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54797A1 - 수상 및 유상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상 및 유상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54797A1
WO2023054797A1 PCT/KR2021/016207 KR2021016207W WO2023054797A1 WO 2023054797 A1 WO2023054797 A1 WO 2023054797A1 KR 2021016207 W KR2021016207 W KR 2021016207W WO 2023054797 A1 WO2023054797 A1 WO 202305479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il
cosmetic composition
water
solid cosmetic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62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혜령
임현주
지진구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22550998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3547747A/ja
Publication of WO202305479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547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in-oil type soli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 improved moisturizing effect by stably including an aqueous phase and an oil phase in an appropriate ratio.
  • the conventional solid cosmetic composition refers to a formulation in which oil having excellent moisturizing ability is solidified, and is widely used as a moisturizing agent due to its high hardness and does not flow down.
  • a normal solid cosmetic composition refers to an oil-dispersed formulation containing only oily ingredients and usually does not contain water-soluble ingredients.
  • oil-dispersed solid cosmetic compositions are often composed only of silicone and other non-aqueous raw materials, and when these ingredients are applied to oily skin, they can clog the pores of the skin and cause serious trouble.
  • the oil-dispersed solid cosmetic composition maintains its stickiness for a long time rather than permeating directly into the skin upon application, causing inconvenience in daily life, and when combined with other cosmetic compositions, the applied material is pushed away from the skin.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intensive research efforts to develop a water-in-oil type soli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 appropriate ratio of the aqueous phase and the oil phase.
  • the water-in-oil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aqueous phase and the oil phase in an appropriate ratio has an effect of reducing stickiness, improving moisturizing feeling, and not causing skin trouble, compared to the existing oil-dispersible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nsisting only of silicone and other non-aqueous raw material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excell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in-oil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phase and an oil phase.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in oil (W/O) solid cosmetic composition
  • W/O water in oil
  • the weight ratio of the aqueous phase and the oil phase may be 4:6 to 6:4, for example, 5:5,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water phase is 30.0 to 50.0% by weight, 30.0 to 47.5% by weight, 35.0 to 50.0% by weight, 35.0 to 47.5% by weight, 40.0 to 50.0% by weight, 40.0 to 47.5% by weight, 45.0 to 50.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cosmetic composition %, 45.0 to 47.5% by weight, for example, 47.1% by weight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queous phas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ol, a pH adjusting agent, and a solv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olyols include glycerin, butylene glycol, pentylene glycol, 1,2-hexanediol, and propanediol. ,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propanediol and dipropylene glyc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lyol is 5.0 to 15.0% by weight, 5.0 to 13.0% by weight, 5.0 to 11.0% by weight, 7.0 to 15.0% by weight, 7.0 to 13.0% by weight, 7.0 to 11.0% by weight, 9.0 to 1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smetic composition %, 9.0 to 13.0% by weight, 9.0 to 11.0% by weight, 11.0 to 15.0% by weight, 11.0 to 13.0% by weight, for example, 11.0% by weight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 adjusting agent may be sodium chloride (Sodium Chlor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 adjusting agent is 0.3 to 1.0% by weight, 0.1 to 0.8% by weight, 0.1 to 0.6% by weight, 0.3 to 1.0% by weight, 0.3 to 0.8% by weight, 0.5 to 1.0% by weight, 0.5 to 0.8%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cosmetic composition % by weight, 0.5 to 0.6% by weight, for example, 0.5% by weight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il phas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rfactants, waxes, oils, and vegetable butt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urfactant is polyglyceryl-4 isostearate, polyglyceryl-3 polyricinoleate, disteardimonium hectorit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rbitan isostear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urfactant may be included in 5.0 to 10.0% by weight, 5.0 to 8.0% by weight, 7.0 to 10.0% by weight, 7.0 to 8.0% by weight, for example, 7.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smetic composition, but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going to be
  • the wax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zokerite, polyethylene, synthetic wax, and microcrystalline wax, but is not limited thereto. .
  • the wax may be included in 12.0 to 18.0% by weight, 12.0 to 16.0% by weight, 14.0 to 18.0% by weight, 14.0 to 16.0% by weight, for example, 1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smetic composition, but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 the oil is Coco-Caprylate/Caprate, Isononyl Isononanoate, Hydrogenated Coconut Oil, Diisostearylmal Diisostearyl Malate, Camellia Japonica Seed Oil, Apple Seed Oil, Stearyl Heptanoate, Stearyl Caprylate, Dipentaerythrityl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xahydroxystearate/hexastearate/hexarosinate (DipentaerythritylHexahydroxystearate/Hexastearate/Hexarosin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il is 15.0 to 25.0% by weight, 15.0 to 23.0% by weight, 17.0 to 25.0% by weight, 17.0 to 23.0% by weight, 20.0 to 25.0% by weight, 20.00 to 23.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cosmetic composition, for example, It may contain 20.0%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vegetable butt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hea butter, cupuasu seed butter, mango seed butter, and cacao seed but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vegetable butter is 0.5 to 1.5% by weight, 0.5 to 1.3% by weight, 0.5 to 1.0% by weight, 0.7 to 1.5% by weight, 0.7 to 1.3% by weight, 0.9 to 1.5% by weight, 0.9 to 1.3%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cosmetic composition % by weight, 0.9 to 1.0% by weight, for example, 1.0% by weight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water-in-oil solid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powd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wd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and styrene/acrylate copoly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wder is 1.0 to 5.0% by weight, 1.0 to 4.5% by weight, 1.0 to 4.0% by weight, 1.0 to 3.5% by weight, 1.0 to 3.0% by weight, 1.0 to 2.5% by weight, 1.0 to 2.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cosmetic composition %, 1.5 to 5.0% by weight, 1.5 to 4.5% by weight, 1.5 to 4.0% by weight, 1.5 to 3.5% by weight, 1.5 to 3.0% by weight, 1.5 to 2.5% by weight, 1.5 to 2.0% by weight, such as 2.0% by weight %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in-oil solid cosmetic composition stably containing an aqueous phase and an oil phase, which can implement a stable formulation by including the aqueous phase and the oil phase in an appropriate ratio, and uses a large amount of water-soluble ingredients instead of conventional silicone and other non-aqueous ingredients. It does not cause skin trouble, reduces stickiness, and is effective in improving moisturizing.
  • Example 1 is a graph showing a formulation of Example 1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W/O water in oil
  • Water-in-oil solid cosmetic composition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ingredients and contents listed in Table 1 below.
  • the oil phase surfactants 7 to 10 and wax, oil, and vegetable butters 11 to 19 were heated to 80 ° C. to completely dissolve them, and a homomixer ( homomixer) and stirred at 3500 rpm for 3 minutes.
  • Example 1 1 day, 5 days, 1 week, 2 condition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at 4 °C, room temperature, 37 °C, 45 °C and cycle (change the storage temperature to -4 °C every 24 hours and perform three times)
  •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was evaluated for two weeks and four week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the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1 day 4°C ⁇ ⁇ normal temperature ⁇ ⁇ 37 °C ⁇ ⁇ 45 °C ⁇ ⁇ Cycle ⁇ ⁇ 5 days 4°C ⁇ ⁇ normal temperature ⁇ ⁇ 37 °C ⁇ ⁇ 45 °C ⁇ ⁇ Cycle ⁇ ⁇ 1 week 4°C ⁇ ⁇ normal temperature ⁇ ⁇ 37 °C ⁇ ⁇ 45 °C ⁇ ⁇ Cycle ⁇ X 2 weeks 4°C ⁇ ⁇ normal temperature ⁇ ⁇ 37 °C ⁇ X 45 °C ⁇ X Cycle ⁇ X 4 weeks 4°C ⁇ ⁇ normal temperature ⁇ ⁇ 37 °C ⁇ X 45 °C ⁇ X Cycle ⁇ ⁇ X Cycle ⁇ ⁇ X
  • Example 1 was confirmed to have excellent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under all temperature conditions, and that the outer surface hardened smoothly even during filling (FIG. 1).
  • Comparative Example 1 contained an excessive amount of aqueous phase, so the formulation was unstable, and after 2 weeks, moisture evaporated and the product itself tended to shrink.
  • Comparative Example 2 contained an excessive amount of oil phase, so it was impossible to observe stability because a solid formulation was not formed due to the leakage of oil.
  • the aqueous phase and the oil phase should be included in a ratio of about 5:5.
  • Example 1 About 10 healthy male/female subjects were selected and the skin moisture level was measured. A control group without application (no application), Example 1, and an experimental group with Comparative Example 1 applied were compared. The amount of moisture present in the skin epidermis was measured before the start of application, immediately after application, 2 hours after application, 4 hours after application, and 8 hours after application. The amount of moisture present in the skin epidermis was measured using a corneometer sensor.
  • a corniometer is a machine that measures and digitizes the ion level of moisture to check the skin's moisturizing power. Skin moisture content was expressed in %, and was conducted under conditions of a constant temperature of 24 °C and a constant humidity (relative humidity) of 40%.
  • the digitized electrical conductivity was confirmed on the screen through the sensor.
  • the sensor was wiped with a tissue such as Kim's wipe, and the measurement was repeated several times at different measurement sites, and the change in moisture content over time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0 hours 100.0 100.0 0.5hrs 185.7 168.9 2 hours 178.6 154.4 4 hours 155.0 136.8 8 hours 138.2 123.0
  • Example 1 As can be seen in Table 3, in Example 1, the weight ratio of the aqueous phase and the oil phase was appropriately contained at about 5:5, so that the oil wrapped the skin after the aqueous phase penetrated the skin, and the moisturizing durability was highly evaluated. On the other hand, Comparative Example 1 contained a large amount of water phase and thus had a large amount of water evaporation, and also had a high powder content, so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surface was measured to be low.
  • Example 1 including an aqueous phase and an oil phase in an appropriate ratio was superior to Comparative Example 1 in skin moisturizing evaluation.
  •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applied to both cheeks twice daily for 4 weeks to 5 males and females aged 20 to 40 years, and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efore application, 2 weeks after application, and 4 weeks after application TEWL (Trans Epidermal Water Loss) was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24°C, 40% relative humidity).
  • TEWL Trans Epidermal Water Loss
  • the amount of moisture evaporating from the skin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rea and time, and the amount of moisture evaporating was read and digitized by the temperature and moisture electronic sensors to measure the moisturizing power of the skin.
  •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which are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kept constant, and only a minimum number of people other than the measurer and the subject were left, and the flow of air was blocked as much as possible.
  • the TEWL probe was lightly placed on the subject's measurement site and made to form an angle of 90 degrees with the ground. As time passed, the value at which the TEWL level of the skin became constant was measured for about 1 to 3 minutes, and the amount of moisture evaporated per hour per area (g/m 2 / h) was calcul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 Transepidermal water loss (%) [(Initial transepidermal water loss - Transepidermal water loss before sample use) / Transepidermal water loss before sample use] ⁇ 100
  • Example 1 significantly reduced the water loss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After 2 weeks of application, Example 1 maintained a water loss of about 40%, but Comparative Example 1 confirmed that the water loss increased to about 85%. And after 4 weeks of application, Example 1 maintained about 50% of the water loss, confirming that it had excellent skin moisturizing pow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in-oil type soli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 improved moisturizing effect by stably including an aqueous phase and an oil phase in an appropriate rati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및 유상을 안정하게 포함하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수상 및 유상을 적절한 비율로 포함하여 안정된 제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의 실리콘 및 기타 비수계 원료 대신 다량의 수용성 성분을 포함하여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고, 끈적임은 감소하고, 보습감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상 및 유상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본 특허출원은 2021년 9월 28일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1-0128261 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특허출원의 개시 사항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본 발명은 수상 및 유상을 적절한 비율로 안정하게 포함하여 개선된 보습 효과를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력이 우수한 오일을 고형화 시킨 제형을 의미하는 것으로, 높은 경도로 인해 흘러내리지 않는 장점이 있어서 보습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보통의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 원료만을 포함하는 유분산 제형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용성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및 기타 비수계 원료로만 이루어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성분을 지성 피부에 도포할 경우 피부의 모공을 막아 심각한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 시 피부에 바로 스며들기 보다는 끈적임이 오래 유지되어 생활 시 불편함을 초래하기도 하며,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겸용 시 도포물이 피부에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고, 끈적임은 감소하고, 보습감을 개선할 수 있는 수상 및 유상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수상 및 유상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수상 및 유상을 적절한 비율로 포함하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이 기존의 실리콘 및 기타 비수계 원료로만 이루어진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보다 끈적임은 감소하고, 보습감 개선 및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 및 유상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수상 및 유상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Water in Oil; W/O) 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상 및 유상의 중량비는 4:6 내지 6:4, 예를 들어, 5:5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상은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30.0 내지 50.0 중량%, 30.0 내지 47.5 중량%, 35.0 내지 50.0 중량%, 35.0 내지 47.5 중량%, 40.0 내지 50.0 중량%, 40.0 내지 47.5 중량%, 45.0 내지 50.0 중량%, 45.0 내지 47.5 중량%, 예를 들어, 47.1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상은 폴리올, pH 조절제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은 글리세린 (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펜틸렌글라이콜 (Pentylene Glycol),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프로판다이올 (Propanediol), 메틸프로판다이올 (Methylpropanediol) 및 디프로필렌글라이콜 (Diprop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은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5.0 내지 15.0 중량%, 5.0 내지 13.0 중량%, 5.0 내지 11.0 중량%, 7.0 내지 15.0 중량%, 7.0 내지 13.0 중량%, 7.0 내지 11.0 중량%, 9.0 내지 15.0 중량%, 9.0 내지 13.0 중량%, 9.0 내지 11.0 중량%, 11.0 내지 15.0 중량%, 11.0 내지 13.0 중량%, 예를 들어, 11.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pH 조절제는 소듐클로라이드 (Sodium Chloride)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pH 조절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3 내지 1.0 중량%, 0.1 내지 0.8 중량%, 0.1 내지 0.6 중량%, 0.3 내지 1.0 중량%, 0.3 내지 0.8 중량%, 0.5 내지 1.0 중량%, 0.5 내지 0.8 중량%, 0.5 내지 0.6 중량%, 예를 들어, 0.5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상은 계면활성제, 왁스, 오일 및 식물성 버터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Polyglyceryl-4 Isostearate), 폴리글리세릴-3폴리리시놀리에이트 (Polyglyceryl-3 Polyricinoleate),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Disteardimonium Hectorite),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Sorbitan 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5.0 내지 10.0 중량%, 5.0 내지 8.0 중량%, 7.0 내지 10.0 중량%, 7.0 내지 8.0 중량%, 예를 들어, 7.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왁스는 오조케라이트 (Ozokerite),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합성왁스 (Synthetic Wax)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Microcrystalline Wa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왁스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12.0 내지 18.0 중량%, 12.0 내지 16.0 중량%, 14.0 내지 18.0 중량%, 14.0 내지 16.0 중량%, 예를 들어, 15.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은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Coco-Caprylate/Caprate), 아이소노닐아이소노나노에이트 (Isononyl Isononano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코코넛오일 (Hydrogenated Coconut Oil),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Diisostearyl Malate), 동백나무씨오일 (Camellia Japonica Seed Oil), 사과씨오일 (Apple seed Oil),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Stearyl Heptanoate), 스테아릴카프릴레이트 (Stearyl Caprylate),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DipentaerythritylHexahydroxystearate/Hexastearate/Hexarosi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은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15.0 내지 25.0 중량%, 15.0 내지 23.0 중량%, 17.0 내지 25.0 중량%, 17.0 내지 23.0 중량%, 20.0 내지 25.0 중량%, 20.00 내지 23.0 중량%, 예를 들어, 20.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성 버터는 시어버터, 쿠푸아수씨버터, 망고씨버터 및 카카오씨버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성 버터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5 내지 1.5 중량%, 0.5 내지 1.3 중량%, 0.5 내지 1.0 중량%, 0.7 내지 1.5 중량%, 0.7 내지 1.3 중량%, 0.9 내지 1.5 중량%, 0.9 내지 1.3 중량%, 0.9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1.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파우더는 실리카 및 스타이렌/아클리레이트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파우더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1.0 내지 5.0 중량%, 1.0 내지 4.5 중량%, 1.0 내지 4.0 중량%, 1.0 내지 3.5 중량%, 1.0 내지 3.0 중량%, 1.0 내지 2.5 중량%, 1.0 내지 2.0 중량%, 1.5 내지 5.0 중량%, 1.5 내지 4.5 중량%, 1.5 내지 4.0 중량%, 1.5 내지 3.5 중량%, 1.5 내지 3.0 중량%, 1.5 내지 2.5 중량%, 1.5 내지 2.0 중량%, 예를 들어, 2.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수상 및 유상을 안정하게 포함하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수상 및 유상을 적절한 비율로 포함하여 안정된 제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의 실리콘 및 기타 비수계 원료 대신 다량의 수용성 성분을 포함하여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고, 끈적임은 감소하고, 보습감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실시예 1의 제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수상 및 유상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Water in Oil; W/O) 고형 화장료 조성물 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번호 분류 구분 성분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1 수상 폴리올 글리세린 2.0 20.0 5.0
2 부틸렌글라이콜 9.0 15.0 5.0
3 펜틸렌글라이콜 1.5 1.5 1.5
4 1,2-헥산다이올 0.5 0.5 0.5
5 pH 조절제 소듐클로라이드 0.5 0.5 0.5
6 용제 정제수 33.6 29.6 16.6
7 유상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3.8 3.8 3.8
8 폴리글리세릴-3폴리리시놀리에이트 1.6 1.6 1.6
9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0.9 0.9 0.9
10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0.6 0.6 0.6
11 왁스 오조케라이트 12.0 12.0 12.0
12 폴리에틸렌 1.0 1.0 1.0
13 합성왁스 1.0 1.0 1.0
14 마이크로스테알린왁스 1.0 1.0 1.0
15 오일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15.0 3.0 25.0
16 아이소노닐아이소노나노에이트 9.0 3.0 15.0
17 하이드로제네이티드코코넛오일 3.0 1.0 5.0
18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1.0 1.0 1.0
19 식물성
버터류
시어버터 1.0 1.0 1.0
20 필름포머 파우더 실리카 1.0 1.0 1.0
21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1.0 1.0 1.0
총합 (단위: 중량%) 100.0 100.0 100.0
구체적으로, 표 1에 기재된 각각의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유상으로 계면활성제인 7 내지 10과 왁스, 오일 및 식물성버터류인 11 내지 19를 80 ℃까지 가온하여 완전 용해 시킨 후, 호모믹서 (Homomixer)에 투입하여 3500 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수상인 1 내지 6을 80 ℃까지 가온 후 완전 용해를 확인한 후, 호모믹서에 투입하여 3500 rpm으로 5분간 교반을 하였다. 그 다음, 파우더인 20 및 21을 개별 투입 후 3500 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기포를 제거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제형 안정도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를 4 ℃, 상온, 37 ℃, 45 ℃ 및 싸이클 (보관온도를 - 4 ℃로 24시간마다 변경하여 3회 실시)의 조건으로 1일, 5일, 1주, 2주 및 4주간 두고 제형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평가기준]
◎; 안정
△; 약간불안정
X; 불안정
실시예 1 비교예 1
1일 4 ℃
상온
37 ℃
45 ℃
Cycle
5일 4 ℃
상온
37 ℃
45 ℃
Cycle
1주 4 ℃
상온
37 ℃
45 ℃
Cycle X
2주 4 ℃
상온
37 ℃ X
45 ℃ X
Cycle X
4주 4 ℃
상온
37 ℃ X
45 ℃ X
Cycle X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은 제형의 안정도가 전 온도 조건에서 우수하며, 충진 시에도 겉표면이 매끄럽게 굳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
반면, 비교예 1은 수상을 과량 포함하고 있어서 제형이 불안정하였으며, 2주 이후부터는 수분이 증발하여 제품 자체가 수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비교예 2는 유상을 과량 포함하고 있어 오일의 베어나옴 현상으로 고형 제형이 형성되지 않아 안정도 관찰이 불가능하였다.
이를 통해, 안정한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수상 및 유상을 약 5:5의 비율로 포함하여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 보습 평가
건강한 남/여 10여 명의 피실험자를 택하여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다.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대조군 (무도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바른 실험군을 비교하였다. 순차적으로 사용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도포 개시 전과 도포 직후, 도포 2시간 후, 도포 4시간 후, 도포 8시간 후의 피부 표피 내 존재하는 수분양을 측정하였다. 피부 표피 내 존재하는 수분양은 코니오미터 (corneometer)센서를 사용하였다. 코니오미터는 수분의 이온 정도를 측정하고 수치화 하여 피부 보습력을 확인할 수 있는 기계이다. 피부 수분도는 %로 나타내었으며, 항온 24 ℃및 항습 (상대습도) 40 %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코니오미터 탐침 (probe)을 측정 부위인 하박 내측에올려놓고 누른 후, 센서를 통하여 수치화 된 전기 전도도를 화면으로 확인하였다. 측정 후, 킴스 와이프와 같은 휴지로 센서를 닦고, 측정 부위를 달리하여 여러 번 반복하여 측정하였고, 시간에 경과에 따른 수분도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단위: 피부수분도%) 실시예 1 비교예 1
0 hr 100.0 100.0
0.5 hrs 185.7 168.9
2 hrs 178.6 154.4
4 hrs 155.0 136.8
8 hrs 138.2 123.0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은 수상 및 유상의 중량비가 약 5:5로 적절하게 함유되어 있어 수상의 피부 침투 후 이를 오일이 피부를 감싸주어 보습 지속력이 높게 평가되었다. 반면, 비교예 1은 수상을 다량 함유하여 수분 증발량이 많으며, 또한, 파우더 함량도 많아서 피부 표면의 수분도가 낮게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비교예 1 보다 수상 및 유상을 적절한 비율로 포함하는 실시예 1이 피부 보습 평가에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경표피 수분손실 평가
20세 내지 40세 남/녀 5명에게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매일 2회 4주간 양쪽 뺨에 도포하도록하고, 도포 전, 도포 후 2주, 도포 후 4주 경과한 시점에서 항온, 항습 조건 (24℃상대습도 40%)에서 TEWL (경표피 수분손실, Trans Epidermal Water Loss)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피부에서 증발하는 수분의 양을 면적과 시간에 따라 계산하여 증발하는 수분량을 온도와 보습 전자센서로 읽고 수치화하여 피부의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이때 환경조건인 온도,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측정자와 피검자 외에 최소한의 인원만 남도록 하였으며, 가급적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였다. TEWL 프로브를 피검자의 측정부위에 가볍게 올려놓고 지면과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였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피부의 TEWL 수치가 일정해지는 값을 약 1 내지 3분간 측정하여 면적 당 시간당 증발하는 수분량 (g/m2/h)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경피수분손실량 (%) = [(초기 경피수분손실량 - 시료 사용 전 경피수분손실량)/시료 사용 전 경피수분손실량] × 100
(단위: 수분손실량 (%)) 실시예 1 비교예 1
도포 2주 후 40 90
도포 4주 후 50 85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은 비교예 1보다 수분손실량이 현저히 줄었다. 도포 2주 후는 실시예 1은 약 40 %의 수분손실량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비교예 1은 수분손실량이 약 85 %로 증가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포 4주 후는 실시예 1은 약 50 %의 수분손실량을 유지하고 있어 우수한 피부 보습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수상 및 유상을 적절한 비율로 안정하게 포함하여 개선된 보습 효과를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laims (17)

  1. 수상 및 유상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Water in Oil; W/O) 고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및 유상의 중량비는 4:6 내지 6:4인 것인,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은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30.0 내지 50.0 중량% 포함된 것인,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은 폴리올, pH 조절제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펜틸렌글라이콜 (Pentylene Glycol),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프로판다이올 (Propanediol), 메틸프로판다이올 (Methylpropanediol) 및 디프로필렌글라이콜 (Diprop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5.0 내지 15.0 중량% 포함된 것인,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는 소듐클로라이드 (Sodium Chloride)인 것인,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3 내지 1.0 중량% 포함된 것인,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은 계면활성제, 왁스, 오일 및 식물성 버터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Polyglyceryl-4 Isostearate), 폴리글리세릴-3폴리리시놀리에이트 (Polyglyceryl-3 Polyricinoleate),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Disteardimonium Hectorite) 및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Sorbitan 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5.0 내지 10.0 중량% 포함된 것인,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오조케라이트 (Ozokerite),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합성왁스 (Synthetic Wax)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Microcrystalline Wa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12.0 내지 18.0 중량% 포함된 것인,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Coco-Caprylate/Caprate), 아이소노닐아이소노나노에이트 (Isononyl Isononano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코코넛오일 (Hydrogenated Coconut Oil),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Diisostearyl Malate), 동백나무씨오일 (Camellia Japonica Seed Oil), 사과씨오일 (Apple seed Oil),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 (Stearyl Heptanoate), 스테아릴카프릴레이트 (Stearyl Caprylate),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DipentaerythritylHexahydroxystearate/Hexastearate/Hexarosi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15.0 내지 25.0 중량% 포함된 것인,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버터류는 시어버터, 쿠푸아수씨버터, 망고씨버터 및 카카오씨버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인,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PCT/KR2021/016207 2021-09-28 2021-11-09 수상 및 유상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WO202305479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50998A JP2023547747A (ja) 2021-09-28 2021-11-09 水相及び油相の適切な比率を有する油中水型固形化粧料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261 2021-09-28
KR1020210128261A KR102480538B1 (ko) 2021-09-28 2021-09-28 수상 및 유상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4797A1 true WO2023054797A1 (ko) 2023-04-06

Family

ID=8453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6207 WO2023054797A1 (ko) 2021-09-28 2021-11-09 수상 및 유상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547747A (ko)
KR (1) KR102480538B1 (ko)
CN (1) CN115869195A (ko)
WO (1) WO2023054797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345B1 (ko) * 2006-08-21 2007-12-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KR20190033777A (ko) * 2017-09-22 2019-04-01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79217B1 (ko) * 2018-10-08 2019-05-17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0776A (ko) * 2017-06-29 2020-02-2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메이크업 화장료
KR102127674B1 (ko) * 2019-01-17 2020-06-29 한국콜마주식회사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28261A (ko) 2020-04-16 2021-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482A1 (ja) * 2012-02-28 2013-09-0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経時安定性を有するw/o/w型エマルシ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345B1 (ko) * 2006-08-21 2007-12-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KR20200020776A (ko) * 2017-06-29 2020-02-2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메이크업 화장료
KR20190033777A (ko) * 2017-09-22 2019-04-01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79217B1 (ko) * 2018-10-08 2019-05-17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7674B1 (ko) * 2019-01-17 2020-06-29 한국콜마주식회사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28261A (ko) 2020-04-16 2021-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69195A (zh) 2023-03-31
KR102480538B1 (ko) 2022-12-23
JP2023547747A (ja)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65771A2 (en) Cosmetic composition stabilized higher oily part
WO2019143206A1 (ko)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44003A1 (ko)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3055041A1 (ko) 에멀젼화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065536A1 (ko)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수중유 형태의 오르가노겔 화장료 조성물
WO2019103453A2 (ko) 칼라민 고함량 내상 안정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WO2016159457A1 (ko) 식물 유래 천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141735A1 (ko) 고체 유성 성분을 안정화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100879134B1 (ko) 수용성 성분 함유 오일형 화장료 조성물
WO2015137647A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EP0978270B1 (en) Emulsified cosmetic face pack
WO2023054797A1 (ko) 수상 및 유상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737397B1 (ko)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23054802A1 (ko)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WO2021066510A1 (ko) 모발 및 두피케어용 트리트먼트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10076076A (ko) 라멜라 액정이 수분산된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4098294A1 (ko) 미세기포를 함유한 크림 화장료 조성물
KR100227122B1 (ko) 입술화장료의 보습성 향상을 위한 w/o형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한 입술화장료 조성물
WO2020096409A1 (ko) 오일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WO2023063475A1 (ko) 식물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비수계 오일밤 화장료 조성물
WO2022231139A1 (ko)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3038353A1 (ko) 수분산 유화제 및 고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o/w) 액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003092A1 (ko) 높은 제형 안정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WO2024096480A1 (ko) 하이알루로닉애씨드를 다량 함유한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000009651A (ko) 피지 조절능 및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실리콘유화형 수용성젤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50998

Country of ref document: J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08568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235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9235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