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204B1 - 키 스위치 - Google Patents

키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204B1
KR100791204B1 KR1020070008302A KR20070008302A KR100791204B1 KR 100791204 B1 KR100791204 B1 KR 100791204B1 KR 1020070008302 A KR1020070008302 A KR 1020070008302A KR 20070008302 A KR20070008302 A KR 20070008302A KR 100791204 B1 KR100791204 B1 KR 100791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ock
drive cam
lock cam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2603A (ko
Inventor
켄지 시마즈
šœ키치 사사키
히데미츠 타케나카
테츠야 후쿠모토
신야 야마모토
신야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01H27/002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wherein one single insertion movement of a key comprises an unlocking stroke and a switch actuating stroke, e.g. security switch for safety gu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01H21/28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60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no contacts
    • H01H19/62Contacts actuated by radial ca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 H01H11/00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for allowing different operating parts
    • H01H2011/002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for allowing different operating parts with provisions for allowing different orientation of the operating part, e.g. turning knob can be mounted in different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01H27/002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wherein one single insertion movement of a key comprises an unlocking stroke and a switch actuating stroke, e.g. security switch for safety guards
    • H01H2027/005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wherein one single insertion movement of a key comprises an unlocking stroke and a switch actuating stroke, e.g. security switch for safety guards the key receiving part having multiple openings to allow keys from different directions to operate the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ir Bag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과제
부품 갯수가 적고 저비용이 될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향상하고, 또한 조작부의 폭 치수가 작아지고, 또한 드라이버 등에 의한 구동캠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키 스위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로크캠(17, 18)이 조작 키(60)로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의 원호면부(21A)와 로크캠측 상대 돌기 빠짐부(21B) 사이의 모서리부인 계합부(21D)가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12)의 모서리부(12R)에 계탈 가능하게 계합함으로써 구동캠(10)의 회전이 억제되고, 조작 키(60)의 가압에 의한 로크캠(17, 18)의 회전으로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를 회전하여 계합을 해제하여 구동캠(10)을 회전 가능하게 한다.
키 스위치, 캠

Description

키 스위치{KEY SWITCH}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의 사시도.
도 2는 동 키 스위치의 조작부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 조작부에 있어서, 헤드 커버 및 베이스 부재의 각각을 일부 파단하여 조작 유닛을 도시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조작부의, 헤드 커버를 일부 파단한 경우의 측면도.
도 5는 상기 조작 유닛에서의 구동캠을 왼쪽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상기 조작 유닛에서의 구동캠을 오른쪽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상기 조작 유닛에서의 왼쪽 로크캠을 왼쪽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상기 왼쪽 로크캠을 오른쪽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상기 조작 유닛에서의 오른쪽 로크캠을 오른쪽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상기 오른쪽 로크캠을 왼쪽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와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12는 좌우의 로크캠에서의 캠 축의 연결부의 단면도.
도 13은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가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에 계합한 상태의 설명도.
도 14는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에 의한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에의 계합이 해제된 상태의 설명도.
도 15는 조작 키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의 조작부에 있어서, 로크캠 유지 수단으로서 와권 스프링을 이용한 조작 유닛을 헤드 커버 및 베이스 부재의 각각을 일부 파단하여 도시한 상태의 사시도.
도 17은 종래의 키 스위치의 조작부에 있어서, 헤드 커버를 일부 파단하여 조작부에 조작 키를 삽입한 경우의 조작 유닛의 측면도.
도 18은 상기 조작 유닛의 정면도.
도 19는 종래의 다른 키 스위치의 조작부에서의 조작 유닛의 사시도.
도 20은 상기 조작 유닛에서의 구동캠의 로크 상태의 설명도.
도 21은 상기 조작 유닛에서의 구동캠의 로크 해제 상태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1 : 제 1의 원 E2 : 제 2의 원
E3 : 제 3의 원 F : 조작 유닛
G1, G2 : 겹침 부분(삭제 부분) p1, p2, p3 : 중심
1 : 스위치 본체 2 : 조작부
3 : 헤드 커버 10 : 구동캠
11 : 캠 축(구동캠측 회전축) 12 :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
12A : 원호면부
12B : 구동캠측 상대 돌기 빠짐부
12R : 모서리부 13 : 구동캠측 축 삽입 구멍부
14 : 캠면부 15 : 키 충합부
15a : 구동캠측 수압부 16 : 키 충합부
16a : 구동캠측 수압부 17 : 왼쪽 로크캠
18 : 오른쪽 로크캠 19 : 키 충합부
19a : 로크캠측 수압부 20 : 키 충합부
20a : 로크캠측 수압부 21 :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
21A : 원호면부
21B, 21C : 로크캠측 상대 돌기 빠짐부
21D : 계합부 22 : 로크캠측 축 삽입 구멍부
23 : 캠 축(로크캠측 회전축) 23-1 : 캠 축(로크캠측 회전축)
24 : 스프링 접촉부
25A : 감합 구멍부(감합 오목부)
25B : 연결축부(감합 볼록부) 26 : 베이스 부재
27 : 지지부
32 : 스프링 부재(로크캠 유지 수단)
32-1 : 코일 스프링(로크캠 유지 수단) 34 : 스프링 편부
60 : 조작 키 61 : 구동캠 조작부
62 : 로크캠 조작부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도어 로크 스위치 등에 사용되는 안전 스위치로서의 키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도어 로크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자동화된 공작 기계를 설치한 작업 에어리어의 출입구에 마련한 도어의 개폐를 검지하여, 공작 기계의 전원을 넣거나 끊고, 또한, 공작 기계가 가동하고 있는 때는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로크하는 것이다.
도어를 닫으면 도어측에 구비한 조작 키가, 출입구측에 구비한 키 스위치에 삽입되고, 삽입된 조작 키에 의해 캠체(體)가 회전 조작되고, 키 스위치에 내장한 스위치부가 스위치 온 상태로 전환되어 전원 회로 등이 접속된다.
그리고, 작업시에, 공작 기계의 도어를 열 때는, 우선, 외부의 조작부(도시 생략)로 기계 정지 조작이 이루어진다. 도어를 열으면 조작 키의 발출(拔出)에 의해 캠체가 회전 조작되고, 스위치부가 스위치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전원 회로 등이 끊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캠체는, 조작 키 인발시에는 로크 수단으로 조작 키 인발 정상 위치(초기 회동 위치)로 유지되고, 전용의 조작 키 이외에는 회전 조작할 수 없도록 구성하고, 공구 등으로 간단하게 스위치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키 스위치에서의 조작부(77)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캠(70)의 양측에, 한 쌍의 중간 부재(71)를 구동캠(70)과 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함과 함께, 구동캠(7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계합부(70a)에 맞닿아서 계합하는 한 쌍의 로크 부재(72)를 배설하고, 액추에이터(73)의 진입에 수반하여 중간 부재(71)가 비틀림 스프링(73)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회전축(74) 둘레로 회전하면, 양 중간 부재(71)에 의해 로크 부재(72)를 코일 스프링(75)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범위를 넓히고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구동캠(70)과 로크 부재(72)와의 계합 상태를 해제하고, 구동캠(70)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함과 함께, 조작 로드(76)를 스위치측 복귀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도 17에서 윗방향으로 돌출시켜서, 각 상폐(常閉) 접점을 온 시켜서 산업 기계에의 전원을 공급하여 산업 기계를 조작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종래의 키 스위치에서의 조작부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측부에 헤드 로크 홈부(81)를 갖는 구동캠(80)과, 로크부(83)를 갖는 좌우의 헤드 로크 부재(82)와, 좌우의 코일 스프링(84)을 구비하고 있고, 베이스 부재(도시 생략)에 구동캠(80)을 지축(85)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구동캠(80)의 양측에 헤드 로크 부재(82)를 배치하고, 이들의 헤드 로크 부재(82)를 지축(85)에서 구동캠(80)측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유지하고, 코일 스프링(84)의 스프링력으로 헤드 로크 부재(82)를 구동캠(80)측으로 가압하고 로크부(83)를 헤드 로크 홈부(81)에 계탈(係脫) 가능하게 계합함으로써, 구동캠(80)이 초기 회동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키(도시 생략)의 조작부에의 삽입에 의해, 이 조작 키의 선단을 헤드 로크 부재(82)의 내면부에 맞닿게 하여, 양 헤드 로크 부재(82)를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이동시켜서, 로크부(83)를 헤드 로크 홈부(81)로부터 빼내어 구동캠(80)의 로크를 해제하여 구동캠(80)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함과 함께, 조작 로드(86)를 스위치측 복귀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도 19에서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각 항상 폐쇄 접점을 온 시켜서 산업 기계에의 전원을 공급하고 산업 기계를 조작 가능한 상태로 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2-140962호 공보
상기한 전자의 종래의 키 스위치의 조작부(77)에서는, 구동캠(70)의 양측에, 액추에이터(73)의 진입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중간 부재(71)를 배설하고, 또한, 구동캠(70)의 외주쪽에, 중간 부재(71)의 회전에 의해 범위를 넓히는 한 쌍의 로크 부재(72)를 배설하고 있고, 게다가, 한 쌍의 중간 부재(71)에는 비틀림 스프링(73)이 회전 복귀력을 주고, 한 쌍의 로크 부재(72)에는 코일 스프링(75)이 복귀력을 주고 있어서, 조작부(77)의 폭 치수를 작게 하고 있지만, 조작부(77)의 부품 갯수가 많고 복잡하게 되어 고비용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종래의 키 스위치에서의 조작부에서는, 구동캠(80)과, 그 양측에 배치된 헤드 로크 부재(82)와, 헤드 로크 부재(82)를 구동캠(80)측에 눌러붙이는 코일 스프링(85)으로 구성하고 있고, 부품 갯수가 적지만, 구동캠(80)에 대해 헤드 로크 부재(82)와 코일 스프링(85)은 조작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폭 치수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조작부에 마련된 조작 키 삽입 구멍 (도시 생략)은 항상 개구하고 있어서, 이 조작 키 삽입 구멍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이 구동캠(80)과 헤드 로크 부재(82) 사이로 들어가면, 헤드 로크 부재(82)의 구동캠(80)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일이 있고, 헤드 로크 부재(82)로 구동캠(80)을 로크할 수 없고, 조작 키 삽입 구멍에 삽입된 드라이버 등의 전용의 액추에이터 이외의 공구로 구동캠(80)을 회전시켜서 스위치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부품 갯수가 적고 저비용이 될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향상하고, 게다가, 폭 치수가 작아지고(두께가 얇게), 전용의 조작 키 이외의 공구 등에 의한 구동캠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키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는, 스위치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가지며, 또한 이 조작부에 조작 키를 삽입함에 의해 스위치부를 작동시켜서 접점 전환을 행하게 하는 키 스위치로서, 조작부는, 조작 키에 눌려서 회전하여 스위치부를 작동시키는 구동캠과, 이 구동캠을 직접 로크하여 해당 구동캠을 조작 키 인발 정상 위치에 유지하며 또한 조작 키에 눌려서 회전하여 로크를 해제하는 복수개의 로크캠을 구비한 것이고, 또한, 조작 키에 의한 가압의 해제시에, 로크캠을 조작 키 인발 정상 위치에 유지하는 로크캠 유지 수단을 또한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작 키에 의해 로크캠을 회전함에 의해, 조작 키 인발 정상 위치에 있는 구동캠의 로크를 해제하여 구동캠을 회전 가능하게 하고, 이 상태에서 조작 키에 의한 가압으로 구동캠을 회전시켜서 스위치부를 작동시켜서 접점 전환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크캠은 구동캠을 직접 로크하여 해당 구동캠을 조작 키 인발 정상 위치에 유지하고 있고, 그리고, 회전에 의해 구동캠의 로크 해제 작용을 행하기 때문에, 부품 갯수가 적고 저비용이 되고, 조립성이 향상하고, 게다가, 종래와 같이 구동캠을 로크하는 헤드 로크 부재를 조작부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조작부의 폭 치수를 작게(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로크캠은 회전 운동으로 구동캠의 로크를 행하기 때문에, 로크캠이 이물을 끼워 넣어도, 이 로크캠은 회전 가능하여 구동캠의 로크가 가능해지고, 드라이버 등의 전용의 액추에이터 이외의 공구에 의한 구동캠의 회전을 방지하여, 스위치부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에 있어서, 구동캠의 회전 중심과 로크캠의 회전 중심을 다르게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캠과 로크캠과의 각각의 회전 궤도를 바꿀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에 있어서, 구동캠의 회전 중심에 구동캠측 회전축과 구동캠측 감합(嵌合) 돌기부를 마련함과 함께, 로크캠의 회전 중심에 로크캠측 회전축과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를 마련하고, 로크캠이 조작 키로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에 로크 캠측 감합 돌기부를 계탈 가능하게 계합하여 구동캠의 회전을 억제하고, 조작 키의 가압에 의한 로크캠의 회전으로 계합을 해제하여 구동캠을 회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로크캠이 조작 키로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에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가 계탈 가능하게 계합하여 구동캠의 회전이 억제되고, 조작 키의 가압에 의한 로크캠의 회전으로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를 회전하여, 해당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의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에의 계합을 해제하여 구동캠을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구동캠의 회전 억제용의 전용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고,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어 저비용이 된다.
또한,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는, 구동캠의 회전 중심에 구동캠측 회전축과 함께 마련하고 있고,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는, 로크캠의 회전 중심에 로크캠측 회전축과 함께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부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키 스위치 전체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구동캠에 로크캠을 겹침으로써,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를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에 조립할 수 있어서, 조립성이 좋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에 있어서,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는, 제 1의 원호면부와,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에 대향하는 연부(緣部)에 형성되며, 또한 로크캠측 회전축의 축 중심을 그 중심으로 하여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의 중심측으로 오목하게 되는 제 2의 원호면부를 나란히 이어서 형성되고, 한편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는, 제 3의 원호면부와,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에 대향하는 연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구동캠측 회전축의 축 중심을 그 중 심으로 하여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의 중심측으로 오목하게 되는 제 4의 원호면부를 나란히 이어서 형성되어 있고,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의 제 3의 원호면부와 제 4의 원호면부 사이의 모서리부를 계합부로 하여, 이 계합부를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의 제 1의 원호면부와 제 2의 원호면부 사이의 모서리부에 계탈 가능하게 계합함으로써 구동캠의 회전이 억제되고, 구동캠이 조작 키 인발 정상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로크캠이 조작 키로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계합부가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의 모서리부에 계탈 가능하게 계합함으로써 구동캠의 회전이 억제되고, 조작 키의 가압에 의한 로크캠의 회전으로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를 회전하여 계합을 해제하여 구동캠을 회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구동캠의 회전 억제용의 전용 부재가 불필요해지고,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에 있어서, 조작 키는, 그 선단부에 구동캠 조작부를 갖고 있고, 이 구동캠 조작부의 양 측부에, 조작 키의 판두께 방향으로 비켜서 로크캠 조작부를 마련하고, 이들의 로크캠 조작부의 선측(先側)을 구동캠 조작부보다 전방에 돌출시킨 구성으로 하고 있고, 로크캠 조작부가 충합(衝合)하는 로크캠의 로크캠측 수압부(受壓部)를, 구동캠 조작부가 충합하는 구동캠의 구동캠측 수압부보다 로크캠의 회전 중심측에 위치시킨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로크캠의 로크캠측 수압부가, 구동캠의 구동캠측 수압부보다 로크캠의 회전 중심측에 위치하고 있어서, 로크캠의 회전 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로크캠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구동캠의 회전 중심과 로크캠의 회전 중심을 다르게 함으로서 생기는 조작부의 사이즈 업을 방지하고, 키 스위치 전체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에 있어서, 구동캠에, 구동캠측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의 구동캠측 축 삽입 구멍부를 마련함과 함께, 로크캠에, 로크캠측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의 로크캠측 축 삽입 구멍부를 마련하고, 구동캠측 회전축을 로크캠측 축 삽입 구멍부에 통과시킴과 함께, 로크캠측 회전축을 구동캠측 축 삽입 구멍부에 통과하여 로크캠측 회전축끼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캠이 회전할 때에 로크캠측 회전축과의 간섭을 막고, 로크캠이 회전할 때에 구동캠측 회전축과의 간섭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다른 캠(구동캠과 로크캠) 사이에의 회전축 유지부, 예를 들면, 축받이가 불필요해지고, 조작부의 사이즈 업을 방지하고, 키 스위치 전체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에 있어서, 로크캠측 회전축끼리의 연결은, 이웃하는 로크캠측 회전축의 한쪽의 대향 단부(端部)에 마련한 감합 볼록부를 다른쪽의 대향 단부에 마련한 감합 오목부에 감합함으로써 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로크캠측 회전축끼리의 연결을 행할 수 있고, 복수의 로크캠측 회전축을 하나의 회전축으로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로 크캠측 회전축의 지지 기구로서의 축받이를 줄일 수 있고, 부품 갯수를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축받이가 없는 만큼, 조작부의 사이즈 업을 방지하고, 키 스위치 전체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에 있어서, 로크캠 유지 수단은, 로크캠을,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가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에 계합하는 위치에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판 스프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판 스프링은 로크캠이 조작 키로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캠이 단독으로 구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설치 장소를 선택할 수 있어서, 스페이스가 있는 곳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에 있어서, 로크캠 유지 수단은, 로크캠을,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가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에 계합하는 위치에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코일 스프링은 로크캠이 조작 키로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캠이 단독으로 구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양단부의 고정이 간단하고, 조립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에 의하면, 로크캠은 구동캠을 직접 로크하여 해당 구동캠을 조작 키 인발 정상 위치에 유지하고 있고, 그리고, 회전에 의해 구동캠의 로크 해제 작용을 행하기 때문에, 부품 갯수가 적고 저비용이 되고, 조립성이 향상하고, 게다가, 구동캠을 로크하는 헤드 로크 부재를 조작부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조작부의 폭 치수를 작게(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로크캠은 회전 운동으로 구동캠의 로크를 행하기 때문에, 로크캠이 이물을 끼워 넣어도, 이 로크캠은 회전 가능하여 구동캠의 로크가 가능해지고, 드라이버 등의 전용의 조작 키(액추에이터) 이외의 공구에 의한 구동캠의 회전을 방지하여, 스위치부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의 사시도, 도 2는 동 키 스위치의 조작부의 종단면도, 도 3은 동 조작부에 있어서, 헤드 커버 및 베이스 부재의 각각을 일부 파단하여 조작 유닛을 도시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동 조작부의 헤드 커버를 일부 파단한 경우의 측면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조작 키의 횡방향의 삽탈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이 전후 방향을 기초로 상하 방향, 좌우 방향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정한다.
키 스위치는, 스위치 본체(1)와, 이 스위치 본체(1)의 조작부(2)를 구비하고 있고, 이 스위치 본체(1)는, 그 내부에 스위치부(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고, 도 3에 도시하는 조작 로드(40)가 이동함에 의해 스위치부의 접점이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조작 로드(40)의 압입에 의해 스위치 복귀 스프링(도시 생략)이 압축되고, 스위치부에서, 스위치 온의 상태(예를 들면, NO 접점이 온 상태, NC 접점이 괴리 상태)가 되고, 또한, 조작 로드(40)에의 압입력의 해제에 의해 스위치 복귀 스프링의 복귀력으로 스위치 오프의 상태(예를 들면, NO 접점이 괴리 상태, NC 접점이 온 상태)가 된다.
조작부(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유닛(F)과, 이 조작 유닛(F)을 덮는 헤드 커버(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헤드 커버(3)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전면부(3a)(및 정상면부(頂面部)(3b))에, 후술하는 조작 키(60)를 삽입하는 키 삽입구(8, 9)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유닛(F)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캠(10)과, 좌우 2개의 로크캠(17, 18)과, 베이스 부재(26)와, 로크캠 유지 수단으로서의 스프링 부재(32)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캠(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캠 본체(10A)의 회전 중심에 구동캠측 회전축인 캠 축(11)을 갖고 있고, 또한, 캠 본체(10A)의 둘레부(周部)에는, 볼록 형상의 키 충합부(衝合部)(15)와 키 충합부(16)가 전후 방향으로 약 90도 위상을 비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키 충합부(15)에서는, 그 전변부(前邊部)가 구동캠측 수압부(15a)이고, 키 충합부(16)에서는, 게다가 상변부(上邊部)가 구동캠측 수압부(16a)이다.
또한, 캠 본체(10A)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는, 캠 축(11)의 둘레에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12)는, 원호면부(12A)와,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12)의 중심측으로 오목하게 되는 원호형상의 구동캠측 상대 돌기 빠짐부(12B)를 나란히 이어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캠 본체(10A)에는, 키 충합부(15)와는 반대측에 위치시켜서, 캠 축(11)이 중심이 되는 원호형상의 축 삽입 구멍부(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 본체(10A)에는, 키 충합부(15)와는 반대측에 위치시켜서, 캠면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왼쪽 로크캠(17)은, 판형상이며 또한 개략 반원형상의 캠 본체(17A)를 갖고 있고, 이 캠 본체(17A)에는, 그 회전 중심에 로크캠측 회전축인 캠 축(23)이 마련되어 있다. 이 캠 축(23)의 내측 부위(우측 부위)(23b)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선단측에 감합 오목부인 감합 구멍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 본체(17A)의 둘레부에는, 볼록 형상의 키 충합부(19)와 키 충합부(20)가 전후 방향으로 약 90도 위상을 비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키 충합부(19)에서는, 그 전변부가 로크캠측 수압부(19a)이고, 키 충합부(20)에서는, 상변부가 로크캠측 수압부(20a)이다.
또한, 캠 본체(17A)의 내측면부(우측면부)에는, 캠 축(23) 둘레에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는, 원호면부(21A)와,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의 중심측으로 오목하게 되는 원호형상의 2개의 로크캠측 상대 돌기 빠짐부(21B, 21C)를 나란히 이어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캠 본체(17A)에는, 키 충합부(19)측에 위치시켜서, 캠 축(23)이 중심이 되는 원호형상의 로크캠측 축 삽입 구멍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 본체(17A)에는, 키 충합부(19)와는 반대측에 위치시켜서 스프링 접촉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른쪽 로크캠(18)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 축을 제외하고 왼쪽 로크캠(17)과 면대칭(평면거울에 비친 물건과 상과의 위치 관계)이고, 같은 부위에 관해서는, 왼쪽 로크캠(17)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 다. 이 경우, 로크캠측 회전축인 캠 축(23-1)의 내측 부위(좌측 부위)(23b-1)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선단측에, 상기한 캠 축(23)의 감합 구멍부(25A)에 감합하는 연결축부(25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캠(10)에서의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12)와 좌우의 로크캠(17, 18)에서의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의 형상을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같은 크기의 제 1의 원(E1)과 제 2의 원(E2)과 제 3의 원(E3)을, 이들의 변(p1, p2)=변(p2, p3)이 되는 이등변 삼각형의 각 정점(頂点)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제 1의 원(E1)과 제 2의 원(E2)의 중복 부분(G1)을 삭제하여 남은 제 1의 원(E1)에서의 원호형상 돌기가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12)에 상당하고, 삭제 부분이 구동캠측 상대 돌기 빠짐부(12B)가 된다.
또한, 제 1의 원(E1)과 제 2의 원(E2)의 겹침 부분(G1)을 삭제하고 또한 제 2의 원(E2)과 제 3의 원(E3)의 중복 부분(G2)을 삭제한 경우의 제 2의 원(E2)에서의 원호형상 돌기가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에 상당한다. 이 경우, 겹침 부분(삭제 부분)(G1)이 로크캠측 상대 돌기 빠짐부(21B)가 되고, 겹침 부분(삭제 부분)(G2)이 로크캠측 상대 돌기 빠짐부(21C)가 된다. 그리고,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의 원호면부(21A)와 로크캠측 상대 돌기 빠짐부(21B) 사이의 모서리부가 계합부(21D)이다. 또한, 양 로크캠측 상대 돌기 빠짐부(21B, 21C)에 끼여진 부분(H)은 삭제하여 곡면(J)으로 하고, 이 곡면(J)으로 양 로크캠 상대 돌기 빠짐부(21B, 21C)는 나란히 이어져 있다.
구동캠측 상대 돌기 빠짐부(12B)와 로크캠측 상대 돌기 빠짐부(21B)는, 구동 캠(10)과 로크캠(17, 18)의 양쪽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로크캠측 상대 돌기 빠짐부(21C)는 구동캠(10)이, 도 11에서 A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로크캠(17, 18)의 도 11에서 C방향으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베이스 부재(26)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에 지지부(27)를 갖음과 함께, 저면부에 조작 로드 삽입용 개구부(28)와 스프링 부착부(29)를 갖고 있고, 지지부(27)에는, 구동캠(10)의 캠 축(11)을 받치는 축받침부(軸支承部)(30)와, 로크캠(17)(오른쪽 로크캠(18))의 캠 축(23(23-1))을 받치는 축받침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32)는 판 스프링이고, 부착부(33)와, 이 부착부(33)에 대해 예각으로 굴곡된 한 쌍의 스프링 편부(34)를 갖고 있고, 부착부(33)에는 조작 로드 삽입용 개구부(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26)에는, 그 스프링 부착부(29)에 부착부(33)를 부착하여, 스프링 부재(32)가 장착되어 있고, 조작 로드 삽입용 개구부(35)가 베이스 부재(26)의 조작 로드 삽입용 개구부(28)에 겹쳐져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캠(10)을 가운데로 하여, 이 구동캠(10)의 좌우에 로크캠(17, 18)이 배치되어 있고, 이 경우, 구동캠(10)의 캠 축(11)의 좌측 부위(11a)가 왼쪽 로크캠측 축 삽입 구멍부(22)를 관통하고 있고, 캠 축(11)의 우측 부위(11b)가 오른쪽 로크캠측 축 삽입 구멍부(22)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왼쪽 로크캠(17)의 캠 축(23)의 내측 부위(우측 부위)(23b)와 오른쪽 로크캠(18)의 캠 축(23-1)의 내측 부위(좌측 부위)(23b-1)는, 함께, 구동캠측 축 삽입 구멍부(13)에 삽입되어 있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 축(23)의 연결축부(25B)가 캠 축(23-1)의 감합 구멍부(25A)에 감합되어 있고, 캠 축(23)과 캠 축(23-1)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캠(10)의 캠 축(11)의 좌측 부위(11a)가 베이스 부재(26)의 왼쪽 지지부(27)의 축받침부(30)에, 캠 축(11)의 우측 부위(11b)가 베이스 부재(26)의 오른쪽 지지부(27)의 축받침부(30)에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받쳐져(支承) 있다. 또한, 왼쪽 로크캠(17)의 캠 축(23)의 외측 부위(좌측 부위)(23a)가 왼쪽의 지지부(27)의 축받침부(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오른쪽 로크캠(18)의 캠 축(23-1)의 외측 부위(우측 부위)(23a-1)가 오른쪽 지지부(27)의 축받침부(31)에 회전 가능하게 받쳐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에 스프링 부재(32)와 구동캠(10)과 좌우의 로크캠(17, 18)을 장착하여 헤드 유닛(F)이 구성되어 있고, 이 경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32)의 왼쪽의 스프링 편부(34)가 왼쪽 로크캠(17)의 스프링 접촉부(24)에 접촉하고 있고, 스프링 부재(32)의 오른쪽 스프링 편부(34)가 오른쪽 로크캠(18)의 스프링 접촉부(24)에 접촉하고 있어서, 좌우의 로크캠(17, 18)을 조작 키 인발 정상 위치(로크 위치)에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6)는 헤드 커버(3)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의 로크캠(17, 18)은 스프링 부재(32)로 조작 키 인발 정상 위치(로크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도 13 에 화살표(B)로 도시하는 시계회전 방향으로 스프링 가세되어 있고, 좌우의 로크캠(17, 18)의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의 계합부(21D)가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12)의 모서리부(12R)에 계합하고(걸려서), 구동캠(10)의 화살표(A)로 도시하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을 억제하고 있다.
이 회전 억제 상태(로크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캠측 수압부(15a)와 좌우의 로크캠측 수압부(19a)는 키 삽입구(8)에 대향하고 있고, 로크캠측 수압부(19a)가 구동캠측 수압부(15a)보다 로크캠(17, 18)의 캠 축(23, 23-1)측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구동캠측 수압부(16a)와 좌우의 로크캠측 수압부(20a)는 키 삽입구(9)에 대향하고 있고, 로크캠측 수압부(20a)가 구동캠측 수압부(16a)보다 로크캠(17, 18)의 캠 축(23, 23-1)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위치시킴에 의해, 로크캠(17, 18)의 반경이 작아도 되고, 도 4에서 도시하는 원(K) 내에 수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조작부(2)는 스위치 본체(1)에 장착되어 있고, 이 경우, 이 스위치 본체(1)의 조작 로드(40)는 스위치측 복귀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들어 올려져 있고, 조작 로드(40)의 선단부가 구동캠(10)의 캠면부(14)에 활주접촉하고 있다.
액추에이터로서의 조작 키(60)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꼬리표 형상의 키 본체(60A)를 갖고 있고, 이 키 본체(60A)의 선단부가 구동캠 조작부(61)이다. 그리고, 키 본체(60A)의 선측의 양 측부에는, 키 본체(60A)의 판두께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로크캠 조작부(62)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의 로크캠 조작부(62)의 선측 은 구동캠 조작부(61)보다 전방에 돌출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한 키 스위치를, 공작 기계를 바깥으로 둘러싼 보호 펜스의 도어(모두 도시 생략)에서의 안전 스위치로서 사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도어에는 조작 키(60)가 부착되고, 보호 펜스의 지주(도시 생략)에는 키 스위치(70)가 부착된다. 이 경우, 키 스위치는, 그 축선(ㄱ)(도 1 참조)을 종방향을 향하게 하여 지주에 부착된다.
우선, 도어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조작부(2)로부터 조작 키(60)는 인발되어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부(2)에서는, 좌우의 로크캠(17, 18)은 스프링 부재(32)로 회전 억제 위치(로크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 있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로크캠(17, 18)의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의 계합부(21D)가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12)의 모서리부(12R)에 계합되어, 구동캠(10)의 화살표(A)로 도시하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로크)하고 있고, 구동캠(10)이 조작 키 인발 정상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회전 억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캠측 수압부(15a)와 좌우의 로크캠측 수압부(19a)는 키 삽입구(8)에 대향하고 있고, 또한, 조작 로드(40)는 스위치측 복귀 스프링의 가세에 의해 들어 올려져 있고, 조작 로드(40)의 선단부가 구동캠(10)의 캠면부(14)에 활주접촉하고 있고, 공작 기계의 전원 회로가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는, 공작 기계가 구동되는 일이 없다.
다음에 도어를 닫으면, 조작 키(60)가 키 삽입구(8)에 삽입되게 되고, 이 조 작 키(60)의 삽입에 의해, 이 조작 키(60)의 로크캠 조작부(62)가 좌우의 로크캠측 수압부(19a)에 충합하여, 좌우의 로크캠(17, 18)을, 스프링 부재(32)에 의한 가세력에 대항하여 도 14에 도시하는 화살표(C)의 방향(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문에, 계합부(21D)의 구동캠(10)의 모서리부(12R)에의 계합이 벗겨져서 구동캠(10)의 회전 억제가 해제되고, 구동캠(10)이 회동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 키(60)의 구동캠 조작부(61)가 구동캠측 수압부(15a)를 누름으로써, 구동캠(10)이, 도 4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구동캠(10)이, 이들의 캠면부(14)에 활주접촉하고 있는 조작 로드(40)를 스위치 복귀 스프링의 복귀력에 대항하여 압입하여, 스위치부를 온 작동하여 공작 기계의 전원 회로가 온 하여 공작 기계가 구동 가능 상태로 된다.
한편, 작업시에, 공작 기계의 도어를 열 때는, 우선, 외부의 조작부(도시 생략)에서 기계 정지 조작이 이루어진다.
공작 기계의 도어를 열기 위해 도어를 당기면, 조작 키(60)도 함께 당겨져서 후퇴하기 때문에, 조작 키(60)의 로크캠 조작부(62)가 좌우의 로크캠측 수압부(19a)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좌우의 로크캠(17, 18)은 스프링 부재(32)에 의한 스프링 가세력에 의해 도 13에 도시하는 화살표(B)의 방향(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조작 키(60)의 구동캠 조작부(61)가 구동캠측 수압부(15a)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스위치 복귀 스프링의 복귀력으로 조작 로드(40)가 밀어올려져서, 이 조작 로드(40)가 캠면부(14)를 밀어서 구동캠(10)을, 도 4에서, 시계 회 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문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부(21D)가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12)의 모서리부(12R)에 계합하여 구동캠(10)의 회전 억제(로크)가 행하여지고, 구동캠(10)이 조작 키 인발 정상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키 스위치(70)를, 그 축선(ㄱ)을 횡방향을 향하게 하여 보호 펜스의 지주에 마련한 경우에는, 조작 키(60)의 삽입은, 헤드 커버(3)의 정상면부(3b)에 마련된 키 삽입구(9)에서 행하여진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키(60)의 키 삽입구(9)에의 삽입에 의해, 이 조작 키(60)의 로크캠 조작부(62)가 좌우의 로크캠측 수압부(20a)에 충합하여, 좌우의 로크캠(17, 18)을, 스프링 부재(32)에 의한 스프링 가세력에 대항하여 도 14에 도시하는 화살표(C)의 방향(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조작 키(60)의 구동캠 조작부(61)가 구동캠측 수압부(16a)를 누름으로써, 구동캠(10)을, 도 4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후의 동작은, 상기한 조작 키(60)의 키 삽입구(8)에의 삽입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로크캠(17, 18)이 조작 키(60)로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의 원호면부(21A)와 로크캠측 상대 돌기 빠짐부(21B) 사이의 모서리부인 계합부(21D)가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12)의 모서리부(12R)에 계탈 가능하게 계합함으로써, 구동캠(10)의 회전이 억제되고, 조작 키(60)의 가압에 의한 로크캠(17, 18)의 회전으로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를 회전하여 계합을 해제하여 구동캠(10)을 회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구동캠(10)의 회전 억제용의 전용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구동캠을 로크하는 헤드 로크 부재를 조작부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조작부(2)의 폭 치수를 작게(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12)는, 구동캠(10)의 회전 중심에 캠 축(11)과 함께 마련하고 있고,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는, 로크캠(17, 18)의 회전 중심에 캠 축(23, 23-1)과 함께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부(2)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키 스위치 전체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구동캠(10)에 로크캠(17, 18)을 겹침으로써,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를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12)에 조립할 수 있고, 조립성이 좋아진다.
또한,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는 회전 운동으로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12)에 계합하여 구동캠(10)의 로크를 행하기 때문에,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가 이물을 끼워 넣어도, 이 로크캠(17, 18)은 회전 가능하여, 구동캠(10)의 로크가 가능해지고, 드라이버 등의 전용의 조작 키(액추에이터) 이외의 공구에 의한 구동캠의 회전을 방지하고, 스위치부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스프링 부재(32)로서, 부착부(33)에 대해 예각으로 굴곡된 한 쌍의 스프링 편부(34)를 갖는 구성의 판 스프링을 사용하였지만,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캠 유지 수단으로서 코일 스프링(스피럴 스프링)(32-1)을 2개 사용하여, 왼쪽의 와권(渦卷) 스프링(32-1)의 내단부(32a-1)를 왼쪽 로크캠(17)에 계지함과 함께, 이 와권 스프링(32-1)의 외단부(32b-1)를 베이스 부재(26)의 왼쪽의 지지부(27)에 계지하고, 또한, 오른쪽 와권 스프링(32-1) 을 왼쪽의 와권 스프링(32-1)과 마찬가지로 오른쪽 로크캠(18)에 연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32-1)은, 로크캠(17, 18)을,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21)가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12)에 계합하는 위치에 유지하도록 작용한 것이고, 와권 스프링(32-1)은, 그 양단부의 고정이 간단하고, 조립성이 향상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에 의하면, 부품 갯수가 적고 저비용이 될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향상하고, 게다가, 폭 치수가 작게(두께가 얇게) 되고, 드라이버 등의 전용의 조작 키(액추에이터) 이외의 공구에 의한 구동캠의 회전을 방지하여, 스위치부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고 있고, 도어 로크 스위치 등에 사용되는 안전 스위치 등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관한 키 스위치에 의하면, 로크캠은 구동캠을 직접 로크하여 해당 구동캠을 조작 키 인발 정상 위치에 유지하고 있고, 그리고, 회전에 의해 구동캠의 로크 해제 작용을 행하기 때문에, 부품 갯수가 적고 저비용이 되고, 조립성이 향상하고, 게다가, 구동캠을 로크하는 헤드 로크 부재를 조작부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조작부의 폭 치수를 작게(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로크캠은 회전 운동으로 구동캠의 로크를 행하기 때문에, 로크캠이 이물을 끼워 넣어도, 이 로크캠은 회전 가능하여 구동캠의 로크가 가능해지고, 드라이버 등의 전용의 조작 키(액추에이터) 이외의 공구에 의한 구동캠의 회전을 방지 하여, 스위치부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스위치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가지며, 또한 이 조작부에 조작 키를 삽입함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를 작동시켜서 접점 전환을 행하게 하는 키 스위치로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 키에 눌려서 회전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작동시키는 구동캠과, 이 구동캠을 직접 로크하여 해당 구동캠을 조작 키 인발 정상 위치에 유지하며 또한 상기 조작 키에 눌려서 회전하여 상기 로크를 해제하는 복수개의 로크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키에 의한 가압의 해제시에, 상기 로크캠을 상기 조작 키 인발 정상 위치에 유지하는 로크캠 유지 수단을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의 회전 중심과 상기 로크캠의 회전 중심을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의 상기 회전 중심에 구동캠측 회전축과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로크캠의 상기 회전 중심에 로크캠측 회전축과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를 마련하고, 상기 로크캠이 상기 조작 키로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에 상기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를 계탈 가능하게 계합하여 상기 구동캠의 회전을 억제하고, 상기 조작 키의 가압에 의한 상기 로크캠의 회전으로 상기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를 회전하고 상기 계합을 해제하여 상기 구동캠을 회전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는, 제 1의 원호면부와, 상기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에 대향하는 연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로크캠측 회전축의 축 중심을 그 중심으로 하여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의 중심측으로 오목하게 되는 제 2의 원호면부를 나란히 이어서 형성되고, 한편 상기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는, 제 3의 원호면부와, 상기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에 대향하는 연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구동캠측 회전축의 축 중심을 그 중심으로 하여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의 중심측으로 오목하게 되는 제 4의 원호면부를 나란히 이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의 제 3의 원호면부와 제 4의 원호면부 사이의 모서리부를 계합부로 하고, 이 계합부를 상기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의 제 1의 원호면부와 제 2의 원호면부 사이의 모서리부에 계탈 가능하게 계합함으로써 상기 구동캠의 회전이 억제되고, 상기 구동캠이 상기 조작 키 인발 정상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키는, 그 선단부에 구동캠 조작부를 갖고 있고, 이 구동캠 조작부의 양 측부에, 상기 조작 키의 판두께 방향으로 비켜서 로크캠 조작부를 마련하고, 이들의 로크캠 조작부의 선측을 상기 구동캠 조작부보다 전방에 돌출시킨 구성으로 하고 있고, 상기 로크캠 조작부가 충합하는 상기 로크캠의 로크캠측 수압부를, 상기 구동캠 조작부가 충합하는 상기 구동캠의 구동캠측 수압부보다 상기 로크캠의 상기 회전 중심측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에, 상기 구동캠측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의 구동캠측 축 삽입 구멍부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로크캠에, 상기 로크캠측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의 로크캠측 축 삽입 구멍부를 마련하고, 상기 구동캠측 회전축을 상기 로크캠측 축 삽입 구멍부에 통과시킴과 함께, 상기 로크캠측 회전축을 상기 구동캠측 축 삽입 구멍부에 통과하여 상기 로크캠측 회전축끼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캠측 회전축끼리의 연결은, 이웃하는 상기 로크캠측 회전축의 한쪽의 대향 단부에 마련한 감합 볼록부를 다른쪽의 대향 단부에 마련한 감합 오목부에 감합함으로써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캠 유지 수단은, 상기 로크캠을, 상기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가 상기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에 계합하는 위치에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캠 유지 수단은, 상기 로크캠을, 상기 로크캠측 감합 돌기부가 상기 구동캠측 감합 돌기부에 계합하는 위치에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KR1020070008302A 2006-03-09 2007-01-26 키 스위치 KR100791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64656A JP4747888B2 (ja) 2006-03-09 2006-03-09 スイッチ
JPJP-P-2006-00064656 2006-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603A KR20070092603A (ko) 2007-09-13
KR100791204B1 true KR100791204B1 (ko) 2008-01-03

Family

ID=3811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302A KR100791204B1 (ko) 2006-03-09 2007-01-26 키 스위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04597B2 (ko)
EP (1) EP1833067B8 (ko)
JP (1) JP4747888B2 (ko)
KR (1) KR100791204B1 (ko)
CN (1) CN100533629C (ko)
AT (1) ATE496383T1 (ko)
DE (1) DE60200701200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80389T1 (de) * 2004-08-07 2007-12-15 Euchn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überwachen des zustandes einer schutzeinrichtung
JP4522291B2 (ja) * 2005-03-08 2010-08-11 Idec株式会社 安全スイッチ
JP4673661B2 (ja) * 2005-04-26 2011-04-20 Idec株式会社 安全スイッチ
GB0700146D0 (en) * 2007-01-05 2007-02-14 Eja Ltd Safety switch mounting
US8476543B2 (en) * 2010-05-27 2013-07-02 Staco Systems, Inc. Low profile switch
GB2489525A (en) * 2011-04-01 2012-10-03 Idem Safety Switches Ltd Safety switch anti-tamper cam system
GB2496831A (en) * 2011-04-01 2013-05-29 Idem Safety Switches Ltd Anti-tamper safety switch with guard locking
JP6745568B2 (ja) * 2018-01-11 2020-08-26 Idec株式会社 安全スイッチ
DE102019201019A1 (de) * 2019-01-28 2020-07-30 Robert Bosch Gmbh Trennschaltervor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1484A (en) 1995-02-14 1998-10-13 K.A. Schmersal Gmbh & Co. Safety switch
US6013881A (en) 1999-03-30 2000-01-11 Honeywell Inc. Key operated safety interlock switch
JP2002157944A (ja) 2000-11-17 2002-05-31 Omron Corp キースイッチ
JP2003331696A (ja) 2002-05-09 2003-11-21 Idec Izumi Corp 安全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6141A1 (en) * 1992-08-31 1994-03-17 Idec Izumi Corporation Safety switch assembly
DE4303367C1 (de) * 1993-02-05 1994-02-24 Schmersal K A Gmbh & Co Sicherheitsschalter
DE4328297C1 (de) * 1993-08-23 1995-02-23 Euchner & Co Sicherheitsschalter
JPH07260089A (ja) * 1994-03-18 1995-10-13 Sanmei Denki Kk 安全装置
DE4436579C2 (de) * 1994-10-13 1997-05-22 Bernstein Hans Spezialfabrik Sicherheitsschalter
JP3249920B2 (ja) * 1996-08-29 2002-01-28 和泉電気株式会社 安全スイッチ
JP3081541B2 (ja) * 1996-09-25 2000-08-28 和泉電気株式会社 安全スイッチ
US6118087A (en) * 1997-03-31 2000-09-12 Idec Izumi Corporation Safety switch
US6037551A (en) * 1998-02-26 2000-03-14 Idec Izumi Corporation Safety switch
JP2000106066A (ja) * 1998-07-30 2000-04-11 Omron Corp キースイッチ
JP3938275B2 (ja) 2000-10-31 2007-06-27 Idec株式会社 安全スイッチ
DE10106228A1 (de) * 2001-02-10 2002-09-19 Euchner Gmbh & Co Sicherheitsschalter mit Entriegelungsscheibe
US6720508B2 (en) * 2001-07-06 2004-04-13 Omron Corporation Door switches
GB0214205D0 (en) * 2002-06-19 2002-07-31 Eja Ltd Lockable switch mechanism
JP4396478B2 (ja) * 2004-10-21 2010-01-13 オムロン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GB0513651D0 (en) * 2005-07-02 2005-08-10 Eja Ltd Lockable switch mechanism
GB0515583D0 (en) * 2005-07-29 2005-09-07 Eja Ltd Safety switch operating mechanism
DE202006003139U1 (de) * 2006-02-24 2006-06-01 Siemens Ag Schlüsselschalter mit einer Vorrichtung zur Schlüsselüberwach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1484A (en) 1995-02-14 1998-10-13 K.A. Schmersal Gmbh & Co. Safety switch
US6013881A (en) 1999-03-30 2000-01-11 Honeywell Inc. Key operated safety interlock switch
JP2002157944A (ja) 2000-11-17 2002-05-31 Omron Corp キースイッチ
JP2003331696A (ja) 2002-05-09 2003-11-21 Idec Izumi Corp 安全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34641A (zh) 2007-09-12
US20070209404A1 (en) 2007-09-13
US7504597B2 (en) 2009-03-17
JP2007242472A (ja) 2007-09-20
EP1833067B1 (en) 2011-01-19
CN100533629C (zh) 2009-08-26
KR20070092603A (ko) 2007-09-13
EP1833067B8 (en) 2011-05-04
EP1833067A2 (en) 2007-09-12
JP4747888B2 (ja) 2011-08-17
ATE496383T1 (de) 2011-02-15
DE602007012002D1 (de) 2011-03-03
EP1833067A3 (en)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204B1 (ko) 키 스위치
US7827837B2 (en) Electro-mechanical lock assembly
EP3217414B1 (en) Switch device
JP4727290B2 (ja) 安全スイッチ
US7985932B2 (en) Door lock device with safety switch
JP6119028B2 (ja) ドアラッチ装置
JP4522291B2 (ja) 安全スイッチ
KR101525718B1 (ko) 조향 록 장치
JP5222231B2 (ja) ドア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
AU2019202691B2 (en) Clutch engagement assembly of door lock and driving device thereof
JP2008123727A (ja) 開閉器および開閉器操作機構
KR20100015334A (ko) 잠금 장치
JP4396478B2 (ja) キースイッチ
WO2007066803A1 (ja) 安全スイッチ
JP4384070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US7724112B2 (en) Safety switch
KR20090120132A (ko) 핸들중앙 비상키겸용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JP6022312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2002140962A (ja) 安全スイッチ
JP4774793B2 (ja) 電動ステープラの安全装置
JPH10247448A (ja) 回路遮断器のハンドル操作装置
JP2004356069A (ja) 安全スイッチ
JP4396480B2 (ja) キースイッチ
JP4679233B2 (ja) 安全スイッチ
JP6152314B2 (ja) 車両用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