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613B1 -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613B1
KR100780613B1 KR1020060060892A KR20060060892A KR100780613B1 KR 100780613 B1 KR100780613 B1 KR 100780613B1 KR 1020060060892 A KR1020060060892 A KR 1020060060892A KR 20060060892 A KR20060060892 A KR 20060060892A KR 100780613 B1 KR100780613 B1 KR 100780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nse amplifier
write
enable signal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060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613B1/ko
Priority to US11/647,318 priority patent/US7599238B2/en
Priority to JP2007050765A priority patent/JP2008016169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4Bit-line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65Differential amplifiers of latching 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8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2Bit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equalising circuits, for bit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27Standby or low power modes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제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라이트 드라이버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라이트 동작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와 반대 극성의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경우, 비트라인 감지증폭기의 래치값을 뒤집는 것이 가장 큰 로드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라이트 동작시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를 일시적으로 디스에이블 시켜 라이트 동작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라이트 동작시 비트라인 감지증폭기의 디스에이블 구간을 정의하기 위하여 컬럼 선택신호가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컬럼 선택신호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비트라인 감지증폭기가 디스에이블 된다면 전류 소모 저감 및 라이트 동작 시간 감소 측면에서 최대의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라이트 리커버리 시간,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 반대 극성 데이터,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구동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SDRAM의 간략화된 블럭 다이어그램.
도 2는 도 1의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19)와 감지증폭기 제어부(17)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SDRAM의 동작 타이밍 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DRAM의 블럭 다이어그램.
도 5는 도 4의 라이트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제어부의 로직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딜레이의 회로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DRAM의 동작 타이밍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로우 제어 회로
13: 컬럼 제어 회로
14: 라이트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제어부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제어에 관한 것이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을 비롯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고집적화와 더불어 동작 속도의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다.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동작 속도가 빨라지면 동작 마진을 확보하기가 어려워진다.
D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정 비트라인과 부 비트라인의 차동 비트라인 쌍을 두고,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를 사용하여 셀 데이터를 읽어낸다. 로우 어드레스에 의해서 선택된 워드라인이 활성화되면 그 워드라인에 연결된 다수 개의 메모리 셀의 데이터가 비트라인에 전달되고,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는 비트라인 쌍의 전압 차이를 감지 및 증폭하게 된다.
도 1은 SDRAM의 간략화된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럭(CLK), 커맨드(/CS, /RAS, /CAS, /WE), 어드레스(A<0:i>)를 버퍼링하고, 커맨드(/CS, /RAS, /CAS, /WE)를 디코딩하여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 액티브 커맨드 신호(ACT), 프리차지 커맨드 신호(PRE) 등의 로우 커맨드 신호와, 리스 커맨드 신호(RD), 라이트 커맨드 신호(WT)와 같은 컬럼 커맨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 버퍼 및 커맨드 디코더(11)와, 로 우 커맨드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A<0:i>)에 응답하여 로우 프리디코딩 신호(RA<0:k>)와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0:j>)를 생성하기 위한 로우 제어 회로(12)와, 컬럼 커맨드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A<0:i>)에 응답하여 컬럼 프리디코딩 신호(CA<0:l>)를 생성하기 위한 컬럼 제어 회로(13)가 구비된다.
또한, 뱅크 내에는 다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MS0, MS1, …, MSj)(18)와 다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기(BLSA) 어레이(19)가 교대로 배치되며, 컬럼 프리디코딩 신호(CA<0:l>)를 입력받아 특정 컬럼에 대응하는 컬럼 선택신호(YS)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컬럼 디코더(16)와, 로우 프리디코딩 신호(RA<0:k>)와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0:j>)를 입력받아 워드라인(WL0, WL1, …, WLk)을 선택하기 위한 로우 디코더(15)와,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0:j>)에 응답하여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19)를 제어하기 위한 감지증폭기 제어부(SAC)(17)가 구비된다.
여기서,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19) 각각은 그 상/하부에 배치된 메모리 셀 어레이(18)에 공유되기 때문에, 그에 대응하는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0:j>)는 물론 인접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19)에 대응하는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0:j>)에도 제어 받는다.
한편, 도 2는 도 1의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19)와 감지증폭기 제어부(17)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19)는 상위 비트라인 분리부(23), 감지증폭기(24), 비트라인 이퀄라이즈/프리차지부(25), 하위 비트라인 분리부(26)를 구비하며, 감지증폭기 제어부(17)는 감지증폭기 전원라인 구동부(22)와 구동 제어신호 생 성부(21)를 구비한다.
여기서, 비트라인 감지증폭기(24)는 풀업 전원라인(RTO 라인)에 접속된 두 개의 풀업 PMOS 트랜지스터와, 풀다운 전원라인(통상, SB 라인이라 함)에 접속된 두 개의 풀다운 NMOS 트랜지스터가 크로스 접속된 래치 구조를 가지며,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m)가 활성화되어 SB 라인 및 RTO 라인이 예정된 전압 레벨로 구동되면 비트라인 쌍(BLn, /BLn) - 전하공유 상태로 미세한 전압차를 가짐 - 의 전압차를 감지하여, 하나는 접지전압(VSS) 레벨로 하나는 코어전압(VCORE) 레벨로 증폭한다.
또한, 상위 비트라인 분리부(23)는 상위 비트라인 분리신호(SHL)에 응답하여 상위 메모리 셀 어레이(m-1)의 비트라인 쌍(BLn, /BLn)과 감지증폭기(24)를 분리/연결하기 위한 2개의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하위 비트라인 분리부(26)는 하위 비트라인 분리신호(SHR)에 응답하여 하위 메모리 셀 어레이(m)의 비트라인 쌍(BLn, /BLn)과 감지증폭기(24)를 분리/연결하기 위한 2개의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비트라인 이퀄라이즈/프리차지부(25)는 비트라인 이퀄라이즈 신호(BLEQ)에 응답하여 비트라인 쌍(BLn, /BLn)을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으로 이퀄라이즈 및 프리차지하기 위한 3개의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한편, 감지증폭기 전원라인 구동부(22)는 RTO 라인 구동 제어신호(SAP)에 응답하여 RTO 라인을 코어전압(VCORE)으로 구동하기 위한 NMOS 트랜지스터와, SB 라인 구동 제어신호(SAN)에 응답하여 SB 라인을 접지전압(VSS)으로 구동하기 위한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또한, 구동 제어부(21)는 액티브 커맨드 신호(ACT) 및 프리차지 커맨드 신호(PRE)를 받아서 생성된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m)를 지연시켜 RTO 라인 구동 제어신호(SAP) 및 SB 라인 구동 제어신호(SAN)를 생성하기 위한 다수의 인버터를 구비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SDRAM의 동작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액티브 커맨드(ACT)가 인가되어 로우 프리디코딩 신호(RA<0:k>)에 대응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라인(WL)이 인에이블 되면 셀 캐패시터와 비트라인(BLn, /BLn) 사이에 전하 공유가 일어나 비트라인쌍(BLn, /BLn) 간에 미세한 전압차가 유기된다.
한편, 액티브 커맨드(ACT) 인가 시점으로부터 일정 딜레이 이후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n>)가 활성화되면 RTO 라인 구동 제어신호(SAP)와 SB 라인 구동 제어신호(SAN)가 활성화되어 감지증폭기 전원라인 구동부(22)의 두 NMOS 트랜지스터가 RTO 라인 및 SB 라인을 코어전압(VCORE) 및 접지전압(VSS)으로 구동하게 된다. 예컨대, 메모리 셀에 데이터 '1'이 저장된 경우, 정 비트라인(BLn)은 데이터 '1'에 대응하는 코어전압(VCORE) 레벨로, 부 비트라인(/BLn)은 데이터 '0'에 대응하는 접지전압(VSS) 레벨로 증폭된다.
이후, 리드 커맨드(RD)가 인가되면, 컬럼 프리디코딩 신호(CA<0:l>)에 대응하는 컬럼 선택신호(YS)가 활성화되어 비트라인(BLn, /BLn)에 실린 데이터가 데이터 버스를 통해 코어영역 외부로 출력된다.
또한, 라이트 커맨드(WT)가 인가되면, 역시 컬럼 프리디코딩 신호(CA<0:l>)에 대응하는 컬럼 선택신호(YS)가 활성화되어 데이터 버스에 실린 데이터를 비트라인(BLn, /BLn)에 기입하게 된다.
이후, 비트라인(BLn, /BLn)에 실린 데이터를 메모리 셀에 재기입하는 과정을 거치고, 프리차지 커맨드(PRE)가 인가되면 워드라인(WL)을 비활성화시키고,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n>) 역시 비활성화시켜 킴으로써 감지증폭기(24)를 디스에이블 시킨 후, 비트라인(BLn, /BLn)을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레벨로 이퀄라이즈/프리차지 시키게 된다.
그런데, 라이트 동작을 수행할 때,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와 반대 극성의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경우에는 감지증폭기(24)에 래치된 데이터를 뒤집어서 구동해야 하기 때문에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와 동일 극성의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경우에 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어 라이트 리커버리 시간(tWR) 특성이 열악해진다.
한편, 라이트 드라이버를 매우 크게 설계하면 라이트 동작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라이트 동작을 수행할 때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와 반대 데이터를 라이트하기 위해서는 라이트 드라이버는 매우 긴 데이터 버스를 구동해야 함은 물론, 감지증폭기(24)에 래치된 데이터를 뒤집어서 비트라인(BLn, /BLn)을 구동해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전류 소모가 많을 수밖에 없다. 여기에 라이트 동작 속도 개선을 위해 라이트 드라이버의 크기를 증가시킨다면 전류 소모는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한편, DRAM이 SDRAM, DDR1, DDR2, DDR3로 발전해 나가면서 라이트 되는 메모리 셀의 수가 계속 2배씩 증가하고 있어 전류 소모는 더욱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라이트 드라이버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라이트 동작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비트라인 쌍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및 증폭하기 위한 비트라인 감지증폭 수단과, 상기 비트라인 감지증폭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라이트 동작 구간에서 상기 비트라인 감지증폭 수단을 예정된 구간 동안 일시적으로 디스에이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비트라인 쌍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및 증폭하기 위한 비트라인 감지증폭 수단; 상기 비트라인 감지증폭 수단의 전원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라인 구동 수단;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라인 구동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제어 수단; 및 액티브 커맨드 신호 및 프리차지 커맨드 신호에 의해 정의되는 구간에서 활성화되되, 라이트 동작 구간에서 예정된 구간 동안 일시적으로 비활성화되는 상기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 성하기 위한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비트라인 쌍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및 증폭하기 위한 비트라인 감지증폭 수단; 액티브 커맨드 신호 및 프리차지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로우 제어 수단; 리드 커맨드 신호 및 라이트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컬럼 제어 수단;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 라이트 동작 구간에서 예정된 구간 동안 일시적으로 비활성화됨 - 를 생성하기 위한 라이트 감지증폭 인에이블 제어 수단; 상기 비트라인 감지증폭 수단의 전원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라인 구동 수단; 및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라인 구동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는 상기 라이트 커맨드에 대응하는 컬럼 선택신호가 활성화되는 시점 이전에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라이트 감지증폭 인에이블 제어 수단은, 상기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의 활성화 에지에서 예정된 펄스폭으로 활성화되는 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생성부와, 상기 펄스 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와 상기 제1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제2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조합부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액티브 커맨드 신호 및 프리차지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리드 커맨드 신호 및 라이트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 라이트 동작 구간에서 예정된 구간 동안 일시적으로 비활성화됨 - 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비트라인 쌍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및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구동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는 상기 라이트 커맨드에 대응하는 컬럼 선택신호가 활성화되는 시점 이전에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르면, 액티브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를 인에이블 시키는 단계; 라이트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라이트 동작 구간에서 예정된 구간 동안 일시적으로 상기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를 디스에이블 시키는 단계; 상기 예정된 구간 이후에 다시 상기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를 인에이블 시키는 단계; 및 프리차지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를 디스에이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구동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라이트 동작 구간에서 상기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는 라이트 커맨드에 대응하는 컬럼 선택신호가 활성화되는 시점 이전에 디스에이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와 반대 극성의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경우, 비트 라인 감지증폭기의 래치값을 뒤집는 것이 가장 큰 로드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라이트 동작시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를 일시적으로 디스에이블 시켜 라이트 동작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라이트 동작시 비트라인 감지증폭기의 디스에이블 구간을 정의하기 위하여 컬럼 선택신호가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컬럼 선택신호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비트라인 감지증폭기가 디스에이블 된다면 전류 소모 저감 및 라이트 동작 시간 감소 측면에서 최대의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DRAM의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SDRAM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럭(CLK), 커맨드(/CS, /RAS, /CAS, /WE), 어드레스(A<0:i>)를 버퍼링하고, 커맨드(/CS, /RAS, /CAS, /WE)를 디코딩하여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 액티브 커맨드 신호(ACT), 프리차지 커맨드 신호(PRE) 등의 로우 커맨드 신호와, 리드 커맨드 신호(RD), 라이트 커맨드 신호(WT)와 같은 컬럼 커맨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 버퍼 및 커맨드 디코더(11)와, 로우 커맨드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A<0:i>)에 응답하여 로우 프리디코딩 신호(RA<0:k>)와 제1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0:j>)를 생성하기 위한 로우 제어 회로(12)와, 컬럼 커맨드 신호 및 어드레스 신 호(A<0:i>)에 응답하여 컬럼 프리디코딩 신호(CA<0:l>) 및 라이트 프리 컬럼 선택신호(YSW)를 생성하기 위한 컬럼 제어 회로(13)와, 제1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0:j>) 및 라이트 프리 컬럼 선택신호(YSW)에 응답하여 제2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W<0:j>)를 생성하기 위한 라이트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제어부(14)를 구비한다.
또한, 뱅크 내에는 다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MS0, MS1, …, MSj)(18)와 다수의 비트라인 감지증폭기(BLSA) 어레이(19)가 교대로 배치되며, 컬럼 프리디코딩 신호(CA<0:l>)를 입력받아 특정 컬럼에 대응하는 컬럼 선택신호(YS)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컬럼 디코더(16)와, 로우 프리디코딩 신호(RA<0:k>)와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0:j>)를 입력받아 워드라인(WL0, WL1, …, WLk)을 선택하기 위한 로우 디코더(15)와, 제2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0:j>)에 응답하여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19)를 제어하기 위한 감지증폭기 제어부(SAC)(17)가 구비된다.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19) 각각은 그 상/하부에 배치된 메모리 셀 어레이(18)에 공유되기 때문에, 그에 대응하는 제2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W<0:j>)는 물론 인접 비트라인 감지증폭기 어레이(19)에 대응하는 제2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W<0:j>)에도 제어 받는다.
여기서, 라이트 프리 컬럼 선택신호(YSW)는 라이트 커맨드 신호(WT)에 의해 생성되는 컬럼 선택신호(YS) 보다 위상이 빠른 신호로서, 라이트 동작시 감지증폭기(24)가 디스에이블 되는 시점을 정의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컬럼 선택신호(YS)는 리드 커맨드 신호(RD) 또는 라이트 커맨드 신호(WT)의 활성화 시점으로부터 일 정 지연시간 이후에 예정된 펄스폭으로 활성화되는데, 컬럼 제어 회로(13)에서 이 컬럼 선택신호(YS)의 위상을 다소 앞당겨 라이트 프리 컬럼 선택신호(YSW)로 출력하는 데는 별 어려움이 없다.
도 5는 도 4의 라이트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제어부(14)의 로직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라이트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제어부(14)는, 라이트 프리 컬럼 선택신호(YSW)의 라이징 에지에서 예정된 펄스폭으로 활성화되는 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생성부(50)와, 펄스 생성부(5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와 제1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0:j>)를 조합하여 제2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W<0:j>)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조합부(55)를 구비한다.
여기서, 펄스 생성부(50)는, 라이트 프리 컬럼 선택신호(YSW)를 지연시키기 위한 딜레이(52)와, 딜레이(52)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인버터(INV11)와, 라이트 프리 컬럼 선택신호(YSW) 및 인버터(INV11)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낸드 게이트(NAND11)와, 낸드 게이트(NAND11)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인버터(INV12)와, 인버터(INV12)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인버터(INV13)를 구비한다.
또한, 신호 조합부(55)는 펄스 생성부(50)의 출력신호 및 제1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0:j>)를 입력으로 하는 낸드 게이트(NAND12)와, 낸드 게이트(NAND12)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제2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W<0:j>)를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INV14)를 구비한다.
도 6은 도 5의 딜레이(52)의 회로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딜레이(52)는 인버터 체인 - 짝수개의 인버터로 구성됨 - 과, 각 인버터의 출력단에 접속된 저항 및 캐패시터 - 전원전압(VDD)과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와 접지전압(VSS)에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됨 - 를 구비한다. 딜레이(52)의 지연량은 리드 동작시 원하는 제2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W<0:j>)의 디스에이블 구간에 따라 메탈 옵션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DRAM의 동작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액티브 커맨드(ACT)가 인가되어 로우 프리디코딩 신호(RA<0:k>)에 대응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워드라인(WL)이 인에이블 되면 셀 캐패시터와 비트라인(BLn, /BLn) 사이에 전하 공유가 일어나 비트라인쌍(BLn, /BLn) 간에 미세한 전압차가 유기된다.
한편, 액티브 커맨드(ACT) 인가 시점으로부터 일정 딜레이 이후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n>)가 활성화되면 RTO 라인 구동 제어신호(SAP)와 SB 라인 구동 제어신호(SAN)가 활성화되어 감지증폭기 전원라인 구동부(22)의 두 NMOS 트랜지스터가 RTO 라인 및 SB 라인을 코어전압(VCORE) 및 접지전압(VSS)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후, 리드 커맨드(RD)가 인가되면, 컬럼 프리디코딩 신호(CA<0:l>)에 대응하는 컬럼 선택신호(YS)가 활성화되어 비트라인(BLn, /BLn)에 실린 데이터가 데이터 버스를 통해 코어영역 외부로 출력된다. 이때, 라이트 프리 컬럼 선택신호(YSW)는 라이트 커맨드(WT) 인가시에만 활성화되는 신호이기 때문에 리드 동작시에는 활 성화되지 않으며, 이때의 동작은 종래기술과 다르지 않다.
또한, 라이트 커맨드(WT)가 인가되면, 역시 컬럼 프리디코딩 신호(CA<0:l>)에 대응하는 컬럼 선택신호(YS)가 활성화되어 데이터 버스에 실린 데이터를 비트라인(BLn, /BLn)에 기입하게 된다. 이때, 라이트 프리 컬럼 선택신호(YSW)가 컬럼 선택신호(YS) 보다 D3만큼 앞서 활성화되고, 라이트 프리 컬럼 선택신호(YSW)의 활성화 시점으로부터 라이트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제어부(14)의 딜레이(52)의 지연시간(D1)에 대응하는 구간 동안 제2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W<0:j>)가 비활성화된다.
이후, 제2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W<0:j>)가 다시 활성화되어 비트라인(BLn, /BLn)에 실린 데이터를 메모리 셀에 재기입하는 과정을 거치고, 프리차지 커맨드(PRE)가 인가되면 워드라인(WL)을 비활성화시키고,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SAENm) 역시 비활성화시켜 킴으로써 감지증폭기(24)를 디스에이블 시킨 후, 비트라인(BLn, /BLn)을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레벨로 이퀄라이즈/프리차지 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트 동작시 감지증폭기(24)가 일시적으로 디스에이블 된 상태에서 라이트 드라이버가 데이터를 비트라인(BLn, /BLn)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와 반대 극성의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경우에 종래에 비해 D2만큼 빠르게 감지증폭기(24)에 래치된 데이터를 뒤집을 수 있다. 따라서, 그만큼 라이트 동작 속도가 빨라지며, 이는 라이트 리커버리 시간(tWR) 특성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로서 라이트 커맨드 신호(WT)에 의해 생성되는 컬럼 선택신호(YS) 보다 위상이 빠른 라이트 프리 컬럼 선택신호(YSW)를 사용하여 라이트 동작시 일시적으로 감지증폭기를 디스에이블 시키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라이트 커맨드 신호(WT)에 의해 생성되는 컬럼 선택신호(YS)를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로서 직접 사용하거나 그보다 위상이 느린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실시예에 비해 동작 시간 측면에서 효율이 다소 떨어지겠지만 종래기술에 비해 유리할 것임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노말 드라이빙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오버 드라이빙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라이트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제어부의 로직 구현예는 가능한 수많은 구현예 중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사용되는 신호의 종류 및 그 액티브 극성에 따라 다른 로직으로의 변경이 불가피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SDRAM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노말 DRAM, DDR, DDR2, DDR3와 같이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를 구비하는 모든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라이트 동작 시간을 줄이고 라이트 리커버리 시간(tWR) 특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적용하면 라이트 드라이버의 크기를 크게 설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류 소모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비트라인 쌍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및 증폭하기 위한 비트라인 감지증폭 수단;
    상기 비트라인 감지증폭 수단의 전원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라인 구동 수단;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라인 구동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제어 수단; 및
    액티브 커맨드 신호 및 프리차지 커맨드 신호에 의해 정의되는 구간에서 활성화되되, 라이트 동작 구간에서 예정된 구간 동안 일시적으로 비활성화되는 상기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 수단
    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3. 비트라인 쌍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및 증폭하기 위한 비트라인 감지증폭 수단;
    액티브 커맨드 신호 및 프리차지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로우 제어 수단;
    리드 커맨드 신호 및 라이트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컬럼 제어 수단;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 라이트 동작 구간에서 예정된 구간 동안 일시적으로 비활성화됨 - 를 생성하기 위한 라이트 감지증폭 인에이블 제어 수단;
    상기 비트라인 감지증폭 수단의 전원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라인 구동 수단; 및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라인 구동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는 상기 라이트 커맨드에 대응하는 컬럼 선택신호가 활성화되는 시점 이전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감지증폭 인에이블 제어 수단은,
    상기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의 활성화 에지에서 예정된 펄스폭으로 활성화되는 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생성부와,
    상기 펄스 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와 상기 제1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제2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생성부는,
    상기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딜레이;
    상기 딜레이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1 인버터;
    상기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와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1 낸드 게이트;
    상기 제1 낸드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2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3 인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합부는,
    상기 제3 인버터의 출력신호 및 상기 제1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2 낸드 게이트;
    상기 제2 낸드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제2 감지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4 인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는 라이트 동작 구간에서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가 일시적으로 비활성화되는 예정된 구간에 해당하는 만큼의 지연시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9. 액티브 커맨드 신호 및 프리차지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감지증폭 인에 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리드 커맨드 신호 및 라이트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 라이트 동작 구간에서 예정된 구간 동안 일시적으로 비활성화됨 - 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비트라인 쌍에 실린 데이터를 감지 및 증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구동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컬럼 액세스 구간 정보신호는 상기 라이트 커맨드에 대응하는 컬럼 선택신호가 활성화되는 시점 이전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구동방법.
  11. 액티브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를 인에이블 시키는 단계;
    라이트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라이트 동작 구간에서 예정된 구간 동안 일 시적으로 상기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를 디스에이블 시키는 단계;
    상기 예정된 구간 이후에 다시 상기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를 인에이블 시키는 단계; 및
    프리차지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를 디스에이블 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구동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라이트 동작 구간에서 상기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는 라이트 커맨드에 대응하는 컬럼 선택신호가 활성화되는 시점 이전에 디스에이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구동방법.
KR1020060060892A 2006-06-30 2006-06-30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100780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892A KR100780613B1 (ko) 2006-06-30 2006-06-30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구동방법
US11/647,318 US7599238B2 (en) 2006-06-30 2006-12-29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7050765A JP2008016169A (ja) 2006-06-30 2007-02-28 半導体メモリ素子及びその駆動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892A KR100780613B1 (ko) 2006-06-30 2006-06-30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613B1 true KR100780613B1 (ko) 2007-11-29

Family

ID=3887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892A KR100780613B1 (ko) 2006-06-30 2006-06-30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99238B2 (ko)
JP (1) JP2008016169A (ko)
KR (1) KR1007806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4500B2 (en) 2010-02-26 2012-05-22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223537B1 (ko) * 2010-10-29 2013-01-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277B1 (ko) * 2008-08-20 2010-03-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 입력 버퍼 인에이블 신호 발생 회로 및 방법
JP2011175696A (ja) * 2010-02-23 2011-09-08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
KR101171254B1 (ko) 2010-05-31 2012-08-0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비트라인 센스앰프 제어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20120759A (ko) * 2011-04-25 2012-11-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집적회로 및 그의 구동방법
JP2012230737A (ja) * 2011-04-26 2012-11-22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
KR101895420B1 (ko) * 2012-05-25 2018-09-0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센스 앰프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654725B1 (ko) * 2015-01-16 201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9978444B2 (en) * 2016-03-22 2018-05-22 Qualcomm Incorporated Sense amplifier enabling scheme
KR20210005425A (ko) 2019-07-05 2021-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데이터 라이트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8288A (ja) * 1991-03-07 1992-10-02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5291447A (en) 1991-07-30 1994-03-01 Fujitsu Limit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function of controlling sense amplifiers
US5982692A (en) 1997-08-01 1999-1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it line boost amplifier
KR20000009375A (ko) * 1998-07-23 2000-02-15 윤종용 기입 시간을 최소화하는 메모리장치 및 데이터 기입방법
KR20000066547A (ko) * 1999-04-19 2000-11-15 김영환 저전력 내장형 에스램
KR20020025501A (ko) * 2000-09-29 2002-04-04 박종섭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터 라이트 회로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8618A (en) 1984-08-20 1987-07-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dividual source positioning mechanism for a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JP2759689B2 (ja) * 1989-11-24 1998-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Ramの読み出し回路
JP3305449B2 (ja) * 1993-09-17 2002-07-22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H08335392A (ja) * 1995-06-08 1996-12-17 Miyagi Oki Denki Kk 半導体メモリ用センスアンプ回路
JP3933769B2 (ja) * 1997-10-20 2007-06-20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H11339474A (ja) * 1998-05-22 1999-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記憶装置
JP2001101863A (ja) * 1999-09-27 2001-04-13 Fujitsu Ltd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3196983A (ja) 2001-12-27 2003-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2004199842A (ja) * 2002-12-20 2004-07-15 Nec Micro Systems Ltd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213830A (ja) * 2003-01-08 2004-07-29 Sony Corp 半導体記憶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8288A (ja) * 1991-03-07 1992-10-02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5291447A (en) 1991-07-30 1994-03-01 Fujitsu Limit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function of controlling sense amplifiers
US5982692A (en) 1997-08-01 1999-1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it line boost amplifier
KR20000009375A (ko) * 1998-07-23 2000-02-15 윤종용 기입 시간을 최소화하는 메모리장치 및 데이터 기입방법
KR20000066547A (ko) * 1999-04-19 2000-11-15 김영환 저전력 내장형 에스램
KR20020025501A (ko) * 2000-09-29 2002-04-04 박종섭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터 라이트 회로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4500B2 (en) 2010-02-26 2012-05-22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223537B1 (ko) * 2010-10-29 2013-01-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8437205B2 (en) 2010-10-29 2013-05-07 SK Hynix Inc.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99238B2 (en) 2009-10-06
US20080002498A1 (en) 2008-01-03
JP2008016169A (ja)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613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구동방법
US821324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improved local input/output line precharge scheme
US822356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dopting improved local input/output line precharging scheme
US7298660B2 (en) Bit line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
US10504582B2 (en) Timing control circuit shared by a plurality of banks
US1112745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40038449A (ko) 계층구조의 데이터 입출력 라인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및 그 프리차지방법
KR20100102817A (ko) 반도체 장치의 콘트롤 신호 구동장치
US10658014B2 (en) Memory device with memory cell blocks, bit line sense amplifier blocks, and control circuit connected to bit line sense amplifier blocks to control constant levels of currents supplied to sensing driving voltage lines
JP4629249B2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情報読み出し方法
US10102900B2 (en) Memory device with separate read active signal and write active signal having different activation periods used for word line selection during read and write operation
KR10225990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220067206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센스 앰프 회로
KR10083836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감지증폭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
KR2011002548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990140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20100049192A (ko) 비트라인 디스터브 방지부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643201B2 (en) Memory device having read charge control, write charge control and floating or precharge circuits
KR101171254B1 (ko) 비트라인 센스앰프 제어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40060684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오버 드라이브 펄스 및 컬럼 선택 펄스 생성 회로
US11830569B2 (en) Readout circuit, memory, and method of reading out data of memory
KR100583148B1 (ko) 센싱 전류를 줄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240038421A (ko) 감지 증폭기, 감지 증폭기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및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KR100950578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
KR100706779B1 (ko) 노이즈의 영향을 적게받는 메모리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