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238B1 - 단삼 추출물 및 분획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단삼 추출물 및 분획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238B1
KR100767238B1 KR1020060037044A KR20060037044A KR100767238B1 KR 100767238 B1 KR100767238 B1 KR 100767238B1 KR 1020060037044 A KR1020060037044 A KR 1020060037044A KR 20060037044 A KR20060037044 A KR 20060037044A KR 100767238 B1 KR100767238 B1 KR 100767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cholesterol
mmp
salv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1857A (ko
Inventor
장현욱
손종근
이승호
손건호
남경수
김철호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6011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맥경화 또는 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삼(Salvia miltiorrhiza BGE)의 극성용매 및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또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MMP활성을 억제하고 TNF-α에 의해 유발되는 동맥평활근세포의 이주능을 억제하므로 동맥경화, 혈관계 질환, 관절염, 암 등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단삼, MMP억제, 동맥경화, 혈관계 질병, 관절염, 암

Description

단삼 추출물 및 분획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and fraction of Salvia miltiorrhiza BG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therosclerosis}
도 1은 단삼의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고,
도 2a는 대조군(0㎍/㎖), 도 2b는 100㎍/㎖, 도 2c는 500㎍/㎖의 농도에서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에 대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독성시험결과를 현미경 관찰한 도이고, 도 2d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대조군과 비교한 상대적 세포 증식을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각 분획과 추출물들의 지모그래피(Zymography)에서의 MMP-9저해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를 처리한 TNF-α(100ng/ml)로부터 얻은 조절된 배지의 젤라틴 지모그래피(gelatin Zymography)를 단삼과 함께 배양하였고, 레인(lane) 1은 트리스-염화칼슘-완충액(Tris-CaCl2-buffer)만으로 배양된 대조군, 레인 2는 트리스-염화칼슘-완충액에 50㎍/㎖의 70% 에탄올 추출물로 조절된 것, 레인 3은 트리스-염화칼슘-완충액에 클로로포름 분획 50㎍/㎖으로 조절된 것, 레인 4는 트리스-염화칼슘-완충액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50㎍/㎖으로 조절된 것, 레인 5는 트리스-염화칼슘-완충액에 부탄올 50㎍/㎖으로 조절된 것, 그리고 레인 6은 트리스 -염화칼슘-완충액에 물 추출물 50㎍/㎖으로 조절된 것으로 각각은 MMP저해 활성 정도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4는 TNF-α처리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MMP-9 활성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여러 농도의 단삼 추출물(0, 10, 20, 30, 40, 50, 70, 100 및 500 ㎍/㎖)과 TNF-α의 존재 혹은 부재에서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로부터 얻어진 조절된 배지로 수행되는 지모그래피를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TNF-α처리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의 이주능에 대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영향에 대한 것으로, 도 5a의 (a)는 TNF-α 또는 단삼이 없는 이주한 세포를 현미경 관찰한 도이고, (b)는 TNF-α(100 ng/ml)가 있는 이주한 세포를 현미경 관찰한 도이고, (c)는 TNF-α(100 ng/ml)과 100㎍/㎖의 단삼이 있는 이주한 세포를 현미경 관찰한 도이며, (d)는 TNF-α(100 ng/ml)과 200㎍/㎖의 단삼이 있는 이주한 세포를 현미경 관찰한 도이고, 도 5b는 24시간 배양 후, 매트리겔 여과지(Matrigel filter)의 아래 쪽을 헤마톡실린(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으로 염색하고, 여과지의 아래쪽으로 이주한 세포의 총 수를 나타낸 도이며,
도 6은 단삼과 기존의 MMP저해제와의 MMP-9저해도를 비교한 것으로, (a)는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 처리된 TNF-α(100 ng/ml)로부터 얻어진 조절된 배지의 젤라틴 지모그래피가 DMSO(대조군), EGC 그리고 50㎍/㎖ 단삼으로 배양된 것을 나타낸 도이고, (b)는 지모그래프 밴드의 농도수치 명암을 MMP-활성의 자이모그람 겔-프린트(gel-print) 시스템으로 측정하고 그 수치는 평균치(means± SE)로 표시한 도이다.
도 7은 혈중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것으로 정상군과 콜레스테롤 투여군, 단삼 처리군으로, 콜레스테롤 투여군은 정상군보다 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하였고, 단삼 처리군은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되었음을 나타낸 도이며,
도 8은 혈청 고밀도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것으로 정상군과 콜레스테롤 투여군, 단삼 처리군으로, 콜레스테롤 투여군은 정상군보다 고밀도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하였고, 단삼 처리군은 고밀도 콜레스테롤이 증가되었음을 나타낸 도이며,
도 9은 혈청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것으로 정상군과 콜레스테롤 투여군, 단삼 처리군으로, 콜레스테롤 투여군은 정상군보다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이 증가하였고, 단삼 처리군은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이 감소되었음을 나타낸 도이며,
도 10은 복강내 콜레스테롤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것으로 (a)는 정상군, (b)는 콜레스테롤 투여군, (c)는 단삼 처리군으로, 단삼 처리군의 저밀도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되었음을 나타낸 도이며,
도 11은 혈관벽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것으로 (a)는 콜레스테롤 투여군, (b)는 단삼 처리군(콜레스테롤+단삼)으로, 콜레스테롤 투여군은 단삼 처리군에 비하여 혈관벽이 두꺼우며 혈관벽 손상도가 높은 반면에, 단삼 처리군은 콜레스테롤 투여군에 비하여 혈관벽이 두껍지 않았으며 혈관벽 손상도도 낮아짐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동맥경화 또는 혈관계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삼(Salvia miltiorrhiza BGE)의 극성용매 및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관평활근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s)의 증식과 이주능은 동맥경화와 동맥벽 손상후 혈관협착(intimal thickening, stenosis) 발생의 주요 요인이다 (Ross R., J. Med . 314, pp488-500, 1986). 혈관조직 중간층(media)에 존재하는 VSMC는 낮은 세포 분열능을 가지지만, 동맥경화나 혈관벽 손상 개시단계에서 혈관평활근세포(aortic smooth muscle cells)는 여러 가지 성장 인자들의 협조로 증식 단계로 들어가 혈관 비대를 유발시킨다 (Chamley-Campbell J. et al., Physiol . Rev. 59, pp1-61, 1979 ; Schwartz R. S. et al., J. Am. Coll . Cardio 20, pp1284-1293, 1992). 그러나, VSMC의 복제와 이주는 세포주위의 세포외기질의 리모델링과 분해를 필요로 한다 (Matrisian L. M., Trends. Genet. 6, pp121-125, 1990). 그 분해효소 중에서 MMP들이 중요하다 (Dollery C.M. et al., Circ . Res. 77, pp863-868, 1995 ; Pauly R.R. et al., Circ . Res. 75, pp 41-54, 1994 ; Cho A. et al., Circ . Res. 91, pp845-851, 2002). 많은 연구들이 MMP-9가 동맥평활근 세포의 증식과 내막으로의 이주에 중요하다고 보고하였다 (Newby A. C. et al., J. Pathol . 190, pp 300-309, 2000).
VSMC는 콜라겐(collagens), 엘라스틴(elastin), 그리고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s)을 포함한 세포외기질성분들을 합성한다 (Galis Z. S. et al., Circ. Res. 75, pp181-189, 1994 ; Strauss BH. et al., Circ . Res. 75, pp650-658, 1994). 세포외기질의 축적과 분해에서 불균형은 혈관벽 손상이후 진행되는 혈관내피조직 두꺼워짐 현상을 유발시킨다 (Strauss BH. et al., Circ . Res. 75, pp650-658, 1994). SMC침윤과 이주기전의 이해가 평활근세포이주와 혈관벽 두꺼워짐 현상을 특징으로 하는 동맥경화 또는 혈관계 관련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MMP들은 아연(Zn)-의존성 엔도프로테이나제(endoproteinase)의 일종으로 세포외기질을 분해한다 (Kleiner, D.E. et al., Cancer chemotherapy and pharmacology 43, pp42-51, 1999). MMP는 사이 콜라게나제(interstitial collagenases ; MMP-1), Ⅳ형 콜라게나제(type IV collagenases) 또는 겔라티나제(gelatinases; MMP-2, -9), 그리고 스트로멜리신(stromelysins ; MMP-3)으로 구성된다 (Woessner J. et al., FASEB J. 5, pp2145-2154, 1991 ; Chung, T.W. et al., FASEB Journal 18(10), pp1123-1125, 2004a). 이들 MMP중에서, 겔라티나제 콜라겐(gelatinase는 collagen)은 천연 기저막을 분해하며, MMP-2/-9의 발현은 동맥경화병변을 유발한다 (Newby A. C. et al., J. Pathol . 190, pp300-309, 2000).
최근의 생체 내(in vivo) 연구 결과, MMP-9가 VSMC 이주와 증식을 통하여 동맥병변유발에 결정적임이 알려져 있다 (Galis, Z. S. et al., Circ . Res. 91, pp852-859, 2002 ; Cho, A. et al., Arterioscler . Thromb . Vasc . Biol . 20, pp2527-2532, 2000). 또한 MMP-9기본 활성은 매우 낮지만 TNF-α에 의해 동맥평활근세포가 그 생성을 유도한다 (Galis Z. S. et al., Circ . Res. 75, pp181-189, 1994 ; Moon, S. K. et al., J. Cell. Physiol . In press, 2003a ; Cho, A. et al., Thromb . Vasc . Biol. 20, pp2527-2532, 2000). 본 연구 그룹에서는 ERK1/2가 TNF-유발 동맥평활근세포에서 NF-kB와 AP-1전사인자를 경유하여 MMP-9생성을 촉진함을 밝혔다(Moon, S. K. et al., J. Cell. Physiol . In press, 2003a ; Moon, S. K. et al., Biochem . Biophys. Res. Commun . 301, pp1069-1078, 2003b ; Moon S. K. et al., Arch. Biochem. Biophys . 418, pp39-48, 2003c).
세포의 내인성 MMP 억제자들은 메탈로프로네나제의 조직 억제자(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로 알려져 있으며 매트릭스(matrix)형성과 파괴균형을 유지시킨다 (Brew K. et al., Biochim . Biophys . Acta . 1477, pp267-283, 2000,). 그러므로 합성MMP억제제(예, BB94 batimastatR와 BB2516 marimastatR)들이 개발된 바 있다. BB94는 콜라겐 유사 구조를 갖으며 MMP효소분자의 활성부위에 있는 아연이온을 착염시키는 활성을 나타내므로 불활성형의 효소를 만들게 된다 (Mandal M., et al., Mol . Cell. Biochem . 252, pp305-329, 2003).
이러한 MMP저해제들이 지난 몇 년간 개발되어 류머티즘성 관절염, 암 및 심장혈관의 질병 등 여러 질병의 세포외기질 리모델링에 중요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래서 합성 MMP억제자들은 손상된 쥐 동맥에서 상처치유활성이 있음이 알려졌다 (Zempo N. et al., Arterioscler . Thromb . Vasc . Biol . 16, pp28-33, 1996 ; Bendeck M. P. et al., Circ . Res. 78, pp38-43, 1996).
동맥중간층에서 분리한 동맥평활근세포의 이주능을 줄이기 위하여 (Kenagy R. D. et al., Arterioscler . Thromb . Vasc . Biol . 16, pp1373-1382, 1996), 그리고 배양된 토끼 동맥평활근세포의 세포증식억제와 탐식세포 조절능을 억제하기 위하여 MMP-9 억제자들이 고안되었다 (Fitzgerald M. et al., Atherosclerosis , 145, pp97-106, 1999).
또한 일부 천연물들이 동맥경화 억제에 사용되고 있으며 (Heber D., Curr . Atheroscler. Rep. 3, pp93-96, 2001), 전통 한약 자원들이 동맥경화 치료에 쓰이고 있다 (Yoshie F. et al., Pharmacol . Res. 43, pp481-488, 2001 ; Kim B. J. et al., Int . Immunopharmacol . 3, pp723-734, 2003).
단삼조추출물이 페놀계 화합물을 함유하며 간세포 보호능, 적혈구 산화 방지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Li, et al., Journal of Asian Natural Products Research 4(4), pp271-280, 2002 ; Liu, P. et al., Liver 21(6), pp384-390, 2001). 활성성분으로 탄시논(tanshinones), D(+)3,4-디히드록시페놀 락트 산(D(+)3,4-dihydroxyphenol lactic acid), 프로토카테츄익 알데히드(protocatechuic aldehyde), 살비아놀린 산(salvianolic acids (A, B, C, D, E, F)), 로스마리닌 산(rosmarinic acid)이 알려져 있다 (Li, et al., Journal of Chinese Pharmaceutical Science 6, p5764, 1997 ; Wang, et al., Acta Acad . Med . Shanghai 18, p2732, 1991).
이러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단삼의 혈관계 증식 억제에 대한 연구는 없다. 특히 사람의 동맥평활근세포의 이주능을 억제하는 활성은 보고된 바 없기에 본 발명에서는 동맥평활근세포의 이주능 억제 활성을 보고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맥경화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단삼의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삼(Salvia miltiorrhiza BGE)의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MMP과다 활성으로 기인한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부탄올에 가용된 추출물이고, 또는 상기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클로로포름과 같은 비극성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에 가용된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MMP과다 활성으로 기인한 혈관계 질환은 동맥경화증, 허혈성심근경색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고혈압, 뇌졸중, 고지혈증, 빈혈, 편두통, 부정맥, 중풍, 혈관종, 혈관섬유종, 혈관기형, 혈관유착, 바람직하게는 동맥경화증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단삼의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들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단삼의 조추출물은, 건조된 단삼의 뿌리 또는 지상부(잎, 줄기)를 세절하여 무게(㎏)의 약 1배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3배 내지 10배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메탄올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약 2시간 내지 5시간동안 냉침,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이를 현탁액이 약 1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배 부피의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1회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5회 비극성용매 가용층을 추출, 분획하여 비극성 용매에 가용한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얻고, 극성용매에 가용한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Harborne J.B.,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 pp 6-7, 1998).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법으로 얻어진 단삼의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맥경화증, 허혈성심근경색, 협심증, 심근경색증, 고혈압, 뇌졸중, 고지혈증, 빈혈, 편두통, 부정맥, 중풍, 혈관종, 혈관섬유종, 혈관기형, 혈관유착 등의 혈관계 질환 또는 관절염, 암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암 질환은 폐암, 비소세포성폐암, 간암, 결장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 암, 피부 또는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위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system)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이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혈관신생과 관련된 암 질환 및 전이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삼 추출물을 0.01 ~ 99.9%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 90%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 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맥경화증의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단삼의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혈관계 질환의 예방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단삼의 극성용매 및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삼의 극성용매 및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동맥경화증의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 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 및 실험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 및 실험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 및 실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삼 조추출물의 제조 방법
1-1. 단삼의 열수추출물의 제조 방법
1-1-1. 단삼의 열수추출물(1)의 제조 방법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한국산 단삼 1kg을 50ml 정제수에서 15분간 가열하여 열수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수득한 추출물을 1ml로 조정하였다.
1-1-2. 단삼의 열수추출물(2)의 제조 방법
단삼 500g을 세절하여, 50 mM 인산완충액-생리식염수 (PBS) (pH 7.2)용액에서 분쇄기(Tekmar Co., Cincinati, OH, USA)를 사용하여 분쇄한 뒤, 열탕제기로 3시간동안 가열침출한 뒤, 4℃, 12,000 xg, 20분간 원심분리하고 그 상등액을 여과(동양여지 No. 1)하고 여액을 모아 감압농축 후 정량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수율은 12.3%였 다.
1-2. 단삼의 메탄올 가용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실시예 1-1의 열수추출물을 제외한 남은 단삼을 3번 70% 에탄올로 70℃, 5시간 추출하여 모은 후, 이 추출액을 0.45㎛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단삼의 70% 메탄올 가용 추출물 55g(5.5%)을 얻었다.
1-3. 단삼의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실시예 1-2의 메탄올 가용 추출물 50g을 물 500ml에 녹여 클로로포름으로 3회 추출, 분획하고, 클로로포름 가용층을 합한 다음, 회전증발기로 용매를 증발시켜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수득률: 30.8%; 15.4 g)을 수득하였다.
1-4. 단삼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실시예 1-3의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을 제외한 남은 층(상층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 분획하고,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층을 합한 다음, 회전증발기로 용매를 증발시켜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수득률: 23.2%; 11.6 g)을 수득하였다.
1-5. 단삼의 부탄올 가용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실시예 1-4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을 제외한 남은 층(하층부)를 부탄 올로 3회 추출, 분획하고, 부탄올 가용층을 합한 다음, 회전증발기로 용매를 증발시켜 부탄올 가용 추출물(수득률: 7.5%; 3.8 g)을 수득하였다.
1-6. 단삼의 에탄올 가용 추출물의 제조 방법
실시예 1-5에서 얻은 부탄올 가용 추출물을 제외한 남은 층(하층부)을 에탄올 1 리터로 3회 추출, 분획하고, 에탄올 가용층을 합한 다음, 감압 회전농축기(Vaccum rotary evaporator; 일본의 Nihon Seiko사, VR-205c)로 용매를 증발시켜 에탄올 가용 추출물 17.5 g(수득률: 3.5%)을 수득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로부터 얻은 추출물들을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기 위해 DMSO에서 녹여 활성검정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단삼의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 ( HASMC )에 대한 독성
1-1. 세포배양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 (HASMC)를 문헌에 기재된 방법으로 배양(Moon,et al., Biochem. Biophys . Res. Commun . 301, pp1069-1078, 2003b)하였다. 배양액은 (평활근 세포 성장 배지-2: 10% FBS, 2 ng/ml 인간 기본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0.5 ng/ml 인간 내피 성장 인자, 50 ㎍/ml 젠타마이신(gentamicin, 50 ㎍/ml amphotericin-B, 5 ㎍/ml 소 인슐린)로 준비하고, 모든 실험에는 초대 페세지(passage) HASMC를 80~90% 컨플루언스(confluence)로 배양하였고, 무혈청(serum starvation, 0.1% FBS)에서 보존하였다.
1-2. 세포증식 측정 ( XTT 증식 측정)
세포독성 검사는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HASMC에서 XTT 키트 (XTT II, Boehringer Mannheim, Mannheim, Germany)로 측정하였다 (Ha, et al, Pharmacological Research 50(3), pp279-285, 2004c). 세포를 96-웰 배양 플레이트(culture plate)에서 2시간 동안 1 × 104세포/웰 DMEM로 키우고 단삼을 여러 농도로 (0, 10, 50, 100, 250, 500 및 1000 ㎍/ml)하여 3개의 실험 군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72시간 후에 50㎕의 XTT 환원 용액(나트륨 3'-[1-(페닐-아미노카보닐)-3, 4-테트라졸리움]-비스(4-메톡시-6-니트로)벤젠술폰산 수화물 및 N-메틸 디벤조피라진 메틸 설페이트; 50:1로 혼합)을 첨가하였다. 4시간 후에 490 nm에서 엘리사(ELISA) 플레이트 리더(plate reader)로 XTT와 함께 배양기에서 측정하였다(37℃, 5% CO2 + 95% 공기). 실험은 3회씩 독립적으로 실시하였고, 결과는 평균치(mean± SE)로 표시하였다.
1-3. 결과
단삼의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 (HASMC)에 대한 독성은 키트를 사용하여 HASMC cells (5× 104세포/웰)를 24시간 동안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로 다양한 단삼농도(0, 50, 100, 200, 500 g/ml)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독성이 인정 되었다(도 1참조). 단삼은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 (HASMC)에 대해 (IC50 > 500 g/ml)농도로 독성을 나타내어 독성이 미약하므로 인체에 해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1에서 획득한 70% 에탄올 추출물,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추출물, 부탄올 가용추출물 및 열수추출물을 여러 농도로 시험관 안에서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에 대한 독성시험을 한 결과, 0, 1, 10, 50, 100, 500 ㎍/ml농도에서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 열수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미약한 독성이 있었다 (IC50 = >100 ㎍/ml, 90 ㎍/ml, >100 ㎍/ml, 각각).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가용 추출물은 이들보다 강한 독성을 보였다 (IC50 = 70 및 80 ㎍/ml) (표 1 참조).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의 독성은 도 2에 나타내었다.
세포독성 (IC50, ㎍/ml)
시료 IC 50 (㎍/ml)
70%에탄올 추출물 >100
클로로포름 가용추출물 90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추출물 70
부탄올 가용추출물 80
열수추출물 >100
실험예 2. MMP -9 저해 활성 실험
2-1. MMP -9 젤라틴젤 지모그래피 측정
MMP-9 활성은 문헌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Demeule, et al.,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478, pp51-60, 2000 ; Chung, et al., FASEB Journal 18(14), pp1670-1681, 2004b ; Ha, et al.,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200(1), pp1-6, 2004a). 단삼추출액은 농도별로( 0, 1, 10, 50, 100, 500, 1000 ㎍/ml) 실시하였다.
2-2. 덴시토메릭 ( Densitometric ) 및 통계 분석
MMP-9활성의 자이모그람 겔-프린트 시스템(Core Bio Corp., Seoul, KOREA)으로 측정 수치는 평균치(means±SE)로 표시하였다.
2-3. 각 추출물의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 ( HASMC )이 생성하는 MMP -9 젤라틴 분해 활성에 대한 저해
단삼의 MMP-9억제활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TNF-α(100 ng/ml)를 처리한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 (HASMC)의 배양액을 젤라틴 지모그래피(gelatin zymography) 실시하였다. 70% 에탄올 추출물,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 부탄올 가용 추출물, 열수추출물을 각각 50 ㎍/ml농도에서 처리하였다 (도 3). 대조군으로 DMSO 또는 에탄올 처리군은 MMP-9저해 활성이 없으며 단백질분해활성은 검정바탕에 하얀 등색을 하였다. 또 다른 대조군인 트리스-염화칼슘-완충액(Tris-CaCl2-buffer)군에서 MMP-9저해활성이 없으나, 70%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 열수추출물은 낮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가용 추출물은 강한 MMP-9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이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2-4.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인 MMP - 9저해활성
각 추출물의 (70% 에탄올 추출물,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 부탄올 가용 추출물, 열수추출물)의 MMP-9억제활성을 검토한 결과, 70% 에탄올 추출물,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 열수추출물은 거의 저해활성(IC50 > 100 ㎍/ml)이 없으나 부탄올 가용 추출물은 약하게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IC50 = 63 ㎍/ml) (표 2 참조). 그러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MMP-9 활성을 억제하였다(IC50: 24 ㎍/ml). 독성문제에서는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HASMC)에 50 ㎍/ml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을 첨가하여도 증식이나 세포형태에는 변화가 없었다(도 2참조). 그러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은 그 이상의 농도에서도 MMP-9활성을 강력하게 저해하여 세포독성은 미약하면서 MMP-9활성은 강하게 저해하였다.
각 추출물들의 MMP-9 저해활성 (IC50)
시료 IC 50 (㎍/mL)
70% 에탄올 추출물 >100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 >100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 24
부탄올 가용 추출물 63
열수 추출물 >100
2-5. 단삼의 기존의 확립된 MMP -9 저해제들과 비교시 상대적인 MMP -9 억제 효과
단삼과 기존에 잘 알려진 MMP-9 저해제인 EGC와 비교 실험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삼은 EGC보다 강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세포의 이주능 실험
3-1. 동맥평활근 세포의 이주능 실험
TNF-α로 유발된 동맥 평활근 세포의 이주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매트리겔 이주 분석법(Matrigel migration assay)을 사용하였다.(Chung, et al., FASEB Journal 18(14), pp1670-1681, 2004b ; Ha et al., Pharmacological Research 50(3), pp279-285, 2004c). 마트리겔(Matrigel)-코팅된 여과 삽입물(8m 공삭크기)을 벡톤-디킨슨(Becton-Dickinson, NJ, USA)사의 24-웰 인베이전 챔버(invasion chambers)에 고정 후 HASMC(5 × 104 세포/웰) 세포를 일정 시간 배양한 후, TNF-처리 HASMC를 24시간 배양 후 다양한 농도의 단삼(0, 50, 100, 250 및 500 ㎍/ml)을 처리하였다. 500 ㎕의 배양액을 인베이전 챔버에 첨가하였다. TNF-처리배지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는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매트리겔 인베이전 챔버를 37℃, 24시간, 5% CO2에서 보온하였다.
3-2.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의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 이주능에 미치는 영향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를 조건배지에 세포수(5 × 104세포/200㎕)로 조정하여 매트리겔 인베이전 챔버에서 여러 농도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0, 50, 100, 250, 500㎍/㎖)을 첨가하여 24시간동안 37℃, 5% CO2에서 보온하였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과지 안으로 침윤한 세포수가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의 첨가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크게 감소하였다(IC50 = 15 ㎍/㎖). 이러한 결과는 단삼이 사람 동맥평활근 세포의 침윤-이주능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제시한다.
실험예 4. 혈중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실험
4-1. 혈청 콜레스테롤 생성 억제효과
웅성 스프라그 도올리 래트(Sprague-Dawley Rat) 각 15마리씩 정상군과 콜레스테롤을 8주간 식이시킨 후 단삼 열수추출물을 500 mg/체중 250 그램의 용량으로 1일 3회 강제로 일개월 투여 한 후 혈청내의 콜레스테롤을 측정키트((주)덕산사 kit BC108-E)로 정량하였다. 그 실험결과 콜레스테롤 식이 섭취군의 래트(rat)의 혈청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정상 쥐에(70 mg/dl) 비하여 유도된 쥐(약 160 mg/dl)는 약 2.5배 정도로 함량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단삼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쥐의 혈청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약 130 mg/dl로 나타나 래트의 콜레스테롤 함량이 약 20% 정도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도 7 참조)
4-2. 혈청 고밀도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함량에 미치는 영향
웅성 스프라그 도올리 래트(Sprague-Dawley Rat) 각 15마리씩 정상군과 콜레스테롤을 8주간 식이시킨 후 단삼 열수추출물을 500 mg/kg의 용량으로 1일 3회 일개월 투여 한 후 혈청내의 고밀도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을 측정키트((주)덕산사 kit BC108-H)로 정량하였다. 그 실험결과 정상군의 고밀도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함량은 약 40 mg/dl인데 비하여 콜레스테롤식이 섭취군에서는 26 mg/dl로 나타나 약 35% 정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단삼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쥐의 혈청 내 고밀도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함량은 약 50 mg/dl로 2배 정도의 증대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8 참조)
4-3. 혈청 중성지질( Triglyceride ) 함량에 미치는 영향
웅성 스프라그 도올리 래트(Sprague-Dawley Rat) 각 15마리씩 정상군과 콜레스테롤을 8주간 식이시킨 후 단삼 열수추출물을 500 mg/kg의 용량으로 1일 3회 일개월 투여 한 후 혈청내의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중성지질, TG)를 측정키트((주) 덕산사 kit, BC118)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의 TG의 함량은 약 30 mg/dl인데 비하여 콜레스테롤 식이 섭취군에서는 약 48 mg/dl으로 나타나 콜레스테롤 식이 섭취군의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이 약 1.5배정도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단삼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쥐의 혈청내 TG 함량은 약 36 mg/dl로 식이 섭취군에 비해 약 2배 정도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도 9 참조)
4-4. 복강내 콜레스테롤 축적에 미치는 영향
혈청내 저밀도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 수치는 정상군 17.2 ㎎/㎗,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군 101.87 ㎎/㎗, 단삼열수추출 농축액 투여군 22.01 ㎎/㎗으로 나타나 열수추출 농축액 투여군은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군보다 약 20%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혈청내 고밀도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수치는 정상군 39.24±6.5 ㎎/㎗,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군은 23.64±2.14 ㎎/㎗, 열수추출 농축액 투여군은 61.37±2.14 ㎎/㎗으로, 열수추출 농축액 투여군의 혈청내 고밀도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수치는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군보다는 유의적인 증가를 보여주었다.(도 10 참조)
4-5. 혈관벽에 미치는 영향
콜레스테롤 섭취군과 열수추출 농축액 투여군의 혈관을 절제하여 파라핀 고정하였다. 고정 파라핀의 조직을 마이크로톱(microtob)으로 절편절단하여 세포염색을 에오신(eosin)으로 실시하였다. 두께측정은 염색조직부분을 육안으로 실시하였다. 본 실험결과, 도 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콜레스테롤 섭취군은 단삼 식이군에 비하여 혈관벽이 두꺼우며 혈관벽 손상도가 높은 반면에 단삼 식이군은 콜레스테롤 식이군에 비하여 혈관벽이 두껍지 않았으며 혈관벽 손상도도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1 참조)
제제예 1. 주사제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단삼 부탄올 가용 추출물...................100 ㎎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3.0 ㎎
메틸파라벤...........................................0.8 ㎎
프로필파라벤.........................................0.1 ㎎
주사용 멸균증류수....................................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최종 부피가 2㎖가 되도록 제조한 후, 2㎖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환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단삼 추출물...............................120㎎
옥수수 전분..........................................100㎎
멸균증류수............................................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환제 제조방법으로 0.3cm 지름으로 제환하여 환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단삼 추출물...............................200 ㎎
유당.................................................100 ㎎
전분.................................................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적량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단삼 추출물...............................100 ㎎
유당..................................................50 ㎎
전분..................................................50 ㎎
탈크...................................................2 ㎎
스테아린산마그네슘.....................................적량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단삼 부탄올 가용 추출물...................1000 ㎎
설탕....................................................20 g
이성화당................................................20 g
레몬향..................................................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단삼 추출물..............................1000 ㎎
비타민 혼합물..........................................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1.0 ㎎
비타민 B1....................................0.13 ㎎
비타민 B2....................................0.15 ㎎
비타민 B6.....................................0.5 ㎎
비타민 B12....................................0.2 ㎍
비타민 C.......................................10 ㎎
비오틴.........................................10 ㎍
니코틴산아미드................................1.7 ㎎
엽산...........................................50 ㎍
판토텐산 칼슘.................................0.5 ㎎
무기질 혼합물.........................................적량
황산제1철....................................1.75 ㎎
산화아연.....................................0.82 ㎎
탄산마그네슘.................................25.3 ㎎
제1인산칼륨....................................15 ㎎
제2인산칼슘....................................55 ㎎
구연산칼륨.....................................90 ㎎
탄산칼슘......................................100 ㎎
염화마그네슘.................................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단삼 추출물...............................1000 ㎎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매실농축액...............................................2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단삼 추출물은 MMP활성을 억제하고 TNF-α에 의해 동맥평활근세포의 이주능을 억제하는 동맥경화 또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독성이 없는 천연약제로 구성된 의약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단삼(Salvia miltiorrhiza BGE)의 부탄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단삼(Salvia miltiorrhiza BGE)의 부탄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삭제
KR1020060037044A 2005-04-25 2006-04-25 단삼 추출물 및 분획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67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4153 2005-04-25
KR1020050034153 2005-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857A KR20060111857A (ko) 2006-10-30
KR100767238B1 true KR100767238B1 (ko) 2007-10-17

Family

ID=3721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044A KR100767238B1 (ko) 2005-04-25 2006-04-25 단삼 추출물 및 분획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67238B1 (ko)
WO (1) WO200611532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1117A (zh) * 2011-11-30 2012-05-09 宋爱民 治疗血管性头痛的中药制剂
CN102920837A (zh) * 2012-10-31 2013-02-13 侯明晓 一种治疗心律失常的中药及其制备工艺和应用
KR20210073679A (ko) 2019-12-10 2021-06-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설포라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동맥경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25214A1 (en) * 2006-11-24 2008-05-28 DSMIP Assets B.V. Dietary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carnosol and/or rosmanol and their uses
IT1402009B1 (it) * 2010-10-08 2013-08-28 Velleja Res Srl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estratti totali da piante medicinali o alimentari mediante estrazione frazionata
CN102526234A (zh) * 2011-12-03 2012-07-04 范文忠 一种治疗中风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2552468A (zh) * 2011-12-28 2012-07-11 蚌埠丰原涂山制药有限公司 一种治疗高血脂的中药组合物
CN107519360A (zh) * 2017-09-21 2017-12-29 张昕 一种防治高血压的中药枕
KR20200058900A (ko)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뉴랜드올네이처 단삼(Salvia miltiorrhiza)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44508B1 (ko) * 2019-05-17 2021-04-27 (주)유니베라 단삼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혈관 노화로 인한 증상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218529B1 (ko) * 2019-07-17 2021-02-22 주식회사 리바이오 단삼 생물전환 추출물 및 홍삼 생물전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894B1 (ko) * 1999-08-25 2002-03-09 한영복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341368B1 (ko) * 1999-08-18 2002-06-21 김춘란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조성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3213A (ja) * 1988-11-24 1989-08-03 Shozaburo Fujii 養毛剤
JPH10236966A (ja) * 1997-02-24 1998-09-08 Nissei Marine Kogyo Kk 血行改善効果を有する組成物
US8486464B2 (en) * 2000-12-22 2013-07-16 Tasly Pharmaceutical Group Co. Ltd. Herbal composition for angina pectoris, method to prepare same and uses thereof
CN1202103C (zh) * 2002-05-23 2005-05-18 天津天士力制药股份有限公司 丹参总酚酸的制备方法
KR20040090433A (ko) * 2003-04-17 2004-10-25 주식회사 백텍 탄신온 투에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제 조성물
KR20040108081A (ko) * 2003-06-16 2004-12-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삼유래 천연물 디메틸리소스퍼메이트를 유효성분으로하는 항산화제 및 항노화제
CN102579460B (zh) * 2003-12-30 2015-04-29 麦仁斯有限公司 用增强代谢活性的丹参衍生物治疗肥胖和代谢综合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368B1 (ko) * 1999-08-18 2002-06-21 김춘란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조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27894B1 (ko) * 1999-08-25 2002-03-09 한영복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1117A (zh) * 2011-11-30 2012-05-09 宋爱民 治疗血管性头痛的中药制剂
CN102920837A (zh) * 2012-10-31 2013-02-13 侯明晓 一种治疗心律失常的中药及其制备工艺和应用
KR20210073679A (ko) 2019-12-10 2021-06-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설포라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동맥경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857A (ko) 2006-10-30
WO2006115321A1 (en)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238B1 (ko) 단삼 추출물 및 분획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78724B1 (ko) 감귤 발효 콤부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심혈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334305B1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89796A (ko) 금은화 및 지모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77572A (ko) 용암해수 탈염 미네랄수를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1281710B1 (ko) 엉겅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242635B1 (ko) 권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3306B1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422130B1 (ko) 상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중약물내성 억제용 조성물
KR101070476B1 (ko) 흑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고요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24615B1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 및 고혈압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075554B1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80016391A (ko) 락토바실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373653B1 (ko)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10030875A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06284B1 (ko) 익지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과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718490B1 (ko) 파골세포 분화억제 효과를 갖는 대추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448274B1 (ko) 보골지 추출물의 조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43191B1 (ko) 대황,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재협착 억제 및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173196B1 (ko) 청국장 분리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암기능성 발효두유
KR20130091160A (ko) 사철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189959B1 (ko)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30640B1 (ko) 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04269B1 (ko) 붓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20018556A (ko) 마가목 및 현지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또는 연골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sg-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