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973A -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저점도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저점도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973A
KR20150078973A KR1020130168878A KR20130168878A KR20150078973A KR 20150078973 A KR20150078973 A KR 20150078973A KR 1020130168878 A KR1020130168878 A KR 1020130168878A KR 20130168878 A KR20130168878 A KR 20130168878A KR 20150078973 A KR20150078973 A KR 20150078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kin
dimethicone
peg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756B1 (ko
Inventor
김호연
김태석
여익현
남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풀무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풀무원
Priority to KR1020130168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756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저점도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올(polyol) 보습제 20 내지 30 중량%; 더블-콤브 폴리에테르 타입(double-comb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 1 내지 5 중량%; 실리콘 유도체 10 내지 25 중량%; 점증제 0.1 내지 1 중량%; 및 정제수를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 피부 안정성을 갖고 있다. 또한, 2μm 미만의 미립자 에멀젼(fine particle emulsion)을 형성하여 피부위에서의 탁월한 수화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세안 후 물기를 제거안하고 바로 도포해도 물과 잘 섞이고, 피부 보습력이 우수하여,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저점도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oil-in-water emulsified cosmetic composition with low viscosity comprising high content silicone derivatives for skin moisturing effect}
본 발명은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저점도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올(polyol) 보습제 20 내지 30 중량%; 더블-콤브 폴리에테르 타입(double-comb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 1 내지 5 중량%; 실리콘 유도체 10 내지 25 중량%; 점증제 0.1 내지 1 중량%; 및 정제수를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유형 혹은 유중수형 에멀젼은 물과 잘 섞이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에멀젼 안에 내포하고 있는 오일 성분들 때문이다. 따라서 세안 후 수건으로 물기를 제거하고 화장품을 바르게 된다. 하지만 물기를 제거하고 화장품을 바르기 전까지 5초에서 5분 동안 피부가 건조한 상태로 존재하게 되는데 이 순간에도 피부는 손상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수건으로 물기를 제거하지 않고 피부에 물기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화장품을 바르는 특별한 미용법을 고안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화장품은 물과 잘 섞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물과 잘 섞이는 제형으로는 가용화 타입이 일반적이다. 가용화 타입은 물에 용해되지 않는 오일이 계면활성제의 미셀 안에 용해되어 투명하게 보여 지는 제형으로 대부분이 수용성 성분이기 때문에 같은 성질인 물과 잘 섞이게 된다. 하지만 저점도 타입의 가용화 제형은 피부에 물기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도포하면 물과 잘 섞이기는 하나 피부 위에 밀착되지 못하고 겉돌게 된다. 또한 점도가 높은 젤 타입의 가용화 제형도 피부에 물기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도포하면 역시 물과 잘 섞이기는 하나 유용성 성분이 거의 없기 때문에 피부가 금방 건조해지고 점증제로 인해 피부가 조여지는 느낌을 받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 보습을 위한 유용한 성분을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서도, 피부에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도포하였을 때 제품의 제형과 물 성분이 순간적으로 잘 친화되는 유화 타입의 화장품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본 발명자에 의한 등록특허 10-1288236 및 기출원 (출원번호: 10-2012-0158702)에서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대한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기존 고함량 유도체 조성물에서는 유화제의 물과의 친화도가 낮아서 물과 접촉시에 겉도는 미끌거리는 사용감을 제공하였으며 고온 경시 안정성이 일정온도 이상에서는 약간의 불안정한 상변화를 보여주었다. 또한 수분 친화도 및 쫀득하고 찰진 피부 사용감을 구현하는데 부족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double comb-like polyehter silicone 을 주 유화제로 하여 제조한 고함량 실리콘 에멀젼 조성물이 실리콘 유도체를 고함량으로 포함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도포하면 제품의 제형과 아쿠아 성분이 순간적으로 친화되면서 피부위에서 soft spreading 및 silky sensory feel를 제공하면서 피부 보습력, 피부 윤기, 피부 거칠기등에서 유의적인 차별성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올(polyol) 보습제 20 내지 30 중량%; 더블-콤브 폴리에테르 타입(double-comb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 1 내지 5 중량%; 실리콘 유도체 10 내지 25 중량%; 점증제 0.1 내지 1 중량%; 및 정제수를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틸디메치콘(Cetyl Dimethicone) 5 내지 15 중량%,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1 내지 10중량%,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 1 내지 5중량%, 비스-피이지/피피지-20/5 피이지/피피지-20/5 디메치콘(Bis-PEG/PPG-20/5 PEG/PPG-20/5 Dimethicone) 및 메톡시 피이지/피피지-25/4 디메치콘(Methoxy PEG/PPG-25/4 Dimethicone) 1 내지 5중량%, 글리세린(Glycerine) 10 내지 2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 내지 8 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1 내지 8 중량%, 글리세리스-26(Glycereth-26) 1 내지 3 중량%,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0.01 내지 2 중량%, 카보머(carbomer) 0.1 내지 1 중량%,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Inulin lauryl cabamate) 0.1 내지 1 중량%,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Hydroxyethyl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taurate copolymer) 0.01 내지 0.1중량% 및 정제수를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올(polyol) 보습제 20 내지 30 중량%; 더블-콤브 폴리에테르 타입(double-comb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 1 내지 5 중량%; 실리콘 유도체 10 내지 25 중량%; 점증제 0.1 내지 1 중량%; 및 정제수를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틸디메치콘(Cetyl Dimethicone) 5 내지 15 중량%,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1 내지 10중량%,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 1 내지 5중량%, 비스-피이지/피피지-20/5 피이지/피피지-20/5 디메치콘(Bis-PEG/PPG-20/5 PEG/PPG-20/5 Dimethicone) 및 메톡시 피이지/피피지-25/4 디메치콘(Methoxy PEG/PPG-25/4 Dimethicone) 1 내지 5중량%, 글리세린(Glycerine) 10 내지 2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 내지 8 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1 내지 8 중량%, 글리세리스-26(Glycereth-26) 1 내지 3 중량%,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0.01 내지 2 중량%, 카보머(carbomer) 0.1 내지 1 중량%,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Inulin lauryl cabamate) 0.1 내지 1 중량%,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Hydroxyethyl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taurate copolymer) 0.01 내지 0.1중량% 및 정제수를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올(polyol) 보습제 20 내지 30 중량%;
더블-콤브 폴리에테르 타입(double-comb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 1 내지 5 중량%;
실리콘 유도체 10 내지 25 중량%;
점증제 0.1 내지 1 중량%; 및
정제수를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올(poly) 보습제는 글리세린(Glycerine),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글리세리스-26(Glycereth-26) 및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글리세린은 10 내지 2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은 1 내지 8 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 내지 8 중량%, 글리세리스-26(Glycereth-26) 1 내지 3 중량%,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0.01 내지 2 중량%으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폴리올 보습제의 비율이 20 내지 30 중량%인 범위 내에서 상기 각 물질들의 상대적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각 물질들의 상대적 비율은 당업자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실리콘 유도체는 세틸디메치콘(Cetyl Dimethicone),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및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틸디메치콘(Cetyl Dimethicone)이 5 내지 15 중량%,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가 3 내지 10 중량% 및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이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실리콘 유도체의 비율이 10 내지 25 중량%인 범위 내에서 상기 각 물질들의 상대적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각 물질들의 상대적 비율은 당업자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세틸디메치콘(Cetyl Dimethicone)은 기포 방지제와 수분증발차단제로 주로 쓰이는 물질로서 합성 실리콘 기반의 고분자이고, 실리콘 폴리머라고도 한다. 세틸디메치콘은 디메치콘에 탄화수소 계열의 세틸기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디메치콘에 비해 탄화수소 계열의 화합물과 상용성이 높아서 제형의 안전성을 개선해준다.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는 디메칠폴리실록산엘라스토머파우더, 엘라스토머파우더, 크로스링크된엘라스토머릭실리콘 등으로도 불리며 디메치콘폴리머에 비닐(Vinyl)기를 교차결합 시킨 백색의 파우더로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계면활성제 수용액에 분산시켜 사용하며, 오일이나 시범(sebum)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하고, 마른상태의 부드러움이 우수하며, 끈적임이나 오일감이 없으며 라이트한 매끄러운 감촉을 부여한다.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은 제형의 점도를 올려주고 안정성을 높여준다.
상기 두 세틸디메치콘 및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의 주 역할은 에몰리언트(emolient) 이다. 에몰리언트는 피부 컨디셔닝제 또는 유연제라고도 하는데, 피부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성분을 말한다. 상기 두 가지 원료가 제형의 안정성을 높여주면서 사용감, 피부 보습력이 우수한 에멀젼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해준다.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은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이라는 이명을 가지며, 휘발성의 환상 실리콘오일로서 사용감을 부드럽고 가볍게한다.
상기 점증제는 유화 후의 화장료 점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상용적인 점증제가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카보머(carbomer),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Inulin lauryl cabamate),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Hydroxyethyl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taurate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카보머 0.1 내지 1중량%,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 0.1 내지 1 중량%,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 0.01 내지 0.1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점증제의 비율이 0.1 내지 1 중량%인 범위 내에서 상기 각 물질들의 상대적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각 물질들의 상대적 비율은 당업자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 유화제(실리콘 계면활성제)는 실리콘 폴리에테르(silicone polyether)로서, polyether-modified silicone 또는 polyether-modified polysiloxane 등으로 표기된다. 실리콘 유화제는 실리콘 유도체의 한 종류로서, 실리콘 유도체 총 함량 범위에 포함되어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폴리에테르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하기의 화학식 (1) 내지 (4) 등의 유형을 가진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탄화수소 그룹이며, a는 15 이상의 자연수이며, b는 1이상의 자연수, c는 1 내지 6의 자연수, d 는 1 내지 300의 자연수, e는 0 내지 300의 자연수, f는 0 내지 6의 자연수, g는 20 내지 500의 자연수이다.
상기 R1의 탄화수소 그룹은 1 내지 8의 탄소수를 가지는 직선형 또는 가지형(branched) 탄화수소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메틸(methyl)그룹을 가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더블-콤브 폴리에테르 타입(double-comb polyether type)실리콘 유화제’는 상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분지(branch)된 형태의 comb-like silicone polyether 또는 multi type silicone polyether 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더블-콤브 폴리에테르 타입 실리콘 유화제의 함량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1 내지 5 중량%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싱글 폴리에테르 타입(single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는 상기 화학식 (2) 내지 (4) 로 표시되는 직선(liner) 형태의 실리콘 폴리에테르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리콘 유화제는 바람직하게 화학식 (1)의 기본 구조를 가지는 더블-콤브 폴리에테르 타입(double-comb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이다. 상기 더블-콤브 폴리에테르 타입 실리콘 유화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비스-피이지/피피지-20/5 피이지/피피지-20/5 디메치콘(Bis-PEG/PPG-20/5 PEG/PPG-20/5 Dimethicone), 메톡시 피이지/피피지-25/4 디메치콘(Methoxy PEG/PPG-25/4 Dimethicone) 비스-피이지-피피이지-16/16 피이지/피피지-16/16 디메치콘(Bis-PEG/PPG-16/16 PEG/PPG-16/16 Dimethicone)일 수 있으며, 상기의 물질들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더블-콤브 폴리에테르 타입 실리콘 유화제의 비율이 1 내지 5 중량%인 범위 내에서 상기 각 물질들의 상대적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각 물질들의 상대적 비율은 당업자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세틸디메치콘(Cetyl Dimethicone) 5 내지 15 중량%,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1 내지 10중량%,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 1 내지 5중량%, 비스-피이지/피피지-20/5 피이지/피피지-20/5 디메치콘(Bis-PEG/PPG-20/5 PEG/PPG-20/5 Dimethicone) 및 메톡시 피이지/피피지-25/4 디메치콘(Methoxy PEG/PPG-25/4 Dimethicone) 1 내지 5중량%, 글리세린(Glycerine) 10 내지 2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 내지 8 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1 내지 8 중량%, 글리세리스-26(Glycereth-26) 1 내지 3 중량%,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0.01 내지 2 중량%, 카보머(carbomer) 0.1 내지 1 중량%,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Inulin lauryl cabamate) 0.1 내지 1 중량%,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Hydroxyethyl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taurate copolymer) 0.01 내지 0.1중량% 및 정제수를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실리콘 유도체는 일반 탄화수소 화합물에 비해 표면장력이 낮아서 습윤이 잘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한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은 세안 후, 피부에 물기가 남아 있는 상태(예를들어, 수건으로 물기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포하는 첫 번째 단계의 화장품으로, 저점도 타입이 적절하다. 하지만 저점도 타입이면서 고함량의 실리콘 유도체를 내부에 함유하게 되는 경우, 분리되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더블-콤브 폴리에테르 타입(double-comb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를 주유화제로 사용하여, 제형 안정성이 뛰어나고 바람직하게 2μm 이하의 미립자 에멀젼(fine particle emulsion), 더욱 바람직하게 1μm의 미립자 에멸젼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으로, 피부위에서의 탁월한 수화기능과 탁월한 보습 및 사용감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저점도 타입이면서도 고함량의 실리콘 유도체를 내부에 함유하여 피부 보습력이 우수하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잘 나타나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여러 조성의 화장료 조성물들에 대하여 온도에 따른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 single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를 사용한 에멀젼들은 고온(37℃ 및 45℃)에서 상분리가 일어나 불안정했으나, double-comb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를 사용한 에멀젼은 고온에서도 안정하였다.
또한, 여러 조성의 화장료 조성물들에 대하여 에멀젼 입자 크기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double-comb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에멀젼 입자 크기가 평균 1μm 정도로서 전체적으로 micro-emulsion에 가까운 입자 유동 현상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single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를 사용한 에멀젼은 평균입자의 크기가 10μm 정도로서 평균 입자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고 균일하지 못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정 후 피부 수분 비제거 상태에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수분과의 친화성이 크고, 저점도 타입이면서도 고함량의 실리콘 유도체를 내부에 함유하여 피부 보습력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물과의 친화작용 정도를 평가 하기위하여 여러 조성의 화장료 조성물들에 물을 천천히 적정한 후 상호 친화 작용을 모니터링한 결과, 본 발명의 double-comb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호간에 퍼짐 친화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double-comb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피험자들에게 배포하고, 하루 2회(아침, 저녁) 세수 후 얼굴의 물기를 제거하지 않고 바로 피부에 바르도록하여 보습 효능(피부 수분량, 피부 윤기, 피부 거칠기)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할수록 피부 보습력 및 피부 윤기가 증가되고 피부 거칠기가 감소되어 유의적인 차별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에 의한 등록특허 10-1288236 및 기출원 (출원번호: 10-2012-0158702)에서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대한 내용이 공개된 바 있다. 기존 고함량 유도체 조성물에서는 유화제의 물과의 친화도가 낮아서 물과 접촉시에 겉도는 미끌거리는 사용감을 제공하였으며 고온 경시 안정성이 일정온도 이상에서는 약간의 불안정한 상변화를 보여주었다. 또한 수분 친화도 및 쫀득하고 찰진 피부 사용감을 구현하는데 부족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double comb-like polyether silicone emulsifier를 적용하여 에멀젼 안정성, 수분 친화도 그리고 쫀득한 찰진 피부 사용감을 구현하였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과의 친화도가 높으면서 경시 안정성도 향상되고 micro fine particle emulsion 타입의 평균입자로 구성되어 피부 도포시에 부드러운 실키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향료, 화장 유효성분, 영양성분, 중화제 및 증량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첨가제의 종류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및 피부 보호를 위한 화장품의 제조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제형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제형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예를 들어, 각종 로션, 밀크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및 바디로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통상적인 화장료 성분, 예를 들어 용매, 유기안료, 유제,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 실리콘함유 계면활성제, 증점제, 안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등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공지된 피부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 피부 안정성을 갖고 있다. 또한, 2μm 미만의 미립자 에멀젼(fine particle emulsion)을 형성하여 피부위에서의 탁월한 수화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세안 후 물기를 제거안하고 바로 도포해도 물과 잘 섞이고, 피부 보습력이 우수하여,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효과적이다.
도 1은 각각의 에멀젼 조성물(제조예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하여 온도에 따른 제형안정성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2는 각각의 에멀젼 조성물에 대하여 에멀젼 입자 크기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A: 제조예, B: 비교예 1 내지 3).
도 3은 각각의 에멀젼 조성물에 대하여 물에 대한 친화력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나타낸다(A: 제조예, B: 비교예 1 내지 3).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함량의 실리콘 유도체를 포함하는 Si/W 타입의 에멀젼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단위:중량%)으로 본 발명의 에멀젼(제조예)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및 비교예에 포함된 원료 및 그 함량(중량%)
원료명 제조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
글리세린 및 폴리올 보습제
글리세린 13 13 13 13
디프로필렌글라이콜(DPG) 6 6 6 6
1.3 부틸렌글라이콜(1.3 BG) 6 6 6 6
Liponic EG-1 (Glycereth-26) 1 1 1 1
Glucam E-20 (methyl gluceth-20) 0.5 0.5 0.5 0.5
3. 실리콘유화제
double-comb polyether type:
Abilwax 80(Bis-PEG/PPG-20/5 PEG/PPG-20/5 Dimethicone 및 Methoxy PEG/PPG-25/4 Dimethicone)
2.5 - - -
3. 실리콘유화제 single polyether type: PEG-11 methyl ether diemthicone 3 3 3
4. 실리콘왁스 세틸디메치콘
(Cety diemthicone, Abilwax 9801)
10 10 10 10
5. 실리콘 엘라스토머
KSG-15 (Decamethylcyclopentasiloxane) 2.2 2.2 2.2 2.2
KSG-19 (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3 3 3 3
6. 카보머 0.2 0.2 0.2 0.2
7. inulin lauryl carbamate 0.1 0.05 - -
8. Hydroxyethyl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taurate copolymer 0.05 - 0.05 -
총 함량(%) 100 100 100 100
상기 표1의 원료1, 원료2 및 원료7을 평량하여 70 내지 75℃ 온도에서 교반시켜 완전 용해시킨다(수상부 제조). 그 후, 원료 3 내지 5를 평량하여 75 내지 80℃ 온도에서 고점도용 아지믹서(Agi-mixer)를 이용해 고속조건(3000 ~ 5000 rpm)으로 1시간 동안 균질화하고, 용해시킨다(유상부 제조). 혼합 탱크에서, 상기에서 제조한 수상부에 유상부를 서서히 가하면서, 교반 및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원료 6(점증제)및 원료8을 투입하여 분산시킨다. 유화 과정이 완료되면, 냉각(30℃) 및 탈포 공정을 거친 후, 30℃에서 냉각을 종료시킨다.
< 실험예 1>
온도에 대한 제형 안정성 및 인체 안정성 검증
<1-1> 제형 안정성 검증(제품 상분리 안정성 평가)
상기 표 1에 기재된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물질들을 제조한 후 상온에서 1일 동안 기밀용기 내에 넣고 숙성시켰다. 각 물질들을 1개월 동안 아래 표 2의 조건에서 경시변화 안정도 시험방법(45도/75%RH 항온 항습기)에 따라 관찰하였다. 시험 항목은 외관 상태(색조, 분리, 침전, 변취)와 내용물의 물성(점도, pH)등을 체크하였다. 결과는 표 2에 기재하였다.
제형 안정성 평가
제조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온 (2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4℃ 안정 안정 안정 안정
37℃ 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45℃ 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평가 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멀젼(제조예)은 모든 온도 조건에서 안정성을 보였으나, single polyether type의 실리콘 유화제를 첨가한 비교예들은 몇몇 조건에서 불안정성을 보였다.
<1-4> 인체 안정성 검증(피부 첩포에 대한 안전성 평가)
인체(피부)에 대한 안정성은 피부 일차 자극 시험으로 공인 임상 기관인 세명대학교 한방바이오산업임상지원센터에서 피부 첩포 시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피험자 30명의 등(시험부위)을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킨 다음 본 발명의 에멀전(제조예)을 25uL 씩 패치에 발라 24시간 동안 붙인 후, 패치를 제거하였다. 마킹 펜으로 시험 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반응을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 정도를 분류하고, 피부 첩포 시험 결과 판정표에 판정한 결과를 [표 3]에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에멀전이 무자극이라는 것을 하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 실험예 2>
에멀전 특성 평가
<2-1> 에멀전 입자 크기 분석
상기 표 1에 기재된 화장품 조성물에 대하여, 사용된 실리콘 유화제 종류에 따른 에멀젼 입자의 사이즈를 분석하기 위하여 400배율의 광학 현미경으로 입자사이즈를 측정하였다. 상기 광학현미경은 칼짜이스사의 광학현미경으로 DIC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기능이 있는 모델 Axio Scope A1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멀젼(제조예)은 경우 평균 입자 사이즈가 1μm정도로서 전체적으로 micro-emulsion에 가까운 입자 유동 현상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평균 입자 사이즈가 약 10μm전후 정도로서 비교적 에멸젼 입자 크기가 커서 에멀젼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2-2> 물( aqua )과의 친화성 평가
아쿠아 성분과의 친화성을 평가하고자 페트리디쉬에 시료 각각 3g을 정량하여 넣은 후 10g의 아쿠아 물을 천천히 적정한 후 약 1분간의 상호 친화 작용을 모니터링하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멀전(제조예)의 경우 아쿠아 성분을 시료에 첨가하자 상호간에 퍼짐 친화력이 우수하였던 반면,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상호간에 친화 반응이 목격되지 않았다.
< 실험예 3>
보습 효능 평가
본 발명의 에멀젼(제조예)이 피부 수분량, 피부 각질량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공인 임상기관인 I.E.C 코리아에 의뢰를 하였다. 20명 이상의 한국인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2주간의 피부 적응 기간을 거친 후, 본 발명의 에멀젼을 피험자들에게 배포하고, 하루 2회씩(아침, 저녁) 세수 후, 얼굴의 물기를 제거하지 않고, 바로 제품을 바르도록 하였다. 6주간 얼굴 전체에 사용하도록 한 후, 기기측정을 통해 피부 보습 효능(피부 수분량, 피부 윤기, 주름개선 여부)을 평가하였다. (D0:피부 초기 상태, D0 imm:도포 1분 후, D42:6주 동안 시료 도포 후 피부 상태)
각 실험에대한 결과는 통계 분석 프로그램 SPSS 14.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되었으며, 데이터의 정규성을 Shapiro wilk test로 검증하였다; 정규성을 만족할 경우 (p>0.05) : Paired t-test (p < 0.05), 정규성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p < 0.05) : Wilcoxon test (p < 0.05)
<3-1> 피부 수분량 평가
피부 수분량은 Corneometer CM825(Courage and Khazaka,Germany)로 전기 용량(Capacitance, a.u.로 표시)를 측정하여, 각질 층 아래 30 ~ 40 μm 깊이 이내의 피부 수분량을 평가하였다(표 4).
Figure pat00006
그 결과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 전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에멀전 사용 직후와 6주 후 피부 수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2> 피부 윤기 평가
피부 윤기는 Skin Glossmeter(Delfin tech, Finland)로 측정하였는데, 피부 표면에서 산란되는 빛 외에 반사되는 빛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Skin glossmeter 광원은 635nm 붉은색 반도체 다이오드 레이저가 내장되어 있으며 레이저의 표면 지름은 50μm이다. 측정단위는 skin gloss unit (a.u)이며 피부 윤기가 증가할수록 측정값은 높아진다. 피부 윤기 측정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난다.
Figure pat00007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 전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에멀전 사용 직후 및 6주 후에 피부 윤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3> 피부 거칠기 평가
피부 거칠기 및 주름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derma top사의 fringe projector를 활용하여 피부 표면에서의 거칠기 정도를 Ra, Rz, Rt 값으로 평가하였다. Fringe projector는 3D 영상 정보를 빠르게 획득할 수 있는 광학장비로서 gray-code와 phase shift 기술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측정한다.
본 시험에서는 시료 도포 전, 도포 직후, 6주 후 시험 부위의 피부 표면 거칠기를 분석하였으며 거칠기 값을 표현하는 parameter는 다음과 같다.
Ra : Arithmetic average roughness, mm
Rz : Average roughness, mm
Rt : Total skin roughness, mm
본 발명의 에멀젼을 도포하기 전(T0) 및 도포 직후(T0_imm) 피부 거칠기를 측정한 결과는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8
본 발명의 에멀젼을 사용하기 전(T0) 및 6주(D42) 동안 사용 후 피부 거칠기를 측정한 결과는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9
[표 6] 및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 전에 비하여 본 발명의 에멀젼 사용 직후 및 6주후에 피부 거칠기가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Paired t-test, p<0.05).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저점도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올(polyol) 보습제 20 내지 30 중량%; 더블-콤브 폴리에테르 타입(double-comb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 1 내지 5 중량%; 실리콘 유도체 10 내지 25 중량%; 점증제 0.1 내지 1 중량%; 및 정제수를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 피부 안정성을 갖고 있다. 또한, 2μm 미만의 미립자 에멀젼(fine particle emulsion)을 형성하여 피부위에서의 탁월한 수화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세안 후 물기를 제거안하고 바로 도포해도 물과 잘 섞이고, 피부 보습력이 우수하여,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9)

  1. 폴리올(polyol) 보습제 20 내지 30 중량%;
    더블-콤브 폴리에테르 타입(double-comb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 1 내지 5 중량%;
    실리콘 유도체 10 내지 25 중량%;
    점증제 0.1 내지 1 중량%;
    및 정제수를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유도체는 세틸디메치콘(Cetyl Dimethicone),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및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polyol) 보습제는 글리세린(Glycerine),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글리세리스-26(Glycereth-26) 및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카보머(carbomer),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Inulin lauryl cabamate),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Hydroxyethyl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taurate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콤브 폴리에테르 타입(double-comb polyether type) 실리콘 유화제는 비스-피이지/피피지-20/5 피이지/피피지-20/5 디메치콘(Bis-PEG/PPG-20/5 PEG/PPG-20/5 Dimethicone), 메톡시 피이지/피피지-25/4 디메치콘(Methoxy PEG/PPG-25/4 Dimethicone) 및 비스-피이지-피피이지-16/16 피이지/피피지-16/16 디메치콘(Bis-PEG/PPG-16/16 PEG/PPG-16/16 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중 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
  6.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세틸디메치콘(Cetyl Dimethicone) 5 내지 15 중량%,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1 내지 10중량%,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 1 내지 5중량%, 비스-피이지/피피지-20/5 피이지/피피지-20/5 디메치콘(Bis-PEG/PPG-20/5 PEG/PPG-20/5 Dimethicone) 및 메톡시 피이지/피피지-25/4 디메치콘(Methoxy PEG/PPG-25/4 Dimethicone) 1 내지 5중량%, 글리세린(Glycerine) 10 내지 2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 내지 8 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1 내지 8 중량%, 글리세리스-26(Glycereth-26) 1 내지 3 중량%, 메칠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0.01 내지 2 중량%, 카보머(carbomer) 0.1 내지 1 중량%,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Inulin lauryl cabamate) 0.1 내지 1 중량%,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Hydroxyethyl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taurate copolymer) 0.01 내지 0.1중량% 및 정제수를 잔량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향료, 화장 유효성분, 영양성분, 중화제 및 증량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의 평균입자 크기가 2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세정 후 피부수분 비제거 상태에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30168878A 2013-12-31 2013-12-31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저점도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 KR101665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878A KR101665756B1 (ko) 2013-12-31 2013-12-31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저점도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878A KR101665756B1 (ko) 2013-12-31 2013-12-31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저점도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973A true KR20150078973A (ko) 2015-07-08
KR101665756B1 KR101665756B1 (ko) 2016-10-12

Family

ID=5379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878A KR101665756B1 (ko) 2013-12-31 2013-12-31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저점도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75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163B1 (ko) * 2015-08-21 2017-01-10 그린코스 주식회사 실리콘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이 다량 함유된 투명 w/s 화장품 유화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WO2017029807A1 (en) * 2015-08-20 2017-02-23 L'oreal Composition comprising a hydrophobically modified inuline and a polyether modified silicone
WO2019107813A1 (ko) * 2017-12-01 2019-06-06 주식회사 케이씨씨 투명 에멀젼 조성물
KR102003278B1 (ko) * 2019-03-18 2019-07-24 에이앤에이치 인터내셔널 코스메틱스 일시적 피부 주름가림용 실리콘탄성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IT201800003541A1 (it) * 2018-03-14 2019-09-14 Chromavis Spa Un prodotto cosmetico e un metodo per realizzare tale prodotto cosmetico
KR102267938B1 (ko) * 2020-04-07 2021-06-23 주식회사 맥클린코스메틱 병풀추출물, 지모초뿌리추출물, 살구씨오일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흡수를 증진시킨 수분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00404A1 (en) * 2022-06-30 2024-01-04 L'oreal Composition for caring for and/or making up keratin materia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614A (ko) 2019-09-26 2021-04-05 (주)아모레퍼시픽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360A (ko) * 2010-11-26 2012-06-05 (주)아모레퍼시픽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5361A (ko) * 2011-01-24 2012-08-01 (주)풀무원홀딩스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이용한 화장품의 유화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US20130310530A1 (en) * 2011-01-25 2013-11-21 Evonik Goldschmidt Gmbh Use of silicone methacrylate particles in cosmetic formul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360A (ko) * 2010-11-26 2012-06-05 (주)아모레퍼시픽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5361A (ko) * 2011-01-24 2012-08-01 (주)풀무원홀딩스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이용한 화장품의 유화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US20130310530A1 (en) * 2011-01-25 2013-11-21 Evonik Goldschmidt Gmbh Use of silicone methacrylate particles in cosmetic formulation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9807A1 (en) * 2015-08-20 2017-02-23 L'oreal Composition comprising a hydrophobically modified inuline and a polyether modified silicone
US10583075B2 (en) 2015-08-20 2020-03-10 L'oreal Composition comprising a hydrophobically modified inuline and a polyether modified silicone
KR101692163B1 (ko) * 2015-08-21 2017-01-10 그린코스 주식회사 실리콘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이 다량 함유된 투명 w/s 화장품 유화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WO2019107813A1 (ko) * 2017-12-01 2019-06-06 주식회사 케이씨씨 투명 에멀젼 조성물
KR20190064823A (ko) *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 케이씨씨 투명 에멀젼 조성물
CN111405891A (zh) * 2017-12-01 2020-07-10 Kcc公司 透明乳液组合物
IT201800003541A1 (it) * 2018-03-14 2019-09-14 Chromavis Spa Un prodotto cosmetico e un metodo per realizzare tale prodotto cosmetico
EP3539618A1 (en) * 2018-03-14 2019-09-18 Chromavis S.P.A. A cosmetic product and a method of producing said cosmetic product
KR102003278B1 (ko) * 2019-03-18 2019-07-24 에이앤에이치 인터내셔널 코스메틱스 일시적 피부 주름가림용 실리콘탄성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7938B1 (ko) * 2020-04-07 2021-06-23 주식회사 맥클린코스메틱 병풀추출물, 지모초뿌리추출물, 살구씨오일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흡수를 증진시킨 수분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00404A1 (en) * 2022-06-30 2024-01-04 L'oreal Composition for caring for and/or making up keratin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756B1 (ko)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756B1 (ko)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저점도 수중유형 에멀젼 상 화장료 조성물
TWI488653B (zh) Hair cosmetic
JP5351376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1500594B1 (ko)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
SA08290313B1 (ar) مستحلبات طور داخلي عالية مع مادة تثبيت تجسيمية لإنتاج تركيبات مع قدرات امتصاص فتيلي
KR20200067793A (ko)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WO2010113930A1 (ja) 皮膚外用剤
JP2007532644A (ja) 水中低分子量シリコーン油型エマルジョン
JP6029297B2 (ja)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CN103108675A (zh) 高保湿剂高内相乳液
JP5892720B2 (ja) 皮膚外用剤
KR101288236B1 (ko) 고함량 실리콘 유도체를 이용한 화장품의 유화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CN101496777B (zh) 水包油型乳化化妆品
JP6618404B2 (ja) 乳化保湿化粧料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16147824A (ja) 化粧料及びその化粧料を用いた肌の美容方法
JP2005200369A (ja) 化粧料
JP6868588B2 (ja) 毛髪化粧料
JP5649796B2 (ja) 毛髪処理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る毛髪処理方法
WO2019188119A1 (ja) 毛髪化粧料
JP4136963B2 (ja) 毛髪化粧料
CN106102698B (zh) 包含表面活性剂和亲水性活性成分的组合物
JP2013189429A (ja) 水中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4842686B2 (ja) 皮膚外用剤
JP2009191017A (ja) 乳化型毛髪化粧料
JP2003012476A (ja) 半固形状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