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452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4452B1 KR100784452B1 KR1020050113307A KR20050113307A KR100784452B1 KR 100784452 B1 KR100784452 B1 KR 100784452B1 KR 1020050113307 A KR1020050113307 A KR 1020050113307A KR 20050113307 A KR20050113307 A KR 20050113307A KR 100784452 B1 KR100784452 B1 KR 1007844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process cartridge
- inner frame
- image forming
- outer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46—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using a handle for carrying or pulling out of the main machine, legs of casing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4—Openable part of feed path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46—Process cartridge using a handle for carrying or pulling out of the main machin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69—Cartridge holders, e.g. intermediate frames for placing cartridge par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횡방향으로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종렬(縱列) 배치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면(對面)하여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진로로부터 퇴피(退避) 가능한 벨트 몸체; 상기 벨트 몸체가 걸어 감기는 걸어 감김 롤러의 양단을 지지하는 내(內) 프레임; 상기 내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내 프레임을 지지하는 외(外)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각각의 단부(端部)에 설치되고, 상기 내 프레임과 상기 외 프레임 사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시에 파지(把持)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벨트 몸체, 내 프레임, 외 프레임, 손잡이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커버 몸체를 경사지게 했을 때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손잡이가 내 프레임과 외 프레임 사이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장치 본체
14 : 용지 트레이
16 : 피드 롤러
20 : 배출 트레이
32 : 대전 롤러
34 : 노광 장치
36 : 현상 롤러
44 : 배출 롤러 쌍
28K, 28C, 28M, 28Y : 프로세스 카트리지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장치 전면(前面)에 있는 커버 몸체를 열고, 종렬 배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면하여 배치된 정전 전사 유닛을 퇴피시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치 전방으로 착탈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3-241620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제 2005-43594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3-241620호 공보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양단부에 설치된 2개의 손잡이를 잡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한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정전 전사 유닛이 퇴피하지 않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면하고 있는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손잡이는 정전 전사 유닛의 측방에 수용될 수 있고, 정전 전사 유닛을 넘어서 장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를 돌출시키지 않는 것은, 손잡이를 돌출시켜 손잡이를 잡을 수 있는 상태에 있다면, 정전 전사 유닛이 퇴피하지 않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면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리할 수 있다고 오인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손잡이를 잡아당겨, 정전 전사 유닛에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부디쳐서, 정전 전사 유닛이 파손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손잡이가 정전 전사 유닛을 넘어 장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성에서는, 손잡이를 길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손잡이를 잡기 어렵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하기 어렵다. 특히, 정전 전사 유닛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는, 손잡이의 길이를 확보할 수 없어, 손잡이를 잡을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한다.
그것에 대하여,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5-43594호 공보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손잡이를 없애고, 연동 기구 및 카트리지 이동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정전 전사 유닛을 퇴피시키는 동작에 연동시키고, 토너가 소진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치 전방으로 이동시켜, 유저가 오인하지 않고 교환해야 할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5-43594호 공보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손잡이를 없이 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3-241620호 공보에서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이 용이하다.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5-43594호 공보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연동 기구 및 카트리지 이동 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장치의 기구가 복잡해지고, 또한, 부품수가 늘어난다.
본 발명은 상기 환경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착탈이 용이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횡방향으로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종렬(縱列) 배치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면해서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진로로부터 퇴피(退避) 가능한 벨트 몸체; 상기 벨트 몸체가 걸어 감기는 걸어 감김 롤러의 양단을 지지하는 내(內) 프레임; 상기 내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내 프레임을 지지하는 외(外)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각각의 단부(端部)에 설치되고, 상기 내 프레임과 상기 외 프레임 사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시에 파지(把持)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횡방향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정면에 대하여 양측인 것은 물론, 화상 형성 장치의 정면 측이나 후방 측도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의 상방향, 하방향에 대한 횡방향이다.
이 구성에서는, 벨트 몸체를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진로로부터 퇴피시키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손잡이를 파지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할 수 있다. 손잡이가 내 프레임과 외 프레임 사이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고, 손잡이가 잡기 용이 해지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이 용이 해진다. 특히, 벨트 몸체가 얇은 경우에도, 손잡이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이 용이 해진다.
벨트 몸체가 퇴피되지 않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면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손잡이가 돌출되고, 손잡이가 잡을 수 있는 상태에 있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리할 수 있다고 오인하여, 잘못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구성에서는, 손잡이는 내 프레임과 외 프레임 사이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 몸체가 퇴피되지 않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면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내 프레임과 외 프레임이 방해를 해서 손잡이를 잡기 어려운 것과, 및 손잡이를 잡아당겨도,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벨트 몸체 및 내 프레임과 간섭되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될 수 있다고 오인하는 일이 없고, 벨트 몸체가 퇴피되지 않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면하고 있는 상태에서, 잘못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리하려 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벨트 몸체에 부디쳐서 벨트 몸체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른 실시예의 일례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는 장치 본체(12)를 구비하고, 장치 본체(12)의 하부에는, 용지(P)가 다발 형상으로 적재(積載)되는 용지 트레이(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용지 트레이(14)의 선단측(도 1에서 우단측(右端側))의 상부에는, 용지(P)의 상면 선단측에 압접(壓接)하여 용지 트레이(14) 내로부터 용지(P)를 취출(取出)하는 피드 롤러(1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용지 트레이(14)의 선단부로부터 뻗어 나와, 완만하게 만곡(灣曲)되고, 장치 전방 측(도 1에서 우측)에서 상방을 향해서 대략 수직으로 뻗은 제 1 반송로(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반송로(22)를 따라서, 용지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용지(P)를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복수(예를 들면, 2개)의 반송 롤러 쌍(24),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P)를 정전 흡착해서 반송하는 무단(無端) 형상의 반송 벨트(벨트 몸체)(26)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벨트(26)는 제 1 반송로(22)를 따라서, 후술하는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에 대면해서 배치됨으로써, 제 1 반송로(22)의 일방측의 노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반송 벨트(26)는 상방에 배치된 걸어 감김 롤러(27)와, 하방에 배치된 걸어 감김 롤러(29)의 2개의 걸어 감김 롤러에 걸어 감기고(entrain), 걸어 감김 롤러(27) 및 걸어 감김 롤러(29)의 일방이 회전 구동함으로써, 반송 벨트(26)가 A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반송 벨트(26)의 용지 반송 방향 상류 측에는, 반송 벨트(26)의 표면 상을 대전시키는 동시에, 반송 벨트(26)에 정전 흡착되는 용지(P)를 반송 벨트(26)에 눌러 맞닿게 하는 대전 롤러(31)가 반송 벨트(26)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반송로(22)를 사이에 끼우고, 반송 벨트(26)에 대면하는 횡방향으로는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 색에 대응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제 1 반송로(22)를 따라, 장치 본체(12)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종렬 배치되어 있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는 각각 소정 방향(도 1에서 반 시계 회전)으로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30)을 구비하고 있다.
감광체 드럼(30)의 주위에는, 감광체 드럼(30)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각각, 감광체 드럼(30)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32)와, 감광체 드럼(30)으로 노광해서 감광체 드럼(30) 상에 잠상(潛像)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34)와, 감광체 드럼(30) 상에 형성된 잠상에 각 색의 토너를 부착시켜서 현상(現像)하는 현상 롤러(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 벨트(26)의 내주측(內周側)에는 감광체 드럼(30)에 대향하는 횡방향으로, 각각, 감광체 드럼(30)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용지(P)로 소정의 전사 위치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38)가 설치되어 있다. 전사 장치(38)는 반송 벨트(26)를 통해서 용지(P)에 바이어스를 부여함으로써, 토너 화상을 전사한다.
반송 벨트(26) 보다 용지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P)에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40), 용지(P)를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반송 롤러 쌍(42), 용지(P)를 배출 트레이(20)에 배출하는 배출 롤러 쌍(4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편면(片面)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를 반전시키고, 다시 제 1 반송로(22)로 돌려 보내기 위한 제 2 반송로(46)가 반송 벨트(26)를 사이에 끼워 제 1 반 송로(22)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반송로(46)에는 용지(P)를 하방으로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반송 롤러 쌍(48)이 배치되어 있고, 양면에 화상을 형성할 때에는, 편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는 배출 롤러 쌍(44)에 의해 스위치백 되어서 제 2 반송로(46)로 유도되고, 복수의 반송 롤러 쌍(48)에 의해 하방으로 반송되어, 제 1 반송로(22)로 돌려 보내진다.
다음으로,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하는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용지(P)의 편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는, 용지 트레이(14)로부터 취출된 용지(P)가 복수의 반송 롤러 쌍(24)에 의해 반송로(22)를 상방으로 반송되고, 반송 벨트(26)로 보내진다. 반송 벨트(26)로 보내진 용지(P)는 대전 롤러(31)에 의해 반송 벨트(26)에 눌려 맞닿게 되는 동시에, 대전하는 반송 벨트(26)에 정전 흡착되어서, 상방으로 반송되고,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 색에 대응한 소정의 전사 위치로 순차적으로 보내진다.
소정의 전사 위치로 보내진 용지(P)는 감광체 드럼(30) 상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 화상이 전사 장치(38)에 의해 전사되어, 용지(P) 위에 풀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정착 장치(40)에 반송되어,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 장치(40)에 의해 정착되어서, 배출 롤러 쌍(44)에 의해 배출 트레이(20)로 배출된다.
또한, 용지(P)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는 토너 화상이 정착 장치(40)에 의해 정착되어서, 편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배출 롤러 쌍(44)에서 스위치백 하 고, 편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는 반전해서 제 2 반송로(46)로 보내진다. 제 2 반송로(46)로부터 다시 제 1 반송로(22)로 보내져서, 이미 편면 측에 상기 와 마찬가지로 화상이 형성되고, 용지(P)의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일련의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를 착탈하기 위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치 본체(12)에 설치되어 있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는 장치 본체(12)에 형성된 카트리지 가이드(도시 생략)에 의해, 장착 위치로 안내된다. 장착 위치로 안내된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는 카트리지 가이드의 종단면에 맞닿아서 위치 결정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에는 착탈되는 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에, 착탈 시에 파지하는 손잡이(5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58)는 감광체 드럼(30)을 지지하는 케이스(28A)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도 l에서는 손잡이(58)를 생략해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12)의 하부에, 지축(支軸)(5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지(軸支) 되고, 장치 본체(12) 측으로부터 장치 외측으로(도 2에서 화살표 C방향으로)회동하여 경사짐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횡방향 측을 개방 가능한 L자 형상의 커버 몸체(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 몸체(50)에 의해, 개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횡방 향 측으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착탈될 수 있게 된다.
이 커버 몸체(50)의 내면측에는, 제 2 반송로(46)의 한쪽 노면(46A)이 형성됨과 동시에, 반송 롤러 쌍(48)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커버 몸체(50)의 외면(外面) 측에는, 커버 몸체(50)를 회동시킬 때에 파지하는 손잡이(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 벨트(26)가 걸어 감기는 걸어 감김 롤러(27, 29)가 양단이 내 프레임(70)에 지지되고, 또한, 내 프레임(70)은 외측에 설치된 외 프레임(72)에 지지되어 있다(도 3 참조).
이 외 프레임(72)은 장치 본체(12)의 하부로써, 커버 몸체(50)의 지축(51)보다 상방에, 지축(5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고, 반송 벨트(26), 내 프레임(70) 및 외 프레임(72)이 반송 벨트 유닛(52)으로서 일체로, 장치 본체(12) 측으로부터 장치 외측으로(도 2에서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하여 경사짐으로써, 반송 벨트(26)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착탈 진로로부터 퇴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착탈 진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장치 본체(12)에 장착 및 분리될 때에 진행하는 진로이며,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장치 본체(12)로부터 이탈되면, 상방으로 들어올려짐으로써, 분리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일점쇄선 F로 나타낸 진로가 착탈 진로가 된다.
또한, 장치 본체(12)에는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가 재치 가능함으로 써, 재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28Y)를 장치 본체(12)의 장착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면(66)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교환이 필요하게 된 경우, 우선, 손잡이(60)를 잡고, 커버 몸체(50)를 경사지게 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횡방향 측을 개방한다.
다음으로, 반송 벨트 유닛(52)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반송 벨트(26)를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착탈 진로로부터 퇴피시켜,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횡방향 측을 개방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손잡이(58)를 파지하고, 개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횡방향 측으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를 분리하고,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반송 벨트(26)가 퇴피되지 않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와 대면하고 있는 직립 상태에서는, 장치 본체(12)에 장착되어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손잡이(58)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 프레임(70)과 외 프레임(7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최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K)만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58)의 선단부의 하측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장착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58a)이 형성되어 있다. 즉, 내 프레임(70)과 외 프레임(72) 사이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58)의 돌출 부분에는 경사가 부여되어 있 고, 손잡이(58)의 돌출 부분은 단면이 외측을 향해서 서서히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손잡이(58)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배치되는 높이에 따라서 길이가 다른 구성일 수도 있다. 이 구성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상측에 배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28M, 28C, 28K)의 손잡이(58) 보다도, 하측에 배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의 손잡이(58)를 길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내 프레임(70)과 외 프레임(72) 사이에는 내 프레임(70) 및 외 프레임(72)에 고착(固着)되어, 내 프레임(70) 및 외 프레임(72)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7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7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벨트(26)가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에 대면하여 직립(直立)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손잡이(58) 사이에 있고, 손잡이(58)는 보강 부재(74)의 바로 위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 벨트 유닛(52)이 회동했을 때에, 손잡이(58)와 간섭되지 않는다.
이 보강 부재(74)에는 반송 벨트 유닛(52)에 설치되는 구성 부품(예를 들면, 전사 장치(38))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금속판(급전(給電) 부재)(80)이 배치되고, 금속판(80)은 반송 벨트 유닛(52)의 외측에 있는 전원(도시 생략)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보강 부재(74)에는 반송 벨트 유닛(52)에 설치되어지는 구성 부품(예 를 들면, 전사 장치(38))에 흐르는 과대 전류를 누설시켜 주기 위한 접지(earth)선(82)이 배치되고, 접지선(82)은 반송 벨트 유닛(52)의 외측으로 과대 전류를 누설시켜준다.
다음으로, 상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손잡이(58)를 내 프레임(70)과 외 프레임(72) 사이로부터 돌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58)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고, 손잡이(58)가 파지하기 용이 해지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착탈이 용이 해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벨트(26)를 상하로 배치시킨 2개의 걸어 감김 롤러(27, 29)에 걸어 감기고, 반송 벨트(26)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에 대면하는 측의 면(面)으로부터, 장치 전방 측의 면까지의 두께(도 3의 화살표 G참조)가 엷게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경우에서도, 손잡이(58)를 충분한 길이로 할 수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착탈이 용이 해진다.
반송 벨트(26) 몸체가 퇴피되지 않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에 대면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손잡이(58)가 돌출되고, 손잡이(58)가 잡힐 수 있는 상태에 있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분리될 수 있다고 오인하고, 잘못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를 분리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손잡이(58)가 내 프레임(70)과 외 프레임(72)의 사이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 벨트(26)가 퇴피되지 않고 프로세스 카트 리지(28Y, 28M, 28C, 28K)에 대면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내 프레임(70)과 외 프레임(72)이 방해를 하고, 또한, 손잡이(58)의 돌출 부분이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58)를 잡기 어려운 것과, 및 손잡이(58)를 잡아당겨도,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반송 벨트(26) 및 내 프레임(70)과 간섭되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분리될 수 있다고 오인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반송 벨트(26)가 퇴피되지 않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에 대면하고 있는 상태에서, 잘못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를 제거하려고 하는 일이 없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를 반송 벨트(26)에 부디쳐서 반송 벨트(26)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내 프레임(70) 및 외 프레임(72)은 보강 부재로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내 프레임(70) 및 외 프레임(72)의 비틀림 강성(剛性)이 높아지고, 반송 벨트(26)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에 대면하는 측의 면으로부터, 장치 전방 측의 면까지의 두께(도 3의 화살표 G참조)가 얇은 경우에도, 반송 벨트 유닛(52) 전체의 비틀림 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강 부재(74)는 반송 벨트 유닛(52)이 회동했을 때에, 손잡이(58)와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 벨트 유닛(52)을 스무스하게 경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손잡이(58)가 감광체 드럼(30)을 지지하는 케이스(28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를 장치 본체(12)에 장착했을 때에 손잡이(58)가 흔들리지 않아 장착이 용이 해진다.
또한, 상측에 배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28M, 28C, 28K)의 손잡이(58) 보다도, 하측에 배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의 손잡이(58)를 길게 하는 구성에서는, 착탈하기 어려운 하측에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가 상측에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M, 28C, 28K)와 마찬가지로 착탈이 용이 해지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를 일정한 착탈 조작성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급전 부재로서의 금속판(80) 및 접지선(82)이 보강 부재(74)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이스를 취하지 않고, 금속판(80) 및 접지선(82)이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벨트 몸체로서 반송 벨트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벨트 몸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감광체 드럼(30)으로부터 각 색의 토너 화상이 1차 전사되고, 그 1차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2차 전사하는 중간 전사 벨트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금속판(급전 부재) 및 접지선은 중간 전사 벨트에 조립되는 구성 부품, 예를 들면 중간 전사 벨트의 표면상에 부착된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58)가 내 프레임(70)과 외 프레임(72) 사이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가 손잡이(58)를 파지하지 않도록(파지 저항이 되도록), 손잡이(58)의 돌출 부분에 경사가 부여되고 있지만, 유저가 손잡이(58)를 파지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손잡이(58) 의 돌출 부분의 표면을 미끄러지도록 해서 파지할 수 없도록 하는 구성, 돌출 부분의 색을 내 프레임(70) 및 외 프레임(72)과 동일한 색으로 하고, 손잡이(58)를 눈에 띄지 않도록 하는 구성일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여러가지 형태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 1 형태의 구성에서, 상기 내 프레임과 상기 외 프레임 사이에 상기 내 프레임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될 수 있다고 오인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즉, 보강 부재는 내 프레임과 외 프레임에 걸쳐져서 내 프레임을 보강하고 있고, 이 보강 부재는 내 프레임과 외 프레임 사이로부터 돌출된 손잡이의 상측 또는 및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손잡이는 내 프레임과 외 프레임 또한, 보강 부재로 둘러싸이게 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될 수 있다고 오인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의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제 1 또는 제 2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에 급전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의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에 접지선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제 4 형태에 의하면, 벨트 몸체에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전 사 부재에 급전하는 급전 부재 등을 유저가 잘못해서 파손하는 위험도 줄어들어, 급전 부재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내 프레임의 보강과 겸해서 급전 부재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부품을 추가할 필요도 없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손잡이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의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내 프레임과 상기 외 프레임 사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손잡이의 돌출 부분에, 경사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돌출되는 손잡이가 또한, 잡기 어렵게 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떼어낼 수 있다고 오인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벨트 몸체가 두 개의 걸어 감김 롤러에 걸어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배치되는 위치에 의해, 각각 길이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형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벨트 몸체에 부디쳐서 벨트 몸체를 손상시키지 않는 간단한 구성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하기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 횡방향으로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종렬(縱列) 배치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면해서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진로로부터 퇴피(退避) 가능한 벨트 몸체;상기 벨트 몸체가 걸어 감기는 걸어 감김 롤러의 양단을 지지하는 내(內) 프레임;상기 내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내 프레임을 지지하는 외(外) 프레임; 및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각각의 단부(端部)에 설치되고, 상기 내 프레임과 상기 외 프레임 사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시에 파지(把持)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내 프레임과 상기 외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 프레임과 상기 외 프레임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보강 부재에 급전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보강 부재에 접지선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보강 부재에 접지선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손잡이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손잡이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손잡이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보강 부재는 상기 손잡이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내 프레임과 상기 외 프레임 사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손잡이의 돌출 부분에 경사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벨트 몸체는 두 개의 걸어 감김 롤러에 걸어 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손잡이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손잡이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프로세스 카 트리지마다 각각 길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손잡이는 상기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된 때에 상기 걸어 감김 롤러의 양단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2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보강 부재는 복수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184466A JP4735073B2 (ja) | 2005-06-24 | 2005-06-24 | 画像形成装置 |
JPJP-P-2005-00184466 | 2005-06-24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9098A Division KR100816352B1 (ko) | 2005-06-24 | 2007-05-21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35480A KR20060135480A (ko) | 2006-12-29 |
KR100784452B1 true KR100784452B1 (ko) | 2007-12-11 |
Family
ID=375675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3307A KR100784452B1 (ko) | 2005-06-24 | 2005-11-25 | 화상 형성 장치 |
KR1020070049098A KR100816352B1 (ko) | 2005-06-24 | 2007-05-21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9098A KR100816352B1 (ko) | 2005-06-24 | 2007-05-21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2) | US7426354B2 (ko) |
JP (1) | JP4735073B2 (ko) |
KR (2) | KR100784452B1 (ko) |
CN (2) | CN100565384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11103B2 (ja) * | 2006-04-27 | 2011-11-09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KR101460537B1 (ko) * | 2007-02-01 | 2014-11-1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JP5292867B2 (ja) * | 2008-03-14 | 2013-09-18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176912B2 (ja) * | 2012-10-10 | 2017-08-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260760B2 (ja) * | 2013-03-29 | 2018-01-1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記録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41620A (ja) * | 2002-02-20 | 2003-08-29 | Canon Inc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25007B2 (ja) * | 2002-01-11 | 2008-07-23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3658372B2 (ja) * | 2002-02-22 | 2005-06-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用の離間保持部材 |
JP4184132B2 (ja) * | 2003-04-01 | 2008-11-19 | 京セラミタ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2005043809A (ja) * | 2003-07-25 | 2005-02-17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2005043594A (ja) | 2003-07-28 | 2005-02-17 | Canon Inc | 多色画像形成装置 |
JP4587269B2 (ja) * | 2003-10-27 | 2010-11-24 | 株式会社リコー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交換方法、装置ユニットの交換方法 |
JP2005222035A (ja) * | 2004-01-09 | 2005-08-18 | Canon Inc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4110143B2 (ja) * | 2004-01-30 | 2008-07-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JP2005316192A (ja) * | 2004-04-28 | 2005-11-10 | Canon Inc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3885074B2 (ja) | 2004-05-11 | 2007-02-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
2005
- 2005-06-24 JP JP2005184466A patent/JP473507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11-25 KR KR1020050113307A patent/KR10078445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11-29 US US11/288,230 patent/US742635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12-15 CN CNB2005101319123A patent/CN10056538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12-15 CN CNA2007101941464A patent/CN101178575A/zh active Pending
-
2007
- 2007-05-21 KR KR1020070049098A patent/KR10081635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7-12-28 US US11/966,177 patent/US772963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41620A (ja) * | 2002-02-20 | 2003-08-29 | Canon Inc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35480A (ko) | 2006-12-29 |
CN101178575A (zh) | 2008-05-14 |
US7729636B2 (en) | 2010-06-01 |
JP2007003855A (ja) | 2007-01-11 |
KR20070064300A (ko) | 2007-06-20 |
US20080112726A1 (en) | 2008-05-15 |
KR100816352B1 (ko) | 2008-03-24 |
JP4735073B2 (ja) | 2011-07-27 |
CN1885213A (zh) | 2006-12-27 |
US7426354B2 (en) | 2008-09-16 |
CN100565384C (zh) | 2009-12-02 |
US20060291898A1 (en) | 2006-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58642B2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0737938B1 (ko) | 화상 형성 장치 | |
US7965957B2 (en)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uses this developing device | |
JP6111835B2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0784452B1 (ko) | 화상 형성 장치 | |
JP6632336B2 (ja) | 給送装着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 |
KR20060135478A (ko) | 화상 형성 장치 | |
US20090010694A1 (en) | Developing device,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20200026222A1 (en) | Belt conveyo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 |
US20040223782A1 (en) | Process cartridge smoothly and stab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process cartridge | |
JP4835682B2 (ja) | 感光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US20100215398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tructure, and developer recovery container | |
JP5387954B2 (ja) | 像形成構造体及び画像形成装置 | |
JP4645745B2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0777353B1 (ko) |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 |
JP2011191459A (ja) | 着脱式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2002278424A (ja) | 画像形成装置 | |
JP7349875B2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5292867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3719076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8005059A (ja) | 画像形成装置 | |
JP4780535B2 (ja) | 画像形成装置及び像形成構造体 | |
JP2002311772A (ja) | 廃トナー回収装置及び該回収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 |
JP2008058517A (ja) | 画像形成装置 | |
JP5754253B2 (ja) |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