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617A -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617A
KR20150022617A KR20130136334A KR20130136334A KR20150022617A KR 20150022617 A KR20150022617 A KR 20150022617A KR 20130136334 A KR20130136334 A KR 20130136334A KR 20130136334 A KR20130136334 A KR 20130136334A KR 20150022617 A KR20150022617 A KR 20150022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icone
phage
crosspolymer
silico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6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102B1 (ko
Inventor
유용희
이의정
방권기
오주영
강내규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50022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고내상 실리콘중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실리콘 오일 5 내지 20 중량%, 유화제 0.1 내지 10 중량%, 실리콘 탄성중합체 0.01 내지 5 중량% 및 수용성 성분 70 내지 90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내상 실리콘중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시 실리콘 탄성중합체를 포함하여 실리콘 상을 틱소트로픽하게 만들어, 교반 시 일시적으로 점도를 낮춤으로써 교반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고내상 실리콘중수 화장료 조성물은 균일한 안정성 및 우수한 사용감을 가진다.

Description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HIGH INTERNAL PHASE WATER IN SILICONE FORMULATION WITH EXCELLENT STABILITY}
본 발명은 수용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안정한 고내상 실리콘중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일정 중량비의 실리콘 점탄성 조절제를 포함함으로써, 실리콘중수 제형이 균일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하여,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화 화장료 조성물 형태는 연속상이 수용성 성분인 수중유(O/W) 유화형과 연속상이 유용성 성분인 유중수(W/O) 유화형으로 크게 구별된다. 수중유(O/W) 유화형의 경우 친수 성분이 피부에 우선적으로 도포되면서 촉촉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반면, 유중수(W/O) 유화형은 연속상인 오일이 피부에 먼저 닿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무거운 유분감을 느끼게 된다. 이런 오일의 무거운 사용감을 개선하고자 부드럽고 가벼운 실리콘 오일들을 유중수 유화형의 연속상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었고, 현재는 다량의 실리콘 오일을 외상으로 사용하는 형태의 실리콘중수(W/S) 제형이 개발되어 다양한 제품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되고 있다. 실리콘 오일은 특유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매우 가볍고 퍼짐성과 발림성이 우수하며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원료이다. 또한 실리콘 오일은 분자량과 구조적 차이에 따라 독특한 외관과 사용감을 가지게 되어 제형 내에 적용할 경우 독창적인 형태의 제형과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유중수 제형은 실리콘 중수 형태로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한편 수용성 성분을 일반적으로 70% 이상 함유하는 고내상 실리콘중수 제형 역시 위에서 설명한 독특한 실리콘의 성격을 잘 반영하는 특수한 제형이며, 이는 기존의 유상 성분이 많은 다른 실리콘중수 제형에 비해 내상에 갇혀 있는 다량의 수상이 피부 도포 시 터져나올 때 느낄 수 있는 물 터짐의 사용감을 체감할 수 있는 독특한 형태의 제형이다. 터져 나오는 수분의 시원함과 촉촉함이 반전으로 나타나는 제형이기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수상의 양을 비약적으로 상승시켜 적은 양의 실리콘 오일 안에 최대한 많은 수상을 유화시키는 고내상 마크로에멀전(Macro-emulsion) 제조 기술이 새로운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내상의 수용성 성분 양이 많아질수록 유화 입자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적어져 제형 교반 시 점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고 이는 원활한 교반을 막아 제형이 균일하게 생성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연속상의 오일 부피가 적어 에멀전 입자간의 충돌 횟수가 많아지게 되면 입자간 합일로 인한 제형 분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형 안정화제를 투입하게 되는데, 오히려 투입한 제형 안정화제가 제형 제조 교반시 점도를 더욱 상승시켜 균일한 입자 형성을 방해하고 이는 배치 내 제품이 부분별로 상이한 사용감과 안정성을 갖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량의 수상을 함유하는 고내상 실리콘중수 마크로에멀전 제형의 경우 제형이 어는점 이하로 내려갔을 때 수상 성분이 빙결되면서 팽창하여 제형 안정성이 현저히 안 좋아지는데, 균일하게 교반되지 않을 경우 제품의 품질이 동일하지 않아 냉동 조건에서 제품의 품질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고내상 실리콘중수 제형의 안정성을 강화하려는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제형의 균일 혼합을 통한 제품력 강화 및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연구의 진행 상황은 아직까지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형이 균일하게 혼합되고, 안정성이 뛰어난 고내상 실리콘중수 유화형 화장료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시 점도 상승을 낮추어 에멀전을 균일하게 배합함으로써, 같은 배치 안에서 동일한 사용감과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고, 장기적 또는 저온 조건에서의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실리콘 오일 5 내지 20 중량%, 유화제 0.1 내지 10 중량%, 실리콘 탄성중합체 0.01 내지 5 중량% 및 수용성 성분 70 내지 90 중량% 포함하는 고내상 실리콘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고내상 실리콘중수 유화형 화장료의 제형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실리콘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특히 상기 구성 성분들을 해당 함량으로 포함하는 실리콘중수 유화형 화장료의 경우 제조 시 점도 상승이 감소하여 에멀전이 균일하게 배합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실리콘 탄성중합체는 가교구조를 일부 포함하는 실리콘 파우더 또는 젤로서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세테아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세테아릴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릴-3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코폴리머, 디메치콘/페닐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또는 라우릴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실리콘 탄성중합체들 중에서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본 발명의 여러 목적상 더욱 바람직하다는 점에 기초한다.
상기 실리콘 탄성중합체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교반 시 점탄성 조절이 어려워져 균일한 상태로의 교반이 어려워지고, 이로 인하여 제형 일부분에서 상역전 현상이 나타나거나 또는 바람직한 유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탄성중합체의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실리콘 탄성중합체를 함유하는 용매 실리콘 오일이 적어져 유화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실리콘 탄성중합체 외에 통상의 실리콘 중 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들을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포함한다. 일반적인 실리콘중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성분으로는 실리콘 오일, 보습제, 안료, 물, 유화제, 점증제 또는 향료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적절한 조성과 함량으로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피이지-3 디메치콘, 피이지-9 디메치콘, 피이지-10 디메치콘, 피이지-9메칠에텔디메치콘, 피이지-12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피피지-10/3올레일에텔디메치콘, 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피이지-15/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피이지/피피지-18/18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치콘, 비스-이소부틸피이지/피피지-10/7디메치콘코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 또는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이 0.1 중량%에 미만일 경우에는 제형이 안정하지 못하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도 상승으로 사용감이 뻑뻑하고 눅진해 진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통상의 실리콘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휘발성 및 비휘발성 오일 모두를 포함하는데,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페닐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세테아릴메치콘, 헥사데실메치콘, 헥실메치콘, 라우릴메치콘, 미리스칠메치콘, 페닐메치콘, 스테아릴메치콘, 스테아릴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치콘, 세틸디메치콘, 폴리페닐메칠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리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또는 페닐트리메치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7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의 함량이 5 중량%에 미만일 경우에는 제형이 안정하지 못하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일의 양이 너무 많아 고내상 실리콘 중 수 제형 특유의 물터짐을 느끼지 못하고 피부에 도포 시 오일의 미끄러운 사용감과 답답함, 그리고 피부흡수가 지연된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성분은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정제수와 보습제, 향료, 방부제, 에탄올 또는 마그네슘설페이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용성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70 내지 9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4 내지 9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9 내지 9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베타인, 트레할로스, 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옥탄디올 또는 천연유래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디메치콘 5 내지 20 중량%,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0.01 내지 3 중량%,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0.01 내지 3 중량%, 유화제 0.1 내지 5 중량%, 보습제 5 내지 10 중량%, 에탄올 4 내지 6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성분들과 해당 함량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화장료 제형 성상의 균일성 및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내상 실리콘중수 화장료 조성물에 실리콘 탄성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교반 시 점도가 상승하여 균일 교반이 어려운 고내상 실리콘중수형 에멀전에 틱소트로픽(thixotropic)한 성질을 부여하여 균일한 교반이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고내상 실리콘중수 화장료 조성물은 균일한 제형 성상과 우수한 안정성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실리콘 유화제는 신에츠(Shinetsu)사에서 제조한 KSG-210(디메치콘 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과 다우코닝(Dow Corning)사에서 제조한 DC BY 25-337(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C13-16이소파라핀, C10-13이소파라핀)을 일정량 혼용하였다.
< 실시예 1 및 비교예 1-3> 수용성 성분 79%를 함유한 실리콘중수 제형의 제조
실시예 1은 아래 표 1에서, 원료 1에 원료 2~6을 10분간 분산시킨 후, 원료 7~12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교반 후 메인믹서에 투입한다. 원료 13~16은 별도의 용기에 계량한 후 용해하여 메인믹서에 서서히 투입(20분에 걸쳐 천천히 투입)하여 10분간 균일하게 교반하여 고내상 실리콘중수 제형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3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명(중량%) 실시예 비교예
1 1 2 3
1 디메치콘 18.45 19.45 18.95 9.95
2 사이클로펜타실록산 0.95 0 0.95 4.75
3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0.05 0 0.05 0.25
4 카프릴릴메치콘 0.41 0.41 0 4.1
5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0.09 0.09 0 0.9
6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0.75 0.75 0.75 0.75
7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0.15 0.15 0.15 0.15
8 C13-16이소파라핀 0.12 0.12 0.12 0.12
9 C10-13이소파라핀 0.03 0.03 0.03 0.03
10 글리세린 3 3 3 3
11 부틸렌글라이콜 5 5 5 5
12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4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5 마그네슘설페이트 0.5 0.5 0.5 0.5
16 에탄올 5 5 5 5
< 실험예 1> 수용성 성분 79%를 함유한 실리콘중수 제형의 점도 및 장기안정성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내용물은 제형의 균일 제조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배치 내 무작위 샘플 5개를 채취하여 각각의 경도를 측정하고 이의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을 체크하였다. 또한, 상온 및 다양한 가혹 온도 조건에서 분리, 변색, 변취 등의 내용물 물성 변화를 체크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 ◎:안정, △:불안정, X:분리)
항목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25℃ 평균 경도 14.6 12.4 11.8 17.0
경도 편차 0.548 1.517 2.168 2.236
1개월
3개월
6개월
50℃ 1개월
3개월
6개월
0℃ 1개월
3개월
6개월
-20℃ 1개월 X X
3개월 X X X
6개월 X X X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의 경우,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화장료에 비하여 우수한 제형의 균일성과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2 및 비교예 4-6> 수용성 성분 83%를 함유한 실리콘중수 제형의 제조
실시예 2는 아래 표 3에서, 원료 1에 원료 2~6을 10분간 분산시킨 후, 원료 7~12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교반 후 메인믹서에 투입한다. 원료 13~16은 별도의 용기에 계량한 후 용해하여 메인믹서에 서서히 투입(20분에 걸쳐 천천히 투입)하여 10분간 균일하게 교반하여 고내상 실리콘중수 제형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6은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명(중량%) 실시예 비교예
2 4 5 6
1 디메치콘 13.45 13.95 15.45 10.45
2 사이클로펜타실록산 0.475 0 0.475 0.475
3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0.025 0 0.025 0.025
4 카프릴릴메치콘 1.64 1.64 0 4.1
5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0.36 0.36 0 0.9
6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0.75 0.75 0.75 0.75
7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0.15 0.15 0.15 0.15
8 C13-16이소파라핀 0.12 0.12 0.12 0.12
9 C10-13이소파라핀 0.03 0.03 0.03 0.03
10 글리세린 3 3 3 3
11 부틸렌글라이콜 5 5 5 5
12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4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5 마그네슘설페이트 0.5 0.5 0.5 0.5
16 에탄올 5 5 5 5
< 실험예 2> 수용성 성분 83%를 함유한 실리콘중수 제형의 장기안정성 및 사용감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내용물은 제형의 균일 제조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배치 내 무작위 샘플 5개를 채취하여 각각의 경도를 측정하고 이의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을 체크하였다. 또한, 상온 및 다양한 가혹 온도 조건에서 분리, 변색, 변취 등의 내용물 물성 변화를 체크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 ◎:안정, △:불안정, X:분리)
항목 실시예2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25℃ 평균 경도 27.2 29.6 26.8 28.4
경도 편차 0.447 3.435 2.168 2.074
1개월
3개월
6개월
50℃ 1개월
3개월
6개월
0℃ 1개월
3개월
6개월
-20℃ 1개월 X X
3개월 X X X
6개월 X X X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화장료의 경우, 비교예 4~6에서 제조된 화장료에 비하여 우수한 제형의 균일성과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3 및 비교예 7-9> 수용성 성분 85%를 함유한 실리콘중수 제형의 제조
실시예 3은 아래 표 5에서, 원료 1에 원료 2~6을 10분간 분산시킨 후, 원료 7~12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교반 후 메인믹서에 투입한다. 원료 13~16은 별도의 용기에 계량한 후 용해하여 메인믹서에 서서히 투입(20분에 걸쳐 천천히 투입)하여 10분간 균일하게 교반하여 고내상 실리콘중수 제형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9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명(중량%) 실시예 비교예
3 7 8 9
1 디메치콘 11.45 12.95 12.45 7.95
2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425 0 1.425 4.75
3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0.075 0 0.075 0.25
4 카프릴릴메치콘 0.82 0.82 0 0.82
5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0.18 0.18 0 0.18
6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0.75 0.75 0.75 0.75
7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0.15 0.15 0.15 0.15
8 C13-16이소파라핀 0.12 0.12 0.12 0.12
9 C10-13이소파라핀 0.03 0.03 0.03 0.03
10 글리세린 3 3 3 3
11 부틸렌글라이콜 5 5 5 5
12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4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5 마그네슘설페이트 0.5 0.5 0.5 0.5
16 에탄올 5 5 5 5
< 실험예 3> 수용성 성분 85%를 함유한 실리콘중수 제형의 장기안정성 및 사용감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내용물은 제형의 균일 제조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배치 내 무작위 샘플 5개를 채취하여 각각의 경도를 측정하고 이의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을 체크하였다. 또한 상온 및 다양한 가혹 온도 조건에서 분리, 변색, 변취 등의 내용물 물성 변화를 체크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 ◎:안정, △:불안정, X:분리)
항목 실시예3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25℃ 평균 경도 34.6 33.8 38.2 40.0
경도 편차 1.140 2.168 1.304 1.414
1개월
3개월
6개월
50℃ 1개월
3개월
6개월
0℃ 1개월
3개월
6개월
-20℃ 1개월 X
3개월 X X X
6개월 X X X X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화장료의 경우, 비교예 7~9에서 제조된 화장료에 비하여 우수한 제형의 균일성과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실리콘 오일 5 내지 20 중량%, 유화제 0.1 내지 10 중량%, 실리콘 탄성중합체 0.01 내지 5 중량% 및 수용성 성분 7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중수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탄성중합체는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세테아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세테아릴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릴-3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코폴리머, 디메치콘/페닐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피이지-15크로스폴리머 및 라우릴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중수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탄성중합체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중수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탄성중합체는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중수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피이지-3 디메치콘, 피이지-9 디메치콘, 피이지-10 디메치콘, 피이지-9메칠에텔디메치콘, 피이지-12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피피지-10/3올레일에텔디메치콘, 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피이지-15/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피이지/피피지-18/18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치콘, 비스-이소부틸피이지/피피지-10/7디메치콘코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 및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중수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페닐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세테아릴메치콘, 헥사데실메치콘, 헥실메치콘, 라우릴메치콘, 미리스칠메치콘, 페닐메치콘, 스테아릴메치콘, 스테아릴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치콘, 세틸디메치콘, 폴리페닐메칠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리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및 페닐트리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중수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성분은 정제수와 보습제, 향료, 방부제, 에탄올 및 마그네슘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중수 화장료 조성물.
  8.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디메치콘 5 내지 20 중량%,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0.01 내지 3 중량%,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0.01 내지 3 중량%, 유화제 0.1 내지 5 중량%, 보습제 5 내지 10 중량%, 에탄올 4 내지 6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중수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136334A 2013-08-22 2013-11-11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1976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913 2013-08-22
KR1020130099913 2013-08-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159A Division KR102070826B1 (ko) 2013-08-22 2019-04-26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17A true KR20150022617A (ko) 2015-03-04
KR101976102B1 KR101976102B1 (ko) 2019-05-07

Family

ID=530205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334A KR101976102B1 (ko) 2013-08-22 2013-11-11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49159A KR102070826B1 (ko) 2013-08-22 2019-04-26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159A KR102070826B1 (ko) 2013-08-22 2019-04-26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97610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163B1 (ko) * 2015-08-21 2017-01-10 그린코스 주식회사 실리콘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이 다량 함유된 투명 w/s 화장품 유화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70122683A (ko) * 2016-04-27 2017-11-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7035A (ko) * 2017-04-18 2018-10-26 코스맥스 주식회사 매트 타입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2863A (ko) * 2017-05-04 2018-11-14 코스맥스 주식회사 캡슐-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059580A1 (ko) * 2017-09-22 2019-03-28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246A (ko) *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75A (ko) 2019-06-25 2021-01-05 (주)아모레퍼시픽 무계면활성제형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7477A (ko) 2020-01-30 2021-08-09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668A (ko) * 2003-08-20 2005-03-03 동아제약주식회사 비타민 씨를 함유하는 비수계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70550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콜마 주식회사 스프레이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KR20100120743A (ko) * 2009-05-07 2010-11-17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1070819B1 (ko) * 2010-11-29 2011-10-06 (주)바이오제닉스 폴리 이온 복합체를 이용한 실리콘 중수 및 수중 실리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20120042397A (ko) * 2010-10-25 2012-05-03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다량 함유한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5361A (ko) * 2011-01-24 2012-08-01 (주)풀무원홀딩스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이용한 화장품의 유화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30050553A (ko) * 2011-11-08 2013-05-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보습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668A (ko) * 2003-08-20 2005-03-03 동아제약주식회사 비타민 씨를 함유하는 비수계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70550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콜마 주식회사 스프레이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KR20100120743A (ko) * 2009-05-07 2010-11-17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입술 화장료용 유중다가알코올형 비수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20042397A (ko) * 2010-10-25 2012-05-03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다량 함유한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70819B1 (ko) * 2010-11-29 2011-10-06 (주)바이오제닉스 폴리 이온 복합체를 이용한 실리콘 중수 및 수중 실리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5361A (ko) * 2011-01-24 2012-08-01 (주)풀무원홀딩스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이용한 화장품의 유화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30050553A (ko) * 2011-11-08 2013-05-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보습화장료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163B1 (ko) * 2015-08-21 2017-01-10 그린코스 주식회사 실리콘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이 다량 함유된 투명 w/s 화장품 유화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70122683A (ko) * 2016-04-27 2017-11-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7035A (ko) * 2017-04-18 2018-10-26 코스맥스 주식회사 매트 타입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2863A (ko) * 2017-05-04 2018-11-14 코스맥스 주식회사 캡슐-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059580A1 (ko) * 2017-09-22 2019-03-28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3777A (ko) 2017-09-22 2019-04-01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246A (ko) *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740A (ko) 2019-05-07
KR101976102B1 (ko) 2019-05-07
KR102070826B1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102B1 (ko)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120789B1 (ko)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JP2582275B2 (ja) シリコーンゲル組成物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CN105982832B (zh) 固体型彩妆化妆品组合物
JP7094227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H05311076A (ja) ゲル状シリコーン組成物
KR102260054B1 (ko) 양친성 점토광물을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8281B1 (ko) 수분 순간 방출형 고함수 유중수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201813621A (zh) 水包油化妝品組成物
EP3677249A1 (en) Cosmetic base and skin cosmetic using same
KR101450387B1 (ko) 내열성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050897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151A (ko) 실리콘 분체를 안정화시킨 무 계면활성제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6842A (ko)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2013082686A (ja) 水中油型乳化皮膚外用剤
KR101998776B1 (ko)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2009298751A (ja) 固形状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05314258A (ja) 固形状油中水型化粧料
TW201801711A (zh) 制汗或除臭化妝料
JP2001002925A (ja) 高内水相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20220056671A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8337B1 (ko) 전상유화 방법을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
JPH08299783A (ja) 乳化組成物
KR20200049150A (ko)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6460504B1 (ja) 油中水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