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583A - 의류 처리 장치, 방진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방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583A
KR20210132583A KR1020210006778A KR20210006778A KR20210132583A KR 20210132583 A KR20210132583 A KR 20210132583A KR 1020210006778 A KR1020210006778 A KR 1020210006778A KR 20210006778 A KR20210006778 A KR 20210006778A KR 20210132583 A KR20210132583 A KR 20210132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vibration
damping force
damping mechanism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지 히사노
타쿠마 코무로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2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 내에 봉입된 오일이 피스톤에 설치된 오리피스 구멍을 통과할 때의 점성 저항을 이용한 방진 장치를 사용하여 기동시, 정상시에 따라서 감쇠력을 가변하는 것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의류 처리 장치는 외곽을 구성하는 외부 상자, 외부 상자의 내부에 설치되는 의류 처리조, 의류 처리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 및 의류 처리조의 진동을 감쇠하는 방진 장치를 구비하는 의류 처리 장치로서, 방진 장치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탄성 방진부와, 탄성 방진부에 직렬로 배치되는 감쇠 기구부를 구비하고, 감쇠 기구부는 내부에 오일이 봉입된 실린더, 실린더 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 및 샤프트에 고정되고 적어도 1 개 이상의 오리피스 구멍을 갖는 피스톤을 구비하며, 회전조의 저속 회전시에서 감쇠 기구부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은 회전조의 고속 회전시에서 감쇠 기구부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의 적어도 1.4 배 이상이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방진 장치{CLOTHES TREATING APPARATUS, REDUCING VIBRATION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의류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이 의류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방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의류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일례인 세탁기에서는, 특히 의류를 탈수하는 탈수 동작에서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 처리조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는 방진 댐퍼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종류의 방진 댐퍼에는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저속인 탈수 동작의 기동시에서는 의류 처리조가 크게 흔들리는 점에서 큰 감쇠력이 요구되고, 한편 회전조의 회전 속도가 탈수용의 정상 회전 속도가 되는 탈수 동작의 정상시에는 의류 처리조의 진폭이 작아지는 점에서 큰 감쇠력은 필요하지 않고, 바닥에 전반되는 진동을 억제하는 정도의 작은 감쇠력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특히 세탁기에 구비되는 방진 댐퍼에 대해서는 탈수 동작의 기동시와 정상시에서 요구되는 감쇠력의 크기가 다르고, 탈수 동작의 진행에 따라 감쇠력이 '대'에서 '소'로 전환되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내에 유지된 자기 점성 유체의 점도를 코일의 통전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감쇠력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 서스펜션이 개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5127912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자기 점성 유체나 코일 등이 필요하고,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과제가 있다. 한편, 의류 처리조의 진동을 감쇠하는 방진 장치로서, 실린더 내에 봉입된 오일이 피스톤에 설치된 오리피스 구멍을 통과할 때의 점성 저항을 이용한 장치, 소위 오일 댐퍼라고 불리는 방진 장치도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방진 장치는 상술한 자기 점성 유체나 코일을 사용하는 방진 장치에 비하여,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는 실린더 내에 봉입된 오일이 피스톤에 설치된 오리피스 구멍을 통과할 때의 점성 저항을 이용한 방진 장치를 사용하여, 기동시, 정상시에 따라 감쇠력의 가변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의류 처리 장치, 및 상기 의류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방진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의류 처리 장치는 외곽(外郭)을 구성하는 외부 상자, 상기 외부 상자의 내부에 설치되는 의류 처리조, 상기 의류 처리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 및 상기 의류 처리조의 진동을 감쇠하는 방진 장치를 구비하는 의류 처리 장치로, 상기 방진 장치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탄성 방진부와, 상기 탄성 방진부에 직렬로 배치되는 감쇠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쇠 기구부는 내부에 오일이 봉입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적어도 1 개 이상의 오리피스 구멍을 갖는 피스톤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조의 저속 회전시에서 상기 감쇠 기구부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은, 상기 회전조의 고속 회전시에서 상기 감쇠 기구부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의 적어도 1.4 배 이상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의류 처리 장치는 외곽을 구성하는 외부 상자와, 상기 외부 상자의 내부에 설치되는 의류 처리조와, 상기 의류 처리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상기 의류 처리조의 진동을 감쇠하는 방진 장치를 구비하는 의류 처리 장치로서, 상기 방진 장치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탄성 방진부와, 상기 탄성 방진부에 직렬로 배치되는 감쇠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쇠 기구부는 내부에 오일이 봉입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적어도 1 개 이상의 오리피스 구멍을 갖는 피스톤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조의 저속 회전시에서 상기 감쇠 기구부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은 적어도 85 N 이상이고, 상기 회전조의 고속 회전시에서 상기 감쇠 기구부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은 적어도 60 N 이하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방진 장치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의류 처리 장치에 구비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세탁기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세탁기의 제어계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방진 댐퍼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피스톤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방진 댐퍼의 스트로크와 감쇠력의 관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피스톤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 측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방진 댐퍼가 도시한 감쇠 특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탈수 동작의 기동시에서의 방진 댐퍼의 감쇠 특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탈수 동작의 정상시에서의 방진 댐퍼의 감쇠 특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제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제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제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제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세탁기의 제어계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5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피스톤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의류 처리 장치 및 방진 장치에 관한 복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복수의 실시 형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예시하는 세탁기(1)는 의류에 소정의 처리, 이 경우 적어도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 처리, 의류를 헹구는 헹굼 처리, 의류를 탈수하는 탈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의류 처리 장치의 일례이다. 또한, 세탁기(1)는 회전조의 회전 중심축이 수평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위 드럼식 세탁기이다.
세탁기(1)는 그 외곽을 구성하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외부 상자(2)의 내부에,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수조(3)를 구비하고 있다. 수조(3)는 의류 처리조의 일례이고, 내부에 물을 모으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세탁기(1)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드럼(4)을 구비하고 있다. 드럼(4)은 회전조의 일례이고, 수조(3)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드럼(4)의 둘레벽에는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소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드럼(4)의 내주면에는 의류를 긁어 올리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배플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조(3) 및 드럼(4)의 전면 개구부는 외부 상자(2)의 전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는 이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수조(3) 및 드럼(4)의 전면 개구부를 통하여 드럼(4) 내에 의류를 수용하거나, 또는 드럼(4) 내로부터 의류를 취출할 수 있다.
외부 상자(2)의 내부에서 수조(3)는 복수, 이 경우 2 개의 방진 댐퍼(10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방진 댐퍼(100)는 방진 장치의 일례이고, 예를 들어 운전 동작 중에 수조(3)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하는 것이다. 방진 댐퍼(100)는 그 일단부, 이 경우 상단부가 수조(3)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부(3a)에 예를 들어 볼트 등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방진 댐퍼(100)는 그 타단부, 이 경우 하단부가 외부 상자(2)의 저부에 설치된 고정부(2a)에 예를 들어 볼트 등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세탁기(1)의 제어계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예시하는 제어 장치(1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제어 프로그램 및 각종의 설정 내용에 따라서 세탁기(1)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10)에는 드럼 모터(11), 급수 밸브(12), 배수 밸브(13) 등 이라는 각종의 구동계의 구성 요소가 접속되어 있다.
드럼 모터(11)는 수조(3)의 후부에 설치되어 있고,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드럼(4)을 정전 방향(R1) 및 역전 방향(R2)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어 장치(10)는 예를 들어,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 동작, 의류를 헹구는 헹굼 동작에서는 드럼 모터(11)에 의해 드럼(4)을 정전 방향(R1) 및 역전 방향(R2)으로 전환하면서 회전시킨다. 세탁 동작 및 헹굼 동작은 통상 회전 동작의 일례이고, 제어 장치(10)는 드럼(4)을 소정의 통상 속도로 회전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10)는 예를 들어 의류를 탈수하는 탈수 동작에서는 드럼 모터(11)에 의해 드럼(4)을 한 방향, 이 경우 정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키다. 탈수 동작은 고속 회전 동작의 일례이고, 제어 장치(10)는 드럼(4)을 통상 속도보다도 고속도로 회전시킨다.
급수 밸브(12)는 예를 들어 수도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수조(3)에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급수 경로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 장치(10)는 급수 밸브(12)를 개방함으로써 수조(3) 내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수 밸브(13)는 수조(3)의 저부로부터 기외로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배수 경로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 장치(10)는 배수 밸브(13)를 개방함으로써, 수조(3) 내에 담겨 있는 물을 기외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방진 댐퍼(100)의 구성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방진 댐퍼(100)는 탄성 방진부(110) 및 감쇠 기구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 방진부(110)는 탄성 부재의 일례인 코일 스프링(111)을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11)은 스프링 받이(112, 113) 사이에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감쇠 기구부(120)는 탄성 방진부(110)에 대하여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방진 댐퍼(100)는 탄성 방진부(110)를 하측, 감쇠 기구부(120)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 수조(3)의 고정부(3a)와 외부 상자(2) 저부의 고정부(2a) 사이에 부착되어 있다.
감쇠 기구부(120)는 실린더(121), 샤프트(122), 피스톤(12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121)는 이 경우, 원통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오일(OL) 및 공기(AR)가 봉입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21) 내에 봉입되는 기체는 공기(AR)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질소 등의 기체이어도 된다. 실린더(121)의 일단부, 이 경우 상단부는 폐색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21)의 상단부에는 피고정부(124)가 설치되어 있다. 피고정부(124)는 수조(3)의 고정부(3a)에 예를 들어 볼트 등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21)의 타단부, 이 경우 하단부는 축 받이부(125)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축 받이부(125)는 전체로서 원고리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 상기 축 받이부(125)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받이 구멍(125a)을 갖는다.
샤프트(122)는 방진 댐퍼(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쇄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축 받이부(125)의 축 받이 구멍(125a)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샤프트(122)는 실린더(121) 내를 화살표(A1, A2)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화살표 A1 방향은 탄성 방진부(110)의 코일 스프링(111)이 신장되는 신장 방향이다. 한편, 화살표 A2 방향은 탄성 방진부(110)의 코일 스프링(111)이 압축되는 압축 방향의 일례이다.
샤프트(122)의 일단측, 이 경우 상단측은 실린더(121)의 내부에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피스톤(123)이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123)은 샤프트(122)와 함께 실린더(121) 내를 화살표(A1, A2)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또한, 샤프트(122)의 타단측, 이 경우 하단측은 실린더(12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그 선단부는 외부 상자(2) 저부의 고정부(2a)에 예를 들어 볼트 등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샤프트(122)의 하단측에는 스프링 받이(113)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 받이(113)와, 실린더(121)의 하단부에 고정된 스프링 받이(112) 사이에, 상술한 코일 스프링(111)이 신축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피스톤(123)은 거의 원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이 실린더(121)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123)은 상기 피스톤(123)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오리피스 구멍(126)을 갖고 있다.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123)은 복수, 이 경우 4 개의 오리피스 구멍(126)을 갖고 있다. 복수의 오리피스 구멍(126)은 피스톤(123)의 둘레 방향에서 서로 등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오리피스 구멍(126)의 총 개구 면적은 3.5 ㎟ 이상 6.5 ㎟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범위 내에서 더욱 바람직한 범위인 4.5 ㎟ 이상 5.5 ㎟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피스톤(123)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면의 면적은 대략 314 ㎟ 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방진 댐퍼(100)에 따르면, 탄성 방진부(110)에서는 코일 스프링(111)의 탄성에 의해 감쇠력이 발생한다. 또한, 감쇠 기구부(120)에서는 실린더(121) 내에서 피스톤(123)이 왕복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피스톤(123)의 외주면과 실린더(121)의 내주면의 마찰 저항에 의해 감쇠력이 발생한다. 또한, 감쇠 기구부(120)에서는 실린더(121) 내에서 피스톤(123)이 왕복 이동하는 것에 따라, 실린더(121) 내의 오일(OL)이 피스톤(123)의 오리피스 구멍(126) 내를 통과한다. 그리고, 오일(OL)이 오리피스 구멍(126) 내를 통과할 때의 점성 저항에 의해 감쇠력이 발생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의 「감쇠력」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도 5에 부호 "S"로 예시한 바와 같이, 방진 댐퍼(100)는 수조(3)의 진동에 따라서 신축하는 것이고, 그 스트로크(S) 즉 신축량이 변동된다. 또한, 도 5에 부호 "F"로 예시한 바와 같이, 방진 댐퍼(10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의 크기는, 그 스트로크(S)의 변동에 따라서 변동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의 「감쇠력」은 스트로크(S)가 최대가 될 때 방진 댐퍼(100)가 발휘하는 감쇠력(Fa)과, 스트로크(S)가 최소가 될 때 방진 댐퍼(100)가 발휘하는 감쇠력(Fb)의 차(D)로서 정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방진 댐퍼(100)에 의하면, 실린더(121) 내에 공기(AR)가 봉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후술하는 에어레이션(aeration), 즉 오일(OL)과 공기(AR)가 혼합됨으로써 오일(OL) 내에 기포가 발생하기 쉽고, 따라서 기동시와 정상시에서의 감쇠력의 차(D)를 특히 크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방진 댐퍼(100), 소위 오일 댐퍼라고 불리는 방진 장치에서는 실린더(121) 내에서의 피스톤(123)의 왕복 운동이 반복되면, 실린더(121) 내에 주입되어 있는 오일(OL)과 기체(AR)가 혼합됨으로써 발생하는 에어레이션 또는 오일(OL)에 포함되는 기체(AR)가 압력의 저하에 의해 팽창되어 기포화하는 캐비테이션이라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에어레이션이나 캐비테이션에 의해 발생한 기포에 의해 오일(OL)이 오리피스 구멍(126) 내를 통과할 때의 점성 저항이 내려가고, 감쇠력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실린더(121)의 내부에는 이와 같은 기포의 해소를 도모하기 위해 소포제도 첨가되어 있다.
또한, 수조(3)를 방진 지지하는 2 개의 방진 댐퍼(100) 중 적어도 일방, 이 경우 세탁기(1)의 정면측에서 보아 우측의 방진 댐퍼(100)에 대해서는, 오리피스 구멍(126)의 구성이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방진 댐퍼(100)는 드럼(4)이 정전 방향(R1)으로 회전하는 탈수 동작에서 상기 드럼(4)의 회전 방향이 하방향이 되는 측을 지지하는 방진 댐퍼이다.
즉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방진 댐퍼(100)의 오리피스 구멍(126)의 내주면은 샤프트(122)의 왕복 이동 방향(A1, A2)에 대하여 경사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오리피스 구멍(126)은 탄성 방진부(110)의 신장 방향(A1)측의 직경 치수(D1)가 탄성 방진부(110)의 압축 방향(A2)측의 직경 치수(D2)보다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탄성 방진부(110)의 신장 방향(A1)은 코일 스프링(111)이 늘어나는 방향이고, 이 경우 상방향이 된다. 또한, 탄성 방진부(110)의 압축 방향(A2)은 코일 스프링(111)이 축소되는 방향이고, 이 경우 하방향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방진 댐퍼(100)는 탈수 동작에서 다음에 나타내는 감쇠 특성을 나타낸다. 즉, 도 7의 영역(G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드럼(4)의 회전 속도가 저속, 예를 들어 240 rpm인 탈수 동작의 「기동시」에서는 방진 댐퍼(100)의 일부를 구성하는 감쇠 기구부(120)는 적어도 85 뉴톤 이상 100 뉴톤 이하의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방진 댐퍼(100)의 감쇠 기구부(120)는 90 뉴톤의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의 영역(G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드럼(4)의 회전 속도가 고속, 예를 들어 800 rpm인 탈수 동작의 「정상시」에서는 방진 댐퍼(100)의 일부를 구성하는 감쇠 기구부(120)는 적어도 40 뉴톤 이상 60 뉴톤 이하의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방진 댐퍼(100)의 감쇠 기구부(120)는 50 뉴톤의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방진 댐퍼(100)의 감쇠 특성, 특히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 특성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도 8에 예시한 그래프는 드럼(4)의 회전 속도가 저속인 탈수 동작의 「기동시」에 대해서, 방진 댐퍼(100)의 오리피스 구멍(126)의 총 개구 면적이나 오일(OL)의 종류를 적절하게 변경한 경우에 도시된 감쇠 기구부(120)의 감쇠력을 표시한 것이다. 또한, 도 9에 예시한 그래프는 드럼(4)의 회전 속도가 고속인 탈수 동작의 「정상시」에 대해서, 방진 댐퍼(100)의 오리피스 구멍(126)의 총 개구 면적이나 오일(OL)의 종류를 적절하게 변경한 경우에 예시한 감쇠 기구부(120)의 감쇠력을 표시한 것이다.
탈수 동작의 「기동시」에서는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은 큰 쪽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85 N 이상의 감쇠력을 발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예시하는 그래프에서는 오리피스 구멍(126)의 총 개구 면적이 6.5 ㎟ 이하인 경우에,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이 85 N 이상이 되는 경향이 인정된다. 한편, 탈수 동작의 「정상시」에서는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은 작은 편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60 N 이하의 감쇠력을 발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예시하는 그래프에서는 오리피스 구멍(126)의 총 개구 면적이 3.5 ㎟ 이상인 경우에,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이 60 N 이하가 되는 경향이 인정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의 그래프를 종합하면, 오리피스 구멍(126)의 총 개구 면적이 3.5 ㎟ 이상 6.5 ㎟ 이하의 범위 내일 때, 탈수 동작의 「기동시」에서 예를 들어 85 N 이상의 큰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탈수 동작의 「정상시」에서 예를 들어 60 N 이하의 작은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감쇠 특성이 얻어지는 것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리피스 구멍(126)의 총 개구 면적은 이 범위 내에서 특히 바람직한 4.5 ㎟ 이상 5.5 ㎟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4)의 저속 회전시에서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이 90 뉴톤, 드럼(4)의 고속 회전시에서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이 50 뉴톤이라고 하면, 드럼(4)의 저속 회전시에서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은, 드럼(4)의 고속 회전시에서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의 1.8 배가 되어 있다. 즉, 드럼(4)의 저속 회전시에서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이, 드럼(4)의 고속 회전시에서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의 1.4 배 이상이 되는 관계가 성립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감쇠 특성, 즉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의 특성은 실린더(121) 내에 봉입되는 오일(OL)의 점성을 한 요인으로서 조정할 수 있다. 즉, 실린더(121) 내에 봉입되는 오일(OL)은 예를 들어, ISO(국제 표준화 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VG 규격(VG: Viscosity Grade)에서 점도 10 ~ 100 사이의 점성을 나타내는 오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점도 22 ~ 46의 점성을 나타내는 오일을 사용하면 좋다. 이 범위의 오일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감쇠 특성, 즉 탈수 동작의 진행에 따라 감쇠력이 "대"에서 "소"로 전환되는 특성을 갖는 방진 댐퍼(100)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ISO의 VG규격에서 점도 32를 나타내는 오일(OL)이 실린더(121)내에 봉입되어 있다.
이상에 예시한 세탁기(1)에 의하면, 실린더(121) 내에 봉입된 오일(OL)이 피스톤(123)에 설치된 오리피스 구멍(126)을 통과할 때의 점성 저항을 이용한 방진 댐퍼(100)를 사용하여, 상기 방진 댐퍼(100)의 일부를 구성하는 감쇠 기구부(120)가 나타내는 감쇠 특성에 의해, 탈수 동작의 진행에 따른 감쇠력의 "대"에서 "소"로의 가변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드럼(4)의 저속 회전시에서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이, 드럼(4)의 고속 회전시에서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의 적어도 1.4 배 이상이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세탁기(1)에 바람직한 감쇠 특성, 즉 탈수 동작의 「기동시」에서는 감쇠력이 「대」가 되고, 탈수 동작의 「정상시」에서 감쇠력이 「소」가 되는 감쇠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드럼(4)의 저속 회전시에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이 적어도 85 N 이상이 되고, 드럼(4)의 고속 회전시에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이 적어도 60 N 이하가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세탁기(1)에 바람직한 감쇠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오리피스 구멍(126)의 총 개구 면적은 3.5 ㎟ 이상 6.5 ㎟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범위 내에서 더욱 바람직한 범위인 4.5 ㎟ 이상 5.5 ㎟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세탁기(1)에 바람직한 감쇠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오리피스 구멍(126)이 테이퍼 형상인 경우, 그 총 개구 면적은 오리피스 구멍(126)의 양개구단 중 개구가 작은 쪽의 면적의 총합에 의해 구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은 실린더(121) 내에 봉입되는 오일(OL)의 점성의 설정에 의해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실린더(121) 내에 봉입되는 오일(OL)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다시 말하면 오일(OL)의 점성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감쇠 기구부(120)의 감쇠 특성을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오리피스 구멍(126)의 내주면을, 샤프트(122)의 왕복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테이퍼 형상으로 하면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탄성 방진부(110)의 코일 스프링(111)이 신장될 때 오일(OL)이 오리피스 구멍(126)을 통과함으로써 발생하는 점성 저항과, 탄성 방진부(110)의 코일 스프링(111)이 압축될 때 오일(OL)이 오리피스 구멍(126)을 통과함으로써 발생하는 점성 저항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방진부(110)의 신장시와 압축시에서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오리피스 구멍(126)은 탄성 방진부(110)의 신장 방향(A1)측의 직경 치수(D1)가 탄성 방진부(110)의 압축 방향(A2)측의 직경 치수(D2)보다 큰 테이퍼 형상으로 하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탄성 방진부(110)가 신장되는 경우에는 오리피스 구멍(126)에는 직경 치수가 작은 압축 방향(A2)측으로부터 직경 치수가 큰 신장 방향(A1)측을 향하여 오리피스 구멍(126) 내에 오일(OL)이 유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즉 오리피스 구멍(126) 내에 오일(OL)이 유입되기 어려워지므로, 보다 큰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탄성 방진부(110)가 압축되는 경우에는 오리피스 구멍(126)에는 직경 치수가 큰 신장 방향(A1)측으로부터 직경 치수가 작은 압축 방향(A2)측을 향하여 오리피스 구멍(126) 내에 오일(OL)이 유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즉 오리피스 구멍(126) 내에 오일(OL)이 유입되기 쉬워지므로, 보다 작은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테이퍼 형상의 오리피스 구멍(126)을 갖는 방진 댐퍼(100)는 수조(3) 중 탈수 동작에서 드럼(4)의 회전 방향이 하방향이 되는 측을 지지하는 방진 댐퍼로서 구비하면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탈수 동작에서 드럼(4)으로부터 부여되는 하방향의 힘을 받아 탄성 방진부(110)가 압축될 때,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을 작게 할 수 있어, 바닥에 전반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압축된 탄성 방진부(110)가 반발하여 신장되는 경우에는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을 크게 할 수 있고, 수조(3)의 요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조(3)의 상방향으로의 요동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수조(3)가 외부 상자(2)에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수조(3)를 방진 지지하는 2 개의 진동 댐퍼(100) 중 타방, 이 경우 세탁기(1)의 정면측에서 보아 좌측의 방진 댐퍼(100)에 대해서는, 오리피스 구멍(126)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해도 되고,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좌측의 방진 댐퍼(100)에 대하여 오리피스 구멍(126)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탄성 방진부(110)의 신장 방향(A1)측의 직경 치수(D1)가 탄성 방진부(110)의 압축 방향(A2)측의 직경 치수(D2)보다도 커지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0)는 탈수 동작을 복수회 반복하는 경우에는, 이하의 제1 제어 또는 제2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세탁기(1)에서 탈수 동작이 복수회 반복되는 경우에는, N+1 회째의 탈수 동작은 N 회째의 탈수 동작의 완료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실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이와 같이 설정되는 세탁기(1)에 의하면, 예를 들어 2 회째의 탈수 동작은 1 회째의 탈수 동작의 완료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실행된다. 또한, 이 소정 시간은 탈수 동작에 의해 오일(OL)에 발생한 기포가 자연적으로 소포되지 않을 정도의 시간, 즉 탈수 동작에서 오일(OL)에 발생한 거품이 자연적으로 사라지지 않게 되고 잔존하는 정도의 시간이 설정된다. 따라서, N+1 회째, 예를 들어 2 회째의 탈수 동작은 N 회째, 예를 들어 1 회째의 탈수 동작에서 오일(OL)에 발생한 거품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 동안 실행된다.
또한, 탈수 동작을 「복수회 반복함」이라는 것은 동일한 의류에 대하여 탈수 동작을 복수회 반복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또한 다른 의류에 대하여 탈수 동작을 실시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느 의류에 대하여 탈수 동작이 종료된 후, 그 의류를 드럼(4) 내로부터 취출하고, 다른 의류를 드럼(4) 내에 투입하여 탈수 동작을 실시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탈수 동작을 「복수회 반복함」이라는 것은 동일한 의류인지 다른 의류인지에 관계없이, 드럼(4) 내의 젖은 의류에 대하여 탈수 동작이 복수회 실시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1> 제1 제어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 제어는 N 회째의 탈수 동작의 완료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N+1 회째의 탈수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N+1 회째의 탈수 동작, 예를 들어 2 회째의 탈수 동작에서 드럼(4)의 회전 속도를 소정의 공진 회전 속도(K1)까지 상승시키는 시간(T1)을, N 회째의 탈수 동작, 예를 들어 1 회째의 탈수 동작에서 드럼(4)의 회전 속도를 소정의 공진 회전 속도(K1)까지 상승시키는 시간(T2)보다 길게 하는 제어이다. 단, 공진 회전 속도(K1)는 드럼(4)의 회전에 따라 수조(3)에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가 외부 상자(2)의 공진 주파수가 되는 회전 속도이다.
<2> 제2 제어
도 1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 제어는 N 회째의 탈수 동작의 완료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N+1 회째의 탈수 동작을 실행하는 대신, N+1 회째 이후, 예를 들어 2 회째 이후의 탈수 동작을 실행하기 전에, 드럼(4)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 시간을 설정하도록 한 제어이다. 또한, 정지 시간의 길이는 상술한 소정 시간, 즉 탈수 동작에 의해 오일에 발생한 기포가 자연적으로 소포되지 않을 정도의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이면,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제어에 따르면, N+1 회째의 탈수 동작에서 드럼(4)의 회전 속도를 소정의 공진 회전 속도(K1)까지 상승시키는 시간(T1)을 통상보다 길게 하도록 했으므로, N 회째의 탈수 동작에서 기포가 발생했다고 해도 N+1 회째의 탈수 동작에서 드럼(4)의 회전 속도가 공진 회전 속도(K1)에 도달하기 전에 소포, 즉 기포에 의한 감쇠력의 저하를 해소할 수 있다. 이에 의해, N+1 회째의 탈수 동작에서 감쇠력이 부족하다는 사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제어에 따르면 N+1 회째 이후의 탈수 동작을 실행하기 전에 드럼(4)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이 상태에서 충분한 시간을 들여 소포시키도록 했으므로, N 회째의 탈수 동작에서 기포가 발생했다고 해도 N+1 회째의 탈수 동작이 개시되기 전에 소포, 즉 기포에 의한 감쇠력의 저하를 해소할 수 있다. 이에 의해, N+1 회째의 탈수 동작에서 감쇠력이 부족하다는 사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소정의 시간 내에 탈수 동작을 연속적으로 복수회 반복하는 경우에는, 각 회의 탈수 동작 사이의 시간이 짧아지므로, 복수회의 탈수 동작 사이에 충분한 소포 시간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제1 제어 또는 제2 제어 중 어떤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충분한 소포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소정의 시간 내에 복수회의 탈수 동작이 반복되는 경우에도 각 회의 탈수 동작에서 필요한 감쇠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또는 제2 제어는, 예를 들어 3 회째 이후의 복수회째의 탈수 동작으로부터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1 회째의 탈수 동작에서는 기포의 발생이 적거나 탈수 동작의 시간이 짧은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반드시 소포를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그 때문에, 소포가 불가피해질 정도의 기포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예를 들어 3 회째 이후의 탈수 동작으로부터 제1 제어 또는 제2 제어를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이들 제어가 불필요하게 실시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0)는 세탁 동작 후에 탈수 동작, 샤워 헹굼 동작, 샤워 후 탈수 동작, 저수(溜水) 헹굼 동작, 최종 탈수 동작을 차례로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탁기(1)는 도시하지 않은 순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순환 기구는 수조(3)에 연통하는 순환 경로와 상기 순환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는 순환 펌프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10)는 순환 펌프를 구동함으로써 수조(3) 내의 물을 순환 경로를 통하여 순환시켜 수조(3) 내에 샤워 형상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샤워 헹굼 동작은 유수(有水) 회전 동작의 일례이며, 상술한 순환 기구에 의해 수조(3) 내에 물을 샤워 형상으로 공급하면서 드럼(4)을 정전 방향(R1) 및 역전 방향(R2)으로 전환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드럼(4) 내의 의류를 헹구는 동작이다. 샤워 후 탈수 동작은 샤워 헹굼 동작 후에 실행되는 고속 회전 동작의 일례이고, 드럼(4)을 통상 속도보다 고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드럼(4) 내의 의류를 탈수하는 동작이다. 저수 헹굼 동작은 수조(3) 내에 소정량의 물을 담은 상태에서 드럼(4)을 정전 방향(R1) 및 역전 방향(R2)으로 전환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드럼(4) 내의 의류를 헹구는 동작이다. 최종 탈수 동작은 운전의 최종 단계에서 실행되는 탈수 동작이다.
그리고, 제어 장치(10)는 상술한 샤워 후 탈수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이하의 제1 제어 또는 제2 제어를 실행한다.
<1> 제1 제어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 제어는 샤워 헹굼 동작 후의 샤워 후 탈수 동작에서 드럼(4)의 회전 속도를 소정의 공진 회전 속도(K1)까지 상승시키는 시간(T1)을, 세탁 동작 후의 탈수 동작에서 드럼(4)의 회전 속도를 소정의 공진 회전 속도(K1)까지 상승시키는 시간(T2)보다 길게 하는 제어이다. 단, 공진 회전 속도(K1)는 드럼(4)의 회전에 따라 수조(3)에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가 외부 상자(2)의 공진 주파수가 되는 회전 속도이다.
<2> 제2 제어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 제어는 샤워 헹굼 동작 후의 샤워 후 탈수 동작을 실행하기 전에, 드럼(4)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 시간을 설정하는 제어이다. 또한, 정지 시간의 길이는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제어에 의하면, 샤워 헹굼 동작 후의 샤워 후 탈수 동작에서 드럼(4)의 회전 속도를 소정의 공진 회전 속도(K1)까지 상승시키는 시간(T1)을 통상보다 길게 하도록 했으므로, 세탁 동작 후의 탈수 동작에서 기포가 발생했다고 해도, 샤워 후 탈수 동작에서 드럼(4)의 회전 속도가 공진 회전 속도(K1)에 도달하기 전에 소포, 즉 기포에 의한 감쇠력의 저하를 해소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샤워 후 탈수 동작에서 감쇠력이 부족하다는 사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제어에 의하면, 샤워 헹굼 동작 후의 샤워 후 탈수 동작을 실행하기 전에 드럼(4)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했으므로, 세탁 동작 후의 탈수 동작에서 기포가 발생했다고 해도, 샤워 후 탈수 동작이 개시되기 전에 소포, 즉 기포에 의한 감쇠력의 저하를 해소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샤워 후 탈수 동작에서 감쇠력이 부족하다는 사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샤워 헹굼 동작의 시간은 짧은 경우가 있고, 샤워 헹굼 동작 전의 탈수 동작과 샤워 후 탈수 동작 사이에 충분한 소포 시간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제1 제어 또는 제2 제어 중 어떤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충분한 소포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샤워 후 탈수 동작에서 필요한 감쇠력을 발휘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에는 또한 진동 검지 센서(14)가 접속되어 있다. 진동 검지 센서(14)는 운전 상태 검지부의 일례이고, 수조(3)에 발생하는 진동을 검지한다. 진동 검지 센서(14)는 예를 들어, 수조(3)의 가속도를 검지하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10)는 탈수 동작을 계속할지의 여부를 진동 검지 센서(14)에 의한 검지 결과와 소정의 임계값(S)의 비교에 기초하여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어 장치(10)는 진동 검지 센서(14)에 의해 검지되는 수조(3)의 진동의 크기가 임계값(S)보다 작은 경우에는, 그대로 탈수 동작을 계속하는 것을 허용하고 진동 검지 센서(14)에 의해 검지되는 수조(3)의 진동의 크기가 임계값(S)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탈수 동작을 정지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0)는 소정 시간 내에 탈수 동작을 복수회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 2 회째 이후의 복수회째에 실행하는 경우에서의 임계값(S1)으로서, 소정 시간 내에 탈수 동작을 1 회만 실행하는 경우에서의 임계값(S2)보다 작은 값을 설정하고 있다. 이 소정 시간은 탈수 동작에 의해 오일(OL)에 발생한 기포가 자연적으로 해소되지 않는 정도의 시간, 즉 탈수 동작에서 오일(OL)에 발생한 거품이 자연적으로 사라지지 않고 잔존하는 정도의 시간이 설정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정 시간 내에 탈수 동작이 복수회 실행되는 경우, 즉 기포가 소포되지 않은 채 다음의 탈수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보다 엄격한 판정 조건에 기초하여 탈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즉, 기포가 소포되지 않고 충분한 감쇠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에는, 탈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조기에 탈수 동작을 정지키고, 기포의 소포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충으로서 설명하면, 소정 시간 내에 탈수 동작을 복수회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 1 회째의 탈수 동작에서의 임계값(S1)으로서는, 소정 시간 내에 탈수 동작을 1 회만 실행하는 경우에서의 임계값(S2)과 동일한 값이 설정된다. 단, 소정 시간 내에 탈수 동작을 복수회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 1 회째의 탈수 동작에서의 임계값(S1)으로서, 소정 시간 내에 탈수 동작을 1 회만 실행하는 경우에서의 임계값(S2)과 다른 값을 설정하는 것은 허용된다.
(제5 실시 형태)
도 1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오리피스 구멍(126)은 개구 면적이 달라도 된다. 이 때, 개구 면적이 가장 큰 오리피스 구멍(126)의 직경 치수는 개구 면적이 가장 작은 오리피스 구멍(126)의 직경 치수의 적어도 1.3 배 이상이 되도록 설정하면 좋다.
이와 같이 개구 면적이 다른 오리피스 구멍(126)을 조합함으로써,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을 한층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오리피스 구멍(126)의 개구 면적의 차를 크게 함으로써, 즉 적어도 1.3 배 이상의 차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세탁기(1)에 요구되는 감쇠 특성, 즉 탈수 동작의 진행에 따라 감쇠력이 "대"에서 "소"로 전환되는 특성을 갖는 방진 댐퍼(100)를 한층 실현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복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확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복수의 실시 형태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드럼(4)의 저속 회전시에서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은 드럼(4)의 고속 회전시에서 감쇠 기구부(120)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의 적어도 1.4 배 이상이면 된다. 또한, 감쇠 기구부(120)는 실린더(121) 내에 공기(AR)가 봉입되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121) 내에 공기(AR)가 봉입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어도, 적어도 캐비테이션에 의해 기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동시와 정상시에서의 감쇠력의 차(D)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1 개의 피스톤(123)에 설치되는 오리피스 구멍(126)의 수는 적어도 1 개 이상이면 된다. 또한, 오리피스 구멍(126)은 테이퍼 형상이어도 되고, 테이퍼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오리피스 구멍(126)을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1 개의 피스톤(123)에 대해, 적어도 1 개 이상의 오리피스 구멍(126)을 테이퍼 형상으로 하면 된다. 또한, 1 개의 피스톤(123)에 설치되는 복수의 오리피스 구멍(126)의 개구 면적을 다르게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오리피스 구멍(126)의 개구 면적을 다르게 해도 되고, 적어도 1 개 이상의 오리피스 구멍(126)의 개구 면적을 다른 오리피스 구멍(126)의 개구 면적과 다르게 해도 된다.
진동 검지 센서(14)는 가속도 센서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드럼 모터(11)의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검지하는 회전 검지 센서 등, 세탁기(1)의 운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센서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방진 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이면, 소위 횡축형의 드럼식 세탁기 이외의 타입의 세탁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건조 기능을 갖지 않는 세탁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의류의 소취, 탈취, 제균, 표백 등, 의류에 대하여 어떠한 처리를 실시하는 장치이면, 다양한 의류 처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이러한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아울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세탁기(의류 처리 장치) 2: 외부 상자
3: 수조(의류 처리조) 4: 드럼(회전조)
14: 진동 검지 센서(운전 상태 검지부)
100: 방진 댐퍼(방진 장치) 110: 탄성 방진부
111: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 120: 감쇠 기구부
121: 실린더 122: 샤프트
123: 피스톤 126: 오리피스 구멍

Claims (5)

  1. 외곽을 구성하는 외부 상자,
    상기 외부 상자의 내부에 설치되는 의류 처리조,
    상기 의류 처리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 및
    상기 의류 처리조의 진동을 감쇠하는 방진 장치
    를 구비하는 의류 처리 장치로서,
    상기 방진 장치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탄성 방진부, 및
    상기 탄성 방진부에 직렬로 배치되는 감쇠 기구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감쇠 기구부는
    내부에 오일이 봉입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적어도 1 개 이상의 오리피스 구멍을 갖는 피스톤
    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조의 저속 회전시에서 상기 감쇠 기구부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은, 상기 회전조의 고속 회전시에서 상기 감쇠 기구부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의 적어도 1.4 배 이상인, 의류 처리 장치.
  2. 외곽을 구성하는 외부 상자,
    상기 외부 상자의 내부에 설치되는 의류 처리조,
    상기 의류 처리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 및
    상기 의류 처리조의 진동을 감쇠하는 방진 장치,
    를 구비하는 의류 처리 장치로서,
    상기 방진 장치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탄성 방진부, 및
    상기 탄성 방진부에 직렬로 배치되는 감쇠 기구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감쇠 기구부는
    내부에 오일이 봉입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 구멍을 갖는 피스톤
    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조의 저속 회전시에서 상기 감쇠 기구부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은 적어도 85 N 이상이고,
    상기 회전조의 고속 회전시에서 상기 감쇠 기구부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은 적어도 60 N 이하인, 의류 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구멍의 총 개구 면적은 3.5 ㎟ 이상 6.5 ㎟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의류 처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기구부가 발생시키는 감쇠력은 상기 실린더 내에 봉입되는 상기 오일의 점성에 의해 조정되어 있는, 의류 처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류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방진 장치.
KR1020210006778A 2020-04-27 2021-01-18 의류 처리 장치, 방진 장치 KR202101325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78365 2020-04-27
JP2020078365A JP7378346B2 (ja) 2020-04-27 2020-04-27 衣類処理装置、防振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583A true KR20210132583A (ko) 2021-11-04

Family

ID=7827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778A KR20210132583A (ko) 2020-04-27 2021-01-18 의류 처리 장치, 방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7378346B2 (ko)
KR (1) KR20210132583A (ko)
CN (1) CN1141082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7912A (ja) 1991-11-08 1993-05-25 Hitachi Ltd フアジイ知識の学習方法および学習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3502B2 (ja) 2003-07-31 2010-01-2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洗濯機用ダンパ及び洗濯機
JP2009100975A (ja) 2007-10-24 2009-05-14 Panasonic Corp 洗濯機
JP2010263952A (ja) 2009-05-12 2010-11-25 Hitachi Appliances Inc ドラム式洗濯機
JP2009213917A (ja) 2009-06-29 2009-09-24 Hitachi Ltd ドラム式洗濯機
JP5127873B2 (ja) 2010-04-26 2013-01-23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7912A (ja) 1991-11-08 1993-05-25 Hitachi Ltd フアジイ知識の学習方法および学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08252A (zh) 2022-03-01
JP7378346B2 (ja) 2023-11-13
JP2021171361A (ja) 2021-11-01
JP2024008981A (ja) 202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311B1 (ko) 바닥면에의 진동 전달을 저감하는 드럼식 건조 세탁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14058A (ko) 세탁기
JP4893504B2 (ja) 洗濯機
JP2010194024A (ja) 洗濯機
KR20040108249A (ko) 드럼세탁기의 댐퍼 어셈블리
EP0811716A2 (en) Washing machine
KR20210132583A (ko) 의류 처리 장치, 방진 장치
JP7509651B2 (ja) 衣類処理装置、防振装置
KR20140016091A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07330763A (ja) 洗濯機
JP2007007139A (ja) 洗濯機
JP2021171363A (ja) 衣類処理装置、防振装置
JP2021171362A (ja) 衣類処理装置、防振装置
JP2009153651A (ja) 洗濯機
JPH08215477A (ja) 電気洗濯機の防振装置
JP2014226248A (ja) 洗濯機
KR100437781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저감장치
KR10214865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20060083A (ko) 세탁기용 진동 절연 장치
JP2007061123A (ja) 洗濯機
KR100685977B1 (ko) 드럼세탁기
KR101175732B1 (ko) 드럼세탁기의 댐퍼구조
JP2019051193A (ja) 洗濯機
KR100189133B1 (ko) 세탁기
JP2010207442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