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912B1 - 동기 판정 방법 및 동기 판정 장치 - Google Patents

동기 판정 방법 및 동기 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912B1
KR100777912B1 KR1020060038739A KR20060038739A KR100777912B1 KR 100777912 B1 KR100777912 B1 KR 100777912B1 KR 1020060038739 A KR1020060038739 A KR 1020060038739A KR 20060038739 A KR20060038739 A KR 20060038739A KR 100777912 B1 KR100777912 B1 KR 100777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determination
successful
possibilit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5229A (ko
Inventor
가즈유끼 가나자시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5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10Arrangements for initial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입 동작을 고속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동기부(2)는, 복조부(1)로부터 출력되는 복조 데이터로부터의 동기 패턴의 검출에 의해,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 가능한 조건이 성립하였을 때에 동기 신호로서 「H」를 출력하고,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 가능한 조건이 성립하였을 때에 Pre 동기 신호로서 「H」를 출력한다.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Seq.4′)이 개시되고나서 소정 시간 내에, 시퀀서(3)가 「H」인 Pre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없었을 때에는,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되어,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포기되고, 동기에 성공하지 못하였다고 판정되었을 때의 이행처인 Seq.1로 이행한다.
복조부, 동기부 시퀀서, 인입 시퀀스, 감시 시퀀스, Pre 동기 신호

Description

동기 판정 방법 및 동기 판정 장치{SYNCHRONIZ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 판정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Seq.4′의 프레임 동기 판정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시퀀스에서의 각 Seq.에 시간을 할당하여 실제로 인입 동작을 행하게 하였을 때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인입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복조 데이터로부터 검출되는 동기 패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종래의 인입 시퀀스에서의 각 Seq.에 시간을 할당하여 실제로 인입 동작을 행하게 하였을 때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복조부
2 : 동기부
3 : 시퀀서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소 58-178653호 공보
본 발명은, 복조 데이터로부터의 동기 패턴의 검출에 의해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조부 등을 구비한 수신 장치에서는, 수신파(변조파)가 수신되고, 소정의 인입 시퀀스에 따라서 인입 동작이 행해진다. 여기서, 그 인입 시퀀스의 일례를, 도 4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설명에서 복조부는 동기 검파 방식의 디지털 복조기로 한다.
도 4는, 그 인입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시퀀스(이하 「Seq.」라고 표기)(1 내지 3)에서는, 복조부 내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수신파(변조파)의 반송파 주파수에 추종시키기 위한 조정 제어가, 저 정밀도, 중 정밀도, 및 고 정밀도의 순으로 행해진다. 즉, 처음에는, 조정 스텝은 개략적이지만 광범위를 조정 가능한 저 정밀도의 조정부터 시작하여, 다음에 중 정밀도의 조정, 그리고 고 정밀도의 조정과 같은 상태로, 조정(인입)이 행해진다.
계속해서, Seq.4에서는, 복조부로부터 입력되는 복조 데이터로부터의 동기 패턴(예를 들면 동기 바이트로 이루어지는 패턴)의 검출이 행해지고,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복조 데이터로부터 동기 패턴을 검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Seq.4의 판정에서, 그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는 Seq.5로 진행하고, 인입 시퀀스를 완료하여 감시 시퀀스로 이행한다. 한편, Seq.4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는 Seq.1로 되돌아가고, Seq.4의 판정 결과가 Yes로 될 때까지 전술한 처리가 반복된다.
이상과 같은 인입 시퀀스에서, 상기한 Seq.4의 프레임 동기 판정에서 복조 데이터로부터 검출되는 동기 패턴을,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패킷이 204바이트로 구성되고, 1프레임이, 동기 바이트:0xB8을 선두 바이트로 하는 1개의 패킷과 동기 바이트: 0x47을 각각 선두 바이트로 하는 7개의 패킷으로 구성되는 비트 스트림에서의, 이들의 동기 바이트로 한 경우, Seq.4의 판정에서는, 오판정을 방지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수가 연속하는 프레임 중의 동기 바이트를 모두 검출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통상적이라면, 연속하는 5개의 프레임 이상의 동기 바이트를 모두 검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Seq.4의 프레임 동기 판정에서는, 만일, 연속하는 5개의 프레임 중의 동기 바이트를 모두 검출할 수 있었을 때에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하도록 하였다고 해도, Seq.4의 개시 직후부터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기 시작한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Seq.4의 판정에 할당하는 기간은, 마진을 취하여, 판정을 개시하고나서 최단으로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될 때까지의 시간(이 예에서는 연속하는 5개의 프레임 중의 동기 바이트를 모두 검출하는 데 필요한 시간)의 2배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된다. 또한, 5개의 프레임의 검출에는, 204*8*5=8160바이트분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고, 그 8160바이트분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1.6Mbaud라고 하는 시스템 조건 하에서는 10㎳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인입 시퀀스의 시퀀스 설계에서,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인입 시퀀스의 주기를 제한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인입 시퀀스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Seq.1에 40㎳, Seq.2에 20㎳, Seq.3에 20㎳, Seq.4에 20㎳의 시간을 할당하였다고 하면, Seq.1 내지 4의 합계 시간 100㎳ 중(1주기 중), 20㎳(20%)나 되는 시간을 Seq.4의 판정에 할애하게 되어, Seq.1 내지 3의 저중고 정밀도의 조정을 행하는 데 80㎳(80%)밖에 없게 된다. 또한, 도 4에서의 동기 신호는,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 가능한 조건(예를 들면 연속하는 5개의 프레임 중의 동기 바이트를 모두 검출할 수 있었던 것)이 성립하였을 때에 「H」로 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L」로 되는 신호이다. 따라서, 이 동기 신호의 「H」를 검출함으로써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된다. 도 4의 예에서는, 1주기째의 프레임 동기 판정에서는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지 않았지만 2주기째의 프레임 동기 판정에서는 프레임 동기에 성공한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Seq.4의 프레임 동기 판정에서는, 어느 정도의 수가 연속하는 프레임 중의 동기 바이트를 모두 검출할 필요가 있고, 또한, 판정을 개시하고 나서 최단으로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될 때까지의 시간 이상의 시간이 Seq.4에 할당되기 때문에, Seq.1 내지 4(1주기)에 할당하는 시간을 일정하게 하고 있던 경우에는, Seq.4에서의 프레임의 검출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면 상대적으로 Seq.1 내지 3의 저중고 정밀도의 조정에 할당하는 시간이 적어져, 충분한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충분한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프레임 동기에 성공할 확률이 낮아져, 인입 시퀀스를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인입 동작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에 놓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인입 동작의 고속화를 가능하게 하는 동기 판정 방법 및 동기 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동기 판정 방법은,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입력되는 복조 데이터로부터의 동기 패턴의 검출에 의해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기 판정 스텝과,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한 동기 패턴의 검출 경과를 이용하여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기 가능성 판정 스텝과,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스텝에 의해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한 판정을 포기하고,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해 동기에 성공하지 못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 행해지는 제어로 이행하는 동기 판정 포기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동기 판정 방법은, 상기 제1 양태에서,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스텝에 의해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한 판정을 계속하는 동기 판정 계속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동기 판정 방법은, 상기 제1 또는 제2 양태에서, 상기 동기 판정 스텝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입력되는 복조 데이터로부터, 연속하는 제1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른 동기 판정 방법은, 상기 제3 양태에서,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스텝은,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한 동기 패턴의 검출 중에서, 상기 연속하는 제1 소정량의 데이터보다도 데이터량이 적은 연속하는 제2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른 동기 판정 방법은, 상기 제4 양태에서, 상기 동기 판정 스텝은,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개시하고나서 제1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연속하는 제1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할 수 있었을 때에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른 동기 판정 방법은, 상기 제5 양태에서,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스텝은,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한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개시되고나서 상기 제1 소정 시간 보다도 짧은 제2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연속하는 제2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할 수 있었을 때에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동기 판정 방법에 따르면, 동기 가능성 판정 스텝에 의해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한 판정이 포기되고,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해 동기에 성공하지 못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 행해지는 제어로 이행하도록 되기 때문에,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없는 경우의,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동기 판정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동기 판정 장치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 판정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지 않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수신파(변조파)는, 일단 중간 주파 신호로서의 수신 변조 신호로 변환되고, 이것이 주 신호로서 복조부(1)에 입력된다.
복조부(1)는, 동기 검파 방식의 디지털 복조기로서, 주 신호를 디지털 복조하여 복조 데이터를 비트 스트림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복조부(1)에서는, 시퀀서(3)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 하에서, 복조부(1) 내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주 신호(수신 변조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에 추종시키도록 조정하는 제어가 행해진다.
동기부(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동기 판정(상세하게는 후술)이 개시 되고 나서, 복조부(1)로부터 비트 스트림으로서 입력되는 복조 데이터로부터의 동기 패턴의 검출에 의해,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 가능한 제1 조건이 성립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제1 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동기 신호로서 「H」를 출력하고, 그 이외에는 동기 신호로서 「L」을 출력한다. 또한, 그 제1 조건이 성립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 중에서의 동기 패턴의 검출 경과를 이용하여, 프레임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 가능한 제2 조건이 성립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제2 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Pre 동기 신호로서 「H」를 출력하고, 그 이외에는 Pre 동기 신호로서 「L」을 출력한다. 또한, 동기부(2)는, 복조부(1)로부터 비트 스트림으로서 입력된 복조 데이터를 주 신호 출력으로서 후단에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동기부(2)가 복조 데이터로부터 검출하는 동기 패턴은, 전술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동기 바이트와 마찬가지로, 1패킷이 204바이트로 구성되고, 1프레임이, 동기 바이트: 0xB8을 선두 바이트로 하는 1개의 패킷과 동기 바이트: 0x47을 각각 선두 바이트로 하는 7개의 패킷으로 구성되는 비트 스트림에서의, 이들의 동기 바이트로 한다. 또한, 상기한 제1 조건은, 5개의 연속하는 프레임 중의 동기 바이트를 모두 검출할 수 있었던 것으로 하고, 상기한 제2 조건은, 2개의 연속하는 프레임 중의 동기 바이트를 모두 검출할 수 있었던 것으로 한다.
시퀀서(3)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입 시퀀스에 따라서, 복조부(1)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동기부(2)로부터 입력되는 Pre 동기 신호와 동기 신호의 상 태를 검출하고, 그 상태에 따라서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복조부(1)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인입 시퀀스에 따라서 행해지는 인입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입 시퀀스는, 프레임 동기 판정에 관계되는 시퀀스의 내용이 도 4에 도시한 Seq.4의 프레임 동기 판정의 내용과 상이하지만, 그 이외에는 도 4에 도시한 인입 시퀀스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인입 시퀀스의 설명에서는, 프레임 동기 판정에 관계되는 시퀀스를 Seq.4′로 표기하고, 그 이외의 시퀀스에 대해서는 그대로 Seq.1 내지 3 및 Seq.5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입 시퀀스에서, 우선, Seq.1 내지 3에서는, 저 정밀도, 중 정밀도, 및 고정밀도의 순으로, 복조부(1) 내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주 신호(수신 변조 신호)의 반송파의 주파수에 추종시키도록 조정하는 제어가, 시퀀서(3)로부터 복조부(1)에 출력되는 제어 신호 하에서 행해진다.
계속해서, Seq.4′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동기 판정이 행해진다. 전술한 도 4에 도시한 Seq.4의 프레임 동기 판정에서는,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되지 않았을 때에만 Seq.1로 되돌아가는 것이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Seq.4′의 프레임 동기 판정에서는,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것에 부가해서, 그 판정 중에, 그 도중 경과를 이용하여 프레임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도 판정하고, 그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하였을 때에 한하여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계속하고, 그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포기하고 Seq.1로 되돌아가게 되어 있다. 즉, 프레임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도, Seq.1로 되돌아가게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Seq.4′에서는, 해당 Seq.4′가 개시되고나서 제1 소정 시간 내에 시퀀서(3)가 「H」인 동기 신호를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또한, 그 판정 중에서는, 해당 Seq.4′가 개시되고나서 제2 소정 시간(단, 제2 소정 시간<제1 소정 시간) 내에 시퀀서(3)가 「H」인 Pre 동기 신호를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프레임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해당 Seq.4′가 개시되고나서 제2 소정 시간 내에 시퀀서(3)가 「H」인 Pre 동기 신호를 검출하였을 때에는, 프레임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하고, 계속해서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계속한다. 한편, 해당 Seq.4′가 개시되고나서 제2 소정 시간 내에 시퀀서(3)가 「H」인 Pre 동기 신호를 검출하지 않았을 때에는, 프레임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하고,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포기하고 Seq.1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도 2를 이용하여, 이 Seq.4′의 프레임 동기 판정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또한, 도 2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조건을 2개의 연속하는 프레임 중의 동기 바이트를 모두 검출할 수 있었던 것으로 한 경우의 Pre 동기 신호의 예를 Pre 동기 신호(예1)로서 나타냄과 함께, 제2 조건을 3개의 연속하는 패킷 중의 동 기 바이트를 모두 검출할 수 있었던 것으로 한 경우의 Pre 동기 신호의 예도 Pre 동기 신호(예2)로서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Seq.4′가 개시되고나서 제2 소정 시간 내에, 제2 조건이 성립하여 Pre 동기 신호가 「H」로 되면, 프레임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되어,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그대로 계속되고, 그리고 Seq.4′가 개시되고나서 제1 소정 시간 내에, 제1 조건(5개의 연속하는 프레임 중의 동기 바이트를 모두 검출할 수 있었던 것)이 성립하여 동기 신호가 「H」로 되면,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된다.
또한, Seq.4′의 프레임 동기 판정에서,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Seq.5로 진행하여, 인입 시퀀스가 완료되어, 감시 시퀀스로 이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입 시퀀스에서의 각 Seq.에 시간을 할당하여 실제로 인입 동작을 행하게 하였을 때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한 할당과 마찬가지로, Seq.1에 40㎳, Seq.2에 20㎳, Seq.3에 20㎳를 할당함과 함께, Seq.4′의 제1 소정 시간으로서 20㎳, 제2 소정 시간으로서 10㎳를 할당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주기째의 Seq.4′(도 3에서는 도면 스페이스의 형편상 S4′로 표기)에서는, 해당 Seq.4′가 개시되고나서 제2 소정 시간 내(10㎳ 내)에 Pre 동기 신호가 「H」로 되지 않고 「L」 상태 그대로였기 때문에 프레임 동기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되어,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포기되고, Seq.1로 되돌아간다. 그 후, 2주기째의 Seq.4′에서는, 해당 Seq.4′가 개시되고나서 제2 소정 시간 내(10㎳ 내)에 Pre 동기 신호가 「H」로 되었기 때문에 프레임 동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되어,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계속된다. 그리고, 그 2주기째의 Seq.4′가 개시되고나서 제1 소정 시간 내(20㎳ 내)에 동기 신호가 「H」로 되었기 때문에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되어, Seq.5로 이행한다.
이 예의 경우, 1주기째의 Seq.1 내지 3 및 Seq.4′에 필요한 합계 시간은 90㎳로 되어, 도 6에 도시한 1주기째의 Seq.1 내지 4에 필요한 합계 시간 100㎳와 비교하면, 10%나 단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Seq.4′의 프레임 동기 판정에 따르면, 프레임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 중에, 그 도중 경과를 이용하여 프레임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도 판정하고, 그래서 프레임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즉시 Seq.1로 되돌아가도록 하였기 때문에, 프레임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없는 경우의 프레임 동기 판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인입 시퀀스를 완료할 때까지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 따른 동기 판정 장치에 따르면, 프레임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없는 경우의 프레임 동기 판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인입 동작을 고속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개량 및 변경을 행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부기 1)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입력되는 복조 데이터로부터의 동기 패턴의 검출에 의해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기 판정 스텝과,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한 동기 패턴의 검출 경과를 이용하여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기 가능성 판정 스텝과,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스텝에 의해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한 판정을 포기하고,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해 동기에 성공하지 못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 행해지는 제어로 이행하는 동기 판정 포기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판정 방법.
(부기 2)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스텝에 의해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한 판정을 계속하는 동기 판정 계속 스텝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동기 판정 방법.
(부기 3)
상기 동기 판정 스텝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입력되는 복조 데이터로부터, 연속하는 제1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동기 판정 방법.
(부기 4)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스텝은,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한 동기 패턴의 검출 중에서, 상기 연속하는 제1 소정량의 데이터보다도 데이터량이 적은 연속하는 제2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에 기재된 동기 판정 방법.
(부기 5)
상기 동기 판정 스텝은,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개시하고나서 제1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연속하는 제1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할 수 있었을 때에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4에 기재된 동기 판정 방법.
(부기 6)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스텝은,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한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개시되고나서 상기 제1 소정 시간 보다도 짧은 제2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연속하는 제2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할 수 있었을 때에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5에 기재된 동기 판정 방법.
(부기 7)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입력되는 복조 데이터로부터의 동기 패턴의 검출에 의해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기 판정 수단과,
상기 동기 판정 수단에 의한 동기 패턴의 검출 경과를 이용하여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기 가능성 판정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수단에 의해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동기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을 포기하고, 상기 동기 판정 수단에 의해 동기에 성공하지 못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 행해지는 제어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판정 장치.
(부기 8)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수단에 의해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동기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에 기재된 동기 판정 장치.
(부기 9)
상기 동기 판정 수단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입력되는 복조 데이터로부터, 연속하는 제1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 또는 8에 기재된 동기 판정 장치.
(부기 10)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수단은, 상기 동기 판정 수단에 의한 동기 패턴의 검출 중에서, 상기 연속하는 제1 소정량의 데이터보다도 데이터량이 적은 연속하는 제2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동 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9에 기재된 동기 판정 장치.
(부기 11)
상기 동기 판정 수단은,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개시하고나서 제1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연속하는 제1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할 수 있었을 때에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된 동기 판정 장치.
(부기 12)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수단은, 상기 동기 판정 수단에 의한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개시되고나서 상기 제1 소정 시간 보다도 짧은 제2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연속하는 제2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할 수 있었을 때에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동기 판정 장치.
(부기 13)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입력되는 복조 데이터로부터의 동기 패턴의 검출에 의해,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 가능한 제1 조건이 성립하였을 때에는 동기 신호로서 상기 제1 조건이 성립하였다는 취지의 신호를 출력하고,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 가능한 제2 조건이 성립하였을 때에는 Pre 동기 신호로서 상기 제2 조건이 성립하였다는 취지의 신호를 출력하는 동기 패턴 검출 수단과,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Pre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개시하고나서 소정 시간 내에,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포기하고, 동기에 성공하지 못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 행해지는 제어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판정 장치.
(부기 14)
상기 판정 수단은,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개시하고나서 소정 시간 내에,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에 기재된 동기 판정 장치.
(부기 15)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입력되는 복조 데이터로부터, 연속하는 제1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할 수 있었던 것이고,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입력되는 복조 데이터로부터, 상기 연속하는 제1 소정량의 데이터보다도 데이터량이 적은 연속하는 제2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할 수 있었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 또는 14에 기재된 동기 판정 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없는 경우의,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인입 동작을 고속화할 수 있다.

Claims (10)

  1.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입력되는 복조 데이터로부터의 동기 패턴의 검출에 의해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기 판정 스텝과,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한 동기 패턴의 검출 경과를 이용하여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기 가능성 판정 스텝과,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스텝에 의해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한 판정을 포기하고, 새로운 복조 데이터를 얻기 위한 제어로 이행하는 동기 판정 포기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판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스텝에 의해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한 판정을 계속하는 동기 판정 계속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판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판정 스텝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입력되는 복조 데이터로부터, 연속하는 제1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였는 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판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스텝은,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한 동기 패턴의 검출 중에서, 상기 연속하는 제1 소정량의 데이터보다도 데이터량이 적은 연속하는 제2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였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판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판정 스텝은,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개시하고나서 제1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연속하는 제1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였을 때에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판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스텝은, 상기 동기 판정 스텝에 의한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개시되고나서 상기 제1 소정 시간 보다도 짧은 제2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연속하는 제2 소정량의 데이터 중의 동기 패턴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였을 때에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판정 방법.
  7.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입력되는 복조 데이터로부터의 동기 패턴의 검출에 의해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기 판정 수단과,
    상기 동기 판정 수단에 의한 동기 패턴의 검출 경과를 이용하여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기 가능성 판정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수단에 의해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동기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을 포기하고, 새로운 복조 데이터를 얻기 위한 제어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판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가능성 판정 수단에 의해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동기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판정 장치.
  9.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입력되는 복조 데이터로부터의 동기 패턴의 검출에 의해, 동기에 성공하였다고 판정 가능한 제1 조건이 성립하였을 때에는 동기 신호로서 상기 제1 조건이 성립하였다는 취지의 신호를 출력하고,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 가능한 제2 조건이 성립하였을 때에는 Pre 동기 신호로서 상기 제2 조건이 성립하였다는 취지의 신호를 출력하는 동기 패턴 검출 수단과,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Pre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개시하고나서 소정 시간 내에,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던 경우에는,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포기하고, 새로운 복조 데이터를 얻기 위한 제어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판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개시하고나서 소정 시간 내에, 동기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던 경우에는, 동기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판정 장치.
KR1020060038739A 2006-01-10 2006-04-28 동기 판정 방법 및 동기 판정 장치 KR100777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02014A JP4922617B2 (ja) 2006-01-10 2006-01-10 同期判定方法及び同期判定装置
JPJP-P-2006-00002014 2006-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229A KR20070075229A (ko) 2007-07-18
KR100777912B1 true KR100777912B1 (ko) 2007-11-21

Family

ID=3823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739A KR100777912B1 (ko) 2006-01-10 2006-04-28 동기 판정 방법 및 동기 판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60837B2 (ko)
JP (1) JP4922617B2 (ko)
KR (1) KR100777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5244B2 (en) * 2010-06-16 2012-11-20 Harri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selective preamble synchronization portion and related methods
US8724762B2 (en) * 2011-07-04 2014-05-13 Faraday Technology Corp. Clock regeneration method, reference-less receiver, and crystal-less system
US8463960B2 (en) * 2011-08-08 2013-06-11 Arm Limited Synchronisation of data processing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931A (ko) * 1995-07-18 1997-02-24 기타오카 다카시 디지털수신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8653A (ja) 1982-04-13 1983-10-19 Nec Corp 多相psk通信方式
US5428647A (en) * 1992-12-07 1995-06-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 received signal in a digital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970008931B1 (en) 1994-11-24 1997-06-03 Daewoo Telecom Ind Method for outputting the test result in the full electronic switching system
KR100287141B1 (ko) * 1997-11-21 2001-04-16 윤종용 비정상동기신호제거방법
JP4542243B2 (ja) 2000-07-28 2010-09-08 エーユー オプトロニ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液晶セル、表示装置、液晶セルの製造方法
JP3536799B2 (ja) * 2000-09-07 2004-06-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フレーム同期回路および同期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750939B2 (en) 2001-04-25 2004-06-15 Agil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micro display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931A (ko) * 1995-07-18 1997-02-24 기타오카 다카시 디지털수신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1997-0008931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229A (ko) 2007-07-18
US20070160088A1 (en) 2007-07-12
JP2007184804A (ja) 2007-07-19
JP4922617B2 (ja) 2012-04-25
US7760837B2 (en) 201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1654B1 (en) Digital PLL circuit and signal regeneration method
KR100777912B1 (ko) 동기 판정 방법 및 동기 판정 장치
WO2008050849A1 (fr) Procédé de synchronisation de trame dans un procédé de communication ofdm et récepteur
JPH07336342A (ja) クロック再生回路
US5802121A (en) Synchronization device for digital communications
JP2007201960A (ja) 無線通信機及びその自動周波数制御方法
AU2002318930B2 (en) Null-pilot symbol assisted fast automatic frequency control
US5768321A (e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unit which detects a frame pattern in a phase modulation signal
WO2002067520A2 (en) Estimating frequency offset
JP2001156743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受信装置
JP2008283616A (ja) Ofdm受信装置
JP3930180B2 (ja) デジタル信号復調回路及び方法
JP3931969B2 (ja) 同期検出方法とその回路、無線基地局
JPH09247115A (ja) ディジタル無線通信受信機
JP2004254069A (ja) 受信機
JP2007013620A (ja) クロック再生装置、クロック再生方法、クロック再生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6335676B1 (en) Radio selective call receiver
JP4327371B2 (ja) ディジタルデータ伝送装置
JPH0771021B2 (ja) 同期回路
JP3608197B2 (ja) スペクトラム直接拡散信号の同期捕捉装置
JP2008011282A (ja) 周波数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2007143012A (ja) キャリア位相同期回路およびキャリア位相同期方法
JP2001268046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JP2940222B2 (ja) 搬送波再生装置
JP4972588B2 (ja) 無線受信機、そのフレーム同期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