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360A -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360A
KR20120057360A KR1020100119053A KR20100119053A KR20120057360A KR 20120057360 A KR20120057360 A KR 20120057360A KR 1020100119053 A KR1020100119053 A KR 1020100119053A KR 20100119053 A KR20100119053 A KR 20100119053A KR 20120057360 A KR20120057360 A KR 20120057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icone
cosmetic composition
glycol
polyglycerin
makeup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7397B1 (ko
Inventor
강유진
심민경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119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397B1/ko
Priority to PCT/KR2011/008896 priority patent/WO2012070825A2/ko
Priority to US13/988,961 priority patent/US20130243714A1/en
Priority to CN201180056672.9A priority patent/CN103228260B/zh
Publication of KR20120057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360A/ko
Priority to HK13114370.6A priority patent/HK1186964A1/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2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hydroxy group, e.g. dimethico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화제로서 가지형(branched type) 및 가교형(cross-linked polymer type) 폴리글리세린 변성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다량의 폴리올을 안정화시킴으로써 피부에 도포 시 즉각적으로 촉촉함을 부여하고,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Make-up cosmetic composition with an excellent moisturizing effect}
본 발명은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화제로서 가지형(branched type) 및 가교형(cross-linked polymer type) 폴리글리세린 변성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다량의 폴리올을 안정화시킴으로써 피부에 도포 시 즉각적으로 촉촉함을 부여하고,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외부환경에서 유래한 스트레스, 외부와 내부의 심한 온도차, 환경오염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직사광선에 의한 열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피부 각질이 벗겨져 거칠어지며 푸석거리고 윤기를 잃어 칙칙해 보이게 된다. 따라서, 피부 건조, 각질 생성 억제 및 윤기 부여를 위하여 보습 지속력이 우수한 피부 보습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휴멕턴트(humectant) 또는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폐쇄 보습제(Occlusive Moisturizer)를 사용하여 각질층에서의 수분 보유를 증가시키도록 노력하였다. 특히 메이크업 화장료의 경우 하루종일 피부에 도포하고 있기 때문에 보습제의 역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의 경우 지속성을 높이고 폐쇄 보습제인 오일을 즉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유중수형 화장료 형태로 많이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유중수형 화장료에서는 유화안정도 때문에 휴멕턴트인 폴리올의 함량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이기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적절한 유화제를 찾고자 노력한 결과, 여러 종류의 유화제 중에서 모노머형 유화제나 PEG계 실리콘 유화제보다 가지형 또는 가교형 폴리글리세린계 실리콘 유화제가 다량의 폴리올을 안정화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량의 폴리올을 안정화하여 즉각적인 촉촉함을 제공하며 보습지속력이 우수하여 피부건조증 개선에 효과가 있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가지형 및 가교형 폴리글리세린계 변성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화제로 사용하여 제조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가지형 또는 가교형 폴리글리세린계 실리콘 유화제를 사용함으로써 다량의 폴리올을 안정화시킬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다량의 폴리올이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잡아주어 보습 지속력이 우수하였고, 피부 건조증을 개선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유화제로서 가지형 및 가교형 폴리글리세린계 실리콘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여 다량의 폴리올을 안정화시킴으써 피부 도포 시 즉각적인 촉촉함을 부여하고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린계 실리콘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지형 및 가교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디메치콘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지형 폴리글리세린계 실리콘은 하기 화학식 1 및 2의 구조를 가지며, 그 구체적인 예는 신에츠(Shin Etsu)사의 폴리글리세릴-3 디실록산 디메치콘(상품명 KF-6100),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디실록시에틸 디메치콘(상품명 KF-6104) 또는 라우릴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디실록시에틸 디메치콘(상품명 KF-6105)를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교형 폴리글리세린계 실리콘은 하기 화학식 3 및 4의 구조를 가지며, 그 구체적인 예는 신에츠사의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 폴리머(상품명 KSG-710) 또는 라우릴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상품명 KSG-810, KSG-820, KSG-830 또는 KSG-810)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본 발명에 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화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2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화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에멀젼이 매우 불안정하고, 2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끌거리고 끈적이는 등 사용감이 나빠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솔비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올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80 중량%로 함유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만족할만한 보습지속력을 얻을 수 없고, 80 중량%를 초과한 경우에는 사용 시 끈적이며 눅진한 느낌이 들어 사용감이 나빠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피부 활성성분 또는 다양한 오일을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0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의 예로는, 디메치콘 또는 사이클로메치콘 등의 실리콘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 hexanoate) 또는 C12-15 알킬 벤조에이트(Alkyl Benzoate)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하이드로게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또는 스쿠알란(Squalane) 등의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 제조 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색소, 향, 방부제 및 증점제 등의 보조 성분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0 중량%로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색소를 함유한 유중수형 또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베이스 또는 파운데이션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5]
하기 표 1 및 2에 기재된 조성으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5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본 발명의 실시예 1?3은 가지형 폴리글리세린계 실리콘 유화제인 라우릴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디실록시에틸 디메치콘 및 가교형 폴리글리세린계 실리콘 유화제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 폴리머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비교예 1?2는 가지형 PEG계 실리콘 유화제인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및 가교형 PEG계 실리콘 유화제인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를 각각 사용하였고, 비교예 3은 모노머형 유화제를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예 4, 5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유화제를 사용하면서 폴리올의 함량을 달리하였다. 폴리올로는 글리세린과 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성분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유상 성분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0 20.00 20.00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10.00 10.00 10.00
라우릴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디실록시에틸 디메치콘 4.00 - 2.00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 폴리머 - 4.00 2.00
다이스테아르모니움헥토라이트 1.00 1.00 1.0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적량 적량
착색제 티타늄옥사이드 및
아이런옥사이드
10.00 10.00 10.00
수상 성분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글리세린 20.00 20.00 20.00
부틸렌글리콜 20.00 20.00 20.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소듐클로라이드 1.00 1.00 1.00
페녹시에탄올 적량 적량 적량
성분 원료명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유상 성분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0 20.00 20.00 20.00 20.00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10.00 10.0 10.00 10.00 10.00
라우릴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디실록시에틸 디메치콘 - - - 2.00 2.00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 폴리머 - 2.00 - 2.00 2.00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2.00 - - - -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 2.00 2.00 - - -
폴리글리세릴-2 다이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모노머형 유화제) - - 4.00 - -
다이스테아르모니움헥토라이트 1.00 1.00 1.00 1.00 1.0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착색제 티타늄옥사이드 및
아이런옥사이드
1.00 10.00 1.00 10.00 10.00
수상 성분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글리세린 20.00 20.00 20.00 2.50 4.50
부틸렌글리콜 20.00 20.00 20.00 2.50 4.5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0.05
소듐클로라이드 1.00 1.00 1.00 1.00 1.00
페녹시에탄올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제조방법>
1) 상기 유상성분 및 착색제를 혼합하여 분산시켰다.
2) 수상성분을 모두 혼합하였다.
3) 상기 1) 용액에 2) 용액을 투입하여 혼합시킨 다음 완전 탈기하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5에서 제조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 수분 지속성 및 윤기에 대한 평가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험예 1] 안정도 비교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3 및 비교예 1?5를 각각 10 g씩 취해 상온과 55℃ 항온조, -10 ?45℃의 사이클 챔버에 시료를 각각 넣은 후 일주일간의 안정도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상온 안정도 고온 안정도 사이클 안정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X
비교예 2 X X X
비교예 3 X X X
비교예 4
비교예 5
<안정도 평가 기준>
X: 매우 안 좋음 (일주일 안에 분리)
△: 약간 안 좋음 (한달 안에 분리)
○: 좋음 (한달 이상 안정)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유화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1?3 및 비교예 4,5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다른 유화제를 사용한 비교예 1?3과 비교하여 제형 안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폴리글리세린계 실리콘 유화제의 친수성 결합기인 글리세린기가 내상의 폴리올과 화학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PEG계 실리콘 유화제보다 더 단단한 결합력으로 폴리올을 잡을 수 있어서 다량의 폴리올을 안정화시킬 수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비교예 2는 가교형 유화제만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유화 입자 크기가 기존에 비해 5배 이상 커진 거대한 입자가 제조되어 다량의 폴리올을 내상에 함유하였을 때 폴리올이 계면을 불안하게 하여 고온과 사이클에서 금방 유화입자가 깨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3은 모노모형 유화제만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주오일로 사용되는 실리콘 오일을 잘 잡아주지 못하고 유화능이 약해 금방 유화입자가 깨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지형과 가교형 폴리글리세린계 유화제를 동시에 사용한 실시예 3의 경우 크기가 다른 2개의 유화제가 계면막을 보다 조밀하게 형성하기 때문에 한 종류의 유화제만을 사용한 실시예 1?2에 비해 안정도가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피부 보습 지속력 평가
폴리올의 함량에 따른 1회 도포 시 피부 보습지속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조를 호소하거나, 건성 피부라고 생각되는 30?40대 성인 남, 녀 80명에게 실시예 1?3 및 비교예 4,5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얼굴 및 전박 내측에 도포하도록 한 후, 24시간 동안 코니오미터(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를 이용하여 미리 피부 수분량를 측정하여 기본 값으로 삼고, 도포 직후, 2시간, 4시간, 8시간 경과 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Corneometer 측정방법>
원리: 피부의 표피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 정도를 측정,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한다.
1)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코니오미터 프로브를 올려놓았다.
2) 프로브를 피부에 누르면 센서를 통하여 피부의 전기전도도(capacitance)가 수치화되어 화면에 표시되었다.
3) 한번 측정 후, 킴와이프 같은 휴지로 센서를 닦은 다음 측정부위를 달리하여 반복측정하였다.
시험물질 피부 수분량(%)
도포 전 도포 직후 2시간 후 4시간 후 8시간 후
실시예 1 34 48 47 45 43
실시예 2 36 49 43 44 42
실시예 3 35 50 44 39 45
비교예 4 36 35 36 34 34
비교예 5 34 42 38 36 37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3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 4, 5 보다 도포 직후 피부 수분량이 더 많이 증가하였고, 증가된 피부 보습력이 8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3은 안정도가 좋지 않아 오일이 분리되고, 유화가 깨지는 상태라 수분량 값을 측정하지 못하였다.
또한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들에게 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고 난 후의 피부 건조증 개선 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평가된 값(5점 척도)의 평균값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건조증 개선 효과
실시예 1 4.4
실시예 2 4.3
실시예 3 4.6
비교예 4 1.8
비교예 5 2.1
<평가기준>
5점: 매우 효과가 있다.
4점: 조금 효과가 있다.
3점: 보통이다.
2점: 거의 효과가 없다.
1점: 전혀 효과가 없다.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폴리글리세린계 실리콘 유화제로 폴리올을 다량 안정화한 메이크업 화장료인 실시예 1?3의 피부 건조증 개선 효과가 비교예 4, 5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폴리글리세린계 변성 디메치콘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린계 변성 디메치콘은 가지형 및 가교형 폴리글리세린계 변성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린계 변성 디메치콘은 유화제로 사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형 및 가교형 폴리글리세린계 변성 디메치콘은 폴리글리세릴-3 디실록산 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디실록시에틸 디메치콘, 라우릴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디실록시에틸 디메치콘,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 폴리머 또는 라우릴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80 중량%의 폴리올을 더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솔비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119053A 2010-11-26 2010-11-26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737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053A KR101737397B1 (ko) 2010-11-26 2010-11-26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CT/KR2011/008896 WO2012070825A2 (ko) 2010-11-26 2011-11-22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13/988,961 US20130243714A1 (en) 2010-11-26 2011-11-22 Cosmetic makeup composition having an excellent moisture-sustaining capability
CN201180056672.9A CN103228260B (zh) 2010-11-26 2011-11-22 具有良好的持久保湿性能的化妆品组合物
HK13114370.6A HK1186964A1 (zh) 2010-11-26 2013-12-30 具有良好的持久保濕性能的化妝品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053A KR101737397B1 (ko) 2010-11-26 2010-11-26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360A true KR20120057360A (ko) 2012-06-05
KR101737397B1 KR101737397B1 (ko) 2017-05-22

Family

ID=46146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053A KR101737397B1 (ko) 2010-11-26 2010-11-26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43714A1 (ko)
KR (1) KR101737397B1 (ko)
CN (1) CN103228260B (ko)
HK (1) HK1186964A1 (ko)
WO (1) WO2012070825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973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풀무원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저점도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
WO2019059580A1 (ko) * 2017-09-22 2019-03-28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59599B1 (ko) 2023-03-08 2023-07-26 (주)젠퓨어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9556A2 (en) 2014-10-29 2016-05-06 University Of Maryland Methods of treating age-related symptoms in mammals and composition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3389B2 (ja) * 2003-10-31 2008-04-09 株式会社資生堂 油中水型乳化組成物
EP1579845B1 (en) * 2004-03-22 2017-04-19 L'Oré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glycerolated silicone elastomer
US20060013843A1 (en) 2004-07-16 2006-01-19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defined silicone polymer and a surfactant
US20060013791A1 (en) 2004-07-16 2006-01-19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defined silicone polymer and a film former
US20060013793A1 (en) * 2004-07-16 2006-01-19 Agnes Themens Solid water-in-oil cosmetic emulsion
US20090252698A1 (en) 2008-04-03 2009-10-08 L'oreal S.A. Emulsion compositions for eyelashes
US20100092408A1 (en) * 2008-10-14 2010-04-15 Laurie Ellen Breyfogle Resilient person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polyalkyl ether containing siloxane elastomers
WO2010059466A1 (en) * 2008-11-24 2010-05-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US20110301247A1 (en) * 2010-06-08 2011-12-08 Hayakawa Chihiro Cosmetic product containing film-forming polym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973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풀무원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저점도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
WO2019059580A1 (ko) * 2017-09-22 2019-03-28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3777A (ko) * 2017-09-22 2019-04-01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N111246832A (zh) * 2017-09-22 2020-06-05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高内相油包水型化妆料组合物
KR102559599B1 (ko) 2023-03-08 2023-07-26 (주)젠퓨어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86964A1 (zh) 2014-03-28
WO2012070825A2 (ko) 2012-05-31
KR101737397B1 (ko) 2017-05-22
WO2012070825A3 (ko) 2012-09-27
CN103228260B (zh) 2016-08-10
CN103228260A (zh) 2013-07-31
US20130243714A1 (en) 201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0042B2 (ja) 日焼け止め用組成物
JP6313961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20140062696A (ko) 실리콘유중수형 매크로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2172A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677249A1 (en) Cosmetic base and skin cosmetic using same
KR102211894B1 (ko)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2777690B1 (en) Oil-in-water type emulsified sunscreen cosmetic
KR20120057360A (ko)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4341A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TW202027723A (zh) 穩定固體油性組分之低黏度化妝組成物
KR100879134B1 (ko) 수용성 성분 함유 오일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23915B1 (ko)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EP3681460B1 (en) Stabilized emulsions with acidic agents
KR102202394B1 (ko) 알긴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391767B1 (ko) 폴리올을 포함하는 무스형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EP3075375B1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KR102644391B1 (ko) 안정도가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6392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46487B1 (ko) 보습력이 증진된 고분자 실리콘 겔 화장료 조성물
KR102480538B1 (ko) 수상 및 유상의 적절한 비율을 갖는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3772A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30044827A (ko) 고함량의 다이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211754B1 (ko) 늘어나는 질감과 형상복원 능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975094B2 (en) Three-part makeup remover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