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742B1 - 강철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및 그것을 사용하는 강철의연속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철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및 그것을 사용하는 강철의연속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742B1
KR100767742B1 KR1020067003656A KR20067003656A KR100767742B1 KR 100767742 B1 KR100767742 B1 KR 100767742B1 KR 1020067003656 A KR1020067003656 A KR 1020067003656A KR 20067003656 A KR20067003656 A KR 20067003656A KR 100767742 B1 KR100767742 B1 KR 10076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molten steel
continuous casting
refractor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6484A (ko
Inventor
가츠미 모리카와
조키 요시토미
게이스케 아사노
사에코 우치다
Original Assignee
구로사키 하리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로사키 하리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구로사키 하리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3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07Pouring-nozzles giving a rotating motion to the issu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2Manufacturing or repairing thereof
    • B22D41/54Manufacturing or repair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8Pouring-nozzles with gas injec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01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containing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0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 C04B35/0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based on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 C04B35/1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rich in alumin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6Monolithic refractories or refractory mortars, including those whether or not containing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8Non-oxide ceramic constituents or additives
    • C04B2235/3817Carbides
    • C04B2235/3821Boron carb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8Non-oxide ceramic constituents or additives
    • C04B2235/3817Carbides
    • C04B2235/3826Silicon carb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0Metallic constituents or additives not added as binding phase
    • C04B2235/402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2Non metallic elements added as constituents or additives, e.g. sulfur, phosphor, selenium or tellurium
    • C04B2235/428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4Physical characteristics
    • C04B2235/77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4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6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e.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toughness, wear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6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e.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toughness, wear resistance
    • C04B2235/9607Thermal properties, e.g.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6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e.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toughness, wear resistance
    • C04B2235/9669Resistance against chemicals, e.g. against molten glass or molten salts
    • C04B2235/9676Resistance against chemicals, e.g. against molten glass or molten salts against molten metals such as steel or alumin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용강의 연속 주조에서의 노즐 내공부 벽면으로의 Al203계 개재물의 부착을 없애고, 또한 노즐 내를 유하하는 용강류의 편류 대책으로서의 선회 날개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청정강용 연속 주조용 노즐이다. Ca0/Mg0 중량비 및 겉보기 기공률을 제어한 내화물에 의해 구성하고 내층을 3∼20mm의 두께로 환상 내화물로서 마련된 내공에 선회 날개를 설치함으로써 내공 벽면 및 선회 날개로의 Al2O3계 개재물의 부착 방지와 장시간에 걸치는 용강의 편류 방지가 효과적으로 실시되며, 또한, 상부 노즐로부터 선회 날개 상부 위치 간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를 분출시킴으로써 Al2O3계 개재물의 부상을 촉진하여 용강으로의 혼입을 억제하고, 조업의 안정과 양호한 고청정도 철강 품질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강철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및 그것을 사용하는 강철의 연속 주조 방법{Immersion nozzle for continuous casting of steel and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of steel using the immersion nozzle}
본 발명은 용강(溶鋼)의 연속 주조에서의 레이들(ladle), 턴디쉬와 같은 용탕 용기에 부설하여 사용되는 주조용 노즐로서, 상부 노즐, 슬라이딩 노즐, 중간 노즐, 하부 노즐 및 침지 노즐을 조합한 연속 주조용 노즐, 특히 청정강(淸淨鋼)용의 연속 주조에 적합한 연속 주조용의 침지 노즐과 그 침지 노즐을 사용하는 청정강의 연속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킬드강의 연속 주조에 있어서는 용강을 Al 첨가에 의해 탈산 처리를 했을 때, 용강 중에 생성된 Al2O3계 개재물이 주조용 노즐의 내벽면에 부착, 퇴적하여 노즐의 내구경이 점점 작아지는 노즐 폐색 현상이 발생한다.
이 노즐 폐색 현상은 주조용 노즐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것뿐 아니라, 주형 내에 주입 주조될 때의 용강류(溶鋼流)에 편류 현상을 일으키고 몰드 파우더의 흡인이나 블로홀이라고 불리는 거품의 흡인 등에 의한 주조 결함을 초래하여 연속 조업 그 자체에 지장을 가져다줄 뿐 아니라 강철의 품질 저하로 이어진다.
이 노즐 폐색 현상을 방지하는 대책으로서, Al2O3이 부착하기 어려운 재질의 사용이나 Al2O3이 부착하기 어려운 구조로 한다는 등 여러 가지로 제안됐었다.
Al2O3이 부착하기 어려운 재료의 사용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고 평07-03497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ZrO2-CaO-C질의 내화물을 사용하고, CaO 성분과 용강 중의 Al2O3계 개재물을 반응시켜 저융점 용융물을 생성시키고, 그 표면을 용융 유하시켜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이 대책의 경우, 용강의 청정 정도가 낮은 경우에는 저융점 용융물의 생성과 동시에, CaO·6Al2O3과 같은 용강보다 고융점의 화합물을 생성하기 때문에 충분한 부착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Al2O3이 부착하기 어려운 구조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2003-33846호 공보에, 노즐 내공부에 용강을 선회류(旋回流)로 하기 위한 나선상(螺旋狀) 선회 날개를 마련하고, 노즐 내부를 흘러 내려가는 용탕(溶湯)에 선회류를 부여함과 동시에, 나선상 선회 날개의 설치 조건이나 단면적 등을 조정함으로써 나선상 선회 날개로의 Al203계 개재물의 부착 방지를 행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는, 나선상 선회 날개보다 아래 부분에는 용강의 선회에 의해 밀도가 낮은 Al2O3계 개재물이나 기포가 중심에 모이기 쉽다. 이 때문에, 나선상 선회 날개로부터 노즐 내공부의 용강 액면부(2차 메니스커스)까지의 내벽 부분에서는 용강이 고이기 쉬어 Al2O3의 부착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내공(內孔)에 나선상 선회 날개를 설치해, 흘러 내리는 용강을 선회류로 하여 편류를 없애고, 벽면으로의 Al2O3계 개재물의 부착을 방지하는 청정강용 연속 주조용 노즐에 있어서 선회 날개의 효과를 내공 전면에 균일하게 발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제2 목적은, 특히 레이들, 턴디쉬와 같은 용강 용기로부터의 알루미늄 킬드강의 연속 주조에 있어서 연속 주조용 노즐 내의 용강과 접촉하는 내공 벽면으로의 Al2O3계 개재물 부착량을 감소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은 이하 본원 발명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내공에 용강류 선회용 날개(이하, "선회 날개"라고 함)를 마련한 용강의 연속 주조를 위한 침지 노즐로서, 용강과 접촉하는 내공 벽면층(이하, "내층"이라고 함)의 적어도 일부를 Ca0과 Mg0을 포함하며, 또한 Ca0과 Mg0의 중량비 및 겉보기 기공률을 제어한 내화물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했다.
상기 내층을 구성하는 내화물로서는 MgO와 CaO의 성분치의 합계가 65질량% 이상이고, 그 CaO/MgO의 중량비가 0.4∼2.3, 더욱 바람직하게는 0.6∼1.5이며, 나머지 부분은 카본질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여 겉보기 기공률이 5∼25%인 내화물을 두께 3∼20mm의 환상 내화물층으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의 내화물의 화학 성분치는 내공부 벽면층이 비산화 또는 환원 분위기 하에서 900∼1,200℃ 정도의 열처리를 행한 후의 값에 의해 나타내는 것이다.
CaO/MgO의 중량비가 0.4보다 낮으면, Al2O3계 개재물의 부착이 많아져 폐색 현상이 생기기 쉬워지고, 반대로 2.3을 넘으면, Al2O3계 개재물의 부착은 없지만, CaO·Al2O3의 저용융물이 생성되어 내화물 쪽의 용손(溶損)량이 증대한다는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상기 내층을 구성하는 내화물은 CaO와 MgO의 성분치 합계가 65질량% 이상으로 하고, 나머지 부분의 주성분이 흑연이나 레진과 같은 카본질로서, 그 카본질의 함유량을 35∼1질량%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열충격성이 우수한 내층을 구성할 수 있다. CaO와 MgO의 성분치 합계가 65질량% 미만의 경우에는, 카본의 용강으로의 용해 현상이 심해져 용손량이 증대한다. 기타 성분으로서 카본의 산화 방지를 목적으로 B4C, SiC, Al, Si 등을 5질량% 이내로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성분의 값은 원료 중의 혼입을 피할 수 없는 불가피적인 불순물의 값을 제외하여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노즐을 구성하는 Ca0 및 Mg0 성분 원료로서는 천연의 석회석, 대리석, 돌로마이트광, 소석회, 마그네시아 클링커, 돌로마이트 클링커, 칼시아 클링커, 시멘트 클링커 등 이외에, 칼슘 이온이나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는 불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내화물은 제품으로서는 치밀하면 치밀할수록 내용손성이나 Al2O3의 내부착성 면에서 양호해지지만, 실질적인 겉보기 기공률은 5∼25%인 것이 필요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이다. 내층의 겉보기 기공률이 5% 미만이라면, 내열충격성이 저하되어 발생 응력의 증대에 따른 압박 파열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겉보기 기공률이 25%를 넘은 다공질인 재질을 사용하면, 마모에 의한 용손으로 장시간의 조업을 견디기 어려워진다.
용강과 접촉하는 내층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성분을 가지는 내화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3∼20mm의 환상 내화물층으로 함으로써 폐색 현상은 극복된다. 이 내층의 두께가 3mm 미만이라면, 실용적인 장시간 사용에 대해서는 충분한 폐색 방지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20mm을 넘으면, 사용 시 용강의 열에 의해 팽창률이 큰 내층부가 노즐 본체를 압박 파열할 가능성이 커진다.
노즐 내공에 배치된 선회 날개는 테이프 형상으로 성형된 내화물을 수평면에 대해 80∼180°, 바람직하게는 120°정도 돌린 나선상으로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선회 날개의 설치 위치는 노즐의 토출 공부에서 용강의 편류가 생기지 않는 위치라면, 임의의 개소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내공의 벽면은 형성 시에 몰드 꺼내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입구에서 토출구를 향해 약간 끝이 뾰족해지는 테이퍼를 형성하는 것이 좋고, 또한 선회 날개를 받는 단부 또는 돌기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침지 노즐의 내공에 설치한 선회 날개보다 위쪽에서 용강 용기의 상부 노즐부를 포함하는 사이의 임의 개소에 설치된 가스 토출부로부터 용강 내로 불활성 가스를 분출함으로써 선회 날개에 의한 편류 방지 효과와의 상승효과에 의해 용강에 우수한 청정 효과를 부여한다.
즉, 용강 중에 분출된 불활성 가스는 선회 날개보다 하류의 용강으로의 선회 효과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기포 가스나 용강 중의 Al2O3계 개재물이 용강과의 밀도차에 의해 용강 유로의 중앙 부분에 집합하기 쉬워져 용강과의 접촉 기회가 증가한다. 그 결과, Al2O3계 개재물이 기포 가스에 트래핑되는 빈도가 상승하고, 또한 버블링 효과에 의한 주형 내부에서의 Al2O3계 개재물의 부상이 쉬워져 철강의 고청정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선회 날개에서 상부 쪽만의 환상 내화물층의 배치에 의해 Al2O3계 개재물의 부착 방지 효과는 달성되지만, 선회 날개보다 하부 쪽도 포함하여 내층 전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가스 분출 개소는 선회 날개보다 상부에서 용강 용기 상부 노즐을 포함하는 자리에서 용강류 중에 분출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용되는 선회 날개의 재질에 대해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컨대 알루미나·카본계, 알루미나·실리카·카본계, 지르코니아·카본계, 마그네시아·카본계, 마그네시아·라임·카본계, 마그네시아·라임계 등이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침지 노즐 본체의 재질로서는 일반적인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마그네시아 중 어느 일종 이상과 탄소를 주요 성분으로 하는 내화물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파우더 라인부의 재질은 일반적인 지르코니아·카본계의 재질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환상 내화물층과 선회 날개의 배치 및 불활성 가스의 분출 효과는 Al2O3계 개재물 부착 방지 효과와 함께 주형 내에서의 용강 편류 방지를 장시간 유지 가능으로 할 수 있고, 강철의 고청정화 효과뿐 아니라 조업의 안정성 향상, 또한 강철의 품질 향상이나 안정성을 가져다주어 제조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환상 내화물층과 선회 날개의 배치 및 불활성 가스의 분출을 조합한 경우에는 이들 3개를 조합하지 않은 방법의 경우보다도 불활성 가스의 분출량을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불활성 가스에 기인하는 강철의 결함 등을 감소시킬 수 있고, 더한 강철의 품질 향상이나 안정성, 제조 비용 절감에도 크게 기여하게 된다.
도 1은 침지 노즐의 내공부에 선회 날개를 설치한 위쪽 내층에 본 발명의 환상 내화물을 배치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노즐 내공부에 선회 날개를 설치하고, 내층 모두에 본 발명의 환상 내화물을 배치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침지 노즐의 내공부에 선회 날개를 설치한 위쪽 내층에 본 발명의 환 상 내화물을 배치하고, 선회 날개보다 상부에 불활성 가스의 토출부를 마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부호의 설명>
1 침지 노즐
2 파우더 라인부
3 환상 내화물층
4 선회 날개
5 유입구
6 토출구
7 가스 토출부
8 가스 공급구
9 슬릿
10 중간 노즐(하부 노즐)
11 슬라이딩 노즐 플레이트
12 상부 노즐
13 용강 용기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침지 노즐(1)의 내공에 설치한 선회 날개 (4)의 위쪽 내층에 환상 내화물층(3)을 배치한 예를 단면도에 의해 나타낸다.
도면 중 2는 침지 부분의 용강 보온재인 파우더에 의한 침식을 보호하는 파우더 라인부, 3은 환상 내화물층이다. 선회 날개(4)는 침지 노즐(1)이 용강에 침지되어 있는 상태로서 용강의 유입구(5)로부터 토출구(6)까지의 길이, 내공경 등을 종합하고, 파우더 라인부(2)보다 상측 위치에 선회 날개(4)를 설치하여 토출구(6)에서의 용강의 편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침지 노즐(1)의 용강이 유통하는 내공 전역에 환상 내화물층(3)을 배치하고, 파우더 라인부(2)보다 상측 위치에 선회 날개(4)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실시예 3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침지 노즐(1)의 용강 유입구(5) 근방에 가스 토출부(7)를 마련하고 있는 예를 용강 용기(13)의 바닥부에 설치된 상부 노즐(12)에 설치한 배치예에 의해 도시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침지 노즐(1) 상부의 바깥쪽에 형성한 가스 공급구(8)로부터 환상 내화사물층(3) 배부의 슬릿(9)을 통해 가스 토출부(7)로부터 불활성 가스가 용강 중에 분출된다. 가스 토출부(7)는 다공질체나 관통공 형식과 같은 통기성 내화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의 침지 노즐(1)의 내공에 설치된 선회 날개(4)와 환상 내화물층(3)의 배치는 중간 노즐(하부 노즐)(10), 슬라이딩 노즐 플레이트(11), 상부 노즐(12) 등의 용강 유로에 임의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노즐(12)에 설치할 경우는, 가스 토출부(7)뿐 아니라 전체를 다공질체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각 도면에 도시한 각각의 침지 노즐을 사용하여 주조 테스트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표 4에 나타낸다.
도 1∼도 3에 도시한 침지 노즐 본체의 재질로서는 Al2O3이 41질량%, SiO2가 28질량%, C가 31질량%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나·실리카·카본계 내화물을 사용했다.
주조 테스트를 위한 용강으로서는 C가 30ppm, Si가 0.03질량%, Mn이 0.7질량%, P가 0.01질량%, S가 0.01질량%, Al이 0.05질량%를 포함되는 극저탄 알루미늄 킬드강에 의해 행해졌다. 주조 시간은 어느 것에 대해서도 250분이고, 테스트에 사용된 침지 노즐의 배재(配材) 패턴 및 주조 시험 후에서의 토출구 근방의 내벽면의 Al2O3계 개재물 부착 두께와 용손량, 그리고 열충격을 부여했을 때에 균열이 발생하는 온도차(ΔT)에 대해 조사했다.
표 1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침지 노즐을 사용한 예에 있어서 CaO/MgO 중량비를 파라미터로서 Al2O3 부착 속도, 부착 평가, 열충격 온도(ΔT)의 관계를 나타낸다.
[표 1]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5 3 4
CaO+MgO 중량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CaO/MgO 중량비 0.3 0.4 0.6 1.0 1.5 2.4 3.0
화 학 성 분 MgO(질량%) 99.0 74.5 69.5 61.9 49.5 39.6 29.5 24.5
CaO(질량%) 24.5 29.5 37.1 49.5 59.4 69.5 74.5 99.0
C(질량%) 1.0 1.0 1.0 1.0 1.0 1.0 1.0 1.0 1.0
측 정 Al2O3 부착 속도 (mm/min) 0.23 0.1 0.03 0.001 0.001 0 -0.01 -0.2 -0.8
부착 평가 ×부착 큼 ×부착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용손 ×용손
내열충격성 (ΔT)온도* 500 520 550 550 600 600 680 780 850
* 샘플 Φ: 120/Φ80의 원통형
상기 표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5는 Al2O3 개재물의 부착도 적어 양호한 상태를 나타냈다. 이에 대해 CaO/MgO 중량비가 0.3 이하인 비교예 1, 2는 Al2O3의 부착 속도가 컸다. CaO/MgO 중량비가 2.3보다 큰 비교예 3, 4는 Al203의 부착은 일어나지 않지만, 용손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열충격을 부여했을 때 균열이 발생하는 온도차(ΔT)는 카본을 다량으로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1,000℃ 이하로 어느 것도 낮아 실질적인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표 2]
비교예 실시예
5 6 6 7 8
CaO+MgO중량계 55.0 60.0 65.0 85.0 95.0
CaO/MgO중량비 1.0 1.0 1.0 1.0 1.0
화 학 성 분 MgO(질량%) 27.5 30.0 32.5 42.5 47.5
CaO(질량%) 27.5 30.0 32.5 42.5 47.5
C(질량%) 45.0 40.0 35.0 15.0 5.0
측 정 Al2O3 부착 속도 (mm/min) -0.8 -0.3 -0.1 -0.03 -0.01
부착 평가 ×용손큼 ×용손큼 ○양호 ○양호 ○양호
내열충격성 ΔT온도* >1500 >1500 1350 1100 1000
* 샘플 φ: 120/φ80의 원통형
표 2는 CaO/MgO 중량비를 1로 고정하고, 카본량을 변화시켜서 그 영향을 조사한 예를 나타낸다. 상기 표2에서 카본 함유량이 5질량% 이상에 있어서 1000℃ 이상의 ΔT를 갖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6∼8에 있어서는 카본량이 35질량% 이내, 즉 CaO와 MgO의 함유량이 65질량% 이상에서는 용손도 Al2O3 부착도 없는 균형이 잡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비교예 5, 6은 너무나 카본량이 많기 때문에, Al2O3 부착 시험에서는 카본과 용강이 반응하여 현저하게 용손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3]
실시예 비교예
7 9 10 7 8 9
CaO+MgO 중량계 85.0 85.0 85.0 85.0 85.0 85.0
CaO/MgO 중량비 1.0 1.0 1.0 1.0 1.0 1.0
화학 성분 MgO(질량%) 42.5 42.5 42.5 42.5 42.5 42.5
CaO(질량%) 42.5 42.5 42.5 42.5 42.5 42.5.
C(질량%) 15.0 15.0 15.0 15.0 15.0 15.0
측정 겉보기 기공률(%) 5 14 25 28 35 3
Al2O3 부착 속도 (mm/min) -0.03 -0.05 -0.08 -0.15 -0.4 -0.03
부착 평가 ○양호 ○양호 ○양호 ×용손 ×용손 ○양호
내열충격성 (ΔT)온도* 1100 1150 1200 1300 1350 900
* 샘플 φ: 120/φ80의 원통형
표 3은 실시예 7의 재질로 성형 압력을 300kg/cm2로부터 2,500kg/cm2까지 순차적으로 변경한 경우 약 1000℃에서의 환원 소성 후의 겉보기 기공률을 변화시켜서 Al2O3 부착 평가를 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겉보기 기공률이 25% 이내인 실시예 7, 9, 10은 미소한 용손이 Al2O3의 부착을 없애 양호한 상태를 나타냈다. 이에 대해 기공률이 28% 이상의 비교예 7, 8은 Al2O3의 부착은 없지만, 용손이 컸다. 기공률이 3%의 비교예 9는 용손, Al2O3의 부착성에 대해서는 문제는 없지만, 내열충격성이 떨어졌다.
[표 4]
비교예10 실시예11
노즐 구조 도 3 도 3
아르곤 가스량 0 3NL/min
주편 Al2O3 개재물량 (지수 표시) 100 40
표 4는 도 3에 도시한 예에서 표 3에 나타내는 실시예 7의 내층을 배치한 침 지 노즐로서, 불활성 가스를 선회 날개보다 상부의 가스 토출부의 통기성 내화물로부터 용강 중에 분출시킨 경우의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비교예 10에서 아르곤 가스를 흘리지 않고 주조한 주편 중의 개재물량을 10O으로 한 경우, 실시예 11의 아르곤 가스를 3NL/min 흘릴 경우는 주편 중의 Al2O3계 개재물량은 40%까지 저하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7에 나타내는 내층을 설치한 침지 노즐은 Al2O3계 개재물의 부착도 전혀 없기 때문에 노즐 폐색 현상도 없고, 선회 날개의 효과를 주조 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주편 및 내부에도 결함이 없는 제품을 얻었다. 또한, 불활성 가스를 선회 날개보다 상부의 가스 토출부의 통기성 내화물로부터 용강 중에 분출시킨 경우, Al2O3계 개재물량이 대폭적으로 감소하고, 또한 주편 및 내부에도 결함이 없는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내화물층을 사용하지 않고 선회 날개를 사용한 경우는 선회 날개와 그 상부의 내벽면도 Al2O3계 개재물이 7∼8mm의 층상으로 부착하고, 안정 조업에 지장을 가져다주었다.
본 발명은 용강의 연속 주조에 있어서의 레이들, 턴디쉬 등에 부설하여 사용되는 주조요 노즐로서, 상부 노즐과 슬라이딩 노즐 및 하부 노즐 또는 중간 노즐, 침지 노즐의 조합으로 용강에 접하는 각 노즐 내공부 벽면에 본 발명의 환상 내화물층을 배치한 것에 의한 노즐 폐색 방지와 더불어서, 노즐 내에 설치한 선회 날개 보다 상부에서 노즐 내공의 용강 액면(2차 메니스커스)에서 용강 체류에 의한 선회 날개로의 Al2O3계 개재물의 부착 방지, 버블링과의 상승효과에 의한 청정강용의 연속 주조에 바람직하다.

Claims (13)

  1. 내공에 용강류 선회용 날개를 설치한 용강의 연속 주조를 위한 침지 노즐에 있어서,
    용강과 접촉하는 내공 벽면층의 일부를 Ca0과 Mg0를 포함하고, Ca0과 Mg0의 중량비 및 겉보기 기공률을 제어한 내화물로서, 상기 내화물이 카본질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물 중의 Mg0와 Ca0의 화학성분치의 합계가 65질량% 이상이고, 잔부가 카본질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내화물의 CaO/MgO의 중량비가 0.4∼2.3인 강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CaO와 MgO를 포함하는 내화물 겉보기 기공률이 5∼25%이고, 또한 두께가 3∼20mm의 환상의 내화물인 강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 중의 MgO와 CaO의 화학성분치의 합계가 65~99질량%이고, 상기 카본질 재료의 함유량이 1∼35질량%인 강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이 B4C, SiC, Al, Si로부터 선택되는 한 종을 5질량% 이하(0%를 포함하지 않는다)로 더 포함하고, 잔부는 상기 내화물 전체의 화학성분치의 합계가 100질량%가 되도록 상기 CaO, MgO 및 카본질 재료의 화학성분치를 조정하여 구성되는 강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6. 제1항에 있어서,
    내공에 배치된 용강류 선회용 날개는 테이프 형상으로 성형된 내화물을 수평면에 대해 80∼180° 돌린 나선상으로 형성한 것인 강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7. 제1항에 있어서,
    내공에 배치한 용강류 선회용 날개는 내공에 설치한 단부 또는 돌기에 마련되어 있는 강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8. 제1항에 있어서,
    내공에 배치한 용강류 선회용 날개보다 위쪽 개소에 가스 토출부를 마련한 강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9. 제1항에 있어서,
    CaO와 MgO를 포함하는 내화물을 용강류 선회용 날개의 하부도 포함하여 내층 전체에 마련한 강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10. 제1항에 있어서,
    용강류 선회용 날개가 파우더 라인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상측 위치의 내공에 배치되어 있는 강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aO와 MgO를 포함하는 내화물이 환(環)상의 내화물이고, 내공에 배치된 용강류 선회용 날개보다 상측 개소에 설치된 가스 토출부에서 용강 중에 분출되는 강(鋼) 불활성 가스가, 침지 노즐 본체에 형성된 가스 공급구로부터 상기 환상의 내화물의 배부의 슬릿을 통해 공급되는 강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12. 내공에 용강류 선회용 날개를 설치하고, 용강과 접촉하는 내공 벽면층의 일부를 환상의 내화물층에 의해 형성한 연속 주조용 노즐을 사용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鋼)이 청정강이고,
    상기 내화물층이 카본질을 포함하며 MgO와 CaO의 성분을 합계로 65질량% 이상 함유하고, 잔부가 카본질 재료로 구성되며, 그 CaO/MgO의 중량비가 0.4∼2.3이고, 겉보기 기공률이 5∼25%인 강의 연속 주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내공에 설치된 용강류 선회용 날개보다 상측의, 용강 용기의 상부 노즐부를 포함하는 사이의 개소에 가스 토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내공을 흘러 내려가는 용강에 상기 가스 토출부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분출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KR1020067003656A 2003-08-22 2004-08-23 강철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및 그것을 사용하는 강철의연속 주조 방법 KR100767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98232 2003-08-22
JP2003298232 2003-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484A KR20060036484A (ko) 2006-04-28
KR100767742B1 true KR100767742B1 (ko) 2007-10-17

Family

ID=3421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656A KR100767742B1 (ko) 2003-08-22 2004-08-23 강철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및 그것을 사용하는 강철의연속 주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75584B2 (ko)
EP (1) EP1671721B1 (ko)
JP (1) JP4343907B2 (ko)
KR (1) KR100767742B1 (ko)
CN (1) CN100372633C (ko)
BR (1) BRPI0413794B1 (ko)
DE (1) DE602004022073D1 (ko)
WO (1) WO20050188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5736B2 (ja) * 2011-03-31 2014-12-24 黒崎播磨株式会社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KR101275684B1 (ko) * 2011-08-12 2013-06-20 조선내화 주식회사 주조용 침지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주조장치
PL2786975T3 (pl) * 2011-12-01 2019-06-28 Krosakiharima Corporation Produkt ogniotrwały i dysza odlewnicza
EP2835193A1 (en) * 2013-08-05 2015-02-11 Refractory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Refractory ceramic nozzle
CN104070156A (zh) * 2014-07-08 2014-10-01 辽宁科技大学 一种可产生旋流的连铸浸入式水口
JP6663230B2 (ja) * 2016-01-25 2020-03-11 黒崎播磨株式会社 ノズル構造体
JP6279052B1 (ja) * 2016-10-27 2018-02-14 黒崎播磨株式会社 マグネシアカーボンれんが及びその製造方法
EP3488949A1 (en) 2017-11-22 2019-05-29 Refractory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Submerged entry nozzle
JP6726651B2 (ja) * 2017-11-24 2020-07-22 明智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連続鋳造用ノズルの製造方法
EP3900855A1 (en) 2020-04-21 2021-10-27 Refractory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Rotatable insert and submerged nozzle
CN111618289A (zh) * 2020-05-19 2020-09-04 浙江自立高温科技股份有限公司 上水口及中间包
CN112427633B (zh) * 2020-10-20 2022-05-20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大包长水口吹扫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3765A (ja) * 1997-03-27 1998-10-06 Toshiba Ceramics Co Ltd 溶融金属流制御方法及びそのための鋳造用ノズル
JP2002239690A (ja) * 2001-02-21 2002-08-27 Sumitomo Metal Ind Ltd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並びに連続鋳造方法
KR20080039214A (ko) * 2006-10-31 2008-05-07 박철우 온수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6961A (ja) * 1985-05-02 1986-11-14 新日本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ルシア質クリンカ−とその製造方法
JPH01180761A (ja) * 1987-12-28 1989-07-18 Kawasaki Refract Co Ltd 溶融金属鋳造用ノズル耐火物
JPH01289549A (ja) * 1988-05-16 1989-11-21 Kawasaki Refract Co Ltd 鋼の連続鋳造用ノズル
JPH02207951A (ja) * 1989-02-07 1990-08-17 Akechi Ceramics Kk 連続鋳造用ノズルの製造方法
DE4109375A1 (de) * 1991-03-22 1992-09-24 Dolomitwerk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euerfesten verbundwerkstoffs
JP2845090B2 (ja) * 1993-06-24 1999-01-1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溶融金属の鋳造用ノズル
JPH0734978A (ja) 1993-07-14 1995-02-03 Toyota Motor Corp 気化器の空燃比制御装置
JPH0839214A (ja) * 1994-07-30 1996-02-13 Kurosaki Refract Co Ltd 連続鋳造用ノズル
JP3330811B2 (ja) * 1996-01-18 2002-09-3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炭素含有耐火物及び該耐火物を内張りした溶融金属用溶解・精錬容器
US6435385B1 (en) * 1997-09-22 2002-08-20 Katsukiyo Marukawa Immersion nozzle
JP4210443B2 (ja) 2001-07-18 2009-01-2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BR0308907B1 (pt) * 2002-04-02 2011-08-23 estrutura de ligação de uma luva refratária fixada à parte interna de um bocal para lingotamento contìnuo.
JP4249940B2 (ja) * 2002-04-30 2009-04-08 黒崎播磨株式会社 アルミキルド鋼の鋳造方法
JP4272856B2 (ja) * 2002-08-20 2009-06-03 黒崎播磨株式会社 難アルミナ付着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の製造方法
JP4331924B2 (ja) * 2002-08-22 2009-09-16 黒崎播磨株式会社 薄板用溶鋼の連続鋳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3765A (ja) * 1997-03-27 1998-10-06 Toshiba Ceramics Co Ltd 溶融金属流制御方法及びそのための鋳造用ノズル
JP2002239690A (ja) * 2001-02-21 2002-08-27 Sumitomo Metal Ind Ltd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並びに連続鋳造方法
KR20080039214A (ko) * 2006-10-31 2008-05-07 박철우 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484A (ko) 2006-04-28
DE602004022073D1 (de) 2009-08-27
CN100372633C (zh) 2008-03-05
US7275584B2 (en) 2007-10-02
BRPI0413794A (pt) 2006-11-07
BRPI0413794B1 (pt) 2012-01-24
EP1671721A4 (en) 2007-01-24
EP1671721A1 (en) 2006-06-21
EP1671721B1 (en) 2009-07-15
US20060214029A1 (en) 2006-09-28
WO2005018851A1 (ja) 2005-03-03
JP4343907B2 (ja) 2009-10-14
JPWO2005018851A1 (ja) 2007-11-01
CN1839004A (zh)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742B1 (ko) 강철의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및 그것을 사용하는 강철의연속 주조 방법
US5185300A (en) Erosion, thermal shock and oxidation resistant refractory compositions
WO1994019131A1 (en) Liner for submerged entry nozzle
EP1504831B1 (en)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of aluminum killed steel
KR20100046983A (ko) 연속주조용 침지노즐
CN113272083B (zh) 喷嘴以及喷嘴与塞棒的结构体
KR950002334B1 (ko) 연속주조용 침지(浸漬)노즐 내화물의 제조방법
JP4118058B2 (ja) 鋳造用浸漬ノズル
JP2004074242A (ja) 連続鋳造用耐火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連続鋳造方法
JP3101650B2 (ja) 連続鋳造用ノズル
JP4284206B2 (ja) 鋼の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KR950008603B1 (ko)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및 그 내화물
JP2004322208A (ja) 品質特性に優れた鋳片の連続鋳造方法
JP3383185B2 (ja) 鋳造用ノズル
JP2959632B1 (ja) 連続鋳造用ノズル
JP3328803B2 (ja) 鋼の連続鋳造用ノズル
KR102083536B1 (ko) 침지노즐 및 용강 처리방법
KR100367647B1 (ko) 연속주조용 노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1751U (ko) 턴디쉬 댐
JP4437101B2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WO2000061321A1 (fr) Buse de coulee continue
JPH11285792A (ja) 連続鋳造用ノズル
JPH05285613A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JPH02172862A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の製造法
JP2004050288A (ja) 連続鋳造用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