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811B1 -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811B1
KR100769811B1 KR1020060088646A KR20060088646A KR100769811B1 KR 100769811 B1 KR100769811 B1 KR 100769811B1 KR 1020060088646 A KR1020060088646 A KR 1020060088646A KR 20060088646 A KR20060088646 A KR 20060088646A KR 100769811 B1 KR100769811 B1 KR 100769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power
control signal
ground
memo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08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811B1/ko
Priority to US11/760,768 priority patent/US754567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11C16/14Circuits for erasing electrically, e.g. erase voltage switch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의 메모리 셀의 데이터 소거를 위한 웰 바이어스 회로에 관한 것으로, 메모리 셀의 데이터 소거를 위해 웰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웰 전압 공급부; 상기 메모리 셀의 데이터 소거가 완료된 후 제 1 제어신호에 의해 웰에 인가된 고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한 웰 디스차지부; 상기 메모리 셀의 데이터 소거 이외의 경우, 제 2 제어신호에 의해 웰 바이어스를 그라운드로 유지시키기 위한 웰투그라운드 회로부; 및 파워온 시 상기 웰 디스차지부를 일정시간 동안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블록을 포함하는 웰 바이어스 회로로 구성되며, 파워온 시에는 웰 디스차지부가 활성화되고, 파워온 이후에 웰투그라운드 회로부가 활성화되도록 하여 웰에 남아있는 전압을 디스차지 시켜 회로에 포함된 소자를 보호한다.
웰 바이어스, 스냅백 트랜지스터, 디스차지

Description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 및 그 동작 방법{Well bias circuit in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웰 바이어스 회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웰 전압 디스차지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웰 바이어스 회로의 웰 전압 디스차지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간단한 설명*
100 : 웰 전압 공급부 200 : 웰투그라운드 회로부
300 : 웰 디스차지부 400 : 제어부
본 발명은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거 동작시에 웰에 높은 전압을 공급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디스차지하는 웰 바이어스 회로에서 비정상적인 전원 오프후에 전원이 온 될 때 웰 바이어스 회로를 보호 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소 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억소자 중에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지라도 메모리 셀 내에 저장된 정보가 소멸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비휘발성 메모리소자는 컴퓨터 또는 메모리 카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중에 낸드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는 노어형 플래쉬 메모리소자에 비하여 집적도를 증가시키기가 용이하므로 고집적 플래쉬 메모리소자에 널리 채택되고 있다.
낸드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메모리 셀 어레이는 다수의 메모리 셀들과, 비트라인과 소스라인에 각각 연결된 두개의 셀렉트 트랜지스터(SST; Source Select Transistor 및 GST; Ground Select Transistor)가 직렬 접속된 스트링(String)이라는 단위로 구성된다.
상기 셀렉트 트랜지스터(GST)는 기준 공통라인과 연결을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또 다른 셀렉트 트랜지스터(SST)는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메모리 셀과 비트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낸드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에서는 메모리 셀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Read) 하기 위하여, 셀렉트 트랜지스터(SST 및 GLT)의 게이트에 4.5V정도의 전압을 인가하여 턴온(turn on) 시킨 상태에서 선택된 메모리 셀의 워드라인에는 0V를 인가하고, 선택되지 않은 메모리 셀의 워드라인에는 4.5V를 인가하여 턴온 되도록 한다. 따라서 선택된 메모리 셀에 저장된 정보를 주변의 다른 메모리 셀의 양향을 받지 않고 독출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소자의 메모리 셀에 데이터의 소거(erase)를 위해서는 기판, 즉 웰(Well)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프로그램된 메모리 셀의 소거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웰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회로는 고전압의 웰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패스와, 웰 디스차지를 하는 패스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며, 소거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는 웰 바이어스를 항상 0V의 그라운드(GND)로 잡아주는 회로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웰 바이어스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의 웰 바이어스 회로는 메모리 셀(미도시)의 소거를 위해 고전압을 웰에 인가하기 위한 웰 전압 공급부(10)와, 소거동작을 수행하지 않을때 웰 바이어스를 0V로 잡아주기 위한 웰투그라운드(Well to Ground) 회로부(20)와, 상기 웰 전압 공급부(10)로부터 웰에 공급된 고전압이 소거동작 이후에 디스차지 될 수 있도록 디스차지 패스를 제공하기 위한 웰 디스차지부(30) 및 상기 웰투그라운드 회로부(20)와 웰 디스차지부(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웰 전압 공급부(10)는 소거를 위한 고전압(
Figure 112006066189123-pat00001
)입력과 노드 (1) 사이에 제 1 스냅백 트랜지스터(Sb1)가 연결되고, 상기 제 1스냅백 트랜지스터(Sb1)의 게이트가 스위칭 제어신호(SW_HV)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노드 (1)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웰(WELL)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스냅백 트랜지스터(Sb1)는 고전압에 견딜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트랜지스터로 고전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가지는 다른 트랜지스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웰투그라운드 회로부(20)는 제 2 및 제 3 인버터(IN2, IN3)와, NMOS 트랜지스터(N1)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및 제 3 인버터(IN2, IN3)는 제어부(40)의 웰투그라운드 반전신호(WELLTOGND_N)를반전시키기 위한 제 1 인버터(IN1)의 출력단과 노드(2) 사이에 직렬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N1)는 노드(1)와 그라운드(GND)사이에 연결되고 노드(2)와 게이트 연결된다. 상기 NMOS 트랜지스터(N1)는 웰의 캐패시터용량이 크기 때문에 큰 사이즈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해서 웰 바이어스를 잡아주어야 0V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때 사용되는 NMOS 트랜지스터(N1)는 일반적인 N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또한 웰 디스차지부(30)는 제 4 및 제 5 인버터(IN4, IN5)와 제 2 스냅백 트랜지스터(Sb2)를 포함한다. 상기 제 4 및 제 5 인버터(IN4, IN5)는 제어부(40)의 디스차지 제어신호(DISCH) 단자와 노드(3) 사이에 직렬 연결된다. 제 2 스냅백 트랜지스터(Sb2)는 노드(1)와 그라운드(GND)사이에 연결되고 노드(3)와 제 2 스냅백 트랜지스터(Sb2)의 게이트가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메모리의 소거 동작을 위하여 웰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디스차지를 위한 디스차지 제어신호(DISCH)와 소거 동작 이외에 웰 바이어스를 0V로 잡아주기 위한 웰투그라운드 반전 신호(WELLTOGND_N)를 출력한다. 상기 웰투그라운드 반전신호(WELLTOGND_N)는 제 1 인버터(IN1)에 의해 웰투그라운드 제어신호(WELLTOGND)로 다시 반전된 다음, 제 2 및 제 3 인버터(IN2 및IN3)를 거쳐 웰투그라운드 회로부(20)에 입력된다.
메모리의 소거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어부(40)가 웰투그라운드 반전 신호(WELLTOGND_N)를 하이레벨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웰투그라운드 반전신호(WELLTOGND_N)는 제 1 인버터(IN1)를 통해 로우 레벨의 웰투그라운드 제어신호(WELLTOGND)가 된다. 웰투그라운드 제어신호(WELLTOGND)는 제2 및 제 3 인버터(IN2 및 IN3)을 거쳐 웰투그라운드 회로부(20)에 입력된다. 상기 웰투그라운드 제어신호(WELLTOGND)에 의해 NMOS 트랜지스터(N1)는 턴 오프 되고, 상기 웰 전압 공급부(10)의 제 1 스냅백 트랜지스터(Sb1)의 게이트에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SW_HV)가 인가된다. 이때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SW_HV)는 소거를 위한 고전압 인가를 위해 고전압 스위치(미도시)로부터 인가된다.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SW_HV)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면 제 1 스냅백 트랜지스터(Sb1)가 턴 온 되어 고전압(
Figure 112006066189123-pat00002
)이 패스(a)와 같이 웰(WELL)로 인가된다. 상기 고전압(
Figure 112006066189123-pat00003
)은 메모리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20V 내외의 높은 전압이다.
상기 웰에 인가되는 고전압(
Figure 112006066189123-pat00004
)에 의해 메모리 셀의 데이터가 소거된 이후에는 스위칭 제어신호(SW_HV)가 로우레벨로 전환되어 웰 전압 공급부(10)의 제 1 스냅백 트랜지스터(Sb1)가 턴오프 되고, 웰에 이미 인가된 고전압(
Figure 112006066189123-pat00005
)을 디스차지 시키기 위하여 제어부(40)의 디스차지 제어신호(DISCH)가 하이 레벨로 출력된다. 상기 디스차지 제어신호(DISCH)에 의해 웰 디스차지부(30)의 제 2 스냅백 트랜지스터(Sb2)는 턴 온 되고 노드(1)과 연결된 웰의 고전압을 디스차지 하도록 하는 디스차지 패스(b)가 형성된다.
상기의 웰 바이어스 회로는 소거동작 중에 전원이 오프되었다가 다시 온되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소거 동작 중에 전원이 오프되었던 메모리에 전원이 다시 온 되면 제어부(40)는 일반적인 전원 온 때의 동작과 동일하게 웰투그라운드 제어신호 반전신호(WELLTOGND_N)를 로우레벨로 출력하고, 이는 제 1 인버터(IN1)를 통해 하이레벨의 웰투그라운드 제어신호(WELLTOGND)로 출력되어 NMOS 트랜지스터(N1)를 턴온 시킴으로써, 웰 바이어스를 0V로 잡아주도록 동작한다. 그러나 앞서 소거 동작을 하던 중에 전원이 오프되었기 때문에 웰에는 이미 고전압(
Figure 112006066189123-pat00006
)이 인가되어 있고, 이로 인해 NMOS 트랜지스터(N1)는 웰로부터의 고전압을 견디지 못하여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상기의 웰 바이어스 회로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웰 전압 디스차지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워온 반전신호(PWRONEN_N)에 의해 파워 온이 수행되는 동안, 제어부(40)의 웰투그라운드 제어신호(SWDW_WELLTOGND)는 하이레벨로 유지가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전에 소거동작중에 전원이 오프된 경우 웰투그라운드 회로부(20)의 NMOS 트랜지스터(N1)는 고전압을 웰로부터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메모리의 파워온 구간에서 웰이 인가된 고전압을 디스차지 시킨 후, 웰 바이어스를 0V로 잡아주도록 하여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는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는,
메모리 셀의 데이터 소거를 위해 웰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웰 전압 공급부; 상기 메모리 셀의 데이터 소거가 완료된 후 제 1 제어신호에 의해 웰에 인가된 고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한 웰 디스차지부; 상기 메모리 셀의 데이터 소거 이외의 경우, 제 2 제어신호에 의해 웰 바이어스를 그라운드로 유지시키기 위한 웰투그라운드 회로부; 및 파워온 시 상기 웰 디스차지부를 일정시간 동안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블록은,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파워온 시 생성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제어신호 또는 전원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1 MUX; 및 파워온 시 생성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제어신호 또는 전원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2 MUX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MUX는, 상기 제 1 제어신호 및 전원전압을 각각 입력받고, 파워온 시에는 전원전압을 출력하고, 파워온 이후에 상기 제 1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MUX는, 상기 제 2 제어신호 및 전원전압을 각각 입력받고, 파워온 시에는 전원전압을 출력하고, 파워온 이후에 상기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면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의 동작 방법 은,
파워 온 시에 메모리 셀의 웰에 인가되는 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한 웰 디스차지부를 활성화 시키는 단계; 및 파워 온 이후에 상기 웰 디스차지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웰 바이어스가 0V가 되도록 하는 웰투그라운드 회로부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에 웰 바이어스 인가를 위한 웰 전압 공급부(100)와, 소거동작을 수행하지 않을때 웰 바이어스를 0V로 잡아주기 위한 웰투그라운드 회로부(200)와, 상기 웰 전압 공급부(100)가 웰에 공급하는 고전압이 소거 동작 이후에 디스차지 되도록 디스차지 패스를 제공하기 위한 웰 디스차지부(300) 및 상기 웰투그라운드 회로부(200)와 웰 디스차지부(300)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블록(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웰 전압 공급부(100)는 소거를 위한 고전압(
Figure 112006066189123-pat00007
)과 노드 (10) 사이에 제 1 스냅백 트랜지스터(Sb10)가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냅백 트랜지스터(Sb10)의 게이트에 스위칭 제어신호(SW_HV)가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드 (10)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웰(WELL)과 연결된다.
그리고 웰투그라운드 회로부(200)는 제 1 내지 제 3 인버터(IN10 내지 IN30)와, NMOS 트랜지스터(N1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인버터(IN10 내지 IN30)는 제어 블록(400)의 제 2 MUX(420)의 출력단과 노드(200) 사이에 직렬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N10)는 노드(10)와 그라운드(GND)사이에 연결되고 노드(20)가 NMOS 트랜지스터(N10)의 게이트에 연결된다. 상기 NMOS 트랜지스터(N10)는 웰의 캐패시터용량이 크기 때문에 큰 사이즈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해서 웰 바이어스를 잡아주어야 0V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때 사용되는 NMOS 트랜지스터(N10)는 일반적인 N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또한 웰 디스차지부(300)는 제 4 및 제 5 인버터(IN40, IN50)와 제 2 스냅백 트랜지스터(Sb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4 및 제 5 인버터(IN40, IN50)는 제어 블록(400)의 제 1 MUX(430)의 출력단자와 노드(30) 사이에 직렬 연결된다. 제 2 스냅백 트랜지스터(Sb20)는 노드(10)와 그라운드(GND)사이에 연결되고 노드(30)가 제 2 스냅백 트랜지스터(Sb20)의 게이트에 연결된다.
제어 블록(400)은 웰투그라운드 반전신호(WELLTOGND_N)와 디스차지 제어신호(DISCH)를 출력하는 제어부(410)와, 파워온 반전신호(PWRONEN_N)에 의해 동작하는 제 1 및 제 2 MUX(430, 420)를 포함한다.
상기 파워 온 반전 신호(PWRONEN_N)는 파워 온 구간에서 로우 상태를 유지하고, 파워온이 끝나고 준비상태로 가면 하이상태로 가는 신호이다.
상기 제 1 또는 제 2 MUX(430, 420)는 "1"과 "0"의 두 개의 입력단자를 포함하며, 제어신호에 의해 두 개의 입력 신호 중 하나를 출력한다. 제 2 MUX(420)는 "1"입력 단자에 웰투그라운드 반전신호(WELLTOGND_N)가 입력되고 "0"입력 단자에 전원전압(
Figure 112007028466186-pat00008
)이 입력된다. 그리고 파워온 반전신호(PWRONEN_N)에 의해 출력 제어를 받는다. 상기 파워온 반전신호(PWRONEN_N) 신호가 하이레벨이면 "1"입력단자의 신호를 출력하고, 로우 레벨이면 "0"입력단자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 1 MUX(430)은 "1" 입력 단자에 디스차지 제어신호(DISCH)가 입력되고, "0" 입력 단자에 전원전압(
Figure 112007028466186-pat00009
)이 입력된다. 상기 제 1 MUX(430) 역시 파워온 반전신호(PWRONEN_N)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출력은 상기 도 2 MUX(420)와 동일하게 한다.
상기의 웰 바이어스 회로의 동작을 시뮬레이션 결과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의 웰 바이어스 회로의 웰 전압 디스차지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파워온 반전신호(PWRONEN_N)가 초기에 로우 레벨로 입력되면, 제어 블록(400)의 제 2 MUX(420) 및 제 1 MUX(430)에 파워온 반전신호(PWRONEN_N)가 로우 레벨로 입력되어 "0"입력 단자의 전원전압(
Figure 112007028466186-pat00010
)이 출력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MUX(430, 420)는
Figure 112007028466186-pat00011
인 하이레벨 신호가 출력되며, 제 2 MUX(420)의 출력신호
Figure 112007028466186-pat00012
는 웰투그라운드 회로부(200)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 1 MUX(430)의 출력신호
Figure 112007028466186-pat00013
는 하이레벨인 상태 그대로 웰 디스차지부(300)로 입력된다.
상기의 입력으로 인해 웰투그라운드 회로부(200)의 NMOS 트랜지스터(N10)는 턴 오프되고, 웰 디스차지부(300)의 제 2 스냅백 트랜지스터(Sb20)는 턴 온 된다.
따라서 이전에 웰(WELL)에 고전압이 충전된 상태로 전원이 오프되었다 하더라도, 파워온이 되는 초기의 일정 시간동안 제 2 스냅백 트랜지스터(Sb20)를 통해 안전하게 방전됨으로써 상기 웰투그라운드 회로부(200)의 NMOS 트랜지스터(N10)를 보호한다.
그리고 다시 파워온 반전신호(PWRONEN_N)가 하이 레벨로 변환되면, 제 1 및 제 2 MUX(430, 420)의 "1"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웰투그라운드 반전신호(WELLTOGND_N) 및 디스차지 제어신호(DISCH)가 출력된다.
이때, 상기 웰투그라운드 반전신호(WELLTOGND_N)는 파워온 구간에서 항상 로우 레벨이므로 웰투그라운드 회로부(200)로 입력되는 신호는 제 1 내지 제 3 인버터(IN10 내지 IN30)을 통해 반전되어 하이레벨의 신호가 되어 NMOS 트랜지스터(N10)를 턴 온 시키고, 디스차지 제어신호(DISCH)는 로우 레벨이므로 웰 디스차지부(300)의 제 2 스냅백 트랜지스터(Sb20)를 턴 오프시킨다.
따라서 파워온이 완료되면 NMOS 트랜지스터(N10)를 통해 웰 바이어스는 0V로 유지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 및 그 동작 방법은 파워온이 시작되면서 웰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고전압용 트랜지스터를 통해 방전하도록 하고, 이후에 웰 바이어스를 0V로 잡아주도록 함으로써 트랜지스터를 보호하여 에러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Claims (5)

  1. 메모리 셀의 데이터 소거를 위해 웰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웰 전압 공급부;
    상기 메모리 셀의 데이터 소거가 완료된 후 제 1 제어신호에 의해 웰에 인가된 고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한 웰 디스차지부;
    상기 메모리 셀의 데이터 소거 이외의 경우, 제 2 제어신호에 의해 웰 바이어스를 그라운드로 유지시키기 위한 웰투그라운드 회로부; 및
    파워온 시 상기 웰 디스차지부를 일정시간 동안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블록
    을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블록은,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파워온 시 생성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제어신호 또는 전원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1 MUX; 및
    파워온 시 생성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제어신호 또는 전원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2 MUX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UX는,
    상기 제 1 제어신호 및 전원전압을 각각 입력받고, 파워온 시에는 전원전압을 출력하고, 파워온 이후에 상기 제 1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MUX는,
    상기 제 2 제어신호 및 전원전압을 각각 입력받고, 파워온 시에는 전원전압을 출력하고, 파워온 이후에 상기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
  5. 파워 온 시에 메모리 셀의 웰에 인가되는 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한 웰 디스차지부를 활성화 시키는 단계; 및
    파워 온 이후에 상기 웰 디스차지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웰 바이어스가 0V가 되도록 하는 웰투그라운드 회로부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 동작 방법.
KR1020060088646A 2006-09-13 2006-09-13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 및 그 동작 방법 KR100769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646A KR100769811B1 (ko) 2006-09-13 2006-09-13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 및 그 동작 방법
US11/760,768 US7545676B2 (en) 2006-09-13 2007-06-10 Well bias circuit in a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646A KR100769811B1 (ko) 2006-09-13 2006-09-13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811B1 true KR100769811B1 (ko) 2007-10-23

Family

ID=3881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646A KR100769811B1 (ko) 2006-09-13 2006-09-13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45676B2 (ko)
KR (1) KR1007698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7665B1 (ja) * 2015-11-10 2016-11-16 ウィンボンド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20210155224A (ko) 2020-06-15 2021-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전압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161A (ko) * 1997-11-25 1999-06-15 윤종용 음의 고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한 회로를 구비한 플래시 메모리장치
KR20000002889A (ko) * 1998-06-24 2000-01-15 윤종용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페이지 버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788B1 (ko) * 2004-12-17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램 동작 속도를 개선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페이지 버퍼와 이에 대한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161A (ko) * 1997-11-25 1999-06-15 윤종용 음의 고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한 회로를 구비한 플래시 메모리장치
KR20000002889A (ko) * 1998-06-24 2000-01-15 윤종용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페이지 버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특1999-0042161
공개특허 특2000-000288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45676B2 (en) 2009-06-09
US20080062766A1 (en) 200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848B1 (ko) 비휘발성 메모리의 스냅백 개선을 위한 부극성 전압 방전스킴
US7061306B2 (en) Voltage booster
US20050232012A1 (en) NAND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programming the same
US7760580B2 (en) Flash memory device and erase method using the same
US9866206B2 (en) Driver circuit for memory devices
JP2007128644A (ja) プログラム及び消去検証機能を有する非揮発性半導体メモリ装置
JP5933968B2 (ja) Nandメモリ用デコーダ
KR101728586B1 (ko) 인에이블 회로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
JP2006107709A (ja) 読み取り特性を向上させることができる不揮発性メモリ装置の共通ソースライン制御スキーム
KR20110001088A (ko)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KR100769811B1 (ko) 메모리 소자의 웰 바이어스 회로 및 그 동작 방법
KR20000076844A (ko) 반도체 기억 장치
US8446764B2 (en) Control voltage generation circuit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673776B1 (ko)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페이지 버퍼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리드 방법
KR101069087B1 (ko) 캠셀 메모리 장치
KR101201606B1 (ko) 반도체 장치의 고전압 스위치 회로
JP2007184083A (ja) ページバッファ及びその読み出し方法
TWI777784B (zh) 半導體記憶體裝置
JP5255609B2 (ja) 電圧制御回路および電圧制御方法
KR20000002889A (ko)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페이지 버퍼
KR100769808B1 (ko) 워드라인 블럭 스위치를 구비한 플래시 메모리 장치
JPH04228192A (ja) 不揮発性記憶セルアレイの語線に電源電圧とプログラミング電圧を印加する語線駆動回路
JPWO2006001057A1 (ja) 電圧制御回路および半導体装置
KR20010061461A (ko) 플래시 메모리의 보호/비보호 셀 마진 확보회로
KR970051381A (ko) 플래쉬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