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894B1 -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894B1
KR100327894B1 KR1019990035427A KR19990035427A KR100327894B1 KR 100327894 B1 KR100327894 B1 KR 100327894B1 KR 1019990035427 A KR1019990035427 A KR 1019990035427A KR 19990035427 A KR19990035427 A KR 19990035427A KR 100327894 B1 KR100327894 B1 KR 100327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pertension
extract
cholesterol
blood pressure
samch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147A (ko
Inventor
한영복
김상건
양재하
안희열
홍은경
정영신
Original Assignee
한영복
(주) 메드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복, (주) 메드빌 filed Critical 한영복
Priority to KR1019990035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894B1/ko
Priority to PCT/KR2000/000970 priority patent/WO2001013931A1/ko
Publication of KR2001001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Abstract

본 발명은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압 강하 및 유지가 가능한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혈압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혈압 환자에 대하여 혈압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정상혈압을 유지하게 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약물의 내성도 생기지 않을 뿐 아니라, 또한 장기간 사용해도 활성효과가 지속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또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동맥경화를 포함한 심장 및 혈관 질환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HYPERTENSION-TREATMENT AND COLESTEAROL-DEPRESSANT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FROM MIXTURE OF PANAX NOTOGINSENG AND SALVIA MILTIORRHIZA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압 강하 및 유지가 가능한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심장 및 혈관계의 질환은 현대인의 중요한 사망원인 중의 하나이며 뇌출혈, 뇌 혈전, 심부전, 심근 경색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들 질환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이다. 고혈압의 치료 목표는 고혈압에 의한 뇌, 심장, 신장, 간장 등의 합병증을 막아 평균수명까지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치료를 위한 약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다음은 혈압 및 고혈압에 대하여 설명한다. 혈압이란 맥관 속을 흐르는 혈류의 압력 즉 동맥압을 말한다. 따라서 고혈압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혈관 내벽에 미치는 저항이 증가되어 최대혈압(수축기 혈압 또는 최고 혈압)이 150∼160 mmHg이상, 최저혈압(확장기 혈압 또는 최저 혈압)이 90 mmHg 이상인 경우이다. 전자는 수축기성 고혈압, 후자는 확장기성 고혈압이라고 한다. 이 양자가 따로 오는 경우도 있으나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발병하는 시기는 30 대에서 나타나기도 하지만 갱년기 전후가 가장 많고, 여성보다는 남성이 많다.
고혈압은 발병 원인에 따라 본태성 고혈압과 증후성 고혈압으로 나뉘는데, 본태성 고혈압은 원인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인 소인이 강하고 비대한 사람에게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서도 많이 나타난다. 이 본태성 고혈압은 동맥 경화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동맥경화가 원인이라기 보다는 고혈압의 결과로 동맥경화가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혈압이 초기에는 불안정하게 오르내리다가 동맥이 경화되면 높은 수준으로 혈압이 유지된다고 생각된다.
증후성 고혈압은 다른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서 신질환 특히 급성 신염, 임신 중독증, 갱년기 장애 등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가 많다.
고혈압 발병 초기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혈압 측정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고혈압이 진행되면 두통, 불안, 피로, 현기증, 심계항진, 흥분, 및 변비 등의 자각 증상이 있고 혈압의 변동이 많다. 질병이 오래되면, 좌심실의 비대확장, 관상동맥장해, 심부전이 진행되어 울혈성 심부전이나 심근경색으로 사망하거나 신장동맥의 변화를 초래하여 신경화증을 일으킴으로써 다뇨, 야간다뇨, 단백뇨 등 신부전 증상을 나타내면, 뇨독증으로 사망한다. 그밖에 안저의 동맥경화, 동맥류 등의 합병증이 나타난다
고혈압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교감신경 기능의 항진, 호르몬 분비 이상, 신장동맥의 이상 등에 의해 일어난다. 즉 자연발증 고혈압은 적어도 3 가지 이상의 유전자가 관여하는데, 여기에 식염의 과다 섭취나 스트레스 등의 환경인자가 작용하여 고혈압을 일으킨다. 발병 초기에는 신경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혈관의 대사 및 구조 이상 등의 요인에 의해 발전한다. 고혈압이 지속되면 동맥의 수축이 고정되고 혈장의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이 감소하며 심혈관계의 콜라겐(collagen) 및 비콜라겐 대사가 항진되어 고혈압이 고정된다. 높아진 혈관의 압력을 지탱하기 위한 혈관 내층의 변화는 심장 및 신장으로 향하는 혈액 흐름에 영향을 주어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증 등의 순환기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고혈압에 대한 의학적인 관심과 함께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약 40 년전부터 여러가지 치료제가 개발되었으나, 계속적인 투약으로 인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어, 아직도 만족할 만한 고혈압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고혈압 치료시에는 약용기전이 서로 다른 2 종 또는 3 종류의 혈압 강하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되었다. 예를 들면 먼저 혈압 강하효과를 가진 약물을 사용하는 동시에 그에 따른 부작용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강압기전이 서로 다른 약물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혈압강하 약물들의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이뇨제계 고혈압약은 저칼슘혈증, 고뇨산증, 고혈당, 고지혈증, 성기능장해, 고칼륨혈증 등을 유발하고, 교감신경차단계 혈압강하제는 성기능 장해, 갈증, 우울증, 기립성 저혈압, 서맥, 천식, 심부전 등이 나타난다.
혈관 확장계 혈압 강하약은, 빈맥, 협심증, 무력감, 다뇨, 홍조, 두통, 서맥 등이 나타난다.
또한 안지오텐신 II 저해제는 급속한 신기능저하, 뇨독증, 심부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며, 5-HT 수용체 차단제는 두통, 입마름, 오심, 현기증, 발진, 소양감, 미각이상, 발열, 백혈구 감소, 신부전증, 관절통 등을 유발한다.
최근 개발된 Ca+ 길항제는 유효성이 거의 확립되었으나 심근수축 작용에 의한 심기능 억제 등의 부작용이 있고, 또한 인슐린 분비기구에 이 Ca2+가 관여되어 인슐린 분비장애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많은 고혈압 치료제들은 위와 같은 부작용을 감수하면서도 사용해야 되는 심각한 현실적 고통이 따른다. 또한 혈압조절에 있어서 어느 한쪽을 억제하면 다른쪽이 항진되어 고혈압의 새로운 불균형이 일어난다. 예를 들면 이뇨제 계통의 혈압강하제를 투여하면 물이나 나트륨인자가 저하되고, 레닌 안지오텐신계는 항진하게 된다.
혈압은 서로 상반되는 요인에 의해 길항적으로 유지되고 있지만, 고혈압 치료를 위하여 혈압강하제를 투여해도 실제 그의 효과는 불충분하며, 내성이 생기면 어느 한 쪽의 길항인자가 항진된다. 따라서 혈압강하제를 병용할 때는 기전이 다른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고혈압 치료제는 표적 장기의 장해를 예방하고 혈압을 조절함으로써 조직이나 장기의 혈류를 개선하며, 약물을 계속 복용하더라도 혈압이 정상범위 내에 있으면서, 독성이나 부작용이 거의 없어야 한다.
한편, 약용식물 중의 하나인 오갈피나무과의 삼칠근은 "Araliaceae"에 속하는 파낙스 노토진셍 NEES(Panax notoginseng NEES)으로 다년생 초본이다. 삼칠근에는 사포닌 배당체가 약 4 % (Ginsenoside Ro, a, b1, b2, c, d, e, f, g1, g2, h) 함유되어 있으며,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o의 아글리콘은 올레아놀산(Oeanolic acid)이고,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b1, b2, c, d의 아글리콘은 20-s-프로토파낙사디올(20-S-protopanaxadiol), 진세노사이드(Gnsenoside)Re, g1, g2의 아글리콘은 20-s-프로토파낙스트리올(20-s-protopanaxtriol)이다. 그밖에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β-시스토스테릴-글루코시드(β-sitosteryl-glucoside), 파낙시놀[1,9-(시스)헵타데카디엔-4,6-디엔-3-올(panaxynol [1,9-(cis)heptadecadiene-4,6-dyen-3-ol]), 비타민 B(vitamin B)군, 콜린(choline) 등 외에도 단당류 약 1.5 %, 2 당류, 3 당류들도 함유되어 있다. 이들 성분 중에서 배당체가 동물에 대하여 혈당 저하작용이 있다고 보고된 것 외에는 아직 약효성분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삼칠근은 지혈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토혈이나 코피가 날 때 사용하기도 하며 중추신경에 작용하여 뇌의 기능을 촉진한다. 또한 혈압강하, 심장박동 이완 및 관상 동맥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보이며, 혈중 지질 용해 작용을 나타내고 면역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약용식물로서 자소과 식물(Labiatae)의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은 중국 동북 산야에서 자생 또는 재배되는 다년생 초본이다. 단삼에는 페난트라퀴논(phenanthraquinone)계 색소: 탄시논(tanshinone) I 자갈색 (I), 탄시닌(tanshinine) II 적색 (II), 크립토탄시논(cryptotanshinone) 둥색 (III), 그밖에 탄시놀(tanshinol) I, II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성분들의 약리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 없고, 단삼의 수침액은 각종 피부진균에 대하여 약간의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방에서 월경불순, 월경통, 폐경기 또는 산후복통에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페난트라퀴논(phenanthraquinone)계 색소물질들이 화학 구조적으로 내분비계에 관여할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응혈인자(clotting factors)로 인한 혈액순환 장해의 개선에도 관련이 있다.
한편, 중국특허 제1097133-A호에 천마(gastrodia tuber), 일반 인삼, 삼칠근 및 호박으로부터 제조되는 고혈압 치료용 중국 약제가 알려져 있고, 중국특허 제1099995-A호에 천연 벌꿀, 돼지 쓸개, 멍 콩 풀(mung bean starch), 사프란(saffron), 삼칠근 및 가루화된 천마(gastrodia tuber)로부터 제조되는 고혈압 치료용 중국 약제로 알약 및 연고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들은 100 % 고혈압 치료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유효성분만을 추출한 약제가 아닌 일종의 전통적인 혼합제제로서 주사약 제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없고, 유효성분의 일일 투여량을 확인할 수 없으며, 그 효능도 투입되는 약초 및 제제가 재배 또는 사육되는 지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부작용도 확인할 수 없어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약제가 아닌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특허 공개공보 평1-268682호에는 중국 약제로 고혈압에 효능이 있다라고 기재된 담삼의 뿌리 추출액을 다공성 겔 담체를 사용하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제조되는 리소스펠민산 및 그의 의약상 허용되는 염, 즉, 마그네슘, 칼륨, 암모니움 및 칼슘염 등의 염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기능 개선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는 고혈압 치료의 효과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삼칠근과 단삼의 2 종 식물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새로운 추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물 추출물로 현저한 혈압강하 기능을 나타내지만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혈압조절에 관여하는 인자를 조절하여 혈압을 정상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혈압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비교예 3, 비교예 4 및 실시예 8의 결과로서, 삼칠근과 단삼 각각의 추출물 및 혼합 추출물의 1 회 경구투여에 의한 수축기 혈압 강하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9의 결과로서,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의 1 회 경구투여에 의한 수축기 혈압 강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9의 결과로서,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의 1 회 경구투여에 의한 이완기 혈압 강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9의 결과로서,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의 1 회 경구투여에 의한 평균 혈압강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0의 결과로서,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의 다회 경구투여에 의한 수축기 혈압강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11의 결과로서,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의 다회 경구투여에 의한 평균 혈압강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12의 결과로서,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복용한 임상례에서 혈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12의 결과로서,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복용한 임상례에서 혈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12의 결과로서,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복용한 임상례에서 혈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예 12의 결과로서,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복용한 임상례에서 혈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비교예 5의 결과로서, 삼칠근 추출물의 UV 검색도이다.
도 12는 비교예 6의 결과로서, 단삼 추출물의 UV 검색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13의 결과로서,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의 UV 검색도이다.
도 14는 비교예 7의 결과로서, 삼칠근 추출물의 HPLC 분석도이다.
도 15는 비교예 8의 결과로서, 단삼 추출물의 HPLC 분석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14의 결과로서,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의 HPLC 분석도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삼칠근과 단삼의 2 종의 약용식물을 함께 사용했을 때 혈압 강하효과가 각각의 단독 식물을 사용했을 때보다 상승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더 포함하여 제형이 정제, 캅셀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및 식용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수추출물 또는 알코올추출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물의 혼합비는 중량기준으로 5 : 1 ∼ 1 : 5 가 바람직하며, 2 : 1 ∼ 1 : 2 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혼합 범위를 넘을 경우 각각의 혼합 추출물에 의한 상승 효과가 낮다.
상기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의 투여량은 1 일에 성인 체중 1 ㎏당 10 내지 40 ㎎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삼칠근과 단삼을 혼합하여 물로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여액을 100 내지 140 ℃의 고온 및 고압 하에 포화시켜서
응고 단백질의 침전물을 생성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침전물이 제거된 여액을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수층을 분리
하여 여액의 유용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의 분리된 수층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의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상기 e)단계의 동결건조된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에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더 첨가하여 정제, 캅셀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및 식용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의 추출용 물의 양은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물에 대하여 중량기준으로 5∼10 배가 바람직하며, 특히 7 배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d)단계의 유기용매는 클로로포름 또는 헥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물을 1 종 또는 2 종의 알코올로 실온에서 48∼72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용출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하여 잔사와 여액으로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혼합된 여액의 알코올을 제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상기 a)단계의 알코올은 70∼80 중량% 농도의 알코올이 바람직하며, 그 종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인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타올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c)단계의 분말화된 삼칠근과 단삼의 알코올 추출물에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더 첨가하여 정제, 캅셀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및 식용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용]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삼칠근과 단삼 등의 약용식물로 조성된 혼합물의 추출물로부터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새로운 약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추출물은 정상조직이나 그 기능에는 하등의 병리적 또는 생리적 영향을 주지 않고 주로 혈압조절기구에 관하여 혈압의 항상성 유지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삼칠근 또는 단삼 중 어느 1 종류 만을 사용했을 때는 기대할 만한 혈압강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혈압강하 효과는 유전적으로 고혈압이 유발되는 동물 (SHR: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을 이용한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혈압 치료제들이 고혈압을 대증요법적으로 조절하는데 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중추 신경계 억제작용과 강력한 진정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교감신경을 2차적으로 억제하여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세로토닌(serotonin), 하이퍼텐신(hypertensin)과 같은 승압 물질이 저장소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여 혈압을 강하시킨다. 또한 뇌하수체 후엽의 혈압상승 호르몬에 대한 길항 물질의 발현을 유도하고, 말초혈관의 저항을 저하시키며, 신혈류의 증가 및 뇌혈관 긴장 완화 작용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압강하 효과가 탁월하면서도 정상범위 이하로는 혈압이 강하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정상혈압 또는 저혈압증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혈압 조절과정에서 지적할 만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고,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치료효과를 보인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액순환 장애의 개선 약물로서, 강심작용이 있고 관상동맥중의 혈류량 증가와 심근의 산소 소비량을 감소시키는 한편, 강력한 진정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들을 나타내는 조성물은 본 발명자들이 혈압조절에 관련된 수 많은 약용식물을 이용하여 오랜 실험적 연구를 통해, 삼칠근과 단삼의 새로운 추출조성물이 혈압강하 효과가 탁월하고, 독성이나 부작용이 거의 없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이들 식물에 들어있는 약용성분들은 심장계 및 혈액순환 이상 증세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데 착안하여 고혈압증에 적용한 결과, 기존의 고혈압 치료제에서 흔히 나타나는 심장계 및 뇌혈관계에 미치는 부작용이 없고, 혈압도 완만하게 정상으로 조절-개선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그외에도 정상범위 이하로는 혈압이 강하되지 않는 특징을 보였고, 이 약제의 복용으로 인한 이상 증세도 발견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주성분은 사포닌(saponin) 및 그 배당체이며 혈압조절 작용이 이들 성분에 의한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최근 중국에서는 인삼계 식물이 동물의 관상동맥중의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심근의 산소 소비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심장의 부담을 경감시킨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내분비계에 관여할 수 있으며, 특히 응혈 인자(clotting factors)로 인한 혈액순환 장애를 개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액순환계 및 심혈관계의 기능을 원활히 하며 부작용이 적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국민 보건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약물개발에 따른 여러 가지 파급효과도 예상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로부터 수지, 단백질 및 섬유질을 제거한 후 사용한다. 물추출물의 경우 먼저 삼칠근과 단삼을 상수 또는 증류수를 사용하여 냉침 또는 온침시켜 여과하고, 여액에 클로르포름과 헥산을 사용하여 수지, 단백질, 섬유질을 제거한다. 이 후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에 탈크를 가하여 정제한 후 동결 건조시켜 분말화시킨다.
본 발명에서 얻은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추출물을 고혈압 쥐인 SHR에 투여한 결과 그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한 혈압강하 효과를 나타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방법에 따르면 혼합 수추출물은 제 1 단계에서, 건조한 삼칠근과 단삼을 혼합하여 분쇄하고, 상수 또는 증류수와 같은 물을 용매로 하여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가열하여 포화수증기압(100∼140 ℃) 하에서 추출한다.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물을 추출하는데 사용하는 물의 양은 건재의 5∼10 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7 배를 사용한다.
다음, 제 2 단계에서 추출물을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추출물은 다시 포화수증기압(100∼140 ℃) 하에서 비등시켜 잔존하는 단백질을 응고시킨 후, 원심 분리 등에 의해 여과하여 제거한다.
제 3 단계에서는 분리된 여액을 클로로포름, 헥산, 디클로로메탄, 사이클로헥산 등의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 또는 헥산을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수지, 섬유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수층을 다시 탈크 등을 이용하여 정제한 후에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목적하는 혼합 수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다른 방법으로서 삼칠근과 단삼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알코올을 사용하는 알코올 추출물도 상기 수추출물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삼칠근과 단삼 등의 약용식물을 각기 분쇄하여, 중량비 5 : 1 또는 1 : 5의 비율로 혼합한다. 바람직하게는 2 : 1 내지 1 : 2의 비율로 혼합하고 1 종 또는 2 종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70∼80 % 알코올로 실온에서 48∼72 시간 동안 때때로교반하면서 용출한다. 용출액은 경사법으로 따라내고, 다시 잔사에 같은 농도의 알코올을 넣어 위의 방법으로 재추출하고, 용출액을 경사법으로 따라내어, 첫 번째 용출액과 혼합한다. 혼합액에서 알코올을 회수하고 남는 용출액에 탈크를 가하여 교반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 만을 따라내어 여과한다. 여액은 알코올을 제거하여 분말화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들에 의해 얻은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수추출물 및 알코올추출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약물학적으로 유용한 혈압강하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품이 우수한 혈압조절 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급성독성 시험을 통하여 본 발명품이 안전한 약물임을 입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는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은 임상적으로 이용시에,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유효량을 단독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적합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투여에 적합한 정제, 캅셀제, 용액제, 현탁제 또는 시럽제의 형태로 제형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음료의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혼합물의 추출물의 투여용량은 질환의 중증도, 투여대상 환자의 성별, 연령, 체중, 및 목적하는 효과가 어떤 것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성인에게 경구 투여하는 경우, 체중 1 kg 당 1 일 5∼50 m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m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수추출물 제조)
건조된 삼칠 인삼근과 단삼을 각각 분쇄하고 5 : 4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90 g을 분취하고, 여기에 증류수 또는 상수 3000 ㎖을 가한 후, 고압솥에서 온도 121 ℃, 포화수증기압 15 psi 의 조건으로 40∼60 분간 고압 추출한 후, 추출액을 분취하고 잔사는 제거하였다.
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수액은 여과한 다음에 전량이 1500 ㎖가 되도록 증발농축하고 여과하였다. 이 여액을 다시 고압솥에서 온도 121℃, 포화수증기압 15 psi의 조건으로 15 분간 포화시켜 생성된 응고 단백질을 포함한 침전물을 생성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후에 여과하였다.
상기 여액을 분액깔대기에 넣고 클로로포름 400 ㎖을 가하여 수지 및 섬유질 등을 용출시키고 클로로포름 층을 분리 제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2 회 되풀이한 후 수층에 다시 n-헥산 200 ㎖을 가하여 잔존하는 수지, 섬유질 및 n-헥산 가용물질 등을 용출시켰다.
수층을 회수하여 60∼80 ℃로 가온시킨 다음에 탈크(talc) 500 g을 가하여 교반한 후에, 감압여과하여 탈크는 제거하고 여액은 다시 서서히 여과하여, 여액을 동결건조시켜 분말화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삼칠 인삼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에서 약 17 %의 수율(건조 중량 기준)로 총 추출물 15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삼칠근과 단삼 혼합물의 알코올추출물 제조)
말린 삼칠근(Panax notoginseng Radix) 100 g과 단삼(Salvia miltiorrhiza) 80 g을 각각 분쇄하여 5 : 4 의 비율로 혼합한 것에 70 % 에탄올을 1.2 ℓ 넣고 실온에서 때때로 교반하면서 48∼72 시간 동안 용출하였다. 용출액은 경사법으로 따라내고, 남은 잔사에 다시 70 % 에탄올을 정량 가하고, 위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재용출하였다.
재용출액을 경사법으로 따라서 첫 번째 용출액과 합하여, 환류냉각장치에서 에탄올은 회수하고, 남은 용출액에 탈크를 가하여 교반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은 제거하고, 남은 상층액은 여과하였다.
여액에 헥산(hexane)과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가하여 수지와 단백질, 섬유질 등을 제거하고 남은 액체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한다. 이때 갈색분말을 20 %의 수율로 얻었다.
실시예 3
(정제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동결 건조된 분말상의 혼합 추출물 250 ㎎을 부형제 직타용 락토즈 260 ㎎과 아비셀(미결정 셀룰로오스) 35 ㎎, 용해보조제인 나트륨 전분 글리코네이트 15 ㎎, 결합제인 직타용 L-HPC(Low- hydroxypropylcellulose) 80 ㎎을섞어 U 형 혼합기에 넣고 20 분간 혼합하였다.
혼합완료 후 활탁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0 ㎎를 추가로 넣고 3 분간 혼합하였다. 정량시험과 항습도 시험을 거쳐 타정하고 필름 코팅하여, 1 정당 혼합 수추출물 250 ㎎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시럽제 제조)
일정량의 물에 적당량의 백당을 용해시키고, 여기에 보존제로서 파라옥시메틸벤조에이트 80 ㎎ 및 파라옥시프로필벤조에이트 16 ㎎을 가하고 실시예 1의 동결 건조된 분말상의 혼합 추출물 4.5 g을 넣어 60 ℃로 유지시켜 완전히 용해시킨 후 냉각시키고 증류수를 가해 150 ㎖로 만들어 시럽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캅셀제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동결 건조된 분말상의 혼합 추출물 300 ㎎을 담체로서 락토즈 200 ㎎과 혼합시킨 후 경질 젤라틴 캅셀에 충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음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동결 건조된 분말상의 혼합 추출물 500 ㎎을 적당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에 보조성분으로서 비타민 C, 교미제로서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고과당을 적당량 가하고, 보존제로서 적당량의 나트륨벤조에이트를 가한 후에 물을 가하여 전량을 100 ㎖로 만들어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주사제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동결 건조된 분말상의 혼합 추출물 200 mg을 1 중량%의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카스트로 오일을 함유하는 생리 식염수 200 mg에 가열 용해시켜 혼합 추출물을 0.1 중량% 농도로 함유하는 주사 제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삼칠근 수추출물 제조)
원료로서 삼칠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삼칠근 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단삼 수추출물 제조)
원료로서 단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단삼 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비교예 3, 4
(추출물의 혈압 강하 효과 비교)
상기 비교예 1의 삼칠근 단일 추출물과 비교예 2의 단삼 단일 추출물과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을 각각 250 mg/kg의 비율로 1 회 경구 투여하였을 때 혈압 강하효과를 비교하였으며, 여기에서는 유전적으로 고혈압이 야기되는 쥐(SHR: spontaneous hypertensive rat)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SHR을 무마취 상태로 실험에 사용하기 위하여 치우(Chiu) 등이 사용한방법(Chuang C. Chiueh and Irwin J. Kopin; J. Physiol. 234(6), H690-H695, 1978)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수술을 시행하였다.
SHR에 체중 kg당 50 ㎎ 용량의 펜토바르비탈 나트륨(sodium pentobarbital; 한림제약 제조 Entobar)을 복강 내로 주사한 후 마취시킨 다음, 헤파린(heparin) 용액(500 IU/ml in saline, 중외제약 제조)을 채운 폴리에틸렌 도관(polyethylene catheter; PE-50; Clay Adams)을 왼쪽 경동맥에 2 cm정도 삽입하고 피하를 통하게 하여 목 뒤쪽으로 뺐다. 이때 도관 및 수술기구는 70 %의 알코올로 소독하여 수술에 사용하였으며 수술부위는 설파다이아진(sulfadiazine) 가루로 도포하였고, 도관 내의 혈액응고를 방지할 목적으로 헤파린(heparin) 용액을 1 일 2 회 0.5 ㎖ 씩 주입하였다. 혈압 및 심박동수의 관찰은 도관을 삽입하고, 24 시간 경과 후 행하였다.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경동맥에 삽입한 도관을 스타탐 압력 변환기(Statham pressure transducer ; P23 ID)에 직접 연결하여 그래스 폴리그래프(Grass polygraph; model 7E, Grass Instrument)로 기록하였으며, 평균 동맥압은 다른 채널(channel)로 동시에 기록하였다. 압력 변환기(Pressure transducer)의 위치는 쥐 심장의 위치와 평행을 유지하였다. 심박동수는 동맥파의 카디오-타코그래프(cardio-tachograph; 7P44C)를 통하여 다른 채널에서 측정하였다.
혈압 및 심박동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운반된 쥐는 안정 및 진정을 위하여 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혈압 및 심박동수를 측정하고 상기 비교예 1의 삼칠근 단일 추출물 및 비교예 2의 단삼 단일 추출물 및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을 각각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결과로 얻은 혈압 및 심박동수는 30 초마다 5 분간 읽은 10 개의 값을 평균하여 구하였고, 수축기 혈압을 시간대 별로 도 1에 나타내었다.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SHR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도 1의 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수축기 혈압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했을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수축기 혈압 강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1의 삼칠근의 추출물을 투여했을 경우 대조군과 비교할 때 수축기 혈압이 낮아지는 경향은 보이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단삼의 추출물은 혈압강하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이완기 혈압 및 평균혈압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실시예 9
(고혈압 쥐에서 혼합 추출물의 용량에 따른 1 회 경구 투여의 혈압 강하 효과)
혼합 추출물의 용량에 따른 혈압 강하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의 투여 용량을 바꾸어 62.5 mg/kg, 125 mg/kg, 250 mg/kg을 각각 1 회 구강 투입하는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하게 고혈압쥐에서 혼합 추출물의 용량에 따른 1 회 경구 투여의 혈압 강하 효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는 혼합물의 추출물을 경구투여 하였을 때, 수축기 혈압을 도 2, 이완기 혈압을 도 3 및 평균혈압을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15∼20 % 의 혈압 강하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용량인 62.5 mg/kg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혈압 강하효과가 관찰되었으나 용량 의존적인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추출물에 의하여 심장 박동수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실시예 10
(고혈압쥐에서 혼합 추출물의 다회 경구 투여에 의한 혈압 강하효과)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다회 경구 투여하였을 때, 혈압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전적으로 고혈압이 야기되는 SHR은 인간의 본태성 고혈압증에 해당하는 가장 적당한 동물 모델(model)로서, 70 % 이상에서 뇌졸증이 동반되고, 뇌혈전도 자연발증 되므로 실험에 사용되었다.
고혈압이 발생된 생후 8 주령의 SHR 35 마리(♂)를 선택하여, 대조군 15 마리는 살린(saline)을 투여하고 실험군은 10 마리씩 2 그룹으로 하여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125 mg/kg과 250 mg/kg을 각각 경구로 투여하였다. 1 일 1 회씩 6 주간을 투여하면서, 1 주에 1 회씩 같은 시간에 혈압을 측정하여 투여전의 혈압과 비교하였다.
도 5는 투여기간별 수축기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투여기간별 평균 혈압(mean arterial pressure)를 나타낸 것으로, 대조군은 예외 없이 혈압이 계속 상승되었으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모두 점진적으로 혈압이 강하되어 정상 범위로 조절되었다.
또한 혈압이 상승된 대조군 15 마리 중 5 마리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62.5 mg/kg를 경구로 투여한 바, 상승되었던 혈압이 역반응을 보이면서 강하되었다. 혈압 측정시 함께 측정된 심장 박동수에는 전혀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11
(ICR 마우스에 대한 급성 독성시험)
본 발명에 따르는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의 급성독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중요한 의미가 있는 수치로서 LD50(실험동물의 50 %를 치사시킬 수 있는 양)치를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구하였다.
정상 ICR 마우스(male, 22±1 g) 36 마리를 1 개 군에 6 마리씩 A 내지 F의 6 개 군으로 나누어, A 군은 대조군으로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였고, B 군에는 체중 1 ㎏당 실시예 1의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 1 g을 투여하는 것으로부터 등차적으로, C 군에는 2.5 g, D 군에는 5 g, E 군에는 7.5 g 및 F 군에는 10 g을 각각 경구투여하고, 베렌스-칼버(Behrens-Karber)법(문헌: 高木敬次郞 外: 藥物實驗, 南山堂, Japan, p131, 1960)으로 혼합 수추출물의 경구(p.o.)투여에 의한 LD50치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삼칠근과 단삼 혼합물의 수추출물 경구 투여에 의한 치사량(LD50)
실 험 군 용 량(g/㎏) 경구투여 군(p.o.) Z d
사망동물 수/ 사용동물 수
A 0 0 / 6 - -
B 1 0 / 6 0 1.0
C 2.5 0 / 6 0 1.5
D 5 0 / 6 0 2.5
E 7.5 0 / 6 0 2.5
F 10 0 / 6 0 2.5
상기 표에서,
z는 2 개의 연속되는 용량으로 사망 동물수의 ½ 값이며,
d는 2 개의 연속되는 용량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1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수추출물을 체중 1 kg당 10 g의 고용량으로 경구투여에 의한 LD50치는 10 g/㎏ 이상으로 생체에 매우 안전한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는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수추출물은 독성이 거의 없이 안전하게 투여될 수 있는 것임을 명백히 알 수 있다.
또한, LD50치의 측정 시에 사용한 실험동물에 대해 부검 및 병리 조직학적 시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시험종료시 전 생존동물에 대하여 에테르 마취 후 방혈 치사시킨 다음 장기를 적출하여 육안적으로 모든 장기의 이상을 검사하였다. 병리조직 검사를 위하여 부검한 전 장기들을 10 % 중성포르말린 용액에 10 일 이상 고정시킨 다음 탈수과정을 거쳐 파라핀 포매기(Fisher, Histomatic Tissue Processor, 166A)에 포매한 후 로터리 마이크로톰(AO Rotary Microtome)으로 5 ㎛ 절편을 만들어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염색을 하여 관찰하였다.
각 군의 모든 동물을 해부하여 현미경으로 조사한 병리 조직학적 소견은 다음과 같다. 상기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수추출물을 마우스 체중 1 kg 당 10 g까지 투여한 조직에 있어서 약물 투여에 의한 이상적인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신장에 있어서도 약물 투여에 의한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심장의 심근세포에 있어서도 약물투여에 의한 이상 소견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그 밖의 주요 장기인 위·장관, 췌장, 폐장, 비장, 부신, 뇌, 고환, 난소, 골수 등에 있어서 약물투여에 의한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수추출물은 마우스에 투여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인 체중 1 kg당 10 g 투여 시에도 전 장기에 대하여 부작용이 없었으며, 또한 어떠한 장기손상 등의 독성도 유발하지 않는 등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2
(임상 증례)
4 명의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매일 1.5 g씩 복용시키면서 혈압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투여 전과 투여 후 매일 같은 시간에 측정한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및 맥박의 측정 결과를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었다.
투여 직후부터 완만한 혈압 강하에 따른 혈압 조절효과가 관찰되었으며, 모든 환자에서 혈압강하 효과가 관찰되었고, 적정혈압 이하로는 강하되지 않았으므로 혈압조절에도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시예 13, 비교예 5, 6
(UV 흡광도에 따른 추출물의 특성 비교)
비교예 1의 삼칠근 단일 수추출물, 비교예 2의 단삼 단일 수추출물 및 실시예 1의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수추출물을 자외선 분광광도계(Spectro- photometer; Pharmacia, Ultrospec 2000)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각각 도 11, 도 12 및 도 13에나타내었다.
도 11은 삼칠근 단일 추출물의 UV 흡광도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데 자외선에 대한 흡광도가 매우 낮아 200∼500 ㎚ 사이에서 빛이 거의 흡수되지 않는 현상을 보인다. 이것은 대부분의 사포닌이 자외선을 흡수하지 않는데, 삼칠근에는 사포닌의 함량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도 12는 단삼 추출물의 UV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로서, 단삼 추출물은 283 ㎚에서 흡광도가 증가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의 UV 스펙트럼으로 단삼 추출물과 같이 283 ㎚에서 흡광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비교예 7, 8
(HPLC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따른 추출물의 특성 비교)
비교예 1의 삼칠근 단일 수추출물, 비교예 2의 단삼 단일 수추출물 및 실시예 1의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수추출물을 HPLC(모델 HP1090)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각각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내었다.
전처리는 HPLC로 분리하기 위하여 단일 수추출물은 각각 1 mg/ml의 농도로, 혼합 수추출물은 2 ㎎/㎖의 농도로 물에 녹였다. 용해된 추출물 용액 10 ㎕를 취하여 HPLC에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컬럼(Column): C18 ODS; 4.6 mm i.d. x 100 mm L
이동상: 1 % 아세트산(acetic acid)과 메탄올의 증감 시스템(gradientsystem)을 100 : 0 에서 0 : 100으로 30 분 동안 변화시킴.)
유속: 1 ㎖/min
검출: 포토다이오이드 어레이 검출기(photodioid array detector)로 254 ㎚에서 측정함
각 시료들에서 특징적인 피크들이 관찰되었는데 이 피크들은 반복실험에서도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 14는 삼칠근 단일 수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으로서 삼칠근 추출물은 위의 분석조건하에서 0.985분, 1.789분, 2.390분, 4.861분, 8.781분에서 특징적인 피크가 관찰되었다.
도 15는 단삼 단일 수추출물의 HPLC 결과로서 6.030분, 13.270분, 14.115분, 15.716분에서 특징적인 피크들이 관찰되었다.
도 16은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수추출물의 HPLC 결과로서 2.392분의 피크는 삼칠근에서 온 것으로 보이고, 13.390분, 14.215분, 15.813분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피크들은 단삼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15
(혈장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스프라그-돌리쥐(Sprague-Dawley rats)를 2 개군으로 나누어, 1 % 콜레스테롤과 10 %의 옥수수유를 함유한 합성 식이를 섭취하게 한 군과 같은 식이를 섭취시키면서 비교예 1의 삼칠근 수추출물, 비교예 2의 단삼 수추출물 및 실시예 1의 혼합 수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군에서 혈장 콜레스테롤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삼칠근이나 단삼추출물의 경우 30 mg/kg를 투여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경우에는 총콜레스테롤 농도가 28.2 % 감소하였고, LDL-콜레스테롤은 35.5 % 감소(p<0.05)한 반면, HDL-콜레스테롤은 23.8 % 증가를 보였다. 또한, HDL-콜레스테롤과 총콜레스테롤의 비율이나 HDL-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의 비율에서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나므로 혼합 추출물이 동맥경화 야기 가능성을 낮추어 주는 성질이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하겠다.
삼칠근추출물, 단삼추출물 및 혼합 추출물의 경구투여가 높은 콜레스테롤을 섭취시킨 쥐의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영향
구 분 대조군 삼칠근 수추출물(30 mg/kg) 단삼 수추출물(30 mg/kg) 혼합물 수추출물(30 mg/kg)
총 콜레스테롤(mg/dl) 245 ± 54 230 ± 36 201 ± 30 176 ± 31(28.2 %)
HDL-콜레스테롤(mg/dl) 23.1 ± 5.0 22.4 ± 1.9 23.8 ± 1.9 28.6 ± 1.5(23.8 %)
LDL-콜레스테롤(mg/dl) 203 ± 59 189 ± 33 161 ± 24 131 ± 31 *(35.5 %)
HDL-C / T-C 비 0.10 ± 0.04 0.10 ± 0.02 0.12 ± 0.02 0.17 ± 0.03*
HDL-C / LDL-C 비 0.13 ± 0.06 0.12 ± 0.03 0.15 ± 0.04 0.23 ± 0.05*
상기 표에서
*는 대조군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한 t-시험(t-test)에서의 P<0.05 조건의 2 개군 비교값을 나타낸 것이고,
HDL-C / T-C 비는 HDL-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롤의 비이여,
HDL-C / LDL-C 비는 HDL-콜레스테롤/LDL-콜레스테롤의 비이다.
본 발명은 인간의 고혈압증을 정상 혈압으로 개선시키기 위하여 삼칠근 (Panax notoginseng)과 단삼 (Salvia miltiorrhiza) 등 2 종의 식물로부터 추출한 조성물을 인간의 고혈압증에 적용한 바, 현행 고혈압 치료제에서 흔히 나타나는 심장계, 신장계 및 뇌혈관계에 미치는 부작용이 없고, 혈압도 완만하게 정상으로 조절-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그외에도 정상범위 이하로는 혈압이 강하되지 않는 특징을 보였고, 조성물 적용에 의한 자각적, 타각적 이상 증세도 나타나지 않았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상 진료에서 부작용이 없는 고혈압에 대한 치료제로서 장기간 사용가능한 천연물 혈압조절 물질인 동시에 혈장 콜레스테롤의 양을 낮춤으로써 동맥경화 및 심장, 혈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천연물이다.

Claims (19)

  1. 삼칠근과 단삼을 중량기준 5 : 1 ∼ 1 : 5의 혼합비로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혈압 치료 조성물이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더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혈압 치료 조성물의 제형이 정제, 캅셀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및 식용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수추출물인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추출물인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6. (삭 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삼칠근과 단삼을 중량 2 : 1 ∼ 1 : 2의 혼합비로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투여량이 1 일에 성인 체중 1 ㎏당 10 내지 40 ㎎인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9.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삼칠근과 단삼을 혼합하여 물로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여액을 100∼140 ℃의 고온 및 고압 하에 포화시켜서 응고, 단백질의 침전물을 생성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침전물이 제거된 여액을 클로로포름 또는 헥산으로 추출하고 수층을 분리하여 여액의 유용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의 분리된 수층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의 동결건조된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수추출물에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더 첨가하여 정제, 캅셀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및 식용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비가 중량 기준으로 5 : 1 ∼ 1 : 5 인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추출용 물의 양이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물에 대하여 중량기준으로 5∼10 배인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추출용 물의 양이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물에 대하여 중량기준으로 7 배인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삭 제)
  15.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물을 1 종 또는 2 종의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로 실온에서 48∼72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용출하여 알코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알코올 추출물을 여과하여 잔사와 여액으로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혼합된 여액의 알코올을 제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이 70∼80 중량% 농도인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분말화된 삼칠근과 단삼의 알코올 추출물에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더 첨가하여 정제, 캅셀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및 식용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8. 제 15 항 또는 제 1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비가 중량 기준으로 5 : 1 ∼ 1 : 5 인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9. 삼칠근과 단삼을 중량 기준 5 : 1 ∼ 1 : 5의 혼합비로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동맥경화 예방 조성물.
KR1019990035427A 1999-08-25 1999-08-25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327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427A KR100327894B1 (ko) 1999-08-25 1999-08-25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PCT/KR2000/000970 WO2001013931A1 (ko) 1999-08-25 2000-08-25 Hypertension-treatment and cholesterol-depressant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from mixture of panax notoginseng and salvia miltiorrhiza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427A KR100327894B1 (ko) 1999-08-25 1999-08-25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147A KR20010019147A (ko) 2001-03-15
KR100327894B1 true KR100327894B1 (ko) 2002-03-09

Family

ID=1960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427A KR100327894B1 (ko) 1999-08-25 1999-08-25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27894B1 (ko)
WO (1) WO200101393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238B1 (ko) * 2005-04-25 2007-10-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삼 추출물 및 분획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84079A (ko) 2015-01-05 2016-07-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214A (ko) * 2001-06-30 2003-01-08 알앤엘생명과학주식회사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96014B1 (ko) * 2002-03-20 2008-01-21 박준희 삼칠을 이용한 지혈물질 추출 방법
KR100486960B1 (ko) * 2002-09-23 2005-05-03 김우영 고혈압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33333A (ko) * 2002-10-11 2004-04-28 서울향료(주) 생약소재에 의한 고지혈증 개선용 농축액 및 그제조방법과 용도
AU2004308874B2 (en) * 2003-12-30 2011-01-27 Kt & G Co., Ltd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treatment with tanshinone derivatives which increase metabolic activity
CN1785284B (zh) 2004-12-10 2012-04-18 天津天士力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何首乌的药物组合物
KR100572270B1 (ko) * 2005-11-24 2006-04-24 주식회사 오스코텍 삼칠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용 건강식품
CN107174599B (zh) * 2017-06-19 2020-11-10 浩宇康宁健康科技(湖北)有限公司 止血消炎清淤药物及其制备方法和包含其的止血消炎清淤创可贴
CN110720590A (zh) * 2019-11-26 2020-01-24 云南省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三七地上部分纳米型功能米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33A (zh) * 1993-07-09 1995-01-11 耿德钦 降压药及其制备方法
CN1123683A (zh) * 1994-11-30 1996-06-05 贵州遵义安富实业(集团)总公司 田七杜仲系列产品及其制备方法
KR19980044841A (ko) * 1996-12-09 1998-09-15 임희택 저지방 한방차의 제조방법
CN1223122A (zh) * 1998-01-13 1999-07-21 彭文瑞 一种治疗心脑血管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33A (zh) * 1993-07-09 1995-01-11 耿德钦 降压药及其制备方法
CN1123683A (zh) * 1994-11-30 1996-06-05 贵州遵义安富实业(集团)总公司 田七杜仲系列产品及其制备方法
KR19980044841A (ko) * 1996-12-09 1998-09-15 임희택 저지방 한방차의 제조방법
CN1223122A (zh) * 1998-01-13 1999-07-21 彭文瑞 一种治疗心脑血管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238B1 (ko) * 2005-04-25 2007-10-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삼 추출물 및 분획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84079A (ko) 2015-01-05 2016-07-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사이클로아르테닐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13931A1 (ko) 2001-03-01
KR20010019147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4700C (en) Medicinal composition containing ginseng secondary glycosides, it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KR20070027532A (ko) 심장-뇌 혈관성 질환용 한약 조제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1612362B (zh) 一种调节血脂、防治心脑血管疾病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KR100327894B1 (ko) 삼칠근과 단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및 콜레스테롤 저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MX2011003647A (es) Pildora por goteo para tratar cardiopatia coronaria y preparacion de la misma.
US20080305189A1 (en) Treatment of aspirin resistance with radix salviae miltiorrhizae, its extract and composition
CN102526186A (zh) 一种用于预防和治疗心血管疾病的药物组合物及其用途
US6589572B2 (en) Hypertension-treatment and cholesterol-depressant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from mixture of Panax notoginseng and Salvia miltiorrhiza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108653581B (zh) 以白芍、铁皮石斛和厄贝沙坦制备治疗高血压药物的方法
CN113115946A (zh) 一种以白芍和铁皮石斛为原料制备保健食品的方法
CN104027428B (zh) 一种中药复方的制备方法及在防治老年痴呆症中的应用
CN110538311A (zh) 一种用于控制高血压的纯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030143289A1 (en) Herbal composition PHY828 and its use
CN101176751B (zh) 丹参和桂枝的药物组合物
CN107029124B (zh) 一种用于治疗原发性高血压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172624A (zh) 一种治疗缺血性脑卒中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14767816B (zh) 一种治疗冠心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6211944B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剂和应用
CN111759891B (zh) 一种用于治疗心肌缺血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13521131B (zh) 一种用于缺血性心肌病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16327825B (zh) 一种用于治疗心血管疾病的中药及其制备方法
CN1279930C (zh) 当归在制备治疗高血压病药物中的应用
CN117860806A (zh) 通脉护心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通脉护心药物
CN105596420A (zh) 一种丹七组合物的应用及制备方法
CN113229498A (zh) 一种有助于降低血压药食同源组合物组方及其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