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027B1 -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027B1
KR101727027B1 KR1020160101481A KR20160101481A KR101727027B1 KR 101727027 B1 KR101727027 B1 KR 101727027B1 KR 1020160101481 A KR1020160101481 A KR 1020160101481A KR 20160101481 A KR20160101481 A KR 20160101481A KR 101727027 B1 KR101727027 B1 KR 10172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smetic composition
copolymer
bis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주
이화영
이찬기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온
Priority to KR102016010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027B1/ko
Priority to PCT/KR2017/008361 priority patent/WO2018030706A1/ko
Priority to US16/324,522 priority patent/US10835459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2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hydroxy group, e.g. dimethico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8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cheeks, e.g. rou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오일겔상에 파우더상을 함유함으로써, 부드러운 사용감, 우수한 밀착력 및 지속력을 가지며, 크리즈의 발생이 개선된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오일겔상의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입체 디자인으로 성형할 수 있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Powder make-up cosmetic composition of the three-dimensional molding type}
본 발명은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오일겔상에 파우더상을 함유함으로써, 부드러운 사용감, 우수한 밀착력 및 지속력을 가지며, 크리즈의 발생이 개선된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오일겔상의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입체 디자인으로 성형할 수 있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된 원료에 따라 파우더에 오일바인더를 혼합한 파우더 타입, 파우더만을 압축한 압축 파우더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고, 제조 및 성형 방법에 따라서는 파우더를 유수상 에멀전 또는 수상에 혼합하여 반죽한 것을 성형 및 건조하는 소성 타입, 파우더 반죽에 용매를 혼합하여 슬러지화하고 성형용기에 주입하여 건조하는 인젝션 타입, 파우더에 엘라스토머 겔 또는 왁스 바인더를 고함량으로 혼합한 후 성형하는 젤리 타입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중 파우더 타입은 파우더의 응집성을 높이고 외부 충격에 대해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오일바인더를 함유하나, 가루날림이 심하며 피부 부착성과 지속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혼합할 수 있는 펄의 함량이 낮아 펄의 광택감 표현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파우더 타입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안료의 표면을 개질하여 피부 밀착력과 가루날림을 개선하는 연구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고함량의 펄을 함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도 연구되었다.
고함량의 펄을 함유하는 방법으로 소성 타입과 인젝션 타입이 있다. 소성 타입과 인젝션 타입은 부드러운 사용감을 갖는 동시에 입자크기가 큰 펄의 피부 밀착력을 높였고, 평면 프레스 타입의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여 입체적인 성형도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소성 타입은 매트한 사용감과 낮은 지속성의 단점이 있고, 인젝션 타입은 펄의 광택도를 높이고 화장료의 지속력을 개선했으나, 펄을 고함량으로 혼합하면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 고함량의 펄을 안정적으로 함유할 수 있고, 발색력과 지속력이 개선된 방법으로 젤리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이 개발되었으나, 젤리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돔 형태로만 성형이 가능하여, 다양한 입체적 디자인으로 성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조성물의 측면에서 충격을 가하면 한쪽으로 쏠려, 성형 안정성의 한계가 있어 유통이 원활하지 않으며, 과량의 오일 바인더를 함유하여 크리즈(crease) 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평면 이차원적 디자인으로 양각 또는 음각의 문양이나 글자를 표현한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평면 이차원적 디자인의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미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는 소비자에게 있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사용뿐만 아니라, 미적 욕구를 충족하기엔 한계에 도달한 실정이다.
종래기술은 발림성을 부드럽게 하고, 특유의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한 제형의 연구개발로 이루어져 왔으며, 가루날림, 피부 밀착력 및 지속력 등을 개선하기 위해 분체 표면을 개질하거나 분체 바인더를 개발하는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최근,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광택을 증가하기 위한 분체 개발, 빛의 반사 효율을 높이기 위한 분체의 입자크기 및 형태 조절, 분체 합성 기술 등의 연구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존의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평면 압축 성형에서 다양한 삼차원 형태의 입체 성형을 비롯해 조성물 성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부드러운 사용감과 우수한 밀착력을 나타내는 동시에 지속력과 발색력이 우수하며, 크리즈(crease) 현상이 개선되고, 입체 형태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하여 오일겔상에 파우더상을 함유함으로써 부드러운 사용감, 우수한 피부 밀착력 및 지속력을 가지며, 크리즈(crease) 현상이 없고 성형성을 향상시킨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오일겔상에 파우더상을 함유하여 부드러운 사용감, 우수한 밀착력 및 지속력을 가지며, 크리즈의 발생이 개선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겔상이 일정온도에서 상전이되는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일겔상에 파우더상을 함유하는 성형성을 향상시킨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일겔상은 오일과 겔화제를 혼합하여 겔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우더상은 무기안료, 유기안료, 펄분체 및 체질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일겔상에 파우더상을 함유하는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드러운 사용감, 우수한 밀착력 및 지속력을 가지며, 크리즈의 발생이 개선된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성이 개선된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으며, 상기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겔상에 파우더상을 함유함으로써, 부드러운 사용감과 우수한 피부 밀착력 및 지속력을 가지며, 크리즈(crease) 발생의 개선에 효과적이며, 피부 도포시 펄의 광택감과 발색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겔상이 일정 온도에서 상전이가 되는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다양한 입체 성형이 가능하였고, 실시예 및 시험예에서 페이오프(pay-off)와 성형 안정성(낙하안정성, 고온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겔상과 파우더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4.0 내지 40 ㎏/㎠의 경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 ㎏/㎠가 될 수 있다. 경도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발림성, 퍼짐성 등) 및 성형 안전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로서,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페이오프량을 결정한다. 또한, 피부 도포시,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밀착되는 정도와 밀착된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지속되는 정도, 시간 경과에 따른 크리즈 현상의 발생에 영향을 준다.
상기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가 5.0 ㎏/㎠ 미만인 경우, 피부 도포 시 두꺼운 막을 형성하여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가 밀리거나 크리즈 현상이 발생하고, 끈적임과 이물감이 발생하여 거부감을 느낄 수 있으며, 30 ㎏/㎠ 초과일 경우, 페이오프량이 줄어 피부에 도포되는 표현력이 부족하고, 펄의 광택감과 색의 발색력이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대비 오일겔상 40 내지 70 중량%, 파우더상 30 내지 6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일겔상의 함량이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40 중량% 미만인 경우,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뻑뻑한 사용감과 페이오프(pay-off)량이 증가하여 피부밀착력이 감소되고,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성형성이 저하된다. 반면, 오일겔상의 함량이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70 중량% 초과인 경우, 상대적으로 오일겔상의 함량이 증가하여 번들거림 및 미끈거림이 발생하며 크리즈 현상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파우더상의 함량이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30 중량% 미만인 경우, 상대적으로 오일겔상의 함량이 증가하여 번들거림 및 미끈거림이 발생하며 크리즈 현상이 증가하며, 60 중량% 초과인 경우, 뻑뻑한 사용감과 페이오프(pay-off)량이 증가하여 피부밀착력이 감소되고,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성형성이 저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오일겔상은 50 내지 65 중량%, 파우더상은 35 내지 50 중량%가 될 수 있다.
상기 오일겔상은 오일과 겔화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오일겔상 총 중량대비 오일은 80 내지 99 중량%, 겔화제는 1.0 내지 20 중량%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오일은 85 내지 97 중량%, 겔화제는 3.0 내지 15 중량%가 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다이머 디리놀리 에이트(HYDROGENATED CASTOR OIL DIMER DILINOLEATE), 폴리글리세릴-2 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ISOSTEARATE), 폴리글리세릴-2 이소스테아레이트/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코폴리머(POLYGLYCERYL-2 ISOSTEARATE/DIMER DILINOLEATE COPOLYMER), 비스-에톡시디글라이콜 사이클로헥산 1,4-디카복실레이트(BIS-ETHOXYDIGLYCOL CYCLOHEXANE 1,4-DICARBOXYLAT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ISODECYL NEOPENTANOATE),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트리에칠헥사노인(TRIETHYLHEXANOIN), 세틸 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ISOTRIDECYL ISONONANOAT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ISOPROPYL ISOSTEARATE),디이소프로필 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DIISOPROPYL DIMER DILINOLEATE), C12-15알킬벤조에이트(C12-15 ALKYL BENZOATE),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디벤조에이트(DIPROPYLENEGLYCOL DIBENZOATE), 에칠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ISONONYL ISONONANOATE), 네오펜틸 글라이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NEOPENTYL GLYCOL DIISONONANOATE),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헥실라우레이트 (HEXYL LAURATE), 비스-에톡시디글라이콜 석시네이트(BIS-ETHOXYDIGLYCOL SUCCINATE), 폴리글리세릴-2 디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DIISOSTEARATE), 폴리글리세릴-2 디이소스테아레이트/아이피디아이 코폴리머(POLYGLYCERYL-2 DIISOSTEARATE/IPDI COPOLYMER),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ISOTRIDECYL ISONONANOATE)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오일;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PENTASILOXANE/CYCLOHEXASILOXANE),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디페닐디메치콘(DIPHENYL DIMETHICONE), 디메치콘(DIMETHICONE), 라우릴메치콘(LAURYL METHICONE), 디메치콘올(DIMETHICONOL), 세틸디메치콘(CETYL DIMETHICO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오일; 폴리부텐(POLYBUTENE),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L), 이소도데칸(ISODODECANE), 스쿠알렌(SQUALENE), 미네랄오일(MINERAL OIL), 이소도데칸(ISODODECANE), 헥사데센(HEXADECENE)을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이 오일겔상 총 중량대비 85 중량% 미만인 경우,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페이오프가 되지 않아 피부 밀착력이 감소하고,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성형가능 온도가 높아져 성형 시간이 단축되어 성형성이 낮아진다. 또한, 오일의 함량이 오일겔상 총 중량대비 97 중량% 초과인 경우, 상대적으로 오일의 함량이 많아 번들거림, 미끈거림, 크리즈 현상이 증가하게 되며,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가 낮아져 성형 안정도가 저하된다.
상기 겔화제는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DEXTRIN MYRISTATE),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DEXTRIN ISOSTEARATE), 덱스트린 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칠헥사노에이트(DEXTRIN PALMITATE/ETHYLHEXANOATE), 말토덱스트린/브이피코폴리머(MALTODEXTRIN/VP COPOLYMER)를 포함하는 스타치 검 류;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DIBUTYL LAUROYL GLUTAMIDE), 디부틸 에칠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를 포함하는 아미노산류; 에첼렌 디아민/하이드로제네이티드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 코폴리머 비스-디-C14-C18 (ETHYLENEDIAMINE/HYDROGENATED DIER DILINOLEATE COPOLYMER BIS-DI-C14-C18 ALKYL AMINE)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말토덱스트린 크로스폴리머(HYDROXYPROPYLTRIMONIUM MALTODEXTRIN CROSSPOLYMER)를 포함하는 암모늄 Ammonium계; 다이리놀레익 애씨드/프로판다이올 코폴리머(DILINOLEIC ACID/PROPANEDIOL COPOLYMER), 비스-디옥타데실아마이드 다이머 디리놀레익애씨드/에칠렌 디아민 코폴리머(BIS-DIOCTADECYLAMIDE DIMER DILINOLEIC ACID/ETHYLENE DIAMINE COPOLYMER)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비스-피이지-18메칠에텔디메칠실란(BIS-PEG-18 METHYL ETHER DIMETHYL SILANE), 스테아릴 디메치콘(STEARYL DIMETHICONE)를 포함하는 실리콘왁스; 에칠렌/프로필렌코폴리머-합성왁스(ETHYLENE/PROPYLENE COPOLYMER-SYNTHETIC WAX)를 포함하는 합성왁스;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릭 애씨드(12-HYDROXY STEARIC ACID), 10-하이드록시 스테아릭 애씨드(10-HYDROXY STEARIC ACID)를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겔화제의 함량이 오일겔상 총 중량대비 3.0 중량% 미만인 경우, 상대적으로 오일의 함량이 많아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되지 않고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며,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가 낮아져 성형 안정도에 낮아진다. 또한, 상기 겔화제가 오일겔상 총 중량대비 15 중량% 초과인 경우,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페이오프가 되지 않아 피부 밀착력이 감소하고,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성형가능 온도가 높아져 성형 시간이 단축되어 성형성이 낮아진다.
상기 파우더상은 무기안료, 유기안료, 펄분체 및 체질안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안료는 적색산화철, 황색산화철, 흑색산화철, 크로뮴옥사이드그린, 크로뮴하이드록사이드그린, 망가니즈바이올렛, 울트라마린, 산화철 피복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안료는 황색 4호, 황색 5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18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청색 1호, 청색 2호의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안료, 유기색소 피복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펄분체는 진주 안료, 산화티탄피복 운모와 산화티탄피복 칼슘티타늄보로실리케이트(Calcium Titanium Borosilicate), 비스머스옥시클로라이드(Bismuth Oxychloride),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Synthetic Fluorphlogopite), 칼슘티타늄보로실리케이트(Calcium Titanium Borosilicate), 이산화티탄, 무기/유기 안료를 포함하는 복합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질안료는 백운모, 합성운모, 견운모, 카올린, 이산화티탄, 알루미늄 파우더, 황산바륨, 실리카, 제올라이트, 나일론, PMMA, 폴리스틸렌 파우더, 에이치디아이/트리메칠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실리카,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실리카, 폴리에틸렌 파우더, 셀룰로오스, 전분 파우더, 징크스테아레이트 및 비즈머스옥시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향료, 방부제, 살균제, 피부컨디셔닝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베이스 메이크업의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 팩트, 립스틱, 립글로스, 아이브로우, 아이섀도, 볼연지, 하이라이터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5>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오일겔상의 제조예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성분 및 함량을 달리하여,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오일겔상을 제조하였다.
1) 하기 표 1의 겔화제 1 내지 3을 혼합한 후 110 내지 120 ℃로 가열 및 용해하여 혼합물을 만든다.
2)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하기 표 1의 오일 8 내지 13을 혼합한 후, 110 내지 120 ℃로 가열하면서 아지믹서(Agi Mixer)로 교반 및 완전 용해하여 오일겔상을 만든다.
3) 상기 단계 2)의 오일겔상은 탈포한 후, 성형틀에 넣어 성형한다.
< 비교예 1>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왁스 고형상의 제조예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성분 및 함량을 달리하여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왁스 고형상을 제조하였다.
1) 하기 표 1의 겔화제 4 내지 7을 혼합한 후 80 내지 90 ℃로 가열 및 용해하여 혼합물을 만든다.
2)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하기 표 1의 오일 8 내지 13을 혼합한 후, 80 내지 90 ℃로 가열하면서 아지믹서(Agi Mixer)로 교반 및 완전 용해하여 왁스 고형상을 만든다.
3) 상기 단계 2)의 왁스 고형상은 탈포한 후, 성형틀에 넣어 성형한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1 에칠렌/프로필렌코폴리머 1.0 2.0 3.0 4.0 6.0
2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0.8 3.0 4.0 5.0 8.0
3 말토덱스트린/브이피코폴리머 0.2 1.0 1.5 1.8 3.0
4 폴리에칠렌 7.0
5 오조케라이트 4.0
6 파라핀 1.0
7 비즈왁스 7.0

8 이소도데칸 5.0 5.0 5.0 5.0 5.0 5.0
9 폴리부텐 10.0 10.0 10.0 10.0 10.0 10.0
10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1 네오펜틸글라이콜디에칠헥사노에이트 15.0 15.0 15.0 15.0 15.0 15.0
12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3 트리에칠헥사노인 48.0 44.0 41.5 39.2 33.0 31.0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 시험예 1> 오일겔상과 왁스고형상의 경도 측정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오일겔상과 왁스 고형상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경도는 레오미터(Rheometer, Sun Scientific사, 아답타 핀(∮3m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5회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경도 (㎏/㎠) 3.0 8.0 14.0 19.0 36.0 18.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도 3.0 ㎏/㎠로 실시예 및 비교예 중 가장 무른 성상이었고, 실시예 2 내지 4의 경도는 8.0 내지 19.0 ㎏/㎠이었고, 실시예 5의 경도는 36.0 ㎏/㎠로 실시예 및 비교예 중 가장 단단한 성상이었다. 비교예 1의 경도는 18.0 ㎏/㎠를 나타내었고, 실시예 3 및 4와 유사한 경도를 가지도록 제조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는 경도가 낮아 쉽게 부서져 성형 후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입체적인 모양으로 성형하는데 적절하지 않았고, 실시예 5는 경도가 높아 성형 후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페이오프가 되지 않았다.
< 실시예 6 내지 9>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예
하기 표 3에 따라, 표 3의 파우더 6 내지 10과 실시예 2 내지 5의 오일겔상을 혼합하여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 실시예 2 내지 5의 오일겔상을 80 내지 100 ℃로 가열 및 용해한다.
2) 하기 표 3의 파우더 6 내지 10을 혼합하여 파우더상을 만든다.
3) 상기 1)의 용해된 오일겔상을 80 내지 100 ℃로 가열하면서 아지믹서(Agi Mixer)로 교반하는 상태에서, 상기 2)의 파우더상을 천천히 투입하고 혼합하여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만든다.
4) 상기 3)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3)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탈포한 후, 성형틀에 넣어 성형한다.
<비교예 2>
하기 표 3에 따라, 표 3의 파우더 6 내지 10과 비교예 1의 왁스 고형상을 혼합하여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 비교예 1의 왁스 고형상을 80 내지 90 ℃로 가열 및 용해한다.
2) 하기 표 3의 파우더 6 내지 10을 혼합하여 파우더상을 만든다.
3) 상기 1)의 용해된 왁스 고형상을 80 내지 90 ℃로 가열하면서 아지믹서(Agi Mixer)로 교반하는 상태에서, 상기 2)의 파우더상을 천천히 투입하고 혼합하여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만든다.
4) 상기 3)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3)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탈포한 후, 성형틀에 넣어 성형한다.
성분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2
1 실시예 2의 오일겔상 60.0
2 실시예 3의 오일겔상 60.0
3 실시예 4의 오일겔상 60.0
4 실시예 5의 오일겔상 60.0
5 비교예 1의 왁스 고형상 60.0


6 메칠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2.0 2.0 2.0 2.0 2.0
7 실리카 2.0 2.0 2.0 2.0 2.0
8 흑색산화철/마이카/티타늄디옥사이드 6.0 6.0 6.0 6.0 6.0
9 칼슘티타늄보로실리케이트/티타늄디옥사이드/틴옥사이드 10.0 10.0 10.0 10.0 10.0
10 마이카/페러스옥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합계 100 100 100 100 100
< 시험예 2> 성형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6 내지 9 및 비교예 2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경도, 낙하안정성, 고온안정성을 측정하여 성형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경도는 레오미터(Rheometer, Sun Scientific사, 아답타 핀(∮3m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5회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낙하안정성은 실시예 6 내지 9 및 비교예 2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용기에 담아, 높이 70 cm에서 5mm 두께의 고무판에 정면, 후면, 측면으로 자유낙하를 시켰으며, 10회 반복하여 평가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고온안정성은 실시예 6 내지 9 및 비교예 2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45 ℃의 온도에서 총 3주간 정치하여 분리상태를 경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2
경도 (㎏/㎠) 6.0 12.0 16.0 33.0 10.0
낙하안정성 X X X X
고온안정성 X X X
낙하안정성 평가기준 : 안정(X), 미세한 균열 또는 쏠림(△), 완전 깨짐(O)
고온안정성 평가기준 : 안정(X), 약간 분리현상(△), 완전 분리현상(O)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6 내지 9의 경도는 실시예 6 내지 9가 함유한 실시예 2 내지 5의 경도와 차이가 2 ~ 3 ㎏/㎠이었고, 비교예 2의 경도는 비교예 1의 경도와 차이가 8 ㎏/㎠이었다. 또한, 비교예 2는 실시예 7과 가장 근사한 값의 경도를 나타내었다.
다시 말해, 비교예 1의 왁스 고형상에 일정 함량의 파우더상을 혼합하여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 만들면 경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고, 실시예 2 내지 5의 오일겔상에 일정 함량의 파우더상을 혼합하여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하여도 경도의 변화가 작아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성형 후에도 안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내지 9 및 비교예 2의 낙하안정성을 관찰한 결과, 실시예 6 내지 9 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파손되거나 쏠리는 현상이 없이 낙하 후에도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고, 비교예 2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한쪽 방향으로 약간 쏠리는 현상을 보였다.
실시예 7을 비교예 2와 비교하면, 실시예 7은 오일겔상에 파우더상을 함유하여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비교예 2는 왁스 고형상에 파우더상을 함유하여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과 비교예 2의 경도는 근소한 차이를 나타내지만, 낙하안정성에서 실시예 7은 안정한 반면, 비교예 2는 한쪽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을 보였다. 다시 말해, 실시예 7은 오일겔상의 함유로 인해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성형 후에도 낙하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온 안정성에 있어서, 실시예 6과 비교예 2는 약간 분리되어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표면에 오일이 맺혔으나, 실온에서 보관하면 원래의 상태로 회복되어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표면에 오일이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7 내지 9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분리되는 현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 시험예 3> 성형성 평가
상기 실시예 6 내지 9와 비교예 2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성형온도와 성형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각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일정온도하에서 디자인 러버(rubber)로 성형한 후, 5℃ 온도에서 5분간 냉각하고 이형하였다.
성형온도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디자인 러버의 형상이 가장 선명하게 이형되는 온도를 측정하여 평가하고, 성형성은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디자인 러버의 형상이 선명하게 이형된 정도를 평가하였다. 성형성은 점수가 낮을수록 정교한 디자인이 어려운 것으로 평가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2
성형온도(℃) 65 ~ 75 75 ~ 85 85 ~ 95 95 ~ 110 80 ~ 85
성형성 4 5 5 3 4
성형성 평가기준 : 매우좋음(5), 좋음(4), 보통(3), 나쁨(2), 매우나쁨(1)
실시예 6 내지 9 및 비교예 2의 성형온도를 비교하면, 성형온도는 실시예 6이 65 내지 75 ℃로 가장 낮고, 실시예 9가 95 내지 110 ℃로 가장 높았다. 반면, 성형성에서는 실시예 9의 성형성이 가장 낮고, 실시예 7 및 8의 성형성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6은 성형온도가 낮아 온도 조절이 용이하나, 실시예 7 내지 8에 비하여 성형성이 낮고, 실시예 9는 성형온도가 높아 온도 조절이 어렵고, 성형성이 낮아 형성하고자 하는 입체 모양을 얻기 어려웠으며, 디자인 러버에 열 손상을 주게 되어 러버 변형이 쉬게 일어났다. 또한, 실시예 7 및 8은 성형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실시예 6보다 높은 성형온도를 나타내나 디자인 러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형성하고자 하는 입체 모양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6 및 9 중에서 실시예 7 및 8이 적절한 성형온도를 가지며, 성형성이 좋으며, 성형물 이형이 잘 됨을 알 수 있었다.
< 시험예 4> 사용효과에 대한 평가
상기 실시예 6 내지 9 및 비교예 2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부드러운 사용감, 퍼짐성, 밀착력, 지속력, 크리즈 미발생을 평가하였다. 평가를 위하여 아이섀도를 사용하는 여성 20명을 시험대상으로 일주일간 사용하도록 한 후, 사용시의 느낌 및 상태를 관능 평가하였다.
부드러운 사용감은 도포시 발림성과 끈적임을 평가하였고, 지속력은 도포 직후에 발색되는 정도와 6시간 경과된 후 발색되는 정도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크리즈 발생은 도포 직후 와 6시간 경과된 후 크리즈 현상이 발생되는 정도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평가항목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2
부드러운 사용감 5 5 5 3 3
퍼짐성 4 5 5 3 3
도포시 밀착력 5 5 5 4 4
지속성 5 5 5 5 3
크리즈 미발생 4 5 5 5 2
평가기준 : 매우좋음(5), 좋음(4), 보통(4), 나쁨(2), 매우나쁨(1)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7 및 8은 모든 평가항목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비교예 2는 가장 저조한 결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6 내지 9를 비교하면, 실시예 6 내지 8은 부드러운 사용감과 도포시 밀착력 및 지속성이 우수하였고, 실시예 9는 높은 경도의 영향으로 페이오프량이 감소하여 도포시 밀착력과 퍼짐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6 및 9를 비교하면, 실시예 6은 낮은 경도로 부드러운 사용감이 우수하나 페이오프량이 증가하여 크리즈 발생 가능성이 높았고, 실시예 9는 높은 경도로 페이오프량이 감소하여 크리즈 발생 가능성은 낮았으나 부드러운 사용감이 저하되었다.
비교예 2와 실시예 7을 비교하면, 실시예 7은 비교예 2보다 부드러운 사용감, 퍼짐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시말해, 비교예 2의 왁스 고형상으로 인해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끈적임이 있고 퍼짐성이 좋지 않았으며, 부드러운 사용감이 부족하게 되고, 시간경과에 따른 크리즈 현상의 발생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Claims (6)

  1. 오일겔상에 파우더상을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일겔상은 4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고, 파우더상은 3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오일겔상은 85 내지 97 중량%의 오일과 3 내 15 중량%의 겔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는 5.0 내지 30 ㎏/㎠ 이고,
    상기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75 ~ 100 ℃의 성형온도에서 디자인 러버로 성형한 후, 5℃ 온도에서 5분간 냉각하여 이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다이머 디리놀리 에이트(HYDROGENATED CASTOR OIL DIMER DILINOLEATE), 폴리글리세릴-2 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ISOSTEARATE), 폴리글리세릴-2 이소스테아레이트/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코폴리머(POLYGLYCERYL-2 ISOSTEARATE/DIMER DILINOLEATE COPOLYMER), 비스-에톡시디글라이콜 사이클로헥산 1,4-디카복실레이트(BIS-ETHOXYDIGLYCOL CYCLOHEXANE 1,4-DICARBOXYLAT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ISODECYL NEOPENTANOATE),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트리에칠헥사노인(TRIETHYLHEXANOIN), 세틸 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ISOTRIDECYL ISONONANOAT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ISOPROPYL ISOSTEARATE),디이소프로필 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DIISOPROPYL DIMER DILINOLEATE), C12-15알킬벤조에이트(C12-15 ALKYL BENZOATE),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디벤조에이트(DIPROPYLENEGLYCOL DIBENZOATE), 에칠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ISONONYL ISONONANOATE), 네오펜틸 글라이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NEOPENTYL GLYCOL DIISONONANOATE),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헥실라우레이트 (HEXYL LAURATE), 비스-에톡시디글라이콜 석시네이트(BIS-ETHOXYDIGLYCOL SUCCINATE), 폴리글리세릴-2 디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DIISOSTEARATE), 폴리글리세릴-2 디이소스테아레이트/아이피디아이 코폴리머(POLYGLYCERYL-2 DIISOSTEARATE/IPDI COPOLYMER),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ISOTRIDECYL ISONONANOATE)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오일;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PENTASILOXANE/CYCLOHEXASILOXANE),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디페닐디메치콘(DIPHENYL DIMETHICONE), 디메치콘(DIMETHICONE), 라우릴메치콘(LAURYL METHICONE), 디메치콘올(DIMETHICONOL), 세틸디메치콘(CETYL DIMETHICONE)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오일; 폴리부텐(POLYBUTENE),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L), 이소도데칸(ISODODECANE), 스쿠알렌(SQUALENE), 미네랄오일(MINERAL OIL), 이소도데칸(ISODODECANE), 헥사데센(HEXADECENE)을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겔화제는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DEXTRIN MYRISTATE),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DEXTRIN ISOSTEARATE), 덱스트린 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칠헥사노에이트(DEXTRIN PALMITATE/ETHYLHEXANOATE), 말토덱스트린/브이피코폴리머(MALTODEXTRIN/VP COPOLYMER)를 포함하는 스타치 검 류; 디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마이드(DIBUTYL LAUROYL GLUTAMIDE), 디부틸 에칠헥사노일 글루타마이드(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를 포함하는 아미노산류; 에첼렌 디아민/하이드로제네이티드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 코폴리머 비스-디-C14-C18 (ETHYLENEDIAMINE/HYDROGENATED DIER DILINOLEATE COPOLYMER BIS-DI-C14-C18 ALKYL AMINE)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말토덱스트린 크로스폴리머(HYDROXYPROPYLTRIMONIUM MALTODEXTRIN CROSSPOLYMER)를 포함하는 암모늄 Ammonium계; 다이리놀레익 애씨드/프로판다이올 코폴리머(DILINOLEIC ACID/PROPANEDIOL COPOLYMER), 비스-디옥타데실아마이드 다이머 디리놀레익애씨드/에칠렌 디아민 코폴리머(BIS-DIOCTADECYLAMIDE DIMER DILINOLEIC ACID/ETHYLENE DIAMINE COPOLYMER)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비스-피이지-18메칠에텔디메칠실란(BIS-PEG-18 METHYL ETHER DIMETHYL SILANE), 스테아릴 디메치콘(STEARYL DIMETHICONE)를 포함하는 실리콘왁스; 에칠렌/프로필렌코폴리머-합성왁스(ETHYLENE/PROPYLENE COPOLYMER-SYNTHETIC WAX)를 포함하는 합성왁스; 12-하이드록시 스테아릭 애씨드(12-HYDROXY STEARIC ACID), 10-하이드록시 스테아릭 애씨드(10-HYDROXY STEARIC ACID)를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1종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성형온도는 75~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01481A 2016-08-09 2016-08-09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727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81A KR101727027B1 (ko) 2016-08-09 2016-08-09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CT/KR2017/008361 WO2018030706A1 (ko) 2016-08-09 2017-08-02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16/324,522 US10835459B2 (en) 2016-08-09 2017-08-02 Three-dimensional molding type powder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81A KR101727027B1 (ko) 2016-08-09 2016-08-09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027B1 true KR101727027B1 (ko) 2017-04-17

Family

ID=5870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481A KR101727027B1 (ko) 2016-08-09 2016-08-09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35459B2 (ko)
KR (1) KR101727027B1 (ko)
WO (1) WO2018030706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706A1 (ko) * 2016-08-09 2018-02-15 주식회사 코스온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1338A (ko) * 2017-05-30 2018-12-10 고큐 아르코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유성 고형 화장료
KR102029653B1 (ko) * 2018-11-13 2019-10-08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갖는 고체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102111912B1 (ko) * 2019-09-26 2020-05-18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갖는 고체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CN111436192A (zh) * 2018-11-13 2020-07-21 科丝美诗株式会社 具有多种立体的形状的固体粉底化妆品及其制造方法
KR20220102072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콧데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KR20220168721A (ko) *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진영바이오 실리콘 기반 화장품 성분에 의한 사용감 구현용 실리콘 대체 조성물
WO2024075908A1 (ko) * 2022-10-05 2024-04-11 주식회사 셀템제약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8584B2 (ja) * 2018-02-05 2023-01-04 株式会社 資生堂 油性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086603A (ja) * 2020-11-30 2022-06-09 チタン工業株式会社 カルシウムチタン複合酸化物を主成分とする粒子からなる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使用
CN112791013B (zh) * 2021-01-19 2022-10-11 花安堂生物科技集团有限公司 眼影膏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4506A (ja) * 2014-05-09 2015-12-03 株式会社日本色材工業研究所 立体的形状に成型されてなる固形粉末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6321A (en) * 1988-03-31 1993-11-30 Kobayashi Kose Co., Ltd. Oily make-up cosmetic comprising oil base and silicone gel composition
WO1999025310A1 (fr) * 1997-11-14 1999-05-27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tion emulsifiante huileuse
JP2005247808A (ja) 2004-03-08 2005-09-15 Shiseido Co Ltd スキンケア用油性化粧料
KR102332575B1 (ko) 2014-10-06 2021-11-29 코스맥스 주식회사 분체 화장료로서 3차원 입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7027B1 (ko) 2016-08-09 2017-04-17 주식회사 코스온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4506A (ja) * 2014-05-09 2015-12-03 株式会社日本色材工業研究所 立体的形状に成型されてなる固形粉末化粧料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706A1 (ko) * 2016-08-09 2018-02-15 주식회사 코스온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10835459B2 (en) 2016-08-09 2020-11-17 Coson Co., Ltd Three-dimensional molding type powder makeup cosmetic composition
US10792235B2 (en) 2017-05-30 2020-10-06 Kokyu Alcohol Kogyo Co., Ltd. Transparent oily solid cosmetics
KR102079513B1 (ko) * 2017-05-30 2020-02-20 고큐 아르코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유성 고형 화장료
KR20180131338A (ko) * 2017-05-30 2018-12-10 고큐 아르코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유성 고형 화장료
CN111436192A (zh) * 2018-11-13 2020-07-21 科丝美诗株式会社 具有多种立体的形状的固体粉底化妆品及其制造方法
KR102029653B1 (ko) * 2018-11-13 2019-10-08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갖는 고체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CN115212119A (zh) * 2018-11-13 2022-10-21 科丝美诗株式会社 具有多种立体的形状的固体粉底化妆品及其制造方法
KR102111912B1 (ko) * 2019-09-26 2020-05-18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갖는 고체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2072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콧데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KR102532326B1 (ko) * 2021-01-12 2023-05-15 주식회사 콧데 비타민 c를 안정되게 보존 가능한 화장품 조성물
KR20220168721A (ko) *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진영바이오 실리콘 기반 화장품 성분에 의한 사용감 구현용 실리콘 대체 조성물
KR102658841B1 (ko) * 2021-06-17 2024-04-19 주식회사 진영바이오 실리콘 기반 화장품 성분에 의한 사용감 구현용 실리콘 대체 조성물
WO2024075908A1 (ko) * 2022-10-05 2024-04-11 주식회사 셀템제약 피부 흡수 및 제형 안정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35459B2 (en) 2020-11-17
US20190175457A1 (en) 2019-06-13
WO2018030706A1 (ko)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027B1 (ko)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3459446B (zh) 阳离子性(甲基)丙烯酸硅氧烷系接枝共聚物及含有它的化妆品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0302828A (ja) 有機シリコーン樹脂粉体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07030A (ko) 식물성 버터를 함유하는 고체 화장료 조성물
JP5368043B2 (ja) 粉末固形化粧料
JP2002128629A (ja) 油性化粧料
KR20210038006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2426B1 (ko) 발색력 및 글리터 효과가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용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JP4376696B2 (ja) 粉体固形化粧料
JP7081784B2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2016190837A (ja) 固形化粧料
JP4484649B2 (ja) 固型粉末メーキャップ化粧料の製造方法
KR20200040945A (ko) 메쉬타입의 수분방출형 쿠션 화장품
KR20160001139A (ko) 세리사이트를 과립화한 분체를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 조성물
JP5122756B2 (ja) 油性化粧料
JP2019178112A (ja) 油性固形化粧料
JP2000344615A (ja) 粉末固型化粧料
KR101989783B1 (ko) 부러짐 현상이 개선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KR20170051581A (ko) 휘발성 오일을 용매로 하는 소성타입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610811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019613A (ja) ペンシル状又はスティック状固形化粧料
CN109862867B (zh) 水润感优异的彩妆化妆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753610B2 (ja) 固型粉末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