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125B1 -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125B1
KR102455125B1 KR1020210129753A KR20210129753A KR102455125B1 KR 102455125 B1 KR102455125 B1 KR 102455125B1 KR 1020210129753 A KR1020210129753 A KR 1020210129753A KR 20210129753 A KR20210129753 A KR 20210129753A KR 102455125 B1 KR102455125 B1 KR 102455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etal rod
collision
shock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트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트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트라스
Priority to KR1020210129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3Protecting devices located at the ends of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8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mobil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충격흡수를 위해 설치되는 금속봉에 용접 비드부를 다단으로 형성한 후 충돌헤드에 고정다이를 고정 설치하여 차량 충돌으로 후퇴될 때 다이가 용접 비드부 위치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인발응력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차량 충격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흡수하여 탑승자 안전에 관한 평가기준에 적합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로의 중앙분리대 또는 지하차도 및 터널의 입구측의 도로 구조물 전방에 설치되며, 지면에 매설된 충격흡수 기소블럭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11)과, 이 레일(11)에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 시 충돌 충격에 의해 단위 수축되는 충격흡수 완화부(12)와, 충돌력을 완충하는 충격완화수단 및 충격흡수 완화부의 전면에 구비된 충돌헤드(13)가 포함되는 충격 흡수 시설용 몸체(10)로서,
직경이 가는 봉형상으로 된 소직경부(D1)의 선단에는 레일(11)의 선단부에 클램프(14)로 위치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21)가 절곡 성형되고, 이 소직경부(D1)에 비하여 직경이 큰 대직경부(D)가 소직경부(D1)의 끝단에서 이어지도록 일체로 길게 연장 성형되는 금속봉(20)과,
상기 충돌헤드(13)의 내측으로 금속봉(30)의 소직경부(D)와 대직경부(D)의 경계 위치에 고정되어 차량 충돌이 발생될 때 대직경부(D)를 따라 이동되며 충돌력이 완충되도록 하는 고정다이(4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금속봉(20)은 대직경부(D)의 외측으로 용접 비드부(30)가 길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돌출되게 성형하되, 그 성형 간격은 고정부(21)가 마련된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점차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용접 비드부(30)가 고정다이(40)에 의해 금속모재 내부로 함몰되며 충돌력이 완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vehicle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충격흡수를 위해 설치되는 금속봉에 용접 비드부를 다단으로 형성한 후 충돌헤드에 고정다이를 고정 설치하여 차량 충돌으로 후퇴될 때 다이가 용접 비드부 위치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인발응력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차량 충격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흡수하여 탑승자 안전에 관한 평가기준에 적합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격 흡수시설은 운전자의 과실 등에 의해, 차량이 주행차로를 벗어나 도로상의 구조물과 충돌할 위험이 있는 곳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을 정지토록 하거나, 방향을 교정하여 안전하게 주행차로로 복귀시켜주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가 위험물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차량의 주행속도를 줄이거나, 차로 변경 등의 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부수적인 기능도 있다.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국도, 일반국도나 지방도중 도로 관리자가 필요성을 인정한 지점의 차량 충격흡수시설은 실물 충돌시험을 통과한 제품으로, 도로의 중앙분리대 또는 지하차도 및 터널의 입구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 시 충돌 충격을 흡수하면서 완화시켜 운전자의 부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충격 흡수장치는 통상적으로 지면에 매설된 충격흡수기소블럭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과, 이 레일에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 시 충돌 충격에 의해 단위 수축되는 충격흡수 완화부와, 충돌력을 완충하는 충격완화수단 및 충격흡수 완화부의 전면에 구비된 충돌헤드로 구성된다.
차량 충격 흡수장치의 충격 완화수단은 내부에 타이어를 수납하여 구성하거나 물이 채워진 다수의 물통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하게 된다.
또한 충격흡수 완화부는 전면에 구비되어 차량과 충돌되는 충돌헤드와 충돌헤드의 후방에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충돌 충격에 대하여 후퇴하도록 볼트 체결된 충돌완화 측판과 그 상부에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된 충돌완화 커버로 구성된다.
여기서, 충돌완화 측판에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공이 형성되고, 슬라이딩공에 조임 볼트가 체결되어 충돌충격에 대하여 충돌완화 측판이 마찰 및 후퇴하면서 충돌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종래, 차량 충격흡수 시설은 충돌완화 측판에 의해 차량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차량의 충격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흡수 할 수 없어 탑승자 안전에 관한 평가기준에 적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 특허 제10-1566382호 (등록일자 2015년10월30일)
국내 등록 특허 제10-1638290호 (등록일자 2016년07월04일)
이러한 종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봉에 용접 비드를 다단으로 형성하고, 충돌헤드에 고정 설치된 다이가 차량 추돌에 의한 충격 발생시 후퇴되며 용접 비드부에서 충격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탑승자 안전에 관한 평가기준에 적합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봉의 용접 비드부 사이 간격과 위치 및 수량을 가변하여 안전 평가기준에 적합한 인발응력을 구현 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충격 흡수에 매우 효과적인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정한 탑승자 충격속도(THIV)를 유도하고, 후방에서 충격에너지를 많이 흡수하게 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로의 중앙분리대 또는 지하차도 및 터널의 입구측의 도로 구조물 전방에 설치되며, 지면에 매설된 충격흡수 기소블럭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11)과, 이 레일(11)에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 시 충돌 충격에 의해 단위 수축되는 충격흡수 완화부(12)와, 충돌력을 완충하는 충격완화수단 및 충격흡수 완화부의 전면에 구비된 충돌헤드(13)가 포함되는 충격 흡수 시설용 몸체(10)로서,
직경이 가는 봉형상으로 된 소직경부(D1)의 선단에는 레일(11)의 선단부에 클램프(14)로 위치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21)가 절곡 성형되고, 이 소직경부(D1)에 비하여 직경이 큰 대직경부(D)가 소직경부(D1)의 끝단에서 이어지도록 일체로 길게 연장 성형되는 금속봉(20)과,
상기 충돌헤드(13)의 내측으로 금속봉(30)의 소직경부(D)와 대직경부(D)의 경계 위치에 고정되어 차량 충돌이 발생될 때 대직경부(D)를 따라 이동되며 충돌력이 완충되도록 하는 고정다이(4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금속봉(20)은 대직경부(D)의 외측으로 용접 비드부(30)가 길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돌출되게 성형하되, 그 성형 간격은 고정부(21)가 마련된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점차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용접 비드부(30)가 고정다이(40)에 의해 금속모재 내부로 함몰되며 충돌력이 완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용접 비드부(30)는 금속봉(20)의 둘레에 2개 내지 4개 사이의 갯수로 일정 간격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봉(20)은 후측 단부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 상태로 설치된다.
삭제
또, 상기 용접 비드부(30)는 대직경부(D)의 선단부의 둘레에는 2곳에, 중간부는 3곳, 후단부는 4곳으로 성형 갯수를 점차 확장하여 후방에서 더 많은 차량 충격에너지가 흡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용접 비드부가 금속봉의 모재보다 더 강한 경도를 갖게 되며, 차량 충돌에 의해 충돌헤드와 같이 고정다이가 강하게 이동되면서 인발되는 과정에서 용접 비드부들이 모재에 함몰되며 더 많은 인발응력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탑승자 안전에 관한 평가기준에 적합할 수 있게 된다.
또, 용접 비드부 사이의 간격과 위치 및 수량을 가변하여 안전 평가기준에 적합한 인발응력을 구현 할 수 있어 차량 충격 흡수에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적정한 탑승자 충격속도(THIV-Theoretical Head Impact Velocity-)를 유도하고, 특히 후방에서 충격에너지를 더 많이 흡수하게 되는 것에 의해 차량에 탑승자를 모두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충격흡수 시설 몸체를 보인 사시도.
도 2a는 충격흡수 시설 몸체 내부로 금속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b는 충격흡수 시설 몸체 내부로 금속봉과 고정다이가 설치된 상태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금속봉에 용접 비드부가 형성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금속봉의 둘레에 용접 비드부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보인 금속봉의 횡단면도.
도 5는 용접 비드부가 형성된 금속봉을 고정다이의 이동에 의해 인발하는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6은 용접 비드부가 형성된 금속봉이 차량 충돌로 고정다이에 의해 변형되기 전 상태의 사진.
도 7은 용접 비드부가 형성된 금속봉이 차량 충돌로 고정다이에 의해 인발 변형된 상태의 사진.
도 8은 용접 비드부가 형성되지 않은 금속봉이 고정다이에서 인발될 때 나타나는 하중 그래프.
도 9는 용접 비드부가 형성된 금속봉이 고정다이에서 인발될 때 나타나는 하중 그래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통상의 충격흡수 시설용 몸체(10)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지면에 매설된 블럭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11)과, 이 레일(11)에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 시 충돌 충격에 의해 단위 수축되는 충격흡수 완화부(12)와, 내부에 충돌력을 완충하기 위해 마련되는 차량 충격흡수용 금속봉(20) 및 충격흡수 완화부(12)의 전면에 구비된 충돌헤드(13)로 구성된다.
충격흡수 시설용 몸체(10)의 내부에는 충돌력을 완충하는 충격완화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돌력을 완충하는 충격완화수단으로는 차량 충격흡수용 금속봉(20)과 충돌헤드(13)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 부착된 고정다이(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차량 충격흡수용 금속봉(20)은 금속재의 봉으로 직경이 상대적으로 가늘게 된 소경부(D1)의 선단에는 레일(11)에 클램프(14)를 통해 위치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21)가 절곡 성형되고, 이 소경부(D1)에 비하여 직경이 큰 대경부(D)가 소경부(D1)의 끝부분에서 일체로 직경이 확대된 상태로 길게 연장 성형된다.
대경부(D)의 끝단부는 어디에도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 상태로 레일(11)과 대략 수평하게 설치된다.
한편, 소경부(D1)의 끝단부에는 대경부(D)의 경계 내측으로 고정다이(40)가 위치되며, 이 고정다이(40)는 충돌헤드(13)의 내측으로 견고하게 고정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용 금속봉(20)의 대경부(D) 둘레에는 용접 비드부(30)가 다단으로 형성된다.
금속봉(20)은 철을 주성분으로 도 3에서와 같은 가는 봉형상으로 길게 절곡 성형된 상태에서 대경부(D) 둘레에는 금속봉(20)과 동일 재질 또는 강도가 약간 더 강한 용접봉 재질을 통해 용접에 의해 용접 비드부(30)가 형성된다.
이때 용접 비드부(30)는 고온으로 용융된 후 금속봉(20)의 둘레에 융착되면서 재질적으로 일체화가 이루어지게 되고, 고온상태에서 냉각될 때 열경화가 발생되어 금속봉(20)에 비해 용접 비드부(30)의 강도와 경도가 더 높게 변형 된다.
여기서, 상기 용접 비드부(30)는 금속봉(20)의 둘레에 2개 내지 4개 사이의 갯수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용접 비드부(30)는 금속봉(20)에 길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성형하되, 그 성형 간격은 고정부(21)가 마련된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점차 간격이 같거나 좁아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용접 비드부(30)의 성형 간격은 도 3에서와 같이 선단부에서부터 후단부로 점차 간격이 같거나 좁아지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1≥A2≥A3≥A4≥A5≥A6≥A7)
용접 비드부(30)가 후방으로 갈수록 간격을 같거나 좁게 하면 차량 충격 에너지를 흡수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이 용접 비드부(30)는 금속봉(20)의 모재보다 더 강한 강도와 경도를 유지한 상태로 서로 융착되어 있으므로, 외력이 작용되더라도 탈락될 염려는 없게 된다.
그리고, 고정다이(40)가 차량 충돌에 의해 후퇴될 때 금속봉(30)의 대경부(D)의 직경을 가늘게 하는, 즉 인발 성형과 동일한 금속봉(30)의 변형 과정에서 고정다이(40)가 용접 비드부(30)를 가압하면서 외부 형상이 변형되도록 함과 동시에 모재 내부로 강제 함몰시키게 된다.
이때, 금속봉(30)의 대경부(D) 직경을 가늘게 변형시킴과 아울러, 특히 금속봉(30) 보다 강도와 경도가 높은 용접 비드부(30)의 위치에서는 더 많은 인발응력을 발생시키며 충돌 에너지를 간헐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탑승자 안전에 관한 평가 기준인 탑승자 충격속도(THIV-Theoretical Head Impact Velocity-)와 탑승자 충돌 후 최대 가속도(PHD-Post-impact Head Deceleration-)를 쉽게 효과적으로 조정하여 탑승자 안전에 관한 평가기준에 적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IV(탑승자-컴파트먼트 충돌속도)는 차량이 안전시설에 충돌할 때 탑승자의 충돌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지수들 중의 하나로 탑승자의 머리가 차량의 충돌속도로 자유 비행한다고 보고, 차량이 시설물과 충돌하여 감속되는 동안 머리가 자유 비행하여 차량 내부공간의 가상 면에 부딪칠 때의 차량과 이상화된 탑승자 머리의 순간 상대속도를 말한다.
PHD(탑승자-컴파트먼트 충돌 후 최대 가속도)는 탑승자가 차량 내부공간의 가상 면에 부딪힌 후 접촉을 유지하여 차량의 가속도를 그대로 받게 된다고 보아 THIV가 계산된 이후 계산된 차량의 10msec 평균 가속도의 최대치를 말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용 금속봉(20)에 용접 비드부(30)가 형성되도록 하는 공정은 용접 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산업 현장의 자동화 장치의 로봇기구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그 크기와 성형 위치 등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차량 충돌로 고정다이(40)가 후퇴되며 금속봉(30)을 인발을 수행하기 직전 상태를 보인 사진이고, 도 7은 고정다이(40)가 후퇴되며 금속봉(30)을 강제로 인발시키는 것에 의해 용접 비드부(30)가 모재 내부로 함몰된 후 제품 사진이다.
이와 같이 용접 비드부(30)가 금속봉(30)의 모재 내부로 함몰됨과 아울러 소직경(D1)과 유사한 직경으로 강제 변형(인발)시키게 되면, 용접 비드부(30)가 모재보다 강한 경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더 많은 인발응력을 발생 시킨다.
도 8은 용접 비드부(30)가 없는 금속봉(30)을 고정다이(40)에 관통하여 인발될 때 발생되는 하중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용접 비드부(30)가 형성된 금속봉(20)이 고정다이(40)에서 인발될 때 나타나는 하중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접 비드부(30)가 없는 금속봉(20)의 인발력은 거의 수평적으로 변화 없이 나타나는 것에 비하여, 용접 비드부(30)가 함몰되어 있는 금속봉(20)의 인발력은 실험 그래프처럼 용접 비드부(30)의 위치에서 급격하게 인발력이 상승된 후 하강을 반복하는 결과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 충격흡수에 매우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상기 용접 비드부(30)는 금속봉(20)의 대경부(D) 둘레에 도 4a와 같이 양쪽 대칭되는 위치로 2개소 성형할 수 있다.
또 상기 용접 비드부(30)는 금속봉(20)의 대경부(D) 둘레에 도 4b와 같이 균등한 간격을 유지하며 3개소에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접 비드부(30)는 금속봉(20)의 대경부(D) 둘레에 도 4c와 같이 상하 좌우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하며 4개소에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접 비드부(30)는 상하, 좌우 등 대칭 구조로 성형되어 고정다이(40)에 관통될 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용접 비드부(30)의 성형 간격은 선단부에서부터 후단부로 간격이 같거나 점차 좁아지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1≥A2≥A3≥A4≥A5≥A6≥A7)
따라서, 용접 비드부(30)가 후방으로 갈수록 간격을 같거나 좁게하는 것에 의해 차량 충격 에너지를 더 많이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용접 비드부(30)는 고정부(21)가 마련된 선단부는 둘레의 2곳에, 중간부는 3곳, 후단부는 4곳으로 개수를 점차 확장하여 후방에서 더 많은 차량 충격에너지가 흡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용접 비드부(30) 사이의 간격과 위치 수량 등을 변화하여 원하는 인발응력을 구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용접 비드부(30)의 성형 간격을 후방으로 갈수록 같거나 점차 좁게 하여 1차적으로는 적정한 THIV를 유도하고, 후방에서 충격에너지를 많이 흡수하게 하여 용접 비드부(30)가 없는 종래의 금속봉에 비하여 좀더 짧은 거리에서 차량의 충격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흡수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금속봉(20)은 철재로 성형되며, 고정다이(40)는 강도와 경도가 우수한 공구강이나 초경합금재로 제작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충격 흡수 시설용 몸체
11 - 레일
12 - 충격흡수 완화부
13 - 충돌헤드
20 - 금속봉
21 - 고정부
30 - 용접 비드부
40 - 고정다이
D - 대경부
D1 - 소경부

Claims (5)

  1. 도로의 중앙분리대 또는 지하차도 및 터널의 입구측의 도로 구조물 전방에 설치되며, 지면에 매설된 충격흡수 기소블럭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11)과, 이 레일(11)에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 시 충돌 충격에 의해 단위 수축되는 충격흡수 완화부(12)와, 충돌력을 완충하는 충격완화수단 및 충격흡수 완화부의 전면에 구비된 충돌헤드(13)가 포함되는 충격 흡수 시설용 몸체(10)로서,
    상기 충격완화수단은 금속봉(20)과 고정다이(40)가 포함되어 구성되되,
    직경이 가는 봉형상으로 된 소직경부(D1)의 선단에는 레일(11)의 선단부에 클램프(14)로 위치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21)가 절곡 성형되고, 이 소직경부(D1)에 비하여 직경이 큰 대직경부(D)가 소직경부(D1)의 끝단에서 이어지도록 일체로 길게 연장 성형되는 금속봉(20)과,
    상기 충돌헤드(13)의 내측으로 금속봉(30)의 소직경부(D)와 대직경부(D)의 경계 위치에 고정되어 차량 충돌이 발생될 때 대직경부(D)를 따라 이동되며 충돌력이 완충되도록 하는 고정다이(4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금속봉(20)은 대직경부(D)의 외측으로 용접 비드부(30)가 길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돌출되게 성형하되, 그 성형 간격은 고정부(21)가 마련된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점차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용접 비드부(30)가 고정다이(40)에 의해 금속모재 내부로 함몰되며 충돌력이 완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 비드부(30)는 금속봉(20)의 둘레에 2개 내지 4개 사이의 갯수로 일정 간격 다단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봉(20)은 후측 단부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 비드부(30)는 대직경부(D)의 선단부의 둘레에는 2곳에, 중간부는 3곳, 후단부는 4곳으로 성형 갯수를 점차 확장하여 후방에서 더 많은 차량 충격에너지가 흡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KR1020210129753A 2021-09-30 2021-09-30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KR102455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753A KR102455125B1 (ko) 2021-09-30 2021-09-30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753A KR102455125B1 (ko) 2021-09-30 2021-09-30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125B1 true KR102455125B1 (ko) 2022-10-17

Family

ID=8381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753A KR102455125B1 (ko) 2021-09-30 2021-09-30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1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346B1 (ko) * 2006-09-04 2008-01-28 주식회사 코트라스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1053878B1 (ko) * 2009-03-13 2011-08-03 장기숙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101566382B1 (ko) 2014-05-14 2015-11-06 신성컨트롤(주) 충돌 충격 흡수장치
KR101638290B1 (ko) 2015-07-27 2016-07-08 우신그린산업(주)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346B1 (ko) * 2006-09-04 2008-01-28 주식회사 코트라스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1053878B1 (ko) * 2009-03-13 2011-08-03 장기숙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101566382B1 (ko) 2014-05-14 2015-11-06 신성컨트롤(주) 충돌 충격 흡수장치
KR101638290B1 (ko) 2015-07-27 2016-07-08 우신그린산업(주)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4041B2 (ja) 一様な歩行者への衝撃をもたらすローブを有するエネルギー吸収体
KR101717511B1 (ko) 유니타리 에너지 흡수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4330652B2 (ja) 車両用金属製アブソーバ、車両用バンパシステム、自動車バンパ用アブソーバ及び自動車バンパシステム
US4181198A (en) Energy absorber, especially for motor vehicles
EP2441889A2 (en) Method for absorbing a vehicle impact using kinetic friction force and rolling force produced by the dragging of a surface of rolled tube, and vehicle impact absorbing apparatus using same
JP2004148915A (ja) 車両用バンパ装置
RU2576674C2 (ru) Ударный аттенюатор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JP4298760B2 (ja) バンパーアブソーバー
WO2012122256A2 (en) Vehicle energy absorber for pedestrian's upper leg
CN108778846A (zh) 冲击能量吸收结构
KR102455125B1 (ko)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JP4121074B2 (ja) フロントバンパー芯材
US11299117B2 (en) Energy absorbing device
US20080315626A1 (en) Passive Prot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20130043101A1 (en) Impact absorber
KR102455130B1 (ko)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CN106740621B (zh) 一种汽车吸能装置
JP2004114864A (ja) 衝撃緩衝部材
JP2006513900A (ja) 自動車用の支持構造
US20040124667A1 (en) Bumper device
JP3638709B2 (ja) 道路防護柵端末支柱用クッションカバー
KR102293296B1 (ko) 차량 충돌 완충장치
KR102293294B1 (ko) 차량 충돌 완충장치
KR101974083B1 (ko) 좌굴을 이용한 차량 충돌 에너지 감쇄 장치
CN108441604B (zh) 一种汽车零部件局部变强度设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