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777A -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777A
KR20190033777A KR1020170122366A KR20170122366A KR20190033777A KR 20190033777 A KR20190033777 A KR 20190033777A KR 1020170122366 A KR1020170122366 A KR 1020170122366A KR 20170122366 A KR20170122366 A KR 20170122366A KR 20190033777 A KR20190033777 A KR 20190033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dimethicone
water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3365B1 (ko
Inventor
백두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122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365B1/ko
Priority to SG11202002120YA priority patent/SG11202002120YA/en
Priority to PCT/KR2018/010763 priority patent/WO2019059580A1/ko
Priority to CN201880061336.5A priority patent/CN111246832A/zh
Priority to TW107132875A priority patent/TWI780226B/zh
Publication of KR2019003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 및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화제를 사용하여 담체에 함침이 용이하도록 저점도의 물성을 가지면서도, 수상부인 내상함량이 높아 수분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HIGH INTERNAL PHASE WATER-IN-OIL TYPE EMULSIFIED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 및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화제를 포함하며, 담체에 함침이 용이한 저점도의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화물을 화장품, 의약품 및 식품 등에 이용하는 경우, 이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누게 되는데, 그 하나는 물 중에 오일을 작은 입자상태로 분산시킨 상태인 수중유형(O/W, oil in water type) 유화물이며, 다른 하나는 오일 중에 물을 분산시킨 상태인 유중수형(W/O, water in oil type)의 유화물이다.
그 중, 피부보호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화장품 등에 있어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피부에 강한 오일막을 형성시켜 피부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장시간 지속적으로 수분 및 피부활성 물질을 전달시킴으로써 피부보호의 효과가 뛰어나다. 또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에 비해 내수성이 우수하여 여름에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선스크린 제품, 유아의 기저귀 발진 방지를 위한 베이비크림, 과도한 피지의 손실방지를 위한 핸드크림 등 그 응용범위가 매우 넓다.
그러나,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외상이 오일이라 내수성 및 화장의 지속성 및 피부보호 효과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는 반면, 무거운 사용감을 가지며,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화장막이 두터워 피부 통기성이 떨어져 피부호흡을 막아 피부를 손상시키는 단점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유화 안정성이 나쁘며, 제조원가가 높거나 제조가 까다로운 점 등의 경제적 측면에서도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화물에 있어서 내상 용적비가 74%를 넘으면 액적(droplet)은 구형을 유지하지 않고 다면체로 된다. 액적의 작용은 이러한 물리적 구조의 경우에 제한되어, 결과로서 유화물은 높은 점도를 가지는 크림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유화물을 고내상 유화(High Internal Phase Emulsion)라 부른다. 고내상 유화는 여러 가지의 물질을 큰 내상에 용해할 수 있다는 것으로부터 화장품, 의약품의 제형으로서 유용하다.
하지만 기존의 고내상 유화는 높은 점도를 가지는 크림상을 나타냄으로써 최근 각광받고 있는 스펀지 등에 흡습되는 담지 제형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고내상 유화물을 제조하기 위해 많은 양의 수상을 천천히 소량 유상에 첨가하면서 에멀젼을 만드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8474호에서는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유화 공정을 2단계로 나누어 진행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으로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제조 공정상의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제조된 고내상 유화 조성물이 스펀지 등에 담지 될 정도의 저점도를 가지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27666호,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22617호,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보습을 위한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면서도, 특정 유화제를 사용할 경우 화장료 조성물이 스펀지 등에 함침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저점도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부, 유상부 및 파우더부를 포함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실리콘 오일 및 친수성 결합기를 가지는 유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화제는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 및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수상부, 유상부 및 파우더부를 포함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실리콘 오일 및 친수성 결합기를 가지는 유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화제는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 및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에 대해
수상부 50 내지 80 중량%;
유상부 10 내지 40 중량%; 및
파우더부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는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릴-3크로스폴리머, 라우릴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글리세릴-3/라우릴 폴리디메칠실옥시에틸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는 폴리글리세릴-3 디실록산 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디실록시에틸 디메치콘 및 라우릴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트리실록산, 디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메틸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디페닐디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및 디메치콘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 보습제, 이온봉쇄제, 유화안정제, 보존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부는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탈크, 아이언옥사이드,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알루미나, 황산바륨,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유기 색소 및 천연 색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가 10,000 내지 30,000 cps(centipoi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는 담체;
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담체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취하는 도포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 및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화제를 사용하여 담체에 함침될 수 있도록 저점도의 물성을 가지면서도, 수상부인 내상함량이 높아 수분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유화제로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하여 형성된 에멀전의 이미지이다.
도 2는 유화제로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인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하여 형성된 에멀전의 이미지이다.
도 3은 유화제로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인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틸실옥시에틸디메치콘을 사용하여 파우더의 분산성이 향상된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4는 수상부의 수분함량에 따른 워터 드랍(water drop) 형성 여부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여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 및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화제를 사용하여 저점도의 물성을 가지는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고내상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 에멀전의 통상 60~90%로 내상의 비율을 크게 형성하고 유화 입자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외부의 자극, 이를테면 손으로 문지르는 힘 등을 가할 때 내상을 구성하는 수상 성분이 밖으로 나오면서 합일되는 특성이 있다. 육안으로는 물방울이 터져 나와 맺히는 것과 같이 보인다고 하여 '물터짐' 제형이라고도 불리며, 사용자에게 심리적, 심미적 만족감을 높여줄 수 있는 제형이다.
본 발명에서 '고내상'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 한 후 측정된 수분값이 충분히 높고, 워터 드랍이 형성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내상에 파우더상을 포함하여 이를 안정화하고, 저점도의 물성을 나타냄으로써 스펀지 등에 함침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특정 범위의 것으로만 제한하고자 하는 의미는 아니며 상기 특정 범위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을 보다 폭넓게 실시하기 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수단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수상부, 유상부 및 파우더부를 포함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실리콘 오일 및 친수성 결합기를 가지는 유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화제는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 및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 함량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에 대해 수상부 50 내지 80 중량%; 유상부 10 내지 40 중량%; 및 파우더부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에 예시되는 각 핵심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유상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해 유상부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상부는 실리콘 오일과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화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유화제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안정도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고, 1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화장품의 사용감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화제는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주(主) 유화제 및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보조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상기의 가교형 및 분지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화제를 구별하지 않고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차별화하여 주 유화제로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를 주 유화제로 사용함으로써 고내수상의 화장료 액적(droplet)를 보다 안정하게 함과 동시에, 저점도의 물성을 나타내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주 유화제로써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릴-3크로스폴리머, 라우릴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글리세릴-3/라우릴 폴리디메칠실옥시에틸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릴-3크로스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주 유화제에 포함되는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는 전체 조성물 내에서 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입자가 안정하지 못하고, 그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경도 상승으로 사용감이 뻑뻑하고 눅진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원칙적으로는 고내상 형태의 경우, 입자 자체가 팽윤한 성질을 나타내므로 그 움직임이 줄어들어 고점도의 물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써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주 유화제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릴-3크로스폴리머의 경우,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 등과 달리 친수성 결합기인 폴리글리세릴이 폴리에틸렌글라이콜에 비해 bulky하기 때문에, 이를 유화제로 사용할 경우 불안정한 유화를 통해 크고 불균일한 액적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입자들이 균일하지 못하여 그 안정도가 감소하면서 저점도의 물성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주 유화제로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를 주 유화제로 사용한 경우 더 큰 워터 드랍(water drop) 에멀젼이 형성되어 물터지는 사용감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유화제로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한 경우에는 작고 균일한 워터 드랍이 형성되어 물터짐감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유화제는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 일 수 있고, 폴리글리세릴-3 디실록산 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디실록시에틸 디메치콘 및 라우릴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라우릴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치콘일 수 있다.
상기 보조 유화제에 포함되는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는 전체 조성물 내에서 0.1 내지 1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1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고내상 화장료 조성물의 이른바 '물터짐' 효과가 줄어들고, 보조 유화제 그 자체로도 유화력을 가짐으로써 입자가 작고 균일하게 되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저점도'의 물성을 구현할 수 없으므로 상기 범위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상부에는 추가적으로 실리콘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통상의 실리콘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휘발성 및 비휘발성 오일 모두를 포함하는데, 디메치콘, 트리실록산, 디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메틸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디페닐디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및 디메치콘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분감이 많은 비휘발성 탄화수소계 오일이나, 무거운 에스터계 오일을 주로 사용시 무겁고 끈적일 수 있는데 반해, 휘발성 실리콘계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시에 빠르게 휘발되어 그 사용감이 매우 가벼우며, 우수한 발림성, 퍼짐성 등의 사용성의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전성, 뛰어난 내수성과 보습 차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4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의 함량이 10 중량%에 미만일 경우에는 제형이 안정하지 못하고,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일의 양이 너무 많아 고내상 실리콘 중 수 제형 특유의 물터짐을 느끼지 못하고 피부에 도포 시 오일의 미끄러운 사용감과 답답함, 그리고 피부흡수가 지연된다는 느낌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상부에는 추가적으로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되는 자외선 차단제는 종래부터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글리세릴 파바(Glyceryl PABA),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셀로네이트, 디이에이-메톡시신나메이트, 로우손과 디히드록시아세톤의 혼합물, 4-메틸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녹세이트, 에틸디하이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틸헥실디메틸파바,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에틸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파라아미노벤조산(PABA: Para-Aminobenzoic Acid),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 호모살레이트, 디에틸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폰산 및 그 염류, 폴리실리콘-15, 벤조페논-1, 벤조페논-2, 벤조페논-5, 벤조페논-6, 벤조페논-9, 3-벤질리덴캠퍼, 벤질리덴캠퍼 설포닉에시드, 부틸파라아미노벤조산, 캠퍼 벤젤코늄 메토셀페이트, 디에틸헥실 부타미도트리아존, 디이소프로필 메틸신나메이트, 에틸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2-에틸헥실디메톡시벤질리딘디옥소이미다졸리딘프로피오네이트, 에틸파라아미노벤조산, 페룰산, 글리세릴 에틸헥사노에이트 디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펜틸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트리실록산, 이소프로필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벤질살리실레이트, 피이지-25 파바,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딘캠퍼, 포타슘페닐벤지이미다졸 설포네이트, 소듐 페닐벤지이미다졸 설포네이트 및 티이에이-페닐벤지이미다졸 설포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멀젼의 안정도가 저하되고 끈적이는 등의 사용감에 악영향을 주며, 자외선 차단 효과도 사용량에 비해 크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상부에는 추가적으로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되는 분산제는 크게 형성된 고내상 입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후술할 파우더상을 고르게 하는 역할을 가지는 것으로써, 종래부터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하이드록시 스테아릭산(Polyhydroxystearic Acid),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Ethylhexyl 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및 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코폴리머(Vinylpyrrolidone/Hexadecene Copolymer)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각 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파우더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해 파우더부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파우더부가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원하는 자외선 차단기능 또는 커버력과 같은 메이크업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유상부에 분산이 되지 않거나 사용감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는 1mm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고체물질의 집합체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파우더는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체질안료, 백색 안료, 착색 안료, 진주광택 안료, 금속 분체, 유기 분체 등을 포함한다.
파우더 성분은 피부에 도포되어, 예를 들어 색상(색조) 표현, 화사함, 입체감, 보습 효과, 미백 개선, 주름 방지, 자외선 차단, 노화 방지 및 펄감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면 좋다. 구체적으로 요철 커버, 주름 커버, 화장막 지속, 화사함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나아가, 내수성 및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알킬실란, 실리카, 마이카 등으로 코팅된 원료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파우더는 예를 들면 탈크,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탄산칼슘, 알루미나, 탄산마크네슘 무수규산 및 황산바륨 등의 체질안료;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등의 백색안료; 적색산화철, 황색산화철, 흑색산화철, 군청, 감청, 산화크롬 및 카본블랙 등의 착색안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나일론-6 및 나일론-12 등의 유기안료; 및 진주광택안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및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 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 페닐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등의 실리콘 변성 파우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및 유기 색소 및 천연 색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상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해 수상부 5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수상부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물방울이 맺히는 독특한 사용감을 가질 수 없고, 8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유화제형이 만들어 지지 않거나 안정도가 매우 불안한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부에는 필요한 경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용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정제수, 보습제,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안정제, 충전제, 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향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조성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제는 증류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탈이온화된 증류수를 사용하며, 전체 중량%를 100 중량%를 기준으로 55 내지 75 중량%를 만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상부는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습제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유지하는 보습기능을 하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과 공개특허 제10-2014-0118504호 같은 오일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습제는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프로판디올(Propanediol),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및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폴리올로 구성되거나, 다른 보습성분(오일류 등)과 폴리올의 혼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습제로서 폴리올을 사용하는 경우, 촉촉함 등의 우수한 보습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파우더 성분과의 혼화성이 좋아 에멀젼의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솔비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올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전체 조성물 내에서 0.1 내지 20.0 중량%, 바람직하기로 0.5 내지 10.0 중량%의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만족할만한 보습 지속력을 얻을 수 없고, 20 중량%를 초과한 경우에는 사용시 끈적이며 눅진한 느낌이 들어 사용감이 나빠진다.
또한 상기에서 이온봉쇄제는 마스킹제의 일종으로 수용액 중에서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가용성의 착염을 형성하고, 그 금속 이온이 다른 시약에 의해 침전을 일으키지 않게 되는 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이온봉쇄제에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테트라나트륨, 디소듐EDTA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보존제는 화장품 내의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 감소시켜 화장품 사용시 세균이나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보존제는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최근 휴대가 편하면서 가벼운 사용감으로 수정화장이 용이한 스펀지에 화장료가 담지된 쿠션 화장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스펀지에 화장료가 원활하게 흡습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점도 25,000 cps 이하의 물성을 가져야 한다.
이에 상술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주 유화제를 사용하여 저점도의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가 10,000 내지 30,000 cps(centipoise)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25,000 cps 일 수 있다. 만일 점도가 10,000 cps보다 낮을 경우에는 후술할 에어 쿠션 등의 함침제를 적용하더라도 조성물이 흘러나올 수 있어 물리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힘들며, 점도가 30,000 cps보다 높을 경우에는 스펀지 등의 담체에 화장료를 담지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에서 적절히 조절한다.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장품은 상기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스펀지 등의 담체에 담지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이 잘 충진되며, 화장료 조성물을 장기간 균질하게 담지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을 취할 때 적당량의 화장료 조성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장기간 뛰어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상기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 담체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취하는 도포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담체를 수납할 수 있는 하부 및 거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뚜껑의 상부를 포함하는 용기, 일반적으로 팩트라고 불리는 화장품용 용기를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담체"는 조성물을 예로 들 수 있는 임의의 물질 또는 성분을 담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담지체", "함침재" 또는 "매개체"로도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담체"는 이에 담지된 물질을 별개의 도포구에 배출하도록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담체에 담지되어 있는 조성물은 예를 들어 손이나, 퍼프, 팁, 브러쉬 등의 도포 수단(도포구 또는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라고도 함)을 통해 피부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발포폼 담체"는 조성물을 예로 들 수 있는 임의의 물질 또는 성분을 담지할 수 있는 재질로서, 고무, 섬유 또는 수지를 해면처럼 만든 것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 및 배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천연 발포폼 또는 합성 발포폼일 수 있고, 상기 천연 발포폼은 예를 들어 해면, 천연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합성 발포폼의 재질은 합성수지, 폴리 우레탄, 라텍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부타디엔 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NR(Natural Rubber), 클로로프렌 고무(CR), 부틸고무(isoprene-isobutylene rubber:IIR), 이소프렌 고무(IR), 가황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다황화물 고무(Polysulfide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플루오로고무(fluororubber),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NR(Nitrile Rubb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포폼의 일종인 폴리 우레탄 발포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에테르계 발포 우레탄(에테르 폴리올을 주베이스로 함), 폴리에스테르계 발포 우레탄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폴리에테르계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계 발포 우레탄은 폴리에테르계 건식 발포 우레탄 및 폴리에테르계 습식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발포 우레탄은 폴리에스테르계 건식 발포 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계 습식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발포 우레탄은 폴리카보네이트계 건식 발포 우레탄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습식 발포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아래 표 1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비로 본 발명 따른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먼저 상온에서 주 유화제와 보조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에 파우더상을 넣고 호모믹서로 T.K HOMOMIXER MARK II(TOKUSHU KIKA 社 제품)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교반하여 파우더상을 고르게 분산시켰다. 이후 보습제, 이온봉쇄제, 유화안정제 및 보존제를 용제인 정제수에 용해시켜 수상부 제조하고, 이를 상기 파우더상이 믹싱된 유상부에 넣고 상기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저속으로 교반하여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일 실시예를 하기 표 1로 제시한다.
구분 기능 원료명 실시예1
유상 에몰리언트
(실리콘 오일 1)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잔량
에몰리언트
(실리콘 오일 2)
페닐트리메치콘 7
자외선 차단제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
주 유화제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5
보조 유화제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틸실옥시에틸디메치콘 0.5
분산제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5
파우더상 착색제 티타늄다이옥사이드/징크옥사이드/아이런옥사이드/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10
수상 용제 정제수 58
보습제 글리세린 5
이온봉쇄제 디소듐EDTA 0.05
유화안정제 소듐클로라이드 0.8
보존제 페녹시에탄올 0.3
비교예 1
주 유화제로 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대신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조성을 동일한 조성으로 하여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구분 기능 원료명 비교예1
유상 에몰리언트
(실리콘 오일 1)
사이클로펜타실록산/사이클로헥사실록산 잔량
에몰리언트
(실리콘 오일 2)
페닐트리메치콘 7
자외선 차단제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
주 유화제 디메치콘 /피이지-10/ 15크로스폴리머 5
보조 유화제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틸실옥시에틸디메치콘 0.5
분산제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5
파우더상 착색제 티타늄다이옥사이드/징크옥사이드/아이런옥사이드/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10
수상 용제 정제수 58
보습제 글리세린 5
이온봉쇄제 디소듐EDTA 0.05
유화안정제 소듐클로라이드 0.8
보존제 페녹시에탄올 0.3
비교예 2
보조 유화제로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틸실옥시에틸디메치콘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하여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구분 기능 원료명 비교예2
유상 에몰리언트
(실리콘 오일 1)
사이클로펜타실록산/사이클로헥사실록산 잔량
에몰리언트
(실리콘 오일 2)
페닐트리메치콘 7
자외선 차단제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
주 유화제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5
보조 유화제 라우릴폴리글리세릴 - 3폴리디메틸실옥시에틸디메치콘 0
분산제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5
파우더상 착색제 티타늄다이옥사이드/징크옥사이드/아이런옥사이드/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10
수상 용제 정제수 58
보습제 글리세린 5
이온봉쇄제 디소듐EDTA 0.05
유화안정제 소듐클로라이드 0.8
보존제 페녹시에탄올 0.3
실험예 1 - 주 유화제의 종류에 따른 워터드랍 형성 결과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으로 하여 제조한 화장료의 워터 드랍 이미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주 유화제로 폴리글리세린계(실시예 1)와 폴리에틸렌글라이콜계(비교예 1)가 결합된 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를 비교한 결과, 도 1과 같이 폴리글리세린계 유화제를 사용할 경우 더 큰 워터 드랍 에멀젼이 형성되어, 물터지는 사용감이 우수하고 점도도 20,000~25,000cps로 폴리에틸렌글라이콜계 유화제를 사용할 경우 형성된 점도 45,000~50,000cps 보다 절반이상 낮게 나와 저점도 특성을 가지는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더욱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 보조 유화제의 함량에 따른 워터 드랍 형성 및 분산성 확인
본 실험예 2에서는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보조 유화제인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틸실옥시에틸디메치콘'(일본 ShinEtsu사의 상품명 KF-6105)의 함량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와 워터 드랍 형성 여부 및 분산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점도는 BROOKFIELD社의 DV-2+ PRO 점도계를 사용 30℃에서 #4 스핀들, 12rpm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워터 드랍 형성 여부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여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을 육안으로 확인하였고, 분산성 역시 화장료의 색소띠 형성 유무를 상대적인 육안평가로 진행하였다.
함량 0% 0.30% 0.50% 0.70% 1%
점도 25150 25350 25750 30000 29650
드랍형성 O O O X X
분산성 미흡 보통 우수 우수 우수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 유화제로써 폴리글리세린계 분지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틸실옥시에틸디메치콘'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파우더상의 분산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도 3에 보조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인 비교예 2와 보조 유화제를 0.5 중량% 사용한 실험예 1의 분산성 차이를 나타내었고, 비교예 2의 경우 분산성이 좋지 않아 흰 띠가 생성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보조 유화제의 함량이 0.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워터 드랍이 형성되지 않고, 점도가 증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로 적절하지 않는 함량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내상 함량별 점도, 수분값 및 워터 드랍 형성 효과 확인
본 실험예 3에서는 수상부(내상)의 정제수 함량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및 워터 드랍 형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수상부의 정제수 함량이 늘어나는 만큼 실리콘 오일 1의 함량을 줄여 수상부와 유상부의 함량을 조절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점도는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하였고, 워터 드랍 형성 여부 역시 실험예 2와 동일하게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값은 수분측정기기인 아모레퍼시픽社의 '스킨터치'를 이용하여, 내상의 정제수 함량을 조절한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한 직후에 측정하였다.
Water 함량 38% 43% 48% 53% 58%
점도 1700 2950 4650 9050 25150
수분값 63 88 96 99 99
드랍형성 X X X O O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제수를 43% 이하로 함유한 화장료의 경우 수분값이 낮아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로 적합하지 않았고, 정제수를 48% 함유한 경우 수분값은 우수하나,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워터 드랍이 생성되지 않아 적합하지 않았다. 정제수의 함량이 53% 이상인 경우 수분값과 워터 드랍 생성 여부 모두 우수하였으나, 내상의 정제수 함량이 58% 이상 되는 경우에는 점도가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3)

  1. 수상부, 유상부 및 파우더부를 포함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실리콘 오일 및 친수성 결합기를 가지는 유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화제는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 및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에 대해
    수상부 50 내지 80 중량%;
    유상부 10 내지 40 중량%; 및
    파우더부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는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릴-3크로스폴리머, 라우릴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및 폴리글리세릴-3/라우릴 폴리디메칠실옥시에틸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는 폴리글리세릴-3 디실록산 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디실록시에틸 디메치콘 및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가교형 고분자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결합기로 연결된 분지형 고분자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트리실록산, 디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메틸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디페닐디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및 디메치콘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 보습제, 이온봉쇄제, 유화안정제, 보존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부는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탈크, 산화철,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알루미나, 황산바륨,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유기 색소 및 천연 색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가 10,000 내지 30,000 cps(centipoi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는 담체;
    를 포함하는 화장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고내상 유중수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담체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취하는 도포구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70122366A 2017-09-22 2017-09-22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53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66A KR102453365B1 (ko) 2017-09-22 2017-09-22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SG11202002120YA SG11202002120YA (en) 2017-09-22 2018-09-13 High internal phase water-in-oil type cosmetic composition
PCT/KR2018/010763 WO2019059580A1 (ko) 2017-09-22 2018-09-13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N201880061336.5A CN111246832A (zh) 2017-09-22 2018-09-13 高内相油包水型化妆料组合物
TW107132875A TWI780226B (zh) 2017-09-22 2018-09-19 高內相油包水形式乳化的化妝品組成物和化妝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66A KR102453365B1 (ko) 2017-09-22 2017-09-22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77A true KR20190033777A (ko) 2019-04-01
KR102453365B1 KR102453365B1 (ko) 2022-10-07

Family

ID=65810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366A KR102453365B1 (ko) 2017-09-22 2017-09-22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2453365B1 (ko)
CN (1) CN111246832A (ko)
SG (1) SG11202002120YA (ko)
TW (1) TWI780226B (ko)
WO (1) WO201905958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934B1 (ko) * 2021-11-17 2022-05-03 (주)나우코스 유기 안료를 포함하는 워터드롭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80538B1 (ko) * 2021-09-28 2022-12-23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상 및 유상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45303B (zh) * 2022-11-16 2023-04-07 南京天纵易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糖类或酸类及其盐或氨基酸类的高水相含量油包水型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360A (ko) * 2010-11-26 2012-06-05 (주)아모레퍼시픽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50022617A (ko) 2013-08-22 2015-03-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JP2016051843A (ja) * 2014-09-01 2016-04-11 有限会社 ナプラ 3次元積層配線基板、電子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システム
KR20170027666A (ko) 2015-09-02 2017-03-10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4493A (ko) * 2015-12-01 2017-06-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화장료 담지 구조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7433B2 (ja) * 2008-03-31 2013-10-02 株式会社コーセー 高内水相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16518431A (ja) * 2013-05-16 2016-06-23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シリコーンオイルおよびポリメチルメタクリレート粒子を含む化粧料組成物
WO2017039338A1 (ko) * 2015-09-02 2017-03-09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360A (ko) * 2010-11-26 2012-06-05 (주)아모레퍼시픽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50022617A (ko) 2013-08-22 2015-03-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JP2016051843A (ja) * 2014-09-01 2016-04-11 有限会社 ナプラ 3次元積層配線基板、電子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システム
KR20170027666A (ko) 2015-09-02 2017-03-10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4493A (ko) * 2015-12-01 2017-06-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화장료 담지 구조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538B1 (ko) * 2021-09-28 2022-12-23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상 및 유상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WO2023054797A1 (ko) * 2021-09-28 2023-04-06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상 및 유상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92934B1 (ko) * 2021-11-17 2022-05-03 (주)나우코스 유기 안료를 포함하는 워터드롭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002120YA (en) 2020-04-29
KR102453365B1 (ko) 2022-10-07
CN111246832A (zh) 2020-06-05
TWI780226B (zh) 2022-10-11
TW201929830A (zh) 2019-08-01
WO2019059580A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704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microcapsules containing particles with a high wet point
EP2868701B1 (en) Aqueous dispersion comprising silicone elastomer particles, a silicone elastomer particle and a cosmetic
KR20160007476A (ko) 컬러 체인지 조성물
EP2804672A1 (en) Colour changing composition in o/w emulsion form
WO2007007403A1 (ja) 表面処理粉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20140113729A (ko) 색상 변화 조성물
WO2007060823A1 (ja) 皮膚外用剤
KR20160110125A (ko) 겔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 겔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AU712099B2 (en) Multi-phase sunscreen agent,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for applying same to the skin
DE60315808T2 (de) Sphärische pulverkomponenten und diese enthaltende fest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KR20140113732A (ko) 알코올을 포함하는 색상 변화 조성물
KR20140113726A (ko) Uv 필터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조성물
KR20190033777A (ko)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N112386504A (zh) 分散性粉体及化妆品
WO2015004629A1 (en) Color changing composition comprising pigments and a high amount of water
WO2020090874A1 (ja) 乳化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81353B1 (ko) 피그먼트가 내상 분산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667635B1 (ko) 피지 흡수성 분말 및 낮은 임계 표면 에너지를 갖는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KR20190080447A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WO2017188279A1 (ja) 化粧料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4786172B2 (ja) 固型粉末化粧料
KR20160061476A (ko) 유중수 유화형 저점도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1898A (ko) 수중유 유화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WO2021132273A1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TW202228632A (zh) 油中水型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