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75908A1 -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75908A1
WO2024075908A1 PCT/KR2023/000139 KR2023000139W WO2024075908A1 WO 2024075908 A1 WO2024075908 A1 WO 2024075908A1 KR 2023000139 W KR2023000139 W KR 2023000139W WO 2024075908 A1 WO2024075908 A1 WO 202407590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dicarboxylate
ethoxydiglycolcyclohexane
bis
lysoleci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013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은혜
이지영
전효원
박진하
고은아
김나연
김현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템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템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템제약
Publication of WO202407590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75908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absorption and formulation stability of effective ingredients.
  • the skin is composed of the stratum corneum, epidermis, and dermis, and is responsible for protecting against stimulation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 the skin is the organ with the largest surface area in the human body, and when used in an appropriate manner, it can effectively deliver useful ingredients such as drugs.
  • the stratum corneum which is the outermost layer of the skin, the skin's permeability to external substances is extremely low, making it difficult to transmit substances.
  • research has been attempted on skin penetration methods to overcome the skin barrier's defense mechanism against external substances, but it is difficult to deliver drug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external substances without physically damaging or irritating the skin. It is considered almost impossible.
  • the permeability and formulation stability of the effective ingredients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ickener constituting the cosmetic composition and the type of transdermal penetration accelerator or type of solubilizer or combination of transdermal permeation accelerators, and the optimal combination of these was identified to determine efficacy.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product consisting of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and glycerol-25PCA isostearate.
  •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absorption of effective ingredients and formulation stability which contains at least three ingredients from the group.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and glycerol-25 for the production of cosmetics for improving skin absorption of effective ingredients and formulation stability. It provides the use of at least three ingredi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CA isostearat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and Glycereth-25PCAIsource to improve skin absorption of effective ingredients and formulation stability.
  • the purpose is to provide the use of at least three ingredi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earat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and Glycereth-25PCAIsource to improve skin absorption of effective ingredients and formulation stability. It provides at least three ingredi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arat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t least three compoun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and glycerol-25PCA isostearat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skin absorption of an effective ingredient and enhancing formulation stability,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ingredient or/and the effective ingredient to the skin of an individual.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t least three compoun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and glycerol-25PCA isostearat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duct containing at least three ingredient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and glycerol-25PCA isostearate. ,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absorption of effective ingredients and formulation stability.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hancing absorption of effective ingredients and improving formulation st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xture of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and glycerol-25PCA isostearate.
  • a cosmetic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absorption of effective ingredients and formulation stability which contains at least three ingredient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bis-ethoxydiglycol 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and glycereth-25PCA isostearate are transdermal penetration enhancers to promote skin absorption of the effective ingredients. It plays a role in promoting
  • the effective ingredient may contain 1.5 to 10% (w/w) based on 100% (w/w)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nd includes Niacinamide, Allantoin, Bakuchiol, and Panthenol.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nthenol), Resveratrol, Ectoine, alpha-bisabolol, Glabridin, Rucinol, and Tocopherol. , bu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and citron seed oil, which contribute to enhancing skin absorption as transdermal penetration enhancers. It serves to enhance skin absorption of one or more effective ingredi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acinamide, allantoin, and bakuchiol.
  • the cosmetic composition that enhances skin absorption of niacinamide, allantoin or bakuchiol contains 0.3 to 2.0% (w/w) of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which functions as a transdermal penetration enhancer, Contains lysolecithin 0.01-0.15% (w/w) and citron seed oil 0.5-7.0% (w/w).
  • the cosmetic composition that improves skin absorption of niacinamide, allantoin or bakuchiol is more specifically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0.4-0.6% (w/w), lysolecithin 0.05 Contains ⁇ 0.10% (w/w) and 1.0-5.0% (w/w) citron seed oil.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contain diutan gum as a thickener, and when only diutan gum is used as a thickener instead of ammonium polyacryloyldimethyltaurate, transdermal permeability increases, but a phase separation phenomenon occurs.
  • diutan gum and ammonium polyacryloyldimethyl taurate are used together as a thickener, phase separation can be suppressed and formulation stability can be improved.
  • ammonium polyacryloyldimethyl taurate improves formulation stability but somewhat lowers transdermal permeability, so in addition to bis-ethoxydiglycol cyclohexane 1,4-dicarboxylate and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should be used together. When used,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ransdermal permeability of the effective ingredients (niacinamide, allantoin, bakuchiol).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and glycereth-25PC, which contribute to enhancing skin absorption as transdermal penetration enhancers.
  • the cosmetic composition that enhances skin absorption of niacinamide, panthenol, or resveratrol includes 0.3-2.0% (w/w) of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which functions as a transdermal penetration enhancer, and Lysol. Contains 0.01-1.0% (w/w) of lecithin and 0.1-2.0% (w/w) of glycerol-25PCA isostearate.
  • the cosmetic composition that improves skin absorption of niacinamide, panthenol or resveratrol is more specifically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0.4-0.6% (w/w), lysolecithin 0.015- Contains 0.5% (w/w) and 0.3 to 1.5% (w/w) of glycerol-25PCA isostearate.
  •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iacinamide, panthenol, or resveratrol as an effective ingredient may include glycereth-25PCA isostearate as a solubilizer.
  • glycereth-25PCA isostearate is used as an ingredient in the solubilization part (solubilization burn) instead of the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the transdermal permeability is increased. Therefore, Glycereth-25PCA Isostearate can be used as a transdermal penetration enhancer instead of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 the cosmetic composition that enhances skin absorption of niacinamide, ectoin, or resveratrol contains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0.3 ⁇ , which functions as a transdermal penetration enhancer. It contains 2.0% (w/w), lysolecithin 0.01 ⁇ 1.0% (w/w), and glycereth-25PCA isostearate 0.1 ⁇ 2.0% (w/w).
  • the cosmetic composition that improves skin absorption of niacinamide, ectoin or resveratrol is more specifically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0.4-2.0% (w/w), lysolecithin 0.015 Contains ⁇ 0.5% (w/w) and 0.3 ⁇ 1.5% (w/w) of glycerol-25PCA isostearate.
  •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iacinamide, panthenol, or resveratrol as an effective ingredient may use diutan gum, xanthan gum, carbomer, or xanthan gum and carbomer as a thickener.
  • diutan gum when xanthan gum or carbomer is used as a thickener, transdermal permeability is excellent and transparency of the formulation can be improved.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is-ethoxydiglycol 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and It contains Glycereth-25PCA Isostearate, and serves to enhance skin absorption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acinamide, alpha-bisabolol, glabridin, and ectoin as an effective ingredient.
  • the cosmetic composition that improves skin absorption of niacinamide, alpha-bisabolol or glabridin contains 0.3 to 2.0% (0.3 to 2.0%) of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which functions as a transdermal penetration enhancer.
  • w/w w/w
  • lysolecithin 0.01 ⁇ 1.0%(w/w)
  • citron seed oil 0.5 ⁇ 5.0%(w/w)
  • the cosmetic composition that improves skin absorption of niacinamide, alpha-bisabolol or glabridin is more specifically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0.4 to 1.2% (w/w) ), lysolecithin 0.015-0.5% (w/w), citron seed oil 1.0-3.0% (w/w), and glycerol-25PCA isostearate 0.3-1.5% (w/w).
  • the cosmetic composition that enhances the skin absorption of niacinamide, alpha-bisabolol or glabridin does not cause phase separation when carbomer, xanthan gum and acrylate/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are used together as thickeners. It also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ransdermal permeability.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its formulation, but can be used on the skin, mucous membranes, scalp or hair, and include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It can be formulated as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and spray.
  • basic cosmetics such as flexible lotion, nourishing lotion, lotion, cream, pack, gel, patch, oil-in-water (O/W) type, water-in-oil (O/W) type, solubilizer, lipstick, makeup base or It can be formulated as color cosmetics such as foundation, shampoos, rinses, body cleansers, cleansers such as toothpaste or mouthwash, hair tonics, hair straighteners such as gels or mousses, and hair cosmetic compositions such as hair tonics or hair dyes.
  • color cosmetics such as foundation, shampoos, rinses, body cleansers, cleansers such as toothpaste or mouthwash, hair tonics, hair straighteners such as gels or mousses, and hair cosmetic compositions such as hair tonics or hair dyes.
  • appropriate ingredients can be selected and mixed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of the cosmetic.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ppropriate additives as needed.
  • it may further include ingredients such as preservatives, colorants, and additives common in the ar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and glycerin for the production of cosmetics for improving skin absorption of effective ingredients and formulation st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and glycerol-25 to improve skin absorption of effective ingredients and formulation st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and glycerol-25 to improve skin absorption of effective ingredients and formulation st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and glycereth-25PCA isostearate.
  • a method for improving skin absorption of effective ingredients and enhancing formulation stability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ree or more ingredients or/and an effective ingredient to the skin of an individua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and glycereth-25PCA isostearate.
  • a method for improving skin absorption of an effective ingredient and enhancing formulation stability comprising the step of applying three or more ingredients or/and an effective ingredient to the skin of an individual.
  • the subject to which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ree or more ingredients or/and efficacy ingredi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includes mammals, including humans, without limitation, and may be, for example, cows, pigs, horses, rabbits, rats, and humans.
  • the method for improving skin absorption and formulation stability of the effe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lysolecithin, citron seed oil, and glycerol-25PCA isostearate. It includes administering at least three ingredi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m to the skin of an individual.
  • the term "application” means contacting the three or more ingredients or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three or more ingredients and the effective ingredient to the skin of an individual by any appropriate method, through which the three or more ingredients are applied. It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ll actions aimed at absorbing the ingredients or the cosmetic composition and efficacy ingredients into the desired skin tissue.
  • the emulsion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s shown in Table 1.
  • Table 1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queous phase were added to the dissolution tank, heated (70-75°C) and stirred with Agi to form the aqueous phase.
  •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oil phase were added to a separate dissolution tank, heated (70-75°C), and Agi stirred to form the oil phase.
  • the oil phase was added to the water phase and emulsified with Homo at 5,000 rpm for 3 minutes to create an emulsion (emulsion composition) and cooled to room temperature.
  • Niacinamide, allantoin, and bakuchiol were mixed with the emulsion composition as a thickener and effective ingredients (useful ingredients) and stirred to prepare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useful ingredients.
  • EMULFREE® CBG MB used as an oil phase ingredient, is a gelling agent composed of stearyl alcohol, butylene glycol cocoate, and ethyl cellulose. It is a Bi-Gel system that collects oil relatively unstable and has high spreadability, but phase separation. Since the stability is not high, the selection of a thickener is very important.
  • Comparative Examples 1 to 3 emulsion compositions were prepared by varying only the thickener. Comparative Example 1 used diutane gum as a thickener, Comparative Example 2 used ammonium polyacryloyldimethyl taurate, and Comparative Example 3 used polyurethane-15.
  • Emulsion compositions 1 to 3 were prepared for comparison by applying the raw materials as a thickener.
  • composition of the prepared emulsion composition was described on a 100% (w/w) basis.
  • Skin absorption rate was evaluated as follows.
  • the cosmetic composition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ere applied to the skin, and 8 hours later, the cumulative transdermal absorption (ppm) of the active ingredient to be analyzed was analyzed by HPLC. At this time, the cumulative transdermal absorption (ppm) was evaluated using a Franz diffusion cell (effective area: 1.76625 cm2, volume of the compartment: 16 ml), and through this, skin absorption/permeability was evaluated. evaluated.
  • the prepared epidermal layer (2 cm
  • the phase was filled into a Franz diffusion cell and maintained at 32.5 ⁇ 0.5 °C.
  • the rotation speed (rpm) of the stirrer was maintained at 600 ⁇ 10 so that the transmitted test substances were evenly mixed.
  • 200 ⁇ g of the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as uniformly applied to the donor site.
  • 50% ethanol was used as the aqueous phase.
  • 400 ⁇ l of the aqueous phase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HPLC, and the collected amount was supplemented with a new 50% ethanol solution.
  • Comparative Examples 1 to 3 differed only in the thickener. Comparative Example 1 used diutane gum as a thickener, Comparative Example 2 used ammonium polyacryloyldimethyl taurate, and Comparative Example 3 used polyurethane-15.
  • compositions of the emulsion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4 to 6 and Examples 1 to 3 are shown in Table 3, and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mulsion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 Phase separation stability and transdermal permeability were analyzed using the emulsion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4 to 6 and the emulsion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3 prepared above.
  • Ammonium polyacryloyldimethyl taurate a thickener used in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decreased the transdermal permeability of the effective ingredient in the composition, but was included at 0.1% to stabilize phase separation of the formulation.
  • An emulsion composition was prepared using 0.10% of the thickener (ammonium polyacryloyldimethyl taurate) and 2.0% or 1.0% of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a transdermal penetration accelerator.
  • the thickening force was weakened and phase separation occurred.
  • the emulsion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6 and Examples 1 to 3 were prepared by lowering the ammonium polyacryloyldimethyl taurate to 0.1% and the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to 0.5%.
  • the formulation properties of the emulsion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6 and Examples 1 to 3 were stabilized.
  • a permeation-blocking polymer (ammonium polyacryloyldimethyl taurate), which was confirmed to have an effect of inhibiting transdermal permeation, was added, and a permeation accelerator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 was added. Because the content of rate) was lowered, the transdermal permeability of useful ingredients was lowered in Comparative Example 6.
  • citron seed oil was added as an additional oil ingredient in Examples 1 to 3. Yuzu seed oil is known to contain more than 60% of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and especially contains more than 30% of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each.
  • Examples 1 to 3 are emulsion compositions obtained by adding 1%, 2%, and 5% of citron seed oil to Comparative Example 6, respectively.
  • transdermal permeability of useful ingredients niacinamide, allantoin, bakuchiol
  • the improvement rate of transdermal permeability of useful ingredients such as bakuchiol increased up to 386% in Example 3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6. It has been done.
  • compositions of the emulsion compositions of Examples 4 and 5 are shown in Table 5, and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mulsion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3.
  • Example 3 the citron seed oil had a strong raw material odor, so the content was lowered to 2.0%, and the content of lysolecithin, which can also increase the permeability of water-soluble components, was increased from 0.02% to 0.05% to prepare the emulsion composition of Example 4. Manufactured. As a result, the transdermal permeability of bakuchiol was somewhat lowered, but the transdermal permeability of water-soluble ingredients such as niacinamide and allantoin increased.
  • Example 5 the emulsion composition of Example 5 was prepared by increasing lysolecithin to 0.1%. No additional improvement in transdermal permeability was observed in Example 5, but higher transdermal permeability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6 and Examples 2 and 3.
  •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7 and Examples 6 to 8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s shown in Table 1.
  • Table 1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queous phase were added to the dissolution tank, heated (70-75°C) and stirred with Agi to form the aqueous phase.
  • solubilization part 1 was added to a separate dissolution tank and stirred with Agi at room temperature to form soluble image 1.
  •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olubilization part 2 were added to another dissolution tank and stirred with Agi at room temperature to form solubilization image 2. formed.
  • Solubilization part 1 (solubilization part 1) and solubilization part 2 (solubilization part 2) were added to the water phase to create a solubilization composition and cooled to room temperature.
  •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H adjuster were mixed in a separate dissolution tank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to form a pH adjuster.
  • Niacinamide, panthenol, and resveratrol were mixed with the solubilized composition as a thickener and effective ingredients (useful ingredients) and stirred to prepare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useful ingredients.
  • solubilized composition When developing the solubilized composition, a formulation was developed using only diutan gum, which was confirmed to have high transdermal permeability.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variation of solubilizers that can stabilize resveratrol, which does not dissolve well in water, and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and Glycereth-25PCA isostearate were selected as the optimal solubilizers for resveratrol.
  • Example 7 the solubilized compositions of Examples 7 and 8 were prepared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glycerol-25PCA isostearate to 0.8% and 1.1%, and the transdermal permeation test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ermeability of niacinamide and panthenol was confirmed in Example 7, where glycereth-25PCA isostearate was increased to 0.8% compared to 0.5%.
  • composition of the solubilized composition of Examples 9 to 12 is shown in Table 9, and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olubilized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7 and Examples 6 to 8, but only the effective ingredients were different.
  • diutan gum which had a low effect on interfering with transdermal penetration of effective ingredients in previous experiments, it is not transparent and has a turbid appearance in aqueous solution. Accordingly, in order to manufacture a transparent liquid composition, it was necessary to examine other thickeners.
  • carbomer and xanthan gum were used as thickeners. Carbomer was neutralized with tromethamine before application.
  • Transdermal permeability of effective ingredients in the solubilized compositions of Examples 9, 10, and 11 prepared by applying the same amount (0.1%) of three thickeners: diutan gum, xanthan gum, and carbomer.
  • diutan gum a thickener for a wide range of thickeners
  • xanthan gum and carbomer a thickener for a wide range of effective ingredients
  • Example 9 a thickener for a thickeners suitable for transparent cosmetic compositions.
  • compositions of the emulsion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8 to 10 and Examples 13 and 14 are shown in Table 11, and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Comparative Examples 1 to 3, but only the effective ingredients were different.
  • Example 9 In Comparative Example 9, in which 0.2% ammonium polyacryloyldimethyl taurate was applied as a thickener in addition to carbomer and xanthan gum, there was no phase separation, but the transdermal permeability of the effective ingredi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case of Example 13, in which 0.2% of acrylate/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was applied in addition to carbomer and xanthan gum, good transdermal permeability of the effective ingredients was shown.
  • Example 14 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ransdermal permeability in Example 13, the emulsion composition of Example 14, prepar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from 0.5% to 1%, showed stable properties. It was maintained, and transdermal permeability was further improved. However, the emulsion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0, which was the same as Example 14 but in which the amount of bis-ethoxydiglycolcyclohexane 1,4-dicarboxylate was increased to 2%, exhibited a phase separation phenomenon. Therefore, the emulsion composition of Example 14 had the best transdermal permeability and formulation stability of niacinamide, alpha-bisabolol, and glabrid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효능 성분의 피수 흡수를 증진시키고 제형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을 증진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각질층, 표피층, 진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피부는 인간 신체에서 표면적이 가장 큰 기관으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효과적으로 약물 등의 유용 성분을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피부의 제일 바깥쪽에 구성되어 있는 각질층 때문에 외부물질의 피부 투과도는 극단적으로 낮아 물질의 전달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피부로의 외부물질 전달 시 피부 장벽의 외부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을 극복하고자 피부 투과 방법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었으나, 물리적으로 피부를 손상 또는 자극하지 않고 외부물질의 특성을 통해 약물을 전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현재 화장품 시장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경피투과 촉진 기술을 요구하고 있으며, 경피 투과를 촉진하는 특정 성분을 배합하거나 리포좀 조성물과 같은 방식의 제형기술을 활용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점증제 종류 그리고 경피 투과 촉진제 종류 또는 가용화제 종류 또는 경피투과 촉진제의 조합에 따라 효능 성분의 투과도 그리고 제형 안정도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들의 최적 조합을 규명하여 효능 성분의 피부 투과/흡수도를 높이고 제형 안정성을 증진할 수 있는 최적의 조성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경피 투과 촉진제인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와 리솔레시틴 적용에도 안정한 성상을 유지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 상기 두가지 촉진제 외 추가의 경피투과 촉진제를 적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이 함유하는 유효(효능) 성분의 경피 투과도를 최적화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및 리솔레시틴 적용에도 안정하게 유지되는 화장료 조성물 개발을 위하여 최적의 점증제 조합과 피부 투과 촉진 성분으로서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또는 유자씨 오일을 추가 적용하여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이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품 제조를 위한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성분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을 위한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성분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을 위한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성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및 효능 성분을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성분 또는/및 효능 성분을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효능 성분의 피수 흡수를 증진시키고 제형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에 대한 다른 설명 및 실시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에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문구 또는 문장에서 특별히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는 경피 투과 촉진제로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효능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100%(w/w) 기준으로 1.5~10%(w/w) 포함할 수 있으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알란토인(Allantoin) 및 바쿠치올(Bakuchiol), 판테놀(panthenol) 및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엑토인(Ectoine), 알파-비사보롤(alpha-bisabolol), 글라브리딘(Glabridin), 루시놀(Rucinol) 및 토코페롤(Tocopher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태양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경피 투과 촉진제로 피부 흡수 증진에 기여하는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및 유자씨 오일을 포함하며, 효능 성분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 알란토인 및 바쿠치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알란토인 또는 바쿠치올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은 경피 투과 촉진제로 기능하는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0.3~2.0%(w/w), 리솔레시틴 0.01~0.15%(w/w) 및 유자씨 오일 0.5~7.0%(w/w)을 포함한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알란토인 또는 바쿠치올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0.4~0.6%(w/w), 리솔레시틴 0.05~0.10%(w/w) 및 유자씨 오일 1.0~5.0%(w/w)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점증제로 디우탄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대신 디우탄검만을 점증제로 사용하는 경우 경피 투과도는 증가되나, 상분리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디우탄검과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를 점증제로 함께 사용하는 경우 상분리를 억제하고 제형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다만,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는 제형 안정성은 증진시키나 경피 투과도를 다소 낮추므로,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와 리솔레시틴 이외에 유자씨 오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효능 성분(나이아신아마이드, 알란토인, 바쿠치올)의 경피 투과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태양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경피 투과 촉진제로 피부 흡수 증진에 기여하는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며, 효능 성분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 판테놀, 레스베라트롤, 엑토인, 글라브리딘, 알파비사보롤, 루시놀, 및 바쿠치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판테놀 또는 레스베라트롤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은 경피 투과 촉진제로 기능하는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0.3~2.0%(w/w), 리솔레시틴 0.01~1.0%(w/w)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1~2.0%(w/w)을 포함한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판테놀 또는 레스베라트롤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0.4~0.6%(w/w), 리솔레시틴 0.015~0.5%(w/w)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3~1.5%(w/w)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판테놀 또는 레스베라트롤을 효능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가용화제로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대신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를 가용화부(가용화상)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 경피 투과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는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을 대체하여 경피 투과 촉진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태양에서,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엑토인 또는 레스베라트롤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은 경피 투과 촉진제로 기능하는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0.3~2.0%(w/w), 리솔레시틴 0.01~1.0%(w/w)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1~2.0%(w/w)을 포함한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엑토인 또는 레스베라트롤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0.4~2.0%(w/w), 리솔레시틴 0.015~0.5%(w/w)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3~1.5%(w/w)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판테놀 또는 레스베라트롤을 효능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점증제로 디우탄검, 잔탄검, 카보머 또는 잔탄검과 카보머를 점증제로 사용할 수 있다. 디우탄검에 비해 잔탄검 또는 카보머를 점증제로 사용하는 경우 경피 투과도도 우수하고 제형의 투명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태양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경피 투과 촉진제로 피부 흡수 증진에 기여하는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며, 효능 성분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글라브리딘 및 엑토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또는 글라브리딘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은 경피 투과 촉진제로 기능하는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0.3~2.0%(w/w), 리솔레시틴 0.01~1.0%(w/w), 유자씨 오일 0.5~5.0%(w/w),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1~2.0%(w/w)을 포함한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또는 글라브리딘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0.4~1.2%(w/w), 리솔레시틴 0.015~0.5%(w/w), 유자씨 오일 1.0~3.0%(w/w),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3~1.5%(w/w)를 포함한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또는 글라브리딘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점증제인 카보머와 잔탄검을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와 함께 사용시 상분리가 일어났다(비교예 8). 점증제로 카보머 및 잔탄검 외,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를 적용한 비교예 9의 경우, 상분리는 없었으나, 효능 성분의 경피 투과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카보머 및 잔탄검 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적용한 실시예 13과 14에서 상분리도 없으며, 효능 성분의 양호한 경피 투과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또는 글라브리딘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점증제로 카보머, 잔탄검 그리고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함께 사용시 상분리도 없으면서 경피 투과도도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피부, 점막, 두피 또는 모발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크림, 팩, 젤, 패치, 수중유(O/W)형, 유중수(O/W)형, 가용화제 등의 기초 화장료, 립스틱, 메이크업베이스 또는 파운데이션 등의 색조 화장료, 샴푸, 린스, 바디클렌저, 치약 또는 구강 청정제 등의 세정료, 헤어토닉, 젤 또는 무스 등의 정발제, 양모제 또는 염모제 등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성분들을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부제, 색소, 첨가제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품 제조를 위한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성분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을 위한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성분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을 위한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성분을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및 효능 성분을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성분 또는/및 효능 성분을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화장료 조성물", "효능 성분", "피부 흡수", "제형 안정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3가지 이상의 성분 또는/및 효능 성분을 도포하는 개체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하나, 그 예로 소, 돼지, 말, 토끼, 쥐, 인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 방법은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성분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체의 피부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도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의 피부에 상기 3가지 이상의 성분 또는 상기 3가지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효능 성분을 접촉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상기 3가지 이상의 성분 또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과 효능 성분을 목적하는 피부 조직에 흡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험예 1. 효능 성분(나이아신아마이드, 알란토인, 바쿠치올)을 이용한 유화 조성물 제조
1-1. 비교예 1~3의 유화 조성물 제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비교예 1~3의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에서 수상부를 구성하는 성분을 용해조에 투입하고, 가열(70~75℃) 및 Agi 교반하여 수상부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별도의 용해조에 유상부를 구성하는 성분들을 투입하고 가열(70~75℃) 및 Agi 교반하여 유상부를 형성하였다. 상기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여 Homo 5,000 rpm, 3분 유화하여 에멀젼(유화 조성물)을 만들고 상온으로 냉각했다. 상기 유화 조성물에 점증제와 효능 성분(유용 성분)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 알란토인, 바쿠치올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유용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 성분으로 사용한 EMULFREE® CBG MB는 스테아릴알코올, 부틸렌글라이콜코코에이트, 및 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겔링화제로, Bi-Gel(이중젤) 시스템으로 오일을 비교적 불안정하게 포집하여 퍼짐성은 높으나, 상분리에 대한 안정성이 높지 않아, 점증제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 비교예 1 내지 3은 점증제만을 달리하여 유화 조성물을 제조한 것이다. 비교예 1은 점증제로 디우탄검, 비교예 2는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비교예 3은 폴리우레탄-15를 사용하였다.
기존에 본 발명자들이 비교 실험을 통해 개발한 EGF 앰플 제형에서 EGF의 투과성이 양호함을 확인하였던 디우탄검과, 유화력을 가지고 있어 유화물 안정화에 유리한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과 폴리우레탄-15 원료를 점증제로 적용하여 비교에 1 내지 3의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유화 조성물의 조성은 100%(w/w) 기준으로 기재하였다.
Figure PCTKR2023000139-appb-img-000001
1-2. 비교예 1~3의 경피투과도 분석
1) 경피투과 시험
피부 흡수율 평가는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다음 8 시간이 지난 후 분석하고자 하는 활성성분의 경피 누적 흡수량(ppm)을 HPLC로 분석하였다. 이때, 경피 누적 흡수량(ppm)은 프란츠 디퓨젼 셀(Franz diffusion cell, 유효면적: 1.76625 ㎠, 수용칸의 부피: 16 ml)을 사용하여 경피 누적 흡수율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피부 흡수도/투과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준비된 인체 피부의 표피층(2 cm x 2 cm)을 수용칸(receptor chamber) 위에 각질층(stratum corneum)이 위로 위치되도록 준비하고, 공여칸(donor chamber)을 덮어 클램프로 고정시킨 다음, 수용상을 프란츠 디퓨젼셀에 채우고 32.5 ± 0.5 ℃로 유지시켰다. 투과된 시험물질이 골고루 혼합되도록 교반기(stirrer)의 회전속도(rpm)는 600 ± 10으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200 ㎍을 일정하게 공여부위에 도포하였다. 이때, 수용상으로는 50%의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을 공여부위에 도포하고 4 시간, 8 시간이 경과한 후, 수용상 400 ㎕를 채취하여 HPLC로 분석하였으며, 채취한 양만큼 새로운 50% 에탄올 용액으로 보충하였다.
상기 피부로는 바이오헤드 사에서 구매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피부는 약 -20 ℃에서 보관하였으며, 사용 전에 상온에 20 분간 해동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2) 경피 투과도 분석 결과
상기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 8시간이 경과 후 경피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상기 비교예 1 내지 3은 점증제만을 달리한 것이다. 비교예 1은 점증제로 디우탄검, 비교예 2는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비교예 3은 폴리우레탄-15를 사용한 것이다.
각각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나이아신아마이드, 알란토인, 바쿠치올의 경피 투과도를 8시간 투과 결과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우탄검을 점증제로 사용한 비교예 1의 경피투과도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비교예 2와 비교예 3의 경피투과도는 현저히 낮았다. 디우탄검과 달리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와 폴리우레탄-15는 경피 투과도를 낮추었으며, 특히 폴리우레탄-15는 경피 투과도를 현저하게 저하시켰으므로 유화 조성물 제조시 제외할 필요가 있었다.
다만, 비교예 1의 경우, 유용 성분(나이아신아마이드, 알란토인, 바쿠치올)의 경피 투과도는 우수하였으나 장기 안정성 측면에서 오일상(유상)이 상부로 뜨는 상분리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 때문에, 상분리를 안정화할 수 있는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를 적량 사용하면서, 투과도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유화 조성물 개발 실험이 진행되었다.
Figure PCTKR2023000139-appb-img-000002
실험예 2. 효능 성분(나이아신아마이드, 알란토인, 바쿠치올)을 이용한 유화 조성물 제조
2-1. 비교예 4~6과 실시예 1~3의 유화 조성물 제조
제조된 비교예 4~6과 실시예 1~3의 유화 조성물의 조성은 표 3과 같으며, 상기 비교예 1~3의 유화 조성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CTKR2023000139-appb-img-000003
2-2. 비교예 4~6과 실시예 1~3의 제형분석(경피 투과도와 상분리 안정성)
상기 제조된 비교예 4~6의 유화 조성물과 실시예 1 내지 3의 유화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분리 안정성과 경피 투과도를 분석하였다.
비교예 2와 3에서 사용한 점증제인,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는 조성물 내 효능 성분의 경피 투과도를 저하하였으나, 제형의 상분리 안정화를 위하여 0.1%를 포함시켰다.
상기 점증제(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는) 0.10%와 경피투과 촉진제인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2.0% 또는 1.0%를 사용하여 유화 조성물을 제조한 비교예 4와 비교예 5에서 점증력이 약화되어 상분리가 나타났다.
이에,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0.1%와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를 0.5%로 낮추어 비교예 6과 실시예 1 내지 3의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비교예 6과 실시예 1 내지 3의 유화 조성물의 제형 성상이 안정화되었다. 다만, 비교예 2에서 경피 투과 억제 효과가 확인된 투과 방해 고분자(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가 추가되고, 투과 촉진제(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의 함량을 낮추었기 때문에 비교예 6에서 유용 성분들의 경피 투과도가 낮아졌다.
따라서, 효능 성분의 경피 투과도를 높이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3에 추가적으로 유상 성분으로 유자씨 오일을 추가하였다. 유자씨 오일은 올레익산, 리놀레익산, 리놀레닉산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을 60% 이상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올레익산과 리놀레익산을 각각 30% 이상 함유한다. 실시예 1~3 각각은 비교예 6에서 유자씨 오일을 각각 1%, 2%, 5% 추가 적용한 유화 조성물이다. 유자씨 오일의 추가에 의해 유용 성분(나이아신아마이드, 알란토인, 바쿠치올)의 경피 투과도가 개선되었고, 특히 바쿠치올과 같은 유용 성분의 경피 투과도 개선율이 비교예 6 대비 실시예 3에서 최대 386%까지 증가되었다.
Figure PCTKR2023000139-appb-img-000004
실험예 3. 효능 성분(나이아신아마이드, 알란토인, 바쿠치올)을 이용한 유화 조성물 제조
3-1. 실시예 4~5의 유화 조성물 제조
실시예 4~5의 유화 조성물의 조성은 표 5와 같으며, 상기 비교예 1~3의 유화 조성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CTKR2023000139-appb-img-000005
3-2. 실시예 4~5의 제형분석(경피 투과도와 상분리 안정성)
실시예 3에서 유자씨 오일 특유의 원료취가 강하여 함량을 2.0% 로 낮추었고, 수용성 성분의 투과율도 함께 높일 수 있는 있는 리솔레시틴의 함량을 0.02%에서 0.05% 로 높여 실시예 4의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바쿠치올의 경피 투과도는 다소 낮아졌으나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알란토인과 같은 수용성 효능 성분의 경피 투과도가 증가되었다.
이에 리솔레시틴을 0.1%까지 높여 실시예 5의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에서 추가적인 경피 투과도 개선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비교예 6 및 실시예 2와 3의 조성물에 비해서는 높은 경피 투과도를 나타냈다.
Figure PCTKR2023000139-appb-img-000006
실험예 4. 효능 성분(나이아신아마이드, 판테놀, 레스베라트롤)을 이용한 가용화 조성물 제조
4-1. 비교예 7과 실시예 6~8의 가용화 조성물 제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비교예 7, 실시예 6~8의 가용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에서 수상부를 구성하는 성분을 용해조에 투입하고, 가열(70~75℃) 및 Agi 교반하여 수상부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별도의 용해조에 가용화부 1를 구성하는 성분들을 투입하고 상온에서 Agi 교반하여 가용화상 1을 형성하고 또 다른 용해조에 가용화부 2를 구성하는 성분들을 투입하고 상온에서 Agi 교반하여 가용화상 2를 형성하였다. 상기 수상부에 가용화부 1(가용화상 1)과 가용화부 2(가용화상 2)를 투입하여 가용화 조성물을 만들고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또한 별도의 용해조에 pH 조절부를 구성하는 성분을 혼합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pH 조절제를 형성하였다.
상기 가용화 조성물에 점증제와 효능 성분(유용 성분)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 판테놀, 레스베라트롤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유용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KR2023000139-appb-img-000007
4-2. 비교예 7과 실시예 6~8의 경피 투과도 분석
가용화 조성물 개발 시, 높은 경피 투과도가 확인된 디우탄검만을 사용하여 제형을 개발하였다. 물에 잘 녹지 않는 레스베라트롤을 안정화할 수 있는 가용화제 변형(Variation) 실험이 선행되었으며,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가 레스베라트롤 최적 가용화제로 선택되었다.
두 가지 가용화제가 각각 적용된 가용화 조성물의 경피 투과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예 7과 실시예 6의 가용화 조성물 내의 효능 성분의 경피투과 시험이 수행되었다. 그 결과,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5%가 적용된 비교예 7 대비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5%가 적용된 실시예 6의 경피투과 촉진 효과가 현저하게 높았다.
다음으로,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의 함량을 0.8%, 1.1%로 높여서 실시예 7과 8의 가용화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동일하게 경피 투과 시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5% 대비 0.8%로 증가시킨 실시예 7에서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판테놀의 투과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8% 적용한 실시예 7과 1.1% 적용한 실시예 8은 비슷한 수준의 효능 성분 투과도를 나타냈다.
Figure PCTKR2023000139-appb-img-000008
실험예 5. 효능 성분(나이아신아마이드, 엑토인, 레스베라트롤)을 이용한 가용화 조성물 제조
5-1. 실시예 9~12의 가용화 조성물 제조
실시예 9~12의 가용화 조성물의 조성은 표 9와 같으며, 상기 비교예 7, 실시예 6~8의 가용화 조성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효능 성분만 상이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PCTKR2023000139-appb-img-000009
5-2. 실시예 9~12의 경피 투과도 분석
이전 실험에서 효능 성분의 경피 투과 방해 영향이 낮았던 디우탄검의 경우, 수용액상에서 투명하지 않고 탁도를 지니는 성상을 가지고 있다. 이에 투명 액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른 점증제 검토가 필요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증제로 카보머와 잔탄검을 활용하였다. 카보머는 트로메타민으로 중화하여 적용하였다.
디우탄검, 잔탄검, 카보머 3가지 점증제를 동량(0.1%)으로 각각 적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9, 10, 11의 가용화 조성물에서 효능 성분(나이아신아마이드, 엑토인, 레스베라트롤)의 경피 투과도에 차이가 있었으나, 디우탄검 대비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또한 잔탄검과 카보머를 혼합 적용한 실시예 12와 디우탄검을 단독 적용한 실시예 9의 효능 성분의 경피 투과도가 유사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 9~12의 제형분석결과를 통해, 잔탄검과 카보머는 효능 성분의 경피 투과를 방해하지 않으므로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에 적합한 점증제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PCTKR2023000139-appb-img-000010
실험예 6. 효능 성분(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글라브리딘)을 이용한 유화 조성물 제조
6-1. 비교예 8~10 및 실시예 13, 14의 유화 조성물 제조
비교예 8~10 및 실시예 13, 14의 유화 조성물의 조성은 표 11과 같으며, 상기 비교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효능 성분만 상이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PCTKR2023000139-appb-img-000011
6-2. 비교예 8~10 및 실시예 13, 14의 제형 분석(경피 투과도와 상분리 안정성)
TEGO® Care 450(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과 SENSANOV™ WR(C20-22알킬포스페이트/C20-22알코올)를 유화제로 하는 비교예 8~10 및 실시예 13, 14의 O/W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의 유화 조성물에서 카보머는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로 인해 점증력이 크게 상실되어 상분리가 일어났다. 잔탄검은 끈적임이 강하고 늘어나는 성상을 나타내므로 높은 함량을 사용하기 어렵고, 디우탄검은 특유의 미끌거리는 사용감이 강하다.
본 유화 조성물은 트러블성 지성피부 케어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산뜻한 흡수력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소량의 카보머 및 잔탄검 외에 끈적이지 않으면서, 유화물의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유화력이 있는 점증제 적용이 필요했다. 이에, 카보머 및 잔탄검 외에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를 점증제로 적용한 비교예 9,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점증제로 적용한 실시예 13, 14 그리고 비교예 10을 제조하였다.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적용한 처방에는 트로메타민을 중화제로서 추가 투입하여 0.24% 사용하였다.
점증제로 카보머 및 잔탄검 외,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를 0.2% 적용한 비교예 9의 경우, 상분리는 없었으나, 효능 성분의 경피 투과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카보머 및 잔탄검 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0.2% 적용한 실시예 13의 경우, 효능 성분의 양호한 경피 투과도를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13에서 경피 투과도를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를 0.5%에서 1%로 증량하여 제조된 실시예 14의 유화 조성물은 안정한 성상을 유지하였으며, 경피 투과도가 보다 증진되었다. 그러나, 실시예 14와 동일하면서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를 2%로 증량한 비교예 10의 유화 조성물은 상분리 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글라브리딘의 경피 투과도와 제형 안정성은 실시예 14의 유화 조성물이 가장 우수하였다.
Figure PCTKR2023000139-appb-img-000012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능 성분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알란토인(Allantoin) 및 바쿠치올(Bakuchiol), 판테놀(panthenol) 및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엑토인(Ectoine), 알파-비사보롤(alpha-bisabolol), 글라브리딘(Glabridin), 루시놀(Rucinol) 및 토코페롤(Tocopher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및 유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것인,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0.3~2.0%(w/w), 리솔레시틴 0.01~0.15%(w/w) 및 유자씨 오일 0.5~7.0%(w/w)을 포함하는 것인, 효능 성분의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효능 성분은 나이아신아마이드, 알란토인 및 바쿠치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점증제로 디우탄검과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0.3~2.0%(w/w), 리솔레시틴 0.01~1.0%(w/w)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1~2.0%(w/w)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효능 성분은 나이아신아마이드, 판테놀, 레스베라트롤, 엑토인, 글라브리딘, 알파비사보롤, 루시놀 및 바쿠치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가용화부를 구성하는 성분으로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점증제로 디우탄검, 잔탄검, 카보머 또는 잔탄검과 카보머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리솔레시틴, 유자씨 오일,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스-에톡시다이글라이콜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레이트 0.3~2.0%(w/w), 리솔레시틴 0.01~1.0%(w/w), 유자씨 오일 0.5~5.0%(w/w), 및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1~2.0%(w/w)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효능 성분은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글라브리딘 및 엑토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점증제로 카보머, 잔탄검 그리고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파우더, 파운데이션, 팩, 패치, 마스크 시트, 젤, 연고, 오일, 스프레이 및 앰플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PCT/KR2023/000139 2022-10-05 2023-01-04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WO202407590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895A KR102479141B1 (ko) 2022-10-05 2022-10-05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126895 2022-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5908A1 true WO2024075908A1 (ko) 2024-04-11

Family

ID=84539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0139 WO2024075908A1 (ko) 2022-10-05 2023-01-04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9141B1 (ko)
WO (1) WO2024075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141B1 (ko) * 2022-10-05 2022-12-20 주식회사 셀템제약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15990118A (zh) * 2022-12-29 2023-04-21 广州梵之容化妆品有限公司 一种高透皮促渗水溶性光甘草定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754A (ko) * 2011-06-28 2014-04-0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아스타크산틴 함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화장료
KR101727027B1 (ko) * 2016-08-09 2017-04-17 주식회사 코스온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8451875A (zh) * 2018-05-18 2018-08-28 广东盛美化妆品有限公司 一种含云木香根提取物的乳液及其制备方法
CN111603406A (zh) * 2020-03-29 2020-09-01 韩后化妆品股份有限公司 含渗透促进剂的化妆品组合物、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2368053B1 (ko) * 2021-09-28 2022-03-02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살균 소독 효능을 보유하는 에탄올 프리형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9141B1 (ko) * 2022-10-05 2022-12-20 주식회사 셀템제약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965B1 (ko) 1998-12-31 2006-09-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비타민류의 경피 흡수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754A (ko) * 2011-06-28 2014-04-0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아스타크산틴 함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화장료
KR101727027B1 (ko) * 2016-08-09 2017-04-17 주식회사 코스온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8451875A (zh) * 2018-05-18 2018-08-28 广东盛美化妆品有限公司 一种含云木香根提取物的乳液及其制备方法
CN111603406A (zh) * 2020-03-29 2020-09-01 韩后化妆品股份有限公司 含渗透促进剂的化妆品组合物、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2368053B1 (ko) * 2021-09-28 2022-03-02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살균 소독 효능을 보유하는 에탄올 프리형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9141B1 (ko) * 2022-10-05 2022-12-20 주식회사 셀템제약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141B1 (ko)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4075908A1 (ko)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ES2892958T3 (es) Administración tópica de composiciones cutáneas que tienen un PH bajo
US7727537B2 (en) Stabilized compositions for topical administration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0358270B1 (ko) 향장학적조성물
KR890002021B1 (ko) 보습 로숀
WO2018044003A1 (ko)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0016683A9 (ko)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조성물
DK1853303T3 (en) STABILIZED COMPOSITIONS FOR TOPIC ADMINISTRATION AND PROCEDURES FOR PREPARING IT
SK43994A3 (en) Low ph aqueous cosmetic gel containing non-ionic polyacrylamide derivatives
WO2010016686A2 (ko)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
WO2017188623A1 (ko) 항노화용 조성물
US20090215893A1 (en) Parakeratosis inhibitor, pore-shrinking agent,or rough skin preventing/ameliorating agent, and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WO2021112398A1 (ko)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JPH05310549A (ja) 皮膚外用剤
WO2019050239A1 (ko) 병풀 추출물의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4204090A1 (ko) 필러와 보틀리눔 독소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노화 개선 또는 신경근육 관련 질환 치료용 조성물
US8343519B2 (en) Chemical enhancer and method
WO2011040720A2 (ko) 제형 안정성을 개선시킨 o/w 형 화장료 조성물
EP0302147A1 (en) Topical tanning compositions
CZ293665B6 (cs) Prostředek pro místní podání
FR2728165A1 (fr) Utilisation d'un antagoniste de substance p pour le traitement des rougeurs cutanees d'origine neurogene
JP2001064206A (ja) 経皮吸収促進組成物
CA1160954A (en) Cosmetic moisturizer formulation
EP2910254A1 (en) Base and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JP4049414B2 (ja) 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749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