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478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478A
KR20060135478A KR1020050110575A KR20050110575A KR20060135478A KR 20060135478 A KR20060135478 A KR 20060135478A KR 1020050110575 A KR1020050110575 A KR 1020050110575A KR 20050110575 A KR20050110575 A KR 20050110575A KR 20060135478 A KR20060135478 A KR 20060135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 cartridges
cover body
belt
paper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7592B1 (ko
Inventor
도루 오자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5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수직 방향으로 종렬 배치되고,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인출됨으로써 착탈 가능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설치된다.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부에 근접하여 반송 벨트가 배치되고,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각각의 사이에서 용지를 반송한다.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부를 덮는 커버가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에서 장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커버는 장치 본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부 측을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다. 벨트가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커버에 부착되어 커버와 일체로 동작한다.
화상 형성 장치, 벨트체, 커버체, 카트리지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체(cover body)가 개방된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체가 개방된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장치 본체
16 : 이송 롤러 22 : 제 1 반송로
24 : 반송 롤러쌍 26 : 반송 벨트(반송체)
28Y, 28M, 28C, 28K : 프로세스 카트리지
27, 29 : 장가 롤러 30 : 감광체 드럼
32 : 대전 롤러 38 : 전사 장치
40 : 정착 장치 46 : 제 2 반송로
50 : 커버체 60 : 손잡이부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횡방향(수평 방향)으로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동시에, 종렬(縱列)(tandem) 배치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하며,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방향(측부) 측에 배치된 벨트체를 회동(回動)시키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방향(측부) 측을 개방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이미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2003-241616호 공보).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2003-241616호 공보에서는 벨트체를 장치 본체에 축지지(軸支持)하고 있기 때문에, 벨트체를 회동시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방향 측을 개방했을 때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벨트체가 크게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특히 가장 아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할 때에 방해가 되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누출된 토너에 의해 벨트체를 오염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시에, 벨트체가 방해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본체와, 횡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동시에, 종렬 배치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방향 측에 배치된 벨트체와, 상기 복수의 프로 세스 카트리지의 하방(下方)에서 축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방향 측을 개방 가능한 커버체를 구비하며, 상기 벨트체는 상기 커버체에 부착되어 상기 커버체와 일체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본체와, 수직 방향으로 종렬 배치되고,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인출(引出)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부에 근접하여 배치된 벨트체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측부를 덮는 커버체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체는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에서 상기 장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벨트체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커버체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커버체에 부착되어 상기 커버체와 일체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본체와, 수직 방향으로 종렬 배치되고,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인출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부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그것과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각각의 사이에 용지를 반송하는 벨트체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측부를 덮는 커버체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체는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에서 상기 장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됨으로써 상기 장치 본체의 상기 측부 측을 개폐하고, 상기 벨트체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커버체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커버체에 부착되어 상기 커버체와 일체로 개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방향(측부) 측에 배치된 벨트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에 축지지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방향(측부) 측을 개방 가능한 커버체에 부착되어 커버체와 일체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커버체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방향 측을 개방했을 때에, 벨트체가 장치 본체 측에 축지지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벨트체를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이간(離間)시킬 수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시에, 벨트체가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여기서의 횡방향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정면에 대하여 양측인 것은 물론, 화상 형성 장치의 정면 측이나 배면(背面) 측도 포함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상방향, 하방향(수직 방향)에 대한 횡방향(수평 방향)이다.
이하,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른 실시예의 일례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는 장치 본체(12)를 구비하고, 장치 본체(12)의 하부에는 화상 형성부(후술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와 반송 벨트(26)의 사이)에 용지(기록 매체)(P)를 공급하는 급지부(64)(도 2에 있어서, 사선 부분)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급지부(64)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D방향으로 착탈 가능한 급지 카세트이다. 또한, 이 급지부(64)에는 용지(P)가 다발 형상으로 적재(積載)되는 용지 트레이(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용지 트레이(14) 선단(先端) 측(도 1 및 도 2에서 우단(右端) 측)의 상부에는 용지(P) 상면의 선단 측에 압접(壓接)하여 용지 트레이(14) 내로부터 용지(P)를 취출(取出)하는 이송 롤러(feed roller)(1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용지 트레이(14)의 선단부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완만하게 만곡(灣曲)되고, 장치 전방(前方) 측(도 1 및 도 2에서 우측)에서 상방을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1 반송로(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반송로(22)를 따라 용지 반송 방향의 상류 측으로부터 차례로 용지(P)를 끼워 반송하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반송 롤러쌍(24),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P)를 정전(靜電) 흡착하여 반송하는 무단(無端) 형상의 반송 벨트(벨트체)(26)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벨트(26)는 제 1 반송로(22)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제 1 반송로(22)의 한쪽 노면(路面)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반송 벨트(26)는 상방에 배치된 장가(張架) 롤러(spanning roller)(27)와 하방에 배치된 장가 롤러(29)에 걸쳐져 있고, 장가 롤러(27) 및 장가 롤러(29)의 한쪽이 회전 구동함으로써, 반송 벨트(26)가 A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반송 벨트(26)의 용지 반송 방향 상류 측에는, 반송 벨트(26)의 표면 상을 대전(帶電)시키는 동시에, 반송 벨트(26)에 정전 흡착되는 용지(P)를 반송 벨트(26)에 누르는 대전 롤러(31)가 반송 벨트(26)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반송로(22)를 사이에 두어, 반송 벨트(26)에 대향하여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색에 대응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제 1 반송로(22)를 따라 장치 본체(12)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종렬 배치되어 있 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방향(화살표 B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며,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에는 폭방향 양단부에 착탈 시에 파지(把持)하는 손잡이(5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손잡이(58)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는 각각 소정 방향(도 1 및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30)을 구비하고 있다.
감광체 드럼(30)의 주위에는, 감광체 드럼(30)의 회전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차례로 각각 감광체 드럼(30)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32)와, 감광체 드럼(30)을 노광(露光)하여 감광체 드럼(30) 상에 잠상(潛像)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34)와, 감광체 드럼(30) 상에 형성된 잠상에 각색의 토너를 부착시켜 현상하는 현상 롤러(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 벨트(26)의 내주 측에는, 감광체 드럼(30)에 대향하여 각각 감광체 드럼(30) 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용지(P)에 소정의 전사 위치에서 전사하는 전사 장치(38)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벨트(26)보다 용지 반송 방향 하류 측에는, 전사된 토너상을 용지(P)에 정착(定着)시키는 정착 장치(40), 용지(P)를 끼워 반송하는 반송 롤러쌍(42), 용지(P)를 배출 트레이(20)에 배출하는 배출 롤러쌍(4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를 반전시켜 다시 제 1 반송로(22)로 되돌려 보내기 위한 제 2 반송로(46)가 반송 벨트(26)를 사이에 두어 제 1 반송로 (22)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반송로(46)에는 용지(P)를 하방으로 끼워 반송하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반송 롤러쌍(48)이 배치되어 있으며, 양면에 화상을 형성할 때에는,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는 배출 롤러쌍(44)에 의해 스위치백(switchback)되어 제 2 반송로(46)로 유도되고, 복수의 반송 롤러쌍(48)에 의해 하방으로 반송되어, 제 1 반송로(22)로 되돌려 보내진다.
다음으로,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하는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용지(P)의 한쪽 면에 화상을 형성할 경우는, 용지 트레이(14)로부터 취출된 용지(P)는 복수의 반송 롤러쌍(24)에 의해 반송로(22)를 따라 상방으로 반송되어, 반송 벨트(26)로 보내진다. 반송 벨트(26)로 보내진 용지(P)는 대전 롤러(31)에 의해 반송 벨트(26)에 눌려짐과 동시에, 대전하는 반송 벨트(26)에 정전 흡착되어 상방으로 반송되고,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색에 대응한 소정의 전사 위치에 차례로 보내진다.
소정의 전사 위치로 보내진 용지(P)는 감광체 드럼(30) 상에 형성된 각색의 토너상이 전사 장치(38)에 의해 전사되고, 용지(P) 상에 풀 컬러(full-color) 화상이 형성된다. 정착 장치(40)로 다시 반송되고, 전사된 토너상이 정착 장치(40)에 의해 정착되어, 배출 롤러쌍(44)에 의해 배출 트레이(20)로 배출된다.
또한, 용지(P)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할 경우는, 토너상이 정착 장치(40)에 의해 정착되어,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배출 롤러쌍(44)에 의해 스위치백되 고,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는 반전하여 제 2 반송로(46)로 보내진다. 제 2 반송로(46)로부터 다시 제 1 반송로(22)로 보내지고, 다른 한쪽 면 측에 상기와 동일하게 화상이 형성되어, 용지(P)의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일련의 화상 형성 동작이 실행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횡방향(측부) 측을 개방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부(64)의 하부에 지지축(5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장치 본체(12) 측으로부터 장치 외측으로(도 2에서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여 경도(傾倒)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횡방향 측을 개방 가능한 L자 형상의 커버체(50)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체(50)의 내면 측에는 제 2 반송로(46)의 한쪽 노면(46A)이 형성되는 동시에, 반송 롤러쌍(48)의 한쪽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커버체(50)의 외면 측에는 커버체(50)를 회동시킬 때에 파지(把持)하는 손잡이(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50)의 하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62)가 설치되고, 커버체(50)는 게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62)로부터 급지 카세트인 급지부(64)(도 2의 사선 부분)를 화살표 D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급지부(64)의 상면에는, 최하(最下)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가 탑재 배치 가능하며, 탑재 배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28Y)를 장치 본체(12)의 장착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50)의 개구부(62) 상측에는 반송 벨트(26)를 포함하는 반송 벨트 유닛(52)이 지지축(53)에 의해 부착되고, 커버체(50)와 일체로 회동하여 경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송 벨트 유닛(52)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에 대향하는 측(도 2에서 상측)에 반송 벨트(26)를 구비하는 동시에, 반송 벨트 유닛(52)의 커버체(50)에 대향하는 측(도 2에서 하측)에 제 2 반송로(46)의 다른쪽 노면(46B)이 형성되는 동시에, 반송 롤러쌍(48)의 다른쪽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 롤러쌍(48)의 다른쪽 및 반송 벨트(26)를 걸쳐놓는 장가 롤러(27, 29)는, 그 축방향 양단부에 설치된 반송 벨트 유닛(52)의 한 쌍의 측판(側板)(68)에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반송 벨트(26)의 하단(下端)은 개구부(62)의 상단(도 2 및 도 3의 1점쇄선 E 참조)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전 롤러(31)는 반송 벨트(26)와 일체로 설치되고, 커버체(50)와 일체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대전 롤러(31) 및 반송 벨트(26)는, 커버체(50)가 회동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횡방향 측을 개방했을 때, 급지부(64)의 옆에 위치할 때까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체(50)가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횡방향 측을 개방했을 때에, 대전 롤러(31) 및 반송 벨트(26)는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의 착탈 경로로부터 퇴피(退避)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구성이다.
또한, 착탈 경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가 장치 본체(12) 에 장착 및 분리될 때에 진행하는 경로이며,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는 장치 본체(12)로부터 이탈(離脫)되면, 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1점쇄선 F로 나타낸 경로가 착탈 경로로 된다. 다만,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를 보다 양호하게 분리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분리 방향 후단측이 장치 본체(12)로부터 완전히 떨어질 때까지는 횡방향(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형태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분리 방향 후단측이 장치 본체(12)로부터 대략 빠지는 부근에서, 수직 상방으로 들어올리지 않더라도 포물선 형상의 완만한 궤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1점쇄선 F'로 나타낸 경로이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횡방향(측부) 측에 배치된 반송 벨트(26)는 급지부(64)의 하부에 축지지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횡방향 측을 개방 가능한 커버체(50)에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대전 롤러(31) 및 반송 벨트(26)는, 커버체(50)가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횡방향 측을 개방했을 때,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의 착탈 경로로부터 퇴피한다.
이와 같이, 대전 롤러(31) 및 반송 벨트(26)는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의 착탈 경로로부터 퇴피하기 때문에,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를 착탈할 때에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반송 벨트(26)는 커버체(50) 측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 벨트(26)가 장치 본체(12) 측에 축지지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로부터 더 이간시킬 수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착탈 시에, 반송 벨트(26)가 방해되기 어렵다.
또한, 커버체(50)는 급지부(64)의 하부에 축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체(50)를 횡방향으로 개방했을 때에, 커버체(50)에 부착되어 있는 반송 벨트(26)가 보다 멀리 이간되고, 특히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일지라도 양호하게 착탈할 수 있다.
반송 벨트(26)를 장치 본체(12) 측의 하부에 축지지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로부터 이간시키고자 하면, 장치 본체(12)의 하부(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로부터 하방의 부분)를 아래로 연장시킬 필요가 있어, 장치 높이가 높아지고, 장치 전체가 대형화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벨트(26)를 장치 본체(12) 측의 하부에 축지지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 높이를 높게 하지 않고, 반송 벨트(26)를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급지부(64)의 상면에 안내부(66)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착탈 스페이스가 좁아지게 되는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를 장착할 때,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의 장착 위치가 사용자의 서있는 위치로부터 보기 어려운 경우일지라도,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안내부(66)는 급지부(급지 카세트)(64)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안내부를 별체(別體)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원래 화상 형성 장치(10)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급지부(64)의 일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부품 추가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높이를 억제하여,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반송 벨트(26)가 개구부(62)의 상단(1점쇄선 E 참조) 바로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가능한 장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벨트체로서 반송 벨트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벨트체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아,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감광체 드럼(30)으로부터 각색의 토너상이 1차 전사되고, 그 1차 전사된 토너상을 용지에 2차 전사하는 중간 전사 벨트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대전 롤러(31) 및 반송 벨트(26)는, 커버체(50)가 프로세스 카트리지(28Y, 28M, 28C, 28K)의 횡방향 측을 개방했을 때, 급지부(64)의 옆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개념으로서는, 대전 롤러(31) 및 반송 벨트(26) 전체가 급지부(64)의 옆 위치로 퇴피할 필요는 없으며,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8Y)의 착탈 경로(1점쇄선 F 참조)로부터 퇴피하기만 하면 된다.
상기 특정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횡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동시에, 종렬 배치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 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방향 측에 배치된 벨트체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에서 축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방향 측을 개방 가능한 커버체를 구비하며, 상기 벨트체는 상기 커버체에 부착되어 상기 커버체와 일체로 이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에 설치된 급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는 상기 급지부의 하부에 축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에는 착탈 가능한 급지 카세트가 구비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급지 카세트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가 상기 커버체에 형성되고, 상기 벨트체의 하단은 상기 개구부의 상부(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형태에 있어서, 최하의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탑재 배치 가능하며, 탑재 배치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 본체의 장착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가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에 설치된 급지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벨트체는, 상기 커버체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방향 측을 개방했을 때, 최하의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경로로부터 퇴피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벨트체는 용지를 정전 흡착하여 반송하는 반송 벨트이며, 상기 반송 벨트를 정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가 상기 반송 벨트에 설치되고, 상기 대전 롤러는, 상기 커버체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방향 측을 개방했을 때, 최하의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경로로부터 퇴피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시에, 벨트체가 방해되지 않는다.

Claims (20)

  1. 장치 본체와,
    횡방향으로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동시에, 종렬(縱列) 배치된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방향 측에 배치된 벨트체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下方)에서 축지지(軸支持)되고,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방향 측을 개방 가능한 커버체를 구비하며,
    상기 벨트체는 상기 커버체에 부착되어 상기 커버체와 일체로 이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에 설치된 급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는 상기 급지부의 하부에 축지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에는 급지 카세트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카세트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가 상기 커버체에 형성되고, 상기 벨 트체의 하단(下端)이 상기 개구부의 상방(上方)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중 최하(最下)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탑재 배치 가능하며, 탑재 배치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 본체의 장착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에 설치된 급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가 상기 급지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체는, 상기 커버체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방향 측을 개방할 때,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중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경로로부터 퇴피(退避)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체는 용지를 정전(靜電) 흡착하여 반송하는 반송 벨트이며, 상기 반송 벨트를 정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가 상기 벨트체에 설치되고, 상기 대전 롤러는, 상기 커버체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방향 측을 개방할 때, 상기 복수 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중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경로로부터 퇴피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장치 본체와,
    수직 방향으로 종렬 배치되고,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인출(引出)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부에 근접하여 배치된 벨트체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측부를 덮는 커버체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체는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에서 상기 장치 본체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벨트체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커버체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커버체에 부착되어 상기 커버체와 일체로 회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에 설치된 급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가 상기 급지부의 하부에 축지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에는 급지 카세트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카세트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가 상기 커버체에 형성되고, 상기 벨트체의 하단이 상기 개구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중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탑재 배치 가능하며, 탑재 배치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 본체의 장착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에 설치된 급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가 상기 급지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체는, 상기 커버체가 회동할 때,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중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경로로부터 퇴피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체는 용지를 정전 흡착하여 반송하는 반송 벨트를 구비하며, 상기 벨트체에는 상기 반송 벨트를 정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대전 롤러는 상기 커버체가 회동할 때,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중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경로로부터 퇴피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17. 장치 본체와,
    수직 방향으로 종렬 배치되고,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인출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부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그것과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각각의 사이에 용지를 반송하는 벨트체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측부를 덮는 커버체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체는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에서 상기 장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됨으로써 상기 장치 본체의 상기 측부 측을 개폐하고, 상기 벨트체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커버체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커버체에 부착되어 상기 커버체와 일체로 개폐 동작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에 설치된 급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는 상기 급지부의 하부에 축지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하방에 설치된 급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 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중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탑재 배치 가능하며, 탑재 배치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 본체의 장착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가 상기 급지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체는, 상기 커버체가 상기 장치 본체의 측부 측을 개방할 때,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중 최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경로로부터 퇴피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110575A 2005-06-24 2005-11-18 화상 형성 장치 KR100797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84468 2005-06-24
JP2005184468A JP4577116B2 (ja) 2005-06-24 2005-06-24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478A true KR20060135478A (ko) 2006-12-29
KR100797592B1 KR100797592B1 (ko) 2008-01-28

Family

ID=3756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575A KR100797592B1 (ko) 2005-06-24 2005-11-18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53326B2 (ko)
JP (1) JP4577116B2 (ko)
KR (1) KR100797592B1 (ko)
CN (2) CN1025663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9648B2 (en) * 2005-09-21 2008-03-25 Lexmark International, Inc. Secur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device module
JP4811103B2 (ja) * 2006-04-27 2011-11-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82497B2 (ja) * 2006-05-09 2012-02-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40063B2 (ja) * 2006-06-09 2009-03-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34347B2 (ja) * 2007-12-04 2013-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100232853A1 (en) * 2009-03-10 2010-09-16 Keiji Sasaki Image forming apparatus
JP4826641B2 (ja) * 2009-03-10 2011-1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60936B2 (ja) * 2009-03-16 2011-08-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搬送路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JP4968301B2 (ja) 2009-09-11 2012-07-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タンデム型感光体ユニット
JP5056819B2 (ja) 2009-09-11 2012-10-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5817111B2 (ja) * 2010-12-15 2015-11-18 株式会社リコー 開閉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24870B2 (ja) * 2011-05-25 2015-12-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233259B2 (ja) * 2014-09-19 2017-11-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5464A (ja) * 1990-03-05 1991-11-14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916739B2 (ja) * 1996-11-07 2007-05-23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記録装置
JP2002278192A (ja) * 2001-03-21 2002-09-27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186371A (ja) * 2001-12-20 2003-07-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208074A (ja) 2002-01-11 2003-07-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25007B2 (ja) * 2002-01-11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241618A (ja) * 2002-02-19 2003-08-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3241466A (ja) * 2002-02-20 2003-08-2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634807B2 (ja) * 2002-02-20 2005-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3241616A (ja) 2002-02-21 2003-08-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CN2682454Y (zh) * 2002-07-26 2005-03-0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包括转印带的图像形成装置
JP3747195B2 (ja) * 2002-11-20 2006-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096347A (ja) * 2003-09-26 2005-04-14 Fuji Xerox Co Ltd 拡張ボックス及び画像形成装置
US7349648B2 (en) * 2005-09-21 2008-03-25 Lexmark International, Inc. Secur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device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53326B2 (en) 2010-01-26
JP2007003857A (ja) 2007-01-11
US20060291897A1 (en) 2006-12-28
CN102566389A (zh) 2012-07-11
CN1885212A (zh) 2006-12-27
KR100797592B1 (ko) 2008-01-28
JP4577116B2 (ja) 201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592B1 (ko) 화상 형성 장치
JP3880429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737938B1 (ko) 화상 형성 장치
US8331826B2 (en) Cover opening/closing structur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30012582A1 (en)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821369B2 (ja) 画像形成装置
US720344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first and second openable portions
KR20150108730A (ko) 화상 형성 장치
JP4582508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着脱方法
JP4552819B2 (ja) 画像形成装置
US9207576B2 (en) Toner convey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4645745B2 (ja) 画像形成装置
JP5776183B2 (ja) 画像形成装置
JPH04318875A (ja) カラー画像電子写真装置
JP534779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1237733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5512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着脱方法
KR100777353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JP7298288B2 (ja) 記録媒体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724214B2 (ja) 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234333A (ja) 画像形成装置
JP5929081B2 (ja) 画像形成装置
JP5067602B2 (ja) 画像形成装置
JP478053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像形成構造体
JP2009229798A (ja) 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