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354B1 -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형 체결 장치 및 이러한 형 체결 장치를 구비한 금형 교환 방법 및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형 체결 장치 및 이러한 형 체결 장치를 구비한 금형 교환 방법 및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354B1
KR100771354B1 KR1020060042858A KR20060042858A KR100771354B1 KR 100771354 B1 KR100771354 B1 KR 100771354B1 KR 1020060042858 A KR1020060042858 A KR 1020060042858A KR 20060042858 A KR20060042858 A KR 20060042858A KR 100771354 B1 KR100771354 B1 KR 100771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plate
mold
side die
moving
movi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264A (ko
Inventor
마꼬또 쯔지
히로시 요꼬야마
신야 이따니
Original Assignee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7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6Mechanisms or devices for locking or opening dies
    • B22D17/263Mechanisms or devices for locking or opening dies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4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6Handling of moulds or mould parts, e.g. mould exchang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83/00Tool changing
    • Y10T483/17Tool changing including machine tool or component
    • Y10T483/1729Reciprocating tool machine tool [e.g., broaching machine, shaping machine,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다이 하이트를 가급적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다이캐스트 머신 등용의 다이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 플레이트를 구비한 형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베이스(BS) 상에 배치된 형 체결 장치의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FXPL)와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는 내부에 각각 범용 주형(FXD, MVD)을 수납하고 있다. 각 범용 주형에는 상면측 또는 측면측 타이 바아(TBU, TBD)와 간섭하는 일 없이 형 개방 공간에 투입된 한 쌍의 삽입자(FINS 및 MINS)가 서로 분리되어 체결된다.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가 형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다이 하이트는 대략 제로이거나 매우 작아지므로, 결과적으로 형 체결 장치의 형 개폐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금형 하중에 의해 특히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가 경사지게 되는 일도 없다.
베이스, 다이 플레이트, 타이 바아, 설치대, 볼 나사축, 범용 주형 외주부

Description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형 체결 장치 및 이러한 형 체결 장치를 구비한 금형 교환 방법 및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A MOLD CLAMPING APPARATUS OF A DIE CASTING MACHINE AND SO ON, A METHOD OF CHANGING A MOLD IN THE DIE CASTING MACHINE AND SO ON PROVIDED WITH THE MOLD CLAMPING APPARATUS AND A CHANGING APPARATUS OF A MOVING DIE PLATE}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이 플레이트를 구비한 형 체결 장치에 있어서의 금형 교환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배치도.
도4는 종래의 금형 교환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것이며, 상측 타이 바아를 인발 제거한 후, 한 쌍의 금형이 크레인 등으로 삽입자와 함께 형 개방 공간 내에 반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종래의 금형 교환 작업에 있어서의 일련의 작업 시퀀스를 예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설치대
12 : 너트부
14 : 결합 부재
16, 16A : 볼 나사축
18 : 가이드 수단
20 : 범용 주형 외주부
100 :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102 : 사출 슬리브
104 : 프레임
200 : 격납고
200A : 제1 격납 수단
200B : 제2 격납 수단
300A :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용 스테이션
300B : 삽입자용 스테이션
400 : 격납 수단
500A, 500B : 반송로
600 : 반송 제어 유닛
BS : 베이스
CYL : 형 체결 실린더
CYL1, CYL2, CYL3 : 코어용 실린더
CLMP1, CLMP2 : 클램프 장치
CNVㆍA1 및 CNVㆍA2 :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용 반송 캐리지
CNVㆍB : 삽입자용 반송 캐리지
DM1, DMi : 다이캐스트 머신
FINS : 고정측 삽입자
FXD : 고정측 범용 주형
FXPL :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
INS : 한 쌍의 삽입자
LD : 삽입자 탑재 수단
MINS : 이동측 삽입자
MVD : 이동측 범용 주형
MVPL :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
SG1 : 수신 신호
SG2 : 제어 신호
SVM : 서보모터
TB : 타이 바아
TBD : 하측 타이 바아
TBU : 상측 타이 바아
TBSC : 나사 또는 각홈부
본 발명은 다이캐스트 머신이나 사출 성형기(이하 다이캐스트 머신 등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형 개폐 방향의 길이를 가급적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한 형 체결 장치 및 이러한 형 체결 장치를 구비한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금형 교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이캐스트는 용해된 금속을, 정밀도 좋게 가공된 금형에 고속, 고압으로 주조하는 성형법이다. 그로 인해, 단조나 압출 등의 소성 가공이나 절삭 가공에 비해 복잡한 형상의 성형품을 1 공정으로 성형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갖고 있다. 그로 인해, 다이캐스트 머신은 각종 공업용 부품이나 복잡한 형상을 갖는 구성 요소, 특히 기계적 강도를 필요로 하는 부품, 부재, 자동차의 엔진 등의 구성 요소의 성형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으로 생산하는 산업 기계로서 적합하다.
한편, 상기 다양한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해 준비되는 다이캐스트 머신용 금형은 단일 철강 소재로부터 캐비티를 형성하는 것도 있지만, 주로 제작 비용의 관점에서, 대개는 각 성형품의 형상에 대응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삽입자(insert die)와, 상기 삽입자를 체결ㆍ유지하는 주형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이 점은, 상기 사출 성형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임). 따라서, 이 주형은 기능적으로 많은 종류의 성형품용 삽입자에 대응 가능하므로 범용성을 갖는 주형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용 금형은 사출 성형기의 경우에 비해 복잡한 형 상의 성형품을 성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코어를 다용하고, 그로 인해 많은 코어 실린더를 상하 혹은 좌우 방향에 배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이캐스트 머신용 금형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이동 금형을 구성하는 주형은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고정 금형을 구성하는 주형보다도 훨씬 많은 코어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고, 성형품의 압출핀 부분이나 상기 각 실린더로의 압유의 공급ㆍ배출 등의 다양한 요소ㆍ배관을 포함하므로 복잡한 구성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다수의 실린더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삽입자를 체결한 각 주형을 상기 이동측 및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에 각각 설치하는 경우, 그 반입 반출시, 타이 바아 등에 크레인으로 반입 반출하는 경우, 적어도 상측 2개의 타이 바아와의 간섭을 피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금형 교환시에는 사전에 타이 바아의 양 다이 플레이트로부터의 인발 제거 작업이 행해진다. 게다가 그것을 위해서는 타이 바아 인발 제거 전용 실린더를 설치하고 있고, 형 체결 장치의 형 개폐 방향의 길이는 이러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그만큼 길게 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도5는 상기 종래의 금형 교환 작업의 일련의 작업 시퀀스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T5, 스텝 ST9에서는 타이 바아의 인발 제거, 삽입이 행해지지만, 타이 바아는 중량이 크기 때문에, 그 인발 제거, 삽입의 이동에는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주형과 삽입자는 결합된 상태에서 다이캐스트 머신 내로 반 입(반출)되어, 각 다이 플레이트 대향면 상에 설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자와 주형의 체결 또는 체결 해제의 작업은 다이캐스트 머신의 외부에서, 금형 교환의 사전에 또는 사후에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고 있는 것은 금형 교환 전체의 시간을 단축시키는 데 적합하다.
도4는 상측 타이 바아(TBU)를 인발 제거한 후 한 쌍의 금형(MVD, FXD)이 크레인 등으로 삽입자와 함께 형 개방 공간 내에 반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형 개방 공간이라 함은,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FXPL)에 대해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가 소정량 후퇴하였을 때 양 다이 플레이트의 금형 설치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4에 있어서, 참조 부호 TBU는 상기 상측 타이 바아, CYL1, CYL2, CYL3은 코어용 실린더이고, 이들은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의 금형 설치면으로 고정되는 주형(MVD)에 탑재되어 있다. 참조 부호 MINS, FINS는 각각 주형(MVD, FXD)에 체결되어 있는 한 쌍의 삽입자이다.
도4에 있어서, 각 주형(MVD, FXD)이 이동측 및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의 금형 설치면에 체결된 상태에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를 형 폐쇄 위치까지 우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상기 양 금형 설치면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으로 다이 하이트(die height)라 하고, 도4에서는 주형(MVD와 FXD)의 타이 바아 축방향의 길이의 합이다. 이 다이 하이트는 상기 주형(MVD와 FXD)에 고유의 길이로, 다른 주형으로 변경하였다 해도 그 변경된 주형에 고유의 길이가 반드시 존재한다. 따라서, 주형의 고유의 다이 하이트 이하로 형 폐쇄 위치를 작게 할 수는 없는 것은 당연한 이 치이다.
한편, 종래의 다이캐스트 머신에서는, 도4에 있어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의 좌측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가장 많이 채용되고 있는 토글 기구 및 링크 하우징이 배치 결합되는 타입, 혹은 형 체결용 램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를 고정 유지하는 템플레이트를 배치하는 타입의 다이캐스트 머신이 있고, 이들 타입의 다이캐스트 머신에서는 베이스(BS)의 길이, 즉 형 체결 장치의 형 개폐 방향이 길고, 또한 타이 바아의 길이도 상기 링크 하우징이나 템플레이트까지 필요하므로, 길게 또한 그만큼 굵게 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형, 대형의 다이캐스트 머신에서는 상기 금형의 다이 하이트가 크고, 또한 그 중량도 수톤 내지 10톤 이상이나 되어, 특히 가이드 상을 이동하는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는 외팔보 때문에 굽힘 모멘트가 하방으로 항상 작용하여 전복, 경사의 요인이 된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분석, 연구, 검토 및 노력한 결과, 종래에는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금형 설치면에 주형을 체결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각 다이 플레이트의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상기 다양한 문제를 기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다이 하이트를 가급적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다이캐스트 머신 등용 다이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다이 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이캐스트 머신 등용 형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 상기 다이 플레이트를 구비한 형 체결 장치를 이용하여 금형을 교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 상기 다이 플레이트를 구비한 형 체결 장치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교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 교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교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 밖의,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기재 중에서 명백해진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이캐스트 머신 등용 다이 플레이트는 삽입자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ㆍ유지하는 범용 주형을 내부에 수납하여 구성된다.
그 경우, 상기 범용 주형은 상기 다이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ㆍ유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그 경우, 상기 범용 주형은 상기 다이 플레이트에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적어도 상기 범용 주형을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가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기계적 구성 부재인 것처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그 경우, 상기 다이 플레이트는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이캐스트 머신 등용 형 체결 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사출측 단부에 기립 설치 고정된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진퇴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가이드 수단과,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상기 가이드 수단 상에서 진퇴 이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과, 상기 각 다이 플레이트의 코너부 근방을 관통하는 동시에, 양 다이 플레이트의 형 체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타이 바아와,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와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 사이에 형 체결력을 부여하는 제2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각 다이 플레이트는 삽입자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ㆍ유지하는 범용 주형을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 경우, 상기 제1 구동 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축과, 상기 가이드 수단 상을 미끄럼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나사축과 나사 결합하는 너트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측면에 고정된 결합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그 경우, 상기 제2 구동 수단은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의 타이 바아 관통부에 형성된 형 체결 실린더와,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를 관통한 타이 바아의 일단부를 체결하는 제1 체결 수단과,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관통한 타이 바아의 타단부를 체결하는 제2 체결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금형 교환 방법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사출측 단부에 기립 설치 고정된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진퇴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가이드 수단과,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상기 가이드 수단 상에서 진퇴 이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과, 상기 각 다이 플레이트의 코너부 근방을 관통하는 동시에, 양 다이 플레이트의 형 체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타이 바아와,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와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 사이에 형 체결력을 부여하는 제2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각 다이 플레이트는 삽입자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ㆍ유지하는 범용 주형을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형 체결 장치를 갖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금형 교환 방법이며, 금형 교환 전의 상태에서 제1 금형을 형성하고 있고, 제1 삽입자를 체결한 제1 범용 레벨에 대응하는 제1 범용 주형을 수납하는 상기 각 다이 플레이트 중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소정 위치까지 후퇴시켜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 사이에 형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각 제1 범용 주형과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형 개방 공간으로 상기 각 제1 삽입자를 취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형 개방 공간으로 취출된 상기 각 제1 삽입자를 각각 단독, 또는 한 쌍의 제1 삽입자로서 결합하여 상기 형 개방 공간으로부터 제1 소정 위치로 반출하는 제3 단계와, 금형 교환 후의 상태에서 제2 금형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범용 레벨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2 삽입자를 제2 소정 위치에 준비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 이어서, 상기 제2 소정 위치에 대기하고 있는 한 쌍의 제2 삽입자를 상기 형 개방 공간으로 반입하는 제5 단계와, 상기 형 개방 공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자를 분리하여 각 각 상기 각 제1 범용 주형으로 체결시켜 상기 제2 금형을 형성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제6 단계 후,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소정의 형 폐쇄 위치까지 전진시키는 제7 단계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이 플레이트를 구비한 형 체결 장치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교환하는 방법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사출측 단부에 기립 설치 고정된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진퇴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가이드 수단과,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상기 가이드 수단 상에서 진퇴 이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과, 상기 각 다이 플레이트의 코너부 근방을 관통하는 동시에, 양 다이 플레이트의 형 체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타이 바아와,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와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 사이에 형 체결력을 부여하는 제2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구동 수단은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의 타이 바아 관통부에 형성된 형 체결 실린더와,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를 관통한 타이 바아의 일단부를 체결하는 제1 체결 수단과,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관통한 타이 바아의 타단부를 체결하는 제2 체결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다이 플레이트는 삽입자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ㆍ유지하는 범용 주형을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형 체결 장치를 갖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범용 주형을 다른 범용 주형과 교환하기 위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 교환 방법이며,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 교환 전의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범용 레벨에 대응하는 제1 범용 주형을 수납하는 제1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상기 제1 구동 수단에 의해 베이스 상의 제1 소정 위치까지 후퇴시켜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 사이에 형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각 다이 플레이트의 범용 주형과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형 개방 공간으로 각각 삽입자를 취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형 개방 공간으로 취출된 상기 각 삽입자를 각각 단독, 또는 한 쌍의 삽입자로서 결합하여 상기 형 개방 공간으로부터 반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후, 상기 제1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다시 상기 베이스 상의 제2 소정 위치로 후퇴 이동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 제1 범용 레벨과 다른 제2 범용 레벨에 대응하는 제2 범용 주형을 수납한 제2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소정의 대기 위치에 준비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에 이어서 상기 제2 소정 위치에 있는 제1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베이스 상으로부터 반출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제6 단계 후, 상기 대기 위치에 준비된 제2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상기 제2 소정 위치로 반입하는 제7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5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 교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교환 시스템은 다른 범용 레벨에 대응하는 범용 주형을 수납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1개 또는 복수개 격납하는 제1 격납 수단과,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각 범용 주형에 대응하여 이용하도록 형성된 복수쌍의 삽입자를 격납하는 제2 격납 수단과, 상기 제6 단계에 있어서 베이스 상의 제2 소정 위치로부터 제1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수취하는 제1 반송 캐리지와, 상기 제7 단 계에 있어서 상기 대기 위치에 준비된 제2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상기 제2 소정 위치로 반입하기 위한 제2 반송 캐리지와, 적어도 상기 제1 격납 수단과 상기 제2 소정 위치 근방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반송 캐리지용의 제1 반송로와, 상기 제1 반송로 상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반송 캐리지의 이동을 제어하는 반송 제어 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 경우, 상기 제1 격납 수단 내에는 상기 제2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용 대기 위치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그 경우, 상기 제1 반송로에는 상기 베이스 근방 위치에 바이패스로가 배치되고, 상기 대기 위치로서 상기 바이패스로를 이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그 경우, 상기 제1 격납 수단에 격납되는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는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ㆍ유지되는 범용 주형을 수납하는 제1 타입과,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에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적어도 범용 주형을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가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기계적 구성 부재인 범용 주형을 수납하는 제2 타입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의 타입일 수 있다.
그 경우, 상기 제1 타입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격납하는 격납 수단은 상기 제2 타입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격납하는 격납 수단과 다른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그 경우, 한 쌍의 삽입자를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측부로부터 반입ㆍ반출 가능한 삽입자 탑재 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격납 수단과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측부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삽입자를 반송하는 제2 반송로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반송로 상에서 상기 삽입자를 탑재하여 반송하기 위한 제3 반송 캐리지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및 제3 반송 캐리지는 자주식 캐리지로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도1 내지 도3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100)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에 있어서, 베이스(BS)의 우측 단부에는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FXPL)가 기립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FXPL)의 사출측 측면에는 역ㄷ자형의 프레임(104)이 설치되어 그 수직 프레임에 마련된 구멍을 거쳐서 도시하지 않은 사출 플런저 로드가 사출 슬리브(102)에 삽통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FXPL)에 대향하여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양 다이 플레이트에는 그 각 코너부를 관통하고 있는 2개의 상측 타이 바아(TBU)와, 2개의 하측 타이 바아(TBD)가 배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TBSC는 외주에 나사 또는 각홈(square groove)을 형성한 이동측의 결합부이며, 상기 결합부(TBSC)는 타이 바아(TBU)와 각 다이 플레이트가 소정 위상 관계 위치에 있을 때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의 고정 반대측 면에 설치된 클램프 장치(CLMP2) 내의 결합 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참조 부호 CLMP1은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FXPL)를 관통한 타이 바아(TBU)의 고정측 단부에 형성된 나사 또는 각홈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내부에 갖는클램프 장치이다.
참조 부호 CYL은 형 체결 실린더이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의 상기 타이 바아(TBU)의 관통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이 바아(TBU)는 상기 형 체결 실린더(CYL)의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 부분을 겸하고 있다. 또, 하측의 타이 바아(TBD)용 클램프 장치는 도시를 생략하고, 타이 바아(TBD)의 고정측 단부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측과 같은 클램프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용 클램프 장치(CLMP2)는 타이 바아(TBD)용 하측에도 배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10은 베이스(BS)의 측면에 배치된 설치대이며, 서보모터(SVM)가 설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16은 상기 서보모터(SVM)의 출력축에 결합한 볼 나사축이다. 상기 서보모터(SVM)의 축 상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로터리 인코더가 설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12는 상기 볼 나사축과 나사 결합하는 너트부이며, 결합 부재(14)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 부재(14)는 바닥부가 베이스(BS) 상에 배치된 가이드(18) 상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갖고 있고, 이 측벽부는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요소 10, SVM, 16, 14, 18은 도면 중 작업자와 반대측(조작 반대측)의 베이스 상에도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요소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구동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한, 상기 클램프 장치(CLMP1, CLMP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구동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클램프 장치(CLMP1)는 고정측 타이 바아(TBU)의 단부면이 접촉하였을 때에 상기 클램프 장치(CLMP1) 내의 결합 부재의 결합부와 타이 바아(TBU)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나사 또는 각홈과의 위상이 일치하여 맞물림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클램프 장치(CLMP1)가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형 체결 실린더(CYL)를 구동하여 타이 바아(TBU)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를 관통하는 타이 바아의 나사 또는 각홈(TBSC)과, 클램프 장치(CLMP2) 내에 설치한 결합 부재의 결합부와의 위상이 일치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형 체결 실린더(CYL), 클램프 장치(CLMP1)의 부가의 상세에 대해서는 출원인들이 이미 예의 연구하고 있다.
따라서, 클램프 장치(CLMP1)는 금형의 교환에 수반하는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형 폐쇄 위치가 변경될 때에만 그 결합이 해제된다. 한편, 클램프 장치(CLMP2)는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를 상기 제1 구동 수단에 의해 진퇴 이동시킬 때에는 그 결합이 해제된다. 참조 부호 20은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 내에 수납되어 있는 범용 주형의 외주부를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이 플레이트를 구비한 형 체결 장치에 있어서의 금형 교환의 모습을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측 및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MVPL, FXPL) 내에는 각각 범용의 주형(MVD, FXD)이 수납되어 있다.
각 범용 주형(MVD, FXD)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측 또는 측면측의 타이 바아(TBU, TBD)와 간섭하지 않고 형 개방 공간에 반입된 한 쌍의 삽입자(INS)의 각 삽입자(FINS 및 MINS)가 서로 분리되어 체결된다.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가 형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다이 하이트는 대략 제로이거나 매우 작아지므로, 결과적으로 형 체결 장치의 형 개폐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종래와 같이 각 다이 플레이트의 대향면에 주형을 체결하였을 때의 금형 전체의 하중에 의해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FXPL)가 경사지게 되는 일도 없다.
한 쌍의 삽입자(INS)는 각 삽입자(MINS와 FINS)가 별도로 반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삽입자의 형 개방 공간으로의 반입ㆍ반출은 크레인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자 전용 반송 캐리지(CNVㆍB)를 사용하여 상기 캐리지로 소정 장소의 삽입자 격납고로부터 요구된 한 쌍의 삽입자(INS)를 다이캐스트 머신(DM1)의 측부 스테이션(300B)에 설치한 삽입자 탑재 수단(LD) 상으로 운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삽입자 탑재 수단(LD)은 형 개방 공간 내로 측방향으로부터 삽입 가능하다.
이 삽입자 탑재 수단(LD)은 예를 들어 삽입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 및 롤러 등의 구름 이동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형 개방 공간 내의 소정 위치에 위치가 부여된 삽입자를 각 다이 플레이트 쪽으로 이동시킬 때의 가이드 수단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에 수납된 범용 주형(MVD)으로의 삽입자(MINS)의 장착ㆍ체결의 상세 기구는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풀스터드(pull stud)나 나사 등의 기계적인 결합 수단이나, 이들과 조합한 유압 기구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범용 주형(MVD) 내로 삽입자(MINS)를 삽입하는 경우, 작업자 자신이 삽입 상태를 손으로 확인하면서 압입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 주형(MVD)측에 인입 수단을 마련하여 삽입자(MINS)의 인입, 취출을 행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에 수납되는 범용 주형(MVD)은 단일의 범용 주형으로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용의 모든 삽입자에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반드시 효과적이지는 않다. 즉,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으로 성형할 수 있는 성형품의 크기에 따라서 예를 들어 대, 중, 소의 3등급으로 분류하고, 각각 대, 중, 소용의 범용 주형을 준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범용 주형에 종류를 마련함으로써, 소재가 비싼 삽입자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범용 주형의 종류를 범용성의 레벨이라 정의하고 있다. 이 범용 레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자 크기의 면에서 정의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주형 기구의 복잡함의 면에서 정의해도 좋다. 또한 그들 조합에 의해 정의하도록 해도 좋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FXPL)에 수납되는 범용 주형(FXD)에 대해서는,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측의 범용 주형(MVD)보다도 심플 하고, 반드시 이동측 범용 주형(MVD)과 그 범용 레벨을 동일하게 형성할 필요는 없어, 다른 복수 레벨의 범용성을 갖도록 높은 범용성을 갖는 주형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 경우, 삽입 체결되는 삽입자(FINS)를 그들 레벨에 대응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지만, 각 범용 레벨에 대응하기 위한 조정 부재를 준비하여, 삽입자(FINS)와 상기 높은 범용 레벨의 고정측 범용 주형(FXD) 사이에 개재시켜 대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 내에 수납되는 범용 주형(MVD)의 수납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범용 주형(MVD)은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에 항상 체결 유지되어 있지만, 범용 주형(MVD) 자체를 그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다이 플레이트(MVPL)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적어도 범용 주형(MVD)을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가 상기 다이 플레이트(MVPL)의 기계적 구성 부재로, 오히려 상기 다이 플레이트(MVPL)에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구조상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로 크게 나누어진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자의 범용 주형을 수납하는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제1 타입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 후자의 범용 주형을 수납하는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제2 타입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라 정의하고 있다.
도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타입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의 경우 그 범용 주형(MVD)의 체결을 해제하였다 해도, 타이 바아(TBU, TBD)가 있으므로 그 형 개방 공간으로부터 상기 범용 주형(MVD)을 반출할 수는 없다. 또한, 상기 제2 타입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범용 주형(MVD)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에 수납된 범용 주형을 범용 레벨이 다른 범용 주형과 교환하는 경우의 대응으로 하여, 도1에 도시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를, 삽입자를 배출하고, 또한 클램프 장치(CLMP2)의 타이 바아(TBU)와의 결합을 해제한 후, 서보모터(SVM)를 갖는 제1 구동 수단에 의해 더 좌측으로, 즉 소정의 후퇴 위치인 베이스 단부까지 이동시킨 후, 베이스 단부 근방에 대기시킨 제1 반송 캐리지에 의해 수취하도록 하여,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의 형 체결 장치 외로 반출한다. 그 후, 새로운 원하는 범용 레벨에 대응하는 범용 주형을 수납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탑재하고, 미리 상기 베이스 단부 근방의 다른 위치에 대기시켜 둔 제2 반송 캐리지를 상기 베이스 단부 근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새로운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베이스 상에서 수취하도록 하여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을 행하는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에서 본 배치도이다. 도3에 있어서, 참조 부호 DM1, DMi는 본 발명에 의한 형 체결 장치를 구비한 다이캐스트 머신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 200은 복수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격납하는 제1 격납 수단(200A)과, 복수쌍의 삽입자(INS)를 격납하는 제2 격납 수단(200B)을 갖는 격납고이다.
제1 격납 수단(200A)에는 상기 제1 타입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와 제2 타입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양방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제1 타입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따로 배치된 격납 수단(400)에 격납할 수도 있다.
참조 부호 500A는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를 탑재하는 반송 캐리지(CNVㆍA1)용 반송로이다. 이 반송로(500A)에는 상기 격납 수단(400)에 접근하는 바이패스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로 상에는 대기용 반송 캐리지(CNVㆍA2)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300A는 형 체결 장치의 베이스 단부 근방에 배치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운반용 스테이션으로, 도3에서 상기 제2 반송 캐리지(CNVㆍA2)의 우측에 있는 제1 반송 캐리지는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탑재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것이며, 스테이션(300A)에 접근하여 그 위치에서 미리 대기하고 있는 반출용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MVPL)를 수취하도록 되어 있다.
참조 부호 500B는 삽입자(INS)용 반송로를 나타낸다. 이 반송로(500B)는 상기 제2 격납 수단(200B)과 다이캐스트 머신(DM1)의 형 체결(dv)의 측부에서 형 개방 공간의 근방에 배치된 스테이션(300B)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CNVㆍB는 삽입자(INS)를 탑재하여 상기 반송로(500B) 상을 반송하는 제3 반송 캐리지이다. 스테이션(300B)에 설치되어 있는 탑재 수단(LD)과 각 범용 주형 사이의 삽입자의 반입, 반출 등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참조 부호 600은 상기 반송 캐리지(CNVㆍA1 및 CNVㆍA2, CNVㆍB)의 반송 위치를 제어하는 반송 제어 유닛이다. 각 반송 캐리지는 자주식이라도 좋고, 또한 체인이나 유압 실린더 등으로 외력에 의해 구동되는 타입이라도 좋다. 참조 부호 SG1은 각 반송 캐리지의 위치 정보 등의 수신 신호, SG2는 각 반송 캐리지에 부여되는 제어 신호이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다이캐스트 머신의 경우에 있어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동일한 형 체결 장치를 갖는 사출 성형기의 형 체결 장치에도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것은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주형이 다이 플레이트 내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형 체결 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그 다이 하이트를 가급적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삽입자를 포함하는 주형의 하중에 의해 다이 플레이트의 전복, 경사의 요인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효과에 부가하여, 형 체결 실린더는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금형 교환의 전후에 타이 바아의 인발 제거, 삽입 작업이 불필요해지고, 따라서 인발 제거용 실린더를 설치할 필요도 없다. 또한, 형 체결 장치의 형 개폐 방향 길이는 실질적으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이동 범위이면 되고, 타이 바아의 길이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형 체결 장치의 제조 비용을 낮추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금형 교환은 한 쌍의 삽입자의 반입ㆍ반출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타이 바아 인출, 삽입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교환 작업 자체를 단순화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 바아를 인출하지 않고,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베이스 상의 제2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형 체결 장치 내로부터 반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베이스 상의 제2 소정 위치로 다음의 범용 주형을 수납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형 체결 장치 내로 도입하는 것만으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이 가능하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범용 레벨이 다른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제1 격납 수단에 격납하고 있으므로, 미리 다음에 필요한 범용 레벨의 범용 주형을 수납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선택하고, 반송 캐리지에 탑재하여 형 체결 장치 근방에 대기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시간을 단시간에 종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29)

  1. 삽입자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ㆍ유지하는 범용 주형을 내부에 수납한 다이캐스트 머신 등용 다이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주형은 상기 다이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ㆍ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용 다이 플레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주형은 상기 다이 플레이트에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적어도 상기 범용 주형을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가 상기 다이 플레이트의 기계적 구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용 다이 플레이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플레이트는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용 다이 플레이트.
  5.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사출측 단부에 기립 설치 고정된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진퇴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가이드 수단과,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상기 가이드 수단 상에서 진퇴 이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과, 상기 각 다이 플레이트의 코너부 근방을 관통하는 동시에, 양 다이 플레이트의 형 체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타이 바아와,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와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 사이에 형 체결력을 부여하는 제2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각 다이 플레이트는 삽입자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ㆍ유지하는 범용 주형을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형 체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축과, 상기 가이드 수단 상을 미끄럼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나사축과 나사 결합하는 너트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측면에 고정된 결합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형 체결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수단은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의 타이 바아 관통부에 형성된 형 체결 실린더와,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를 관통한 타이 바아의 일단부를 체결하는 제1 체결 수단과,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관통한 타이 바아의 타단부를 체결하는 제2 체결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형 체결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수단은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 대향면과 반대측 면에 결합된 토글 기구 및 링크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형 체결 장치.
  9.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사출측 단부에 기립 설치 고정된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진퇴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가이드 수단과,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상기 가이드 수단 상에서 진퇴 이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과, 상기 각 다이 플레이트의 코너부 근방을 관통하는 동시에, 양 다이 플레이트의 형 체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타이 바아와,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와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 사이에 형 체결력을 부여하는 제2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각 다이 플레이트는 삽입자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ㆍ유지하는 범용 주형을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형 체결 장치를 갖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금형 교환 방법이며,
    금형 교환 전의 상태에서 제1 금형을 형성하고 있고, 제1 삽입자를 체결한 제1 범용 레벨에 대응하는 제1 범용 주형을 수납하는 상기 각 다이 플레이트 중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소정 위치까지 후퇴시켜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 사이에 형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각 제1 범용 주형과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형 개방 공간으로 상기 각 제1 삽입자를 취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형 개방 공간으로 취출된 상기 각 제1 삽입자를 각각 단독, 또는 한 쌍의 제1 삽입자로서 결합하여 상기 형 개방 공간으로부터 제1 소정 위치로 반출하는 제3 단계와,
    금형 교환 후의 상태에서 제2 금형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범용 레벨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2 삽입자를 제2 소정 위치에 준비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 이어서, 상기 제2 소정 위치에 대기하고 있는 한 쌍의 제2 삽입자를 상기 형 개방 공간으로 반입하는 제5 단계와,
    상기 형 개방 공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자를 분리하여 각각 상기 각 제1 범용 주형으로 체결시켜 상기 제2 금형을 형성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제6 단계 후,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소정의 형 폐쇄 위치까지 전진시키는 제7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금형 교환 방법.
  10.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사출측 단부에 기립 설치 고정된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진퇴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가이드 수단과,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상기 가이드 수단 상에서 진퇴 이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과, 상기 각 다이 플레이트의 코너부 근방을 관통하는 동시에, 양 다이 플레이트의 형 체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타이 바아와,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와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 사이에 형 체결력을 부여하는 제2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구동 수단은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의 타이 바아 관통부에 형성된 형 체결 실린더와,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를 관통한 타이 바아의 일단부를 체결하는 제1 체결 수단과,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관통한 타이 바아의 타단부를 체결하는 제2 체결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다이 플레이트는 삽입자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ㆍ유지하는 범용 주형을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형 체결 장치를 갖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범용 주형을 다른 범용 주형과 교환하기 위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 교환 방법이며,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 교환 전의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범용 레벨에 대응하는 제1 범용 주형을 수납하는 제1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상기 제1 구동 수단에 의해 베이스 상의 제1 소정 위치까지 후퇴시켜 고정측 다이 플레이트 사이에 형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각 다이 플레이트의 범용 주형과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형 개방 공간으로 각각 삽입자를 취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형 개방 공간으로 취출된 상기 각 삽입자를 각각 단독, 또는 한 쌍의 삽입자로서 결합하여 상기 형 개방 공간으로부터 반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후, 상기 제1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다시 상기 베이스 상의 제2 소정 위치로 후퇴 이동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 제1 범용 레벨과 다른 제2 범용 레벨에 대응하는 제2 범용 주형을 수납한 제2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소정의 대기 위치에 준비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에 이어서 상기 제2 소정 위치에 있는 제1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베이스 상으로부터 반출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제6 단계 후, 상기 대기 위치에 준비된 제2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상기 제2 소정 위치로 반입하는 제7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 교환 방법.
  11. 제10항에 기재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 교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이며,
    다른 범용 레벨에 대응하는 범용 주형을 수납한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1개 또는 복수개 격납하는 제1 격납 수단과,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각 범용 주형에 대응하여 이용하도록 형성된 복수쌍의 삽입자를 격납하는 제2 격납 수단과,
    상기 제6 단계에 있어서 베이스 상의 제2 소정 위치로부터 제1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수취하는 제1 반송 캐리지와,
    상기 제7 단계에 있어서 상기 대기 위치에 준비된 제2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상기 제2 소정 위치로 반입하기 위한 제2 반송 캐리지와,
    적어도 상기 제1 격납 수단과 상기 제2 소정 위치 근방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반송 캐리지용 제1 반송로와,
    상기 제1 반송로 상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반송 캐리지의 이동을 제어하는 반송 제어 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납 수단 내에는 상기 제2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용 대기 위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로에는 상기 베이스 근방 위치에 바이패스로가 배치되고, 상기 대기 위치로서 상기 바이패스로를 이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납 수단에 격납되는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는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ㆍ유지되는 범용 주형을 수납하는 제1 타입과,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에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적어도 범용 주형을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가 상기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기계적 구성 부재인 범용 주형을 수납하는 제2 타입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의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격납하는 격납 수단은 상기 제2 타입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를 격납하는 격납 수단과 다른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16.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삽입자를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측부로부터 반입ㆍ반출 가능한 삽입자 탑재 수단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한 쌍의 삽입자를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측부로부터 반입ㆍ반출 가능한 삽입자 탑재 수단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18.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납 수단과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측부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삽입자를 반송하는 제2 반송로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반송로 상에서 상기 삽입자를 탑재하여 반송하기 위한 제3 반송 캐리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납 수단과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측부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삽입자를 반송하는 제2 반송로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반송로 상에서 상기 삽입자를 탑재하여 반송하기 위한 제3 반송 캐리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납 수단과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측부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삽입자를 반송하는 제2 반송로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반송로 상에서 상기 삽입자를 탑재하여 반송하기 위한 제3 반송 캐리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21. 삭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반송 캐리지는 자주식 캐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반송 캐리지는 자주식 캐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반송 캐리지는 자주식 캐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납 수단과 상기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측부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삽입자를 반송하는 제2 반송로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반송로 상에서 상기 삽입자를 탑재하여 반송하기 위한 제3 반송 캐리지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반송 캐리지는 자주식 캐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트 머신 등에 있어서의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060042858A 2005-05-13 2006-05-12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형 체결 장치 및 이러한 형 체결 장치를 구비한 금형 교환 방법 및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KR100771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41978 2005-05-13
JP2005141978A JP4885475B2 (ja) 2005-05-13 2005-05-13 ダイカストマシン等の型締装置及び同型締装置を備えた金型交換方法ならびに移動側ダイプレートの交換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264A KR20060117264A (ko) 2006-11-16
KR100771354B1 true KR100771354B1 (ko) 2007-10-29

Family

ID=37417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858A KR100771354B1 (ko) 2005-05-13 2006-05-12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형 체결 장치 및 이러한 형 체결 장치를 구비한 금형 교환 방법 및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7717159B2 (ko)
JP (1) JP4885475B2 (ko)
KR (1) KR100771354B1 (ko)
CN (1) CN18913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4044B2 (ja) * 2008-07-04 2014-01-08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ダイカストマシン
JP5412068B2 (ja) * 2008-07-29 2014-02-12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ダイカストマシン
IT1400888B1 (it) * 2010-07-08 2013-07-02 Bazzica Engineering S R L Metodo per l'alimentazione e lo scarico di uno stampo in una macchina per lo stampaggio di prodotti in materiale plastico espanso.
JP5872668B1 (ja) * 2014-11-20 2016-03-01 東芝機械株式会社 開閉装置、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CN107107168B (zh) * 2014-12-24 2019-05-17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铸造用模具
DE102015210300B4 (de) * 2015-06-03 2023-06-0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ruckgussteilen und Druckgussform hierzu
JP6441272B2 (ja) * 2016-08-23 2018-12-19 株式会社名機製作所 金型回転式射出成形装置
CN111497098B (zh) * 2020-04-20 2021-12-24 安徽宏华铸造有限公司 一种井盖生产加工用成型压模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632A (ko) * 2003-05-01 2004-11-10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형체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4235A (en) * 1944-11-28 1947-07-22 Teksun Inc Injection mold
US3507012A (en) * 1967-09-21 1970-04-21 Katashi Aoki Mold closing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3871611A (en) * 1973-05-07 1975-03-18 Taketa Phyllis Mold with removable and replaceable core and cavity inserts
US4064928A (en) * 1976-11-30 1977-12-27 Ex-Cell-O Corporation Die casting machine
US4202522A (en) * 1977-06-16 1980-05-13 Honeywell Inc. Injection molding apparatus for accommodating various sizes of molding die inserts
US4551084A (en) * 1983-05-25 1985-11-05 Creative Industries, Inc. Convertible mold
US4684101A (en) * 1985-05-28 1987-08-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ick change mold insert
US4993933A (en) * 1986-11-06 1991-02-19 Mazda Motor Corporation Molding installation using die
US4803772A (en) * 1987-03-20 1989-02-14 Deere & Company System for maximizing machine utilization
US4959002A (en) * 1987-08-25 1990-09-25 Pleasant Ronald E Inserts for injection mold machine
JPH0220314A (ja) * 1988-07-08 1990-01-23 Toyo Mach & Metal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JP2644295B2 (ja) * 1988-08-05 1997-08-25 東芝機械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における金型交換装置
US5063648A (en) * 1988-11-29 1991-11-12 Kabushiki Kaisha Kosmek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working-object of processing machine
US5049526A (en) * 1989-06-07 1991-09-17 Motorola, Inc.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package
DE3934495C1 (ko) * 1989-10-16 1990-12-13 Marianne 8780 Gemuenden De Wieser
TW205018B (ko) 1990-11-30 1993-05-01 Toshiba Machine Co Ltd
US5114330A (en) * 1990-12-13 1992-05-19 Amp Incorporated Apparatus for mold module change-out
DE4115957C2 (de) * 1991-05-13 1995-06-14 Mannesmann Ag Spritzgießmaschine
US5871683A (en) * 1994-01-18 1999-02-16 First Team Sports, Inc. Method of molding skate components
US5536463A (en) * 1994-08-19 1996-07-16 Del-Me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lding plastic wheel covers
US5753153A (en) * 1996-01-02 1998-05-19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ethod for mold clamping units
KR0163640B1 (ko) * 1995-10-21 1999-04-15 김정부 광량 및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트로보 조광장치
JP3481760B2 (ja) * 1996-01-24 2003-12-22 東芝機械株式会社 複合式型締装置の型厚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3373362B2 (ja) * 1996-07-22 2003-02-04 東芝機械株式会社 ダイカスト金型キャビティの圧力監視装置
WO1998026707A1 (fr) * 1996-12-17 1998-06-25 Hoya Corporation Lentille d'essai en plastique, article moule par injection et appareil de moulage correspondant
US6070643A (en) * 1997-09-12 2000-06-06 Howmet Research Corporation High vacuum die casting
EP0922556A1 (de) * 1997-12-03 1999-06-16 FOBOHA GmbH Spritzgiessmaschine mit verschiebbaren Formen, Haltevorrichtung sowie Formträger für eine solche Spritzgiessmaschine
JP4115601B2 (ja) * 1997-12-08 2008-07-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の生産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おける生産設備
JP4119576B2 (ja) 1999-08-18 2008-07-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設備
US6704199B2 (en) * 2000-07-05 2004-03-09 Network Engines, Inc. Low profile equipment housing with angular fan
JP4055841B2 (ja) * 2000-10-23 2008-03-05 三菱重工プラスチッ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型締装置及びその型締方法並びに同装置を用いた型厚調整方法
JP3938281B2 (ja) * 2001-02-02 2007-06-27 三菱重工プラスチッ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電動型開閉装置
JP3859977B2 (ja) * 2001-02-21 2006-12-20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成形機
JP2003039153A (ja) * 2001-07-30 2003-02-12 Toyota Industries Corp ダイカスト装置及びその運用方法
JP3826308B2 (ja) * 2001-12-26 2006-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成型用金型の段替え装置
US6883583B2 (en) 2001-12-26 2005-04-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ie changing apparatus of molding die
US6955210B2 (en) 2001-12-26 2005-10-1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olding die and die changing method of the same
US6896505B2 (en) * 2002-06-27 2005-05-24 Modular Molding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removably mounting modules in an injection molding press
JP4312498B2 (ja) * 2003-05-06 2009-08-12 東芝機械株式会社 型締装置
US7204685B1 (en) * 2003-09-08 2007-04-17 Crain Enterprises, Inc. Modular mol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632A (ko) * 2003-05-01 2004-11-10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형체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18159A1 (en) 2007-09-20
US20080113057A1 (en) 2008-05-15
US7824168B2 (en) 2010-11-02
US7717159B2 (en) 2010-05-18
US20060254745A1 (en) 2006-11-16
JP2006315058A (ja) 2006-11-24
US7736141B2 (en) 2010-06-15
JP4885475B2 (ja) 2012-02-29
KR20060117264A (ko) 2006-11-16
CN1891377A (zh)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354B1 (ko) 다이캐스트 머신 등의 형 체결 장치 및 이러한 형 체결 장치를 구비한 금형 교환 방법 및 이동측 다이 플레이트의 교환 장치
US6883583B2 (en) Die changing apparatus of molding die
US10086552B2 (en) Blow mold unit, blow 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replacing blow mold unit
US4421469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assembly having means for selectively changing at least tool unit or a plasticizing and ejection unit
US7186106B2 (en) Molding machine and molding method
EP2266775B1 (en) Molding machine having a movable mold support apparatus
CN110341149B (zh) 成形机及成形机的控制方法
EP2069119B1 (en) Two platen traverse cylinder mounting system
EP3294477B1 (de) Verfahren zum giessen von metall, adaptereinheit und vorrichtung zum giessen von metall umfassend eine derartige adaptereinheit
CN109434086B (zh) 一种单模浇铸机的模具定位机构
EP14108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imming scrap from metal castings
JP3102368U (ja) 垂直プレス用のダイキャスト装置
JP4192077B2 (ja) ダイカストマシン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3826308B2 (ja) 成型用金型の段替え装置
US6808006B2 (en) Die-casting systems and machines and methods for withdrawing cores in die-casting systems and machines
WO1989002357A1 (en) Improved die press
CN109986058A (zh) 一种用于铸造机的快速锁模装置
DE60203493T2 (de)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formwerkzeuge
US6808007B2 (en) Die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die-casting systems and machines and methods for opening dies using such die opening/closing apparatus
CN108907030A (zh) 一种用于冲压模具脱模支撑保护装置
JP2969304B2 (ja) 射出成形装置の金型交換装置
JP2003191064A (ja) 成型用金型の段替え装置
JPH0225559Y2 (ko)
JPH03164221A (ja) 射出成形機及び射出成形法
JPH11156518A (ja) ダイカストマシンの射出スリーブ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