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977B1 - 셔터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셔터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977B1
KR100783977B1 KR1020060040256A KR20060040256A KR100783977B1 KR 100783977 B1 KR100783977 B1 KR 100783977B1 KR 1020060040256 A KR1020060040256 A KR 1020060040256A KR 20060040256 A KR20060040256 A KR 20060040256A KR 100783977 B1 KR100783977 B1 KR 10078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hutter member
shutter
guid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9553A (ko
Inventor
히로유끼 에가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개구를 갖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의, 그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품 개수의 증대 등을 수반하지 않고 틸트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다.
셔터 부재(110)를 안내하는 안내홈(121)을, 셔터 부재(11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및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커버 부재(130)가 셔터 부재(110)의 표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동시에,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중 한쪽 위치로부터 다른 쪽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셔터 부재(110)가 커버 부재(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단 이동한 후 개구(211)에 따라 슬라이드하여 이동의 종기에 커버 부재(130)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셔터 부재(110)의 표면이 커버 부재(130)에 다시 접촉 혹은 근접하도록 셔터 부재(110)를 안내하는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셔터 부재, 안내홈, 개구, 커버 부재, 셔터 개폐 장치

Description

셔터 개폐 장치{SHUTT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도1은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의 외관도.
도2는 셔터 개폐 장치를 상방으로부터 보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셔터 개폐 장치와 동일한 셔터 개폐 장치를 천청과 바닥을 반대로 하여 이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셔터 개폐 장치의 주요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4와 동일하게 셔터 개폐 장치의 주요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도4와 비교하여 셔터 부재가 약간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도4 및 도5와 동일한 셔터 개폐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5에 도시한 상태보다도 더욱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도4 내지 도6과 동일한 셔터 개폐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셔터 부재가 완전히 개방된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안내 부재에 마련된 안내홈의 형상과 그 안내홈에 안내되어 개폐하는 셔터 부재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
도9는 안내 부재에 마련된 안내홈의 형상과 그 안내홈에 안내되어 개폐하는 셔터 부재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안내 부재에 마련된 안내홈의 형상과 그 안내홈에 안내되어 개폐하는 셔터 부재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TM
100 : 셔터 개폐 장치
110 : 셔터 부재
111, 112, 113 : 롤러
120 : 안내 부재
121 : 안내홈
121a, 121b, 121c, 121d : 단차
122 : 로크홈
130 : 커버 부재
131, 131a, 151, 154 : 선단부
150 : 모터
152 : 기어
153, 155 : 샤프트
156 : 풀리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58-5870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1-213206호 공보
본 발명은 개구를 갖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의, 그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와의 사이에서 현금의 수수를 행하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에 조립되어 사용자와의 사이에서 수수되는 현금을 수용하는 수용부의 개폐를 담당하는 셔터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사용자와의 사이에서 현금의 수수를 행하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 Automatic Teller Machine)에는 사용자와의 사이에서 수수되는 현금을 수용하는 수용부의 개폐를 담당하는 셔터 개폐 장치가 조립되어 있다.
도1은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의 외관도이다.
이 도1에 도시한 ATM(1)은 입금 거래, 출금 거래, 불입 대체 거래, 통장 정리, 잔액 조회 등 여러 가지 거래를 행할 수 있는 장치이며, 외관상, 그 하우징(2)에 카드 삽입구(3), 지폐 전용구(4), 조작부(5), 통장 삽입구(6) 및 경화 전용구(7)를 구비하고 있다.
카드 삽입구(3)는 사용자가 현금 카드를 삽입하는 장소, 지폐 전용구(4)는 사용자가 지폐의 인출 및 예금을 하는 장소, 조작부(5)는 사용자에 의해 각종 조작이 행해지는 장소, 통장 삽입구(6)는 사용자가 통장을 삽입하여 과거의 거래 이력을 인쇄하는 장소, 경화 전용구(7)는 사용자가 경화의 인출 및 예금을 하는 장소이다. 지폐 전용구(4) 및 경화 전용구(7)에는 셔터 개폐 장치가 조립되어 있다. 그 들 지폐 전용구(4) 및 경화 전용구(7)는 평소에는 각 셔터(11, 12)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그들 셔터(11, 12)가 슬라이드하여 지폐 전용구(4)나 경화 전용구(7)가 개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셔터를 안정적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고, 특허 문헌 2에는 슬라이드 셔터의 로크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58-587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1-213206호 공보
지폐 전용구(4) 및 경화 전용구(7)는 셔터(11, 12)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그들 셔터(11, 12)의 주위에 간극이 개방되어 있으면 그 간극으로부터 이 ATM(1)의 내부에 이물질이 진입할 우려가 있으므로, 셔터(11, 12)의 표면에 가능한 한 접근한 위치에 커버 부재(13, 14)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셔터(11, 12)의 표면과 셔터에 근접하여 배치된 커버 부재(13, 14)와의 사이의 간극 치수를 매우 작은 치수로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부품 제조상의 공차나 조립 정밀도 등으로부터 어려워, 간극 치수가 큰 방향으로 어긋나면 이물질 진입의 문제가 발생하고, 한편 간극 치수가 작은 방향으로 어긋나면 셔터(11, 12)와 커버 부재(13, 14)가 접촉하여 셔터 개폐시에 셔터(11, 12)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셔터의 개폐 동작에 틸트 기능을 갖게 하 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셔터의 개폐 동작에 있어서는 셔터를 우선 처음에 커버 부재(13, 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금만 이동시키고, 그리고 나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틸트 기능을 도입하면, 간극으로부터의 이물질의 진입을 막는 동시에 셔터 개폐시에는 하우징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틸트 기능은 통상은 링크 기구를 이용하여 실현되고, 부품 개수나 비용의 증대 및 내구성의 저하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부품 개수의 증대 등을 수반하지 않고 틸트 기능이 추가된 셔터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셔터 개폐 장치는,
개구를 갖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의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와,
상기 셔터 부재를 구동하여, 그 셔터 부재에 상기 개구를 덮는 폐쇄 위치에 있는 셔터 부재를 그 개구에 따라 소정의 개방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그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개방 동작과, 개방 위치에 있는 셔터 부재를 개방 방향과는 반대인 폐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폐쇄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폐쇄 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원과,
상기 셔터 부재의 개방 방향 및 폐쇄 방향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와,
상기 셔터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셔터 부재의 개방 방향측의 단부 표면에 접촉 혹은 근접하여 이물질의 진입을 막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셔터 부재가 상기 폭 방향 양 모서리부에, 상기 안내 가이드에 접하여 그 안내 가이드에 안내되는 피안내부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안내 가이드는 셔터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및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커버 부재가 셔터 부재 표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중 한쪽 위치로부터 다른 쪽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셔터 부재가 커버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개구에 따라 슬라이드하여 이동 종기에 커버 부재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셔터 부재 표면이 커버 부재에 다시 접촉 혹은 근접하도록 셔터 부재를 안내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셔터 개폐 장치는 안내 가이드가 상기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복잡한 링크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부품 개수의 증대화 등을 수반하는 일 없이 간극으로부터의 이물질의 진입 방지와 셔터 개폐시의 흠집의 발생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셔터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안내부가, 셔터 부재의 상기 폭 방향 양 모서리 각각에 대해 복수개씩 설치된 것이며, 상기 안내 가이드는 셔터 부재가 상기 개구에 대해 평행하게 보유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드하도록 안내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셔터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안내 가이드를 횡벽으로 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셔터 부재는 피안내부로서 작용하는 안내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 삽입되는 끼움 삽입 돌기부를 구비한 것인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 경우에, 상기 끼움 삽입 돌기부가 상기 안내홈에 끼움 삽입되어 상기 안내 가이드에 접하여 회전하는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셔터 개폐 장치는 사용자와의 사이에서 현금의 수수를 행하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에 조립되어, 사용자와의 사이에서 수수되는 현금을 수용하는 수용부의 개폐를 담당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로서의 셔터 개폐 장치는, 예를 들어 도1에 도시한 ATM에 조립되는 셔터 개폐 장치이지만, ATM 자체에 대해서는 도1을 참조하는 것으로서 여기서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셔터 개폐 장치 자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셔터 개폐 장치를 상방으로부터 보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셔터 개폐 장치와 동일한 셔터 개폐 장치를 천청부와 바닥부를 반대로 하여 이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4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셔터 개폐 장치의 주요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셔터 개폐 장치(100)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부재(110)와, 한 쌍의 안내 부재(120)와, 커버 부재(130)가 구비되어 있다.
셔터 부재(11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211)를 갖는 내부 공간(212)이 형성된 수용부(210)의 개구(211)를 개폐하는 부재이다. 셔터 부재(110) 의 표면은, 개구(211)를 막는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개구(211)를 구성하는 프레임 전방 부재(109)의 상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어 외관적으로 단차가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한 하우징과 셔터 부재(110)는 간극이 개방되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셔터 개폐 장치(100)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50)가 구비되어 있고, 이 모터(150)의 회전 구동력은 무단부 타이밍 벨브(151), 기어(152), 샤프트(153) 및 한 쌍의 타이밍 벨트(154)를 거쳐서 전달되어 셔터 부재(110)를 구동하고, 그 셔터 부재(110)에 모터(15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개구(211)를 덮는 폐쇄 위치에 있는 셔터 부재(110)[도2 및 도4는 셔터 부재(11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도면임]를 그 개구(211)에 따라 개방 방향(도4에 나타낸 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그 개구(211)를 개방한 개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개방 동작과[후술하는 도7은 셔터 부재(11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도면임], 개방 위치에 있는 셔터 부재(110)를 개방 방향과는 반대인 폐쇄 방향(도4에 나타낸 화살표 B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폐쇄 위치(도4에 나태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폐쇄 동작을 행하게 한다. 2개의 타이밍 벨트(154)는 도2에 도시한 다른 하나의 샤프트(155)에 고정된 풀리(156)에 의해 접혀 순환 이동하는 무단부 벨트이다.
또한, 한 쌍의 안내 부재(120)는 셔터 부재(110)를 개방 방향(도4에 나타낸 화살표 A 방향) 및 폐쇄 방향(도4에 나타낸 화살표 B 방향)에 대해 직각인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워지는 위치에 배치된 부재이며, 그 한 쌍의 안내 부재(120) 각각의 셔터 부재(110)측을 향한 내벽에는 후술하는 형상의 안내홈(121)(도8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셔터 부재(110)의 양 모서리에는 각 모서리 각각에 대해 복수개씩의, 안내홈(121)에 끼움 삽입되어 안내되는 피안내 부재로서의 롤러(111, 112, 113)(도8 참조)가, 셔터 부재(110)의 본체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롤러(111, 112, 113)는 안내 부재(120)의 내벽의 안내홈(121)에 끼움 삽입되고, 그 안내홈(121)의 횡벽인 안내벽에 접하여 회전하여, 셔터 부재(110)를 미리 정해진 궤적에 따라 슬라이드시키도록 되어 있다. 안내홈(121) 형상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커버 부재(13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131)가 셔터 부재(110)의 표면에 덮이도록 절곡되고, 또한 그 선단부(131a)가, 셔터 부재(110)가 도4에 도시한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셔터 부재(110)의 개방 방향측의 단부 표면에 접촉 혹은 매우 좁은 간극으로 근접하고 있다. 또한, 커버 부재(130)에는 직사각형의 구멍(130b)이 마련되어 있고, 셔터 부재(110)에 일체 형성된 돌기부(110a)와 끼워 맞추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셔터 부재(110)와 커버 부재(130)의 간극으로부터의 이물질의 진입 방지가 이루어져 있는 동시에, 셔터 부재(110)와 커버 부재(130)의 간극에 들어간 매우 얇은 종이 등에 이물질도 이 돌기부(110a)에 의해 그 이상 깊이 인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5는 도4와 동일하게 셔터 개폐 장치의 주요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와 비교하여 셔터 부재가 약간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6은 도4 및 도5와 동일한 셔터 개폐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 며, 셔터 부재가 도5에 도시한 상태보다도 더욱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7은 도4 내지 도6과 동일한 셔터 개폐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셔터 부재가 완전히 개방된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셔터 부재(110)가 도4에 도시한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셔터 부재(110)가 개방되면서 커버 부재(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도 이동하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부재(110)와 커버 부재(130) 사이에 간극(d)이 생긴다. 그 후에는, 셔터 부재(110)는 개구(211)와 평행하게 개방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도6 참조), 도7에 도시한 개방 상태에 도달하기 직전에서는 개방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서 커버 부재(13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도 이동하고, 도7에 도시한 개방 상태에서는 셔터 부재(110)와 커버 부재(130)의 사이는 도4에 도시한 폐쇄 상태와 마찬가지로, 셔터 부재(110)가 커버 부재(130)에 접촉하거나 혹은 매우 좁은 간극으로 근접한 상태가 되는 동시에 셔터 부재(110)의 돌기부(110a)가 커버 부재(130)의 구멍(130b)과 끼워 맞추어진다.
셔터 부재(110)가 도7에 도시한 개방 상태로부터 도4에 도시한 폐쇄 상태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와 반대의 궤적을 따라가게 되어 최종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부와 동일면 위치가 된 위치에서 폐쇄 동작을 종료한다.
도8 내지 도10은 안내 부재에 마련된 안내홈의 형상과 그 안내홈에 안내되어 개폐하는 셔터 부재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8은 셔터 부재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도9는 셔터 부재가 개방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약간 움직였을 때의 상 태, 도10은 셔터 부재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안내 부재(120)에 형성된 안내홈(121)은 4 부위에 단차(121a, 121b, 121c, 121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121)에는 셔터 부재(110)의 양측부로부터 돌출한 롤러(111, 112, 11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들 롤러(111, 112, 113)는 셔터 부재(110)의 양측부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그들 롤러(111, 112, 113)는 그 안내홈(121)을 형성하고 있는 횡벽에 접하여 회전하지만, 그들 롤러(111, 112, 113) 중 2개의 롤러(111, 112)는 셔터 부재(110)를 그 안내홈(121)과 같이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남은 롤러(113)는 셔터 부재(110)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 그 셔터 부재(110)를 그 폐쇄 상태로 로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서는 우선, 롤러(111, 112)에 의한 셔터 부재(110)의 안내에 대해 설명한다.
셔터 부재(110)가 도8에 도시한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안내홈(121)으로의 롤러(111, 112)의 끼워 맞춤에 의해 셔터 부재(110)의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있어, 셔터부(110)와 커버부(130)는 접촉하거나, 혹은 매우 좁은 간극으로 근접하고 있다.
셔터 부재(110)가 도8에 도시한 폐쇄 상태로부터 도9에 도시한 화살표 A 방향(개방 방향)으로 조금만 움직이면 롤러(111, 112)는 안내홈(121)의 각각 단차(121a, 121b)를 내려가고, 이에 의해 셔터 부재(110)의 전체가 커버 부재(130)로부터 조금만 멀어지는 방향으로도 이동한다. 그 후에는, 셔터 부재(110)는 안내 홈(121)으로의 롤러(111, 112)의 끼워 맞춤에 따라서 평행하게 슬라이드하고, 도10에 도시한 개방 상태에 이르기 직전에는, 이번에는 롤러(111, 112)가 안내홈(121)의 각각 단차(121b, 121d)를 올라가고, 이에 의해 셔터 부재(110)의 전체가 커버 부재(130)에 근접하여 셔터 부재(110)의 표면과 커버 부재(130)의 선단부(131a)가 다시 접촉하거나, 혹은 매우 좁은 간극으로 접근한 상태가 된다. 이 셔터 부재(110)가 도10에 도시한 개방 상태로부터 도8에 도시한 폐쇄 상태로 이동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와는 반대의 궤적을 따라가게 된다.
다음에 롤러(113)의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타이밍 벨트(154)가 셔터 부재(110)를 폐쇄 상태를 향해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셔터 부재(110)가 도8에 도시한 폐쇄 상태에 이른 후에도 타이밍 벨트는 셔터 부재(110)를 더욱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롤러(113)는 안내홈(121)에 이어진 로크홈(122)으로 인입되고, 그 상태에서 타이밍 벨트(154)가 정지한다. 도3에는 롤러(113)가 로크홈(122)에 인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롤러(113)가 로크홈(122)에 인입되면, 셔터 부재(110)는 폐쇄 상태에서 로크가 걸린 상태가 되어, 그 셔터 부재(110)를 무리하게 억지로 개방하려고 해도 롤러(113)가 로크홈(122) 내에 있어 셔터 부재(110)는 개방되지 않고, 셔터 부재(110)는 폐쇄 상태에 머문다. 따라서, 모터(150)에 통전되는 일 없이 셔터 부재(110)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타이밍 벨트(154)가 셔터 부재(110)를 개방 상태를 향해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의 초기 단계에서 롤러(113)가 로크홈(122)으로부터 빠져 도8에 도시한 상태가 되고, 즉 로 크가 해제되어 그 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 부재(110)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슬라이드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셔터 부재(110)의 양측 각각에, 셔터 부재(110)의 개폐를 안내하는 2개씩의 롤러(111, 112)를 구비하고, 그들 롤러(111, 112)가 안내홈(121)에 끼움 삽입되어 그 안내홈(121)으로 안내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그 안내홈(121)이, 셔터 부재(11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및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커버 부재(130)가 셔터 부재(110)의 표면에 접촉 혹은 근접하는 동시에,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중 한쪽 위치로부터 다른 쪽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셔터 부재(110)가 커버 부재(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단 이동한 후 개구(211)에 따라 슬라이드하여 이동 종기에 커버 부재(130)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셔터 부재(110)의 표면이 커버 부재(130)에 다시 접촉 혹은 근접하도록 셔터 부재(110)를 안내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므로, 부재의 추가 없이 셔터 부재의 틸트 기구가 실현되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 개수의 증대 등을 수반하지 않고 틸트 기능이 추가된 셔터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개구를 갖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의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와,
    상기 셔터 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셔터 부재에 상기 개구를 덮는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셔터 부재를 상기 개구에 따라 소정의 개방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개방 동작과,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셔터 부재를 상기 개방 방향과는 반대인 폐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폐쇄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폐쇄 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원과,
    상기 셔터 부재의 상기 개방 방향 및 상기 폐쇄 방향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가 형성된 안내 부재와,
    상기 셔터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셔터 부재의 상기 개방 방향측의 단부 표면에 접촉 혹은 근접하여 이물질의 진입을 막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셔터 부재가, 상기 셔터 부재의 폭 방향 양 모서리부에서 상기 안내 가이드에 접하여 상기 안내 가이드에 안내되는 피안내부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안내 가이드는 상기 셔터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셔터 부재 표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폐쇄 위치 및 상기 개방 위치 중 한쪽 위치로부터 다른 쪽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셔터 부재가 상기 커버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개구에 따라 슬라이드하여 이동 종기에 상기 커버 부재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셔터 부재 표면이 상기 커버 부재에 다시 접촉 혹은 근접하도록 상기 셔터 부재를 안내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안내부가 상기 셔터 부재의 상기 폭 방향 양 모서리 각각에 대해 복수개씩 설치된 것이며,
    상기 안내 가이드는 상기 셔터 부재가 상기 개구에 대해 평행하게 보유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드하도록 안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개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안내 가이드를 횡벽으로 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셔터 부재는 상기 피안내부로서 작용하는, 상기 안내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움 삽입되는 끼움 삽입 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개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삽입 돌기부가 상기 안내홈에 끼움 삽입되어 상기 안내 가이드에 접하여 회전하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개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이 셔터 개폐 장치가, 사용자와의 사이에서 현금의 수수를 행하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에 조립되어, 사용자와의 사이에서 수수되는 현금을 수 용하는 수용부의 개폐를 담당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개폐 장치.
KR1020060040256A 2006-02-28 2006-05-04 셔터 개폐 장치 KR100783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53995 2006-02-28
JP2006053995A JP4832920B2 (ja) 2006-02-28 2006-02-28 シャッタ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553A KR20070089553A (ko) 2007-08-31
KR100783977B1 true KR100783977B1 (ko) 2007-12-11

Family

ID=3855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256A KR100783977B1 (ko) 2006-02-28 2006-05-04 셔터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32920B2 (ko)
KR (1) KR100783977B1 (ko)
CN (1) CN1010303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27060B (zh) * 2009-02-26 2010-10-1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薄片介质堆叠和遗漏回收功能的闸门装置
JP5308216B2 (ja) * 2009-04-06 2013-10-0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JP5377357B2 (ja) * 2010-02-19 2013-12-2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EP2400470B1 (en) * 2010-06-22 2013-06-05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Arrangement for closing an opening for the output and/or input of notes of an automated teller machine
CN102385771B (zh) * 2010-08-30 2013-06-05 北京同方清芝商用机器有限公司 磁性挡块控制的二级闸门及使用该闸门的钱箱
JP5640638B2 (ja) * 2010-10-21 2014-12-1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ャッタ開閉機構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2012238181A (ja) * 2011-05-12 2012-12-06 Oki Electric Ind Co Ltd シャッタ機構
CN102289862B (zh) * 2011-08-17 2013-06-26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闸门机构
JP6031792B2 (ja) * 2012-03-29 2016-11-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金自動預払機
JP5971119B2 (ja) * 2012-12-28 2016-08-1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ャッタ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CN104778780B (zh) * 2014-01-15 2017-04-26 北京兆维电子(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出钞闸门系统
CN103939963B (zh) * 2014-02-11 2016-04-06 东方通信股份有限公司 挡板控制机构
CN106846615A (zh) * 2017-01-23 2017-06-13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钞票的控制方法、装置和钞箱
CN107578577B (zh) * 2017-09-26 2023-01-13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锁紧机构、读卡装置、接客装置及金融自助终端
US10249150B1 (en) 2017-10-03 2019-04-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ity apparatus for an automated teller machine
US10109160B1 (en) 2017-10-03 2018-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utter assembly for an automated teller machine
CN107895443A (zh) * 2017-12-19 2018-04-10 江苏国光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全功能智能现金低柜
WO2019150423A1 (ja) * 2018-01-30 2019-08-08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収納装置及び紙葉類収納装置の制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4935A (ja) * 1994-08-01 1996-02-16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JPH09218969A (ja) * 1995-12-22 1997-08-19 Ncr Internatl Inc シャッター機構
KR20050069796A (ko) * 2003-12-31 2005-07-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부에서 셔터잠금장치
KR20060000771A (ko) * 2004-06-29 2006-01-0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156B2 (ja) * 1985-03-05 1995-05-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メモリ読出制御装置
US5740744A (en) * 1994-11-29 1998-04-21 Fujitsu Limited Through-wall type automatic customer service apparatus
JPH10334305A (ja) * 1997-05-30 1998-12-18 Laurel Bank Mach Co Ltd 硬貨入出金機
US5905252A (en) * 1997-11-24 1999-05-1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Card gate mechanism
JP3484652B2 (ja) * 1998-01-28 2004-01-06 富士通株式会社 シャッターの開閉と固定を兼ねたリンク機構を有するシャッター装置
GB2363890A (en) * 2000-06-24 2002-01-09 Ncr Int Inc Self service terminal with a media entry aperture of variable size
WO2002042990A1 (fr) * 2000-11-27 2002-05-30 Kabushiki Kaisha Sankyo Seiki Seisakusho Mecanisme d'acces pour carte dans un lecteur de carte
JP2003346449A (ja) * 2002-05-24 2003-12-05 Sony Corp 情報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4935A (ja) * 1994-08-01 1996-02-16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JPH09218969A (ja) * 1995-12-22 1997-08-19 Ncr Internatl Inc シャッター機構
KR20050069796A (ko) * 2003-12-31 2005-07-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부에서 셔터잠금장치
KR20060000771A (ko) * 2004-06-29 2006-01-0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30308B (zh) 2010-10-13
KR20070089553A (ko) 2007-08-31
JP4832920B2 (ja) 2011-12-07
JP2007233650A (ja) 2007-09-13
CN101030308A (zh)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977B1 (ko) 셔터 개폐 장치
RU2613862C2 (ru) Устройство с заслонкой и устройство выполнения транзакций с носителями
KR100352524B1 (ko) 지폐처리장치
CA2527465C (en) Bill processing apparatus
JP2759191B2 (ja) 自動取引機のシヤツタ装置
EP0917092B1 (en) Card reader
US10093475B2 (en) Card cassette device and card dispen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528353B1 (ko) 올바른 카드 보다 두께가 작은 잘못된 카드가 삽입되는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지닌 카드 슬롯 어셈블리
EP1434166B1 (en) Card reader
US6421245B1 (en) IC card read/write apparatus
JP3521703B2 (ja) カードリーダ
US20120312835A1 (en) Cassette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1117350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셔터장치
KR20060008842A (ko) 자동서비스기기의 지폐적재함 및 이를 이용한 지폐적재장치
KR10104125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장치
JP2009131514A (ja) 遊技機用施錠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遊技機
EP0987708B1 (en) Cartridge
CN110021107B (zh) 用于处理有面值的纸币的装置
KR102379589B1 (ko) 금융 자동화기기
WO1999038113A1 (en) Card reader with security gate
JPH0652542B2 (ja) カードリーダのシヤツタ機構
JP4205610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20240047552A (ko)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커넥팅 장치
JP5228814B2 (ja) 紙幣識別装置
JP2001162008A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