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274B1 -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 - Google Patents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274B1
KR102179274B1 KR1020190051169A KR20190051169A KR102179274B1 KR 102179274 B1 KR102179274 B1 KR 102179274B1 KR 1020190051169 A KR1020190051169 A KR 1020190051169A KR 20190051169 A KR20190051169 A KR 20190051169A KR 102179274 B1 KR102179274 B1 KR 102179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tting
unit
tracking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304A (ko
Inventor
제호성
Original Assignee
패스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패스코(주) filed Critical 패스코(주)
Priority to KR1020190051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274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1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for cutting tubes
    • B23D45/126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for cutting tubes with the tool turning around the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1/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 B23D21/04Tube-severing machines with rotating tool-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 B23D47/045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feeding work into engagement with the saw blade
    • B23D47/047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feeding work into engagement with the saw blade the work being mounted on rotating work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And Tools For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절단하고자 하는 파이프를 결속 고정하는 고정 척;과, 상기 고정 척으로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고정 척과 함께 파이프를 회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고정 척에 고정되는 파이프에 접촉되어 파이프를 3 등분하는 2개 회전커터와, 그 회전커터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로 이루어진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 척에 결속 고정된 파이프의 위치를 추적하고, 그 추적정보를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위치 추적부;와, 상기 고정 척에 결속 고정된 파이프 외주면에 절단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위치 추적부의 추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표시부를 통해 파이프 외주면에 표시된 마크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절단부의 전후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표시부와 설정부 및 설정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위치 추적부를 통해 고정 척에 고정되는 파이프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부의 위치를 설정부를 통해 설정하여 파이프 외주면에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마크를 표시하고, 그 표시된 마크를 추적하는 설정수단을 통해 절단부의 위치를 적합하게 배치시켜 절단부를 통해 파이프가 정확하게 3등분 되도록 함으로, 종래의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에서 작업자에 의해 절단되는 파이프에 대비하여 제품의 품질은 대폭 향상시키되 제품의 불량 발생률은 대폭 절감하여 제품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부의 위치를 설정하여 파이프를 절단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신속하고 대량으로 절단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Large diameter pipe automatic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 추적부를 통해 고정 척에 고정되는 파이프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부의 위치를 설정부를 통해 설정하여 파이프 외주면에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마크를 표시하고, 그 표시된 마크를 추적하는 설정수단을 통해 절단부의 위치를 적합하게 배치시켜 절단부를 통해 파이프가 정확하게 3등분 되도록 함으로, 종래의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에서 작업자에 의해 절단되는 파이프에 대비하여 제품의 품질은 대폭 향상시키되 제품의 불량 발생률은 대폭 절감하여 제품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부의 위치를 설정하여 파이프를 절단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신속하고 대량으로 절단 생산할 수 있는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큰 대구경 파이프(링 단조품)는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데, 2개의 회전커터가 형성된 절단부를 갖는 종래의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는 절단부를 통해 파이프를 3 등분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는 절단부를 통해 파이프가 3등분 될 수 있도록 숙련된 작업자가 파이프의 위치를 설정한 후에 파이프를 절단함으로 인해 파이프가 정확하게 3등분으로 절단되지 못해 제품의 불량 발생률이 다소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이프의 위치를 작업자가 설정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제품의 생산속도가 다소 낮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로도가 쉽게 증대되어 작업의 능률이 쉽게 저하됨으로 인해 더욱 제품의 생산속도가 저하되는 동시에 제품의 불량 발생률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위치 추적부를 통해 고정 척에 고정되는 파이프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부의 위치를 설정부를 통해 설정하여 파이프 외주면에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마크를 표시하고, 그 표시된 마크를 추적하는 설정수단을 통해 절단부의 위치를 적합하게 배치시켜 절단부를 통해 파이프가 정확하게 3등분 되도록 함으로, 종래의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에서 작업자에 의해 절단되는 파이프에 대비하여 제품의 품질은 대폭 향상시키되 제품의 불량 발생률은 대폭 절감하여 제품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부의 위치를 설정하여 파이프를 절단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신속하고 대량으로 절단 생산할 수 있는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는 절단하고자 하는 파이프를 결속 고정하는 고정 척;과, 상기 고정 척으로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고정 척과 함께 파이프를 회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고정 척에 고정되는 파이프에 접촉되어 파이프를 3 등분하는 2개 회전커터와, 그 회전커터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로 이루어지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 척에 결속 고정된 파이프의 위치를 추적하고, 그 추적정보를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위치 추적부;와, 상기 고정 척에 결속 고정된 파이프 외주면에 절단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위치 추적부의 추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표시부를 통해 파이프 외주면에 표시된 마크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절단부의 전후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표시부와 설정부 및 설정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되, 하부가 개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회동 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와, 상기 롤러에 경유하여 무한궤도와 같이 연속적으로 순환 회전되는 것으로, 하부는 상기 케이스 하부에 노출 위치되어 파이프 외주면에 접촉되는 표시 와이어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색상을 갖는 도료가 수용되며,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표시 와이어의 표면에 도료가 묻어나게 하는 도료박스와,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와 함께 상기 케이스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과 함께 상기 케이스의 전후 이송을 안내하는 설정가이드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설정봉과, 상기 제1설정봉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와, 상기 제1설정봉을 타고 전진 또는 후진하되, 상기 고정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과 함께 상기 케이스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설정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표시부를 통해 파이프 외주면에 표시된 마크를 추적하고, 그 추적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마크 추적부와, 상기 절단부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절단부와 함께 이송되는 LM블럭과, 상기 LM블럭의 하부에 위치되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LM블럭과 함께 상기 절단부의 전후 이송을 안내하는 LM가이드와, 상기 절단부의 하부 중심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설정봉과, 상기 제2설정봉으로 회전력을 공급하는 제3모터와, 상기 제2설정봉을 타고 전진 또는 후진하되, 상기 절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절단부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2설정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에 의하면, 위치 추적부를 통해 고정 척에 고정되는 파이프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부의 위치를 설정부를 통해 설정하여 파이프 외주면에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마크를 표시하고, 그 표시된 마크를 추적하는 설정수단을 통해 절단부의 위치를 적합하게 배치시켜 절단부를 통해 파이프가 정확하게 3등분 되도록 함으로, 종래의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에서 작업자에 의해 절단되는 파이프에 대비하여 제품의 품질은 대폭 향상시키되 제품의 불량 발생률은 대폭 절감하여 제품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부의 위치를 설정하여 파이프를 절단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신속하고 대량으로 절단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의 정면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의 측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의 평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100)는 절단하고자 하는 파이프(P)를 결속 고정하는 고정 척(1);과, 상기 고정 척(1)으로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고정 척(1)과 함께 파이프(P)를 회동시키는 제1구동부(2);와, 상기 고정 척(1)에 고정되는 파이프(P)에 접촉되어 파이프(P)를 3 등분하는 2개 회전커터(3a)와, 그 회전커터(3a)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3b)로 이루어지는 절단부(3);를 포함하는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에 있어서,
위치 추적부(10)와, 표시부(20)와, 설정부(30)와, 설정수단(40)과, 컨트롤러(5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추적부(10)는 상기 고정 척(1)에 결속 고정된 파이프(P)의 위치를 추적하고, 그 추적정보를 후설될 상기 컨트롤러(50)로 전송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고정 척(1)은 장치로 위치되는 파이프(P)의 내부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파이프(P)의 내주면을 밀착 가압하는 방식으로 파이프(P)의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 척(1)을 통한 파이프(P)의 정밀한 위치 설정이 곤란하고, 이러한 이유로 인해 상기 절단부(3)를 통한 파이프(P)의 정확한 3등분이 다소 곤란하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추적부(10)는 상기 고정 척(1)에 고정된 파이프(P)의 위치를 추적(측정)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100)에서는 파이프(P) 일 끝단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상기 컨트롤러(5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위치 추적부(10)의 측정정보는 후설될 상기 설정부(30)를 통한 후설될 상기 표시부(20)의 위치 설정을 위한 정보로 사용되며, 이러한 상기 위치 추적부(10)는 근접센서, 영상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20)는 상기 고정 척(1)에 결속 고정된 파이프(P) 외주면에 절단하고자 하는 파이프(P)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4)를 표시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을 가지되, 하부가 개방되는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 내부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케이스(21)에 대하여 상대회동 되는 롤러(22)와, 상기 롤러(22)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23)와, 상기 롤러(23)에 경유하여 무한궤도와 같이 연속적으로 순환 회전되는 것으로, 하부는 상기 케이스(21) 하부에 노출 위치되어 파이프(P) 외주면에 접촉되는 표시 와이어(24)와, 상기 케이스(21) 내부에 위치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색상을 갖는 도료가 수용되며,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표시 와이어(24)의 표면에 도료가 묻어나게 하는 도료박스(25)와, 상기 케이스(21)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21)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1실린더(26)와, 상기 제1실린더(26)와 함께 상기 케이스(21)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파이프(P) 외주면에 마크(4)의 표시가 요구되면, 상기 표시부(20)의 제1모터(23)를 통해 상기 롤러(22)를 회전시켜 상기 롤러(22)를 경유하는 상기 표시 와이어(24)가 상기 도료박스(25)를 통과하게 하는데, 이때 상기 제1모터(23)는 상기 도료박스(25)를 통과하여 도료가 묻어난 상기 표시 와이어(24) 부분이 상기 케이스(2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회전시킨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린더(26)가 상기 케이스(21)를 하강시키면 상기 케이스(21) 하부에 노출되는 상기 표시 와이어(24)가 파이프(P)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파이프(P)의 외주면에 상기 표시 와이어(24)에 묻은 도료가 전사되어 호 형상의 마크(4)가 표시되게 한다.
그런 후, 상기 제1실린더(26)는 상기 케이스(21)를 승강 복귀시켜 다음 파이프(P)의 외주면에 마크(4)를 표시하기 위해 준비함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부(30)는 상기 컨트롤러(5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위치 추적부(10)의 추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부(20)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프레임(27)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27)과 함께 상기 케이스(21)의 전후 이송을 안내하는 설정가이드(31)와, 상기 고정프레임(27)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32a)이 형성되는 제1설정봉(32)과, 상기 제1설정봉(32)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33)와, 상기 제1설정봉(32)을 타고 전진 또는 후진하되, 상기 고정프레임(27)과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27)과 함께 상기 케이스(2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설정블럭(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파이프(P) 외주면에 표시되는 마크(4)는 상기 절단부(3)의 회전커터(3a)로 파이프(P)가 절단될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파이프(P)의 외주면에 표시되는 마크(4)가 정확한 위치에 표시되어야 하는데, 상기 고정 척(1)에 의해 고정되는 파이프(P)가 다양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는 특성상, 파이프(P)의 위치를 보상하여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파이프(P) 외주면에 마크가 정확한 위치로 표시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척(1)에 파이프(P)가 고정되면 상기 위치 추적부(10)에서 고정된 파이프(P)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추적)하고, 그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부(2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 이송이 요구되면 상기 설정부(30)의 제2모터(33)를 통해 상기 제1설정봉(32)을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설정봉(32)을 타고 이송되는 상기 제1설정블럭(34)과 함께 상기 고정프레임(27) 및 표시부(2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표시부(20)를 적합한 위치로 설정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파이프(P) 외주면에 형성되는 마크(4)는 상기 절단부(3)의 회전커터(3a)로 절단될 정확한 위치에 표시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수단(40)은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파이프(P) 외주면에 표시된 마크(4)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절단부(3)의 전후 위치를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파이프(P) 외주면에 표시된 마크(4)를 추적하고, 그 추적정보를 상기 컨트롤러(50)로 전송하는 마크 추적부(41)와, 상기 절단부(3)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절단부(3)와 함께 이송되는 LM블럭(42)과, 상기 LM블럭(42)의 하부에 위치되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LM블럭(42)과 함께 상기 절단부(3)의 전후 이송을 안내하는 LM가이드(43)와, 상기 절단부(3)의 하부 중심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44a)이 형성되는 제2설정봉(44)과, 상기 제2설정봉(44)으로 회전력을 공급하는 제3모터(45)와, 상기 제2설정봉(44)을 타고 전진 또는 후진하되, 상기 절단부(3)와 결합되어 상기 절단부(3)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2설정블럭(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파이프(P) 외주면에 절단될 위치에 마크(4)가 표시되고, 그 표시된 마크(4)를 기반으로 상기 설정수단(40)을 통한 상기 절단부(3)의 적합한 위치가 설정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먼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크 추적부(41)는 파이프(P) 외주면에 표시된 마크(4)의 위치를 추적하고, 그 추적정보를 상기 컨트롤러(50)로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러(50)는 추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절단부(3)가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도록 상기 제3모터(45)를 통해 상기 제2설정봉(44)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2설정봉(44)을 타고 이송되는 상기 제2설정블럭(46)과 함께 상기 절단부(3)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절단부(3)의 위치가 적합하게 설정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설정수단(40)을 통해 상기 절단부(3)의 회전커터(3a) 위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절단부(3)를 통해 파이프(P)를 정확하게 3등분으로 절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표시부(20)와 설정부(30) 및 설정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100)는 위치 추적부(10)를 통해 고정 척(1)에 고정되는 파이프(P)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부(20)의 위치를 상기 설정부(30)를 통해 설정하여 파이프(P) 외주면에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마크(4)를 표시하고, 그 표시된 마크(4)를 추적하는 상기 설정수단(40)을 통해 절단부(3)의 위치를 적합하게 배치시켜 절단부(3)를 통해 파이프(P)가 정확하게 3등분 되도록 함으로, 종래의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에서 작업자에 의해 절단되는 파이프에 대비하여 제품의 품질은 대폭 향상시키되 제품의 불량 발생률은 대폭 절감하여 제품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부(3)의 위치를 설정하여 파이프(P)를 절단하는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신속하고 대량으로 절단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100)는 다음과 같이 파이프(P)를 3등분 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추적부(10)를 통해 고정 척(1)에 고정된 파이프(P)의 위치를 검출하고, 컨트롤러(50)는 검출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부(20)의 적합한 위치를 설정부(30)를 통해 간편히 설정한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50)는 위치 설정된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파이프(P) 외주면으로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4)를 표시한다.
그런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수단(40)은 파이프(P)에 표시된 마크(4)를 추적하여 파이프(P)를 절단하는 절단부(3)의 위치를 적합하게 설정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적합한 위치로 설정된 절단부(3)를 통해 절단되는 파이프(P)는 정확하게 3등분으로 절단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고정 척 2. 제2구동부
3. 절단부 3a. 회전커터
3b. 제2구동부 4. 마크
P. 파이프
10. 위치 추적부 20. 표시부
21. 케이스 22. 롤러
23. 제1모터 24. 표시 와이어
25. 도료박스 26. 제1실린더
27. 고정프레임 30. 설정부
31. 설정가이드 32. 제1설정봉
33. 제2모터 34. 제1설정블럭
40. 설정수단 41. 마크 추적부
42. LM블럭 43. LM가이드
44. 제2설정봉 45. 제3모터
46. 제2설정블럭 50. 컨트롤러
100.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

Claims (4)

  1. 절단하고자 하는 파이프(P)를 결속 고정하는 고정 척(1);과, 상기 고정 척(1)으로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고정 척(1)과 함께 파이프(P)를 회동시키는 제1구동부(2);와, 상기 고정 척(1)에 고정되는 파이프(P)에 접촉되어 파이프(P)를 3 등분하는 2개 회전커터(3a)와, 그 회전커터(3a)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3b)로 이루어지는 절단부(3);를 포함하는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 척(1)에 결속 고정된 파이프(P)의 위치를 추적하고, 그 추적정보를 컨트롤러(50)로 전송하는 위치 추적부(10);
    상기 고정 척(1)에 결속 고정된 파이프(P) 외주면에 절단하고자 하는 파이프(P)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4)를 표시하는 표시부(20);
    상기 컨트롤러(5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위치 추적부(10)의 추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부(20)의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부(30);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파이프(P) 외주면에 표시된 마크(4)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절단부(3)의 전후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수단(40); 및
    상기 표시부(20)와 설정부(30) 및 설정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2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되, 하부가 개방되는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 내부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케이스(21)에 대하여 상대회동 되는 롤러(22)와,
    상기 롤러(22)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23)와,
    상기 롤러(23)에 경유하여 무한궤도와 같이 연속적으로 순환 회전되는 것으로, 하부는 상기 케이스(21) 하부에 노출 위치되어 파이프(P) 외주면에 접촉되는 표시 와이어(24)와,
    상기 케이스(21) 내부에 위치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색상을 갖는 도료가 수용되며,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표시 와이어(24)의 표면에 도료가 묻어나게 하는 도료박스(25)와,
    상기 케이스(21)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21)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1실린더(26)와,
    상기 제1실린더(26)와 함께 상기 케이스(21)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2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30)는,
    상기 고정프레임(27)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27)과 함께 상기 케이스(21)의 전후 이송을 안내하는 설정가이드(31)와,
    상기 고정프레임(27)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32a)이 형성되는 제1설정봉(32)과,
    상기 제1설정봉(32)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33)와,
    상기 제1설정봉(32)을 타고 전진 또는 후진하되, 상기 고정프레임(27)과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27)과 함께 상기 케이스(2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설정블럭(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40)은,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파이프(P) 외주면에 표시된 마크(4)를 추적하고, 그 추적정보를 상기 컨트롤러(50)로 전송하는 마크 추적부(41)와,
    상기 절단부(3)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절단부(3)와 함께 이송되는 LM블럭(42)과,
    상기 LM블럭(42)의 하부에 위치되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LM블럭(42)과 함께 상기 절단부(3)의 전후 이송을 안내하는 LM가이드(43)와,
    상기 절단부(3)의 하부 중심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44a)이 형성되는 제2설정봉(44)과,
    상기 제2설정봉(44)으로 회전력을 공급하는 제3모터(45)와,
    상기 제2설정봉(44)을 타고 전진 또는 후진하되, 상기 절단부(3)와 결합되어 상기 절단부(3)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2설정블럭(4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
KR1020190051169A 2019-05-01 2019-05-01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 KR102179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169A KR102179274B1 (ko) 2019-05-01 2019-05-01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169A KR102179274B1 (ko) 2019-05-01 2019-05-01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04A KR20200127304A (ko) 2020-11-11
KR102179274B1 true KR102179274B1 (ko) 2020-11-16

Family

ID=7345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169A KR102179274B1 (ko) 2019-05-01 2019-05-01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2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6463A (ja) 2000-03-03 2001-09-11 Kawasaki Heavy Ind Ltd 管体加工装置
KR100813570B1 (ko) 2006-12-01 2008-03-18 주식회사 디엠씨테크 파이프 절단 장치
KR100864851B1 (ko) 2007-11-14 2008-10-23 주식회사 아이씨엠씨 3차원 벤딩된 파이프용 절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90872A (fi) * 1999-04-19 2000-10-20 T Drill Oy Putken tai tangon lastuamaton katkaisulai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6463A (ja) 2000-03-03 2001-09-11 Kawasaki Heavy Ind Ltd 管体加工装置
KR100813570B1 (ko) 2006-12-01 2008-03-18 주식회사 디엠씨테크 파이프 절단 장치
KR100864851B1 (ko) 2007-11-14 2008-10-23 주식회사 아이씨엠씨 3차원 벤딩된 파이프용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04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3247B2 (en) Floor milling machine
CA2912600C (en) Laser controlled internal welding machine for a pipeline
KR101244179B1 (ko) 다축 구동 토치를 구비한 파이프 자동용접장치
US10583520B2 (en) Device and method for homogeneously welding two-dimensionally bent structures by friction stir welding
KR101067998B1 (ko) 파이프 원주 용접을 위한 플라즈마 자동용접장치
KR101309641B1 (ko) 강관 용접 장치 및 용접 방법
JP5728931B2 (ja) ワーク搬送装置
KR102179274B1 (ko)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
EP3006153B1 (e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a welded assembly
CN115055759A (zh) 全自动钢管倒棱机
KR20170100860A (ko) 곡선 및 직선 주행이 가능한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캐리지
KR20050070348A (ko) 레이저 비전센서를 이용한 자동 용접 시스템
KR101470736B1 (ko) 용접영역의 빗면 각도를 이용한 강관 자동용접장치
KR100951041B1 (ko) 선체 블록 내부재 자동 용접 장치를 이용한 자동 용접 방법
KR20090012282U (ko) 용접선 검출용 센서의 위치조절장치
CN217991236U (zh) 一种检测焊缝缺口尺寸自动调节填丝速度焊接装置
KR20020088889A (ko) 자동용접장치와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KR100289220B1 (ko) 이형관의 자동 용접 방법 및 장치
CN117583698B (zh) 一种自动堆焊装置及堆焊控制方法
DE10108812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messen von Profilrohren
KR20020090636A (ko) 레이저 비전 센서를 이용한 굴곡관의 용접 방법 및 장치
CN105728524A (zh) 多功能管端成型刀盘、管端加工装置及一种管端加工设备
CN117146983A (zh) 堆焊复合管外壁测温装置及方法
JPS59169669A (ja) 溶接装置
JPH0569218A (ja) 電縫管溶接ビード切削自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