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951B1 - 액정수차보정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수차보정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951B1
KR100761951B1 KR1020067006257A KR20067006257A KR100761951B1 KR 100761951 B1 KR100761951 B1 KR 100761951B1 KR 1020067006257 A KR1020067006257 A KR 1020067006257A KR 20067006257 A KR20067006257 A KR 20067006257A KR 100761951 B1 KR100761951 B1 KR 10076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ubstrate
electrode
aberration corr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7637A (ko
Inventor
노부요시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비니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비니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비니도
Publication of KR20060057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5Separate or integrated refractive elements, e.g. wave plates
    • G11B7/1369Active plates, e.g. liquid crystal panels or electrostrictive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2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 G11B7/13925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active, e.g. controlled by electrical or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1Manufacturing of individual cells out of a plurality of cells, e.g. by dic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2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18Function characteristic adaptive optics, e.g. wavefront cor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종래의 소자에 비해서 소형화, 경량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한 액정수차보정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극이 형성된 다수의 기판과, 상기 다수의 기판 사이에 끼워진 액정을 가지는 액정수차보정소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판의 적어도 하나에는 두께방향으로 구멍(30A, 30B, 30C)이 뚫어지고, 상기 구멍에는 상기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31A, 31B, 31C)가 마련되어진다. 또한,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32)도 기판상에 마련된다.
액정, 수차, 보정, 전극, 단자, 구멍

Description

액정수차보정소자 및 그 제조방법{Liquid crystal aberration correcting eleme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광픽업에서의 기록재생시에 생기는 수차(收差)를 보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액정수차보정소자, 및 그 제조방법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종래, 정보기록 매체로서 CD, DVD 등의 각종 광디스크가 알려져 있다. 이것들의 광디스크는, 회전하는 것에 의한 두께 차이나 휘어짐 등에 의해 수차(집광 스폿의 왜곡)를 생기게 하기 때문에, 이 수차를 보정해서 기록·재생의 정밀도를 올리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수차를 보정하는 기술로서, 콜리메이터 렌즈를 액추에이터에서 구동시키는 방식과, 액정수차보정소자를 이용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전자의 방식은, 액추에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광픽업이 복잡해지고, 또 고정밀도의 보정에는 완전히 대응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액정수차보정소자는, 액정 패널의 전극을 동심원의 링 모양으로 형성하고, 이에 의해 광속(光束)의 중앙부와 가장자리부에서 다른 위상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이 액정수차보정소자는 광픽업에 있어서 대물렌즈와 함께 동일광축 위 에 배치되기 때문에 양호한 구동이 얻어지도록 소형화·경량화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종래의 액정수차보정소자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237077호에는 광디스크에서 생기는 구면수차의 분포에 대응하게 된 동심원 모양의 다수의 전극부를 가지는 제1전극층과, 상기 제1전극층에 대향하는 제2전극층과, 상기 제1 및 제2전극층에 협지되어, 상기 제1 및 제2전극층에의 인가전압에 따른 위상변화를 통과하는 광빔에 발생케 하는 액정을 가지는 수차보정소자가 기재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전극층은 투명한 글래스기판상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액정수차보정소자에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237077호의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전극부에 리드선을 접속하고, 소자의 측면에서 끌어내고 있었다. 끌어내어진 리드선은, 일반적으로는 일방의 글래스기판을 타방보다도 길게 형성하고, 그 긴 부분에 마련되어진 단자에 집약시켜, 거기에서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에 의해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에 접속시켜져 있었다.
이 경우, 글래스기판상의 단자의 주변부에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글래스기판을 얇게 하려고 하면 깨짐· 빠짐불량을 보일 우려가 있고, 그러므로 두께에는 강도에서 한계(0.3mm정도)가 있었다. 따라서, 소자의 충분한 경량화를 꾀할 수 없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방의 기판을 타방보다 길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소자가 커지고, 또한 소자 자체의 중량 밸런스가 무너짐으로써 고정밀도의 구동이 어렵게 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소자를 제조할 때에는 전극을 형성한 다수의 기판을 대향시키고 그 측면의 기판간의 틈으로부터 액정을 주입·봉지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크기가 수 mm정도로 가공된 작은 기판의 조합을 모두 제작하고, 각각에 대하여 액정의 주입밀봉을 행할 필요가 있어, 생산 효율이 나쁘고 비용도 높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리드선이 집약하는 단자는 소자의 옆쪽에 마련되어져 있었기 때문에, 제품의 검사를 최종적으로 가공된 개개의 소자마다 행할 필요가 있어 효율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거기에서 본 발명은, 종래의 소자와 비교해서 소형화, 경량화를 꾀할 수 있는 신규한 액정수차보정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 효율에서 우수하고 저비용의 액정수차보정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액정수차보정소자는, 전극이 형성된 다수의 기판과, 상기 다수의 기판 사이에 끼워진 액정을 가지는 액정수차보정소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판의 적어도 하나에는 두께 방향으로 구멍이 뚫어져, 상기 구멍에는 상기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수차보정소자의 제조방법은, 모재(母材)가 되는 기판에, 다수 개의 액정수차보정소자에 대응시킨 단자 및 주입구를 형성하는 공정과,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의 단자, 주입구, 및 전극을 형성한 기판에 대하여 전극을 형성한 별도의 기판을 조합시키는 공정과, 조합시킨 후에 주입구로부터 액정을 주입하는 공정과, 개개의 액정수차보정소자로 잘라서 나누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정수차보정소자는, 기판의 표면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의 부분을 단자로 하기 때문에, 단자를 옆쪽에 마련한 종래의 소자와 비교해서 기판에 무리한 힘이 가해질 일이 없다. 따라서, 보다 엷은 기판을 채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소자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의 표면에 단자를 배치함으로써, 그 만큼 소자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소자 자체의 중량 밸런스도 뛰어나기 때문에 광픽업의 고정밀도의 구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수차보정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단자를 형성하는 공정이나, 액정을 주입하는 공정 등이, 모두 개개의 소자로 잘라 나누기 전의 모재(母材)의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 향상되고,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각 소자를 검사할 때에도 모재의 상태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도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수차보정소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의 A-A단면도이다.
도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수차보정소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는 액정수차보정소자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5는 액정수차보정소자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6은 도4에 있어서의 S1O2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도4에 있어서의 S1O2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도4에 있어서의 S1O4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도4에 있어서의 S1O6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도5에 있어서의 S306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수차보정소자
10, 11 : 기판
101 : 모서리부
20, 21, 22, 23, 24, 25 : 전극
30A, 30B, 30C, 30D : 구멍
31A, 31B, 31C, 31D : 단자
32 : 주입구
40 : 액정
50 : 밀봉재
51 : 봉지부
60 : 도통재(導通材)
70 : 마스크
100 : 모재로 되는 기판
본 발명은, 전극이 형성된 다수의 기판과, 상기 다수의 기판 사이에 끼워지고 밀봉재에 의해 내측에 봉입된 액정을 가지고, 상기 액정이 마련된 영역 내에 광속이 통과하는 액정수차보정소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판의 적어도 하나에는 두께방향으로 구멍이 뚫어지고, 상기 구멍에는 상기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가 마련되어지는 동시에, 상기 구멍이 뚫어진 기판에는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 및 상기 주입구가 광속이 통과하는 영역 이외의 잉여부분에 마련된 액정수차보정소자를 제공한다(제1발명).
또한 본 발명은, 전극이 형성된 다수의 기판과, 상기 다수의 기판 사이에 끼워지고 밀봉재에 의해 내측에 봉입된 액정을 가지고, 상기 액정이 마련된 영역 내에 광속이 통과하는 액정수차보정소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판 중 하나의 기판에는 두께방향으로 구멍이 뚫어지고, 상기 구멍에는 상기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가 마련되어지는 동시에, 상기 구멍이 뚫어진 기판에는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 및 상기 주입구가 광속이 통과하는 영역 이외의 잉여부분에 마련된 액정수차보정소자를 제공한다(제2발명).
이들 구성에 의하면,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가 구멍을 통해서 기판의 표면에 배치된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전극에 접속되는 단자 및 액정의 주입구가 하나의 기판의 표면에 집약 배치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또는 제2발명에 따른 액정수차보정소자에 있어서, 기판이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있어서 광속(光束)이 통과하는 원형영역 이외의 모서리부 부근에 구멍이 뚫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제3발명).
이 구성에 의하면, 기판의 모서리부 부근이, 구멍을 형성하는 공간으로서 유 효하게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또는 제2발명에 따른 액정수차보정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모재로 되는 기판에, 다수 개의 액정수차보정소자에 대응시킨 단자 및 주입구를 형성하는 공정과,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의 단자, 주입구, 및 전극을 형성한 기판에 대하여 전극을 형성한 별도의 기판을 조합시키는 공정과, 조합시킨 후에 주입구로부터 액정을 주입하는 공정과, 개개의 액정수차보정소자로 잘라 나누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수차보정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제4발명).
이 구성에 의하면 액정수차보정소자의 제조가 최종공정까지 모재로 되는 기판의 상태 그대로 진행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은 액정수차보정소자의 평면도, 도2는 도1의 A-A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정수차보정소자(1)는, 동심원 모양으로 분할된 전극(20, 21)(세그먼트 전극)이 형성된 기판(10)과, 전극(22)(공통전극)이 형성된 기판(11)에서 액정(40)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개략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2에서는, 전극(20, 21)과 액정(40)의 사이, 및 전극(22)과 액정(40)의 사이에 일반적으로 마련되어지는 액정배향막, 투명절연층이나, 기판(10, 11) 상에 마련되어지는 반사방지막 등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액정(40)은 밀봉재(50)에 의해 내측에 봉입되어 있다.
이 액정수차보정소자(1)는 액정(40)이 마련되어진 영역 내에 광속을 통과시 키고, 그 때에 전극(20)과 전극(21)에 다른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극(20)의 위치와 전극(21)의 위치에 다른 액정의 배향상태, 즉 위상차를 주고 이에 의해 빛의 구면수차를 보정하는 것이다.
기판(10, 11)으로서는 글래스기판 등의 투명기판을 쓸 수 있다. 또한 전극(20, 21), 및 전극(22)으로서는, 인듐주석산화막을 형성한 ITO 등의 투명전극이 적당하게 채용된다.
그리고, 이 제1실시예에서는, 기판(10)의 두께방향으로 구멍(30A, 30B, 30C)이 뚫어지고, 그것들의 구멍에는 전극(20, 21, 22)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31A, 31B, 31C)가 각각 마련되어져 있다. 기판(11)측에 형성된 전극(22)(공통전극)에 대해서는, 도통재(60)를 사이에 끼움으로써 기판(10)측의 단자(31A)와 접속되어 있다. 또, 각 단자는, 구멍 내주면을 따라 Ni-Au 등의 금속이 도금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단자를 기판(10)의 면 위에 배치함으로써, 기판의 옆쪽에 단자를 집약 배치하였던 종래 소자에 비해서 소자에 편중된 힘이 가해지지 않고, 깨짐빠짐 불량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기판(10, 11)을 보다 얇게(예를 들면, 0.2mm) 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소자를 경량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에 비해서 40%이상(종래의 단자로부터 면상 배치의 단자로 변경한 효과가 약 10%, 기판두께를 0.3mm에서 0.2mm로 변경한 효과가 약 33%) 경량화 된다.
또한 이 제1실시예에서는, 기판(10, 11) 사이에 액정(40)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32)가, 기판(10)의 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주입구(32)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등이며, 액정(40)을 주입한 후에 봉지재에 의해 적당하게 봉지된다.
특히, 도1의 예에서는, 단자(31A, 31B, 31C), 및 액정의 주입구(32)의 모두가, 대향하는 기판 중 일방의 기판(10)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자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1의 예에서는, 구멍(30A, 30B, 30C), 및 액정의 주입구(32)를, 광속이 통과하는 원형영역(전극(20, 21)이 형성된 영역)이외의,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기판(10)상의 모서리부(101) 부근에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광속이 통과하지 않는 기판(10)상의 잉여부분을 단자 등의 위치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자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단자 등을 모서리부(101)에 배치함으로써 소자의 중량 밸런스를 최적화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일반적인 액정을 이용하는 소자(액정표시소자 등)에 있어서는, 표시 영역의 확대에 수반하여 액연(額緣)부분(기판의 잉여부분)을 가능한 한 좁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고분할 구동방식 등에 대응해서 단자수도 증대하는 경향에 있기 때문에, 기판의 모서리 부분을 유효하게 이용한다고 하는 발상은 없고 본 발명에서 독자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동심원 모양으로 2개의 전극(20, 21)을 형성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보다 다계조(多階調)로 분할해서 형성해도 좋다. 또 전극의 배치패턴은 동심원 모양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좌우로 분할한 전극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광디스크의 휘어짐 등에 의해 발생하는 코마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대향하는 기판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쌍에 한하지 않고, 그 이상의 기판이 액정을 사이에 두면서 적층하여 있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단자, 및 액정의 주입구는, 일방의 기판(10)에 집중해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판(10)과 기판(11)에 나누어서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공통전극인 전극(22)에 접속하는 단자를 기판(11)측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1의 예에서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전극(20) 및 전극(21)의 패턴을 각 단자에 직접 접속하도록 형성하고 있지만, 그 외에도 예를 들면 닫힌 원형영역으로 되는 각 전극패턴을 형성한 후에 각각의 전극과 각 단자를 리드선 등에서 접속해도 좋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10)의 두께방향에는 구멍(30A, 30B, 30C, 30D)이 뚫어지고, 그것들의 구멍에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공통전극과, 전극(23, 24, 25)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31A, 31B, 31C, 31D)가 각각 마련되어져 있다. 또한 액정은, 소자 측면의 기판간의 틈으로 주입되고, 주입구는 봉지부(51)에 의해 봉지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단자가, 기판(10)에 있어서의 4개의 모서리부분(101)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자 자체의 중량 밸런스가 가장 뛰어나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같다.
이상과 같은 액정수차보정소자(1)는, 예를 들면 레이저광원, 편광자, 1/2파장판, 1/4파장판, 대물렌즈, 수광소자 등과 함께 광픽업을 구성하고, 광디스크 장 치에 조합되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수차보정소자는, 소형경량이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제어가 요구되는 차세대BD(Blu-ray Disc)나, 다층 디스크 등의 고밀도 광디스크에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액정수차보정소자의 제조방법을 도4~도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제조방법은, 상기 제1실시예에 나타나는 소자에 대해서 적합하게 채용되는 것이다.
우선, 도4 및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등을 마련하는 기판측(기판(10)측)에 대해서는, 모재가 되는 기판(100)에, 다수 개의 액정수차보정소자에 대응시킨 구멍(30A, 30B, 30C)과, 액정의 주입구(32)를 형성하고(S1O1), 각각의 구멍에 단자(31A, 31B, 31C)를 마련한다(S1O2). 각 단자를 마련할 때에는,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멍 이외의 부분에 마스크(70)를 형성한 다음에, 단자가 되는 금속을 도금 등에 의해 형성한 후, 마스크(70)를 제거함으로써 적합하게 행하여진다.
계속해서, 소정의 위치에 전극재를 증착 등에 의해 형성하고(S1O3), 에칭 등에 의한 패터닝을 행해 전극(20, 21)을 제작한다(S1O4). 이 상태를 도8에 도시한다. 또, 상기의 단자를 마련하는 공정과,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은 전후해도 좋다.
다음에 투명절연층을 필요에 따라서 적층시킨 후, PVA 등의 액정배향막을 형성하고, 러빙을 행한다(S1O5). 또한 액정을 봉입하기 위한 밀봉재(50)를 인쇄 등에 의해 전극(20)의 외측에 마련한다(S1O6). 이 상태를 도9에 도시한다.
한편, 대향시키는 별도의 기판(기판(11)측)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이 모재로 되는 기판에 대하여 전극을 형성하고(S201), 패터닝을 행해서 공통전극(전극(22))으로 한다(S202). 또한 액정배향막을 형성하여 러빙을 행하고(S203), 공통전극과 단자를 접속하기 위한 도통재를 인쇄 등에 의해 마련한다(S204).
그리고, 상기의 단자 등을 형성한 기판과, 공통전극 등을 형성한 별도의 기판을 대향시켜서 조합시킨다(S301). 이 공정은, 스페이서를 통해서 접착제로 접합시키는 등으로 해서 행하여진다.
계속해서, 주입구(32)로부터 밀봉재(50)의 내측에 액정을 주입하고(S302), 봉지(封止)한다. 그리고, 모재로 되는 기판(100) 위에 배열한 각 단자를 사용하여 소자의 동작검사를 행한다(S303). 검사가 불합격이었던 장소에 관해서는 NG마킹을 행한다(S305). 그 후에 모재로 되는 기판의 전면에 반사방지막(AR막)을 형성한다(S304). AR 막은, 기판(10)측 또는 기판(11)측의 어느 일방에 형성해도 좋고, 양쪽에 형성해도 좋다
최후에,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재로 되는 기판을 다이서 등을 사용하여 개개의 액정수차보정소자(1)로 잘라 나누고(S307), 단품의 검사공정(S307)을 거친 후에 출하한다(S308). 또, 단품의 검사에 있어서 불합격이 된 소자는, 폐기 또는 수리하든지, 또는 재생공정으로 옮겨진다(S309).
이상과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면, 각 단자나 전극의 형성, 및 액정의 주입공정 등이 개개의 소자로 잘라 나누기 전의 모재의 상태에서 모두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효율이 대단히 높고 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생산규모의 확대에도 용이하게 대응가능하다.
또한, 액정을 주입봉지한 후에 행하여지는 검사공정(S302)도 모재의 상태에서 일제히 행하여지기 때문에 산업상 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액정수차보정소자는,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광픽업에서의 기록재생시에 생기는 수차를 보정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전극이 형성된 다수의 기판과, 상기 다수의 기판 사이에 끼워지고 밀봉재에 의해 내측에 봉입된 액정을 가지고, 상기 액정이 마련된 영역 내에 광속이 통과하는 액정수차보정소자로서, 상기 다수의 기판의 적어도 하나에는 두께방향으로 구멍이 뚫어지고, 상기 구멍에는 상기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가 마련되어지는 동시에, 상기 구멍이 뚫어진 기판에는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 및 상기 주입구가 광속이 통과하는 영역 이외의 잉여부분에 마련된 액정수차보정소자.
  2. 전극이 형성된 다수의 기판과, 상기 다수의 기판 사이에 끼워지고 밀봉재에 의해 내측에 봉입된 액정을 가지고, 상기 액정이 마련된 영역 내에 광속이 통과하는 액정수차보정소자로서, 상기 다수의 기판 중 하나의 기판에는 두께방향으로 구멍이 뚫어지고, 상기 구멍에는 상기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가 마련되어지는 동시에, 상기 구멍이 뚫어진 기판에는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 및 상기 주입구가 광속이 통과하는 영역 이외의 잉여부분에 마련된 액정수차보정소자.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판이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있어서의 광속이 통과하는 원형영역 이외의 모서리부 부근에 구멍이 뚫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수차보정소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액정수차보정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모재로 되는 기판에, 다수 개의 액정수차보정소자에 대응시킨 단자 및 주입구를 형성하는 공정과,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의 단자, 주입구, 및 전극을 형성한 기판에 대하여 전극을 형성한 별도의 기판을 조합시키는 공정과, 조합시킨 후에 주입구로부터 액정을 주입하는 공정과, 개개의 액정수차보정소자로 잘라 나누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수차보정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67006257A 2003-10-14 2004-09-24 액정수차보정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61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53771 2003-10-14
JP2003353771 2003-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637A KR20060057637A (ko) 2006-05-26
KR100761951B1 true KR100761951B1 (ko) 2007-10-02

Family

ID=3443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257A KR100761951B1 (ko) 2003-10-14 2004-09-24 액정수차보정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08945B2 (ko)
KR (1) KR100761951B1 (ko)
CN (1) CN100394256C (ko)
WO (1) WO20050362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574A (ja) * 2007-02-20 2008-09-04 Binit:Kk 液晶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375352B (zh) * 2008-06-06 2018-10-12 兰斯维克托公司 可调谐液晶光学装置及制造可调谐液晶光学装置的方法
JP5491903B2 (ja) * 2010-02-24 2014-05-14 株式会社スマートセンシング 多層構造液晶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48117B2 (ja) * 2010-10-15 2012-10-17 株式会社びにっと 液晶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570520B (zh) * 2014-12-31 2017-12-26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液晶透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0656A (ja) * 2002-03-13 2003-09-25 Citizen Watch Co Ltd 液晶光学素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728B2 (ja) * 1979-12-26 1983-02-26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光学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S5810728A (ja) * 1981-07-14 1983-01-21 Kyocera Corp 自動調光制御回路
JPS62106219A (ja) * 1985-11-05 1987-05-16 Babcock Hitachi Kk 流動層火炉ドラフトの振れ防止装置
JPS62106219U (ko) * 1985-12-25 1987-07-07
DE68908221T2 (de) * 1988-03-25 1993-12-23 Guest John D Herstellungsverfahren für Rohrkupplungsgehäuse.
JPH0248927U (ko) * 1988-09-30 1990-04-05
JPH08171095A (ja) * 1994-12-16 1996-07-02 Sanyo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H09146120A (ja) * 1995-11-27 1997-06-06 Sanyo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0122078A (ja) * 1998-10-21 2000-04-28 Canon Inc 液晶セルと液晶表示装置
JP2000214424A (ja) * 1999-01-27 2000-08-04 Citizen Watch Co Ltd 旋光光学素子パネルの製造方法
JP3493335B2 (ja) * 1999-07-07 2004-02-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学素子、光ヘッド及び光記録再生装置
JP4733868B2 (ja) * 2000-07-24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ヘッドと光記録再生装置
JP3915379B2 (ja) * 2000-07-31 2007-05-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0656A (ja) * 2002-03-13 2003-09-25 Citizen Watch Co Ltd 液晶光学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7858A (zh) 2006-11-22
CN100394256C (zh) 2008-06-11
WO2005036243A1 (ja) 2005-04-21
JP4008945B2 (ja) 2007-11-14
KR20060057637A (ko) 2006-05-26
JPWO2005036243A1 (ja)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9381B2 (en) Liquid-crystal optical element, camera using the same, and optical pickup device using the same
KR100761951B1 (ko) 액정수차보정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03340B1 (ko) 이중액정수차보정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5491903B2 (ja) 多層構造液晶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39396B2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複数の基板の分断方法
JP5647887B2 (ja) 多重構造液晶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73657B1 (ko) 광학 줌 기능을 갖는 액정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1175104A (ja) 多層構造液晶光学素子および液晶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7114721A (ja) 複層液晶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08944B2 (ja) 液晶収差補正素子
JP2011164427A (ja) 多層構造液晶光学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レンズ
JP4370723B2 (ja) 光ヘッド装置
JP2005222586A (ja) 位相変調用光学素子および光学装置
JP4337255B2 (ja) 光ヘッド装置
JP2005292326A (ja) 液晶素子
JP2003270656A (ja) 液晶光学素子
KR100818481B1 (ko) 내측 전극 패턴을 구비한 액정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WO2012049981A1 (ja) 液晶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81142A (ja) 液晶収差補正素子
JP2007248986A (ja) 液晶収差補正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50197A (ja) 液晶光学素子及びこれを備えた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5003985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6058713A (ja) 液晶光学素子及び光ヘ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