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290B1 -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290B1
KR102019290B1 KR1020190079852A KR20190079852A KR102019290B1 KR 102019290 B1 KR102019290 B1 KR 102019290B1 KR 1020190079852 A KR1020190079852 A KR 1020190079852A KR 20190079852 A KR20190079852 A KR 20190079852A KR 102019290 B1 KR102019290 B1 KR 102019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unit
cut
suppor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식
Original Assignee
박민식
박종윤
배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식, 박종윤, 배혜경 filed Critical 박민식
Priority to KR1020190079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08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cleaning or lubric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절단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단장치{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피절단물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는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단장치는 금속, 목재 등의 다양한 피절단물을 특정 치수에 알맞게 절단하는 기계를 말하는 것으로, 절단 대상의 종류, 절단 방법, 절단 치수 등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진 절단장치가 개발되었다.
이 중 절단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절단 대상이 고정되고 절단날이 움직이면서 절단을 하는 방식, 반대로 절단날이 고정되고 이송수단에 의하여 절단 대상을 움직이는 방식 등이 존재한다.
그리고, 사용목적이나 적용분야에 따라 피절단물의 길이를 다르게 절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절단장치는 피절단물의 절단길이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작업자가 일일이 피절단물에 절단위치를 표시해야 했으므로, 작업자의 일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공정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885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17608호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피절단물을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는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절단물의 절단길이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절단물의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단한 피절단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물을 피절단물에 고루게 접촉시켜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절단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비전검사를 통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는, 피절단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의 출구 측에 배치되는 위치조절실린더, 상기 위치조절실린더에 의해 상기 절단부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에 체결되면서 그 끝단이 상기 위치조절실린더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블럭을 고정시키는 탈부착노브, 상기 이동블럭에 수직,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블럭, 상기 회동블럭에서 절단부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되며, 상기 절단부의 출구 측과 마주하는 끝단에는 상기 절단부의 출구를 통과한 피절단물의 끝단이 접촉되는 스토퍼가 형성된 이동바 및 상기 회동블럭에 체결되면서 상기 이동바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부가 탈부착노브를 포함하는 설정부,
상기 절단된 피절단물이 수집되며, 피절단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액이 저장된 수집부, 상기 수집부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모터축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정되는 제1,2 모터, 상기 제1,2 모터의 모터축에 각각 장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2 드럼 및 상기 수집부와 제1,2 드럼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1,2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수집부를 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제1,2 와이어를 포함하는 세척부 및
상기 수집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피절단물과 소정간격 이격되며,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수집부의 바닥면에 축 고정되는 회전부, 상기 세척액이 피절단물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제3 모터를 포함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의 저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공급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판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중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회동 체결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 볼, 상기 제1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바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상기 제2 지지부로 공급되는 충전액 탱크, 및 상기 충전액 탱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회동 체결부,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결 볼, 상기 제2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바아, 상기 제2 지지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줄어들어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승하강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조절부는,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피절단물을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피절단물의 절단길이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피절단물의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단한 피절단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물을 피절단물에 고루게 접촉시켜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피절단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비전검사를 통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에 적용된 설정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에 적용된 탄성 지지대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9는 도 4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에 적용된 세척부를 도시한 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에 적용된 검사수단을 도시한 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에 적용된 설정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1)는 다양한 종류의 피절단물(P)을 원하는 길이로 설정하여 절단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1)는 피절단물(P)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부(10), 상기 이송부(10)의 저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대(60), 상기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되는 피절단물(P)을 절단하는 절단부(20), 절단부(20)의 출구 측에서 피절단물(P)의 절단 길이를 설정해주는 설정부(30)를 포함한다.
이송부(1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틀부(11) 및 틀부(11)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이송롤(12)을 포함한다.
이때, 이송부(1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절단부(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틀부(11)의 저면에는 작업자가 일어서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다리(11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지지다리(111)는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틀부(11)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작업자가 다리나 허리를 굽히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절단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송롤(12)은 다수개로 적용되어 틀부(11)의 내부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송롤(12)은 양측에 틀부(11)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축이 구비되어 피절단물(P)과의 마찰에 의해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롤(12)의 상부에 피절단물(P)을 올려 놓은 다음, 절단부(20) 방향으로 밀어 일정길이로 절단하면 된다.
탄성지지대(60)는 상판(61), 케이스(62) 및 상판 지지부(63)를 포함한다.
상판(61)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다리(111)의 저면과 밀착되며, 상판 지지부(63)에 의하여 지지된다.
케이스(62)는 상판(61)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 지지부(63)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판 지지부(63)는 케이스(62)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케이스(62)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61)을 지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에 적용된 탄성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9는 도 4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판 지지부(63)는, 제1 지지부(6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631)는 상판(61)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판(61)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다수 개의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로 공급한다.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는 상판(61)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판(61)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판(61)이 하강하려고 할 경우 제1 지지부(631)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63)는 제1 지지부(6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61) 및 상판(61)에 안착된 지지다리(111)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631)는, 제1 회동 체결부(6311), 제1 연결 볼(6312), 제1 지지 바아(6313), 충전액 탱크(6314) 및 연결관(6315)을 포함한다.
제1 회동 체결부(63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61)의 하측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1 연결 볼(6312)이 연결 설치된다.
제1 연결 볼(6312)은 제1 회동 체결부(631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1 회동 체결부(631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지지 바아(631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지지 바아(6313)는 제1 연결 볼(631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충전액 탱크(6314)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 볼(6312)을 지지하며, 상판(61)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여 충전액 탱크(6314)에 담긴 충전액을 하측 방향으로 압착시킨다.
충전액 탱크(6314)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62)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제1 지지 바아(6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판(61)이 하강할 경우 제1 지지 바아(6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연결관(6315)을 통과하여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로 공급된다.
이때, 제1 지지 바아(6313)는 충전액 탱크(6314)의 내부 공간에 담긴 충전액을 주사기의 구동 방식과 같이 압착시킬 수 있도록 충전액 탱크(6314)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무 재질의 패킹(P)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6315)은 충전액 탱크(6314)의 하부로부터 각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한다.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는 제2 회동 체결부(6321), 제2 연결 볼(6322), 제2 지지 바아(6323), 탄성 지지부(6324) 및 승하강 조절부(6325)를 포함한다.
제2 회동 체결부(63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61)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2 연결 볼(6322)이 연결 설치된다.
제2 연결 볼(6322)은 제2 회동 체결부(632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2 회동 체결부(632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 지지 바아(632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지지 바아(6323)는 제2 연결 볼(632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케이스(62)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2 연결 볼(6322)을 지지하며, 탄성 지지부(6324)에 의하여 지지된다.
탄성 지지부(6324)는 제2 지지 바아(6323)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 바아(6323)를 케이스(62)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한다.
승하강 조절부(6325)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6325h)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6325h)에 제2 지지 바아(6323)가 삽입되며, 상판(61)이 하강할 경우 연결관(6315)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관통홀(6325h)의 크기가 줄어들어 제2 지지 바아(6323)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조절부(632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관통홀(6325h)이 위치하는 내측(6325i)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6325o)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지지 바아(6323)와 대향하는 내측(6325i)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63)는 제1 지지부(6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를 이용하여 상판(61)을 지지하되, 탄성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를 이용하여 상판(61)의 각 모서리를 기본적으로 지지하고, 상판(61)이 각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게 되어 제1 지지부(631)를 하강시키면, 제1 지지부(631)에 담긴 충전액이 압착되어 함께 하강되고 있는 각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로 공급되며, 충전액의 공급에 따른 팽창으로 인해 각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의 하강이 저지되어 상판(61)의 하강이 점진적으로 큰 저항을 받게 된다.
즉, 상판(61)이 처음에는 각 제2 지지부(632a, 632b, 632c, 632d)의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지지되나, 제1 지지부(631)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631)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따른 밀착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까지 추가됨으로써 상판(61)의 하강 구동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탄성지지대(60)는 지지다리(11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상판(61)의 하강 구동을 억제함에 따라, 이송롤(12)에 무거운 피절단물(P)을 올려 놓거나 또는 많은 양의 피절단물(P)을 올려 놓더라도 지지다리(111)가 피절단물(P)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이송부(1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해준다.
절단부(20) 원형 톱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초경합금으로 된 팁이 장착되거나 또는, 전체가 고속도강(high speed steel)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절삭속도(90-150m/min)가 매우 빠르고, 또한 피절단물(P)의 절단면이 전체적으로 표면 거칠기가 고운면 갖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절단부(20)는 모터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될 수 있고, 자체에 구비되는 수동손잡이(21)의 상,하 작동과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롤(12)에서 피절단물(P)을 밀어 절단부(20)의 하부에 위치시킨 다음, 수동손잡이(21)를 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절단부(20)가 하강되면서 피절단물(P)을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일 예로, 절단부(20)는 로드레스 실린더와 같은 승강수단(미도시)을 통해 자동으로 승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수단은 절단부(20)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는 절단부(20)가 상승되었을 때 이송롤(12)에서 절단부(20)를 향해 피절단물(P)을 밀어 절단하면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부(30)는 위치조절실린더(32), 이동블럭(33), 탈부착노브(34), 회동블럭(35), 이동바(36) 및 부가 탈부착노브(37)를 포함한다.
위치조절실린더(32)는 틀부(11)와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수평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위치조절실린더(32)는 이동블럭(33)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로드레스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블럭(33)은 저면 및 양측면이 개방된 홈(33a)을 구비하여 틀부(11)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블럭(33)은 위치조절실린더(32)에 구비되는 이동체(321)에 결합된다.
이동체(321)는 절단부(20)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되며, 이로 인해 이동블럭(33)이 절단부(2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블럭(33)의 상면에는 회동블럭(35)의 상,하 회동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편(331)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동블럭(33)에는 나선홀(미도시)이 형성되며, 탈부착노브(34)는 나선홀에 체결되어 이동블럭(33)을 틀부(11)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탈부착노브(34)는 외주연에 이동블럭(33)의 나선홀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되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틀부(11)의 측면과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가압부(341) 및 가압부(341)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손잡이(342)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손잡이(342)를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341)의 끝단이 틀부(11)를 가압하여 이동블럭(33)을 고정시키고, 이와 반대로 회전손잡이(342)를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341)가 틀부(11)와 이격되어 이동블럭(33)을 틀부(11)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회동블럭(35)은 지지편(331)의 사이에 축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회동블럭(35)은 상 방향으로 회동될 시 수직 형태가 되고, 하 방향으로 회동시에는 수평 형태된다.
회동블럭(35)에는 피절단물(P)의 길이를 설정해주는 이동바(36) 및 스토퍼(361)가 설치됨으로, 절단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동블럭(35)을 수평형태가 되도록 회동시켜 이동바(36) 및 스토퍼(361)가 절단부(20)의 출구측에 배치시키면 되고, 절단작업을 수행하지 아니할 경우에는 회동블럭(35)을 수직형태가 되도록 회동시켜 이동바(36) 및 스토퍼(361)를 절단부(20)의 출구측에서 제거하면 된다.
그리고, 회동블럭(35)에는 전술한 이동바(36)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이동가이드홀(35a)이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이동바(36)는 이동가이드홀(35a)에서 절단부(20)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이동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가이드홀(35a)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갖도록 형성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송부(10) 중 절단부(20)의 출구 측과 마주하는 끝단에는, 절단부(20)의 출구측을 통과한 피절단물(P)의 끝단과 접촉되는 스토퍼(361)가 형성된다.
스토퍼(361)는 도 3에 사각형 블럭 형상으로 형성된 예로 도시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361)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피절단물(P)과 마주하는 면만 평판구조를 갖는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이때, 피절단물(P)이 스토퍼(361)에 지지되고, 절단부(20)가 작동하여 피절단물(P)을 절단하는 바, 스토퍼(361)의 위치에 따라 피절단물(P)의 절단길이가 결정된다. 따라서, 스토퍼(361)는 피절단물(P)의 절단길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부나 절단부(20)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부의 내주연에는 나선홀을 형성하고, 스토퍼(361)에는 회전방향에 따라 나선홀에서 양방향으로 이동되는 볼트를 형성함으로써, 스토퍼(361)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스토퍼(361)의 회전수나 회전각도에 따라 절단부(20)와 스토퍼(361) 간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피절단물(P)의 절단길이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틀부(11) 중 스토퍼(361)와 마주하는 면에는 피절단물(P)의 절단길이를 표시해주는 눈금 및 이에 해당하는 숫자가 인쇄될 수 있다. 눈금 및 숫자는 밀리미터 단위, 센치미터단위, 미터단위 등으로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361)가 틀부(11)의 눈금에서 1M에 위치하면 피절단물(P)을 1M의 길이로 절단할 수 있고, 50CM에 위치하면 피절단물(P)을 50CM의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한편, 회동블럭(35)에는 나선홀(미도시)이 형성되며, 부가 탈부착노브(37)는 나선홀에 체결되어 이동부를 회동블럭(35)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부가 탈부착노브(37)는 외주연에 회동블럭(35)의 나선홀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되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이동가이드홀(35a) 상의 이동부의 측면과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부가 가압부(371) 및 부가 가압부(371)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가 회전손잡이(342)를 포함한다.
따라서, 부가 회전손잡이(342)를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부가 가압부(371)의 끝단이 위치조절이 완료된 이동부를 가압하여 회동블럭(35)에 고정시키고, 이와 반대로 부가 회전손잡이(342)를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부가 가압부(371)가 이동부와 이격되어 이동부를 회동블럭(35) 상에서 이동시켜 위치를 재조절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작동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1)는 절단부 조작버튼과 위치조절실린더(32) 조작버튼 및 제어회로를 갖는 제어판넬(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위치조절실린더(32) 조작버튼을 통해 이동블럭(33)을 이동시켜 절단부(20)와 스토퍼(361) 간의 간격을 설정한 후, 절단부 조작버튼을 통해 절단부(20)를 작동시켜 피절단물(P)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32)가 절단부(20)와 멀어질수록 피절단물(P)의 절단길이가 길어지고, 스토퍼(32)가 절단부(20)와 가까워질수록 피절단물(P)의 절단길이가 짧아진다.
위치조절실린더(32)의 이동체(321)는 이동블럭(33)을 밀리미터 단위 또는 cm미터 단위로 정밀하게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전술한 위치조절실린더(32) 조작버튼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이동블럭(33)의 위치를 설정한 이후에는 탈부착노브(34)로 이동블럭(33)을 틀부(11)에 고정시켜, 스토퍼(361)가 피절단물(P)이 충돌되더라도 위치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절단부(20)와 스토퍼(361) 간의 거리를 설정하면 피절단물(P)의 절단길이가 설정됨으로, 절단부 조작버튼을 통해 절단부(20)를 작동시킨 후, 이송부(10)에서 피절단물(P)을 절단부(20)로 밀어 넣어 피절단물(P)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면 된다.
그리고, 피절단물(P)의 길이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압부(341)가 틀부(11)를 가압하지 아니할 정도로만 이동블럭(33)에서 탈부착노브(34)를 해제한 후, 다시 위치조절실린더(32) 조작버튼을 통해 이동블럭(33)을 이동시켜 스토퍼(361)와 절단부(20) 간의 간격을 조절하면 된다.
이때, 이동바(36)가 회동블럭(35)에서 절단부(20)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함으로, 위치조절실린더(32)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스토퍼(361)와 절단부(2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이동바(36)는 작업자에 의해 조절됨으로 스토퍼(361)와 절단부(20) 간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틀부(11)에 인쇄된 눈금 및 숫자를 보고 더욱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에 적용된 세척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에 적용된 검사수단을 도시한 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구성이외에도 절단된 피절단물을 세척액으로 깨끗이 세척하는 세척부(40), 세척액을 피절단물에 균일하게 접촉시키는 공급부(50), 세척이 완료된 피절단물들을 순차적으로 비전 검사한 다음,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는 검사부(70)를 더 포함한다.
먼저, 세척부(4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부(41), 제 1,2모터(42,43), 제 1,2모터(42,43)에 각각 결합되는 제1,2 드럼(44,45), 제1,2 드럼(44,45)과 수집부(41)에 고정되며 제1,2 드럼(44,45)에 감기거나 풀리는 제1,2 와이어(46,47)를 포함한다.
이때, 세척부(40)는 절단부(20)에 의해 절단된 피절단물을 신속히 세척할 수 있도록 이송부(10) 또는 절단부(20)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수집부(4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집부(41)의 내부공간에는 피절단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액이 저장되며, 세척액은 수돗물, 알코올일 수 있다.
그리고, 피절단물은 작업자에 의해 수집부(41)의 내부공간에 적층되는 형태로 보관되어 세척액에 잠기게 된다.
제1 모터(42)와 제2 모터(43)는 수집부(41)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ㄱ"자 단면 형상의 받침대(48) 상면에 각각 고정되어 수집부(41)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다.
이러한 제1 모터(42)와 제2 모터(43)는 모터축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AC모터 또는 DC모터일 수 있으며, 제1 와이어(46)와 제2 와이어(47)로 수집부(41)를 좌,우 방향으로 반복되게 틸팅시킬 수 있도록 모터축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정된다.
제1 와이어(46)는 제1 모터(42)에 결합된 제1 드럼(44)과 수집부(41)의 좌측 상단에 고정되고, 제2 와이어(47)는 제2 모터(43)에 결합된 제2 드럼(45)과 수집부(41)의 우측 상단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 모터(42)의 모터축이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모터(43)의 모터축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와이어(46)는 제1 드럼(44)에 감기고, 제2 와이어(47)는 제2 드럼(45)에서 풀린다.
이로 인해 수집부(41)의 좌측이 상방향으로 틸팅되고, 수집부(41)의 우측은 하 방향으로 틸팅된다.
이와 반대로 제1 모터(42)의 모터축이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모터(43)의 모터축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와이어(46)는 제1 드럼(44)에서 풀리고, 제2 와이어(47)는 제2 드럼(45)에 감긴다.
이로 인해 수집부(41)의 좌측이 하방향으로 틸팅되고, 수집부(41)의 우측은 상 방향으로 틸팅된다.
따라서, 수집부(41) 내의 세척액이 좌,우 방향으로 반복되게 이동되면서 피절단물에 고루게 묻게 됨으로, 피절단물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제1,2 모터는 수집부(41)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약 5회 내지 10회 정도 틸팅시킨 다음 작동이 정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공급부(50)는 피절단물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수집부(41)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세척액을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통과홀(51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제1,2 모터(42,43)의 작동에 의해 수집부(41)가 틸팅될 시 피절단물의 이동을 제한하는 차단벽(51), 수집부(41)의 내벽면과 차단벽(51)의 사이에 배치되며,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곡선 형상의 날개(521)가 형성되며, 하측이 수집부(41)의 바닥면에 축 고정되는 회전부(52), 회전부(52)를 제자리 회전시키는 제3 모터(53)를 포함한다.
즉, 제3 모터(53)를 작동시켜 회전부(52) 및 날개(521)가 제자리 회전되면 세척액이 차단벽(51)의 통과홀(51a)을 통과하여 적층된 상태의 피절단물로 이동되는데, 세척액은 피절단물을 쓸고 지나가면서 피절단물에 묻은 이물질을 분리하는 것이다.
한편, 검사부(7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모터(71), 회전판(72), 적층부(73), 이물질 제거부(74), 비전검사부(75), 인출부(76)를 포함한다.
이때, 검사부(70)는 세척부(40)를 통해 세척된 피절단물을 신속히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부(40)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제4모터(71)는 모터축이AC모터 또는 DC모터로 적용될 수 있다.
회전판(72)은 저면 중앙부분에 모터의 모터축이 결합되어, 모터의 동력으로 수평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된다.
적층부(73)는 회전판(72)의 상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내부에 피절단물이 적층되는 적층공간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피절단물이 인출되는 인출홀(731)이 형성된다.
이때, 모터는 회전판(72)의 일측에 편심되게 위치된 적층부(73)가 이물질제거부를 거친 후, 비전검사부(75)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회전판(72)을 180도 각도로 회전시킨다.
이물질제거부는 공지의 컴프레셔로 적용될 수 있으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이송된 피절단물의 상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후, 제4모터(71)는 회전판(72)을 180도로 회전시켜 적층부(73)가 비전검사부(75)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비전검사부(75)는 피절단물의 상면을 검사하여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파악한다.
적층부(73)에 적층된 피절단물은 후술되는 인출부(76)에 의해 하나씩 인출됨으로, 이물질제거부 및 비전검사부(75)는 각각 적층부(73)에 대해 간격조절가능하도록 실린더(C1,C2)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이때, 비전검사부(75)의 이물질 검사원리는 공지의 비전검사장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전검사부(75)는 피절단물에서 이물질을 발견 시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저(미도시)를 작동시켜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비전검사부(75)에 의해 이물질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인출부(76)가 작동한다.
인출부(76)는 상기 비전검사가 완료된 피절단물을 적층부(73)에서 순차적으로 인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인출부(76)는 틀부(761), 전자석(762), 인출용 실린더(763), 하강용 실린더(764)를 포함한다.
틀부(761)는 피절단물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절단물의 외면에 각각 장착되고, 피절단물은 이와 같이 틀부(761)가 장착된 상태에서 적층공간에 적층된다.
그리고, 틀부(761)는 전자석(762)과 상호 작용될 수 있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피절단물이 전자석(762)에 부착될 수 없는 재질일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으며, 피절단물이 금속과 같이 전자석(762)에 부착될 수 있는 재질일 경우 틀부(761)는 생략될 수 있다.
전자석(762)은 전류가 인가되면 자화되어 틀부(761)에 부착되고, 전류가 끊어지면 자력이 소멸되어 틀부(761)를 낙하시킬 수 있다.
인출용 실린더(763)는 피스톤의 끝단이 전자석(762)과 결합되어, 전자석(762)을 인출홀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다시 말해, 인출용 실린더(763)는 피절단물의 비전검사가 완료되면 전자석(762)을 전진시키고, 전자석(762)에는 전류가 인가되어 최상층에 틀부(761)가 부착된다.
이후, 인출용 실린더(763)는 전자석(762)을 후진시켜 최상부에 위치된 피절단물을 적층부(73)의 외부로 인출시킨다.
이어서, 전자석(762)에 인가되었던 전류가 끊어져 피절단물을 낙하시킨다.
그리고, 인출용 실린더(763)의 하부에는 낙하되는 피절단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함(765)이 배치된다.
이때, 수집함(765)의 내부공간에는 낙하되는 피절단물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스폰지, 고무 등과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미도시)가 수용된다.
계속해서, 하강용 실린더(764)는 피스톤의 상단이 인출용 실린더(763)의 저면에 결합되어, 인출용 실린더(763)를 하강 또는 상승시킨다.
특히, 하강용 실린더(764)는 인출용 실린더(763)를 하강시켜 전자석(762)이 최상층 아래에 위치된 틀부(761)에 부착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최상부에 적층되어 있던 피절단물은 전술한 방식을 통해 인출되었음으로, 하강용 실린더(764)는 전자석(762)이 최상층 아래에 위치된 틀부(761)와 마주하도록 인출용 실린더(763)를 하강시키도록 설정되며, 이후 인출용 실린더(763)와 전자석(762)이 전술한 방식으로 2번째 피절단물을 인출시킨다.
그리고, 전자석(762), 인출용 실린더(763), 하강용 실린더(764)는 전술한 방식으로 적층공간에 적층된 모든 피절단물들도 모두 인출시킨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절단장치 10 : 이송부
11,761 : 틀부 111 : 지지다리
12 : 이송롤 20 : 절단부
30 : 설정부 32 : 위치조절실린더
321 : 이동체 33 : 이동블럭
33a : 홈 331 : 지지편
34 : 탈부착노브 341 : 가압부
342 : 회전손잡이 35 : 회동블럭
35a : 이동가이드홀 36 : 이동바
361 : 스토퍼 37 : 부가 탈부착노브
371 : 부가 가압부 372 : 부가 회전손잡이
40 : 세척부 41 : 수집부
42 : 제1 모터 43 : 제2 모터
44 : 제1 드럼 45 : 제2 드럼
46 : 제1 와이어 47 : 제2 와이어
48 : 받침대 50 : 공급부
51 : 차단벽 51a : 통과홀
52 : 회전부 521 : 날개
53 : 제3 모터 60 : 탄성지지대
61 : 상판 62 : 케이스
63 : 상판 지지부 631 : 제1 지지부
6311 : 제1 회동 체결부 6312 : 제1 연결 볼
6313 : 제1 지지 바아 6314 : 충전액 탱크
6315 : 연결관 6321 : 제2 회동 체결부
6322 : 제2 연결 볼 6323 : 제2 지지 바아
6324 : 탄성 지지부 6325 : 승하강 조절부
6325h : 관통홀 6325o : 외측벽
6325i : 내측 70 : 검사부
71 : 제4모터 72 : 회전판
73 : 적층부 74 : 이물질 제거부
75 : 비전검사부 76 : 인출부
762 : 전자석 763 : 인출용 실린더
764 : 하강용 실린더 765 : 수집함

Claims (2)

  1. 피절단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절단부의 출구 측에 배치되는 위치조절실린더, 상기 위치조절실린더에 의해 상기 절단부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에 체결되면서 그 끝단이 상기 위치조절실린더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블럭을 고정시키는 탈부착노브, 상기 이동블럭에 수직,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블럭, 상기 회동블럭에서 절단부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되며, 상기 절단부의 출구 측과 마주하는 끝단에는 상기 절단부의 출구를 통과한 피절단물의 끝단이 접촉되는 스토퍼가 형성된 이동바 및 상기 회동블럭에 체결되면서 상기 이동바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부가 탈부착노브를 포함하는 설정부,
    상기 절단된 피절단물이 수집되며, 피절단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액이 저장된 수집부, 상기 수집부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모터축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정되는 제1,2 모터, 상기 제1,2 모터의 모터축에 각각 장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2 드럼 및 상기 수집부와 제1,2 드럼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1,2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수집부를 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제1,2 와이어를 포함하는 세척부 및
    상기 수집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피절단물과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수집부의 바닥면에 축 고정되는 회전부, 상기 세척액이 피절단물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제3 모터를 포함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절단장치.
  2. 삭제
KR1020190079852A 2019-07-03 2019-07-03 절단장치 KR102019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852A KR102019290B1 (ko) 2019-07-03 2019-07-03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852A KR102019290B1 (ko) 2019-07-03 2019-07-03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290B1 true KR102019290B1 (ko) 2019-11-14

Family

ID=6857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852A KR102019290B1 (ko) 2019-07-03 2019-07-03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2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367B1 (ko) * 2021-04-27 2021-11-24 임종수 관체 절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854B1 (ko) 2009-11-02 2012-03-23 (주)일진에너지 파이프 절단장치
KR101417608B1 (ko) 2013-03-14 2014-07-08 주식회사 퍼팩트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KR20170049174A (ko) * 2015-10-28 2017-05-10 김경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854B1 (ko) 2009-11-02 2012-03-23 (주)일진에너지 파이프 절단장치
KR101417608B1 (ko) 2013-03-14 2014-07-08 주식회사 퍼팩트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KR20170049174A (ko) * 2015-10-28 2017-05-10 김경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367B1 (ko) * 2021-04-27 2021-11-24 임종수 관체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329B1 (ko) 절단장치
CN205011018U (zh) 玻璃上片机
KR102019290B1 (ko) 절단장치
JP5886680B2 (ja) 研削方法及び研削装置
CN109049369A (zh) 多线切割设备及其换槽机构
CN107738145A (zh) 一种方便清洁的金属板表面打磨设备
CN209682649U (zh) 多线切割设备及其换槽机构
CN109093448B (zh) 一种铝板裁切机
KR20140120021A (ko) 전동기 고정자 철심 자동 적층 장치
TW201605575A (zh) 研磨台更換裝置、研磨台更換方法、及半導體元件製造裝置之構成零件更換裝置
CN208214440U (zh) 便于收料的数控剪板机
KR102036538B1 (ko) 봉재 절단 장치
CN207058849U (zh) 一种坐便器的管道施釉机
US20030192417A1 (en) Process and device for cutting through films in laminated glass
US9636607B2 (en) Separation apparatus for separation of material from a liquid
KR102248713B1 (ko) 유리재단용 작업대
CN209480929U (zh) 一种盘管放料机
CN208410031U (zh) 一种新型保鲜膜废边处理机构
KR102035298B1 (ko) 치과용 공구 팁 보호장치
CN207419125U (zh) 一种切布装置
CN106346960A (zh) 一种自动调整形状的柔性垫板制作装置
CN219585650U (zh) 一种光伏加工铺纸机的换纸装置
CN219667082U (zh) 一种具有搬运功能的切割设备
CN213201806U (zh) 一种可调式自动纵横分切机
CN211470269U (zh) 一种用于透气膜分切机的卸料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