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536B1 - 가스 터빈 연소기 - Google Patents

가스 터빈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536B1
KR100785536B1 KR1020050109481A KR20050109481A KR100785536B1 KR 100785536 B1 KR100785536 B1 KR 100785536B1 KR 1020050109481 A KR1020050109481 A KR 1020050109481A KR 20050109481 A KR20050109481 A KR 20050109481A KR 100785536 B1 KR100785536 B1 KR 100785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uel
main
pilot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5373A (ko
Inventor
도시히꼬 사이또오
마사따까 오오따
신지 아까마쯔
마사까즈 노세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5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34Feeding into different combustion zones
    • F23R3/343Pilot flames, i.e. fuel nozzles or injectors using only a very small proportion of the total fuel to insure continuous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286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having fuel-air premix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3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comprising rotary fuel inj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연료의 스테이징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부분 부하시의 미연분을 저감시켜 배기 특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안정되게 연소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가스 터빈 연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각 메인 버너(6)에 연통하는 메인 노즐에 대해, 바이패스 엘보(9) 측으로부터 차례로, 좌측 방향으로 M1 내지 M8의 부호를 부여할 때, 예를 들어 바이패스 엘보(9)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사선을 실시한 M2 내지 M6의 5개만으로 저부하 대역에서의 연소를 행하고, 부분 부하시 대역에 있어서는 나머지를 가하여 M1 내지 M8의 8개 모두 연소를 행하도록 절환한다.
연소기, 내통, 파일럿 노즐, 메인 노즐, 외통, 미통

Description

가스 터빈 연소기 {GAS TURBINE COMBUSTOR}
도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를 하류측으로부터 본 모식도.
도2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3은 제2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를 하류측으로부터 본 모식도.
도4의 (a) 및 도4의 (b)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5의 (a) 및 도5의 (b)는 제3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을 하류측으로부터 본 모식도.
도6은 제4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를 하류측으로부터 본 모식도.
도7의 (a) 및 도7의 (b)는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8은 제5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를 하류측으로부터 본 모식도.
도9는 제6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10의 (a) 및 도10의 (b)는 제7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11은 제8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12는 제8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소의 스테이징의 일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13의 (a) 및 도13의 (b)는 제10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료의 스테이징의 일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14의 (a) 및 도14의 (b)는 제11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15는 제11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소의 스케줄의 일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16의 (a) 및 도16의 (b)는 제12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의 파일럿 노즐 선단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17은 제13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의 파일럿 노즐 선단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18의 (a) 및 도18의 (b)는 종래보다 가스 터빈 연소기의 개략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소기
2 : 내통
3 : 파일럿 노즐
4 : 메인 노즐
5 : 파일럿 콘
6 : 메인 버너
7 : 파일럿 스월러
8 : 메인 스월러
9 : 바이패스 엘보
10 : 미통
11 : 외통
12 : 공기 유로
13 : 오일 노즐 칩
14 : 캡
17 : 차실 케이싱
18 : 스트럿
19 : 터닝 베인
20 : 현행의 탑해트 연료 노즐
21 : 제2 탑해트 연료 노즐
BV : 바이패스 밸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6-13755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8-14565호 공보
본 발명은 가스 터빈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의 스테이징 방법에 특징이 있는 가스 터빈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스 터빈 연소기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18의 (a) 및 도18의 (b)는 종래보다 가스 터빈 연소기의 개략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기 도면의 (a)는 종단면도, 상기 도면의 (b)는 하류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가스 터빈 연소기는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실로서의 내부 공간을 구비한 미통(尾筒)(10)과, 예비 혼합기를 형성하기 위한 기구를 구비한 내통(2)을 갖고 있고, 내통(2)의 축심 위치에는 파일럿 콘(5)에 연통한 파일럿 노즐(3)이 배치되어 있다. 파일럿 노즐(3)의 주변부에는 예비 혼합기인 메인 버너(6)에 연통한 메인 노즐(4)이, 본 예에서는 등각도 간격으로 8개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파일럿 노즐(3) 선단 부근 외주에서 파일럿 콘(5) 사이에는 파일럿 스월러(7)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메인 노즐(4) 선단 부근 외주에서 메인 버너(6) 사이에는 메인 스월러(8)가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메인 노즐(4)의 측면에서 메인 스월러(8)의 상류측에 평판(4a)을 부착하고, 그 표면에 연료의 분출 구멍을 마련한 평판형 노즐을 채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연소기(1)가 구성되어 있다.
메인 노즐(4)에 공급되는 주연료는 메인 버너(6)에 있어서 예비 혼합기를 형성한다. 한편, 파일럿 노즐(3)에 공급되는 파일럿 연료는 파일럿 노즐(3)에 의해 파일럿 화염(확산 화염)을 생성한다. 그리고, 예비 혼합기는 미통(10)에 분사되어 미통(10) 내에서 파일럿 화염에 의해 착화되어 미통(10) 내에 예비 혼합 화염을 생성한다. 또, 미통(10)의 외주면으로부터 케이싱 측으로 바이패스 엘보(9)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바이패스 밸브(BV)가 설치되어 있다.
기타, 메인 노즐 내에서의 공기와 연료 가스와의 반경 방향의 혼합을 균일화하는 동시에, 파일럿 연소실에서의 확산 연소하는 양을 줄여 저NOx화를 향상시킨 가스 터빈 연소기가,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부분이 연소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연소 효율이 높고, NOx 생성이 적은 예비 혼합 연소 비율을 많게 하면 동시에 이 예비 혼합기 연료 농도가 적은 경우라도 안정 연소되고, 또한 광 부하대에서 저NOx 연소를 가능하게 한 가스 터빈 연소 장치가,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가스 터빈 연소기는, 종래보다 부분 부하 상태로부터 100 % 부하 상태의 넓은 범위로, 안정적이면서 저환경 부하의 연소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스 터빈 연소기에 있어서는 저NOx화를 위해 희박 예비 혼합 연소로 하고 있으므로, 부분 부하시에는 저연소 온도로 하기 때문에 연료가 상대적으로 희박해져 미연분이 많이 발생한다. 시장 필요성으로서는, 이러한 부분 부하시의 미연분 저감도 중요한 포인트가 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연료의 미연분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파일럿 연료비를 높게 하고,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하는 등의 운전 변수 설정으로 하게 되지만, 연료 압력에 의해 파일럿 연료비의 상한에는 한계가 있고, 또한 바이패스 밸브의 사이즈에 의해 연소 영역에 있어서의 공연비의 상한으로도 한계가 있다. 게다가, 현행의 운전 모드는 기동시로부터 모든 메인 노즐(상기 종래예에서는 8개) 및 파일럿 노즐(1개)에 연료를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미연분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저절로 한계가 생기게 된다.
또한, 종래의 연소 제어 방식에서는 저부하시에는 배기 가스성 형상의 연소 진동, 또는 연소기에 있어서의 메탈 온도의 상승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어, 이를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비추어 연료의 스테이징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부분 부하시의 미연분을 저감시켜 배기 특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안정적으로 연소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가스 터빈 연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내통의 축심 위치에 배치된 파일럿 노즐과, 상기 파일럿 노즐의 주변에 배치되어 외주에 예비 혼합기를 구비한 복수의 메인 노즐을 갖고, 상기 메인 노즐로부터 예비 혼합기로서 상기 내통의 하류에 있는 연소실을 형성하는 미통 내에 분사된 연료가, 상기 미통 내에서 상기 파일럿 노즐에 의해 생성한 확산 화염에 의해 착화되어 상기 미통 내에 예비 혼합 화염을 생성하도록 한 가스 터빈 연소기에 있어서, 기동시로부터 소정의 부하 비율까지는 메인 연료 전체의 공급량은, 메인 연료 절환이 없는 종래의 경우와 동일한 유량으로 상기 복수의 메인 노즐 중 연소기의 중심축에 대해 비대칭인 일부 노즐에서 연소를 행하고, 상기 소정의 부하 비율 이상에서는 상기 복수의 메인 노즐의 잔여부를 더하여 연소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부하 비율 이상으로서는 부하 상승에 수반하여 상기 잔여부의 메인 노즐을 1개씩 추가하여 연소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일럿 노즐에 상기 복수의 메인 노즐 각각에 대응하는 파일럿 구멍 각각을 설치하고, 상기 메인 노즐 각각으로 연소를 행하는 데 대응하여 상기 파일럿 구멍 각각으로부터 연료를 분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일럿 노즐측에 연료를 공급하는 탑해트(top hat) 연료 노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메인 노즐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탑해트 연료 노즐 각각을 설치하고, 상기 메인 노즐 각각에 연소를 행하는 데 대응하여 상기 탑해트 연료 노즐 각각으로부터 연료를 분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내통의 축심 위치에 배치된 파일럿 노즐과, 상기 파일럿 노즐의 주변에 배치되어 외주에 예비 혼합기를 구비한 복수의 메인 노즐을 갖고, 상기 메인 노즐로부터 예비 혼합기로서 상기 내통의 하류에 있는 연소실을 형성하는 미통 내에 분사된 연료가, 상기 미통 내에서 상기 파일럿 노즐에 의해 생성한 확산 화염에 의해 착화되어 상기 미통 내에 예비 혼합 화염을 생성하도록 한 가스 터빈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노즐에 장착된 오일 분사용 노즐을 가스 분사용 노즐로 교환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통의 축심 위치에 배치된 파일럿 노즐과, 상기 파일럿 노즐의 주변에 배치되어 외주에 예비 혼합기를 구비한 복수의 메인 노즐을 갖고, 상기 메인 노즐로부터 예비 혼합기로서 상기 내통의 하류에 있는 연소실을 형성하는 미통 내에 분사된 연료가, 상기 미통 내에서 상기 파일럿 노즐에 의해 생성한 확산 화염에 의해 착화되어 상기 미통 내에 예비 혼합 화염을 생성하도록 한 가스 터빈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노즐에 장착된 물 아토마이즈 캡을 가스 분사용 캡으로 교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통의 축심 위치에 배치된 파일럿 노즐과, 상기 파일럿 노즐의 주변에 배치되어 외주에 예비 혼합기를 구비한 복수의 메인 노즐을 갖고, 상기 메인 노즐로부터 예비 혼합기로서 상기 내통의 하류에 있는 연소실을 형성하는 미통 내에 분사된 연료가, 상기 미통 내에서 상기 파일럿 노즐에 의해 생성한 확산 화염에 의해 착화되어 상기 미통 내에 예비 혼합 화염을 생성하도록 한 가스 터빈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노즐의 선단부면에 촉매 코팅을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상기 종래예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를 하류측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상기 도면에서는 상기 도18의 (a) 및 도18의 (b)에 도시한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메인 노즐 8개에 파일럿 노즐이 1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는, 이하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각 메인 버너(6)에 연통하는 상기 메인 노즐(4)(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다시 바이패스 엘보(9) 측으로부터 차례로, 좌회전으로 M1 내지 M8의 부호를 부여한다. 이 때, 예를 들어 바이패스 엘보(9)로부터 떨어진 위치인 사선을 실시한 M2 내지 M6의 5개만으로 저부하 대역에서의 연소를 행하고, 부분 부하 대역에서는 나머지를 더해 M1 내지 M8의 8개 모두 연소를 행하도록 절환한다. 단, 메인 연료 전체의 공급량은 변화시키지 않는다.
도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는 횡축에 부하(%)를 취하고 있고, 종축에 메인 노즐 연소 개수(개)를 취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예로서 부하 20 내지 25 %까지의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일부인 메인 노즐 5개로 연소를 행하고, 부하 20 내지 25 % 이상의 부분 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잔여부인 3개를 더하여 메인 노즐 8개로 절환하여 연소를 행한다.
이와 같이,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 메인 노즐 5개로 연소를 행함으로써, 예비 혼합기 농도를 짙게 하여 미연분을 저감시키고 있다. 또한, 연소기의 중심축에 대해 비대칭인 위치에서 연소를 행함으로써 연소 진동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연소시키지 않는 3개의 메인 노즐(본 예에서는 M1, M7, M8)을 바이패스 엘보(9) 측에 배치하므로, 바이패스 엘보(9)에의 연소 가스 권취를 방지하고 있다.
또, 메인 노즐을 5개로 한정되지 않고, 1개, 3개 등으로 연소를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예비 혼합기 농도가 짙고, 또한 중심축에 대해 비대칭인 연소가 성립되지만, 예를 들어 메탈 온도 상승, 플래시백 등의 다른 문제점을 억제하면서 효과적인 연소를 행한다는 관점으로부터 보면, 5개로 연소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현재의 상태에서는 가장 현실적이다.
또한, 상기 메인 스월러(8)에 의한 예비 혼합기의 선회 방향이, 도1에 있어서 좌회전으로 되어 있으므로, 바이패스 엘보(9)에 가장 가깝고 좌우 대칭으로 위 치하는 메인 노즐인 M1, M8 외에 우회전 방향으로 인접하는 M7을 연소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좌선회하는 연소 가스가 바이패스 엘보(9)로부터 떨어진 위치 관계가 되어 바이패스 엘보(9)에의 연소 가스 권취가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기타, 저부하 대역에서 연소를 행하는 각 메인 노즐(본 실시예에서는 M2 내지 M6)에 연통하는 각 메인 버너(6)에, 예를 들어 벌집 형상 등의 촉매층을 설치함으로써, 저부하 대역에서의 연소가 촉진되어 미연분의 저감을 보다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를 하류측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 외에, 파일럿 노즐(3) 선단부 주위의 복수개(상기 도면에서는 8개)인 파일럿 구멍(3a)에 대해서도, 메인 노즐(4)의 동작에 따라서 스테이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럿 구멍(3a)은 중심축으로부터 보아 각 메인 노즐 사이에 위치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파일럿 구멍(3a)에 대해 다시 M1, M2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차례로, 좌측 방향으로 P1 내지 P8의 부호를 부여한다. 이 때, 저부하 대역에서 예를 들어 사선을 실시한 M2 내지 M6의 5개의 메인 노즐로 연소를 행하고 있을 때는, 그에 대응하는 P2 내지 P6의 5개의 구멍(흑색 동그라미로 표시)에서만 연료를 분사한다. 그리고, 부분 부하 대역에서 M1 내지 M8의 8개 모든 메인 노즐로 연소를 행하도록 절환하고나서는 그에 대응하는 P1 내지 P8의 8개 모든 구멍으로부터 연료를 분사한다.
도4의 (a) 및 도4의 (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면의 (a)는 메인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도면의 (b)는 파일럿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의 (a)에서는 횡축에 부하(%)를 취하고 있고, 종축에 메인 노즐 연소 개수(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면의 (b)에서는 횡축에 부하(%)를 취하고 있고, 종축에 파일럿 구멍 연료 분사 개수(개)를 취하고 있다.
상기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 20 내지 25 %까지의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M2 내지 M6의 메인 노즐 5개로 연소를 행하고, 부하 20 내지 25 % 이상의 부분 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M1 내지 M8의 메인 노즐 8개로 절환하여 연소를 행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도면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 20 내지 25 %까지의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P2 내지 P6의 5개의 구멍에서만 연료를 분사하고, 부하 20 내지 25 % 이상의 부분 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P1 내지 P8의 8개 모든 구멍으로부터 연료를 분사한다. 이와 같이,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 연소를 행하는 메인 노즐 5개에 대응하여, 파일럿 구멍 5개로부터 연료를 분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연소를 행하여 미연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각 메인 노즐(M1 내지 M8)에 대응하는 파일럿 구멍(P1 내지 P8)은, 각각 도3에 있어서 좌회전으로 조금(예를 들어 22.5°) 어긋난 위치 관계가 되어 있지만, 이는 상기 파일럿 스월러(7)에 의한 파일럿 연소 가스의 선회 방향이 상기 도면에 있어서 우회전으로 되어 있으므로, 파일럿 화염이 이에 대응하는 메인 노즐의 하류측에 위치하기 쉽게 되도록 하여 연소가 효과적으로 행해지도록 하기 때문이다. 단, 각 메인 노즐에 대응하는 파일럿 구멍 위치는 메인 스월러 각도나 파일럿 스월러 각도 또는 연소기 구조 등의 변경에 대응하여, 임의로 바꿀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5의 (a) 및 도5의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를 하류측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저부하 대역에서의 연소를 행하는 메인 노즐의 배치를 어느 정도 분산시킨 구성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면의 (a)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M2 내지 M4 및 M6, M7의 메인 노즐로 연소를 행하고, 이 사이의 M5에서는 연소를 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혹은, 상기 도면의 (b)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M2, M3 및 M5 내지 M7의 메인 노즐로 연소를 행하고, 이 사이의 M4에서는 연소를 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M1 및 M8은 바이패스 엘보(9) 측이므로, 연소 가스 권취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면의 (a), (b) 모든 경우라도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 연소는 행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저부하 대역에서의 연소를 행하는 메인 노즐이 3개와 2개로 분할된 구성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와 같이 5개의 메인 노즐이 완전하게 인접하고 있는 구성보다도, 연소 효율이 약간 저하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면의 (a)에서는 M5 부근에서 연소 효율이 저하되고, 상기 도면의 (b)에서는 M4 부근에서 연소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메인 노즐 8개 전부로 연소를 행하는 경우보다는 연소 효율이 개선되는 동시에, 제1 실시예인 경우보다도 연소 가스 온도 분포의 주위 방향 불균일이 개선되므로 유리하다.
<제4 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를 하류측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실시예의 구성에다가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파일럿 구멍(3a)에 대해서도, 메인 노즐(4)의 동작에 따라서 스테이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부하 대역에서 예를 들어 사선을 실시한 M2 내지 M4 및 M6, M7의 5개의 메인 노즐로 연소를 행하고 있을 때는, 그에 대응하는 P2 내지 P4 및 P6, P7의 5개의 구멍(흑색 동그라미로 표시)에서만 연료를 분사한다. 그리고, 부분 부하 대역에서 M1 내지 M8의 8개 모든 메인 노즐로 연소를 행하도록 절환하고나서는 그에 대응하는 P1 내지 P8의 8개 모든 구멍으로부터 연료를 분사한다.
도7의 (a) 및 도7의 (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면의 (a)는 메인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도면의 (b)는 파일럿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의 (a)에서는 횡축에 부하(%)를 취하고 있고, 종축에 메인 노즐 연소 개수(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면의 (b)에서는 횡축에 부하(%)를 취하고 있고, 세로축에 파일럿 구멍 연료 분사 개수(개)를 취하고 있다.
상기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 20 내지 25 %까지의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M2 내지 M4 및 M6, M7의 메인 노즐 5개로 연소를 행하고, 부하 20 내지 25 % 이상의 부분 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M1 내지 M8의 메인 노즐 8개로 절환 하여 연소를 행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도면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 20 내지 25 %까지의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P2 내지 P4 및 P6, P7의 5개의 구멍에서만 연료를 분사하고, 부하 20 내지 25 % 이상의 부분 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P1 내지 P8의 8개 모든 구멍으로부터 연료를 분사한다.
이와 같이,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 연소를 행하는 메인 노즐 5개에 대응하여 파일럿 구멍 5개로부터 연료를 분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연소를 행하여 미연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여기서는 메인 노즐에 관해 상기 도5의 (a)의 구성에 대응한 예를 나타냈지만, 도5의 (b)의 구성에 대응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고, 이 경우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P2, P3 및 P5 내지 P7의 5개의 구멍에서만 연료를 분사하고, 부분 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P1 내지 P8의 8개 모든 구멍으로부터 연료를 분사하게 된다.
<제5 실시예>
도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를 하류측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4 실시예의 구성 외에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 연소를 행하고 있지 않은 M5의 메인 노즐에 대응하는 파일럿 구멍(P5)으로부터도 연료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 예를 들어 사선을 실시한 M2 내지 M4 및 M6, M7의 5개의 메인 노즐로 연소를 행하고 있을 때는, 그에 대응하는 P2 내지 P4 및 P6, P7과, 이에 P5를 가한 6개의 구멍(흑색 동그라미로 표시)으로부터 연료를 분사한다.
그리고, 부분 부하 대역에서 M1 내지 M8의 8개 모든 메인 노즐로 연소를 행 하도록 절환하고나서는, 그에 대응하는 P1 내지 P8의 8개 모든 구멍으로부터 연료를 분사한다. 이 구성에 의해, M4 및 M6 각각에 있어서의 M5측의 화염의 연소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 연소를 행하고 있지 않은 M1, M8의 메인 노즐에 대응하는 파일럿 구멍(P1, P8)으로부터도 연료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하면, M2에 있어서의 M1측의 화염의 연소 효율 및 M7에 있어서의 M8측의 화염의 연소 효율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6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기동시에는 도1에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M2 내지 M6의 5개만으로 연소를 행하고, 계속해서 부하 상승에 수반하여 메인 노즐을 1개씩 추가하여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최초로 연소를 행하고 있는 M2 내지 M6에 인접하는 메인 노즐로부터 차례로 연료 투입해 간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M1, M7, M8로 연료 투입하게 된다.
도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는 횡축에 부하(%)를 취하고 있고, 종축에 메인 노즐 연소 개수(개)를 취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동시로부터 소정의 부하 비율까지는 M2 내지 M6의 메인 노즐 5개로 연소를 행하고, 부하 상승에 수반하여 M1, M7, M8의 순차로 연소를 행하는 메인 노즐을 추가해 간다. 이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연소를 행하여 미연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M1과 M7의 순서를 반대로 해도 상관없다. 그러나, M8은 마지막에 추가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메인 스월러(8)에 의한 예비 혼합기의 선회 방향이 도1에 있어서 좌회전으로 되어 있으므로, 좌선회하는 연소 가스가 바이패스 엘보(9)에 가장 가까운 메인 노즐인 M8을 마지막에 추가함으로써, 바이패스 엘보(9)에의 연소 가스 권취를 가능한 한 방지하기 때문이다.
<제7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6 실시예의 구성 외에 상기 제2 실시예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하여, 파일럿 노즐 선단부 주위의 파일럿 구멍에 대해서도 메인 노즐의 동작에 따라서 스테이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연소를 행하는 메인 노즐을 추가해 가는 경우에, 우선 파일럿 구멍을 먼저 추가하고, 계속해서 그에 대응하는 메인 노즐을 추가하도록 하고 있다.
도10의 (a) 및 도10의 (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면의 (a)는 메인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도면의 (b)는 파일럿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의 (a)에서는 횡축에 부하(%)를 취하고 있고, 종축에 메인 노즐 연소 개수(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면의 (b)에서는 횡축에 부하(%)를 취하고 있고, 종축에 파일럿 구멍 연료 분사 개수(개)를 취하고 있다.
상기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동시로부터 소정의 부하 비율까지는 M2 내지 M6의 메인 노즐 5개로 연소를 행하고, 부하 상승에 수반하여 M1, M7, M8의 차례로 연소를 행하는 메인 노즐을 추가해 간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도면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동시로부터 소정의 부하 비율까지는 P2 내지 P6의 5개의 구 멍에서만 연료를 분사하고, 차례로 추가되는 M1, M7, M8의 메인 노즐 각각에 앞서서, 대응하는 P1, P7, P8의 구멍으로부터 차례로 연료를 분사한다.
이에 의해, 메인 노즐 추가 전에 파일럿의 불씨를 확실하게 형성해 둠으로써 메인 노즐 추가시의 연소 불안정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각 메인 노즐의 추가에 대응하여 각각 파일럿 구멍으로부터 동시에 연료를 분사하도록 해도 좋고, 이 경우라도 종래의 목적인 연료의 스테이징에 의한 미연분 저감에는 효과가 있다.
<제8 실시예>
도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외통(11)과 이에 동심 형상으로 둘러싸인 내통(2)을 갖고 있고, 내통(2)의 축심 위치에는 파일럿 노즐(3)이 배치되어 있다. 파일럿 노즐(3)의 주변에는 메인 버너(6)에 연통한 메인 노즐(4)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내통(2)은 그 단부에서 미통(10)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내통(2)과 이를 둘러싼 외통(11) 사이에는 공기 유로(12)가 형성되어 있고, 외통(11)의 내주벽에는 현행의 탑해트 연료 노즐(20)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기 유로(12)를 지나서 공급되는 공기(백색 화살표로 표시)에 연료를 혼합하고, 후방류에 형성되는 연소 영역에 이르는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균일한 연료 혼합기를 얻도록 하고 있다. 또, 부호 17은 외통(11)이 돌출 설치되는 차실 케이싱, 18은 내통(2)을 외통(11)으로 고정하는 스트럿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행의 탑해트 연료 노즐(20)의 공기류 하류측에 이것보다 짧은 제2 탑해트 연료 노즐(21)을 설치하고, 여기에서 분사되는 제2 탑해트 연료가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유로(12)로부터 내통(2)에 걸쳐 설치된 터닝 베인(19)의 외측을 향해, 파일럿 노즐(3) 측으로 공급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탑해트 연료 노즐(21)을 사용함으로써 파일럿 순환부로 연료를 많게 투입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미연분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소의 스케줄의 일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면에서는 횡축에 부하(%)를 취하고 있고, 종축에 화염 온도를 취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의 곡선(a)은 메인 화염 온도를, 곡선(b)은 파일럿 화염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부하시에는 파일럿 연료비 및 상기 제2 탑해트 연료비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보염(保炎) 및 미연분 저감에 필요한 파일럿 화염 온도 범위를 유지하면서 연소를 행한다.
그리고, 중간 부하(예를 들어 50 % 부하 정도)에서 연소 온도가 비교적 높아졌을 때에는, 통상의 저NOx 모드, 즉 메인 노즐, 파일럿 노즐 및 현행의 탑해트 연료 노즐을 사용하는 모드로 절환한다. 그 후는 부하 상승에 수반하여 파일럿 화염 온도가 급격하게 저하되는 한편, 메인 화염 온도는 서서히 상승해 간다.
<제9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탑해트 연료 노즐(21)을 설치하는 대신에, 상기 현행의 탑해트 연료 노즐(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내통(2) 내의 외측 및 내측에서 각각 연료를 분사하는 2 계통의 분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마련하고, 파일럿측으로 연료가 흐르는 외측의 분사 구멍을 별계통으로 한다. 그리고, 부분 부하시에 이 외측의 분사 구멍으로부터 연소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8 실시예와 같이 제2 탑해트 연료 노즐을 설치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게다가 연소기의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10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탑해트 연료 노즐(21) 혹은 상기 탑해트 연료 노즐(20)의 별계통을 상기 M1 내지 M8의 메인 노즐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T1 내지 T8로서 연소기 주위 방향에 배치한다. 그리고, 제1 실시예나 제6 실시예 등으로 나타낸 메인 노즐의 스테이징에 맞추어 탑해트 연료 노즐도 스테이징을 행한다. 이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국부 화염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어 미연분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3의 (a) 및 도13의 (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료의 스테이징의 일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면의 (a)는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메인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도면의 (b)는 탑해트 연료의 스테이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의 (a)에서는 횡축에 부하(%)를 취하고 있고, 종축에 메인 노즐 연소 개수(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면의 (b)에서는 횡축에 부하(%)를 취하고 있고, 종축에 탑해트 연료 노즐 연료 분사 개수(개)를 취하고 있다.
상기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 20 내지 25 %까지의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M2 내지 M6의 메인 노즐 5개로 연소를 행하고, 부하 20 내지 25 % 이상의 부분 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M1 내지 M8의 메인 노즐 8개로 절환하여 연소를 행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도면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 20 내지 25 %까지의 저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T2 내지 T6의 5개의 노즐로부터만 연료를 분사하고, 부하 20 내지 25 % 이상의 부분 부하 대역에 있어서는 T1 내지 T8의 8개 모든 노즐로부터 연료를 분사한다. 또, T1 내지 T8의 탑해트 연료 노즐 각각은 단일수로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로 해도 좋다.
<제11 실시예>
도14의 (a) 및 도14의 (b)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의 (a)는 종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상기 도면의 (b)는 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일럿 노즐(3)은 가스 가열/오일 가열의 이중 대응용으로서, 그 중심부에 오일 분사용의 오일 노즐(3b)이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가스 연료는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오일 노즐(3b)의 주위를 통과하여 파일럿 노즐(3) 선단 주위용의 파일럿 구멍(3a)으로부터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면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오일 노즐(3b) 대신에 가스용 노즐(3c)을 삽입하고, 그 내부에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 연료를 통과시켜 선단부의 구멍(3ca)으로부터 분사시킨다. 이에 의해, 파일럿 가스 분사량을 많게 하여 파일럿 연료비를 증가시키고, 확산 연소 비율을 높게 하여 미연분을 저감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은, 주로 부하 50 % 이하의 대역으로 사용한다.
도1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소의 스케쥴의 일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면에서는 횡축에 부하(%)를 취하고 있고, 종축에 화염 온도를 취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의 실선(a)은 종래의 메인 화염 온도를, 실선(b)은 종래의 파일럿 화염 온도를 나타내고 있고, 또한 이점 쇄선(c)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인화염 온도를, 일점 쇄선(d)은 본 실시예에서의 파일럿 화염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 50 % 이하의 대역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에 의해 메인 화염 온도는 종래보다 낮추어 추이시키고, 파일럿 화염 온도는 종래보다 높여 추이시켜 미연분을 저감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부하 50 % 이상의 대역에 있어서는 미연분은 거의 생기지 않으므로, 상기 가스용 노즐(3c)은 사용하지 않고, 종래와 동일한 화염 온도로 되도록 하고 있다.
오일 가열은 그 대부분이 가스 가열의 백업용이므로, 실적상 가스 터빈 운전의 대부분은 가스 가열이 된다. 따라서, 평소는 가스용 노즐을 장착하여 운전하고, 오일 가열이 필요해진 경우에 오일 노즐로 바꿔 장착하여 운전하면 좋다.
<제12 실시예>
도16의 (a) 및 도16의 (b)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의 파일럿 노즐 선단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의 (a)는 일예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 도면의 (b)는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파일럿 노즐(3)은 가스 가열/오일 가열의 이중 대응용으로서, 그 중심부에 오일 노즐(3b)이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가스 연료는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 낸 바와 같이 오일 노즐(3b)의 주위를 통과하고, 파일럿 노즐(3) 선단부 주위의 파일럿 구멍(3a)으로부터 분사한다.
상기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럿 노즐(3)의 중심부에 장착된 오일 노즐(3b)은, 종래로부터의 구성으로서 중심부(3ba) 외주부(3bb)로 구성된 이중관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중심부(3ba)의 선단부에는 오일 노즐 칩(13)이 끼워 부착되어 있고, 외주부(3bb)에는 오일 노즐 칩(13)의 선단 외주연부를 덮으면서 캡(14)이 장착되어 있다. 이 때, 캡(14) 중심의 개구(14b)로부터 오일 노즐 칩(13)의 선단부를 들여다 본 상태가 되어 있다. 이 캡(14)은 오일 가열시에는 종래로부터의 물 아토마이즈의 것이 장착되고, 가스 가열시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료 가스 분사용의 것으로 교환된다.
그런데, 오일 가열시에는 중심부(3ba)를 통해 일점 쇄선의 화살표와 같이 공급되어 온 파일럿 오일은, 오일 노즐 칩(13) 선단부의 구멍(13a)으로부터 분사된다. 또한, 외주부(3bb)를 통해 파선의 화살표와 같이 공급되어 온 물은 캡(14) 선단부의 구멍(14a)으로부터 분무된다. 한편, 가스 가열시에는 캡(1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 가스 분사용의 것으로 교환되어 있고, 외주부(3bb)를 통해 파선의 화살표와 같이 연료 가스가 공급되고, 캡(14) 선단부의 구멍(14a)으로부터 분사된다. 이 경우, 구멍(14a)은 연료 가스 분사용으로서, 예를 들어 물 아토마이즈보다 크게 개방되어 있다. 또, 가스 가열시에는 파일럿 오일의 공급은 정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오일 노즐 선단부의 캡을 변경하는 목(나무) 예에서는 기름 노즐 선단의 캡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가스 가열 및 오일 가열의 양쪽에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가스 가열시에는 파일럿 가스 분사량을 많게 하여 파일럿 연료비를 증가시키고, 확산 연소 비율을 높게 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을 도모하면서 상기 제1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미연분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도면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가열시에 오일 노즐 칩(13)을 제거하고, 캡(14)을 다른 연료 가스 분사용의 것으로 교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캡(14)은 상기 개구(14b)를 없애어, 구멍(14a)을 더욱 크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노즐(3b)의 중심부(3ba)와 외주부(3bb)의 양쪽을 통해 이점 쇄선의 화살표와 같이 연료 가스가 공급되어 캡(14) 선단부의 구멍(14a)으로부터 분사된다.
상기 도면의 (a)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캡(14) 선단부의 중심축 상에 오일 노즐 칩(13)이 위치하기 때문에, 이 부분의 스페이스가 약간 좁게 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도면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 노즐 칩을 제거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캡(14) 선단부의 구멍(14a)을 크게 가공할 수 있어 연료 가스를 대량으로 분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오일 노즐 선단부의 캡을 변경하여 오일 노즐 칩을 제거하는 것만으로, 비용 절감을 도모하면서 상기 제1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미연분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3 실시예>
도17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의 파일럿 노즐 선단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럿 노즐(3)의 선단부면에 촉매 코팅(C)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 다. 오일 가열시에 파일럿 노즐(3)의 선단부로부터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럿 오일이 분무되었을 때, 파일럿 노즐(3)의 전방에는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순환 영역이 생기지만, 이 부분에 스모크가 발생한다. 그래서 이 스모크를 상기 촉매 코팅(C)의 작용에 의해 연소시킴으로써, 미연분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의 스테이징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부분 부하시의 미연부을 저감시켜 배기 특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안정되게 연소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가스 터빈 연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동시로부터 소정의 부하 비율까지는 복수의 메인 노즐 중 일부에서 연소를 행하고, 소정의 부하 비율 이상으로서는 복수의 메인 노즐의 잔여부를 더하여 연소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저부하시 등의 예비 혼합기 농도를 짙게 하여 미연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부하 비율 이상으로서는 부하 상승에 수반하여 잔여부의 메인 노즐을 1개씩 추가하여 연소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연소를 행하여 미연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일럿 노즐에 복수의 메인 노즐 각각에 대응하는 파일럿 구멍 각각을 마련하고, 메인 노즐 각각에서 연소를 행하는 데 대응하여 파일럿 구멍 각각으로부터 연료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연소를 행하여 미연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일럿 노즐측에 연료를 공급하는 탑해트 연료 노즐을 설치함으로써, 파일럿 순환부로 연료를 많게 투입할 수 있어, 이에 의해 미연분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복수의 메인 노즐 각각에 대응하는 탑해트 연료 노즐 각각을 설치하고, 메인 노즐 각각에서 연소를 행하는 데 대응하여 탑해트 연료 노즐 각각으로부터 연료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국부 화염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어 미연분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타, 파일럿 노즐에 장착된 오일 분사용 노즐을 가스 분사용 노즐로 교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파일럿 가스 분사량을 많게 하여 파일럿 연료비를 증가시키고 확산 연소 비율을 높게 하여 미연분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파일럿 노즐에 장착된 물 아토마이즈 캡을 가스 분사용 캡으로 교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파일럿 가스 분사량을 많게 하여 파일럿 연료비를 증가시키고, 확산 연소 비율을 높게 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을 도모하면서 미연분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파일럿 노즐의 선단부면에 촉매 코팅을 실시함으로써, 오일 가열시에 발생하는 스모크를 촉매 코팅의 작용에 의해 연소시킴으로써, 미연분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8)

  1. 내통의 축심 위치에 배치된 파일럿 노즐과, 상기 파일럿 노즐의 주변에 배치되어 외주에 예비 혼합기를 구비한 복수의 메인 노즐을 갖고, 상기 메인 노즐로부터 예비 혼합기로서 상기 내통의 하류에 있는 연소실을 형성하는 미통(尾筒) 내에 분사된 연료가, 상기 미통 내에서 상기 파일럿 노즐에 의해 생성한 확산 화염에 의해 착화되어 상기 미통 내에 예비 혼합 화염을 생성하도록 한 가스 터빈 연소기에 있어서,
    기동시로부터 소정의 부하 비율까지는 상기 복수의 메인 노즐 중 연소기의 중심축에 대해 비대칭인 일부 노즐에서만 연소를 행하되, 기동시로부터 복수의 메인 노즐 모두에서 연소를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메인 연료 전체의 공급량은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연소를 행하고, 상기 소정의 부하 비율 이상에서는 상기 복수의 메인 노즐의 잔여부를 더하여 연소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부하 비율 이상으로서는 부하 상승에 수반하여 상기 잔여부의 메인 노즐을 1개씩 추가하여 연소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노즐에 상기 복수의 메인 노즐 각각에 대응하는 파일럿 구멍 각각을 마련하고, 상기 메인 노즐 각각으로 연소를 행하는 데 대응하여 상기 파일럿 구멍 각각으로부터 연료를 분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노즐측에 연료를 공급하는 탑해트 연료 노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인 노즐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탑해트 연료 노즐 각각을 설치하고, 상기 메인 노즐 각각으로 연소를 행하는 데 대응하여 상기 탑해트 연료 노즐 각각으로부터 연료를 분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노즐에 장착된 오일 분사용 노즐을 가스 분사용 노즐로 교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노즐에 장착된 물 아토마이즈 캡을 가스 분사용 캡으로 교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노즐의 선단부면에 촉매 코팅을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KR1020050109481A 2004-11-17 2005-11-16 가스 터빈 연소기 KR100785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32884A JP4015656B2 (ja) 2004-11-17 2004-11-17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JP-P-2004-00332884 2004-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373A KR20060055373A (ko) 2006-05-23
KR100785536B1 true KR100785536B1 (ko) 2007-12-12

Family

ID=3631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481A KR100785536B1 (ko) 2004-11-17 2005-11-16 가스 터빈 연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97942B2 (ko)
JP (1) JP4015656B2 (ko)
KR (1) KR100785536B1 (ko)
CN (2) CN102519055B (ko)
DE (1) DE10200505444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4580A1 (de) * 2006-05-19 2007-11-29 Ulrich Dreizler Flammenmodellierung
US8037688B2 (en) * 2006-09-26 2011-10-18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 of thermoacoustic instabilities in a combustor
FR2906868B1 (fr) * 2006-10-06 2011-11-18 Snecma Injecteur de carburant pour chambre de combustion de moteur a turbine a gaz
US8739543B2 (en) * 2007-07-02 2014-06-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Burn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burner
JP4918509B2 (ja) * 2008-02-15 2012-04-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焼器
DE102008019117A1 (de) 2008-04-16 2009-10-22 Man Turbo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Vormischbrenners und ein Vormischbrenn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8820087B2 (en) * 2008-09-08 2014-09-02 Siemens Ener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uel to a dual stage nozzle
JP5185757B2 (ja) 2008-10-01 2013-04-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の燃料制御方法および燃料制御装置ならびにガスタービン
JP2010168957A (ja) * 2009-01-21 2010-08-05 Hitachi Ltd 2軸式ガスタービンと、2軸式ガスタービン用の燃焼器の予混合燃焼開始方法
US20100192582A1 (en) * 2009-02-04 2010-08-05 Robert Bland Combustor nozzle
CH700796A1 (de) * 2009-04-01 2010-10-15 Alstom Technology Ltd Verfahren zum CO-emissionsarmen Betrieb einer Gasturbine mit sequentieller Verbrennung und Gasturbine mit verbessertem Teillast- Emissionsverhalten.
US9181812B1 (en) * 2009-05-05 2015-11-10 Majed Toqan Can-annular combustor with premixed tangential fuel-air nozzles for use on gas turbine engines
US8365533B2 (en) * 2009-09-22 2013-02-05 General Electric Company Universal multi-nozzle combustion system and method
US8402763B2 (en) * 2009-10-26 2013-03-26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or headend guide vanes to reduce flow maldistribution into multi-nozzle arrangement
US8613197B2 (en) * 2010-08-05 2013-12-24 General Electric Company Turbine combustor with fuel nozzles having inner and outer fuel circuits
EP2434222B1 (en) * 2010-09-24 2019-02-27 Ansaldo Energia IP UK Limited Method for operating a combustion chamber
US9958093B2 (en) 2010-12-08 2018-05-01 Parker-Hannifin Corporation Flexible hose assembly with multiple flow passages
US9194297B2 (en) 2010-12-08 2015-11-24 Parker-Hannifin Corporation Multiple circuit fuel manifold
JP5721447B2 (ja) * 2011-01-17 2015-05-20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これ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これ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およびこの制御方法
WO2012124467A1 (ja) * 2011-03-16 2012-09-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およびガスタービン
EP2551470A1 (de) * 2011-07-26 2013-01-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ochfahren einer stationären Gasturbine
US8997452B2 (en) * 2011-10-20 2015-04-0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fuel and reactive fluid supply in turbine engines
JP5458121B2 (ja) * 2012-01-27 2014-04-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およ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運転方法
US20130219911A1 (en) * 2012-02-28 2013-08-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bustion system for a gas turbine engine and method for directing fuel flow within the same
WO2014080758A1 (ja) * 2012-11-21 2014-05-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の駆動方法ならびに燃焼器
US9772054B2 (en) 2013-03-15 2017-09-26 Parker-Hannifin Corporation Concentric flexible hose assembly
JP6086860B2 (ja) * 2013-11-29 2017-03-01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ノズル、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JP6058165B2 (ja) * 2013-12-27 2017-01-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焼制御装置、燃焼システム、燃焼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35645B2 (ja) * 2014-05-23 2018-05-30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焼器交換方法及び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
JP6285807B2 (ja) * 2014-06-04 2018-02-2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6331138B2 (ja) * 2014-08-06 2018-05-30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流量比算出装置、これを備えている制御装置、この制御装置を備えている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流量比算出方法、及び燃料系統の制御方法
EP3056819B1 (en) * 2015-02-11 2020-04-01 Ansaldo Energia Switzerland AG Fuel injection device for a gas turbine
JP6508470B2 (ja) 2015-07-31 2019-05-0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料流量設定方法、この方法を実行する装置、この装置を備える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
ES2901604T3 (es) * 2017-05-16 2022-03-23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Esquema de organización en fases de combustible binaria para mejorar la regulación de emisiones en la combustión de turbina de gas premezclada pobre
US10954859B2 (en) 2017-07-25 2021-03-23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Low emissions combustor assembly for gas turbine engine
US11421877B2 (en) * 2017-08-29 2022-08-23 General Electric Company Vibration control for a gas turbine engine
JP7023036B2 (ja) * 2018-06-13 2022-02-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の燃料ノズル及び燃焼器並びにガスタービン
JP7307701B2 (ja) * 2020-05-01 2023-07-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7344177B2 (ja) * 2020-06-09 2023-09-13 株式会社三井E&S ガスタービンの燃焼制御方法
US20220364511A1 (en) * 2021-05-11 2022-11-17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gral fuel-nozzle and mixer with angled jet-in-crossflow fuel injection
CN114576015B (zh) * 2022-02-16 2024-02-02 中国人民解放军空军工程大学 一种航空涡轮发动机燃油智能供油装置
CN116358004B (zh) * 2023-03-27 2023-12-05 中国航发贵阳发动机设计研究所 一种中推航空发动机环形燃烧室火焰筒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2377A (ja) * 1995-05-12 1996-11-26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用マルチノズル形燃焼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1425A (ja) * 1985-04-17 1986-10-27 Hitachi Ltd ガスタ−ビンの燃料ガス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US5339635A (en) * 1987-09-04 1994-08-23 Hitachi, Ltd. Gas turbine combustor of the completely premixed combustion type
JP2528894B2 (ja) 1987-09-04 1996-08-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ビン燃焼器
DE3737247C1 (de) 1987-11-03 1989-03-02 Zettner Michael L Brenneinrichtung
JP3037804B2 (ja) 1991-12-02 2000-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H05203146A (ja) * 1992-01-29 1993-08-10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発電装置
JPH06137559A (ja) 1992-10-26 1994-05-17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5373694A (en) * 1992-11-17 1994-12-2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Combustor seal and support
JP2954480B2 (ja) * 1994-04-08 1999-09-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H0814565A (ja) 1994-04-28 1996-01-19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5836164A (en) * 1995-01-30 1998-11-17 Hitachi, Ltd. Gas turbine combustor
JPH08210640A (ja) 1995-02-03 1996-08-20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ES2142588T3 (es) 1995-06-12 2000-04-16 Siemens Ag Quemador catalitico de encendido de una turbina de gas.
US5950434A (en) 1995-06-12 1999-09-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Burner, particularly for a gas turbine, with catalytically induced combustion
JPH09145058A (ja) 1995-11-17 1997-06-06 Toshiba Corp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2858104B2 (ja) * 1996-02-05 1999-0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H09243077A (ja) 1996-03-12 1997-09-16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触媒燃焼装置
US6092362A (en) 1996-11-27 2000-07-25 Hitachi, Ltd. Gas-turbine combustor with load-responsive premix burners
US6048194A (en) 1998-06-12 2000-04-11 Precision Combustion, Inc. Dry, low nox catalytic pilot
EP0976982B1 (de) * 1998-07-27 2003-12-03 ALSTOM (Switzerland) Lt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Gasturbinenbrennkammer mit gasförmigem Brennstoff
JP3364169B2 (ja) 1999-06-09 2003-01-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及びその燃焼器
US6250063B1 (en) 1999-08-19 2001-06-26 General Electric Co. Fuel stag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gas turbine nozzles
US6598383B1 (en) * 1999-12-08 2003-07-29 General Electric Co. Fuel system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staging fuel for gas turbines utilizing both gaseous and liquid fuels
US6684641B2 (en) * 1999-12-15 2004-02-03 Osaka Gas Co., Ltd. Fluid distributor, burner device, gas turbine engine, and cogeneration system
DE10051221A1 (de) * 2000-10-16 2002-07-11 Alstom Switzerland Ltd Brenner mit gestufter Brennstoff-Eindüsung
DE10056124A1 (de) * 2000-11-13 2002-05-23 Alstom Switzerland Ltd Brennersystem mit gestufter Brennstoff-Eindüs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JP4683787B2 (ja) * 2001-03-09 2011-05-18 大阪瓦斯株式会社 バーナ装置及び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
US6666029B2 (en) * 2001-12-06 2003-12-23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Gas turbine pilot burner and method
JP4134311B2 (ja) * 2002-03-08 2008-08-20 独立行政法人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3975232B2 (ja) 2002-10-22 2007-09-1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システム
US7284378B2 (en) * 2004-06-04 2007-10-2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low emission gas turbine energy generation
JP4119908B2 (ja) * 2005-09-14 2008-07-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の燃焼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2377A (ja) * 1995-05-12 1996-11-26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用マルチノズル形燃焼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45073A (ja) 2006-06-08
DE102005054442B4 (de) 2011-04-07
KR20060055373A (ko) 2006-05-23
JP4015656B2 (ja) 2007-11-28
DE102005054442A1 (de) 2006-05-24
CN1776302A (zh) 2006-05-24
US7797942B2 (en) 2010-09-21
CN102519055A (zh) 2012-06-27
US20060101814A1 (en) 2006-05-18
CN102519055B (zh) 201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536B1 (ko) 가스 터빈 연소기
JP5513756B2 (ja) クラウン混合孔を備えた燃焼器キャップ
JP5380488B2 (ja) 燃焼器
JP5156066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20080078183A1 (en) Liquid fuel enhancement for natural gas swirl stabilized nozzle and method
JP5546432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燃料供給方法
JP4670035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20100319353A1 (en) Multiple Fuel Circuits for Syngas/NG DLN in a Premixed Nozzle
JP4086767B2 (ja) 燃焼器のエミッションを低減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5106305A (ja) 燃料燃焼用ノズルおよ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燃料供給方法
JP7257358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3192055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4400314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燃料供給方法
JP3990678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H09166326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4977522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H11101435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3063001B1 (ja) 燃焼方法および燃焼装置
JP5650677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運転方法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用のバーナ
JPH06213452A (ja) 燃焼器及びその運転方法
JPH09152105A (ja) ガスタービン用低NOxバーナ
KR101041466B1 (ko) 다수 연료혼합장치가 구비된 가스터빈 저공해 연소기
JPH0828873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3764341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3581372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