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03092A1 - 높은 제형 안정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높은 제형 안정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03092A1
WO2017003092A1 PCT/KR2016/005220 KR2016005220W WO2017003092A1 WO 2017003092 A1 WO2017003092 A1 WO 2017003092A1 KR 2016005220 W KR2016005220 W KR 2016005220W WO 2017003092 A1 WO2017003092 A1 WO 201700309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mel
formula
methylenedioxycinnama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522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유정
김현정
유재원
김용진
김도훈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6015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5272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AU2016287136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6287136B2/en
Priority to CN201680045184.0A priority patent/CN107920975B/zh
Priority to US15/739,000 priority patent/US20180177702A1/en
Priority to JP2017567203A priority patent/JP6770007B2/ja
Publication of WO201700309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03092A1/ko
Priority to US16/290,210 priority patent/US1079223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using mannosyl erythritol lipid as a stabilizer to enhance the formulation stability of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zy methylenedioxycinnamat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cosmetic.
  •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s various active ingredients in order to exert specific effects.
  • skin irritation is likely to occur due to external stimuli.
  • Seletinoid G Seletinoid G TM
  • kojyl methylenedioxycinnamate (trade name Seletinoid G, Seletinoid G TM ) is one of these substances, in particular, anti-aging, antioxidant Excellent effect on skin, whitening, etc.
  • the cosmyl methylenedioxycinnamate is difficult to dissolve in the composition due to the strong crystallinity, and even after dissolution, recrystallization or precipitation occurs within a short time to reduce the skin absorption rate or usability of the product. Because of these problems, despite having excellent efficacy, it is difficult to be used as an effective ingredien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methylene dioxycinnamate.
  • the solubility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capsule is determined by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polymers or the crystallinity of the polymer itself, and in most cases, crystals are formed independently in the polymer capsule, so that the release rate of the active ingredient is very slow. There was a disadvantage of poor efficiency.
  • the applicant selected various stabilizers and screened them to select the optimum stabilizers that can suppress the crystallization of the co-silethylene dioxycinnamate,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crystals occur after formul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crystal precipitation did not occur for a long time.
  •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osyl methylenedioxycinnamate and a stabilizer.
  • the present invention is a kojyl methylenedioxycinnamat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and
  • MELs mannosylerythritol lipids
  • the co-silethylene dioxycinnam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ained in 0.05 to 0.2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mannosylerythritol lipi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ained in 0.25 to 5.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co-methyl methylenedioxycinnamate and mannoserythritol lipi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more than 1: 2.5 to 1: 100.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ability of formulations containing cortical methylenedioxycinnamate, and solves the problem of precipitation of crystals in conventional formulations, thereby reducing the feeling of use due to foreign substances caused by the crystal precipitation, thereby improving product quality. It can increase.
  • Example 2 is an optical microscope (x500) and a polarizing microscope (x500) photograph with tim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 1.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cosmetic composition that can fundamentally block crystallization and crystallization occurring in th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active ingredient, cosyl methylenedioxycinnamate.
  • a kojil methylenedioxy cinnamate is IUPAC expression of Formula 1 2 - ((3 E) -4 (2 H, 3 H - benzo [3,4-d] -1,3- dioxolan-5-yl) -2-oxo-but-3-enyloxy) -5-hydroxy- 4H -pyran-4-one) (2-((3E) -4 ( 2H , 3H- benzo [3,4-d ] -1,3-dioxolan-5-yl) -2-oxo-but-3-enyloxy) -5-hydroxy-4 H -pyran-4-one) and on the market Seletinoid G TM Commercially available under the trade name).
  • the cortical methylenedioxycinnamate has various skin effects such as anti-aging, whitening, and antioxidant, and is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cosmetic compositions as various formulations.
  • these compounds are difficult to dissolve in the composition due to the strong crystallinity, and there is a problem of crystallization and precipitation thereof as time increases even after dissolution, causing a problem of greatly lowering the formulation stability and lowering the feeling of use.
  • MELs manosyl erythritol lipids
  • 'MEL' manosyl erythritol lipids
  • MEL is represented by Formula 2:
  • R 1 and R 2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n aliphatic acyl group of C2 to C24, and R 3 and R 4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n acetyl group or a hydrogen)
  • n may be 3 to 15.
  • MEL may be any one or more of MEL-A, MEL-B, MEL-C, or MEL-D defin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3.
  • R 5 and R 6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re an acetyl group or hydrogen, n or m is an integer from 6 to 10)
  • MEL-A is a compound when R 5 and R 6 are an acetyl group in Formula 3
  • MEL-B is a compound when R 5 is hydrogen
  • R 6 is an acetyl group
  • MEL-C is R 5 is an acetyl group
  • R 6 is a compound when hydrogen
  • MEL-D is a compound when both R 5 and R 6 are hydrogen.
  • the MEL is one of biosurfactants with surfactant activity.
  • Biosurfactant can be prepared from microorganisms, has high biodegradability and low toxicity, is harmless to human skin, and has excellent moisturizing ability to protect skin.
  • the minimum surface tension is 29 dyne / cm
  • micelle formation concentration (CMC) is 15 ⁇ M (10 mg / l) is a substance showing a surface activity equivalent to the conventional chemical synthetic surfactant used.
  • Preparation of the ME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produced by known.
  • Candida sp. Torulopsis sp., Pseudomonas sp., Bacillus sp., Alcaligenes sp., Acinetobacter sp. It can be obtained from a microorganism corresponding to any one or more of Ustilago sp. And Rhodococcus sp.
  • the MEL of formula (2) together with the coyl methylenedioxycinnamate of formula (1) as a stabilizer, it prevents the crystallization and crystallization caused by the low formulation stability of the cosil methylenedioxycinnamate.
  • This formulation stability shows the same result at low temperature,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 crystallization refers to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for which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MEL content, the ratio of the active ingredient and MEL content may be an important parameter related to the stability.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from 0.05 to 0.25% by weight, preferably 0.05 to 0.15% by weight of the cosyl methylenedioxycinnamate in the total weight. If the conte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the effective effect obtained by the use of the cozy methylenedioxycinnamate, that is, anti-aging, whitening, antioxidant effect. On the contrary, when the said range is exceeded, stability may fall and crystallization may arise.
  • MEL is used in 0.25 to 5.0% by weight, preferably 0.25 to 2.0% by weight i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crystallization may not be achieved because of stabilization of the cozy methylenedioxycinnamate. On the contrary, if the content exceeds the above rang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and thus it is uneconomical, in the above range. Use appropriately.
  • the weight ratio of coryl methylenedioxycinnamate and MEL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parameters in the prevention of crystallization, may be greater than 1: 2.5, preferably greater than 1: 2.5 to 1: 100, more preferably 1: 3 to 1 It is used in the weight ratio of: 20.
  • Experimental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crystallization occurred according to the content ratio, crystals appeared in the weight ratio of 1: 2.5 of cosil methylenedioxycinnamate and MEL, and crystallization did not occur in the above range. Was confirmed.
  • th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ethyl methylene dioxycinnamate and MEL has an anti-aging, whitening, antioxidant effect when applied to the skin, it can prevent skin aging by increasing the skin whitening and skin elasticity and inhibit the formation of wrinkles.
  • Cosmetic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be formulated containing a cosmetically or dermatologically acceptable medium or base.
  •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mponents conventional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sitions as active ingredients, and include, for example, oil-fat components, humectants, emollients, surfactants,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organic powders, and ultraviolet absorbers.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mmon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 Oils, powder foundations, emulsion foundations, wax foundations and spray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flexible lotion, nutrition lotion, nutrition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or powder.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 silicones bentonites
  • silicas talc or zinc oxide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ly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Propellant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a solvent, solubilizer or emulsifier is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glycerin, carbomer,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 Prop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glycerol aliphatic ester, caprylic capric triglyceride, hydrogenated polydecene, cetearyl glucoside, sorbitan stearate, polyethylene glycol, cetearyl alcohol, and the like.
  • a solvent, solubilizer or emulsifier is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glycerin, carbomer,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 Prop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gly
  • liquid carrier diluents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 suspending agents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s Castl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de,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arrier component is an aliphatic alcohol sulfate, an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a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an isethionate, an imidazolinium derivative, a methyltaurate, a sarcosinate, a fatty acid amide.
  •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be an emulsion, ie an emulsified formulation.
  • Emulsion is the formulation system most representatively used in the cosmetic industry, and refers to a system in which an oil phase and an aqueous phase are evenly dispersed using an emulsification technique.
  • emulsions can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continuous phase, water-in-oil, water-in-oil (O / W), water-in-oil-in-water (W / O / W) or Oil-in-water (O / W / O) type emulsions are possible, and the for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ter phase part uses a polyol together with water
  • the oil phase part uses an oil
  • various additives, stabilizers, surfactants, ultraviolet absorbers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may be added to each phase.
  • the water used for the aqueous phase is distilled water, preferably deionized distilled water is used, and the total weight% is used as the balance to satisfy 100% by weight.
  • the polyol used in the water phase is used for moisturizing and has a refractive index in the range of 1.3 to 1.5.
  •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ntanediol, isoprene glycol and combinations thereof is used.
  • the content of the polyol can be used in 0.1 to 20.0% by weight in the total composition.
  • the oil used in the oil pha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oil can be used as long as it is commonly used in this field.
  • hydrocarbon-based oils including polydecene and paraffin oils; Ester synthetic oils including cetylethylhexanoate, glyceryl trioctanoate, octyldodecyl myristate, isopropyl palmitate, isopropyl myristate, octyl palmitate; Silicone oils including cyclomethicone, dimethicone; Animal oils; Vegetable oils including mango butter, shea butter, copoa seed seed butter, macadamia seed oil; Ethoxylated alkyl ester oils; cholesterol; Cholesteryl sulfate; Phytosphingosine; Sphingoidoid lipid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10 to C40 fatty alcohols such as batyl alcohol, behenyl alcohol, cetostearyl alcohol, cetyl
  • any one or more of the water phase and the oil phase may further include a thickener.
  • a thickener typically, sodium acrylate copolymers, carbomers, crosslinked or uncrosslinked acrylic acid polymers, in particular polyacrylic acids crosslinked with a multifunctional functional group, such as the trade name "CARBOPOL” product sold by GOODRICH, cellulose derivatives such as methylcellulose, hydroxymethyl Cellulose, hydroxy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salt of carboxymethyl cellulose, cetylstearyl alcohol, a mixture of oxyethylenated cetylstearyl alcohol containing 33 moles of ethylene oxide, guar gum, Xanthan gum and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bination thereof are possible.
  • the content of the thickener can be used in 0.01 to 10.0% by weight in the total composition.
  • any one or more of the water phase and oil phases may further comprise a surfactant.
  • additives such as water-soluble / soluble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humectants, preservatives, pH adjusters, fatty acids, emulsifiers, antioxidants, sunscreens, pigments, dyes, flavorings, stabilizers, etc., as required, are known, if necessary. In this case, the type and content thereof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Emulsion formulations are prepared in various forms by preparing an aqueous phase with water in a continuous phase, an oil phase with an oil in a continuous phase, and then altering their mixing order. Specifically, the water phase part is heated to 50 to 90 ° C., preferably 60 to 80 ° C., and the oil phase part is heated to 50 to 80 ° C., preferably 65 to 75 ° C. so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sufficiently dissolved in oil. To perform.
  • the stirring is performed for 3 to 10 minutes at a speed of 2000 to 4000 rpm, preferably 3000 rpm using a homo mixer in a vacuum emulsification tank.
  • Cosil methylenedioxycinnamate and M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to any one of the water phase or the oil phase, or after the final emulsion is prepared,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water phase and the oil phase It was added after the mixing step.
  • the cosmetic composition thus prepared was able to maximize the function of the effective cosmyl methylenedioxycinnamate and ensure the effect of improving formulation stabilization and increasing the feeling as crystallization does not occur after formulation.
  •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4 Comparative Example 5 Award 1. Purified water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2. Glycerin 8 8 8 8 8 3. Butylene Glycol 4 4 4 4 4. Carbomer 0.1 0.1 0.1 0.1 0.1 0.1 The upper part 5. Caprylic Capric Triglycerides 8 8 8 8 8. Hydrogenated polydecene 5 5 5 5 5 5. Cetearyl Glucoside 1.5 1.5 1.5 1.5 1.5 8. Sorbitan Stearate 0.4 0.4 0.4 0.4 0.4 0.4 0.4 0.4 0.4 9. Cetearyl Alcohol One One One One One One One One One One One One One One One 10. Preservative Quantity Quantity Quantity Quantity 11.
  • Stabilizer MEL One 0 0 0 0 0 0 Ethyl alcohol 0 0 One 0 0 0 Polysorbate 20 0 0 0 One 0 0 Diethoxyethyl succinate 0 0 0 0 One 0 Glyceryl / Polyglyceryl-6 Isostearate / Behenate Ester 0 0 0 0 0 0 One
  • the emulsion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observed immediately after preparation, at 3 weeks and 10 weeks, using an optical microscope (x500) and a polarization microscope (x50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crystals were generated, based on the following results. It is shown in Table 2 below.
  •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5 clearly observed crystals from Week 3 and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showed fine crystals at Week 3, but crystals were observed clearly at Week 10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t stable.
  • 1 and 2 are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crystal occurrence and crystal size of each composition corresponding to 3 weeks, 10 weeks immediately after manufacture using the optical microscope (x500) and polarizing microscope (x500).
  • the emulsion composition was prepared by proceeding to the same formulation as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and a precipitation test was performed. At this time, 100% by weight was adjusted by changing the content of purified water.
  • MEL should be added at least 0.25% by weight in the total cosmetic composition to inhibit the crystallization of cortical methylenedioxycinnamate. It can be seen that.
  • the content of MEL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content of coryl methylenedioxycinnamate is 0.1% by weight, an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on the content ratio of MEL and coryl methylenedioxycinnamate in a subsequent experiment.
  • Example 1 did not crystallize even at low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including room temperature, which remained high even after 10 weeks, showing high formulation stability.
  • Comparative Example 1 was crystallized even at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non-use of MEL, this phenomenon is more severe at low temperature it can be seen that the phenomenon of precipitation at low temperature is accel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노화, 미백, 항산화 등 다양한 피부 효능이 있는 유효 성분인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가 제형 내에서 결정화를 일으키는 것을 막기 위해 글리코리피드의 일종인 만노실에리쓰리톨 지질을 안정화제로서 사용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고농도로 유효 성분을 함유하더라도 다양한 제형에서 결정 석출이 일어나지 않아 상기 유효 성분의 기능성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피부 전달력을 높이고, 사용감을 개선한다.

Description

높은 제형 안정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화장료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하는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안정화제로 만노실에리쓰리톨 지질을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조성물은 특정 효능을 발휘하기 위해 다양한 유효성분들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므로, 외부 자극으로 인해 피부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피부 손상을 막고 각종 효능을 부여하기 위한 많은 물질들이 공지되어 있으며,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kojyl methylenedioxycinnamate, 상품명 셀레티노이드 G, Seletinoid GTM)는 이러한 물질들 중 하나로서 특히 항노화, 항산화, 미백 등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는 결정성이 강하여 조성물 내 용해가 어렵고, 용해된 후에도 빠른 시간 내 재결정화 또는 석출이 일어나 제품의 피부 흡수율이나 사용감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는 우수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기 어려웠다.
이러한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의 난용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 여러 가지 시도가 있었다.
이를테면 결정성 물질을 용해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인 고분자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을 이용한 방법,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와 함께 결정성이 강한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물질을 극성 오일에 녹여 용해도를 높이려는 시도(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62895)가 있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고분자 간의 상용성 또는 고분자 자체의 결정도에 따라 캡슐 내부에서의 유효성분의 용해도가 결정되고, 대부분의 경우 고분자 캡슐 내에 독립적으로 결정이 형성되어 유효성분의 방출 속도가 매우 느려지므로 이의 제공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후자의 경우는 번거롭고 비경제적이며 현저한 용해도 개선효과가 없어 상용화에 있어서 여전히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의 결정성을 저하시키고 조성물 내에서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62895호, "페닐 링을 가지는 2종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다양한 안정화제를 선정하고 이를 스크리닝하여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의 결정화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최적의 안정화제를 선정하였으며, 제형화 이후 결정 발생 여부를 확인한 결과 장기간 동안 결정 석출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Kojyl methylenedioxycinnamate), 및
안정화제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만노실에리쓰리톨 지질(Mannosylerythritol lipids, MEL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5220-appb-I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16005220-appb-I0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4는 명세서 내 설명한 바를 따른다.)
이때 상기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0.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노실에리쓰리톨 지질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와 만노실에리쓰리톨 지질은 1:2.5 초과 내지 1:10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하는 제형의 안정성을 높여, 종래 제형 내 결정이 석출되는 문제를 해소하여 상기 결정 석출에 따른 이물감에 의한 사용감 저하가 발생하지 않아 제품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높아진 제형 안정성으로 인해 항노화, 항산화, 미백 효과를 갖는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를 고농도로 화장료 조성물 내에 함유할 수 있어, 그 기능을 극대화하여 피부 미백 및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고 주름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광학현미경(x500)과 편광현미경(x500)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광학현미경(x500)과 편광현미경(x500)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효 성분인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발생하는 결정화 및 결정 석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새로운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Kojyl methylenedioxycinnamate)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5220-appb-I000003
상기 화학식 1의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는 IUPAC 식으로 2-((3E)-4(2H,3H-벤조[3,4-d]-1,3-디옥솔란-5-일)-2-옥소-부트-3-에닐옥시)-5-하이드록시-4H-피란-4-온) (2-((3E)-4(2H,3H-benzo[3,4-d]-1,3-dioxolan-5-yl)-2-oxo-but-3-enyloxy)-5-hydroxy-4H-pyran-4-one)로 명명되며, 시장에는 셀레티노이드 G(Seletinoid GTM)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된다.
상기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는 항노화, 미백, 항산화 등 다양한 피부 효능이 있으며, 다양한 제형으로서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은 결정성이 강해 조성물 내 용해가 어렵고, 용해 이후에도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결정화 및 이의 석출 문제가 있어, 제형 안정화가 크게 저하되고 사용감을 낮추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합물의 결정화를 방지하기 위한 안정화제로서 당에 지방산이 결합된 글리코리피드의 일종인 만노실에리쓰리톨 지질(manosyl erythritol lipids, MELs, 이하 'MEL'이라 한다)을 사용한다.
MEL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6005220-appb-I0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독립적으로 C2 내지 C24의 지방족 아실기이고, R3 및 R4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독립적으로 아세틸기 또는 수소이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독립적으로 C6 내지 C18의 지방족 아실기일 수 있으며, 이때 지방족 아실기는 -C(=O)-(CH2)n-CH3로 표시되며, 이때 n은 3 내지 15일 수 있다.
MEL은 하기 화학식 3으로 정의되는 MEL-A, MEL-B, MEL-C, 또는 MEL-D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16005220-appb-I000005
(상기 화학식 3에서,
R5 및 R6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아세틸기 또는 수소이고, n 또는 m은 6 내지 10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기로, MEL-A은 상기 화학식 3에서, R5 및 R6가 아세틸기인 경우의 화합물이고, MEL-B는 R5가 수소이고, R6가 아세틸기인 경우의 화합물이고, MEL-C는 R5가 아세틸기이고, R6가 수소인 경우의 화합물이고, MEL-D는 R5 및 R6 모두 수소인 경우의 화합물이다.
상기 MEL은 계면활성을 갖는 바이오 계면활성제(biosurfactants) 중 하나이다.
바이오 계면활성제는 미생물로부터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생분해성이 높고 저독성이며, 인체 피부에 무해해고 뛰어난 보습능을 가져 피부 보호 효과를 갖는다. 또한, 최소 표면장력은 29 dyne/cm, 미셀 형성 농도(CMC)는 15μM(10 ㎎/l)로 기존에 사용되는 화학 합성 계면활성제에 준하는 정도의 표면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이다.
상기 MEL의 제조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에 의해 생산이 가능하다. 일례로, 캔디다속(Candida sp.), 톨루롭시스속(Torulopsis sp.), 슈도모나스속(Pseudomonas sp.), 바실러스속(Bacillus sp.), 알칼리지너스속(Alcaligenes sp.), 아시네토박터속(Acinetobacter sp.), 우스틸라고속(Ustilago sp.), 로도코커스속(Rhodococcus sp.)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미생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 1의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와 함께 화학식 2의 MEL을 안정화제로 함께 사용함으로써, 상기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의 낮은 제형 안정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결정화 및 결정 석출을 막는다. 이러한 제형 안정성은 저온, 실온 및 고온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인다.
제형 안정성을 위해 종래 알려진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에멀젼화제, 분산제 등 다양한 후보군의 물질이 가능하나 유효 성분의 화학 구조를 고려하여야 하며, 이때 모든 안정화제에서 동일한 효과를 확보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험예 1을 통해,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와 함께 MEL, 에틸알코올, 폴리소르베이트20, 디에톡시에틸석시네이트, 및 글리세릴/폴리글리세릴-6 이소스테아레이트/베헤네이트에스터 각각을 사용하여 제형을 제조하였고, 이의 결정화 경향을 확인한 결과 시간이 지날수록 MEL을 포함하는 조성물에서만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고, 다른 조성의 사용에서 결정화가 심각하게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예 2를 통해 온도에 대한 결정화 경향을 확인한 결과, MEL을 첨가한 경우 저온, 실온 및 고온 모두에서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보였으며, MEL을 미첨가한 경우 결정화가 심각하게 발생하였고 이는 저온에서 더욱 가속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정화를 통해 제형 내에서 결정이 형성되면 유효 성분의 피부 전달이 용이하지 않아 효능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사용시에 이물감이 느껴져 품질 하락의 요소가 되므로, 이의 방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결국 본 발명에서 MEL의 사용을 통해 해소할 수 있었다.
더불어, MEL에 의해 제형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유효 성분인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를 0.25 중량%까지 고농도로 함유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결정화는 제형의 안정성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 유효 성분의 함량, MEL의 함량, 유효 성분과 MEL의 함량비가 상기 안정성과 관련된 중요한 파라미터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내에서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를 0.05 내지 0.25 중량%, 바람직하기로 0.05 내지 0.15 중량%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의 사용에 따라 얻어지는 유효 효과, 즉 항노화, 미백, 항산화 효과를 확보할 수 없다.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안정성이 저하되어 결정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MEL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내에서 0.2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 0.25 내지 2.0 중량%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의 안정화를 이룰 수 없어 결정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효과상의 큰 차이가 없어 비경제적이므로, 상기 범위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특히, 결정화 방지에서 중요한 파라미터 중 하나인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와 MEL의 중량비는 1:2.5 초과면 가능하고, 바람직하기로 1:2.5 초과 내지 1: 100, 더욱 바람직하기로 1:3 내지 1:20의 중량비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험예 2에 따르면, 함량비에 따른 결정화 발생 여부를 확인한 결과,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와 MEL이 1:2.5의 중량비 이하에서는 결정이 나타났고, 그 이상의 범위에서 결정화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와 MEL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시 항노화, 미백, 항산화 효과를 가져, 피부 미백 및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고 주름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상기 조성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유지 성분, 보습제, 연화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기포제거제, 점증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카보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폴리데센,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세테아릴 알코올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탁액, 즉 에멀젼화된 제형일 수 있다.
에멀젼은 화장품 산업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제형 시스템으로서, 오일상과 수상을 유화기술을 이용하여 고르게 분산시킨 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에멀젼은 연속상의 조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며, 유중수(W/O, water-in-oil), 수중유(O/W), 유중수중유중수(W/O/W) 또는 유중수중유(O/W/O) 유형의 에멀젼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그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때 수상부는 물과 함께 폴리올을 사용하고, 유상부는 오일을 사용하며, 전술한 바의 각종 첨가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각 상에 첨가할 수 있다.
수상부에 사용하는 물은 증류수이고, 바람직하게는 탈이온화된 증류수를 사용하며, 전체 중량%를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잔부로서 사용한다.
수상부에 사용하는 폴리올은 보습을 위해 사용하며, 굴절율이 1.3 내지 1.5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말티톨글리세린,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펜탄디올, 이소프렌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한다.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내에서 0.1∼20.0 중량%로 사용 가능하다.
유상부에 사용하는 오일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폴리데센 및 파라핀 오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합성 오일; 시클로 메치콘, 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 동물성 오일; 망고 버터, 쉐어버터, 코포아수씨드버터, 마카다미아씨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스테르계오일;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설페이트; 파이토스핑고신; 스핑고노이드 지질; 바틸 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등의 C10∼C40 지방알코올,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세라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수상부 및 유상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은 점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소듐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카보머, 가교 또는 비가교 아크릴산 중합체, 특히 다가 작용기제로 가교된 폴리아크릴산, 예컨대 GOODRICH 社에서 시판하는 상표명 "CARBOPOL" 제품,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컨대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나트륨염, 세틸스테아릴 알코올, 산화에틸렌 33몰을 함유하는 옥시에틸렌화된 세틸스테아릴 알코올의 혼합물, 구아검, 잔탄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내에서 0.01∼10.0 중량%로 사용 가능하다.
추가로 수상부 및 유상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은 계면활성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소르비탄 팔미테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톨 헥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등의 천연유의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계 화합물, 또는 폴록사머 168(Poloxamer 168), 폴록사머 407(Poloxamer 407) 등의 폴리옥시프로필렌의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계 화합물, 소듐스테아레이트, 포타슘스테아레이트, 소듐 라우레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PEG-100 디메치콘,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수소화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 세테아릴알코올,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80 및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60 등이 가능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중량% 이하로 사용한다.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수용성/유용성 생리 활성 성분, 보습제, 방부제, pH 조절제, 지방산, 유화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안료, 염료, 향료, 안정화제, 등의 첨가제를 더욱 첨가할 수 있으며, 이때 그 종류 및 함량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에멀젼 제형은 물을 연속상으로 하는 수상부를 제조하고, 오일을 연속상으로 하는 유상부를 제조한 후, 이들의 혼합 순서를 변경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수상부는 50∼90℃, 바람직하게는 60∼80℃로 가열하여 수행하고, 유상부는 50∼80℃, 바람직하게는 65∼75℃로 가열하여 오일에 다른 성분이 충분히 용해될 수 있도록 수행한다.
이때 교반은 진공 유화조 내에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2000∼4000rpm, 바람직하게는 3000rpm의 속도로 3∼10분 동안 교반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와 MEL은 상기 수상부 또는 유상부 중 어느 하나의 상에 첨가하거나, 최종 에멀젼을 제조한 후 첨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상부와 유상부의 혼합 단계 이후에 첨가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유효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의 기능을 극대화하고 제형화 이후에 결정화가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제형 안정화를 향상시키고 사용감을 높이는 효과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실험예 1: 안정화제 종류에 따른 석출 시험
(1) 스킨케어 에멀젼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서 제시하는 조성을 이용하여 스킨케어용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먼저, 원료 1 내지 4를 혼합하여 70℃에서 용해하여 수상부를 제조한 다음, 원료 5 내지 11을 70℃에서 용해하여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유상부를 수상부에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교반하여 1차 유화한 뒤 원료 12를 첨가하여 점증시켰다. 최종적으로 기포를 제거하고 원료 13 및 14를 첨가한 뒤 실온으로 냉각시켜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MEL로는 SurfMellow BBG (manufactured by Toyobo Co., Ltd.)을 사용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수상부 1. 정제수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2. 글리세린 8 8 8 8 8 8
3. 부틸렌글리콜 4 4 4 4 4 4
4. 카보머 0.1 0.1 0.1 0.1 0.1 0.1
유상부 5.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드 8 8 8 8 8 8
6.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폴리데센 5 5 5 5 5 5
7.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5 1.5 1.5 1.5 1.5
8.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0.4 0.4 0.4 0.4 0.4
9. 세테아릴 알코올 1 1 1 1 1 1
1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1.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2.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0.1 0.1 0.1
13.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 0.1 0.1 0.1 0.1 0.1 0.1
14. 안정화제 MEL 1 0 0 0 0 0
에틸알코올 0 0 1 0 0 0
폴리소르베이트20 0 0 0 1 0 0
디에톡시에틸석시네이트 0 0 0 0 1 0
글리세릴/폴리글리세릴-6이소스테아레이트/베헤네이트에스터 0 0 0 0 0 1
(2) 석출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 직후, 3주, 및 10주차에 광학 현미경(x500) 및 편광 현미경(x500)을 이용하여 결정 발생 여부를 하기에 의거하여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판단 기준>
X: 결정 관찰 안됨
▲: 미세한 사이즈의 결정 관찰
○: 결정 관찰
◎: 큰 사이즈의 결정 관찰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제조 직후 X X X X X X
3주 X
10주 X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MEL이 함유된 실시예 1을 제외한 모든 조건에서 3주만에 결정 석출 현상이 발생하였다.
특히, 비교예 1과 비교예 3, 및 비교예 5의 조성물은 3주차부터 확연하게 결정이 관찰되고 비교예 3과 비교예 4는 3주차에는 미세하게 결정이 보였지만 10주차에는 확연하게 결정이 관찰되어 안정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광학 현미경 및 편광 현미경의 관찰에 의해 확인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는 광학현미경(x500)과 편광현미경(x500)을 이용하여 제조 후 제조 직후, 3주, 10주차에 해당하는 각 조성물의 결정 발생 여부 및 결정의 크기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1을 보면, MEL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1의 조성물은 제조 직후에는 결정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3주 후부터 결정이 관찰되었고, 10주 후에는 결정의 크기가 매우 커짐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2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의 경우 MEL을 사용함으로써 10주 후에도 결정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한 상태를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MEL의 함량에 따른 석출 시험
안정화제로서 사용하는 MEL의 최적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동일한 처방으로 진행하여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고 석출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100 중량%는 정제수의 함량을 변화시켜 조절하였다.
구분 No. 1 No. 2 No. 3 No. 4 No. 5 No. 6 No. 7
조성(중량%)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 0.1 0.1 0.1 0.1 0.1 0.1 0.1
MEL 0 0.25 0.5 0.75 1 1.25 1.5
석출 시험  제조 직후 X X X X X X X
3주 X X X X X X
10주 X X X X X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MEL이 0.25 중량% 이상 첨가되어야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의 결정화를 억제할 수 있었으며, 특히 MEL이 0.5 중량% 이상 첨가되어야만 10주 이후에도 제형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MEL의 함량은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의 함량을 0.1 중량% 인 경우에 해당하며, 이후 실험에서 MEL과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의 함량비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3: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와 MEL의 함량비에 따른 석출 시험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와 MEL의 함량비에 따른 결정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동일한 처방으로 진행하여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고 석출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100 중량%는 정제수의 함량을 변화시켜 조절하였다.
 구분 No. 8 No. 9 No. 10 No. 11 No. 12 No. 13
조성 (중량%)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 0.1 0.05 0.1 0.15 0.2 0.25
MEL 0 0.5 0.5 0.5 0.5 0.5
함량비  - 1:10  1:5  1:3.3   1:2.5 1:2 
석출 시험  제조 직후 X X X X X X
3주 X X X X X X
10주 X X X X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MEL이 첨가되면 3주까지는 결정화가 진행되지 않았으며, 10주 이후에서는 12번 및 13번 시험에서 결정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 대비 MEL을 최소 2.5배를 초과하여 첨가하여야만 결정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와 MEL의 온도에 따른 석출 시험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와 MEL의 온도별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에멀젼 조성물을 이용하여 온도 및 시간에 따른 결정화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분 실온 4도 30도 45도
비교예 1 3주
10주
실시예 1 3주 X X X X
10주 X X X X
상기 표 5를 보면,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실온을 비롯하여 저온 및 고온에서도 결정화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는 10주 이후에도 그대로 유지하여 높은 제형 안정성을 보였다.
이와 비교하여, 비교예 1의 조성물은 MEL의 미사용에 따라 실온에서도 결정화가 발생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저온에서 더욱 심각하게 일어나 저온에서의 석출 현상이 가속화됨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유효 성분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Kojyl methylenedioxycinnamate), 및
    안정화제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만노실에리쓰리톨 지질(Mannosylerythritol lipids, MEL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5220-appb-I000006
    [화학식 2]
    Figure PCTKR2016005220-appb-I000007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독립적으로 C2 내지 C24의 지방족 아실기이고,
    R3 및 R4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독립적으로 아세틸기 또는 수소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독립적으로 -C(=O)-(CH2)n-CH3로 표시되는 지방족 아실기(3≤n≤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노실에리쓰리톨 지질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CTKR2016005220-appb-I000008
    (상기 화학식 3에서,
    R5 및 R6 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아세틸기 또는 수소이고, n 또는 m은 6 내지 10의 정수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0.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노실에리쓰리톨 지질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와 만노실에리쓰리톨 지질은 1:2.5 초과 내지 1:10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16/005220 2015-06-30 2016-05-18 높은 제형 안정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003092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6287136A AU2016287136B2 (en) 2015-06-30 2016-05-18 Cosmetic composition having high dosage form stability
CN201680045184.0A CN107920975B (zh) 2015-06-30 2016-05-18 具有高度剂型稳定性的化妆品组成物
US15/739,000 US20180177702A1 (en) 2015-06-30 2016-05-18 Cosmetic composition having high dosage form stability
JP2017567203A JP6770007B2 (ja) 2015-06-30 2016-05-18 高い剤形安定性を有する化粧料組成物
US16/290,210 US10792238B2 (en) 2015-06-30 2019-03-01 Cosmetic composition having high dosage form st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713 2015-06-30
KR20150092713 2015-06-30
KR1020160060155A KR102552729B1 (ko) 2015-06-30 2016-05-17 높은 제형 안정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60155 2016-05-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739,000 A-371-Of-International US20180177702A1 (en) 2015-06-30 2016-05-18 Cosmetic composition having high dosage form stability
US16/290,210 Continuation US10792238B2 (en) 2015-06-30 2019-03-01 Cosmetic composition having high dosage form st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3092A1 true WO2017003092A1 (ko) 2017-01-05

Family

ID=5760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5220 WO2017003092A1 (ko) 2015-06-30 2016-05-18 높은 제형 안정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0030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6278A (zh) * 2017-10-23 2017-12-22 合肥卡迪尔化妆品有限公司 肌肽雪颜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6299A1 (en) * 2002-06-22 2003-12-25 Roh Ho Sik Hydroxy pyranone derivativ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080072743A (ko) * 2005-11-25 2008-08-06 토요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화장료 및 피부 거칠음 개선제
JP2009167159A (ja) * 2007-12-21 2009-07-30 Toyobo Co Ltd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JP2009201478A (ja) * 2008-02-29 2009-09-10 Idemitsu Kosan Co Ltd マンノシルエリスリトールリピッドの回収方法
US20100278784A1 (en) * 2007-05-15 2010-11-04 Puretech Ventur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KR20120091016A (ko) * 2009-09-29 2012-08-17 다이또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화장료용 안료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 화장료용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KR20150062895A (ko) * 2013-11-29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페닐링을 가지는 2종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6299A1 (en) * 2002-06-22 2003-12-25 Roh Ho Sik Hydroxy pyranone derivativ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080072743A (ko) * 2005-11-25 2008-08-06 토요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화장료 및 피부 거칠음 개선제
US20100278784A1 (en) * 2007-05-15 2010-11-04 Puretech Ventur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JP2009167159A (ja) * 2007-12-21 2009-07-30 Toyobo Co Ltd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JP2009201478A (ja) * 2008-02-29 2009-09-10 Idemitsu Kosan Co Ltd マンノシルエリスリトールリピッドの回収方法
KR20120091016A (ko) * 2009-09-29 2012-08-17 다이또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화장료용 안료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 화장료용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KR20150062895A (ko) * 2013-11-29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페닐링을 가지는 2종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M, MI - SUN ET AL.: "The Effects of a Novel Synthetic Retinoid, Seletinoid G, on the Expression of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in Aged Human Skin in Vivo", CLINICA CHIMICA ACTA, vol. 362, no. 1-2, December 2005 (2005-12-01), pages 161 - 169, XP027648678 *
YOON, MOUNG - SEOK ET AL.: "Multilamellar Liquid Crystals for the Stabilization of Retinoids", JOURNAL OF KOREAN PHARMACEUTICAL SCIENCES, vol. 29, no. 4, 1999, pages 279 - 285, XP05534283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6278A (zh) * 2017-10-23 2017-12-22 合肥卡迪尔化妆品有限公司 肌肽雪颜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44003A1 (ko)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0544702C (zh) 脂质组合物及含有该脂质组合物的护肤制剂
WO2019143206A1 (ko)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159519A1 (ko)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다중 에멀전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WO2014129779A1 (ko) 약산성 피부 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EP0763354B1 (en) Oil/water mixture composition
US20070172436A1 (en) Nonaqueous ascorbic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WO2020022634A1 (ko) 마스크팩용 액정 유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마스크팩
KR101867847B1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103453A2 (ko) 칼라민 고함량 내상 안정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WO2019050239A1 (ko) 병풀 추출물의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21112398A1 (ko)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1054773A1 (ko) 활성 성분 안정화 및 피부 흡수 촉진을 위한 다중 에멀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JP2009242397A (ja) イミド過カルボン酸誘導体およびn−アシル化アミノ酸エステルを含有する化粧用組成物
WO2024075908A1 (ko)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105840A1 (ko)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3537A (ko)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2067900A1 (en) Multi-lamellar emulsion(mle) for stabilizing dermatologically useful ingredients and external base preparations for general skin diseases utilizing the same
WO2017003092A1 (ko) 높은 제형 안정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092903A1 (ko) 알칸디올, 및 카프릴릴글리세릴에터 또는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52729B1 (ko) 높은 제형 안정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EP3738576A1 (en) Gel-state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WO2019045515A1 (ko) 고함량 오일 내상을 안정화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2000229810A (ja) アセチレンジオール含有局所的使用組成物、並びに皮膚、粘膜、及び毛髪よりメークアップをクレンジング又は除去するためのその使用
WO2019194560A1 (ko)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181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39000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6720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287136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60518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181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