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647B1 - 연속주조용 노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주조용 노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647B1
KR100367647B1 KR10-2000-7006549A KR20007006549A KR100367647B1 KR 100367647 B1 KR100367647 B1 KR 100367647B1 KR 20007006549 A KR20007006549 A KR 20007006549A KR 100367647 B1 KR100367647 B1 KR 100367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molten steel
continuous casting
feldspar
alumi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0299A (ko
Inventor
안도미츠루
오구리가즈미
무로이도시유키
다카스도시카즈
Original Assignee
아케치세라믹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쿄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케치세라믹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쿄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케치세라믹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0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2Manufacturing or repairing thereof
    • B22D41/54Manufacturing or repair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Led Device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연속주조용 노즐의 용강과 접촉하는 노즐 내측구멍표층부가, Al2O3또는 Al2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이면서 융점이 1800℃ 이상인 골재 15∼60중량%, 나머지가 납석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결합재를 혼합·성형하여, 비산화 분위기에서 소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용강의 연속주조용 노즐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연속주조용 노즐 및 그 제조방법{A continuous casting nozzle for molten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용강의 연속주조용 노즐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용강의 연속주조에 있어서 연속주조용 노즐은 턴디쉬(tundish)로부터 몰드로 용강을 주입하는 기능을 가지는데, 이 때 용강의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고, 용강의 비산 방지를 도모하며, 또한 비금속 개재물 및 몰드면 부유물의 주물편 내로의 휩쓸림 방지를 위해 주탕(注湯)을 정류화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 용강의 연속주조용 노즐의 재질은, 주로 흑연, 알루미나, 실리카, 실리콘 카바이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러나 알루미늄 킬드강 등을 주조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알루미늄 킬드강 등에 있어서는, 탈산제로서 첨가되는 알루미늄이 용강 중에 존재하는 산소와 반응하여 α-알루미나 등의 비금속 개재물이 생성된다. 또한, 용강이 노즐을 통과할 때 대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알루미나가 더 발생한다. 그 때문에 알루미늄 킬드강 등을 주조할 때, 연속주조용 노즐의 내측구멍 표면에 상기 알루미나 등의 비금속 개재물이 부착, 퇴적되어 그 결과 내측구멍이 좁아지고, 최악의 경우, 내측구멍이 막혀 안정적인 주조를 어렵게 한다. 또한, 이렇게 부착, 퇴적된 α-알루미나 등의 비금속 개재물이 박리 또는 탈락하여 주물편에 휩쓸려 주물편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α-알루미나 등의 비금속 개재물에 의한 내측구멍의 좁아짐 및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구멍을 형성하는 연속주조용 노즐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내측구멍을 통하여 흐르는 용강을 향해 불활성가스를 분사시켜서, 용강 중에 존재하는 α-알루미나 등의 비금속 개재물이 연속주조용 노즐의 내측구멍면에 부착하여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고 평성 6-59533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용강연속주조용 노즐의 내면으로부터 불활성가스를 분출시키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분출시키는 불활성가스량이 많으면 불활성가스에 의해 생긴 기포가 주물편 내로 휩쓸려 핀홀에 따른 결함이 생긴다. 반대로 분출시키는 불활성가스량이 적으면 α-알루미나 등의 비금속 개재물이 연속주조용 노즐의 내측구멍면에 부착, 퇴적되어 내측구멍이 좁아지고, 최악의 경우 노즐을 막는다.
또한, 연속주조용 노즐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내측구멍을 통하여 흐르는 용강을 향해 불활성가스를 균일하게 불어 넣는 것은 구조적으로 곤란하며, 또한 장시간 주조시 연속주조용 노즐 재질의 조직 열화 및 구조 열화에 따라, 분출시키는 불활성가스의 제어가 불안정해진다. 그 결과, α-알루미나 등의 비금속 개재물이 연속주조용 노즐의 내측구멍면에 부착, 퇴적되어 내측구멍이 좁아지고, 나아가 막히게 된다.
비금속 개재물에 의한 노즐막힘, 특히 알루미나(Al2O3) 개재물에 의한 노즐 막힘은 다음과 같이 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1) 강 중의 알루미늄은 내화물의 접합부 및 내화물 조직을 통과하는 공기의휩쓸림에 의해 산화하고, 또한 카본을 포함한 내화물 중의 실리카가 환원하여 발생하는 SiO가 산소를 공급하여 알루미나가 생성된다.
(2) 이 알루미나가 확산, 응집하여 알루미나 개재물이 형성된다.
(3) 또한, 노즐의 내측구멍면에서는 흑연, 카본이 소실되고, 내측구멍 표면이 울퉁불퉁해져, 알루미나 개재물이 퇴적되기 쉬워진다.
한편, 재질면에서의 대책으로, 알루미늄 산화물과의 반응성이 낮은 점에서 비산화물 원료(SiC, Si3N3, BN, ZrB2, 사이어론(Sialon) 등)을 알루미나-흑연질에 첨가, 또는 그 자체로 이루어지는 노즐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고 소화 61-38152호 공보).
그러나, 통상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나-흑연질에 상기 원료를 첨가하는 경우는, 다량 첨가하지 않으면 부착 방지 효과를 볼 수 없고, 내식성도 떨어지므로 실용적이지 않다.
또한, 비산화물계의 원료만으로 노즐을 작성하는 경우도, 그 효과는 기대할수 있는 반면dp, 원료, 제조면의 비용이 상승하여 실용화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CaO를 함유하는 산화물 원료(CaO·ZrO2, CaO·SiO2, 2CaO·SiO2등)은, CaO와 Al2O3반응에 의해 용강으로부터 분리되기 쉬운 저융점 물질을 생성시키므로, 흑연-CaO함유 산화물 원료로 이루어지는 노즐도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고 소화 62-56101호 공보).
그러나, 주조시의 용강 온도 조건에 따라 CaO와 Al2O3의 반응성은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저융점 물질이 생성되지 않고, 또한 강 중에 다량의 Al2O3개재물이 포함되는 경우는, 내스폴링성(耐spalling性) 및 내식성 등의 면에서 CaO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내화물로부터 용강으로 유출된 골재 내의 ZrO2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용강 중에서 부상(浮上)하기 어렵고 용강으로부터 부상 분리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알루미늄 킬드강 등의 연속주조에 있어서 용강(溶鋼)이 통과하는 노즐의 내측구멍의 좁아짐과 막힘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연속주조용 노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용강에 접촉하는 노즐 내측구멍 표층부에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을 구비한 노즐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노즐 내측구멍 표층부 및 노즐 하부(용강에 침지된 부분)에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을 구비한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예와 비교예에 있어서의 배합 조성·물리 특성을 표 1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중에 노즐 내측구멍면에 글래스층을 형성하여, 내화물을 통과하는 공기의 휩쓸림을 방지하며, 알루미나의 생성을 방지하며, 또한, 노즐 내측구멍면의 조직을 평활화함으로써, 노즐 내측구멍면에 알루미나 개재물의 퇴적과 부착을 억제하여, 내측구멍이 좁아지고 나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된 주조를 가능하게 하는 연속주조용 노즐을 제공함에 있다.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연속주조용 노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1의 발명은, 연속주조용 노즐의 용강과 접촉하는 내측구멍표층부가, 180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골재가 15∼60 중량%이고 나머지가 납석(蠟石, agalmatolite)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골재는 알루미나(Al2O3)이거나 또는 알루미나(Al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의 연속주조용 노즐이다.
제2의 발명은, 융점 1800℃ 이상의 알루미나(Al2O3) 또는 알루미나(Al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융점 1800℃ 이상의 재료를 골재로서 준비하고, 또한 납석(蠟石, agalmatolite)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골재와 납석을 배합하여 상기 골재가 15∼60 중량%이고 나머지가 상기 납석(蠟石, agalmatolite)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에 결합재를 혼합하여 성형한 후 비산화분위기에서 소성하여 연속주조용 노즐의 용강과 접촉하는 내측구멍표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의 연속주조용 노즐의 제조방법이다.
제3의 발명은, 상기 납석은 입경 250㎛ 이하인 납석을 포함하고 있고 그 입경 250㎛ 이하인 납석은 전체 납석의 배합비량의 6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의 연속주조용 노즐이다.
제4의 발명은 상기 납석이 파이로필라이트(pyrophyllite; Al2O3·4SiO2·H2O)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의 연속주조용 노즐이다.
제5의 발명은, 상기 납석은, 800℃ 이상에서 하소(calcinate)하여 결정수를 소실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의 연속주조용 노즐이다.
제6의 발명은, 상기 결합재가 열경화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의 연속주조용 노즐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주목해야 할 점은 노즐 내화물의 주성분으로서 납석(蠟石, agalmatolite)을 사용하고, 동시에, 종래의 노즐에 많이 배합되어 있는 흑연을 배합하지 않은 점이다. 흑연은 노즐의 사용시에 있어서, 내화물에 포함되어 있는 실리카와 다음과 같이 반응한다.
SiO2(S)+C(S)=SiO(g)+CO(g)
3SiO(g)+2Al=Al2O3(S)+3Si
3CO(g)+2Al=Al2O3(S)+3C
이상의 반응에 의해 실리카를 분해하여 SiO(g) 및 CO(g)이 생성되고, 강 중으로의 산소공급원이 되어, 강 중 Al과 반응하여 Al2O3를 생성한다. 그러나, 납석의 경우, 용강 중의 탄소와의 공존하에서도, 납석의 입자의 분해는 없고 납석의 주광물인 파이로필라이트(Al2O3·4SiO2·H2O) 등의 SiO2는 안정적이다. 이 점은, 납석과 수지분말과 탄소미분으로 이루어지는 브리켓(briquette)을 작성하여, 브리즈(breeze) 내에 매립하여 1500℃×24hr로 열처리한 후 현미경 관찰로 입자의 붕괴, 기포 발생이 없는 점으로부터 판명한 것이다.
또한, 종래의 흑연을 10중량% 첨가한 재질에서는 열전도율이 9.8(kcal/m/hr/℃)인데 반하여, 본 발명의 흑연을 첨가하지 않은 재질에서는 2.4(kcal/m/hr/℃) 로 낮고, 단열성이 뛰어나며, 금속의 부착 및 α-Al2O3등의 비금속 개재물이 석출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흑연을 포함하는 노즐에서는 흑연이 산화된 경우, 내측구멍 표면의 평활도가 저하되고, 노즐 내측구멍을 흐르는 용강은 난류이므로, α-Al2O3등의 비금속개재물이 퇴적하게 된다. 그러나, 흑연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평활도가 저하되지 않고, 따라서 노즐 내측구멍면에 요철이 발생하지 않으며, α-Al2O3등의 비금속 개재물이 퇴적되지 않는다.
납석의 반용융(半溶融) 온도는 1500℃ 전후이므로, 용강과 접촉하는 가동면에서는 용융되어 글래스 피막을 성형함으로써 가동면의 조직을 평활하게 하며, 또한 글래스 피막에 의해 내화물 조직을 통한 공기의 휩쓸림을 억제한다.
이 점은, 산화분위기에서 1500℃×1hr로 열처리한 후의 흑연을 첨가한 재질의 통기율이 6.5×10-4darcy인데 반하여, 다른 조건은 동일하고 흑연을 첨가하지 않은 재질에서는 1500℃×1hr에서 열처리한 후의 통기율이, 1.0×10-4darcy로 작아지며, 통기율이 저하되는 점에서도 판단할 수 있다.
연속주조용 노즐로서 사용시, 내측구멍면에 글래스 피막을 적극적으로 생성시키고, 또한 내스폴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납석의 배합 중량 비율은 4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86중량% 이상에서는 연화 변형이 커지게 되며, 또한 용강에 대한 내식성이 떨어지므로 8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배합량은, 기타 성분의 나머지이다.
본 발명의 노즐은, 골재로서 Al2O3또는 Al2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이면서 그 융점이 1800℃ 이상인 골재를 15∼60중량% 배합한다. Al2O3을 주성분으로 하는 골재로는 스피넬(spinel)인 MgO·Al2O3, Al2O3, 4SiO2는 성형체인 노즐의 강도와 내식성을 부여하는 작용이 있다.
납석의 종류로는 파이로필라이트질 납석, 카올린(kaolin)질 납석, 세리사이트(sericite)질 납석의 3종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시 용강과 접촉하는 내측구멍면의 반용융화에 의한 글래스층의 형성과 용강과의 내용손성(耐溶損性)을 고려하면, 내화도(耐火度)가 SK 29∼32인 파이로필라이트질 납석이 양호하다. 여기서, 상기 SK(Seger cone)는 내화도에 관한 일본의 표준규격 기준이다. 카올린질 납석은 내화도가 SK 33∼36으로 높고, 반대로 셀리사이트질 납석은 내화도가 SK 26∼29로 낮기 때문에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납석으로서, 800℃ 이상에서 하소(calcination)하여, 결정물을 소실시킨 납석을 사용하는 이유는, 하소하지 않은 납석을 배합하고 성형한 노즐을 소성하면, 납석 중의 결정물이 500∼800℃에서 방출되고, 이 때, 열팽창율이 매우 커져 성형체에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납석의 입도는 평균입경 250㎛ 이하를, 납석 배합 중량비 60% 이상인 경우, 성형시의 라미네이션(lamination) 등의 조직 결함을 발생시키기 쉽고, 또한 연속주조용 노즐로서의 사용시, 납석 입자의 연화 변형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60% 이하가 바람직하다.
파이로필라이트(Al2O3·4SiO2·H2O)를 주성분으로 하는 납석 65∼90중량%의 나머지, Al2O3또는 Al2O3을 주성분으로 하는 골재 15∼60 중량%로 이루어지는 내화물 조성은, 납석 입자의 분해는 없고, SiO2와 같은 강 중으로의 산소공급원이 되지는 않는다. 또한 납석의 반용융 온도는 1500℃ 전후로 용강의 주조온도에 가깝고, 용강과 접촉하는 가동면에서 글래스 피막층을 형성하며, 가동면 조직을 평활하게 하며, 또한 내화물 조직을 통한 공기의 휩쓸림을 억제함으로써 Al2O3및 금속의 부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납석과 골재를 배합한 조성물을 노즐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결합재로서, 열경화성 수지, 예컨대 페놀 수지, 퓨란(furan) 수지 등을 5 내지 15 중량% 배합하여 노즐의 형상으로 성형하고 소성한다. 이 성형 방법은, CIP(Cold isostatic pressing)가 균일하게 성형체를 압축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소성온도는 1000 내지 130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소성분위기로서는 산화성 분위기보다도 환원성 분위기 즉 비산화성 분위기가, 배합된 수지를 산화시키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용강연속주조용 노즐 및 그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용 침지 노즐의 수직 단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연속주조용 노즐(10)은, 턴디쉬와 몰드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용강을 턴디쉬로부터 몰드로 주입하는 침지 노즐로서 사용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주조용 노즐(10)의 용강이 흐르는 내측구멍(1)의 표층부(2)가, 상술한 화학성분의 조성을 갖는 내화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표층부 이외의 부분(3)은 종래의 알루미나-흑연질이다.
또한, 이 연속주조 노즐의 치수는, 예컨대 전길이가 약 1m, 내측구멍의 직경이 약 6cm, 외직경이 16cm이고, 두께가 약 5cm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의 두께는 2 내지 15mm 정도이다. 한편, 이 치수는 일예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주조되는 주물편의 치수에 따라 변화된다.
또한, 도 2는 주형 내 용강에 침지되는 부분 전체를 본 발명의 내화물로 제작한 노즐의 태양을 나타낸다. 어떠한 경우라도, 통상 노즐 내측구멍을 폐쇄하는 알루미나는 노즐 하부의 내측구멍에 집적된다. 본 발명의 침지 노즐은, 내측구멍 표층부(2)에 용강 중에 존재하는 알루미나 등의 비금속 개재물이 부착·퇴적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어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성분 조성이 다른 9개의 혼합물에 5 내지 10 중량%의 범위내의 분말 및 용액의 페놀 수지를 첨가하고, 그것들을 혼합하여 얻어진 조성물을 1000 내지 1200℃에서 소성하였다. 이 9개의 조성물로부터 다음과 같은 성형체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2
제1의 성형체(이하 성형체 1이라 함)는, 알루미나 등의 비금속 개재물의 부착량 및 용강에 대한 내식성을 시험하기위한 30mm×30mm×230mm의 치수를 갖는 성형체이다.
제2의 성형체(이하 성형체 2라 함)는 통기율을 측정하기 위해 50mmΦ×20mm의 치수를 갖는 성형체이고, 제3의 성형체(이하 성형체 3이라 함)는 내스폴링성을 시험하기 위한 외경 100mm, 내경 60mm 및 길이 250mm의 치수를 갖는 성형체이다. 얻어진 성형체의 각각을 1000℃ 내지 1200℃의 범위 내의 온도에서 환원 소성하여 샘플 1 내지 9를 조정하였다.
실시예 3
상술한 샘플 1 내지 5(이하 본 발명의 샘플이라 함) 및 샘플 6 내지 9(이하 비교용 샘플이라 함)의 각각에 있어서의 물리특성값(기공율 및 벌크비중)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성형체 3의 샘플 1 내지 5 및 비교용 샘플 6 내지 9의 각각을 전기로에서 1500℃의 온도로 30분간 가열하고, 물로 급냉하여 내스폴링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3(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상술한 본 발명의 성형체 1의 샘플 1 내지 5 및 비교용 샘플 6 내지 9를, 각각 0.02 내지 0.05 중량%의 범위 내의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1520℃의 온도의 용강 중에 180분간 침지하여 용손율(%) 및 알루미나 등의 비금속 개재물의 부착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3(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또한, 본 발명의 성형체 2의 샘플 1 내지 5 및 비교용 샘플 6 내지 9, 각각을 전기로에서 1500℃의 온도로 60분간 가열하여, 냉각한 후 통기율을 측정하였다. 상기의 시험 결과를 도 3(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샘플은 내스폴링성이 뛰어나고, 용손율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알루미나 등의 비금속 개재물이 부착되지 않고, 따라서 용강연속주조용 노즐의 내측구멍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6
또한, 본 발명의 샘플은 통기율이 작으므로 실사용시 내화물을 통한 공기의휩쓸림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비교용 샘플 6에 있어서는 납석의 함유량이 많음에 기인하여 알루미나 부착량은 작지만, 내스폴링성은 현저히 떨어지고, 또한 용강에 대한 내식성이 현저히 떨어짐이 명백하다.
실시예 7
또한, 비교용 샘플 7에 있어서는, 납석 대신에 Al2O3와 SiO2의 단체(單體)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SiO2가 분해되어 강 중에 산소를 공급하므로 알루미나의 부착량이 현저하게 많다. 또한, 비교용 샘플 8에 있어서는, 납석 대신에 SiO2를 포함하지 않는 Al2O3만의 함유이고, 강 중에 산소를 공급하는 광물을 제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내스폴링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통기율이 높으며, 알루미나 등의 비금속 개재물의 부착이 많다.
실시예 8
또한 비교 샘플 9에 있어서는, 흑연, 납석과 Al2O3로 이루어져 있는데, 흑연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용강 온도가 1520±10℃로 낮은 경우, 알루미나 부착량이 조금 많고, 또한 금속 부착량도 많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강연속주조용 노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내화물의 조직을 열화시키지 않고, 알루미늄 킬드강을 알루미나 등의 비금속 개재물에 의한 내측구멍의 좁아짐, 나아가 막힘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주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즐을 사용하여, 1차지(charge)당 300톤의 저탄소 알루미늄 킬드강을 2 스트랜드(strand)의 슬랩(slab) 연속주조기로 주조한 바 5 내지 7 차지를 노즐 폐쇄 없이 주조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노즐에 의해 주조하면 2 내지 4 차지 주조할 때 노즐 폐쇄가 생겨 주조를 중단하였었다.

Claims (6)

  1. 연속주조용 노즐의 용강과 접촉하는 내측구멍표층부가, 180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골재가 15∼60 중량%이고 나머지가 납석(蠟石, agalmatolite)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골재는 알루미나(Al2O3)이거나 또는 알루미나(Al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의 연속주조용 노즐.
  2. 융점 1800℃ 이상의 알루미나(Al2O3) 또는 알루미나(Al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융점 1800℃ 이상의 재료를 골재로서 준비하고, 또한 납석(蠟石, agalmatolite)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골재와 납석을 배합하여 상기 골재가 15∼60 중량%이고 나머지가 상기 납석(蠟石, agalmatolite)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에 결합재를 혼합하여 성형한 후 비산화분위기에서 소성하여 연속주조용 노즐의 용강과 접촉하는 내측구멍표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의 연속주조용 노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납석은 입경 250㎛ 이하인 납석을 포함하고 있고 그 입경 250㎛ 이하인 납석은 전체 납석의 배합비량의 6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의 연속주조용 노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납석이, 파이로필라이트(Al2O3·4SiO2·H2O)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의 연속주조용 노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납석은, 800℃ 이상에서 하소하여 결정수를 소실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의 연속주조용 노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가 열경화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의 연속주조용 노즐의 제조방법.
KR10-2000-7006549A 1999-04-05 1999-04-05 연속주조용 노즐 및 그 제조방법 KR100367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1787 WO2000059657A1 (en) 1997-10-08 1999-04-05 Continuous casting nozz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299A KR20010040299A (ko) 2001-05-15
KR100367647B1 true KR100367647B1 (ko) 2003-01-10

Family

ID=14235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549A KR100367647B1 (ko) 1999-04-05 1999-04-05 연속주조용 노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097763B1 (ko)
KR (1) KR100367647B1 (ko)
AT (1) ATE277704T1 (ko)
AU (1) AU746450B2 (ko)
CA (1) CA2312482C (ko)
DE (1) DE69920709T2 (ko)
WO (1) WO2000059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420371A (en) * 2002-10-16 2004-10-16 Vesuvius Crucible Co Resin-bonded, gas purged nozz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1146A (ja) * 1982-12-28 1984-07-1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中空状アルミナ含有不焼成耐火物の製造法
JPH10166117A (ja) * 1996-12-05 1998-06-23 Akechi Ceramics Kk 連続鋳造用ノズ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39458A (ko) * 1968-07-31 1971-07-14
GB2202218B (en) * 1987-02-19 1991-02-06 De Beers Ind Diamond Method of making an article from pyrophyllite
JPH0659533B2 (ja) * 1987-06-01 1994-08-10 日本鋼管株式会社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JPH07115912B2 (ja) * 1988-12-26 1995-12-13 東芝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鋳造用ノズル
AU725529B2 (en) * 1996-10-16 2000-10-12 Akechi Ceramics Kabushiki Kaisha A continuous casting nozzle for casting molten steel
JP3200378B2 (ja) * 1996-11-18 2001-08-20 品川白煉瓦株式会社 アルミキルド鋼の連続鋳造用ノズル
JPH10166116A (ja) * 1996-12-05 1998-06-23 Akechi Ceramics Kk 連続鋳造用ノズ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1146A (ja) * 1982-12-28 1984-07-1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中空状アルミナ含有不焼成耐火物の製造法
JPH10166117A (ja) * 1996-12-05 1998-06-23 Akechi Ceramics Kk 連続鋳造用ノズ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20709T2 (de) 2006-02-09
EP1097763A4 (en) 2001-11-14
WO2000059657A1 (en) 2000-10-12
KR20010040299A (ko) 2001-05-15
DE69920709D1 (de) 2004-11-04
AU3055899A (en) 2000-10-23
EP1097763A1 (en) 2001-05-09
EP1097763B1 (en) 2004-09-29
ATE277704T1 (de) 2004-10-15
CA2312482A1 (en) 2000-10-05
CA2312482C (en) 2006-11-21
AU746450B2 (en) 200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724B1 (ko) 용강(溶鋼) 주입노즐
JPH07214259A (ja) 溶鋼の連続鋳造用ノズル
JPH0747197B2 (ja) 溶鋼の連続鋳造用ノズル
KR100367647B1 (ko) 연속주조용 노즐 및 그 제조방법
JP3101650B2 (ja) 連続鋳造用ノズル
US5911900A (en) Continuous casting nozzle for casting molten steel
US5975382A (en) Continuous casting nozzle for casting molten steel
US5858261A (en) Continuous casting nozzle for casting molten steel
AU730801B2 (en) A continuous casting nozzle for casting molten steel
JP3164342B2 (ja) 連続鋳造用ノズル
JP3101651B2 (ja) 連続鋳造用ノズル
JP2959632B1 (ja) 連続鋳造用ノズル
US6257466B1 (en) Continuous casting nozzle
JP2940668B2 (ja) 連続鋳造用ノズル
KR950008603B1 (ko)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및 그 내화물
JPH10166115A (ja) 連続鋳造用ノズル
KR20010073799A (ko) 연속주조용 침지노즐
JP2006068805A (ja) ジルコニア含有難付着性連続鋳造ノズル
JPH0747198B2 (ja) 溶鋼の連続鋳造用ノズル
JPH11216543A (ja) 鋼の連続鋳造用ノズル
JPH08215812A (ja) 溶鋼の連続鋳造用ノズル
JPH08215811A (ja) 溶鋼の連続鋳造用ノズル
JPH08215810A (ja) 溶鋼の連続鋳造用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