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038B1 - 쌀 찐빵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쌀 찐빵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038B1
KR100770038B1 KR1020060081385A KR20060081385A KR100770038B1 KR 100770038 B1 KR100770038 B1 KR 100770038B1 KR 1020060081385 A KR1020060081385 A KR 1020060081385A KR 20060081385 A KR20060081385 A KR 20060081385A KR 100770038 B1 KR100770038 B1 KR 100770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ice
extract
steamed bread
b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숙
Original Assignee
한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숙 filed Critical 한영숙
Priority to KR102006008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6Bak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04Products made from materials other than rye or wheat flou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1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filled before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5/00Preserving finished, partly finished or par-baked bakery products; Improving
    • A21D15/02Preserving finished, partly finished or par-baked bakery products; Improving by cooling, e.g. refrigeration,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2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2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 A21D8/04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treating dough with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1D8/047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treating dough with microorganisms or enzymes with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6Packaging bread or like bakery products, e.g. unsliced loa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 찐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쌀 찐빵에 구기자 추출액, 말굽버섯 추출액과 같은 다양한 영양소가 포함되어 쌀 찐빵의 향미(香味)가 좋으면서도 각종 영양분이 풍부하여 국민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쌀가루 44∼45중량%, 유기농 설탕 6∼6.5중량%, 버터 3∼3.5중량%, 소금 0.5∼0.7중량%, 생 이스트 0.5∼0.7중량%, 베이킹파우더 0.5∼0.7중량%, 계란흰자 6∼6.5중량%, 구기자 추출액 18∼20중량%, 쌀 유산균 18∼20중량%의 재료들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재료들 중에서 분말로 이루어진 쌀가루, 유기농 설탕, 소금, 생 이스트, 베이킹파우더를 고르게 혼합하는 단계; 계란흰자와 구기자 추출액을 용기에 담아 고르게 섞여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재료들을 반죽기에 투입하여 고르게 1차 반죽한 후 버터와 쌀 유산균을 투입하여 2차 반죽하여 재료들이 충분히 반죽되도록 하는 단계; 반죽물을 평평한 형태의 생지(生紙)로 성형하는 단계; 생지의 내부에 단팥 속을 넣고 둘레가 오므려지도록 하여 찐빵 형태의 성형물을 완성하는 단계; 성형물을 발효실에 투입하여 온도 34∼37℃, 습도 88∼92%의 조건을 부여하여 10∼20분간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가 완료된 성형물을 찜통에 넣고 증기를 부여하여 13∼20분간 찌는 단계; 완성된 쌀 찐빵을 영하 30℃에서 급속 냉동시키는 단계; 냉동된 쌀 찐빵을 포장한 후 영하 15∼20℃의 냉동실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찐빵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쌀 찐빵, 쌀가루, 용설란시럽, 버터, 생 이스트, 구기자 추출액,

Description

쌀 찐빵의 제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steamed bread with sweet bean ja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타민 빵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타민 빵의 단팥 속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제조공정도.
본 발명은 쌀 찐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쌀 찐빵에 구기자 추출액, 말굽버섯 추출액과 같은 다양한 영양소가 포함되어 쌀 찐빵의 향미(香味)가 좋으면서도 각종 영양분이 풍부하여 국민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찐빵은 밀가루 반죽물의 내부에 팥으로 속을 하여 오븐을 쓰지 않고 증기(蒸氣)로 쪄서 만든 빵으로 예로부터 주식 내지는 부식으로 널리 이용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찐빵은 신선한 야채에서 얻을 수 있는 비타민과 같은 다양한 영양소를 얻을 수 없었을 뿐 아니라 보다 특이한 향미(香味)나 풍미를 느낄 수 있는 고품질의 빵을 제공할 수 없었으므로 보다 다양함과 특이함을 추구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구매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없었다.
더욱이, 현대에는 서구적인 식단을 선호하여 패스트푸드나 인스턴트 식품을 애용함에 따라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체형과 신장이 커지는 등의 이점이 있으나, 불균형적인 영양분의 공급으로 인하여 비만형 체질이 많아지는 등의 문제점과 순수한 토종음식들이 점차 소멸되어 고유한 우리의 음식문화를 지킬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쌀 소비의 감소로 농가(農家)들의 경제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되었으므로 결국 쌀 소비를 획기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는 음식의 제안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쌀 찐빵에 구기자 추출액, 말굽버섯 추출액과 같은 다양한 영양소가 포함되어 쌀 찐빵의 향미(香味)가 좋으면서도 각종 영양분이 풍부하여 국민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쌀 찐빵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쌀가루 44∼45중량%, 유기농 설탕 6∼6.5중량%, 버터 3∼3.5중량%, 소금 0.5∼0.7중량%, 생 이스트 0.5∼0.7중량%, 베이킹파우더 0.5∼0.7중량%, 계란흰자 6∼6.5중량%, 구기자 추출액 18∼20중량%, 쌀 유산균 18∼20중량%의 재료들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재 료들 중에서 분말로 이루어진 쌀가루, 유기농 설탕, 소금, 생 이스트, 베이킹파우더를 고르게 혼합하는 단계; 계란흰자와 구기자 추출액을 용기에 담아 고르게 섞여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재료들을 반죽기에 투입하여 고르게 1차 반죽한 후 버터와 쌀 유산균을 투입하여 2차 반죽하여 재료들이 충분히 반죽되도록 하는 단계; 반죽물을 평평한 형태의 생지(生紙)로 성형하는 단계; 생지의 내부에 단팥 속을 넣고 둘레가 오므려지도록 하여 찐빵 형태의 성형물을 완성하는 단계; 성형물을 발효실에 투입하여 온도 34∼37℃, 습도 88∼92%의 조건을 부여하여 10∼20분간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가 완료된 성형물을 찜통에 넣고 증기를 부여하여 13∼20분간 찌는 단계; 완성된 쌀 찐빵을 영하 30℃에서 급속 냉동시키는 단계; 냉동된 쌀 찐빵을 포장한 후 영하 15∼20℃의 냉동실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찐빵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1의 제조공정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쌀가루 700g, 유기농 설탕 100g, 버터 50g, 소금 10g, 생 이스트 10g, 베이킹파우더 10g, 계란흰자 100g, 구기자 추출액 300g, 쌀 유산균 300g 등의 재료들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준비된 재료들 중에서 분말로 이루어진 쌀가루, 유기농 설탕, 소금, 생 이스트, 베이킹파우더를 고르게 혼합하여 분말 재료들을 준비하였고, 계란흰자와 구기자 추출액을 용기에 담아 고르게 섞여지도록 하여 액상의 재료들을 준비하였다.
상기 유기농 설탕은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생산한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캐나다 산의 설탕을 사용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유기농 설탕에 용설란 시럽이 1 : 1중량% 포함되도록 하고, 이들의 합은 혼합물의 전체중량 6∼6.5중량%가 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기자 추출액은 구기자를 분쇄하여 150메시 이하의 체로 거른 액즙을 사용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구기자 추출액에 말굽버섯 추출액이 5 : 1중량% 포함되도록 하고, 이들의 합은 혼합물 전체중량의 18∼20중량%가 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말굽버섯 추출액은 말굽버섯을 물과 함께 달여서 액을 추출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쌀 유산균은 우유, 쌀가루, 설탕, 유산균 등의 재료를 고르게 혼합하여 발효시킨 후 체로 거른 겔(gel) 상태의 유산균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상기 재료들을 반죽기에 투입하여 고르게 1차 반죽한 후 버터와 쌀 유산균을 투입하여 2차 반죽하여 재료들이 충분히 반죽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반죽기는 교반날개로 용기 안의 물질을 서서히 휘저어 섞는 통상의 교반암형 반죽기를 사용하였고, 반죽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저속 2분간 1차 반죽한 후 버터와 쌀 유산균을 투입하여 중속 4분간 2차 반죽하였다.
이어서, 반죽물을 평평한 형태의 생지(生紙)로 성형하고, 둥글게 절단하였 다.
이어서, 둥글게 절단된 생지의 내부에 단팥 속을 넣고 둘레가 오므려지도록 하여 찐빵 형태를 이루는 성형물을 완성하였다. 상기 단팥 속은 생지의 45∼55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성형물을 발효실에 투입하여 온도 34∼37℃, 습도 88∼92%의 조건을 부여하여 10∼20분간 발효시켰다. 상기 발효단계에 의하여 성형물의 부피가 170∼180%정도 부풀려졌다.
이어서, 발효가 완료된 성형물을 찜통에 넣고, 증기(蒸氣)를 부여하여 13∼20분간 쪄서 쌀 찐빵을 완성하였다.
상기 찜통의 내부에는 걸름망이 장착되고, 걸름망에 놓여진 깨끗한 천에 성형물이 놓여지도록 한 후 찜통의 바닥에 담겨진 물을 가열하면 증기가 발생되는 통상적인 구조의 찜통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완성된 쌀 찐빵을 영하 30℃에서 급속 냉동하여 포장한 후 영하 15∼20℃의 냉동실에 저장하였다.
상기 쌀 찐빵의 제조에 사용되는 주요 재료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구기자(枸杞子)는 구기자나무의 열매로 긴 타원 모양이고 단백질, 지방, 당질, 칼슘, 인, 철분, 베타인, 루틴, 비타민(A, B1, B2, C) 등이 들어 있어 체내 흡수가 빠르며, 한방에서는 강장제 및 해열제로 쓰고 간기능 보호 작용이 뛰어나 부작용이 별로 없다.
또한, 구기자는 시력을 좋게 하고 당뇨병 등의 성인병을 예방하며 폐와 신장 의 기능을 좋게 하고, 들기름과 섞어 숙성해 두었다가 머리에 바르면 흰머리가 생기는 것을 막아 주고 화상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출원인의 거주지인 충남 청양군에서 생산된 고품질의 구기자를 사용하여 쌀 찐빵을 제조하였다.
말굽버섯은 담자균류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으로 버섯의 갓 모양은 반원형에서 종(鐘) 모양 또는 말굽 모양이고, 일반적으로 껍질이 단단하여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할 때는 끓여서 차와 같은 형태로 사용한다.
또한, 말굽버섯은 간경변, 발열, 눈병, 복통, 감기, 변비, 폐결핵, 소아식체, 식도암, 위암, 자궁암 등에 효능이 있고, 해열과 이뇨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설란(龍舌蘭)은 외떡잎식물인 백합목 용설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연한 노란색이고 통처럼 생기며 화피는 6개로 갈라지지만 완전히 벌어지지는 않는다. 잎에서는 섬유를 채취하고 꽃줄기에서 수액을 받아서 용설란시럽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멕시코 원산을 사용하였다.
상기 용설란에서 채취한 수액으로 제조한 용설란시럽은 유기농 용설란을 사용함에 따라 과당(fructose)의 함유량이 높아 설탕보다 더 달고(약 1.4배) 칼로리는 적으며, 설탕처럼 인슐린의 분비를 자극하지 않는 것이므로 설탕 증후군(sugar rush)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서 설탕을 섭취하지 못하는 당뇨환자들도 쌀 찐빵을 먹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용설란은 빵의 보습효과를 높여주고, 쌀 찐빵의 맛과 풍미를 좋게하 며, 찐빵 고유의 향에 영향을 주지 않을 뿐 아니라 쌀 찐빵의 신선도를 향상시켜서 유통기한을 최대한 늘려줄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제조과정에 의하여 완성된 쌀 찐빵은 영양분이 풍부하면서도 화학적인 방부제, 표백제, 유화제, 설탕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구기자, 말굽버섯, 용설란시럽과 같이 천연 식물에서 추출한 재료들을 사용한 것이므로 국민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쌀 찐빵에는 각종 천연 재료들에서 우러난 각종 비타민, 단백질, 무기질 성분들이 다량 포함되어 인체에 유익한 영양분이 고르게 함유된 것이므로 고품질의 찐빵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구기자, 용설란시럽 등에 포함된 그윽한 향미(香味)가 구수한 찐빵의 향미와 잘 어우러져 보다 맛있는 쌀 찐빵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쌀 찐빵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쌀 찐빵의 내부에 들어가는 단팥 속의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물 57∼58중량%, 팥 20∼20.5중량%, 용설란시럽 9.4∼9.8중량%, 소금 9.2∼9.6중량%, 구기자 추출액 1.8∼2.1중량%, 찹쌀 0.2∼0.4중량%, 비타민나무 추출액 1.8∼2.1중량%의 재료들을 준비하는 단계; 물 57∼58중량% 중에서 38∼38.5중량%와 팥을 용기에 투입하여 100℃의 온도로 10∼20분간 삶은 다음 붉은 물은 버리고, 다시 남은 물 19∼19.5중량%를 투입하여 100℃의 온도로 팥이 완숙될 때까지 삶는 단계; 완숙된 팥과 용설란시럽, 소금, 구기자 추출액, 찹쌀, 비타민나무 추출액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서서히 저어주면서 1시간 30분∼2시간동안 가열하여 조려주는 단계에 의하여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단팥 속의 제조과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2
도 2의 제조공정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물 10,500g, 팥 3,520g, 용설란시럽 1,750g, 소금 1,705g, 구기자 추출액 350g, 찹쌀 50g, 비타민나무 추출액 350g 등의 재료들을 준비하였다.
상기 재료들 중에서 비타민나무 추출액은 깨끗하게 세척된 비타민나무의 잎과 열매를 50∼60℃의 온도를 유지하는 깨끗한 온수에 투입하여 약15시간 비타민나무의 잎과 열매에서 영양소 성분들이 우러나 비타민과 같은 다양한 영양소가 고르게 함유된 물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준비된 재료들 중에서 물 7,000g과 팥을 용기에 투입하여 100℃의 온도로 10∼20분간 삶은 다음 붉은 물은 버리고, 남은 물 3,500g을 투입하여 100℃의 온도로 팥이 완숙될 때까지 삶았다.
이어서, 완숙된 팥과 용설란시럽, 소금, 구기자 추출액, 찹쌀, 비타민나무 추출액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서서히 저어주면서 1시간 30분∼2시간 동안 가열하여 조려주었더니 영양분이 풍부하면서도 향미(香味)가 그윽한 고품질의 단팥 속을 완성할 수 있었다.
상기 쌀 찐빵의 단팥 속 제조에 사용되는 비타민 나무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비타민나무(sea buckthorn)는 갈매보리수나무라고도 하며 학명은 Hippophae rhamnoides L./ Rhamnus davurica이고, 보리수과에 속하는 아교목성 식물로 꽃이 없이 노란색에서 주홍색에 이르는 타원형의 열매가 열리는 게 특징이며, 주요성분은 탄닌(tannin), 비타민 C, 비타민 E, 카로틴,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으로 구성되어 비타민이 풍부하며 다양한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고 향기가 좋고, 풍부한 비타민과 무기질이 포함되어 암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한다는 기록이 있으며, 완벽한 비타민 C의 보고로 고급 불포화지방산 풍부할 뿐 아니라 20여 종의 질병에 대해 예방과 치료 효과가 뛰어나고, 장수에 좋은 성분이 100여 종이나 포함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비타민나무의 약용효과가 함유된 쌀 찐빵은 향미가 풍부하여 맛있고 영양분이 풍부한 고품질의 쌀 찐빵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의 제조과정에 의하여 완성된 본 발명의 쌀 찐빵에는 화학적인 방부제, 표백제, 유화제, 설탕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구기자, 말굽버섯, 용설란, 비타민나무와 같이 천연 식물에서 추출한 재료들을 사용한 것이므로 국민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쌀 찐빵에는 각종 천연 재료들에서 우러난 인체에 유용한 10여종의 필수 아미노산, 각종 비타민, 단백질, 무기질 성분들이 다량 포함되어 영양분이 고르게 함유된 것이므로 고품질의 찐빵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구기자, 용설란시럽 등에 포함된 그윽한 향미(香味)가 구수한 찐빵의 향미와 잘 어우러져 보다 맛있는 쌀 찐빵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쌀 찐빵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쌀을 사용하여 찐빵을 제조한 것이므로 결국 쌀의 소비가 촉진되어 쌀 농사를 주업으로 하는 농가(農家)들의 경제적 부담을 상당부분 덜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서구적인 식단을 선호함에 따라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불균형적인 영양분의 공급으로 인하여 비만형 체질이 많아지는 등의 문제점과 순수한 토종음식들이 점차 소멸되는 등의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이 완벽하게 해소되어 맛있고 영양분이 고르게 함유된 고품질의 쌀 찐빵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쌀가루 44∼45중량%, 유기농 설탕 6∼6.5중량%, 버터 3∼3.5중량%, 소금 0.5∼0.7중량%, 생 이스트 0.5∼0.7중량%, 베이킹파우더 0.5∼0.7중량%, 계란흰자 6∼6.5중량%, 구기자 추출액 18∼20중량%, 쌀 유산균 18∼20중량%의 재료들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재료들 중에서 분말로 이루어진 쌀가루, 유기농 설탕, 소금, 생 이스트, 베이킹파우더를 고르게 혼합하는 단계;
    계란흰자와 구기자 추출액을 용기에 담아 고르게 섞여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재료들을 반죽기에 투입하여 고르게 1차 반죽한 후 버터와 쌀 유산균을 투입하여 2차 반죽하여 재료들이 충분히 반죽되도록 하는 단계;
    반죽물을 평평한 형태의 생지(生紙)로 성형하는 단계;
    생지의 내부에 단팥 속을 넣고 둘레가 오므려지도록 하여 찐빵 형태의 성형물을 완성하는 단계;
    성형물을 발효실에 투입하여 온도 34∼37℃, 습도 88∼92%의 조건을 부여하여 10∼20분간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가 완료된 성형물을 찜통에 넣고 증기를 부여하여 13∼20분간 찌는 단계;
    완성된 쌀 찐빵을 영하 30℃에서 급속 냉동시키는 단계;
    냉동된 쌀 찐빵을 포장한 후 영하 15∼20℃의 냉동실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 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찐빵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농 설탕에 용설란 시럽이 1 : 1중량% 포함되도록 하고, 이들의 합은 혼합물의 전체중량 6∼6.5중량%가 되도록 하며,
    상기 구기자 추출액에 말굽버섯 추출액이 5 : 1중량% 포함되도록 하고, 이들의 합은 혼합물 전체중량의 18∼20중량%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찐빵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쌀 찐빵의 내부에 들어가는 단팥 속의 제조는,
    물 57∼58중량%, 팥 20∼20.5중량%, 용설란시럽 9.4∼9.8중량%, 소금 9.2∼9.6중량%, 구기자 추출액 1.8∼2.1중량%, 찹쌀 0.2∼0.4중량%, 비타민나무 추출액 1.8∼2.1중량%의 재료들을 준비하는 단계;
    물 57∼58중량% 중에서 38∼38.5중량%와 팥을 용기에 투입하여 100℃의 온도로 10∼20분간 삶은 다음 붉은 물은 버리고, 다시 남은 물 19∼19.5중량%를 투입하여 100℃의 온도로 팥이 완숙될 때까지 삶는 단계;
    완숙된 팥과 용설란시럽, 소금, 구기자 추출액, 찹쌀, 비타민나무 추출액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서서히 저어주면서 1시간 30분∼2시간동안 가열하여 조려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찐빵의 제조방법.
KR1020060081385A 2006-08-26 2006-08-26 쌀 찐빵의 제조방법 KR100770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385A KR100770038B1 (ko) 2006-08-26 2006-08-26 쌀 찐빵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385A KR100770038B1 (ko) 2006-08-26 2006-08-26 쌀 찐빵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038B1 true KR100770038B1 (ko) 2007-10-26

Family

ID=3881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385A KR100770038B1 (ko) 2006-08-26 2006-08-26 쌀 찐빵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03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95B1 (ko) * 2009-02-18 2010-01-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산채 현미찐빵의 제조방법
KR101151714B1 (ko) 2009-10-21 2012-06-14 김형일 찐빵의 제조방법
CN103070348A (zh) * 2013-01-10 2013-05-01 安徽青松食品有限公司 一种红枣味馒头的制备方法
CN103445067A (zh) * 2013-04-27 2013-12-18 河南省佰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营养健康馒头的制作方法
CN103829143A (zh) * 2012-11-27 2014-06-04 任利娜 豆渣馒头
KR20180116871A (ko) 2017-04-18 2018-10-26 박종연 파스타치오와 고구마 및 치즈 찐빵의 제조방법
KR20210028309A (ko) 2019-09-03 2021-03-12 이풍우 제빵용 천연발효액종을 이용한 쌀찐빵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758A (ko) * 1993-10-06 1995-05-15 한정남 쌀 발효액 제조방법 및 쌀 발효액을 이용한 빵의 품질개선방법
KR960040162A (ko) * 1995-05-18 1996-12-17 김광희 생약재가 첨가된 쌀빵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758A (ko) * 1993-10-06 1995-05-15 한정남 쌀 발효액 제조방법 및 쌀 발효액을 이용한 빵의 품질개선방법
KR960040162A (ko) * 1995-05-18 1996-12-17 김광희 생약재가 첨가된 쌀빵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95B1 (ko) * 2009-02-18 2010-01-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산채 현미찐빵의 제조방법
KR101151714B1 (ko) 2009-10-21 2012-06-14 김형일 찐빵의 제조방법
CN103829143A (zh) * 2012-11-27 2014-06-04 任利娜 豆渣馒头
CN103070348A (zh) * 2013-01-10 2013-05-01 安徽青松食品有限公司 一种红枣味馒头的制备方法
CN103445067A (zh) * 2013-04-27 2013-12-18 河南省佰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营养健康馒头的制作方法
KR20180116871A (ko) 2017-04-18 2018-10-26 박종연 파스타치오와 고구마 및 치즈 찐빵의 제조방법
KR20210028309A (ko) 2019-09-03 2021-03-12 이풍우 제빵용 천연발효액종을 이용한 쌀찐빵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386B1 (ko) 생약추출물을 첨가한 능이버섯 세갈비 양념소스를 이용한 양념갈비 및 그 제조방법
KR100770038B1 (ko) 쌀 찐빵의 제조방법
KR20060106190A (ko) 메밀을 이용한 기능성 식초 제조방법과 그 식초 및식초음료
KR101215890B1 (ko) 보리새싹 분말과 단호박을 혼합하여 제공되는 기능성 찐빵/호도과자의 제조방법
KR101737393B1 (ko) 아로니아 오디 찐빵 및 그 제조방법
CN103653080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KR20170132925A (ko) 쑥부쟁이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머핀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쑥부쟁이 머핀
CN105614245A (zh) 一种巧克力榴莲馅粘豆包及其生产方法
CN105519825A (zh) 一种红枣芸豆馅粘豆包及其生产方法
CN104095076A (zh) 一种保健榛菇豆干及其制备方法
CN107279955A (zh) 茶树菇酱的制作方法
CN112352911A (zh) 一种养生糍粑及其制作工艺
CN106473007A (zh) 一种酸汤羊肉火锅及其制备方法
KR101954756B1 (ko) 산채 만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767420A (zh) 一种橙香山药糕
CN108703175A (zh) 一种兔肉松薏米饼的配方及其制备方法
KR102300693B1 (ko)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늘빵
CN109430491A (zh) 一种姜软糖的制备工艺
KR102330370B1 (ko) 명란을 이용한 쌀쿠키 제조방법
CN110269186A (zh) 香蒿保健锅巴
KR102446382B1 (ko) 호박과자 및 그 제조방법
CN107788064A (zh) 一种杨梅渣桂花饼及其制备方法
KR102330369B1 (ko) 카카오콩을 포함하는 칩쿠키 제조방법
CN106305937A (zh) 一种自制枸杞护眼饼干及其制备方法
CN106418198A (zh) 一种蜜枣绿豆馅粽子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