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881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881B1
KR100812881B1 KR1020070047214A KR20070047214A KR100812881B1 KR 100812881 B1 KR100812881 B1 KR 100812881B1 KR 1020070047214 A KR1020070047214 A KR 1020070047214A KR 20070047214 A KR20070047214 A KR 20070047214A KR 100812881 B1 KR100812881 B1 KR 100812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washing machine
washer
cylind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1362A (ko
Inventor
도시나리 마츠모토
히로시 고소
아인 강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1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7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spin-dry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9/00Domestic spin-dryers or similar spin-dryers not suitable for industrial use
    • D06F49/06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bowl or casings;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외조(33)를 지지하는 탄성체(32)는 실린더와, 실린더내에 배치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을 갖는 로드와,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실린더내의 복수개의 공간을 연통하는 유로와, 로드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베어링은 실린더의 양 단부에서 로드를 활주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저진동과 저소음화가 실현되는 세탁기(80)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탄성체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탄성체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탄성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탄성체의 다른 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탄성체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탄성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탄성체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탄성체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탄성체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탄성체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탄성체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탄성체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탄성체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탄성체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탄성체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탄성체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탄성체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탄성체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하는 탄성체의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탈수 행정에서의 외조의 진동 진폭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탄성체의 단면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탄성체의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정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탄성체의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탄성체의 다른 예의 단면도,
도 29는 도 28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탄성체의 다른 예의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정면도,
도 31은 도 30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다른 예의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35는 종래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36은 종래의 세탁기의 댐퍼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 32a 내지 32q : 탄성체 33 : 외조
34 : 세탁겸용 탈수조 36 : 급수조
41 : 실린더 41a, 41b : 베어링
42 : 피스톤 43 : 로드
47, 48 : 공간 49 : 유로
50 : 개폐부 51, 52 : 개구부
56 : 작동 유체 61a, 61b: 관로
80 : 세탁기
본 발명은, 세탁기 본체내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외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세탁겸용 탈수조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세탁, 헹구기 및 탈수를 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세탁기는, 실린더와 피스톤에 의해 구성되는 에어 댐퍼 또는 오일 댐퍼를 갖는다. 실린더내의, 공기의 흐름 또는 오일의 흐름이 제어되어서, 피스톤이 움직이기 어렵게 제어되는 것에 의해,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3-84390 호 공보(특허문헌 1), 또는 일본 특허 공개 제 2006-38064 호 공보(특허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35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세탁기(2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기(20)는 세탁기 본체(1)와 수조(3)와, 드럼(4)과, 구동부(5)와, 댐퍼(6)를 갖는다. 수조(3)는 세탁기 본체(1)내에 스프링(2)에 의해 매달려서 지지되어 있다. 드럼(4)은 수조(3)내에 마련되고, 구동부(5)에 의해 구동되어서 회전한다. 댐퍼(6)는 수조(3)의 하부와 세탁기 본 체(1)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댐퍼(6)는 실린더(7)와, 실린더(7)내를 활주이동하는 피스톤(8)을 갖는다. 또한, 실린더(7)의 내측은 피스톤(8)에 의해 분할되고, 분할된 공간을 연통시키게 하는 바이패스(9)를 갖는다. 바이패스(9)에는 밸브(10)가 마련되고, 밸브(10)는 바이패스(9)내의 공기의 유통을 임의인 타이밍에서 연통, 차단한다.
세탁과 헹구기가 종료하고, 탈수가 행하여질 때, 드럼(4)의 하부에 의류가 기울어져 존재하는 상태에서 드럼(4)이 회전된다. 이 때문에, 의류에 의한 편심 하중 때문에, 수조(3)가 기동시에 크게 진동한다. 이 때, 바이패스(9)의 밸브(10)는 폐쇄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8)이 실린더(7)내로 상하이동되는 것에 따라, 공기압이 발생한다. 실린더(7)내에 발생한 공기압에 의해, 댐퍼력을 얻을 수 있고, 수조(3)에 생기는 기동시의 큰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드럼(4)이 고속 회전 모드에 들어가면, 수조(3)의 진동은 의류가 탈수되어, 서서히 작아진다. 이 때문에, 바이패스(9)의 밸브(10)가 개방되어, 실린더(7)내의 공기압이 감압된다. 이상과 같이, 수조(3)에 생기는 진동이 설치 바닥에 직접 전해지는 일이 없고, 바닥이 크게 진동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소음 또는 가옥의 진동이 방지된다.
도 36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종래의 세탁기에 사용할 수 있는 세탁기용 댐퍼(21)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11)내에 피스톤(12)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오일(16)과 가스(15)가 실린더(11)내에 봉입되어 있다. 피스톤(12)에는 오리피스 통로(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12)에는 피스톤 로드(14)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연결되어 있다. 실린 더(11)와 피스톤 로드(14)는, 실린더(11)가 수조측(화살표(22) 방향)으로, 피스톤 로드(14)가 세탁기 본체측(화살표(23) 방향)으로 되도록 각각이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12)이 상하로 구동되는 것에 따라, 오리피스 통로(13)를 통과하는 오일(16)의 저항이 생기고, 세탁기용 댐퍼(21)가 큰 감쇠력을 발생한다. 여기에서, 세탁 행정시와 헹구기 행정시의 저주파 진동에 대하여, 세탁기용 댐퍼(21)의 큰 감쇠력이 이용되어서, 수조의 흔들림이 억제된다. 또한, 오일(16)내에, 에어레이션(aeration)이 적극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면, 세탁기용 댐퍼(21)의 감쇠력이 저하한다. 여기에서, 탈수 행정시의 고주파 진동에 대하여, 오일(16)내에 적극적으로 에어레이션을 발생시키고, 감쇠력이 저하된다. 또한, 수조의 회전이 고속에서 안정해서 회전하는 소진폭시에는,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수조의 진동이 흡수된다. 이것에 따라, 진동의 발생과 소음의 발생이 저감된다.
본 발명은, 의류의 기울기가 있을 경우에 진동과 소음이 생기는 종래의 세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 의류에 기울기가 있더라도 저진동과 저소음을 실현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기 외부 프레임의 바닥부에 마련된 탄성체에 지지된 외조와, 외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세탁겸용 탈수조와, 세탁겸용 탈수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갖고, 탄성체는 실린더와, 실린더내에 배치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을 갖는 로드와,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실린더내의 복수개의 공간 을 연통하는 유로와, 로드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베어링은 실린더의 양 단부에서 로드를 활주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저진동과 저소음이 실현되는 세탁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대해서,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탄성체(3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탄성체(32)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기(80)는 세탁기 외부 프레임(30)과, 외조(33)와, 세탁겸용 탈수조(34)와, 모터(35)와, 급수부(36)와, 수위 검지부(37)와, 배수부(38)를 구비한다.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은 4개의 인장스프링(31)과 2개의 탄성체(32)에 의해 외조(33)를 탄성지지하고 있다. 세탁겸용 탈수조(34)는 외조(33)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구동부인 모터(35)는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로 이루어지고, 인버터 제어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터(35)는 회전 속도가 자유롭게 변화되어서 제어되어, 세탁겸용 탈수조(34)를 직접 구동한다. 급수부(36)는 세탁겸용 탈수조(34)내에 급수한다. 수위 검지부(37)는 외 조(33)내의 세탁 수위를 검지한다. 배수부(38)는 외조(33)내의 세탁수(도시하지 않음)를 배수한다.
제어 장치(39)는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의 전면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조작 표시부(40)는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의 전면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어 장치(39)는 조작 표시부(40)로부터 입력된 설정 내용에 의거하여, 세탁, 헹굼, 탈수의 각 행정을 차차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39)는 파워 스위치부(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모터(35), 급수부(36), 배수부(38) 등을 차차 제어한다.
탄성체(32)는 실린더(41)와, 실린더(41)의 양단에 마련된 베어링(41a, 41b)과, 피스톤(42)과, 로드(43)로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41a)은 실린더(41)의 일단에 실린더(41)와 일체로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베어링(41b)은 실린더(41)의 개구부(41e)를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41b)은 실린더(41)의 개구부(41e)에 마련된 플랜지(41c)에 대하여, 나사(41d)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41a)은 고무제의 방진체(44)를 통해 실린더 장착대(45)에 장착된 후, 너트(45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로드(43)는 베어링(41a, 41b)에 삽입되어 있다. 실린더(41)의 내부는 피스톤(42)에 의해 구획되고, 공간(47)과 공간(48)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41)가 구획되어서 형성된 공간(47)은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의 바닥부(30a) 측에 마련되고, 공간(48)은 외조(33)의 바닥부(33a) 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베어링(41a)과 베어링(41b)에 의해, 베어링 쌍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41)내에는 공기 등의 작동 유체(56)가 충전되어 있다.
로드(43)의 중간 부근은 피스톤(42)이 고정 지그(43a)와 고정 지그(43b)에 의해 로드(43)에 고정되어 있다. 로드(43)의 일단에 로드 장착부(43c)가 마련되어 있다. 로드 장착부(43c)는 방진체(44)를 거쳐서, 로드 장착대(46)에 장착된 후, 너트(46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 장착대(45)는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의 바닥부(30a)에 고정되어 있다. 로드 장착대(46)는 외조(33)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서, 외조(33)의 바닥부(33a)에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42)의 외주에는 피스톤 링(42a)이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 링(42a)은 예를 들면 불소 수지 등의 저마찰계수로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링(42a)이 마련되는 것에 의해, 피스톤(42)은 기밀성을 확보하면서 실린더(41)내를 부드럽게 활주이동한다. 실린더(41)의 외주에는 공간(47)과 공간(48)을 연통하는 유로(49)가 마련되어 있다. 실린더(41)와 베어링(41a, 41b)은 금속제이다. 그러나, 실린더(41)와 베어링(41a, 41b)은 강도와 내구성이 확보되면, 생산성과 비용 성능이 뛰어난 수지제이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세탁기(80)에 대해서, 이하에 동작과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세탁겸용 탈수조(34)내에, 의류 등의 세탁물(81)과 세제(도시하지 않음)가 투입된다. 그 후, 조작 표시부(40)가 조작되어서, 세탁기(80)는 운전을 시작한다. 이에 의해, 급수부(36)가 동작하고, 세탁겸용 탈수조(34)내에 세탁수가 공급된다. 이와 함께, 세탁겸용 탈수조(34)도 회전을 시작한다. 규정량의 세탁수가 세탁겸용 탈수조(34)에 공급되면, 급수부(36)는 급수를 정지한다. 세탁겸용 탈수조(34)의 회전에 의해, 세제는 세탁수에 용해되어서, 세탁액이 된다. 세탁액이 세탁물(81)에 침투한다. 세탁겸용 탈수조(34)는 30r/min 정도의 저속에서 회전하 고, 두둘김 세탁을 규정 시간 실행한다. 또한, 두둘김 세탁은 세탁물(81)을 들어 올려서 떨어뜨린다고 하는 행정을 되풀이하면서, 세탁물(81)을 세탁하는 것이다.
세탁이 종료한 후, 배수부(38)가 작동하고, 오염을 녹여 넣은 세탁수가 외조(33)의 외부로 배수된다. 배수가 종료한 후, 세탁겸용 탈수조(34)의 회전은 서서히 빠르게 되고, 탈수 행정에 들어간다. 탈수 동작이 기동될 때, 세탁겸용 탈수조(34)의 회전수가 250 내지 300r/분의 사이는, 세탁물(81)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서 외조(33)가 전후 좌우로 흔들리면서 크게 상하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외조(33)의 상하이동에 의해 피스톤(42)이 상하로 이동한다. 피스톤(42)의 상하이동에 의해, 공간(47)내의 작동 유체(56), 또는 공간(48)내의 작동 유체(56)는 유로(49)를 통해서 피스톤(42)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반대측의 공간으로 흐른다. 즉, 피스톤(42)이 화살표(71) 방향으로 움직이면, 공간(47)내의 작동 유체(56)가 화살표(72)에 따라 공간(48)으로 흐른다. 반대로, 피스톤(42)이 화살표(71)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 공간(48)내의 작동 유체(56)가 화살표(72)에 따라 화살표(72)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공간(47)으로 흐른다. 유로(49)는 개구 면적이 조정되는 것에 따라, 적절한 유로 저항이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42)의 이동이 억제된다. 피스톤(42)의 이동이 억제되는 것이 감쇠력이 되어서 작용하고, 외조(33)의 상하이동이 작게 억제된다. 이렇게 하여, 탄성체(32)의 감쇠력이 작용한다.
또한, 세탁겸용 탈수조(34)의 회전수가 상승해서 정상 회전으로 되면, 외조(33)의 진동은 작아진다. 그러나, 세탁겸용 탈수조(34)의 진동은 탄성체(32)를 통해서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을 진동시킨다. 여기에서, 실린더(41)의 양단에 마련된 2개의 베어링(41a, 41b)에 의해 로드(43)가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드(43)가 기울지 않고, 베어링(41a, 41b) 내를 활주이동한다. 이 때문에, 베어링(41a, 41b)과 로드(43)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적고, 부드럽게 활주이동한다. 이 때문에, 외조(33)의 진동이 그대로 직접적으로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의 바닥부(30a)에 전해지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저진동과 저소음화의 특성을 갖는 세탁기(80)가 실현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1에 의한 세탁기(80)는 탄성체(32)를 갖고 있다. 탄성체(32)는 로드(43)가 실린더(41)의 양단에 마련된 베어링(41a, 41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조(33)의 다양한 움직임에 대하여도 로드(43)의 활주이동이 부드럽다. 이 때문에, 외조(33)의 진동이 직접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의 바닥부(30a)에 전해지지 않는다. 이 결과, 세탁기(80)는 저진동과 저소음이 실현된다. 또한, 탄성체(32)의 작동 유체(56)가 공기이기 때문에, 오일 댐퍼와 비교하여 탄성체(32)의 활주이동부의 밀착이 약하고, 활주이동 저항이 작다. 즉, 로드(43)와 베어링(41a, 41b)과의 사이의 밀착력이 작고 마찰력도 작다. 이에 의해, 활주이동부에서 발생하는 마모의 양이 적고, 탄성체(32)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또한, 탄성체(32)는 오일 누설의 고려가 불필요해서, 밀봉 부품이 불필요하다. 이 때문에, 탄성체(32)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의 부품 점수가 적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예의 탄성체(32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예의 탄성체(32a)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하는 탄성체(32a)는 실린더(41)내에 마련된 유로(49)를 갖고, 그 밖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탄성체(3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탄성체(32a)의 기본적인 동작은 탄성체(32)와 동일하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41)와 피스톤(42)과의 활주이동부의 간극이 0.01 내지 0.02㎜로 설정되고, 유로(49)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41)의 양단에서 로드(43)가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43)가 실린더(41)에 대하여 평행으로 활주이동한다. 이에 의해, 실린더(41)와 피스톤(42)은 설정된 간극을 유지하면서 활주이동한다. 따라서, 실린더(41)와 피스톤(42)은 접촉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활주이동음이 발생하지 않고, 마모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탄성체(32a)는 내구성이 뛰어나다. 또한, 유로(49)가 실린더(41)내에 마련되고 있기 때문에, 실린더(41)의 외주에 유로(49)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탄성체(32a)의 소형화가 용이한 동시에, 실린더(41)의 측면의 외주에 불필요한 돌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실린더(41)와는 별도의 부재에서 유로(49)가 형성될 필요가 없으므로, 탄성체(32a)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의 부품 점수가 삭감되어, 제조 비용이 저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b)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b)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탄성체(32b)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탄성체(32b)는 유로(49)가 피스톤(42)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8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32b)의 그 밖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탄성체(32, 32a)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탄성체(32b)의 기본적인 동작은 탄성체(32, 32a)와 동일하다.
탄성체(32b)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에 따라, 유로(49)의 유로 저항의 설정이 간소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적절한 감쇠력을 얻기 위한 유로(49)의 유로 저항의 설정이 용이하다. 이 결과, 탄성체(32b)의 감쇠 특성이 안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c)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c)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탄성체(32c)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탄성체(32c)는 유로(49)가 피스톤(42)의 내주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8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32c)의 그 밖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탄성체(32, 32a, 32b)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탄성체(32c)의 기본적인 동작은 탄성체(32, 32a, 32b)와 동일하다.
탄성체(32c)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것 같은 구성을 갖는 것에 따라, 피스톤(42)과 로드(43)의 접속부, 즉 활주이동하지 않는 부분에 유로(49)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체(32c)가 동작함으로써, 유로(49)의 개구 면적이 변화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유로(49)의 유로 저항의 오차, 변화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유 로(49)의 유로 저항의 조정 등이 불필요해서, 유로(49)의 유로 저항의 설정이 더욱 확실해진다. 이 결과, 탄성체(32c)의 감쇠 특성이 더욱 안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d)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d)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탄성체(32d)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탄성체(32d)는 유로(49)가 실린더(41)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8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32d)의 그 밖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탄성체(32, 32a, 32b, 32c)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탄성체(32d)의 기본적인 동작은 탄성체(32, 32a, 32b, 32c)와 동일하다.
탄성체(32d)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것 같은 구성을 갖는 것에 따라, 피스톤(42)의 움직임에 의해, 공간(47) 또는 공간(48)에 발생한 기류가 실린더(41)와 피스톤(42)과의 활주이동부에 흘러 들어오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적절한 감쇠력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실린더(41)와 피스톤(42)은 접촉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활주이동음이 발생하지 않고, 마모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탄성체(32d)는 내구성이 뛰어나다. 그리고, 항상 활주이동 마찰이 없는 부드러운 피스톤(42)의 왕복 운동을 얻을 수 있다. 이 결과, 탄성체(32d)의 감쇠 특성이 안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 른 예의 탄성체(32e)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e)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탄성체(32e)는 유로(49)가 로드(43)와 실린더(41)의 사이의 피스톤(42)에 관통해서 마련된 복수의 구멍부(8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32e)의 그 밖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탄성체(32, 32a, 32b, 32c, 32d)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탄성체(32e)의 기본적인 동작은 탄성체(32, 32a, 32b, 32c, 32d)와 동일하다.
탄성체(32e)는 도 12에 도시하는 것 같은 구성을 갖는 것에 따라 형상이 결정된 유로(49)가 마련되고, 탄성체(32e)가 동작함으로써, 유로(49)의 개구 면적이 변화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유로(49)의 유로 저항이 안정된다. 이 결과, 탄성체(32e)의 감쇠력이 안정된다. 또한, 탄성체(32e)의 설계 용이성이 향상하고, 탄성체(32e)의 개발 기간이 단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f)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f)의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탄성체(32f)는 로드(43)와 실린더(41)의 사이의 피스톤(42)에 관통해서 마련된 복수의 구멍부(85)를 갖고 있다. 또한, 유로(49)가 구멍부(85)와, 구멍부(85)의 일부에 마련된 미세 구멍부(85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미세 구멍부(85a)는 1㎜ 내지 2㎜의 길이를 갖고, 소정의 개구 면적 0.06㎟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32f)의 그 밖의 구성은 도 12에 도시하는 탄성체(32e)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탄성체(32f)의 기본적인 동작은 탄성체(32e)와 동일하다.
탄성체(32f)는 도 13에 도시하는 것 같은 구성을 갖는 것에 따라 작은 개구 면적을 갖는 미세 구멍부(85a)의 길이가 짧고, 미세 가공이 요구되는 두께가 얇다. 이에 의해, 가공성이 향상하고, 탄성체(32f)의 감쇠 성능의 안정화와 저비용화가 동시에 실현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미세 구멍부(85a)는 길이가 1㎜ 내지 2㎜이며, 개구 면적이 0.06㎟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미세 구멍부(85a)의 길이와 개구 면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세 구멍부(85a)는 길이와 개구 면적의 크기는 탄성체(32f)에 요구되는 감쇠력과 감쇠력의 안정성에 의해 결정할 수 있으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g)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g)의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로드(43)는 공중형상을 갖는 파이프(43d)와, 지지체(43e)와, 마개(43f)를 갖는다. 공동부(43g)가, 파이프(43d)의 상단에 체결된 지지체(43e)와 파이프(43d)의 하단에 체결된 마개(43f)에 의해 로드(4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유로(49)는 공동부(43g)와 제 1 관통 구멍(43h)(이하, 관통 구멍(43h)이라고 한다)과 제 2 관통 구멍(43i)(이하, 관통 구멍(43i)이라고 한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43h)과 관통 구멍(43i)은 피스톤(42)을 사이에 두고, 파이프(43d)의 측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43h)은 공간(47) 으로 개구되고, 관통 구멍(43i)은 공간(48)으로 개구된다. 또한, 관통 구멍(43h)의 개구 면적은 0.06㎟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32g)의 그 밖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하는 탄성체(32, 32a, 32b, 32c, 32d, 32e, 32f)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탄성체(32g)의 기본적인 동작은 탄성체(32, 32a, 32b, 32c, 32d, 32e, 32f)와 동일하다.
탄성체(32g)는 도 14에 도시하는 것 같은 구성을 갖는 것에 따라 유로(49)가 금속 부품인 로드(43) 등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유로(49)의 개구 면적이 정밀도 좋고, 확실하게 설정된다. 이 결과, 더욱 안정한 탄성체(32g)의 감쇠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43h) 대신에, 관통 구멍(43i)의 개구 면적이 0.06㎟로 설정되어도 같은 작용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43h) 또는 관통 구멍(43i)의 개구 면적이 0.06㎟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관통 구멍(43h) 또는 관통 구멍(43i)의 개구 면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통 구멍(43h) 또는 관통 구멍(43i)의 개구 면적의 크기는 탄성체(32g)에 요구되는 감쇠력과, 감쇠력의 안정성에 의해 결정할 수 있으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h)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h)의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탄성체(32h)는 도 14에 도시하는 탄성체(32g)에 대하여, 또한 통형상의 개폐부(50)가 베어링(41a)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32h)의 그 밖의 구성은 도 14에 도시하는 탄성체(32g)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탄성체(32h)의 기본적인 동작은 탄성체(32g)와 동일하다.
탄성체(32h)는 로드(43)가 왕복운동하는 것에 따라 관통 구멍(43h)이 개폐부(50)내에 들어가면, 유로(49)를 폐쇄할 수 있고, 작동 유체(56)가 흐르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탄성체(32h)의 감쇠력이 매우 커진다. 또한, 관통 구멍(43h)이 개폐부(50)의 외부로 나가면, 유로(49)는 다시 개방되고, 작동 유체(56)가 흐르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탄성체(32h)의 감쇠력이 작아진다. 즉, 개폐부(50)는 로드(43)의 왕복 운동에 따라 유로(49)를 개폐한다.
세탁기(80)에 있어서, 세탁이 종료해서 탈수가 개시될 때, 외조(33)내의 세탁물(81)은 세탁수를 포함해서 중량이 무겁고, 로드(43)는 하강하고 있다. 로드(43)가 하강하고 있으므로, 관통 구멍(43h)이 개폐부(50)내에 들어가고, 탄성체(32h)의 감쇠력이 큰 상태가 유지된다. 큰 감쇠력에 의해, 탈수가 개시될 때의 공진 진동이 작게 억제된다. 또한, 탈수 회전수가 상승하면,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81)로부터 세탁수가 분리되어, 배수된다. 이에 의해, 외조(33)내의 세탁물(81)의 중량이 가벼워지고, 외조(33)는 가벼워진다. 이 때, 로드(43)가 화살표(73) 방향으로 상승하고, 관통 구멍(43h)이 개폐부(50)의 외부로 나간다. 따라서, 탈수가 정상 상태가 되는 때에는, 탄성체(32h)의 감쇠력이 작아지고, 외조(33)의 진동이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에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이 결과,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의 진동과 진동에 기인하는 소음이 작아진다. 또한, 피스톤(42)이 화살 표(73)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에 따라, 공간(48)내의 작동 유체(56)가 화살표(74)에 따라 공간(47)으로 흐른다.
이상과 같이, 탄성체(32h)에는 로드(43)의 왕복 운동에 의해 유로(49)가 개폐되는 개폐부(50)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탄성체(32h)의 감쇠력의 강약이 외조(33)의 진동 상태에 따라 가변된다. 이 결과, 효과적으로 진동과 소음을 낮게 억제할 수 있는 세탁기(80)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i)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i)의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개폐부(50)는 베어링(41a)의 공간(47)측에 마련되어 있다. 즉, 개폐부(50)는 로드(43)의 베어링(41a)에의 출몰에 의해 개폐하는 구성이다. 또한, 탄성체(32i)의 그 밖의 구성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탄성체(32h)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탄성체(32i)의 기본적인 동작은 탄성체(32h)와 동일하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탄성체(32i)는 개폐부(50)가 베어링(41a)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따라 탄성체(32i)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의 부품 점수가 삭감되어, 저비용의 탄성체(32i)와 세탁기(80)가 실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j)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j)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세탁기(80)의 탈수 행정에서의 외조(33)의 진동 진폭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로드(43)에는 크기가 각각 다른 제 1 개구부(51)(이하, 개구부(51)라고 한다)와, 제 2 개구부(52)(이하, 개구부(52)라고 한다)가 로드(43)의 운동 방향에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51)의 개구 면적은 3㎟로 설정되고, 개구부(52)의 개구 면적은 0.06㎟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41a)에 대하여, 가까운쪽에 개구부(51)가 마련되고, 먼 쪽에 개구부(52)가 마련되어 있다. 즉, 개구부(51)와 개구부(52)는 공간(47)으로 각각 개구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51)는 개구부(52)에 비교하여 개구 면적이 크고, 개폐부(50)측에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51)와 개구부(52)에 의해 제 1 관통 구멍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51)와 개구부(52)는 거리 10㎜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32j)의 그 밖의 구성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탄성체(32i)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탄성체(32j)의 기본적인 동작은 탄성체(32i)와 동일하다. 또한, 관통 구멍(43i)의 개구 면적은 개구부(51)의 개구 면적과 동등 이상이면 좋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수 행정에 있어서의 외조(33)의 진동은 기동후에 외조(33)의 회전 속도가 빠르게 되는 것에 따라서, 공진점을 맞이하여 크게 진동한다. 공진점을 통과하면, 외조(33)의 진동은 서서히 작아지고, 세탁겸용 탈수조(34)내의 세탁물(81)의 언밸런스(unbalance)가 크지 않은 한 10㎜ 이하의 진폭 이 된다. 탈수 동작이 기동될 때, 세탁물(81)에는 세탁수가 대량으로 포함되고, 외조(33)가 무겁다. 이에 의해, 로드(43)는 하강하고, 개폐부(50)내에 개구부(51)와 개구부(52)가 들어간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 1 관통 구멍인 개구부(51)와 개구부(52)가 폐쇄되어, 작동 유체(56)가 유로(49)를 흐르지 않는다. 이 때문에, 피스톤(42)의 이동 저항이 큰 상태이며, 탄성체(32j)의 감쇠력이 크다. 이 상태에서 공진점을 통과하므로, 외조(33)의 큰 진동은 탄성체(32j)의 큰 감쇠력에 의해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탈수 행정이 진행하면, 세탁물(81)에 포함되어 있었던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어, 배수된다. 이 때문에, 외조(33)는 서서히 가벼워진다. 외조(33)가 서서히 가벼워짐에 따라서, 로드(43)가 상승하고, 개구부(52)가 개폐부(50)로부터 나간다. 이에 의해, 개구부(52)가 공간(47)에 개구되고, 개구부(52)를 통해서 작동 유체(56)가 유로(49)를 흐른다. 여기에서, 개구부(52)의 개구 면적은 0.06㎟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체(32j)에는 중 정도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외조(33)의 진동이 공진점을 통과한 직후는 또한 외조(33)의 진동은 크다. 따라서, 급격하게 탄성체(32j)의 감쇠력이 없어지면, 다시 외조(33)가 더욱 크게 진동한다. 그러나, 탄성체(32j)의 감쇠력이 큰 상태를 유지하면, 외조(33)의 진동이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에 전달되어, 세탁기(80)가 이동하는 등의 현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탄성체(32j)가 중 정도의 감쇠력을 갖는 것에 따라, 적당하게 외조(33)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외조(33)의 진동도 더 커지지 않고, 세탁기(80)의 본체 이동도 발생하지 않고, 탈수 행정이 계속된다.
또한, 탈수 행정이 진행하고, 외조(33)의 회전이 정상 상태가 되면, 또한 외조(33)는 가벼워진다. 이에 의해, 로드(43)가 더욱 상승하고, 개폐부(50)로부터 개구부(51)가 나간다. 이 결과, 개구부(51, 52)의 양쪽이 공간(47)으로 개구되어, 개구부(51, 52)를 통해서, 작동 유체(56)가 유로(49)를 흐른다. 또한, 개구부(51)의 개구 면적은 3㎟로 설정되고 있기 때문에, 유로(49)의 유로 저항이 작아지고, 탄성체(32j)의 감쇠력이 더욱 작아진다. 따라서, 외조(33)의 진동은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에 전해지지 않고, 세탁기(80)의 본체의 진동이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진동에 기인하는 소음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유로(49)에는 로드(43)의 운동 방향에 각각 크기가 상이한 개구부(51, 52)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41a) 측, 바꿔 말하면 개폐부(50) 측의 개구부(51)의 개구 면적이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따라, 로드(43)의 하강에 따라서, 서서히 탄성체(32j)의 감쇠력이 커진다. 이 결과, 외조(33)의 진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진동과 소음이 저감된 세탁기(8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개구부(51)의 개구 면적이 3㎟로 설정되고, 개구부(52)의 개구 면적이 0.06㎟로 설정된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또한, 개구부(51)와 개구부(52)의 간격이 10㎜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개구부(51)의 개구 면적과 개구부(52)의 개구 면적과, 간격의 거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구부(51)의 개구 면적과 개구부(52)의 개구 면적과의 크기와, 간격의 거리는 탄성체(32j)에 요구되는 감쇠력과, 감쇠력의 안정성과, 탄성체(32j)의 압축의 이동 행정 거리 등에 의 해 결정할 수 있으면 좋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탄성체(32k)의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에 있어서, 탄성체(32k)는 실린더(41)와 피스톤(42)을 갖는다. 또한, 1쌍의 제 1 배출구(53)(이하, 배출구(53)라고 한다)와, 제 2 배출구(54)(이하, 배출구(54)라고 한다)가 피스톤(42)을 사이에 두고 실린더(41)의 측부에 마련되어 있다. 유로(49)를 구성하는 연통관(55)은 배출구(53)와 배출구(54)를 접속하는 관이며, 피스톤(42)의 움직임에 따라 실린더(41)내의 작동 유체(56)를 오고 가게 한다. 또한, 작동 유체(56)는 공기 등의 기체가 이용되고 있다. 감쇠력 가변부(60)는 연통관(55)에 마련되고, 밸브 본체(60a)와 구동 모터(60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60a)에는 각각 개구 직경이 상이한 밸브 소 구멍(60b)과 밸브 대 구멍(60d)이 마련되어 있다. 밸브 소 구멍(60b)의 개구 직경은 작동 유체(56)의 흐름 저항에 의해 최고인 감쇠력을 얻을 수 있는 2㎜로 설정되고, 밸브 대 구멍(60d)의 개구 직경은 감쇠력이 발생하지 않는 6㎜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구동 모터(60c)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밸브 소 구멍(60b)과 밸브 대 구멍(60d)의 교체가 행하여진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도 22는 밸브 소 구멍(60b)이 선택되어 있을 때의 탄성체(32k)를 도시하고, 도 23은 밸브 대 구멍(60d)이 선택되어 있을 때의 탄성체(32k)를 도시한다. 또한, 탄성체(32k)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80)의 탄성체(32)의 대신으로 채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2에 의한 탄성체(32k)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구성에 의해 밸브 소 구멍(60b)과 밸브 대 구멍(60d)을 바꿀 수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42)의 움직임이 용이하게 가변된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조에서 탄성체(32k)의 감쇠력이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다. 또한, 작동 유체(56)는 실린더(41)의 외부에 배출되는 일이 없으므로, 배기 또는 흡기 때의 음이 발생하지 않고, 작동음이 작다. 이 결과, 탄성체(32k)가 사용할 수 있는 세탁기(80)는 감쇠력이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어, 세탁물(81)의 양 등에 따라 저진동과 저소음을 실현하는 세탁기(8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체(32k)는 밸브 소 구멍(60b)과 밸브 대 구멍(60d)의 2개의 밸브 구멍을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밸브 구멍은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밸브 구멍의 수는 탄성체(32k)에 요구되는 감쇠력의 가변 범위와 감쇠력의 안정성 등에 의해 결정할 수 있으면 좋다. 또한, 밸브 소 구멍(60b)의 개구 직경과 밸브 대 구멍(60d)의 개구 직경은 동일하게 탄성체(32k)에 요구되는 감쇠력의 가변 범위와 감쇠력의 안정성 등에 의해 결정할 수 있으면 좋다.
(실시형태 3)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1,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세탁기(80)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하는 세탁기(80)의 정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하는 세탁기(80)는 탄성체(32m)가 외조(33)의 전방부 좌우의 2군데에 마련되고, 탄성체(32n)가 외조(33)의 후방부 좌우의 2군데에 마련되어 있다.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세탁기(80)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 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세탁물(81)이 외조(33)의 전방부로 기울어서 존재할 경우는, 주로 탄성체(32m)가 작용하고, 외조(33)의 하중을 지지하고, 외조(33)의 전방부의 진동을 흡수하고, 진동과 소음이 저감된다. 반대로, 세탁물(81)이 외조(33)의 후방부로 기울어서 존재할 경우는, 주로 탄성체(32n)가 작용하고, 외조(33)의 하중을 지지하고, 외조(33)의 뒤부분의 진동을 흡수하고, 진동과 소음이 저감된다. 세탁물(81)이 외조(33)의 중간부분에 기울어서 존재할 경우는, 탄성체(32m)와 탄성체(32n) 양쪽이 작용하고, 외조(33)의 하중을 지지하고, 외조(33)의 진동을 흡수하고, 확실하게 진동과 소음이 저감된다. 이와 같이, 세탁물(81)의 기울기 위치에 관계없이, 외조(33)의 진동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이 결과, 진동과 소음이 더욱 저감된 세탁기(80)가 실현된다. 또한, 탄성체(32m)와 탄성체(32n)에는 상술의 탄성체(32, 32a 내지 32k)가 사용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4)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1 내지 3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세탁기(80)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하는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탄성체(32p, 32q)의 단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하는 세탁기(80)는 탄성체(32p)가 외조(33)의 전방부 좌우의 2군데에 마련되고, 탄성체(32q)가 외조(33)의 후방부 좌우의 2군데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32p)와 탄성체(32q)는 관로(61a)와 관로(61b)를 갖는 상호 억제부(6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호 억제부(61)가 유로(49)를 구성한다. 또한, 관로(61a)는 탄성체(32p)의 제 1 배출구(53a)와 탄성체(32q)의 제 2 배출구(54b)를 접속한다. 또한, 관로(61b)는 탄성체(32p)의 제 2 배출구(54a)와 탄성체(32q)의 제 1 배출구(53b)를 접속한다.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세탁기(80)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 내지 3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외조(33)의 전방부가 하강하고, 외조(33)의 후방부가 상승하는 것 같은 진동 형태에서는, 피스톤(42)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한 작동 유체(56)의 흐름이 관로(61a, 61b)를 통해서 상대측의 실린더(41)내에 흘러 들어오고, 상대측의 피스톤(42)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것 같이 작용한다. 예를 들면, 세탁물(81)이 외조(33)의 전방부로 기울어서 존재할 경우는, 외조(33)의 전방부가 하강하고, 탄성체(32p)가 하강한다. 즉, 탄성체(32p)의 피스톤(42)이 화살표(71)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작동 유체(56)가 화살표(75a)에 따라 공간(47)으로부터 관로(61b)로 보내진다. 이와 동시에, 작동 유체(56)가 화살표(75b)에 따라 관로(61a)로부터 공간(48)에 보내진다. 한편, 세탁물(81)이 외조(33)의 전방부로 기울어서 존재하므 로, 외조(33)의 후방부가 상승하고, 탄성체(32q)가 상승한다. 즉, 탄성체(32q)의 피스톤(42)이 화살표(73)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작동 유체(56)가 화살표(76a)에 따라 공간(48)으로부터 관로(61b)에 보내진다. 이와 동시에, 작동 유체(56)가 화살표(76b)에 따라 관로(61a)로부터 공간(47)에 보내진다. 즉, 작동 유체(56)가 탄성체(32p)의 공간(47)과 탄성체(32q)의 공간(48)으로부터, 관로(61b)에 유입하려고 하기 때문에, 관로(61b)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고, 탄성체(32p)의 피스톤(42)과 탄성체(32q)의 피스톤(42)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마찬가지로, 작동 유체(56)가 관로(61a)로부터 탄성체(32p)의 공간(48)과 탄성체(32q)의 공간(47)에 유입하려고 하기 때문에, 관로(61a)의 내부 압력이 저하하고, 탄성체(32p)의 피스톤(42)과 탄성체(32q)의 피스톤(42)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이렇게 하여, 상호 억제부(61)가 마련된 것에 따라, 탄성체(32p, 32q)의 감쇠력이 커진다. 이 때문에, 외조(33)의 진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진동과 소음이 저감된 세탁기(80)가 실현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세탁기(80)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p, 32q)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또 다른 예의 탄성체(32p, 32q)의 단면도이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하는 탄성체(32p, 32q)는 각각 복수의 교체부(62)를 갖는다. 교체부(62)는 케이스(62a) 내에 삽입된 교체 바아(62b)와, 교체 바아(62b)를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62c)를 갖는다. 교체부(62)는 탄성체(32p)의 제 1 배출구(53a)와 제 2 배출구(54a)와, 탄성체(32q)의 제 1 배출구(53b)와 제 2 배 출구(54b)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도 28에 도시하는 탄성체(32p, 32q)는 외조(33)의 전방부 좌측에 마련된 탄성체(32p)의 제 1 배출구(53a)와 외조(33)의 후방부 좌측에 마련된 탄성체(32q)의 제 2 배출구(54b)가 관로(61a)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외조(33)의 전방부 좌측에 마련된 탄성체(32p)의 제 2 배출구(54a)와 외조(33)의 후방부 좌측에 마련된 탄성체(32q)의 제 1 배출구(53b)가 관로(61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외조(33)의 전방부 우측에 마련된 탄성체(32p)의 제 1 배출구(53a)와 외조(33)의 후방부 우측에 마련된 탄성체(32q)의 제 2 배출구(54b)가 관로(61a)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외조(33)의 전방부 우측에 마련된 탄성체(32p)의 제 2 배출구(54a)와 외조(33)의 후방부 우측에 마련된 탄성체(32q)의 제 1 배출구(53b)가 관로(61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29에 도시하는 탄성체(32p, 32q)는 외조(33)의 전방부의 좌우에 위치하는 탄성체(32p)가 서로 관로(61a)와 관로(61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외조(33)의 후방부의 좌우에 위치하는 탄성체(32p)가 서로 관로(61a)와 관로(61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하는 탄성체(32p, 32q)의 그 밖의 구성은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하는 탄성체(32p, 32q)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하는 탄성체(32p, 32q)의 기본적인 동작은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하는 탄성체(32p, 32q)와 동일하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하는 탄성체(32p, 32q)는 각각 교체부(62)를 갖는 것에 따라 외조(33)의 진동 형태에 대응하고, 서로 억제하는 탄성체(32p, 32q)를 교 체할 수 있다. 즉, 외조(33)의 전방부가 하강하고, 외조(33)의 후방부가 상승하는 것 같은 진동 형태에서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에 위치하는 탄성체(32p)와 탄성체(32q)가 접속된다. 또한, 외조(33)의 우측이 상승하고, 외조(33)의 좌측이 하강하는 것 같은 진동 형태에서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에 위치하는 탄성체(32p) 끼리와 탄성체(32q) 끼리가 각각 접속된다. 이에 의해, 효과적으로 외조(33)의 진동이 저감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제 1 배출구(53a, 53b) 끼리와 제 2 배출구(54a, 54b) 끼리가 접속되면, 외조(33) 전체가 상하이동하는 진동 형태에 대하여, 복수의 탄성체(32p, 32q)가 서로 작용하고, 진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도 28에 도시하는 것 같은, 전후에 위치하는 탄성체(32p)와 탄성체(32q)가 접속되는 상태로부터, 도 29에 도시하는 것 같은 좌우에 위치하는 탄성체(32p) 끼리와 탄성체(32q)가 각각 접속되는 상태에의 교체는 솔레노이드(62c)가 교체 바아(62b)를 화살표(77)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따라 행하여진다. 반대로, 도 29에 도시하는 것 같은, 좌우에 위치하는 탄성(32p) 끼리와 탄성체(32q) 끼리가 각각 접속되는 상태로부터, 도 28에 도시하는 것 같은, 전후에 위치하는 탄성체(32p)와 탄성체(32q)가 접속되는 상태에의 교체는 솔레노이드(62c)가 교체 바아(62b)를 화살표(77)의 반대 방향에 이동시키는 것에 따라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상호 억제부(61)가 감쇠력을 보충하는 탄성체(32p, 32q)를 바꾸어 가능하게 하는 것에 따라, 또한 효과적으로 외조(33)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고, 진동과 소음이 저감된 세탁기(80)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5)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1 내지 4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세탁기(80)의 정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하는 세탁기(80)의 단면도이다.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체(32m)는 외조(33)의 전방부 중앙과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의 바닥부(30a)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2개의 탄성체(32n)는 외조(33)의 후방부의 좌우와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의 바닥부(30a)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세탁기(80)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3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하는 세탁기(80)는 외조(33)가 3개의 탄성체(32m, 32n)에 의해 3점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적은 개수의 탄성체(32m, 32n)에 의해 외조(33)를 지지할 수 있어, 외조(33)가 어떤 진동 형태를 갖고 있어도, 확실하게 진동이 저감된다.
또한, 3개의 탄성체(32m, 32n)에 의한 3점 지지는 탄성체(32m)가 외조(33)의 전방부 좌우를 지지하고, 탄성체(32n)가 외조(33)의 후방부 중앙을 지지하는 구성에서도 좋다. 또한, 탄성체(32m)와 탄성체(32n)에는 상술의 탄성체(32, 32a 내지 32k)가 사용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6)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1 내지 5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있어서의 세탁기(80)의 단면도이다. 도 32에 있어서, 스프링(63)이 로드 장착대(46)와 탄성체(32)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63)의 일단은 탄성체(32)를 구성하는 실린더(41)의 상부(64)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인장 스프링(31)의 스프링 정수가 스프링(63)의 스프링 정수의 1/10로 설정되고, 외조(33)의 전하중의 대부분이 스프링(6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6에 있어서의 세탁기(80)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 내지 5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외조(33)의 진동 에너지의 대부분이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의 바닥부(30a)에 전달된다. 따라서, 탄성체(32)가 스프링(63)을 갖는 것에 따라,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의 상부면 및 측면의 진동이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서는, 인장 스프링(31)의 스프링 정수가 스프링(63)의 스프링 정수의 1/10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인장 스프링(31)을 갖지 않는 구성도 실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외조(33)는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의 바닥부(30a)만에 의해 지지되어,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의 상부와는 접속되지 않고, 분리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의 상부면이나 측면의 진동이 더욱 저감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있어서의 또 다른 예의 세탁기(80)에 대해 서 설명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있어서의 또 다른 예의 세탁기(80)의 단면도이다.
도 33에 있어서, 스프링(63)이 로드 장착대(46)와 탄성체(32p, 32q)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63)의 일단은 탄성체(32p, 32q)를 구성하는 실린더(41)의 상부(64)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33에 도시하는 세탁기(80)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4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실린더(41)의 하단은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의 바닥부(30a)에 지지되어 있어, 외조(33)의 진동이 세탁기 외부 프레임(30)에 직접 전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린더(41)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작게 저감된다. 또한, 실린더(41)와 실린더(41)에 부수되는 상호 억제부(61) 등의 구성 부품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실시형태 7)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1 내지 6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있어서의 세탁기(80)의 단면도이다. 도 34에 있어서, 세탁겸용 탈수조(34)는 전방 높은 위치로 경사되어 있다. 경사 각도는 수평축(90)에 대하여, 세탁, 건조, 조작성이 우수한 20°이다. 실시형태 7에 있어서의 세탁기(80)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 내지 6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세탁물(81)의 기울기가 세탁기(80)의 중심 근방(65)에 위치하는 확률이 높게 된다. 이 때문에, 외조(33)의 진동 형태가 획일화하고, 효율적으로 외조(33)의 진동이 저감된다. 또한, 탄성체(32)에는 상술의 탄성체(32a 내지 32q)가 사용되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탄성체의 활주이동이 부드럽게 행하여지므로, 세탁기 이외의 회전 기계의 방진에도 응용 가능하다.

Claims (19)

  1. 세탁기 외부 프레임과,
    상기 세탁기 외부 프레임의 바닥부에 마련된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의해 지지된 외조와,
    상기 외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세탁겸용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용 탈수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에 배치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갖는 로드와,
    상기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상기 실린더내의 복수개의 공간을 연통하는 유로와,
    상기 로드를 지지하는 복수의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실린더의 양 단부에서 상기 로드를 활주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실린더내에 형성된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피스톤의 외주에 형성된
    세탁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피스톤의 내주에 형성된
    세탁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실린더의 내면에 형성된
    세탁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로드와 상기 실린더와의 사이에서 상기 피스톤을 관통해서 마련된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유로의 일부가 소정의 개구 면적을 갖는
    세탁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로드에 형성된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로드의 왕복 운동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부를 갖는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베어링에 마련된
    세탁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적어도 상기 로드내에 마련된 공동부와 상기 로드의 측면에 마련된 복수의 관통 구멍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은, 상기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세탁기 외부 프레임측의 상기 공간으로 개구되는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개구부는 상기 제 2 개구부에 비교해서 개구 면적이 크고, 상기 개폐부측에 마련된
    세탁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실린더의 외부에 마련되고,
    상기 유로는 감쇠력 가변부를 갖는
    세탁기.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또는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외조의 전방부와 상기 외조의 후방부에 복수 마련된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외조의 상기 전방부에 1개, 상기 외조의 상기 후방부에 2개 마련된
    세탁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탄성체 상호의 감쇠력을 보충하는 상호 억제부를 갖는
    세탁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상호 억제부가 접속되는 상기 탄성체를 교체하는 교체부를 갖는
    세탁기.
  17. 제 1 항 내지 제 10 항 또는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을 갖는
    세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외조에 고정된 로드 장착대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와의 사이에 마련된 세탁기.
  19. 제 1 항 내지 제 10 항 또는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겸용 탈수조는 전방이 높은 위치가 되도록 경사해서 배치된
    세탁기.
KR1020070047214A 2006-05-16 2007-05-15 세탁기 KR100812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36039 2006-05-16
JP2006136039 2006-05-16
JP2006331531A JP4858138B2 (ja) 2006-05-16 2006-12-08 洗濯機
JPJP-P-2006-00331531 2006-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362A KR20070111362A (ko) 2007-11-21
KR100812881B1 true KR100812881B1 (ko) 2008-03-11

Family

ID=3893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214A KR100812881B1 (ko) 2006-05-16 2007-05-15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58138B2 (ko)
KR (1) KR100812881B1 (ko)
CN (2) CN1010745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8138B2 (ja) * 2006-05-16 2012-01-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CN102330317A (zh) * 2011-01-05 2012-01-25 袁廷荣 一种洗涤脱干中的自动卸料工艺
KR101222047B1 (ko) * 2011-03-16 2013-01-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베어 프레임을 이용한 세탁기의 진동 감쇠 구조체
CN111058239A (zh) * 2019-12-20 2020-04-24 长沙中联消防机械有限公司 锁止部件、锁止系统和洗涤车及锁止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374Y1 (ko) * 1995-12-28 1998-10-15 서동진 물수건 세탁탈수기
KR19990005818U (ko) * 1997-07-21 1999-02-18 구자홍 세탁기의 유압식 댐퍼
KR20050014717A (ko) * 2003-07-31 2005-02-07 도키코 가부시키 가이샤 세탁기용 댐퍼
KR100556027B1 (ko) * 2003-10-24 2006-03-03 주식회사 만도 드럼세탁기의 댐퍼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0569A (en) * 1973-01-02 1974-05-14 J Fulk Method and apparatus for gathering webs of paper
EP0042708B1 (en) * 1980-06-23 1986-02-26 Hotpoint Limited Oscillation damping arrangement
JPS58124312A (ja) * 1982-01-19 1983-07-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lc回路
JPH0584390A (ja) * 1991-09-30 1993-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JP3500645B2 (ja) * 1992-08-20 2004-02-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DE4420612C1 (de) * 1994-06-13 1995-06-08 Miele & Cie Reibungsdämpfer, insbesondere für Waschmaschinen
JP2000317194A (ja) * 1999-05-06 2000-11-21 Hitachi Ltd ドラム式洗濯機
JP3817401B2 (ja) * 2000-02-07 2006-09-06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機
JP2002292185A (ja) * 2001-03-29 2002-10-08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防振装置
JP3636120B2 (ja) * 2001-09-10 2005-04-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ドラム式洗濯機
JP4051995B2 (ja) * 2002-04-26 2008-02-27 三菱化学株式会社 オレフィンオキシド製造用触媒および該触媒を用いるオレフィンオキシドの製造方法
JP4170998B2 (ja) * 2004-03-10 2008-10-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温度制御装置
JP4858138B2 (ja) * 2006-05-16 2012-01-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374Y1 (ko) * 1995-12-28 1998-10-15 서동진 물수건 세탁탈수기
KR19990005818U (ko) * 1997-07-21 1999-02-18 구자홍 세탁기의 유압식 댐퍼
KR20050014717A (ko) * 2003-07-31 2005-02-07 도키코 가부시키 가이샤 세탁기용 댐퍼
KR100556027B1 (ko) * 2003-10-24 2006-03-03 주식회사 만도 드럼세탁기의 댐퍼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362A (ko) 2007-11-21
JP4858138B2 (ja) 2012-01-18
CN201062321Y (zh) 2008-05-21
CN101074529A (zh) 2007-11-21
CN101074529B (zh) 2010-06-16
JP2007330763A (ja)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7667B2 (ja) ドラム式洗濯機及びサスペンション
JP4857197B2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0380016C (zh) 减震器及装有该减震器的洗衣机
KR101330732B1 (ko) 세탁기와 그 밸런서
KR100812881B1 (ko) 세탁기
EP3553218B1 (en) Laundry processing machine
KR100896251B1 (ko) 유압 댐퍼
JP4670511B2 (ja) 洗濯機
KR101273042B1 (ko) 드럼식 세탁기
KR101660729B1 (ko) 세탁장치
JP6139263B2 (ja) 洗濯機
JP2009028290A (ja) 洗濯機
JP4525365B2 (ja) 洗濯機
KR20150053305A (ko)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1202312B1 (ko) 가변밸브식 댐퍼시스템
JP2007061123A (ja) 洗濯機
JP4736681B2 (ja) 洗濯機
JP5127912B2 (ja) サスペンション及び洗濯機
JP2008200189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302337B1 (ko) 세탁기
JP4816927B2 (ja) 油圧ダンパ
KR101238127B1 (ko) 세탁기
KR100504270B1 (ko) 세탁기의 보조 밸런서
JP2010166941A (ja) 洗濯機
KR20210132583A (ko) 의류 처리 장치, 방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