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346B1 -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346B1
KR100798346B1 KR1020070048976A KR20070048976A KR100798346B1 KR 100798346 B1 KR100798346 B1 KR 100798346B1 KR 1020070048976 A KR1020070048976 A KR 1020070048976A KR 20070048976 A KR20070048976 A KR 20070048976A KR 100798346 B1 KR100798346 B1 KR 100798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nd bar
diaphragm
vehicle
lock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트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트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트라스
Priority to KR102007004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346B1/ko
Priority to US12/593,761 priority patent/US8016513B2/en
Priority to PCT/KR2008/000289 priority patent/WO2008143393A1/en
Priority to MYPI20094905A priority patent/MY161739A/en
Priority to CN2008800165098A priority patent/CN101680200B/zh
Priority to CN 201110092794 priority patent/CN10214078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들목과 같은 곳에 설치되어 차량이 충돌할 경우 완충용 격판의 이동을 브레이크 방식으로 저지하여 차량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차량과 충돌하는 최전방의 격판에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를 설치하고; 상기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의 내경(10a)에는 환봉(20)을 삽입하고; 상기 환봉(20)의 선단부를 상기 레일(1)의 선단부에 고정시키되, 상기 환봉(20)의 자유단부는 최후방 격판까지 미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환봉(20)의 끝단부에는 원뿔형상의 경사부(121)와 걸림부(122)를 구비한 록킹환봉(120)을 연결하되, 상기 록킹환봉(120)의 자유단부를 최후방 격판을 관통하도록 하며; 상기 록킹환봉(120)이 관통하는 상기 최후방 격판의 외측에는 차량의 충돌시에는 상기 록킹환봉(120)이 자유로이 관통하도록 한편 차량충돌 종료 후 타이어의 팽창에 따른 상기 록킹환봉(120)의 후퇴를 방지하기 위한 록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충돌, 폐타이어, 충격흡수장치, 격판, 걸림용홈, 충격속도조절수단, 록킹환봉, 록커

Description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Apparatus for absorbing an impact in car crushing}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주요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격판 사이에 폐타이어들이 장착되어 나들목에 설치된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또다른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주요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래더고정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치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최초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차량 충돌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차량 충돌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차량 충돌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주요부분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격판이동속도조절구의 부분 절개 확대사시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격판이동속도조절부재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최초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차량 충돌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5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차량 충돌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차량 충돌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최초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차량 충돌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록커의 분해사시도;
도 21은 록킹 환봉이 록커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22와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차량 충돌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개략적인 단면도;
도 24a 내지 도 24c는 차량충돌시 록커와 록킹환봉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이용되는 록킹환봉의 해제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6a와 도 26b는 록킹환봉을 제거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이용되는 록커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8은 도 20에 도시된 변형예의 록커에 록킹 환봉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29a 내지 도 29c는 차량충돌시 변형예의 록커와 록킹환봉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0은 폐타이어를 삭제하고 격판이동속도조절구와 환봉만을 이용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31은 도 30에 도시한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2a 및 도 32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차량 충돌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격판이동속도조절구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레일 2: 래더
3: 격판 4: 폐타이어
4a: 공기유출입용 개구 5: 래더고정장치
5a: 걸림앵커 10: 격판이동속도조절구
20: 환봉 41,42: 환봉고정용 브라켓
50: 래더고정장치 해제용 치구 120: 록킹환봉
121: 경사부 122: 걸림부
130, 230: 록커 131,231: 록커 몸체
131a, 231a: 관통공 131b,231b: 요홈
132,232: 슬라이더 133,233: 탄성부재
134,234: 고정판 135,235: 슬라이더이송구
500: 커버
본 발명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들목과 같은 곳에 설치되어 차량이 충돌할 경우 완충용 격판의 이동을 브레이크 방식으로 저지하여 차량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경제적 규모의 확대 및 소득 증가로 인한 교통량의 급격한 팽창, 그리고 차량 성능 향상에 따른 도로 교통의 고속화로 교통사고가 날로 증가하 고 있고, 교통 사고 형태도 대형화되어 막대한 국가 사회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으며, 또한 교통사고 중 특히 차량 단독 사고가 통계상으로 급격한 증가추세에 있어 노변 시설물을 정비하고 엄격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입증된 방호 구조물의 설치가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방호 구조물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가드레일 및 이 가드레일의 전방에 설치되는 도로용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가 있다.
여기에서 가드레일은 도로의 양쪽 외측 또는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되어 도로의 차량 주행폭을 구획하면서 차량이 도로의 외측으로 벗어날 경우 노변의 위험으로부터 승객 및 차량을 보호하고 그 방향을 완만하게 유도시켜 뒤따르는 후속사고를 방지하는 동시에 차량 탑승자 및 차량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도로용 차량충돌 충격방지장치는 가드레일 또는 콘크리트구조물 전방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진행하는 차량이 충돌할 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 중 도로용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는 단순히 5~10 정도의 타이어들을 함께 끈으로 묶어 가드레일이나 콘크리트구조물 전방에 설치한 것이나, 이는 오히려 안전사고를 더욱 발생시키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즉, 상기 타이어들은 가드레일이나 콘크리트구조물 전방에 단순히 고정됨이 없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차량 충돌 발생시 타이어들이 튀어나가 다른 차량들의 안전운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으로 발생되었고, 또한 상기 타이어들을 가드레일이나 콘트리트구조물에 고정시킨다 해도 타이어 재질이 완충효과를 서서히 발생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이 튕겨져 나가 다른 차량과의 추돌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다수의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차량이 충돌하여 전방 격판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앵커가 래더의 홈에 록킹된 상태에서 폐타이어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래더가 역방향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 종래의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실용신안등록 제390585호 및 제412263호)를 등록받은바, 있는바,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보와 같이 종래의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는 지면에 앵커볼트(도시하지 않았음)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2개의 레일들(1)이 설치되고, 이 레일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홈(2a)이 형성된 래더(2)가 배치되며, 각각의 레일(1)에는 지지가이더(3a)가 하부에 형성된 격판(3)이 끼워지는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격판(3)사이에는 폐타이어(4)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도 2에서 가장 우측에 있는 격판(3)은 레일(1)의 끝단부에 위치되어 고정판(3b)에 의해 우측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하였다.
도 1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첫번째와 두번째 격판(3)의 하부에는 앵커(3c)가 위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래더(2)에 형성된 홈(2a))에 록킹되되도록 하였는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래더(2), 앵커(3c), 폐타이어(4) 및 개구(4a)의 역할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게 허여된 실용신안등록 제367001호, 제376121호 및 제 390585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래더(2)의 후단에는 래더홈(2a)의 양측으로 걸림앵커 홀(2b)을 형성하여 래더고정장치(5)의 걸림앵커(5a)의 걸림부가 삽입되어 걸리게 되며, 이러한 래더고정장치(5)와 롤러(6)에 대해서는 실용신안등록 제412263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차량이 충돌할 경우 도 2에서의 좌측으로부터 상당한 순간적인 충돌힘이 격판(3)에 가해지게 되는바, 비록 폐타이어(4)를 이용할지라도 순간적인 힘을 모두 흡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폐타이어에 의한 수축력을 이용할지라도 순간적인 충돌힘이 가해질 경우 격판들(3)이 너무나 빨리 후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충돌 충격흡수장치 자체가 파손되어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충돌시 격판이 순간적으로 빨리 이동하는 대신에 서서히 이동되도록 하면서 차량의 충돌력을 완화시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더고정장치(5)는 차량의 충돌후 축봉(7a)과 일체로 형성된 레버(7)를 수동으로 돌림으로써 래더(2)를 해제하여 수축된 타이어(4)을 원래위치로 복귀하도록 하였으나, 노견에 설치할 경우 누구나 레버(7)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충돌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경우 사고의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환봉과 브레이크수단을 이용한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를 안출하여 등록받은바 있는바(실용신안등록 제424297호), 이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424297호의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었는바, 도 3a에서 도 1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부품을 나타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과 충돌하는 최전방의 격판(3)에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가 도 4에서와 같이 볼트(11)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의 내경(10a)에는 환봉(20)이 삽입되며, 환봉(20)의 선단부는 레일(1)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환봉(20)의 삽입을 위해 격판(3)에는 환봉(20) 삽입용 개구(31)와 볼트(11) 삽입용 개구(31)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환봉(20)은 선단부가 만곡되어 레일(1)의 선반부에 고정된 경사판(40)에 브라켓(41,42)과 볼트(43)로서 고정되는바, 브라켓(43)과 경사판(40)에는 다수의 관통공만이 형성되고, 브라켓(42)에는 도 3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구멍(42a)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는 차량충돌 후 래더고정장치(5)를 래더(2)의 홈(2b)으로부터 해제하여 충돌시 수축된 폐타이어(4)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래더고정장치 해제용 치구(50)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를 위해 래더고정장치(5)의 축봉(7a)에는 2개의 요홈(7b)이 형성되어 있고, 치구(50)에는 상기 요홈(7b)에 삽입되는 2개의 돌기 (50a)를 구비하였다. 따라서, 래더고정장치(5)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치구(50)의 돌기(50a)를 요홈(7b)에 삽입하여 돌림으로써 래더고정장치(5)가 회전하게되는 것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는 도로의 나들목 등에 설치 운영될 수 있는 것이며, 이렇게 설치된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환봉(20)은 좌측으로부터 3번째의 격판(3)까지만 관통되어 있는바,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타이어(4)는 전면(최좌측)으로부터 후방까지 완전히 수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환봉(20)의 길이를 전체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한 것이다.
도로의 나들목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차량이 충돌할 경우에는 폐타이어(4)가 수축하게 되는데, 이 경우 폐타이어(4) 내부에 있던 공기가 개구(4a)를 통해 빠져나가게 됨과 동시에 도 9의 좌측에서 부터 첫번째 및 두번째 격판(3)의 하부에 장착한 앵커(3c)의 경사부가 래더(2)의 홈(2a)을 타고 넘어가서 다음의 홈(2a)을 순차적으로 지나가게 되는바, 이러한 과정은 차량의 충돌력에 의해 정해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이 충돌하여 멈추게 되면 앵커(3c)의 로킹면이 해당 홈(2a)에 걸리게 되고, 폐타이어(4)는 도 9와 같이 수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됨으로써 폐타이어(4)의 2차적인 팽창(수축후 인위적인 팽창)을 예방하여 차체의 손상 및 인명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실용신안 등록 제424297호는 어느정도 차량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나, 현장에 설치 운영시 치명적인 결함이 있을 수도 있다.
즉, 환봉(20)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설치시(차량충돌전)에는 후방 격판까지 늘어져 있지 않으므로 도 9에서와 같이 차량이 충돌할 경우에는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가 환봉(20)을 타고 넘어가는 도중에 환봉(20)이 실질적으로 부위(20a) 만큼 약 150mm~200mm정도 늘어나게 되는바, 이때 환봉이 중간의 격판중 임의의 격판에 걸려서 구부러질 염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사고 수습후 격판의 원위치 복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어 원상복구후 재사용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봉의 일측이 레일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그의 자유단부는 최후방 격판에 형성된 개구를 자유로이 관통하도록 걸쳐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격판이동속도조절구에 의해 늘어간 환봉의 부위가 격판등에 부딪혀 만곡되지 않도록 하여 장치의 복구율및 정확한 작동을 부여하도록 한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충돌후 격판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래더와 래더고정장치가 없이도 수축된 타이어의 팽창력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격판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폐타이어들과 래더 및 앵커가 없어도 완충용 격판의 이동을 브레이크 방식으로 저지하여 차량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는, 외주연에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며, 여러 개를 상호적층 방식으로 고정된 폐타이어가 고정되고 레일을 따라 폐타이어의 압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수의 격판들과, 상기 격판들 중 일부의 격판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충돌시 레일들 사이에 위치된 래더에 탄성적으로 걸림 유지되도록 한 앵커와, 차량충돌 전에는 상기 래더의 이동을 억제하여 상기 래더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고, 차량 충돌후에는 수축된 폐타이어를 확장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해제 가능한 래더고정장치를 구비한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차량과 충돌하는 최전방의 격판에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격판이동속도조절구를 설치하고; 상기 격판이동속도조절구의 내경에는 환봉을 삽입하고; 상기 환봉의 선단부를 상기 레일의 선단부에 고정시키되, 환봉은 일측이 레일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그의 자유단부는 최후방 격판에 형성된 개구를 자유로이 관통하도록 걸쳐있도록 하여 차량충돌시 팽창되는 환봉이 후방격판의 외측으로 늘어나도록 하여 격판이동속도조절구의 진행을 전혀 방해 받지 않도록 하고, 차량충돌 사고 정리후 격판의 원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격판이동속도조절구는, 전면 내경이 라운딩져 있고, 후면 내경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고강도 삽입체로서 이중구조를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외주연에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며, 여러 개를 상호적층 방식으로 고정된 폐타이어가 고정되고 레일을 따라 폐타이어의 압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수의 격판들을 구비한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가 개시되는바, 이는 차량과 충돌하는 최전방의 격판에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격판이동속도조절구를 설치하고; 상기 격판이동속도조절구의 내경에는 환봉을 삽입하고; 상기 환봉의 선단부를 상기 레일의 선단부에 고정시키되, 상기 환봉의 자유단부는 최후방 격판까지 미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환봉의 끝단부에는 원뿔형상의 경사부와 걸림부를 구비한 록킹환봉을 연결하되, 상기 록킹환봉의 자유단부가 최후방 격판을 관통하도록 하며; 상기 록킹환봉이 관통하는 상기 최후방 격판의 외측에는 차량의 충돌시에는 상기 록킹환봉이 자유로이 관통하도록 한편 차량충돌 종료 후 타이어의 팽창에 따른 상기 록킹환봉의 후퇴를 방지하기 위한 록커를 구비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록킹환봉은, 그의 일단부에 나사 탭이 형성되어 상기 환봉에 형성된 볼트산과 회전방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하고; 그의 타단부에는 차량충돌후 상기 격판들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소정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록킹환봉의 타단부 형상은, 상기 록킹환봉을 상기 환봉으로부터 회전방식으로 용이하게 해제하는데 조력하기 위한 삼각형, 사각형 또는 5각형상 중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록커는 록킹환봉이 관통하는 관통공과, 요홈 및 다수의 나사탭이 형성되어 상기 최후방 격판의 외측에 고정 가능한 몸체와; 상기 요홈 내에서 활주 가능하되, 상기 록킹환봉의 진입을 용이하도록 하는 확개경사부와, 일단 진입된 록킹환봉의 반대방향 이동을 억지하도록 하는 걸림부를 구비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력부재와; 상기 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탄력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고정 가능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행정을 조정하도록 한 슬라이더 이송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록커는 1개의 몸체내에 2개의 슬라이더와, 2개의 탄력부재와, 2개의 고정판과, 2개의 슬라이더 이송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충돌후 상기 록킹환봉을 상기 환봉으로부터 해제하여 충돌시 수축된 폐타이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록킹환봉 분리용 치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는, 차량과 충돌하는 최전방의 격판에는 전면 내경이 라운딩져 있고 후면 내경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고강도 삽입체로서 이중구조를 갖도록 제작된 다수의 격판이동속도조절구를 설치하고; 상기 격판이동속도조절구들의 내경에는 각각 환봉들을 삽입하고; 환봉들의 각각의 선단부를 상기 레일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시키되, 상기 환봉들의 각각의 자유단부는 최후방 격판에 형성된 개구들을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상기 각각의 격판이동속도조절구들이 상기 각각의 환봉을 타고 전진하여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며; 상기 격판 위에는 차량의 충돌시 상기 격판과 함께 후방측으로 활주 가능한 다수의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 격판이동속도조절구는, 최전방의 격판상에 적어도 2개가 상기 각각의 환봉을 따라 이동하도록 직렬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2개의 격판이동속도조절구들의 내경은 서로 상이하되; 상기 환봉에 직렬상태로 장착된 2개의 격판이동속도조절구들중 후방측에 장착된 격판이동속도조절구의 내경이 전방격판상에 장착된 격판이동속도조절구의 내경 보다 크게 제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판이동속도조절구는 최전방의 격판외에 나머지 격판중 어느 1개 이상의 격판에도 설치되어 확실하게 충돌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의 주요 구성부품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도 10에서 도 3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부품을 나타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 필수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과 충돌하는 최전방의 격판(3)에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가 고정된다.
한편,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는 차량충돌시 최전방 격판이 전방으로 진행할 경우 환봉(20)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전면 내경이 라운딩져 있고, 후면 내경이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는바, 이를 위해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는 전면 내경이 라운딩져 있고, 후면 내경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고강도 삽입체(10b)로서 이중구조를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봉(20)의 삽입을 위해 격판(3)에는 환봉(20) 삽입용 개구(31)와 볼트(11) 삽입용 개구(3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 충돌전 환봉(20)은 일측이 레일(1)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그의 자유단부는 최후방 격판에 형성된 개구(3c)를 자유로이 관통하도록 걸쳐있으나, 차량충돌시에는 도 16에서와 같이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가 환봉(20)을 밀고 전진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환봉(20)자체가 소정 길이 만큼 늘어나게 되는데, 후방격판에 형성된 개구(3c)를 통해 환봉(20)의 늘어난 길이가 우측으로 돌출될 수 가 있으므로, 차량사고 수습후이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래더 및 래더고정장치를 완전히 삭제한 것이다. 다시말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차량의 충돌후 격판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래더와 래더고정장치가 없이도 수축된 타이어의 팽창력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과 도 17을 비교해보면, 도 17에서는 래더(2)와 래더고정장치(5)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17 내지 도 19에서와 같이 차량과 충돌하는 최전방의 격판에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를 설치하고,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의 내경(10a)에는 환봉(20)을 삽입하고, 환봉(20)의 선단부를 상기 레일(1)의 선단부에 고정시키되, 상기 환봉(20)의 자유단부는 최후방 격판까지 미치지 못하도록 하고, 환봉(20)의 끝단부에는 원뿔형상의 경사부(121)와 걸림부(122)를 구비한 록킹환봉(120)을 연결하되, 록킹환봉(120)의 자유단부가 최후방 격판을 관통하도록 하며, 록킹환봉(120)이 관통하는 최후방 격판의 외측에는 차량의 충돌시에는 록킹환봉(120)이 자유로이 관통하도록 구성하는 한편 차량충돌 종료 후 타이어의 팽창에 따른 상기 록킹환봉(120)의 후퇴를 방지하기 위한 록커(130)를 구비하였다.
록킹환봉(120)은 도 21에서와 같이, 그의 일단부에 나사 탭(123)이 형성되어 환봉(20)에 형성된 볼트산(20a)과 회전방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하고, 그의 타단부에는 차량충돌후 격판들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소정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였는바, 록킹환봉(120)의 타단부 형상은 록킹환봉(120)을 환봉(20)으로부터 회전방식으로 용이하게 해제하는데 조력하기 위한 삼각형, 사각형 또는 5각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록커(130)는 록킹환봉(120)이 관통하는 관통공(131a)과, 요홈(131b) 및 다수의 나사탭(131c)이 형성되어 상기 최후방 격판의 외측에 고정 가능한 몸체(131)와, 요홈(131b)내에서 활주 가능하되, 록킹환봉(120)의 진입을 용이하도록 하는 확개경사부(132a)와, 일단 진입된 록킹환봉(120)의 반대방향 이동을 억지하도록 하는 걸림부(132b)를 구비한 슬라이더(132)와, 이 슬라이더(132)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력부재(133)와, 몸체(131)에 고정되어 탄력부재(13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판(134)과, 고정판(134)에 고정 가능하여 슬라이더(132)의 이동행정을 조정하도록 한 슬라이더 이송구(13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에서와 같이 록커(130)를 다수의 볼트(140)를 이용하여 후방격판(3a)의 외측에 고정하고, 레일(1)에는 다수의 격판(3)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후 환봉(2)의 끝단부에는 도21에서와 같이 록킹환봉(120)을 연결한 다음, 이 록킹환봉(120)의 자유단부를 후방격판과 록커(130)를 관통시켜 도 19와 도 20과 같이 조 립한다.
이때 도 24a에서 알 수 있는바와 같이 록킹환봉(120)의 원뿔형경사부(121)는 록커(130)의 슬라이더(132)의 확개경사부(132a)를 통해 용이하게 화살표방향으로 관통 진입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탄성부재(133)은 슬라이더(132)를 하측으로 바이어스를 인가하여줌에 따라 슬라이더(132)의 걸림부(132b)는 록킹환봉(120)의 걸림부(수직부)(121)와 계합됨으로써 록킹환봉(120)은 도 24a의 화살표반대방향으로는 전혀 이탈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의 장치가 현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 22 및 도 23과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차량이 충돌할 경우 할 수 전술한 바와 같이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가 환봉(20)을 타고 진행함에 따라 환봉(20) 자체가 늘어남에 따라 록킹환봉(120)역시 도 24b에서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진행하게되는바, 이때 슬라이더(132)와 탄성부재(133)가 상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그후 충돌이 완료되면 타이어에 의한 팽창력에 의해 격판이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경향이 있는바, 이때에는 도 24c에서와 같이 슬라이더(132)와 탄성부재(133)가 화살표방향으로 하측으로 내려오게 되고, 슬라이더(132)의 걸림부(132b)가 록킹환봉(120)의 걸림부(122)와 단단히 계합됨으로써 록킹환봉(120)은 록커(13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충돌이 종료된후에는 본 발명의 장치를 원상태로 복귀시켜야만 하는바, 이를 위한 일련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상으로 복귀하고자 할 경우에는 치구(150)를 록 킹환봉(120)의 타단부에 삽입하여 도 26a와 같이 돌려 주면 록킹환봉(120)이 환봉(20)으로부터 분리되는바(도 26b 참조), 이때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는 도12d에서와 같이 환봉(20)으로부터 자유로이 후퇴함으로써, 격판들은 타이어의 팽창압력에 의해 신속하게 원상 복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래더와 래더고정장치가 없더라도 록커(130)와 록킹환봉(120)을 이용하더라도 매우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27 내지 도 29c에는 록커(130)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록커(230)는 록킹환봉(120)이 관통하는 관통공(231a)과, 요홈(231b) 및 다수의 나사탭(231c)이 형성되어 상기 최후방 격판의 외측에 고정 가능한 몸체(231)와, 요홈(231b)내에서 활주 가능하되, 상기 록킹환봉(120)의 진입을 용이하도록 하는 확개경사부(232a)와, 일단 진입된 록킹환봉(120)의 반대방향 이동을 억지하도록 하는 걸림부(232b)를 구비한 2개의 슬라이더(232)와; 각각의 슬라이더(232)에 탄성을 부여하는 2개의 탄력부재(233); 몸체(231)에 고정되어 상기 각각의 탄력부재(23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2개의 고정판(234)과; 각각의 고정판(234)에 고정 가능하여 각각의 슬라이더(232)의 이동행정을 조정하도록 한 2개의 슬라이더 이송구(235)를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록커(230)는 본 발명의 장치가 좀더 큰 장치로 사용할 경우 유용한 것이다.
도 30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제1및 제2실시예와는 달리 폐타이어를 삭제하고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와 환봉(20)을 이용한 것으로서, 복원능력이 없고 단순히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본 출원인은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는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에서 충돌시험을 한 결과 합격하였다. 따라서, 제3실시예는 제1 및 제2실시예와는 달리 폐타이어와 래더 및 앵커가 없더라도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와 환봉(20)만으로도 매우 완벽하게 차량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었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는 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격판들(3)을 구비하고, 2개의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가 최전방 격판에 설치되어 있는바, 2개의 격판이동속도조절구들(10)의 내경(10a)에는 각각 환봉들(20)이 삽입되고, 환봉들(20)의 각각의 선단부는 레일(1)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되, 환봉들(20)의 각각의 자유단부는 최후방 격판에 형성된 개구들(3c)을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각각의 격판이동속도조절구들(10)이 각각의 환봉(20)을 타고 전진하여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였다.
그리고, 격판(3) 위에는 차량의 충돌시 격판(3)과 함께 후방측으로 활주 가능한 다수의 커버(500)가 덮혀 있도록 되어 있는바, 이 커버(500)의 일측은 나사(도시하지 않았음)로서 격판에 고정됨과 동시에 홈(500b)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500)의 타측에는 절곡편(500a)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평시에는 절곡편(500a)이 인접된 커버(500)홈(500b)에 삽입되어 있도록 하고, 차량의 충돌시에는 격판의 이 동에 따라 절곡편(500a)이 홈(500b)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 32a와 도 32b와 같이 작동하게 되어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것인바, 이는 폐타이어가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및 도2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2a와 도 32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실시예는 폐타이어가 없으므로 복원 능력이 없고 단순히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것임을 밝혀둔다.
도 33에는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의 다른 변형을 도시하였는바, 이는 최전방의 격판상에 적어도 2개가 상기 각각의 환봉을 따라 이동하도록 직렬상태로 장착되며, 2개의 격판이동속도조절구들(10)의 내경은 서로 상이하되, 환봉에 직렬상태로 장착된 2개의 격판이동속도조절구들(10)중 후방측에 장착된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의 내경이 전방격판상에 장착된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의 내경 보다 크게 제작되도록 하여 차량의 충격을 2중으로 흡수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3실시예는 폐타이어와 래더(2) 및 앵커(3c)가 없이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와 환봉(20)만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충격을 흡수만 하고 그 대신 복원능력이 없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경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이 충돌할 경우 완충용 격판의 이동을 브레이크 방식으로 저지하여 차량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후 격판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래더와 래더고 정장치가 없이도 수축된 타이어의 팽창력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폐타이어와 래더 및 앵커가 없이 격판이동속도조절구와 환봉만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충격을 흡수만 하고 그 대신 복원능력이 없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경감할 수 있으므로, 설치조건 및 구매자의 요청에 부응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는 최전방의 격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최전방 격판은 물론 나머지 격판중 어느 1개 이상의 격판에도 설치될 수 있는바, 이는 본 발명의 차량충돌충격흡수장치의 길이에 따라 최전방의 격판 뿐만 아니라 중간부위에 있는 격판에도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격판이 7개 있을 경우 최전방의 격판(첫번째 격판), 4,5번째의 격판에도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가 설치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외주연에 다수의 개구(4a)가 형성되며, 여러 개를 상호적층 방식으로 고정된 폐타이어(4)가 고정되고 레일(1)을 따라 폐타이어(4)의 압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수의 격판들(3)과, 상기 격판(3)들중 일부의 격판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충돌시 레일들 사이에 위치된 래더(2)에 탄성적으로 걸림 유지되도록 한 앵커(3c)와, 차량충돌 전에는 상기 래더(2)의 이동을 억제하여 상기 래더(2)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고, 차량 충돌후에는 수축된 폐타이어(4)를 확장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해제 가능한 래더고정장치(5)를 구비한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차량과 충돌하는 최전방의 격판에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를 설치하고;
    상기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의 내경(10a)에는 환봉(20)을 삽입하고;
    상기 환봉(20)의 선단부를 상기 레일(1)의 선단부에 고정시키되, 상기 환봉(20)의 자유단부는 최후방 격판에 형성된 개구(3c)를 자유로이 관통하도록 걸쳐있어 상기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가 상기 환봉(20)을 타고 전진할 경우 환봉의 늘어진 길이가 격판에 부딪혀 만곡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는,
    전면 내경이 라운딩져 있고, 후면 내경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고강도 삽입 체(10b)로서 이중구조를 갖도록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충격 흡수장치.
  3. 외주연에 다수의 개구(4a)가 형성되며, 여러 개를 상호적층 방식으로 고정된 폐타이어(4)가 고정되고 레일(1)을 따라 폐타이어(4)의 압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수의 격판들(3)을 구비한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차량과 충돌하는 최전방의 격판에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를 설치하고;
    상기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의 내경(10a)에는 환봉(20)을 삽입하고;
    상기 환봉(20)의 선단부를 상기 레일(1)의 선단부에 고정시키되, 상기 환봉(20)의 자유단부는 최후방 격판까지 미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환봉(20)의 끝단부에는 원뿔형상의 경사부(121)와 걸림부(122)를 구비한 록킹환봉(120)을 연결하되, 상기 록킹환봉(120)의 자유단부가 최후방 격판을 관통하도록 하며;
    상기 록킹환봉(120)이 관통하는 상기 최후방 격판의 외측에는 차량의 충돌시, 상기 록킹환봉(120)이 자유로이 관통하도록 구성하는 한편 차량충돌 종료 후 타이어의 팽창에 따른 상기 록킹환봉(120)의 후퇴를 방지하기 위한 록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환봉(120)은,
    그의 일단부에 나사 탭(123)이 형성되어 상기 환봉(20)에 형성된 볼트 산(20a)과 회전방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하고;
    그의 타단부에는 차량충돌후 상기 격판들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소정 형상의 단면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충격 흡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환봉(120)의 타단부 형상은,
    상기 록킹환봉(120)을 상기 환봉(20)으로부터 회전방식으로 용이하게 해제하는데 조력하기 위한 삼각형, 사각형 또는 5각형상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충격 흡수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는,
    상기 록킹환봉(120)이 관통하는 관통공(131a)과, 요홈(131b) 및 다수의 나사탭(131c)이 형성되어 상기 최후방 격판의 외측에 고정 가능한 몸체(131)와;
    상기 요홈(131b)내에서 활주 가능하되, 상기 록킹환봉(120)의 진입을 용이하도록 하는 확개경사부(132a)와, 일단 진입된 록킹환봉(120)의 반대방향 이동을 억지하도록 하는 걸림부(132b)를 구비한 슬라이더(132)와;
    상기 슬라이더(132)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력부재(133)와;
    상기 몸체(131)에 고정되어 상기 탄력부재(13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판(134)과;
    상기 고정판(134)에 고정 가능하여 상기 슬라이더(132)의 이동행정을 조정하도록 한 슬라이더 이송구(135)를 포함한 록커(130)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충격 흡수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는,
    상기 록킹환봉(120)이 관통하는 관통공(231a)과, 요홈(231b) 및 다수의 나사탭(231c)이 형성되어 상기 최후방 격판의 외측에 고정 가능한 몸체(231)와;
    상기 요홈(231b)내에서 활주 가능하되, 상기 록킹환봉(120)의 진입을 용이하도록 하는 확개경사부(232a)와, 일단 진입된 록킹환봉(120)의 반대방향 이동을 억지하도록 하는 걸림부(232b)를 구비한 2개의 슬라이더(232)와;
    상기 각각의 슬라이더(232)에 탄성을 부여하는 2개의 탄력부재(233);
    상기 몸체(231)에 고정되어 상기 각각의 탄력부재(23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2개의 고정판(234)과;
    상기 각각의 고정판(234)에 고정 가능하여 상기 각각의 슬라이더(232)의 이동행정을 조정하도록 한 2개의 슬라이더 이송구(235)를 포함한 록커(230)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충격 흡수장치.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충돌후 상기 록킹환봉(120)을 상기 환봉(20)으로부터 해제하여 충돌시 수축된 폐타이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록킹환봉 분리용 치구(15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9. 차량의 충돌시 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격판들(3)을 구비한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차량과 충돌하는 최전방의 격판에는 전면 내경이 라운딩져 있고 후면 내경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고강도 삽입체(10b)로서 이중구조를 갖도록 제작된 다수의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를 설치하고;
    상기 격판이동속도조절구들(10)의 내경(10a)에는 각각 환봉들(20)을 삽입하고;
    상기 환봉들(20)의 각각의 선단부를 상기 레일(1)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시키되, 상기 환봉들(20)의 각각의 자유단부는 최후방 격판에 형성된 개구들(3c)을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상기 각각의 격판이동속도조절구들(10)이 상기 각각의 환봉(20)을 타고 전진하여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며;
    상기 격판(3)위에는 차량의 충돌시 상기 격판(3)과 함께 후방측으로 활주 가능한 다수의 커버(50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는,
    최전방의 격판상에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각각의 환봉을 따라 이동하도록 직렬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2개 이상의 격판이동속도조절구들(10)의 내경은 서로 상이하되;
    상기 환봉에 직렬상태로 장착된 격판이동속도조절구들(10)중 후방측에 장착된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의 내경이 전방격판상에 장착된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의 내경 보다 크게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이동속도조절구(10)는,
    최전방의 격판외에 나머지 격판중 어느 1개 이상의 격판에도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20070048976A 2006-09-04 2007-05-21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0798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976A KR100798346B1 (ko) 2006-09-04 2007-05-21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US12/593,761 US8016513B2 (en) 2006-09-04 2008-01-17 Apparatus for absorbing impact of vehicle collision
PCT/KR2008/000289 WO2008143393A1 (en) 2007-05-21 2008-01-17 Apparatus for absorbing impact of vehicle collision
MYPI20094905A MY161739A (en) 2007-05-21 2008-01-17 Apparatus for absorbing impact of vehicle collision
CN2008800165098A CN101680200B (zh) 2007-05-21 2008-01-17 车辆碰撞冲击吸收设备
CN 201110092794 CN102140781B (zh) 2007-05-21 2008-01-17 车辆碰撞冲击吸收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84455 2006-09-04
KR1020060084455 2006-09-04
KR1020070048976A KR100798346B1 (ko) 2006-09-04 2007-05-21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346B1 true KR100798346B1 (ko) 2008-01-28

Family

ID=3921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976A KR100798346B1 (ko) 2006-09-04 2007-05-21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16513B2 (ko)
KR (1) KR10079834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344B1 (ko) * 2008-05-27 2008-11-19 광주광역시 남구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101000588B1 (ko) 2009-09-18 2010-12-10 최복식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01063322B1 (ko) 2011-05-11 2011-09-07 이은섭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KR101381407B1 (ko) * 2012-06-25 2014-04-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 충격 흡수 장치
KR102118206B1 (ko) 2019-08-23 2020-06-02 주식회사 정원로드 도로용 충격 완충장치
KR20200086430A (ko) 2019-01-09 2020-07-17 주식회사 정원로드 도로용 충격완충장치
KR102455130B1 (ko) * 2021-09-30 2022-10-17 주식회사 코트라스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KR102455125B1 (ko) * 2021-09-30 2022-10-17 주식회사 코트라스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428A (ko) * 2009-06-09 2010-12-17 (주) 임팩트 블랙홀 압연관 표면 드래그(drag)에 의한 운동 마찰력과 압연력을 이용한 차량충격을 흡수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충격흡수장치
US8128310B2 (en) * 2009-09-29 2012-03-06 Unified Designs, Inc. Vehicle restraint system
US8469626B2 (en) 2010-04-15 2013-06-25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Energy absorbing vehicle barrier
NZ593354A (en) * 2011-06-09 2012-01-12 Axip Ltd Crushable impact absorbing road barrier
ITBO20130115A1 (it) * 2013-03-15 2014-09-16 Impero Pasquale Attenuatore d'urto stradale
ITBO20130448A1 (it) * 2013-08-06 2015-02-07 Pasquale Impero Barriera di assorbimento di urti frontali per l'impiego in circuiti di gara automobilistici o motociclistici
ES2784348T3 (es) 2015-03-05 2020-09-24 Ticopter Sa Absorbedor de choques compresible y método asociado
US9611600B2 (en) * 2015-06-04 2017-04-04 Dae Sung Kim Car shock absorber and car shock absorbing device using the same
ITUB20155211A1 (it) * 2015-10-22 2017-04-22 Pasquale Impero Sistema di guida della deformazione per un dispositivo di sicurezza stradale e gruppo dispositivo di sicurezza stradale
EP3222781B1 (de) * 2016-03-23 2019-03-06 SPS Schutzplanken GmbH Energieabsorbierendes fahrzeugrückhaltesystem
WO2020217632A1 (ja) * 2019-04-24 2020-10-29 村田機械株式会社 緩衝装置、スタッカクレーン、搬送システム及び緩衝装置用治具
US20210277615A1 (en) * 2020-03-09 2021-09-09 Trinity Highway Products Llc Crash cushion
US11603635B2 (en) * 2020-04-15 2023-03-14 Lindsay Transportation Solutions, Llc Crash cushion with improved reinforcing cable system
RU199464U1 (ru) * 2020-05-20 2020-09-02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очинвест"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фронтальное ограждение для автодорог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4540A (en) 1973-01-17 1976-01-27 Bruner A J Barrier
KR950006150A (ko) * 1993-08-31 1995-03-20 백전호 폐타이어 활용 분리대의 구성방법(제2안)
KR19990018266U (ko) * 1997-11-10 1999-06-05 김형배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잠금장치
KR200367001Y1 (ko) 2004-08-09 2004-11-06 신현수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KR200424297Y1 (ko) 2006-06-05 2006-08-17 신현수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3716A (en) * 1982-05-19 1986-04-22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Universal anchor assembly for impact attenuation device
US4674911A (en) * 1984-06-13 1987-06-23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Energy absorbing pneumatic crash cushion
US4815565A (en) * 1986-12-15 1989-03-28 Sicking Dean L Low maintenance crash cushion end treatment
US5022782A (en) * 1989-11-20 1991-06-11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Vehicle crash barrier
IT1273583B (it) * 1995-04-19 1997-07-08 Snoline Spa Barriera stradale a struttura modulare atta ad assorbire gradualmente energia,nell'impatto di veicoli
JP3841314B2 (ja) 1996-06-05 2006-11-01 藤倉航装株式会社 衝撃吸収エアバック
US6179516B1 (en) * 1998-07-28 2001-01-30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Pipe rack crash cushion
WO2003095247A2 (en) * 2002-05-13 2003-11-20 Sung Ku Kang Vehicular impact absorbing apparatus having cushion pins
US6962245B2 (en) * 2002-06-01 2005-11-08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Variable force energy dissipater and decelerator
CA2579047C (en) * 2004-09-15 2011-01-25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Crash cushion
US7168880B2 (en) * 2004-11-17 2007-01-30 Battelle Memorial Institute Impact attenuator system
KR100765954B1 (ko) 2004-12-10 2007-10-10 (주) 임팩트 블랙홀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4540A (en) 1973-01-17 1976-01-27 Bruner A J Barrier
KR950006150A (ko) * 1993-08-31 1995-03-20 백전호 폐타이어 활용 분리대의 구성방법(제2안)
KR19990018266U (ko) * 1997-11-10 1999-06-05 김형배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잠금장치
KR200367001Y1 (ko) 2004-08-09 2004-11-06 신현수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KR200424297Y1 (ko) 2006-06-05 2006-08-17 신현수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344B1 (ko) * 2008-05-27 2008-11-19 광주광역시 남구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101000588B1 (ko) 2009-09-18 2010-12-10 최복식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01063322B1 (ko) 2011-05-11 2011-09-07 이은섭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KR101381407B1 (ko) * 2012-06-25 2014-04-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 충격 흡수 장치
KR20200086430A (ko) 2019-01-09 2020-07-17 주식회사 정원로드 도로용 충격완충장치
KR102118206B1 (ko) 2019-08-23 2020-06-02 주식회사 정원로드 도로용 충격 완충장치
KR102455130B1 (ko) * 2021-09-30 2022-10-17 주식회사 코트라스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KR102455125B1 (ko) * 2021-09-30 2022-10-17 주식회사 코트라스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80652A1 (en) 2010-04-01
US8016513B2 (en) 201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346B1 (ko)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CN106223193B (zh) 一种道路和路口处缓冲防撞结构
US6637971B1 (en) Reusable high molecular weight/high density polyethylene guardrail
KR101053878B1 (ko)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CN111593690B (zh) 一种缓冲式公路防护栏
KR20000030887A (ko) 도로용 충격 흡수대
KR100590118B1 (ko) 교량 상단의 차량충돌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US10597834B2 (en) Crash barrier system with different intervals
CN102140781B (zh) 车辆碰撞冲击吸收设备
KR200412263Y1 (ko)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KR200424297Y1 (ko)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0603511B1 (ko) 도로 터널입구 충격흡수시설
KR101080182B1 (ko) 가이드레일의 충격흡수장치
KR100645093B1 (ko)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KR20110043005A (ko) 슬라이딩 빔을 이용한 충격완화 고성능 가드레일
KR101273410B1 (ko) 차량용 충격흡수완화장치
KR101131438B1 (ko) 단부용 충격흡수시설물
KR200390585Y1 (ko)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1328677B1 (ko) 충격완화형 가드레일
KR200376121Y1 (ko)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KR200175516Y1 (ko) 도로용 충격 흡수대
EP3190232B1 (de) Unterfahrschutz
KR100739413B1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KR200376094Y1 (ko) 원상 복구력을 가진 완충장치가 구비된 가드레일
US20090196689A1 (en) Collapsible traffic barric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