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345B1 -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345B1
KR100789345B1 KR1020060078869A KR20060078869A KR100789345B1 KR 100789345 B1 KR100789345 B1 KR 100789345B1 KR 1020060078869 A KR1020060078869 A KR 1020060078869A KR 20060078869 A KR20060078869 A KR 20060078869A KR 100789345 B1 KR100789345 B1 KR 100789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wax
solid stick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규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60078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Abstract

본 발명은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무기겔화제 0.5 내지 8.0 중량%, 왁스 8.0 내지 20 중량%, 유상성분 20.0 내지 70.0 중량% 및 수상성분 5.0 내지 50.0 중량%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량의 무기겔화제를 이용하여 안료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고온에서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시키고, 피부 도포시 안료에 의한 계면마찰이 없기 때문에 촉촉하고 산뜻한 사용감을 나타내며, 사용이 편리한 유중수형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무기겔화제

Description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Solid stick cosmetics of water-in-oil emulsion}
본 발명은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도포시 물을 함유하고 안료에 의한 계면마찰이 없기 때문에 발림성이 우수하고 촉촉한 보습효과와 산뜻한 사용감을 나타내며 스틱형상으로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무기겔화제를 함유하여 내용물 충진시 80 ℃ 이상의 고온에서도 겔화에 의한 점증효과로 인해 내용물 분리가 없이 안정하게 성형되는 유중수형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은 제품의 특성상 왁스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내용물을 성형시 왁스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성형을 하게 되는데, 이때 높은 온도는 내용물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요인 때문에 스틱상의 고형화장료로는 대부분 물을 포함하지 않고 유상과 안료로 이루어진 유성타입(suspension) 제품이 많다. 유성타입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은 고온 성형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반면, 물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피부에 도포시 촉촉한 감이 없으며 끈적임이나 유분감이 많은 화장으로 부자연스러운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물을 함께 사용하는 고형의 유중수형 에멀젼 타입 제품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고형의 에멀젼 타입 제품들은 대부분 안료를 10% 이상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안료를 사용하지 않으면 고온에서 내용물 성형시 유상과 수상의 안정성이 떨어져 물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고온에서의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안료의 사용이 많으면 고온에서의 성형 안정성 향상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피부 도포시 안료에 의한 계면마찰을 증가시켜 발림성이 떨어지고 촉촉한 감도 떨어지게 되는 원인이 됨으로 안료의 사용없이 고온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62932호, 제2001-0110123호 및 제2006-002387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형의 유중수형 에멀젼들이 연구되고 있으나, 모두 안료를 10% 이상 함유하고 있어 안료에 의한 발림성이나 촉촉함, 사용감 등이 떨어지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 성형에서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안료를 사용하지 않고 적은 양의 무기겔화제만으로도 고온 성형에서의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도포시 안료에 의한 계면마찰이 없어 촉촉한 보습효과와 함께 산뜻한 사용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 으로, 무기겔화제 0.5 내지 8.0 중량%, 왁스 8.0 내지 20.0 중량%, 유상성분 20.0 내지 70.0 중량%, 및 수상성분 5.0 내지 50.0 중량%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중수형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은 80℃ 이상의 고온에서 성형이 이루어지는 제품으로, 고온에서 장시간 성형시에는 유동성이 높아 에멀젼이 유상과 수상으로 분리가 발생하는 등의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팩트형 화장료와 달리 다량의 왁스를 이용하여야만 스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왁스에 의한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안료를 사용하게 되면 안정성은 높아지나 다량의 왁스와 안료에 의한 계면마찰이 크게 증가하여 촉촉한 느낌이나 사용감이 반대로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물을 함유한 유중수형의 고형 스틱화장료로서 고온 성형시 에멀젼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아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며, 특히 사용시 발림성이 우수하고 촉촉하며 산뜻하게 마무리되는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안료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무기겔화제가 실온 뿐만 아니라 고온에서도 겔화에 의한 점증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은 무기겔화제를 이용하여 고온 성형시에도 겔화제의 증점효과로 인해 내용물 분리가 일어나지 않아 안정성이 우수하며, 수상을 함유하여 발림성이 우수하며 산뜻하고 촉촉하게 마무리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안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고온에서도 증점효과를 낼 수 있는 무기겔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안료에 의한 계면마찰이 없어 왁스가 많은 상황에서도 사용감을 좋게 하는 특징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은 유상과 수상 및 무기겔화제를 포함하는 유화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기겔화제로는 몬트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쿼터리늄-18 헥토라이트, 쿼터리늄-18 벤토나이트 등의 친수 또는 친유성 클레이 계통과, 소수성 실리카, 실리카디메틸실레이트(SILICA DIMETHYL SILYLATE), 실리카디메치콘실레이트(SILICA DIMETHICONE SILYLATE), 및 실리카실레이트(SILICA SIL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겔화제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점증효과가 낮아 고온 성형시 유상과 수상의 분리가 일어나며, 8.0 중량%를 초과하면 유동도가 너무 낮아 성형이 어려워지게 되고 사용감 또한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무기겔화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5-8.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왁스는 일반적으로 화장료를 고형화 시키거나 광택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왁스는 칸델리라왁스, 카르나우바왁스, 라이스왁스 등의 식물성왁스나 비즈왁스, 라놀린 등의 동물성 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왁스 등의 광물성 왁스, 파라핀왁스, 마이크로 크리스탈린왁스, 폴리에틸렌왁스 등의 석유계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25 ℃의 온도에서 고체인 에 스테르계 왁스인 세레신왁스나 카르나우바왁스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왁스의 함량은 8.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발림성은 우수하지만 보형성이 떨어져 스틱상으로 사용시 스틱 뭉그러짐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20.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스틱상 형성에는 유리하지만 발림성이 뻑뻑하게 되는 등의 사용감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어 8.0-20.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상성분에는 사이클로메치콘과 같은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필수로 포함하고, 그 이외에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 식물성 오일, 광물성 오일 및 합성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을 포함한다.
상기 휘발성 오일로는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레이트, 이소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디스테아릴말레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메치콘, 디메치콘, 사이크로메치콘, 액상라놀린, 올리브유,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유, 마카데미아오일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를 사용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이크로펜타실록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휘발성 오일의 함량은 유상 전체함량의 30.0-90.0 중량%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상성분은 본 발명의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사용시 청량하고 촉촉한감을 크게 높여주는 역할을 하며, 물과 함께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는 베타인, 부틸렌글리콜, 다가 알코올, 당과 단백질의 복합체, 유기산, 유기염류, 및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디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올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보습제는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등의 글리세롤류, 솔비톨, 멀티톨, 자당, 전분당, 라쿠치톨 등의 당류, 구아검, 콘드로이틴 유산나트륨, 히아루론산나트륨, 아라비아고무, 알긴산나트륨, 콜라기난,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실비닐폴리머, 폴로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알킬화카르복실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수용성 고분자, 염화나트륨염, 염화마그네슘, 유산나트륨 등의 염류, 알로에베라, 오이, 레몬, 라벤더, 로즈 등의 식물추출액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상성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50 중량%로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15-40 중량%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수상성분에 포함되는 물은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파라벤, 메틸파라벤과 같은 보존제, 유기겔화제, 유화제 및 통상의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성분들을 통상의 함량으로 더욱 첨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의 예에만 국한되지는 않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으로 실시예 들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에 따라 유상용해조에 1-8의 원료를 80-85℃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이때, 수상용해조에 11-14의 원료도 함께 80℃로 가열해 두었다. 유상의 가열, 용해가 끝나면 바로 원료 8-10을 투입하여 10분 동안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분산이 끝나면 수상을 유상용해조에 넣어 20분간 유화를 시켰다. 이 유화물은 탈포 후 80℃에서 몰더에 성형하고 상온에서 냉각하여 실시예 1의 유중수형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및 비교예 1-3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참조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표 1]
원료명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세레신 왁스 14.0 14.0 14.0 14.0 14.0 7.0
디메치콘코폴리올 3.0 3.0 3.0 3.0 3.0 3.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0.0 30.0 30.0 34.0 25.0 25.0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디카프레이트 15.0 15.0 15.0 15.0 15.0 1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0.5 0.5 0.5 0.5
솔비탄올리베이트 3.0 3.0 3.0 3.0 3.0 3.0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6.0 6.0 6.0 10.0 6.0 6.0
안료* - - - - 10.0 20.0
실리카디메틸실레이트 4.0 2.0 - - - -
쿼터리늄-18 헥토라이트 - 2.0 4.0 - - -
글리세린 3.0 3.0 3.0 3.0 3.0 3.0
1,3-부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메틸파라벤 0.1 0.1 0.1 0.1 0.1 0.1
물(정제수) To 100
상기 표 1에서, * 안료: 이산화티탄 50 중량%, 마이카 20 중량%, 탈크 20 중량%, 나일론파우더 10 중량%로 이루어짐.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80 ℃에서 내용물을 녹인 직후, 1시간, 3시간, 5시간 경과후의 내용물을 립스틱 몰더에 성형하여 이들의 경도변화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경도는 FUDOH RHEO METER 기기를 이용하여 성형물의 중간부분을 절단경도로 측정하였으며, 절단경도는 3번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표 2]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직후 132 145 173 114 213 103
1시간 128 144 169 74 204 95
3시간 131 140 174 68 187 97
5시간 136 142 172 66 192 95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기겔화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1-3의 샘플에서는 고온에서 성형시간에 따른 경도변화가 거의 없이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무기겔화제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성형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안정성이 떨어져 경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비교예 2 와 3 에서는 안료를 10 내지 20 중량%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성이 양호하긴 하나 경도가 조금 떨어졌다.
<사용감 평가>
25-45세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3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시예 1-3과 비교예 1-3을 각 군에 적절히 조절하여 얼굴 양쪽 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다음 평가 기준에 따라 발림성, 촉촉함, 마무리감등의 사용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매우나쁨 : 1, 나쁨 : 2, 보통 : 3, 좋음 : 4, 매우좋음 : 5
[표 3]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발림성 3.9 4.2 4.1 4.3 2.3 3.2
촉촉함 4.0 4.1 4.1 3.6 1.9 2.1
마무리감 4.0 4.2 4.3 3.0 2.6 2.8
상기 표 3의 사용감 평가에 있어서, 안정성이 우수한 실시예 1-3의 샘플은 비교예에 비해 전반적으로 촉촉하고 산뜻한 마무리감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비교예 2와 3의 경우에는 안료에 의한 계면마찰력이 크게 증가하여 사용을 크게 악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안료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소량의 무기겔화제만으로 성형시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고온 성형이 요구되는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의 성형시 안정성이 떨어지는 치명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도포시 안료에 의한 계면마찰이 없어 발림성이 우수하고 촉촉하며 산뜻한 마무리감이 우수한 유중수형의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몬트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쿼터리늄-18 헥토라이트, 및 쿼터리늄-18 벤토나이트, 소수성 실리카, 실리카디메틸실레이트, 실리카디메치콘실레이트 및 실리카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겔화제 0.5 내지 8.0 중량%;
    왁스 8.0 내지 20.0 중량%;
    유상성분 20.0 내지 70.0 중량%; 및
    수상성분 5.0 내지 50.0 중량%
    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가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광물성 왁스, 석유계 왁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성분은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 식물성 오일, 광물성 오일 및 합성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인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전체 유상함량의 30.0 내지 90.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성분은 베타인, 부틸렌글리콜, 다가 알코올, 당과 단백질의 복합체, 유기산, 유기염류, 및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디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올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보습제를 포함하는 것인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78869A 2006-08-21 2006-08-21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KR100789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869A KR100789345B1 (ko) 2006-08-21 2006-08-21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869A KR100789345B1 (ko) 2006-08-21 2006-08-21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345B1 true KR100789345B1 (ko) 2007-12-28

Family

ID=3914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869A KR100789345B1 (ko) 2006-08-21 2006-08-21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345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19484A3 (en) * 2009-06-03 2012-05-09 Evonik Goldschmidt GmbH Water-in-oil emulsion system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WO2013055041A1 (ko) * 2011-10-11 2013-04-18 주식회사 제닉 에멀젼화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9590B1 (ko) * 2013-12-27 2015-09-03 한국콜마주식회사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WO2017073898A1 (ko) * 2015-10-29 2017-05-04 코스맥스 주식회사 휘발성 오일을 용매로 하는 소성타입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70076417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체 타입의 유중수형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WO2018088831A1 (ko) * 2016-11-11 2018-05-17 한국콜마주식회사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53225A (ko) * 2016-11-11 2018-05-21 한국콜마주식회사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90110002A (ko) * 2018-03-19 2019-09-27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수분방출 스틱형 화장료
US20200214948A1 (en) * 2018-02-07 2020-07-09 Shiseido Company, Ltd. Solid w/o cosmetic composition
KR20210049609A (ko) * 2019-10-25 2021-05-06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US11071699B2 (en) 2016-04-19 2021-07-27 Conopco, lnc Deodorant composition
KR102404483B1 (ko) * 2021-09-29 2022-06-07 코스맥스 주식회사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80538B1 (ko) * 2021-09-28 2022-12-23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상 및 유상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2482A (en) 1987-06-23 1994-11-08 Shiseido Company Ltd. Water-in-oil emulsion solid cosmetic composition
US6042815A (en) 1998-10-21 2000-03-28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Water and oil emulsion solid cosmetic composition
US6342235B1 (en) 1995-11-06 2002-01-29 L'oreal, S.A. Solid cosmetic composition and us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2482A (en) 1987-06-23 1994-11-08 Shiseido Company Ltd. Water-in-oil emulsion solid cosmetic composition
US6342235B1 (en) 1995-11-06 2002-01-29 L'oreal, S.A. Solid cosmetic composition and uses
US6042815A (en) 1998-10-21 2000-03-28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Water and oil emulsion solid cosmetic composition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19484A3 (en) * 2009-06-03 2012-05-09 Evonik Goldschmidt GmbH Water-in-oil emulsion system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WO2013055041A1 (ko) * 2011-10-11 2013-04-18 주식회사 제닉 에멀젼화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857412A (zh) * 2011-10-11 2014-06-11 詹尼克公司 乳化水凝胶组合物及其生产方法
US20140271596A1 (en) * 2011-10-11 2014-09-18 Genic Co., Ltd. Emulsified hydrogel composition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14528471A (ja) * 2011-10-11 2014-10-27 ジェニ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Genic Co.,Ltd. エマルション化されたハイドロゲ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49590B1 (ko) * 2013-12-27 2015-09-03 한국콜마주식회사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WO2017073898A1 (ko) * 2015-10-29 2017-05-04 코스맥스 주식회사 휘발성 오일을 용매로 하는 소성타입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70076417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체 타입의 유중수형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953335B1 (ko) 2015-12-24 2019-02-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체 타입의 유중수형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US11071699B2 (en) 2016-04-19 2021-07-27 Conopco, lnc Deodorant composition
WO2018088831A1 (ko) * 2016-11-11 2018-05-17 한국콜마주식회사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53225A (ko) * 2016-11-11 2018-05-21 한국콜마주식회사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US10857074B2 (en) 2016-11-11 2020-12-08 Kolmar Korea Co., Ltd. Method for preparing stick-type cosmetic composition
KR102099209B1 (ko) * 2016-11-11 2020-04-10 한국콜마주식회사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200214948A1 (en) * 2018-02-07 2020-07-09 Shiseido Company, Ltd. Solid w/o cosmetic composition
KR20200011041A (ko) * 2018-03-19 2020-01-31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수분방출 스틱형 화장료
KR102091324B1 (ko) 2018-03-19 2020-03-19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수분방출 스틱형 화장료
KR102198258B1 (ko) 2018-03-19 2021-01-04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수분방출 스틱형 화장료
KR20190110002A (ko) * 2018-03-19 2019-09-27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수분방출 스틱형 화장료
KR20210049609A (ko) * 2019-10-25 2021-05-06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42905B1 (ko) 2019-10-25 2021-12-24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80538B1 (ko) * 2021-09-28 2022-12-23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상 및 유상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WO2023054797A1 (ko) * 2021-09-28 2023-04-06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상 및 유상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04483B1 (ko) * 2021-09-29 2022-06-07 코스맥스 주식회사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WO2023054802A1 (ko) * 2021-09-29 2023-04-06 코스맥스 주식회사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345B1 (ko)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KR101002866B1 (ko)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EP0966258B2 (en) Antiperspirant or deodorant composition
US20040197286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bination of a specific ester and silicone compound
KR101342071B1 (ko) 유성타입의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088955B1 (ko) 유성타입의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H0288513A (ja) 固型状油中水型乳化化粧料
EP3082710A2 (en) Glycerin-in-oil emulsion
JP5881075B2 (ja) メーキャップ組成物
JP3635155B2 (ja) 化粧料
JPH0419269B2 (ko)
EP3468523A1 (en) Hydrating lip balm composition
JPH0554868B2 (ko)
JPH07196437A (ja) 油性固型化粧料
KR102161124B1 (ko)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H1067645A (ja) 親水性成分及び揮発性化合物とペースト状脂肪化合物との混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前記混合物の使用
JP2561857B2 (ja) 油性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3563815B2 (ja) 固形状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9990042883A (ko) 입술화장료 조성물
JP2561858B2 (ja) 油性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3555907B2 (ja) 固形状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0614380B1 (ko) 겔화제를 이용한 유중수 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JP2001199841A (ja) 乳化口紅用組成物
JP2001354510A (ja) 水中油型外用組成物
KR100938577B1 (ko) 비수유화형 발열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