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368B1 -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조성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조성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368B1
KR100341368B1 KR1019990034156A KR19990034156A KR100341368B1 KR 100341368 B1 KR100341368 B1 KR 100341368B1 KR 1019990034156 A KR1019990034156 A KR 1019990034156A KR 19990034156 A KR19990034156 A KR 19990034156A KR 100341368 B1 KR100341368 B1 KR 100341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roup
treatment
effect
cardiovascular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8271A (ko
Inventor
김춘란
Original Assignee
김춘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란 filed Critical 김춘란
Priority to KR101999003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368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3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혈관 질환 치료제(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의 조성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삼과 삼칠을 각 60∼80 중량와 10∼20 중량의 배합비율로 혼합하고, 물로 추출,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진공농축한 다음, 여기에 용뇌 0.5∼1.0 중량와 붕해촉진제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10∼20 중량를 혼합하여 균질화시킨 후, 그 액을 적환기(dropping machine)에 넣고 지름 약 2 mm 크기의 환제로 제제화한 제제로서, 본 발명의 제제는 협심증, 관상동맥경화증, 심근경색, 과지질혈증, 뇌순환장애로 인한 현기증과 기억력 감퇴 등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기대되는 심혈관 질환 치료제이다.

Description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조성 및 그의 제조방법{Treatment of cardio- vascular disease and Its process}
본 발명은 심혈관 질환 치료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단삼, 삼칠, 용뇌를 주성분 생약으로 함유하고 붕해촉진제로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을 함유하는 지름 약 2mm 크기의 환제 제형의 심혈관 질환치료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심장과 혈관은 전신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기관으로,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핵심기관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원인으로 심혈관계에 이상이 생겨 각 조직 및 기관으로의 혈액과 산소공급이 원활치 못할 경우 국소부위 조직괴사는 물론 심한 경우 생명에 위협을 주는 위험한 질환을 야기하게된다. 이와같은 심혈관 질환은 특히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인체의 노화 현상으로 더욱더 빈번해져, 1985년부터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성인병 중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1990년이후에 들면서부터는 전체 성인 인구중 1,200,000명 이상이 심혈관 질환에 의해서 고통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들 질병의 예방과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
현재까지 위와 같은 심혈관 질환의 치료제로는 Nitrate계 제제로 Schwarz사의 ISMOR등이 소개되어 있으며, 이 제제는 관상동맥을 확장시킴으로써 심근에 산소공급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치료 효과면에서는 확실하나 체위성저혈압과 심계항진, 두통 등의 부작용으로 저혈압, 녹내장등의 환자에게는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또한 β-차단제로 아스트라(Astra)사의 베타록(BETALOCR)등이 소개되어 있으며, 이 제제는 심박동수와 심박출량을 감소시키는 약물로, 효과면에서는 확실하나 급격한 심장억제, 심장부전작용과 심박정지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킴으로 울혈성심부전환자, 중증신, 간부전환자에게는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그외에도 심혈관 질환을 치료하는 생약제제로서 보령제약의 구심등이 있으나 그 효과가 미약하여 치료제라기 보다는 예방차원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그 제조과정에 적환기(dropping machine)를 적용하는 등 특수한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생약성분이 최대로 농축된 최소 크기의 환제를 제조함으로써 치료효능을 증강시킴은 물론, 복용과 휴대가 간편하게 한 생약제제는 본 발명이 처음이다. 또한, 본 제제는 그 조성에 있어 붕해촉진제를 첨가하여 체내에서 신속히 붕해되도록 고안, 효과 발현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협심증과 같이 빠른 처치가 요구되는 질환 역시 치료할 수 있도록 제조된 생약제제는 아직까지 소개된 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심혈관 질환 치료에 대하여 탁월한 치료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가능한한 인체에 안전한 것으로 알려진 생약을 원료로 하고 그 제조방법에 있어 특수한 기기인 적환기(dropping machine)를 이용하여 최종제품에 위 약물의 농도를 극대화시켜 치료효능을 증강시키고, 환제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복용과 휴대를 간편케 함은 물론, 붕해촉진제를 가하여 체내에서 신속한 붕해를 가능케 하여 효과발현시간을 단축시킨 치료제를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양약치료제에서 나타났던 강한 약리작용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을 뿐 아니라 생약(한약)제제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효과를 갖도록 하는 신규의 심혈관 질환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은 각군 생약이 랫트의 관상동맥혈류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병의 심혈관 질환 치료제는 단삼, 삼칠, 용뇌등 3종의 생약과 붕해촉진제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을 함유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삼 60∼80 중량, 삼칠 10∼20 중량, 용뇌 0.5∼1.0 중량,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10∼20 중량을 함유하는 환제이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재하였다.
단삼 (丹蔘, Salvia miltiorrhizae Radix)은 꿀풀과 (Labiatae)에 속하는 단삼 (Salvia miltiorrhiza Bunge)의 뿌리이다. 성분으로는 단산수 (Danshensu), 단시논 A, B, C (Tanshinone A, B, C), 크립토단시논 (Cryptotanshinon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혈전을 제거하는 작용과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어 혈중 지질을 감소시켜 혈점도를 낮추고 혈관내벽의 지질 첨착을 제거하며 혈유동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다. 또한, 혈소판응집억제작용, 항응고 작용,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칼슘의 세포내 유입 억제작용, 항산화 작용이 있어 협심증, 동맥경화증, 심근경색, 뇌순환장애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안전성이 확보된 생약의 일종이다.
삼칠 (三七, Notoginseng Radix)은 두릅나무과 (Araliaceae)에 속하는 삼칠 (Panax notoginseng(Bulk) F.H. chen)의 뿌리이다. 성분으로는 산시티사포닌 (Sansitisaponin)과 진세노사이드 (Ginsenosid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지혈작용이 있어 출혈시 사용하고, 관상동맥혈류량을 증가시키고 혈중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작용이 있어 고혈압, 죽상경화증, 관상동맥질환, 색전증, 뇌경색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안전성이 확보된 생약의 일종이다.
용뇌 (龍腦, Borneolum)는 용뇌향과 (Dipterocarpaceae)에 속하는 용뇌향나무 (Dryobalanops aromatica Gaetner)의 수간창구에서 흘러나온 수지 또는 수간과 가지를 썰어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백색의 결정체이다. 성분으로는 디-보르네올 (d-Borneol), 시네올 (Cineol), 엘-캄파 (l-Camphor)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통증을경감시키고 특히, 갑작스런 혼절에 인공소생법으로 사용하여 의식을 유지시키고 호흡을 진정시키는 효능이 있어서 혈액순환 장애에 따른 의식두절, 호흡곤란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안전성이 확보된 생약의 일종이다.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Polyethelene glycol)은 산화에칠렌과 물의 부가중합체로 약물에 첨가하여 약물의 붕해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속효작용(速效作用)을 나타낼 필요가 있는 질병등의 치료제등의 용제 또는 기제로 널리 사용되는 안전성이 확보된 붕해촉진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제조방법은 단삼과 삼칠을 각 단삼 60∼80 중량, 삼칠 10∼20 중량의 배합비율로 혼합한 후, 물로 추출,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진공농축한 다음, 여기에 용뇌 0.5∼1.0 중량와 붕해촉진제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10∼20 중량를 혼합하여 균질화시킨 후, 그 액을 적환기 (dropping machine)에 넣고 지름 약 2 mm 크기의 환제로 제제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제제의 제조방법으로 요약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생약을 선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약리시험을 행하였다.
(다 음)
I. 렛트 적출심장의 관상혈류량에 미치는 영향
1. 재료
1) 시료 : 1군 - 단삼(17 mg)
2군 - 단삼(17 mg), 삼칠(3 mg)
3군 - 단삼(17 mg), 삼칠(3 mg), 용뇌(1 mg)
4군 - 단삼(17 mg), 삼칠(3 mg), 용뇌(1 mg) + 폴리에틸렌 글라이콜(4 mg)
2) 실험동물 : 체중 240∼280 g 의 Wistar 암수 렛트
20 마리
3) 기기 및 기구 :
가. Color Doppler Echocardiograph (SSH-65A, TOSHIBA, Japan)
나. Autonomic cardiac function recorder (XWI-ID, Langfang Determining and Controlling Instrument Plant)
다. Organ chamber
라. Langendorff 용액: 조성 - NaCl 118mEq/L, KCl 4.7mEq/L, KH2PO41.2mEq/L, NaHCO324.8mEq/L, glucose 11.0mEq/L, CaCl21.9mEq/L, MgCl21.2mEq/L
마. 만능 stand, Air pump
바. 수술용 가위, 수술용 핀셋
사. cannula, 온도계, 실, 비이커
자. 동물 케이지, 동물 고정대
2. 실험방법
1) 체중 240∼280 g의 Wistar 암수 렛트를 온도 23±1 ℃, 상대습도 55±5 , 명암교대 12 시간으로 사육하였다.
2)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공급하였다.
3) 가스튜브(gas tube)가 연결된 유리관속에 렛트를 넣고 튜브(tube)로 우레탄(Urethan)을 주입하여 렛트를 마취시킨다.
4) 렛트를 고정대 위에 올려놓고 사지와 머리를 고정시킨다.
5) 흉골절개술에 의하여 대동맥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심장을 적출하고 자기분해(Autolysis)를 방지하기 위해 적출 즉시 37∼38 ℃의 랑겐돌프 (Langendorff) 완충 용액이 채워진 오건 체임버(organ chamber) 내에 95 의 산소와 5 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공급해 주면서 37 ℃의 온수조에 담가 온도를 유지시킨다.
6) 대동맥 측면 분지에 카눌라(cannular)을 고정시킨다.
7) 심박동수 측정을 위한 Autonomic cardiac function recorder 는 좌심실에 연결하고 관상동맥 혈류량 측정을 위한 Color Doppler Echocardiograph을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연결한다.
8) 대동맥 관상 혈류량 측정:
가. cannular를 통해 각 군별 약물을 투여전 관상동맥 혈류량을 측정한다.
나. 각 군별 약물을 1 단계부터 단계적으로 용량을 증량하면서 투여하여 10 분이 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관상동맥혈류량과 심박동수 변화를 측정한다.
3. 실험결과:
1) 각 군별 관상동맥혈류량과 심박동수변화에 대한 효과는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1)
각군 생약의 랫트의 심박동수에 미치는 영향(10분내)
Group Heart rate (beats/min) Percentage ()
Before drug treatment After drug treatment Reduced effect of heart rate
1 188±7 184±8 21.8±0.5
2 189±16 184±14 27.6±1.1
3 187±13 182±11 46.4±1.1
4 186±12 180±9 61.3±0.9
2) 시험결과 단삼 단일군인 1군의 관상혈류량 개선효과와 심박동수 감소효과는 각각 24.7±5.5 와 21.8±0.5 , 삼칠을 배합한 2군의 관상혈류량 개선효과와 심박동수 감소 효과는 31.3±2.9 , 27.6±1.1 로 협심증에 미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2군의 처방에 용뇌를 첨가한 3군의 경우에는 49.1±2.8 , 46.4±1.1 로 나타나, 용뇌는 단삼과 삼칠의 관상혈류량 개선효과와 심박동수 감소효과를 촉진시켜 제제의 효능을 증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 3군의 처방에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을 첨가한 4군의 경우에는 69.5±1.5 , 61.3±0.9 로 나타나 가장 뛰어난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관상혈류량에 대한 작용시간이 10 분이내에서 최대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이 본 발명의 붕해를 도와 흡수를 극대화 시키고 효과발현시간을 단축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I. 가토 대동맥 평활근 이완반응에 미치는 영향
1. 재료
1) 시료 : 1군 - 단삼(17 mg)
2군 - 단삼(17 mg), 삼칠(3 mg)
3군 - 단삼(17 mg), 삼칠(3 mg), 용뇌(1 mg)
4군 - 단삼(17 mg), 삼칠(3 mg), 용뇌(1 mg) + 폴리에틸렌 글라이콜(4 mg)
2) 실험동물 : 체중 2∼2.5 Kg의 뉴질랜드산 흰색 암수 가토
10 마리
3) 기기 및 기구 :
가. Isometirc transducer (장력측정기)
나. Servo-scribe chart recorder
다. Organ chamber
라. Oxygenated Saline 용액: 조성 - NaCl 118mEq/L, KCl 4.7mEq/L, KH2PO41.2mEq/L, NaHCO324.8mEq/L, glucose 11.0mEq/L, CaCl219.mEq/L, MgCl21.2mEq/L
마. 만능 stand, Air pump
바. 현미경
사. 수술용 가위, 수술용 핀셋
아. 주사기, 온도계, 실, 비이커
자. 동물 케이지, 동물 고정대
2. 실험방법
1) 체중 2∼2.5 Kg의 뉴질랜드산 흰색 암수 가토를 온도 23±1 ℃, 상대습도55±5 , 명암교대 12 시간으로 사육하였다.
2)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공급하였다.
3) 토끼의 정수리 부분을 고무망치로 때려 기절시킨다.
4) 토끼를 고정대위에 올려놓고 사지와 머리를 고정시킨다.
5) 기절시킨 토끼의 흉곽부위를 절제하여 심장부위를 노출시킨다.
6) 대동맥 자기분해(Autolysis)를 방지하기 위해 37∼38 ℃의 Oxygenated Saline 완충용액을 지속적으로 투여한다.
7) 심장표면의 연결조직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세로축을 따라 혈관을 절개한다.
8) 현미경을 이용하여 대동맥 평활근 절편 (10 mm × 1.5 mm) 를 제작한다.
9) 제작된 대동맥 평활근 절편의 한쪽 끝을 실로 매달아 고정시켜 10 ml의 오건 체임버(Organ chamber)에 옮긴다.
10) Organ chamber에 37∼38 ℃의 Oxygenated Saline 용액을 채운 후 95 의 산소와 5 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공급해 주면서 37 ℃의 온수조에 담가 온도를 유지시킨다.
11) 다른 한쪽의 대동맥 평활근 절편에 isometric transducer와 Servo-scribe chart recorder를 연결한다.
12) 기초 장력을 0.8 g으로 하여 실험 진행에 앞서 대동맥 평활근을 90 분간 적응시킨다.
13) 이완효과 측정:
가. 수축제인 K+의 농도를 5 분간격으로 20 mM, 30 mM, 40 mM, 50 mM, 60 mM, 70 mM로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대동맥 평활근의 수축력을 평가한다. 대동맥 수축력이 70 가 될때의 K+농도를 설정한다.
나. 설정된 K+농도에 따라서 각 군별 약물을 1군부터 단계적으로 투여하여 이완효과를 평가한다.
다. K+농도에 최대로 수축시킨 상태에서의 장력을 100 으로 하였을 때, 장력이 몇 까지 감소되었는지 측정한다.
3. 실험결과:
1) 각 군별 K+-induced 대동맥평활근에 대한 이완효과는 표 2와 같다.
(표 2)
각군 생약의 대동맥 평활근에 대한 이완효과
1군 2군 3군 4군
이완효과 () 25.4±3.3 35.2±7.8 51.1±5.6 71.3±5.5
2) 시험결과 단삼 단일군인 1군의 효과가 25.4 , 단삼, 삼칠을 배합한 2군의 효과가 35.2 로 협심증, 관상동맥경화증, 심근경색등의 심혈관 질환에 미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2군의 처방에 용뇌를 첨가한 3군의 경우 51.1±5.6 , 3군의 처방에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첨가한 4군의 경우에는 71.3 로 나타나 용뇌와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이 제제의 효능이 월등히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기와 같은 실험결과로 인해 단삼, 삼칠, 용뇌,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배합제의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효과 및 대동맥 평활근 이완효과가 증가함을 알 수 있어 협심증, 관상동맥경화증, 심근경색, 과지질대사, 뇌순환장애로 인한 현기증과 기억력 감퇴등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성취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나아가 단삼, 삼칠이 각 60 중량, 10 중량이하이면 심혈관 질환의 치료효과에 의문이 생기며, 용뇌가 1.0 중량이상이면 과도한 호흡 진정 효과로 인하여 오히려 호흡 부전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리고 용뇌가 0.5 중량이하이면 응집력이 떨어져 환제 성형에 어러움이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이 10 중량미만이면 붕해촉진효과가 거의 없으며, 20 중량이상이면 흡습성이 높아져서 구슬 모양의 환제 성형이 어려워 제제면에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조성된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심혈관 질환 치료제는 적환기(dropping machine)를 이용하여 지름 약 2 mm크기의 환제로 제조한 제제로서, 경구 또는 설하로 투여하며 4주 이상 매일 1일 3회, 1회 10환씩 복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혈관 질환 치료제는 그 조성과 제조방법에 있어 현대과학적 원리를 도입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효과와 안전성을 동물에 대한 약리실험 및 사람에 대한 임상실험을 거쳐 과학적으로 검증한 결과, 협심증에 대한 유효율 95.3 , 관상동맥경화증에 대한 유효율 91.2 로 효과가 뛰어난 치료제임이 입증되었다.
한편, 본 발명품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경구독성시험에서 임상증상, 체중변화, 부검소견에 있어 특이한 이상소견이 관찰된 바 없고, 국소독성시험결과 저독성의 매우 안전한 약물임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예 및 실험예를 열거하고자 한다.
제조예 1
1. 원료의약품분량
1환(25 밀리그람) 중
주성분 단 삼 (약전) 17.5 밀리그람
주성분 삼 칠 (생규) 3.43 밀리그람
주성분 용 뇌 (약전) 0.2 밀리그람
붕해촉진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약전) 3.88 밀리그람
2. 제조방법 (1)
1) 원료생약인 단삼, 삼칠, 용뇌의 약용부위를 취한 후 물로 깨끗이 세정하고, 침출액에 접하는 면적이 커지도록 가급적 세절 (細切)한다.
2) 위와 같이 전처리된 단삼 70 그람, 삼칠 13.7 그람을 500 ml의 물을 추출제로 하여 환류냉각기를 이용하여 2시간 동안 가용성분을 추출, 얻어진 추출액을 무명으로 여과하고, 얻어진 여액에 다시 물 500ml를 가하여 환류냉각기에서 2시간동안 가용성분을 추출, 여과하여 100 ml의 생약 추출액을 얻는다.
3) 2)에서 얻어진 생약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 부분만을 취하여 무명으로 여과한 후, 진공 증발기(vaccum evaporator)에 넣어 생약추출물을 농축시켜 50 ml의 농축액을 얻는다.
4) 3)에서 얻어진 농축된 추출액에 에탄올을 80 ml를 가하여 균질화시킨 다음 얻어진 균질액을 진공 증발기(vaccum evaporator)에서 농축, 에탄올을 제거하고 단삼과 삼칠의 생약 추출액 40 ml를 얻는다.
3. 제조방법 (2)
제조방법 (1)과 같이 제조되어 고도로 정제된 추출액에 용뇌 0.8 그람과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15.5 그람을 가하여 50 ℃이하의 온도에서 잘 섞이도록 용해시켜 균질화한 후, 적환기(dropping machine)에 그 얻어진 균질액을 넣어 1 환당 단삼 17.5 밀리그람, 삼칠 3.43 밀리그람, 용뇌 0.2 밀리그람,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3.88 밀리그람을 함유하는 지름 약 2 mm 크기의 환제를 제조하여 최종제품을 얻는다.
실험예 1(제제)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환제상의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성분 및 품질규격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ㄱ. 성상 : 특이한 향과 약간 쓴 맛을 가진 적갈색의 구슬 모양의 환제
ㄴ. 확인 :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일반시험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단삼, 삼칠, 용뇌가 확인되었다.
ㄷ. 용뇌 중 보르네올(Borneol)의 함량 : 0.2 밀리그람 중 0.08 밀리그람 이상
ㄹ. 붕해 : 대한약전 일반시험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모두 붕해되었다.
ㅁ. 중금속 : 30 ppm 이하
실험예 2 (안정성시험)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심혈관 장애 치료제에 대하여 실험예 1에 기재된 항목에 대하여 3롯트 (910106, 910111, 910128)의 시험을 실시한 결과, 48개월 이상 제제의 안정성이 보장되었다. 특히 용뇌 중 보르네올의 함량시험결과 장기보존시험에서 모두 기준내에 합격품인 것을 확인하였다.
(표 3)
The content of Borneol
표준품 검체 함량() 평균()
취한량(mg/ml) 피크면적 검체번호 취한량 피크면적
0.12 9385358 910106 ABC 10환(250mg) 619435912859127 0.660.630.63 0.64
910111 ABC 10환(250mg) 628825818961943 0.670.620.66 0.65
910128 ABC 10환(250mg) 572515912958188 0.610.630.62 0.62
0.63
실험예 3 (임상)
협심증(Angina pectoris)과 관상동맥경화증(Coronary artherosclerosis)에대한 임상시험을 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품의 협심증 치료에 대한 임상시험]
1. 서론
협심증(Angina pectoris)은 심근의 혈류장애, 즉 허혈(ischemia)로 일어나는 질병의 특징적인 흉부의 극심한 통증을 뜻하며, 이 통증은 가끔 왼쪽 어??와 왼쪽팔로 퍼진다. 이 흉부통증은 혈액공급이 부족한 상태에서 심근이 수축함으로써 일어나는 것으로 동맥 외막의 구심성(affect) 통각신경 말단의 자극에 의하거나 혹은 근육내에 어떤 화학적 물질이 유리되므로 일어나는 것으로, 통증발작의 기본기전은 심근의 산소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에서 오는 증상으로 관상혈관의 동맥경화증 (죽상동맥경화증)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궁극적으로 산소공급이 심근의 산소수요량에 부응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협심증은 우리나라에서 성인 심장병질환의 2차적인 합병증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며, 그 수는 1985년 이후부터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1990년 이후 협심증 환자수는 300,000여명을 넘어서고 있다. 대표적인 협심증 치료약물로는 혈관평활근을 이완시키는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 설하정, 아드레날린 β-수용체 길항약 혹은 혈압강하제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 계혈관확장제의 경우 체위성 저혈압(postural hypotention)과 두통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며, 아드레날린 β-수용체 길항약의 경우 급격한 심장억제, 심장 부전 및 심박정지 등을 유발 또는 악화시키며, 장기간 사용하다가 갑자기 투여를 중지하였을 때 협심증이 악화되고급사(sudden death)의 위험이 있어서 협심증 치료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연구자들은 협심증에 새로운 치료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문헌을 조사한 결과 단삼, 삼칠 등 생약제에서 유효 약효성분을 추출하여 본 발명품을 만들어 그 효과를 연구하였다.
2. 대상 및 방법
1) 대상: OO, △△, ××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2년 이상 협심증세를 앓고 있고 시험적 임상치료에 동의한 남, 녀 1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 4)
(표 4)
실험에 임한 환자의 년령 및 성 분포
Groups A Case Percentage() χ 2(a)
(yrs, X=SD) M F Tltal M F
I (29) (20) (49) (59.2) (40.8) 0.085p>0.05
A 61.1±7.5 20 13 33 60.6 39.4
B 61.9±7.0 9 7 16 56.1 43.8
II (38) (22) (60) (63.3) (36.7) 0.036p>0.05
A 61.5±11.0 25 15 40 62.5 11.8
B 58.0±7.3 13 7 20 65.0 14.3
III (42) (6) (48) (87.5) (12.5) 0.058p>0.05
A 62.2±12.9 30 4 34 88.2 11.8
B 67.6±3.2 12 2 14 85.7 14.3
Total (109) (48) (157) (69.4) (30.6) 0.070
A 61.6 75 32 107 70.1 29.9
B 61.9 34 16 50 68.0 32.0
(a): Statistical sinificance betweem M and F
(2) 연령: 환자의 평균연령은 61세 (37-77세)였다.
2) 시험방법: 임상시험참여자들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A, B 두 그룹으로 나누어 A 그룹에는 본 제제를 1일 3회 10환씩, B 그룹에는 Placebo(위약)을 각 4주간복용시킨 다음, 아래의 검사를 실시하여 두 그룹의 협심증에 대한 치료효과를 비교하였다.
(1) 객관적 검사
가) Treadmill Echocardiogram examination: 약물복용 후의 ST-segment, T wave, heart rhythem등을 Autonomic cardiac function recorder에 의하여 평가한다.
나) 혈중 지질농도 비교: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이용하여 약물복용후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TC)와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TG)를 비교관찰한다.
(2) 주관적 평가:
1일 3회, 1개월간 약물복용후 자각적인 협심증 개선증세를 병원에 내한하여 CRF (Case Report Form)에 의하여 전문 의사와 면담, 조사한다.
치료효과 측정 지표는 피험자의 협심증세 발작 빈도수와 이소솔바이드 디나이트레이트(Isosorbide Dinitrate) 복용횟수를 평가한 CRF 질문 3번과 4번에 대한 응답이었다.
3) 통계처리: Chi-square test, χ2test, Self-control t-test로 검정했다.
3. 시험결과
(1) 객관적 검사
가) 4단계로 구분하여 실시한 Treadmill Echocardiogram examination 결과는표 5와 같으며, 약물 투여 후의 ECG상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약물을 투여한 A그룹의 ECG상의 개선효과는 68.16 로, B그룹의 개선효과 5.2 보다 협심증에 뛰어난 치료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5)
Results of the therapeutic effects on ECG
Group Degree of response (case) Percentage () χ 2
Veryhigh High No Total Veryhigh High Veryhigh High
I (7) (12) (18) (41) (25.0) (47.2) 0.361 0.811
A 7 11 10 28 25 53.6
B 0 1 8 9 0 6.25
II (12) (19) (27) (60) (30.0) (48.3) 0.960 0.133
A 12 12 16 40 30.0 50.0
B 0 2 18 20 0 5
III (11) (4) (21) (37) (40.7) (30.8) 0.000 0.009
A 11 3 13 27 40.7 55.2
B 0 1 9 10 0 10.0
Total (30) (38) (85) (138) (28.16) (38.4) 0.976 0.328
A 30 26 39 95 28.16 40.0
B 0 4 35 43 0 8
A: The invention
B : Placebo
나) 본 제제약물 투여 전, 후의 혈중 지질 농도 변화는 하기 표 6과 같으며, 약물 투여 전, 후의 총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를 비교한 결과, 약물투여 전에는 콜레스테롤 농도와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가 각각 평균 5.15±0.16 mmol/l와 1.80±0.10 mmol/l였으나, 본 발명의 약물 투여 후 각각 평균 4.84±0.20 mmol/l와 1.69±0.21 mmol/l로, 총콜레스테롤은 0.31 mmol/l (t=2.521, p<0.05)과트리글리세라이드는 0.11 mmol/l (t=1.300, p>0.05)로 크게 감소되어 본 제제는 협심증 치료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표 6)
Comparison of blood-lipid levels pre-and post-treatment (X±SD)
Hospital Cased assyed Cholesterol(mmol/l) Triglyceride (mmol/l)
Pre- Post- t-vaule Pre- Post- t-vaule
I 27 5.19±0.17 5.09±0.94 0.669 1.68±0.16 1.43±0.09 2.269*
II 25 5.05±0.29 4.13±0.17 4.660** 1.86±0.17 1.82±0.16 0.357
III 28 5.21±0.35 5.24±0.51 0.101 1.85±0.20 1.84±0.23 0.101
Total 80 5.15±0.16 4.84±0.20 2.521* 1.80±0.10 1.69±0.21 1.300
(2) 주관적 평가:
표 7-1에 본 발명 약물 복용 이후에 협심증세 발작 빈도 수에 대한 CRF 질문 3번 및 이소솔바이드 디나이트레이트(Isosorbide Dinitrate) 복용 횟수에 대한 CRF질문 4번에 응답한 피험자의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약물투여 후의 주관적 개선증세 변화 결과는 표 7-2와 같다. 약물투여 후의 주관적 개선 증세변화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약물을 투여한 A그룹에서는 전체적으로 본 발명 약물이 매우 효과적이었다고 생각한 피험자의 비율은 35.5 , 효과적이었다고 생각한 피험자의 비율은 59.8 로, 총 효율이 95.3 로 나타난 반면, B그룹에서 나타난 효과는 14.0 에 그쳐 본 발명의 협심증 치료에 대한 뛰어난 효과가 입증되었다.
(표 7-1)
CRF 질문 3, 4에 대한 평가결과
Placebogroup Treatmentgroup p
How much reduced the frequency of attack of angina pectoris? 80 8.0 35.5 P<0.05
50% 17.0 59.8
<50 75.0 4.7
How much reduced the consumption of Isosorbide Dinitrate? 80 8.0 35.5 P<0.05
50% 17.0 59.8
<50 75.0 4.7
(표 7-2)
본 발명품과 대조약 사이에 임상치료효과의 비교
Group Degree of response(case) Percentage() χ 2
Veryhigh High No Total Veryhigh High Veryhigh High
I (13) (22) (17) (49) (39.4) (38.2) 3.669 5.676*p=0.0338
A 13 19 1 33 39.4 57.6
B 0 3 13 16 0 18.8
II (15) (27) (17) (60) (37.5) (37.5) 1.887 5.208*
A 15 24 1 40 37.5 60.0
B 0 3 17 20 0 15.0
III (10) (22) (16) (48) (29.4) (34.5) 0.003 1.441
A 10 21 3 34 29.4 61.8
B 0 1 13 14 0 7.1
Total (38) (71) (48) (157) (35.5) (36.9) 3.863* 13.164**
A 38 64 5 107 35.5 59.8
B 0 7 43 50 0 14.0
A: The invention
B : Placebo
[ 본 발명품의 관상동맥경화증 치료에 대한 임상시험 ]
1. 서론
관상동맥경화증(Coronary arteriosclerosis)은 심장의 관상동맥 내벽에 회백색의 두드러진 죽상반(arteriomatous plaques)이라고 하는 지질침전물이 혈관내벽에 끼어 혈관내벽이 두꺼워지고 딱딱해져서 탄력성이 없어진 상태를 말하며, 이로 인하여 혈관내공이 좁아져서 혈액이 지나가는데 장애를 가져와 심장마비 또는 뇌졸중을 일으키고 동맥경화증에 의한 이차적인 부작용으로 협심증, 심근경색등을 일으킨다. 1990년 이후 관상동맥경화증 환자수는 500,000명을 넘었으며, 최근연구에 의하면 관상동맥경화증 환자중 남성의 1/2이상, 여성의 1/3 이상이 40대 후반에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져 성인 사망의 주된 원인으로 그 심각성이 인식되고 있다. 대표적인 관상동맥경화증 치료약물로는 HMG CoA reductase(콜레스테롤 생합성 속도조절효소)억제제인 Lovastatin과 담즙산 제거수지(Cholestyramineresin 또는 Colestipol)이 사용되고 있으나 HMG CoA reductase 경우 소화기 장애, 두통, 피부발진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며, 담즙산 제거수지의 경우 과염소산성혈증 (hyperchloremic acidosis), 저트롬빈혈증(hypoprothrombinemia), 지방설사 (steatorrhea)로 지용성 비타민 결핍증세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임산부나 지질대사가 결핍되어 있는 노인의 관상동맥경화증 치료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연구자들은 관상동맥경화증에 새로운 치료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문헌을 조사한 결과 단삼, 삼칠 등 생약제제에서 유효한 약효성분을 특별한 제조방법으로 추출하여 본 발명을 만들어 그 효과를 연구하였다.
2. 대상 및 방법
1) 대상: OO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2년 이상 지속적으로 관상동맥경화증 (Coronary arteriosclerosis)을 앓고 있는 환자 중 시험적 임상치료에 동의한 남녀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연령: 환자의 평균연령은 62세 (36-77)로 고혈압을 앓고 있는 사람이 6명, 심근경색을 앓고 있는 사람이 12명, 당뇨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3명이었다.
3) 시험방법: 임상시험참여자들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A, B 두 그룹으로 나누어, A 그룹에는 본 발명 약물을 1일 3회 10환씩, B그룹에는 Placebo(위약)을 각 4주간 복용시키고 이때 비타민 제제를 제외한 어떤 다른 약물의 복용을 금지시킨 다음, 아래의 검사를 실시하여 두 그룹의 관상동맥경화증에 대한 치료효과를 비교하였다.
(1) 객관적 검사
가) Treadmill Echocardiogram examination: 약물복용 후의 ST-segment, T wave, heart rhythem등을 Autonomic cardiac function recorder에 의하여 평가한다.
나) 혈압과 혈중 지질농도 비교: Cardiograph을 이용하여 심박동수를 측정하고,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이용하여 약물복용후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TC)와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TG)를 비교관찰한다.
(2) 주관적 평가:
1일 3회, 1개월간 약물복용후 자각적인 관상동맥경화증 개선증세를 병원을 내한하여 CRF (Case Report Form)에 의하여 전문 의사와 면담, 조사한다.
치료효과 측정 지표는 피험자의 관상동맥경화증 발작 빈도수와 이소솔바이드 디나이트레이트(Isosorbide Dinitrate) 복용횟수를 평가한 CRF 질문 3번과 4번에 대한 응답이었다.
3) 통계처리: Chi-square test, χ2test, Self-control t-test로 검정했다.
3. 시험결과
(1) 객관적 검사
가) 4단계로 구분하여 실시한 Treadmill Echocardiogram examination 결과는 표 8과 같으며, 약물 투여 후의 ECG상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약물을 투여한 A그룹의 ECG상의 개선효과는 88.2 ,로 B그룹의 개선효과 14.3 보다 관상동맥경화증에 뛰어난 치료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8)
Comparison of effects of ACP and Placebo on ECG improvement
Groups Number of case Marked effect Effect No effect Total effect
Ivention 34 5(14.7) 25(73.5) 4(11.7) 88.2
Placebo 14 2(14.3) 12(85.7) 14.3
나) 본 제제약물 투여 전, 후의 심박동수와 혈중 지질 농도 변화는 표 9와 같으며, 약물 투여후의 심박동수, 총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를 비교한 결과, 본 제제약물을 투여한 A그룹이 B그룹에 비하여 심박동수는 평균 25.8 beats/min, 총 콜레스테롤은 55.3 mmol/l, 트리글리세라이드는 57.5 mmol/l로 크게감소되어 관상동맥경화증 치료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표 9)
본 발명의 약제와 위약의 심박동수 및 혈줄지질에 대한 효과
Indices Treatment status Group
Invention Placebo
Heart rate(beats/min) Pre-Post- 84.3±23.171.8±22.8 68.6±14.568.3±13.2
Cholesterol(mg/cl) Pre-Post- 185.8±48.1173.3±40.3 178.9±34.7177.7±41.5
Triglycerin(mg/cl) Pre-Post- 151.8±94.3139.9±83.7 153.6±74.7151.1±64.2
(2) 주관적 평가:
표 10-1에 본 발명 약물 복용 이후에 관상동맥경화증 발작 빈도 수에 대한 CRF 질문 3번 및 이소솔바이드 디나이트레이트(Isosorbide Dinitrate) 복용 횟수에 대한 CRF 질문 4번에 응답한 피험자의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약물 투여 후의 주관적 개선증세 변화 결과는 표 10-2와 같다. 약물 투여 후의 주관적 개선 증세변화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약물을 투여한 A그룹에서 본 발명 약물이 매우 효과적이었다고 생각한 피험자의 비율은 약 29.4 , 효과적이었다고 생각한 피험자의 비율은 61.8 로 총효율이 91.2 로 나타난 반면, B그룹에서 나타난 효과는 21.4 에 그쳐 본 발명이 관상동맥경화증 치료에 뛰어난 치료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표 10-1)
CRF 질문 3, 4에 대한 평가결과
PlaceboGroup TreatmentGroup p
How much reduced the frequency of attack of coronary artheriosclerosis? 80 7.6 29.4 p<0.04
50% 13.2 61.8
<50 79.5 8.8
How much reduced the consumption of Isosorbide Dinitrate? 80 7.6 29.4 p>0.01
50% 13.2 61.8
<50 79.5 8.8
(표 10-2)
Comparison of effects on coronary heart disease
Groups Number of case Marked effect Effect No effect Total effect
Invetnion 34 10(29.4) 21(61.8) 3(8.8) 91.2
Placebo 14 0(0) 3(21.4) 11(78.6) 21.4
* 전형병례 1
임XX씨, 남, 68세
4주동안 왼쪽 가슴에 적체된 고통을 호소하여 1996년 1월 3일에 병원에 내원하여 전문적인 치료를 시작하였다. 이 환자는 왼쪽 가슴에 적체된 압통이 있는데 밤이 되면 더 심해지고, 심장병 치료약물에 대한 과민반응이 있어 약물치료가 불가능한 상태였고, 심계항진 증세와 불면증을 동반하였다. 서양의학적 진단에 의하면 협심증을 동반한 관상동맥성 심장병이었으며, 한방전통의학적 진단에 의하면 심장에 혈액이 적체된 상태였다. 본 발명품을 1일 3회, 10환씩 2주간 지속적으로 복용시켰다. 1996년 2월 2일 병원에 다시 내원했을 때 환자는 경미한 가슴 압통이 남아있었으나 불규칙적이던 맥박이 정상으로 회복되었고, ECG의 모든 관측지표들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 전형병례 2.
조XX씨. 남, 76세
6개월 이상 가쁜 호흡 때문에 질식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고, 바늘로 찌르는 듯한 가슴부위의 통증을 가지고 있었는데, 1996년 2월 14일에 전문적인 검사를 실시한 결과 서양의학적 진단에 의하면 협심증을 동반한 관상동맥성 심장병이었으며, 한방전통의학적 진단에 의하면 끈끈한 객담적체와 기와 혈이 적체된 상태였다. 본 발명품을 1일 3회, 10환씩 2주간 지속적으로 복용시키면서 기관지 및 천식치료제도 함께 병용 투여하였다. 1996년 3월 6일에 병원을 다시 내원하였을 때 가슴통증과 가쁜 호흡이 사라졌으나, 끈적한 객담은 남아있었고, ECG의 모든 관측지표들이 정상에 가깝게 회복되었으나, 부분적으로 결절맥이 나타났다.
* 전형병레 3
기XX씨. 여, 56세
2년간 질식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심각한 가슴통증과 가쁜 호흡으로 고생하고 있었고 최근 4주내에 이러한 증세가 심각해져 1996년 5월 4일 병원을 내원하였다. 환자는 가슴을 관통하여 등위까지 연결되는 듯한 심한 압통과 심계항진, 가쁜 호흡증세를 보였으며, 식은땀을 흘리며, 사지와 몸이 시리고 요통증세를 호소하였다. 서양의학적 진단으로는 관상동맥성 심장병으로 진단하였으며, 전통한방의학이론에 입각한 진단으로는 양기부족과 기-혈 적체로 진단하였다. 본 발명품을 1일 3회, 10환씩 4주간 복용시켰다. 1996년 6월 20일 다시 병원을 내원하였을 때, 이 환자는 ECG의 관측 지표들이 정상으로 회복되었고, 본 발명품 복용 전 부터 가지고 있던 모든 증세가 사라졌다.
실험예 4(급성독성)
1. 본 발명품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경구독성시험
본 발명품(제제예1)은 적갈색 구슬모양의 생약환제로써 심혈관 질환 치료목적으로 제조된 물질이다. 본 시험물질을 마우스에 1회 경구투여한 후, 7일간 관찰하였을 때 나타나는 급성독성을 보사부 고시 제1994-46호('94. 9. 22) 의약품 등의 안전성 유효성 심사에 관한 규정중 복합제의 제제별 독성 시헙방법 및 국립보건안전연구원 고시 제94-3호('94. 4. 14)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에 따라 급성경구독성시험을 실시하여 본 발명품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1) 시험방법:
가. 군분리 및 투여용량의 설정
순화기간중 건강하다고 판정된 Kunming-strain계 마우스에 대하여 체중을 측정하여, 18-22 g의 암수 마우스를 선택하여 무작위법을 이용, 군분리를 실시하였다. 마우스 개체식별은 피모색소표시법 및 사육상자별 tag표시법을 이용하고 각 군당 최소 10마리 이상으로 한다.
투여용량의 설정은 예비시험결과 및 시험물질의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실험실적으로 투여 가능한 최대 경구투여용량군 16.8 g/kg, 최대피하투여용량군 8.4 g/kg을 투여한다.
나. 시험물질의 조제 및 투여
본 발명품을 투여직전 증류수에 경구투여용량군 0.336 g/ml, 피하투여용량군 0.168 g/ml 농도로 용시조제하여 사용한다. 투여직전에 측정한 체중에 따라서 시험물질의 투여량을 산출하여 마우스에 1회 경구투여하였다.
다. 임상증상관찰
모든 시험동물에 대한 임상증상은 투여당일에는 투여후 6시간 동안 매 시간마다, 투여 1일부터 7일까지는 1일 1회씩 건강상태와 치사상태를 관찰한다.
라. 체중측정
시험에 사용된 모든 시험동물에 대하여 시험물질 투여당일(0일), 투여후 1일, 3일, 5일, 7일째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마. 부검
시험종료후 동물을 CO2로 가볍게 마취시키고 설하동맥 및 복대동맥 절단방법으로 치사시킨 다음 외관 및 내부장기 이상유무룰 육안적으로 상세히 관찰하였으며, 부검 직전 체중을 측정하였다.
2) 시험결과 및 고찰
가. LD50치와 임상증상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투여용량군에서 사망개체는 없었고, 투여 후 1일째 약간의 마우스에서 활동력이 감소되고 움직임이 느린 증세가 관찰되었으나 24시간 이후 모두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LD50치는 암수 모두 경구투여군 16.8 g/kg, 피하투여군 8.4 g/kg 이상으로 추정된다.(표 11 참조)
(표 11)
마우스에서의 급성독성실험결과(n=10)
Experiments Route Dosage (g/kg) Dosage (g/kg) Survival rate7days later LD 50 (g/kg)
1 po 16.8 50 10/10 16.8*
sc 8.4 50 10/10 8.4**
2 po 16.8 50 10/10 16.8*
sc 8.4 50 10/10 8.4**
*THe amount was 700 times more than the clinical dosage in patients
**The amount was 350 times more than the clinical dosage in patients
나. 체중변화
모든 투여용량군에서 유의성 있는 체중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다. 육안적 해부소견
대조군과 모든 투여용량군에서 사망개체는 없었으며 생존개체에서도 별다른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마우스에 있어서 본 발명품을 경구투여용량군 16.8 g/kg, 피하투여용량군 8.4 g/kg등 2개의 투여군과 증류수를 대조물질로 하여 1회 경구투여한 급성독성 시험결과 임상증상, 체중변화 및 육안적 해부소견등에서 시험물질에 기이한 특이한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LD50치는 암수 모두 경구투여용량군 16.8 g/kg 이상, 피하투여용량군 8.4 g/kg 이상이었다.
3) 결론
시험물질인 본 발명품을 Kunming-strain계 마우스에 경구투여용량군 16.8 g/kg, 피하투여용량군 8.4 g/kg등 2개 투여용량군 및 증류수 투여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1회 경구투여한 후 7일간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시험조건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을 포함한 투여용량군 모두에서 사망개체는 없었고, 별다른 임상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2. 대조군과 비교하여 투여용량군 모두에서 유의성 있는 체중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3. 대조군과 모든 투여용량군에서 사망개체는 없었으며, 생존개체에서도 별다른 육안적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품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경구독성시험에서 임상증상, 체중변화, 부검소견에 있어서는 시험물질에 기이한 특이한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았고, LD50치는 암수모두 경구투여용량군 16.8 g/kg, 피하투여용량군 8.4 g/lkg이상인 것으로 보아 본 시험조건에서는 저독성인 것으로 추정된다.
상기의 실험예 1, 2, 3 및 4로 미루어보아, 본 발명에 따른 심혈관 질환 치료제는 제제면에서 안정성이 뛰어나고, 독성이 없이 안전하며 효과면에서도 협심증, 관상동맥경화증, 심근경색, 과지질혈증, 뇌순환장애로 인한 현기증 및 기억력 감퇴등의 심혈관 질환에 대한 치료효과가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업적으로 매우 우수한 발명으로, 본 발명의 심혈관 질환 치료제는 주목될 만하다.

Claims (3)

  1. 단삼 60∼80 중량, 삼칠 10∼20 중량, 용뇌 0.5∼1.0 중량,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10∼20 중량의 비율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비가 단삼 70 중량, 삼칠 13.7 중량, 용뇌 0.8 중량,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15.5 중량의 비율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조성물.
  3. 전처리된 단삼 60∼80 중량, 삼칠 10∼20 중량의 배합비율로 혼합하고, 물로 추출,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진공농축한 다음, 여기에 용뇌 0.5∼1.0 중량와 붕해촉진제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10∼20 중량를 혼합하여 균질화시킨 후, 그 액을 적환기(dropping machine)에 넣고 지름 약 2 mm 크기의 환제로 제제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제조방법.
KR1019990034156A 1999-08-18 1999-08-18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조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41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156A KR100341368B1 (ko) 1999-08-18 1999-08-18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조성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156A KR100341368B1 (ko) 1999-08-18 1999-08-18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조성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271A KR20010018271A (ko) 2001-03-05
KR100341368B1 true KR100341368B1 (ko) 2002-06-21

Family

ID=1960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156A KR100341368B1 (ko) 1999-08-18 1999-08-18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조성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3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3796A1 (en) * 2005-10-11 2007-04-19 Digital Biotech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the fraction of salviae miltiorrhizae radix for treating or preventing cognitive dysfunction and use thereof
KR100767238B1 (ko) * 2005-04-25 2007-10-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삼 추출물 및 분획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27230B1 (ko) * 2002-07-31 2011-04-06 티안진 태슬리 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차이나 심장병용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416B1 (ko) * 2000-11-14 2003-03-04 노용일 고지혈증 및 협심증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US20070059358A1 (en) * 2003-07-02 2007-03-15 Tianjin Tasly Pharmaceutical Co., Ltd., China Matrix adjuvants and the drop pills prepared with them
US20050037094A1 (en) 2003-07-31 2005-02-17 Xijun Yan Composition for heart disease, its active ingredients, method to prepare same and uses thereof
CN106265953A (zh) * 2016-09-26 2017-01-04 四川聚豪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冠心病心绞痛的蜜丸剂药物及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230B1 (ko) * 2002-07-31 2011-04-06 티안진 태슬리 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차이나 심장병용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KR100767238B1 (ko) * 2005-04-25 2007-10-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삼 추출물 및 분획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7043796A1 (en) * 2005-10-11 2007-04-19 Digital Biotech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the fraction of salviae miltiorrhizae radix for treating or preventing cognitive dysfunction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271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38765T3 (es) Composición a base de plantas para el control del peso
KR100341368B1 (ko)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조성 및 그의 제조방법
AU2005291420B2 (en) Use of lavender oil for the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neuro asthenia, somatization disorders and other diseases associated with stress
Dewanjee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clinically proven natural products in the management of nerve pain, with mechanistic insights
KR101160088B1 (ko) 알코올성 지방간과 고지혈증 억제 및 숙취 억제 조성물
Al Dhamen et al. Clinical uses and toxicity of Ephedra sinica: an evidence-based comprehensive retrospective review (2004-2017)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30143289A1 (en) Herbal composition PHY828 and its use
JP7435442B2 (ja) 血管内皮機能改善用又は末梢血管の血流改善用組成物
CN112089784A (zh) 中药组合物在制备预防、治疗动脉粥样硬化所致疾病的药物中的应用
CN105194352B (zh) 一种改善学习记忆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292607A (zh) 治疗高血压病并发左心室肥厚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JP2008069114A (ja) ラフマ抽出成分を含有する毛細血管循環改善剤
CN116999486B (zh) 一种治疗缺血性中风恢复期的壮药复方药物及其制备方法
CN103768114B (zh) 一种药物组合物在制备治疗或预防脑卒中的药物中的应用
Akram et al. Herbal Treatmant Of Chest Pain
KR100814634B1 (ko) 호두 및 연자육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스트레스 해소용 조성물
US20240041966A1 (en) A nutraceuticals formulation for hypertension with enhanced organoleptic properties
CN105641461A (zh) 一种治疗气郁化火型甲亢合并自律性交界性心动过速的中药组合物
CN105920150A (zh) 一种治疗功能性子宫出血的口服液及其制备方法
Dharmananda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WITH CHINESE HERBS
Gauthaman et al. Ischemic heart disease
CN116801866A (zh) α-细辛脑在制备预防或治疗出血性脑卒中药物中的应用
CN118021918A (zh) 防治血瘀证的精油组合物及其用途
Golmohammadzadeh Investigation impacts of Aloe Vera medicinal products on cancer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