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은,
    제 1 롤러부재;
    상기 제 1 롤러부재와 동일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롤러부재에 대하여 거리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롤러부재; 및
    상기 제 2 롤러부재를 상기 제 1 롤러부재에 대해 왕복 이동 시키는 롤러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KR1020130027051A 2013-03-14 2013-03-14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KR101417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051A KR101417608B1 (ko) 2013-03-14 2013-03-14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051A KR101417608B1 (ko) 2013-03-14 2013-03-14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608B1 true KR101417608B1 (ko) 2014-07-08

Family

ID=5174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051A KR101417608B1 (ko) 2013-03-14 2013-03-14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608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253B1 (ko) * 2015-05-22 2015-11-11 김범수 창틀 중간프레임의 절단 및 연마장치
CN105729212A (zh) * 2016-04-28 2016-07-06 东风襄阳旅行车有限公司 型材集成式下料方法
KR101654645B1 (ko) * 2015-11-04 2016-09-06 박길미 빌릿 스케일 제거장치
CN108453508A (zh) * 2018-02-27 2018-08-28 重庆市妙果商贸有限公司 管材切割打磨装置
CN110170694A (zh) * 2019-05-17 2019-08-27 杭州景业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厚管的切割装置及方法
CN110170693A (zh) * 2019-05-17 2019-08-27 杭州景业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厚管的切割系统及方法
KR102022907B1 (ko) * 2019-05-09 2019-09-19 주식회사 지스 고정밀 튜브절단장치
KR102032329B1 (ko) 2019-07-03 2019-10-15 이만호 절단장치
KR102032996B1 (ko) * 2019-05-22 2019-10-16 김정선 절단 가공 장치
KR102019290B1 (ko) 2019-07-03 2019-11-14 박민식 절단장치
CN110587337A (zh) * 2019-09-26 2019-12-20 上海翼欣汽车技术中心 一种汽车零件加工截断机辅助装置
KR102115581B1 (ko) * 2019-12-09 2020-06-05 황호열 철구조물 제작을 위한 자동화 장치
KR20210061767A (ko) * 2019-11-20 2021-05-28 (주)다리온 불산가스 배관 제작 공정 중에서 폴리에틸렌관 절단장치
CN113184477A (zh) * 2021-05-31 2021-07-30 上海科发精密合金材料有限公司 一种杆件自动传送下料机构
KR102285412B1 (ko) * 2020-08-25 2021-08-03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배관 탭 절단 로봇, 및 배관 탭 절단 방법
KR20220036747A (ko) * 2020-09-16 2022-03-23 (주)엘엑스하우시스 복합 가공 장치
CN114536133A (zh) * 2021-12-22 2022-05-27 北京天玛智控科技股份有限公司 管件的切割打磨装置
CN116372598A (zh) * 2023-06-06 2023-07-04 西安钧诚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金属管切割磨边加工装置
CN117066903A (zh) * 2023-09-12 2023-11-17 山东广杰厨业有限公司 用于不锈钢餐桌生产的自动化钢管切割装置
KR102622407B1 (ko) * 2023-03-16 2024-01-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그라인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570B1 (ko) 2006-12-01 2008-03-18 주식회사 디엠씨테크 파이프 절단 장치
KR100850592B1 (ko) 2007-06-28 2008-08-05 고동일 대구경 파이프 절단 장치
KR100914995B1 (ko) 2009-04-22 2009-09-02 김현수 I형 철강빔을 베이스로 하는 탈착식 파이프 회전장치
KR20110065198A (ko) * 2009-12-09 2011-06-15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알 파이프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570B1 (ko) 2006-12-01 2008-03-18 주식회사 디엠씨테크 파이프 절단 장치
KR100850592B1 (ko) 2007-06-28 2008-08-05 고동일 대구경 파이프 절단 장치
KR100914995B1 (ko) 2009-04-22 2009-09-02 김현수 I형 철강빔을 베이스로 하는 탈착식 파이프 회전장치
KR20110065198A (ko) * 2009-12-09 2011-06-15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알 파이프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팅기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253B1 (ko) * 2015-05-22 2015-11-11 김범수 창틀 중간프레임의 절단 및 연마장치
KR101654645B1 (ko) * 2015-11-04 2016-09-06 박길미 빌릿 스케일 제거장치
EP3165296A1 (en) * 2015-11-04 2017-05-10 Gilmi Park Billet descaling apparatus
CN105729212A (zh) * 2016-04-28 2016-07-06 东风襄阳旅行车有限公司 型材集成式下料方法
CN108453508A (zh) * 2018-02-27 2018-08-28 重庆市妙果商贸有限公司 管材切割打磨装置
CN108453508B (zh) * 2018-02-27 2020-04-21 重庆市妙果商贸有限公司 管材切割打磨装置
KR102022907B1 (ko) * 2019-05-09 2019-09-19 주식회사 지스 고정밀 튜브절단장치
CN110170693A (zh) * 2019-05-17 2019-08-27 杭州景业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厚管的切割系统及方法
CN110170694A (zh) * 2019-05-17 2019-08-27 杭州景业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厚管的切割装置及方法
KR102032996B1 (ko) * 2019-05-22 2019-10-16 김정선 절단 가공 장치
KR102019290B1 (ko) 2019-07-03 2019-11-14 박민식 절단장치
KR102032329B1 (ko) 2019-07-03 2019-10-15 이만호 절단장치
CN110587337B (zh) * 2019-09-26 2021-07-30 重庆九份离合器有限公司 一种汽车零件加工截断机辅助装置
CN110587337A (zh) * 2019-09-26 2019-12-20 上海翼欣汽车技术中心 一种汽车零件加工截断机辅助装置
KR20210061767A (ko) * 2019-11-20 2021-05-28 (주)다리온 불산가스 배관 제작 공정 중에서 폴리에틸렌관 절단장치
KR102270293B1 (ko) * 2019-11-20 2021-06-29 (주) 다리온 불산가스 배관 제작 공정 중에서 폴리에틸렌관 절단장치
KR102115581B1 (ko) * 2019-12-09 2020-06-05 황호열 철구조물 제작을 위한 자동화 장치
KR102285412B1 (ko) * 2020-08-25 2021-08-03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배관 탭 절단 로봇, 및 배관 탭 절단 방법
KR20220036747A (ko) * 2020-09-16 2022-03-23 (주)엘엑스하우시스 복합 가공 장치
KR102652960B1 (ko) * 2020-09-16 2024-03-28 (주)엘엑스하우시스 복합 가공 장치
CN113184477A (zh) * 2021-05-31 2021-07-30 上海科发精密合金材料有限公司 一种杆件自动传送下料机构
CN114536133A (zh) * 2021-12-22 2022-05-27 北京天玛智控科技股份有限公司 管件的切割打磨装置
KR102622407B1 (ko) * 2023-03-16 2024-01-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그라인더 장치
CN116372598A (zh) * 2023-06-06 2023-07-04 西安钧诚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金属管切割磨边加工装置
CN116372598B (zh) * 2023-06-06 2023-09-15 西安钧诚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金属管切割磨边加工装置
CN117066903A (zh) * 2023-09-12 2023-11-17 山东广杰厨业有限公司 用于不锈钢餐桌生产的自动化钢管切割装置
CN117066903B (zh) * 2023-09-12 2024-05-17 山东广杰厨业有限公司 用于不锈钢餐桌生产的自动化钢管切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608B1 (ko)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CN110315227B (zh) 一种高端装备制造用激光切割夹具
KR101263145B1 (ko) 압축선스프링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CN103978417A (zh) 板材双头自动抛光机
CN106002526B (zh) 一种双面去毛刺及抛光一体机
CN107363559B (zh) 一种管材的切割移动一体化设备
CN103949724A (zh) 一种新型切割机装置
CN105269436A (zh) 砂带磨床
KR101613369B1 (ko) 석재 곡면 절단 장치
US20070267006A1 (en) Wire Saw Machine
CN110004699A (zh) 一种纺织布生产用裁剪装置
CN205520007U (zh) 一种适用于大工件的自动堆焊机
CN204997117U (zh) 钢管坡口机
KR100821991B1 (ko) 곡면 형성기
KR101559981B1 (ko) 석재 경계석의 라운딩 모방 가공장치
CN102581682B (zh) 一种回转支承齿轮倒角翻身装置
CN202592097U (zh) 一种回转支承齿轮倒角翻身装置
CN106182474B (zh) 工件转动装置及带有该工件转动装置的工件切割设备
CN206326495U (zh) 一种高精度平面研磨机
CN202016086U (zh) 一种环刀异型海绵切割机
CN104493985A (zh) 一种可加工角度槽的石材线条机
CN209936501U (zh) 一种纵剪刀片加工用打磨装置
KR101962014B1 (ko) 인터록킹 블록용 표면연마장치
CN209754164U (zh) 一种锯床的送料装置
CN210148432U (zh) 一种可变换角度的绳锯切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