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054B1 - 양친성 점토광물을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친성 점토광물을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054B1
KR102260054B1 KR1020190127981A KR20190127981A KR102260054B1 KR 102260054 B1 KR102260054 B1 KR 102260054B1 KR 1020190127981 A KR1020190127981 A KR 1020190127981A KR 20190127981 A KR20190127981 A KR 20190127981A KR 102260054 B1 KR102260054 B1 KR 102260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lay mineral
oil
weight
amphiphi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4603A (ko
Inventor
권성호
박명삼
박천호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7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05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2Coated by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토광물에 수분산성 증점제 및 유기산을 코팅한 양친성 점토광물을 이용하여 별도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높은 안정도를 제공할 수 있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친성 점토광물을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Emulsifie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mphiphilic clay mineral}
본 발명은 양친성 점토광물을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점토광물에 수분산성 증점제 및 유기산을 표면 처리한 양친성 점토광물을 포함시켜 유화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체상을 이용한 유화는, 분체가 점도를 형성하는 특징을 이용하거나 피커링 에멀젼(Pickering emulsion)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피커링 에멀젼은 계면활성제 등 별도의 유화제를 첨가하지 않고, 물리적인 힘(Depletion force)을 이용해 에멀젼화 할 수 있는 제조방법으로서 계면활성제 대신 고체 입자를 사용해 안정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수중유(Oil in water)형 유화에서의 피커링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6-7033767호에서 사용한 구상 폴리락트산 분체나 양친성 코어입자 또는 고분자, 실리카류와 같이 다공성의 구상 또는 유사 미립자를 이용하여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끈적임 없이 얇고 밀착력있는 마무리감과 파우더리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다공성이고 구상에 가까운 형태 특성으로 인해, 계면에서의 불안정성이 높고 별도의 증점제가 많이 필요하며, 피부 밀착력이 다소 부족하고 흡유력이 높아 매트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703376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친성 점토광물을 이용함으로서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도 높은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친성 점토광물, 분체, 오일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양친성 점토광물, 분체, 오일 및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양친성 점토광물은 점토광물에 수분산성 증점제 및 유기산을 코팅한 것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양친성 점토광물 0.5 내지 7 중량%, 분체 0.1 내지 20 중량%, 오일 3 내지 40 중량% 및 30 내지 90 중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점토광물은 헥토라이트(Hector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라포나이트(Laponite), 실리케이트(Silicate)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유기산은, 구연산(Citric acid), 말산(Mal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글루탐산(Glutam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카프릭산(Capric acid), 식초산(Acetic acid), 안식향산(Benzoic acid)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수분산성 증점제는, 잔탄검(Xanthan gum), 젤란검(Gellan gum),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카라기난(Carrageenan), 구아검(Guar gum), 콜라겐(Collagen)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친성 점토광물, 분체, 오일 및 정제수 외에 탄소수 6 이하의 다가알코올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다가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 초과 25 중량% 이하로 포함된다. 또한, 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Glycerine), 솔비톨(Sorbitol), 만니톨(Manitol), 자일리톨(Xilytol), 글리콜(Glycol)류(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프로판디올(Propandiol)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친성 점토광물, 분체, 오일 및 정제수 외에 수분산성 증점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정제수에 양친성 점토광물 및 분체를 분산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에 오일을 넣고 균질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a) 정제수에 양친성 점토광물 및 분체를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에 수분산성 증점제를 추가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에 오일을 넣고 균질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고도 안정한 수중유형 에멀전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밀착력 있고 매트하지 않으며 얇은 화장막을 제공하면서도 픽싱 후 밀림 현상이 없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양친성 점토 광물의 유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3은 오일이 과량 포함된 경우 안정도가 나빠진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피부 도포 후 마찰에 의해 밀림 현상이 나타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양친성 점토광물을 포함하는 수중유(Oil in water)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판상형 점토광물에 수분산성 증점제 및 유기산을 표면처리한 양친성 점토광물, 분체, 오일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고도 안정한 수중유형 에멀전을 제조할 수 있으며, 밀착력 있고 매트하지 않으며 또한 얇은 화장막을 제공하고 픽싱 후 밀림 현상이 없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조성물은 구상형태가 아닌 판상이면서도 흡유력이 상대적으로 낮고 수중유상태에서 별도의 점증효과를 낼 수 있는 점토광물의 표면에, 수분산성 증점제 및 유기산을 처리하여, 수중유에서의 오일을 감싸 유화 효과를 내면서도 외부의 점도 또한 컨트롤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판상형인 점토광물을 사용함으로써, 수분산성 증점제 및 유기산이 표면처리되어 양친성 점토 광물을 형성하기 용이하며, 이렇게 형성된 양친성 점토 광물이 카드 구조를 형성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이에 더하여, 판상형이면서도 흡유력이 상대적으로 낮고 수중유상태에서 별도의 점증효과를 낼 수 있는 점토광물을 사용하여 유화효과를 내면서도 외부 점도를 컨트롤하여 제형을 더욱 안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양친성 점토 광물의 유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점토광물(110)에 수분산성 점증제(112)와 유기산(114)을 표면처리하면, 도 1(a)와 같이 양친성 점토 광물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양친성 점토광물은 도 1(b)와 같이 오일을 둘러싸고 그 바깥쪽으로 카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이고 제형의 점도, 경도를 높인다.
전술한 메커니즘은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구속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점토 광물의 유화 특성은 전술한 메커니즘에 의하거나 전혀 다른 메커니즘의 작용에 의한 것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양친성 점토광물 0.5 내지 7 중량%, 분체 0.1~ 20 중량%, 오일 3 내지 40 중량% 및 30 내지 90 중량%의 정제수를 포함한다.
상기 양친성 점토광물이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조성물 내에서 유화 효과가 미미하여 추가적인 유화제나 안정제 없이는 제형 안정성을 나타낼 수 없으며, 7 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도 4와 같이 밀림 현상이 심한 단점이 있다.
양친성 점토광물은 양친성 점토광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점토광물 80 ~ 96 중량%, 수분산성 증점제 2 ~ 10 중량%, 유기산 2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점토광물, 수분산성 증점제, 유기산의 종류나 성질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양친성 점토광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점토광물이 80 중량% 미만일 경우 유기산과 수분산성 증점제가 고르게 피복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96 중량% 초과 시 피복량이 부족하여 제공하는 원료 안정성이 미미할 뿐만 아니라 적절한 피커링 유화력을 나타내는 데 한계가 있다.
수분산성 증점제는 정제수의 점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친수성이고, 유기산은 반대로 친유성 역할을 하는데, 수분산성 증점제나 유기산이 각각 2 중량% 미만일 경우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피커링 유화력에 문제가 된다.
수분산성 증점제와 정제수는 유사한 비율로 첨가되어 점토광물 표면에 균일하에 표면처리되는 것이 양친성 유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수분산성 증점제와 정제수의 중량비가 1:0.8 내지 1:1.2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토광물은, 판상형이며 수분산 가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헥토라이트(Hector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라포나이트(Laponite), 실리케이트(Silicate)류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증점제는 수용성 다당류나 이를 포함하는 복합 물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잔탄검(Xanthan gum), 젤란검(Gellan gum),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카라기난(Carrageenan), 구아검(Guar gum)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에서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Citric acid), 말산(Mal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글루탐산(Glutam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카프릭산(Capric acid), 식초산(Acetic acid, 아세트산), 안식향산(Benzoic acid, 벤조산)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 조성물에서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20 중량% 포함되며, 0.1 중량% 미만일 경우 밀림현상이 높은 문제가 있고, 20 중량% 초과일 경우 유화상태가 좋지 않으며 뭉침현상으로 인해 도포 후 마찰에 의해 밀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분체는 탤크(Talc), 마이카(Mica), 합성운모, 라우로일라이신(Lauroyl Lysine), 실리카(Silica),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실리콘계 파우더, 보론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우레탄 파우더,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코)폴리머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물질을 실리콘, 금속염, 지방산, 실리카,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아미노산, 라이로일라이신, 레시틴 중 하나 이상으로 표면처리 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분체는 또한, 유기계 색소 안료, 무기계 색소 안료, 진주 광택 안료 등의 안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에서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40 중량% 포함되며, 3 중량% 미만일 경우 사용감이 매트한 문제가 있고, 40 중량% 초과일 경우 제형 안정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오일은 트리에칠헥사노인(Triethylhexanoin), 디이소스테릴 말레이트 (Diisostearyl Malate),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등의 에스터계; 트리메치콘(Trimethicone), 디메치콘(Dimethicone),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등의 실리콘계; 유동파라핀, 스쿠알란(Squalane), 미네랄오일, 트리글리세린 등의 탄화수소계; 올리브유, 마카다미아 넛 오일, 썬플라워 오일 등 천연 오일; 야자유, 팜유, 마유 동식물성 액상 유지 등 오일; 및 이들이 혼합된 것을 포함하는 오일일 수 있다.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에서 정제수는, 조성물 총 중량%를 100중량%로 할 때, 양친성 점토광물, 분체 및 오일을 제외한 잔량만큼 포함될 수 있다. 즉, 상술한 구성요소를 제외하고 100중량%까지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양친성 점토광물, 분체, 오일 및 정제수 외에 추가적으로 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수분산성 증점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양친성 점토광물의 표면에 처리되는 증점제(제1 수분산성 증점제) 외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증점제(제2 수분산성 증점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 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증점제(제2 수분산성 증점제)는 수용성 다당류나 이를 포함하는 복합 물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잔탄검(Xanthan gum), 젤란검(Gellan gum),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카라기난(Carrageenan), 구아검(Guar gum)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상술한 양친성 점토광물, 분체, 오일 및 정제수 외에 다가알코올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가알코올은 한 분자 내에 다수의 Hydroxyl Group을 가지는 알코올로, 본 발명에서 다가알코올은 보습 및 용제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다가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25 중량% 포함된다. 25 중량% 초과 시 열감이 높아지고 사용감이 글리즈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가알코올(Polyol)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탄소수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글리세린(Glycerine), 솔비톨(Sorbitol), 만니톨(Manitol), 자일리톨(Xilytol), 글리콜(Glycol)류(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프로판디올(Propandio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 외에, 통상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부제, 정전기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안티케이킹제, 향료, 유화제, 수용성 컨셉물질 등의 기타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a) 정제수에 양친성 점토광물 및 분체를 분산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에 오일을 넣고 균질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a) 정제수에 양친성 점토광물 및 분체를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에 수분산성 증점제를 추가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에 오일을 넣고 균질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단, 분체에 소수성이 있는 경우, 분체를 정제수와 같이 넣지 않고 (c) 단계 이전에 오일에 분체를 선분산 시킨 후 (c)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각 단계는 실온에서 아지믹서 또는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다가알코올 및/또는 기타 첨가제를 넣는 경우, (b) 단계에서 증점제와 함께 넣어 분산시킨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유화과정을 통해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를 제조하였다.
우선, 벤토나이트 90 중량%에 시트릭애씨드 5 중량% 및 잔탄검 5 중량%를 표면 처리하여 양친성 점토광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 정제수와 양친성 점토광물(비교예 2에서는 다공성 입자), 분체를 풀어준 후 증점제와 기타 첨가제, 다가알코올을 넣고, 분산시켜준 후 오일을 넣고 균질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었다. 균질화는 호모믹서로 실온(25 ℃ ~ 30 ℃)에서 5분동안 진행하였다.
비교예 2의 다공성 입자로는 구상 폴리락틴산과 실리카실리케이트, 실리카를 사용하였다.
분체는 이산화티탄, 마이카를 사용하였고, 증점제로 잔탄검을 사용하였다. 다가알코올로는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펜틸렌글라이콜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Figure 112019105137427-pat00001
2.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 평가
(1) 유화 가능성 평가
제조 즉, 유화가 끝난 초기 유화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유화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또는 비교예 1 내지 3은 유화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지만 비교예 4 내지 5는 낮은 유화 상태를 보였다.
(2) 안정도 및 사용감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저온, 상온, 고온, 사이클, 쉐이킹 조건에서 일정기간 방치 후 상태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24세에서 41세 사이의 14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밀착력, 보습감, 두께감, 밀림에 대한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Figure 112019105137427-pat00002
비교예 1과 같이 분체가 없는 경우, 사용 후 막이 밀리는 밀림 현상이 심화되었다.
비교예 2는 양친성 점토광물을 포함하지 않고 다공성 입자를 사용한 것으로서, 안정도도 약하고 밀착력과 보습감 등에서도 효과성이 부족했다. 특히 비교예 2는 안정도 측면 중에서도 쉐이킹에 대해서 상당히 취약했다.
비교예 3에서와 같이 양친성 점토광물이 너무 많은 경우, 사용 후 막이 밀리는 밀림 현상이 심화되었다.
또한 비교예 4와 같이 분체가 너무 많은 경우, 얇은 두께감을 나타내지 못하고 밀림 현상이 약간 발생하였으며, 안정도도 낮았다.
비교예 5와 같이 오일이 너무 많은 경우, 안정도가 낮아 문제가 있었으며 약간의 밀림 현상도 발생하였다.

Claims (15)

  1. 양친성 점토광물, 분체, 오일 및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양친성 점토광물은, 점토광물에 수분산성 증점제 및 유기산을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양친성 점토광물은, 양친성 점토광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점토광물 80 ~ 96 중량%, 수분산성 증점제 2 ~ 10 중량%, 유기산 2 ~ 10 중량%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양친성 점토광물 0.5 내지 7 중량%, 분체 0.1 내지 20 중량%, 오일 3 내지 40 중량% 및 30 내지 90 중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광물은 헥토라이트(Hector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라포나이트(Laponite), 실리케이트(Silicate)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증점제는, 잔탄검(Xanthan gum), 젤란검(Gellan gum),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카라기난(Carrageenan), 구아검(Guar gum)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Citric acid), 말산(Mal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글루탐산(Glutam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카프릭산(Capric acid), 식초산(Acetic acid), 안식향산(Benzoic acid) 중 하나 이상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탄소수 6 이하의 다가알코올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Glycerine), 솔비톨(Sorbitol), 만니톨(Manitol), 자일리톨(Xilytol), 글리콜(Glycol)류(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프로판디올(Propandiol) 중 하나 이상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증점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증점제는 0.05 ~ 3 중량% 포함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증점제는, 잔탄검(Xanthan gum), 젤란검(Gellan gum), 셀룰로오스검(Cellulose gum), 카라기난(Carrageenan), 구아검(Guar gum)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14. (a) 정제수에 양친성 점토광물 및 분체를 분산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에 오일을 넣고 균질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양친성 점토광물은 점토광물에 수분산성 증점제 및 유기산을 코팅한 것이고,
    상기 양친성 점토광물은, 양친성 점토광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점토광물 80 ~ 96 중량%, 수분산성 증점제 2 ~ 10 중량%, 유기산 2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a) 정제수에 양친성 점토광물 및 분체를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에 수분산성 증점제를 추가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에 오일을 넣고 균질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양친성 점토광물은 점토광물에 수분산성 증점제 및 유기산을 코팅한 것이고,
    상기 양친성 점토광물은, 양친성 점토광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점토광물 80 ~ 96 중량%, 수분산성 증점제 2 ~ 10 중량%, 유기산 2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90127981A 2019-10-15 2019-10-15 양친성 점토광물을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0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981A KR102260054B1 (ko) 2019-10-15 2019-10-15 양친성 점토광물을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981A KR102260054B1 (ko) 2019-10-15 2019-10-15 양친성 점토광물을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603A KR20210044603A (ko) 2021-04-23
KR102260054B1 true KR102260054B1 (ko) 2021-06-03

Family

ID=7573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981A KR102260054B1 (ko) 2019-10-15 2019-10-15 양친성 점토광물을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0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785B1 (ko) * 2021-09-14 2022-12-2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발효된 점토 광물 또는 이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이의 제조방법
KR20230145825A (ko) 2022-04-11 2023-10-18 (주)엔피코리아 벤토나이트와 과일식초를 함유하는 미용 팩 화장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559B1 (ko) * 2022-07-28 2023-07-19 한국콜마주식회사 자가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556558B1 (ko) * 2022-07-28 2023-07-19 한국콜마주식회사 자가 유화 유도제 및 자가 유화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4463A1 (ja) * 2006-03-30 2007-10-11 Ajinomoto Co., Inc. 変性粘土鉱物
JP2012509293A (ja) * 2008-11-20 2012-04-19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個人向け洗浄用組成物
JP2019142769A (ja) * 2019-05-10 2019-08-29 花王株式会社 変性水膨潤性粘土鉱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4463A1 (ja) * 2006-03-30 2007-10-11 Ajinomoto Co., Inc. 変性粘土鉱物
JP2012509293A (ja) * 2008-11-20 2012-04-19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個人向け洗浄用組成物
JP2019142769A (ja) * 2019-05-10 2019-08-29 花王株式会社 変性水膨潤性粘土鉱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785B1 (ko) * 2021-09-14 2022-12-2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발효된 점토 광물 또는 이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이의 제조방법
KR20230145825A (ko) 2022-04-11 2023-10-18 (주)엔피코리아 벤토나이트와 과일식초를 함유하는 미용 팩 화장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603A (ko)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0054B1 (ko) 양친성 점토광물을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0826B1 (ko)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TWI539967B (zh) Water-based skin cosmetics
RU2548763C1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кожи в виде эмульсии типа "вода в масле"
US20030064046A1 (en) High internal aqueous phase water-in-oil type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KR20130030092A (ko) 내상점증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158281B1 (ko) 수분 순간 방출형 고함수 유중수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6002752A1 (ja) 水性化粧料
KR20170038249A (ko) 투명성이 개선된 고함량 세라마이드 나노 에멀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848727B (zh) 稳定的充气组合物
JP2013082663A (ja)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KR20120078953A (ko)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070819B1 (ko) 폴리 이온 복합체를 이용한 실리콘 중수 및 수중 실리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JP5114089B2 (ja) 乳液状皮膚化粧料
TW202027723A (zh) 穩定固體油性組分之低黏度化妝組成物
JP2001220311A (ja) 高内水相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20190030921A (ko) 고함량의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조성물
JP6789041B2 (ja) エアゾール化粧料
KR101483974B1 (ko) 실리콘/실리카 복합 파우더를 함유한 유중수 메이크업화장료 조성물
TW201801711A (zh) 制汗或除臭化妝料
JP2001139449A (ja) 低粘度高内水相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01002925A (ja) 高内水相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2058337B1 (ko) 전상유화 방법을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6671A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4296B1 (ko)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