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839B1 -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및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광학적정보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및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광학적정보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839B1
KR100760839B1 KR1020037003706A KR20037003706A KR100760839B1 KR 100760839 B1 KR100760839 B1 KR 100760839B1 KR 1020037003706 A KR1020037003706 A KR 1020037003706A KR 20037003706 A KR20037003706 A KR 20037003706A KR 100760839 B1 KR100760839 B1 KR 100760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recording
information
information recording
record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3060A (ko
Inventor
나루미켄지
니시우치켄이치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3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7Power calib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38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11B2007/001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for carriers having multiple discrete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eccentricity of the disc or disc tra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는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재생 전용 영역 및 기록 재생 영역 중 적어도 한 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테스트 기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 전용 영역 또는 상기 기록 재생 영역 중 어느 한 쪽이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재생 전용 영역 및 기록 재생 영역 중 적어도 한 쪽과 상기 테스트 영역이 배치된다.
제 1 정보 기록층, 제 2 정보 기록층, 재생 전용 영역, 기록 재생 영역, 테스트 영역

Description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및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학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로서, 광 디스크, 광 카드, 광 테이프 등이 제안·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광 디스크는 대용량이고 또한 고밀도로 정보를 기록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로서 주목받고 있다.
재기록형 광 디스크의 한 방식에 상 변화형 광 디스크가 있다. 상 변화형 광 디스크에 사용하는 기록막은 레이저광에 의한 가열 조건 및 냉각 조건에 의해 어몰퍼스 상태와 결정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가역적으로 변화한다. 어몰퍼스 상 태와 결정 상태에서는 기록막의 광학 정수가 다르기 때문에, 상 변화형 광 디스크에서는 기록해야 할 정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2개의 상태를 기록막에 형성시켜, 이 결과 생기는 광학적 변화(즉, 투과율 또는 반사율의 변화)를 이용한다. 이로써, 정보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상태를 얻기 위해,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정보가 기록된다.
기록막의 온도를 융점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파워로 광 디스크의 기록막에 펄스형(이것을 기록 펄스라 부른다) 레이저광을 조사시키면, 레이저광의 통과와 함께 기록막의 용융 부분은 급속히 냉각되어 어몰퍼스 상태의 기록 마크가 된다. 또한, 기록막의 온도를 결정화 온도 이상 융점 이하의 온도까지 상승시킬 정도의 파워의 레이저광을 집속하여 조사하면, 그러한 레이저광이 조사된 기록막은 결정 상태가 된다.
여기서, 광 디스크는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하여 교환 가능한 기록 매체이기 때문에,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는 다른 복수의 광 디스크에 대하여 안정되게 기록 재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된 광 디스크여도, 제조 시의 격차 및/또는, 짧은 시간의 변화에 의해 광 디스크의 열적 특성이 다르면, 기록 마크 자신의 형성 상태나 기록 마크간의 열 간섭의 영향이 다르다. 따라서, 광 디스크에의 기록 파워 및 기록 펄스의 최적의 에지 위치 등의 기록 조건이 다를 가능성이 생긴다.
이러한 기록 조건의 변동에 영향받지 않고 정보를 안정되게 기록하기 위해,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는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기 전에 기록 조건을 구한 다. 구체적으로는,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는 광 디스크에 기록해야 할 정보를 기록하기 전에, 특정한 데이터 패턴(이것을 테스트 정보라 한다)에 의한 테스트 기록을 한 후에, 그 테스트 정보를 재생하여, 그 재생된 신호를 측정하여 기록 조건을 구한다. 이 공정은 테스트 기록이라 불린다. 또한, 광 디스크에는 테스트 기록에서 사용하기 위한 영역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영역은 테스트 기록 영역이라 불린다.
재기록형 광 디스크의 특정 부분에는 요철의 위상 피트로 이루어지는 재생 전용 영역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재생 전용 영역에는 광 디스크 자신의 정보 및 어드레스 정보 등, 재기록할 필요가 없는 정보가 기록된다. 이 영역은 엠보스 영역이라고도 불린다.
이에 대하여, 기록 마크를 형성함으로써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은 기록 재생 영역이라 불린다. 기록 재생 영역에는 재기록될 가능성이 있는 정보가 기록된다.
일반적인 재기록형 광 디스크에서는 데이터 영역을 디스크 중간 둘레 부분에 설치하고, 데이터 영역의 내주에 리드 인 영역, 데이터 영역의 외주에 리드 아웃 영역이라 불리는 영역을 설치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리드 인 영역 및 리드 아웃 영역의 내부에는 광 디스크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 및/또는 테스트 기록 영역이 설치된다.
최근, 광 디스크의 고밀도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에 따라, 디스크의 두께 방향으로 2층 이상의 정보 기록층을 갖고, 각 정보 기록층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다층 기록 매체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다층 기록 매체에서는, 각각의 정보 기록층이 다른 기록 특성을 갖는 것이 많다. 그 때문에, 다층 기록 매체에서는 각 정보 기록층마다 테스트 기록을 행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 방법의 일례가 일본 특개평 11-3550호 공보에서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방법에서는, 다층 기록 매체의 레이저 입사면에서 보다 먼 정보 기록층(이하, 제 2 정보 기록층)에 테스트 기록을 행할 경우, 제 2 정보 기록층은 제 2 정보 기록층보다도, 보다 레이저 입사면에 가까운 정보 기록층(이하, 제 1 정보 기록층) 상태의 영향을 받는 것이 고려되지 않았었다.
제 2 정보 기록층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은 그 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의 어떠한 영역을 통과하여 왔는지에 의해 불균일해지는 일이 있다. 그 결과, 테스트 기록을 행하여도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할 수 없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그 정보 기록층의 광 투과율이 다르기 때문에,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때문에 사용되는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스폿에 차지하는 미기록 영역과 기록 영역의 비율에 의해, 제 2 정보 기록층에 도달하는 레이저광의 광량이 변화되어버리기 때문에, 정확한 기록 조건이 구해지지 않는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기록 재생 영역 중의 미기록 영역의 투과율과 재생 전용 영역의 투과율은 동등하다고 간주할 수 있지만, 기록 재생 영역 중의 기록 영역의 투과율은 재생 전용 영역의 투과율과 다르다. 따라서, 제 2 정보 기록층에서 테스트 기록을 행할 경우, 제 1 정보 기록층의 레이저광의 스폿에 차지하는 재생 전용 영역과 기록 재생 영역(나아가서는, 기록 재생 영역 내의 기록 영역과 미기록 영역)의 비율에 따라서도, 제 2 정보 기록층에 도달하는 레이저광의 광량이 변화한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더욱이, 테스트 기록 뿐만 아니라, 제 2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예를 들면, 유저 데이터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도 테스트 기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1 정보 기록층 상태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기록하지 못하고, 기록한 정보를 재생할 때의 신호 품질이 저하하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2층 또는 그 이상의 정보 기록층을 갖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의 최적 기록 조건을 정확하게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혹은, 2층 또는 그 이상의 정보 기록층을 갖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의 정보 기록층에 정확하게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는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재생 전용 영역 및 기록 재생 영역 중 적어도 한 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테스트 기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 전용 영역 또는 상기 기록 재생 영역 중 어느 한 쪽이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재생 전용 영역 및 기록 재생 영역 중 적어도 한 쪽과 상기 테스트 영역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을 분리하는 분리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
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d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의 거리이고, n은 상기 분리층의 굴절율이며, NA는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집속(集束)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이어도 된다.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끝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길이(δ)까지 떨어진 영역에 배치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을 가져도 된다.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로, 여기서, δm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이어도 된다.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끝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길이(δ')까지 떨어진 영역에 배치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을 가져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는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소정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테스트 기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영역이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소정의 영역 및 상기 테스트 영역은 배치되며, 상기 소정의 영역은 모두 기록 상태 또는 모두 미기록 상태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미기록 상태인 소정의 영역은 기록 금지 영역이어도 된다.
상기 미기록 상태인 소정의 영역은 미러 영역이어도 된다.
상기 미기록 상태인 소정의 영역은 리드 인 영역이어도 된다.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을 분리하는 분리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
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d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의 거리이고, n은 상기 분리층의 굴절율이며, NA는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이어도 된다.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끝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길이(δ)까지 떨어진 영역에 배치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을 가져도 된다.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이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이고, 여기서, δm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이어도 된다.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끝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길이(δ')까지 떨어진 영역에 배치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을 가져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는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테스트 기록 영역과 기록 재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 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의 투과율이 상기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의 투과율과 다르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 또는 상기 기록 재생 영역의 적어도 한 쪽이 최적의 기록 조건을 산출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및 제 2 정보 기록층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영역에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는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재생 전용 영역 및 제 1 기록 재생 영역 중 적어도 한 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제 2 기록 재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 전용 영역 또는 상기 제 1 기록 재생 영역 중 어느 한 쪽이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재생 전용 영역 및 상기 제 1 기록 재생 영역 중 적어도 한 쪽과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을 분리하는 분리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
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d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의 거리이고, n은 상기 분리층의 굴절율이며, NA는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에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이어도 된다.
상기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이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이고, 여기서, δm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이어도 된다.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의 재생 전용 영역의 면적이 제로여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는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을 분리하는 분리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과 불균일 광 방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과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의 간격이 길이(δ)보다 커지고, 또한, 상기 불균일 광 방지 영역이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불균일 광 방지 영역과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과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은 배치되며,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
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d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의 거리이고, n은 상기 분리층의 굴절율이며, NA는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에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이다.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제 1 리드 인 영역 및 제 1 리드 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한 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제 2 리드 인 영역 및 제 2 리드 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한 쪽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리드 인 영역 및 상기 제 2 리드 인 영역, 또는 상기 제 1 리드 아웃 영역 및 상기 제 2 리드 아웃 영역 중 어느 한 쪽이 상기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 및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을 각각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의 상기 불균일 광 방지 영역은 재생 전용 영역이어도 된다.
상기 불균일 광 방지 영역은 재생 전용 영역과 기록 금지 영역과 미러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 적어도 1개로 이루어지는 영역이어도 된다.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이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이고, 여기서, δm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이어도 된다.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이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이고, 여기서, δm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이어도 된다. ·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은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를 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으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재생 전용 영역 및 기록 재생 영역 중 적어도 한 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테스트 기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은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에 미리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미리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후에,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을 분리하는 분리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
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d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의 거리이고, n은 상기 분리층의 굴절율이며, NA는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에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이어도 된다.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의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이고, 여기서, δm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이어도 된다.
상기 미리 기록하는 정보는 더미 정보를 변조함으로써 얻어지는 정보여도 된다.
상기 미리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검증(certify) 공정을 사용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은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를 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으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재생 전용 영역 및 기록 재생 영역 중 적어도 한 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테스트 기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은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이 상기 재생 전용 영역 또는 상기 기록 재생 영역 중 미기록 상태의 영역인지 또는 상기 기록 재생 영역 중 기록 상태의 영역인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있어서 테스트 기록을 실행하여, 기록 조건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 결과 및 구해진 상기 기록 조건에 근거하여, 제 2 정보 기록층에 대한 최적의 기록 조건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을 분리하는 분리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
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d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의 거리이고, n은 상기 분리층의 굴절율이며, NA는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에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이어도 된다.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이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이고, 여기서, δm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이어도 된다.
상기 최적인 기록 조건의 산출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및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 중 특정 영역에 기록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는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를 위한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로,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테스트 기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을 판별하는 간섭 영역 판별부와,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이 기록 상태인지 미기록 상 태인지를 판별하는 기록 상태 판별부와, 상기 간섭 영역 판별부와 상기 기록 상태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의 외관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제 1 정보 기록층 및 제 2 정보 기록층의 포맷도.
도 4는 비교예의 제 1 정보 기록층 및 제 2 정보 기록층의 포맷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1 정보 기록층에서의 스폿 길이(즉,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포맷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포맷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제 2 정보 기 록층의 포맷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를 작성하기 위한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의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련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포맷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련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포맷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련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포맷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 기록층의 포맷도.
도 14는 제 8 실시예에 관련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포맷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실시예는 테스트 기록으로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하는 것이 가능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100)의 외관도를 도시한다. 이하,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100)의 구체예로서 광 디스크(100)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학적 기록 정보 매체(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광 디스크(100)는 다층 기록 매체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 디스크(100)는 입사면(110)과, 제 1 정보 기록층(120)과, 제 2 정보 기록층(130)과, 제 1 정보 기록층(120)과 제 2 정보 기록층(130)을 분리하는 분리층(150)을 구비한다.
제 1 정보 기록층(120)과 제 2 정보 기록층(130)은 각각 제 1 기판(140)과 제 2 기판(145)에 홈 또는 위상 비트를 미리 형성하고, 그 위에 보호막, 기록막, 반사막 등을 성막해 감으로써 작성된다. 성막한 제 1 기판(140) 및 성막한 제 2 기판(145)을 자외선 경화 수지 등에 의해 접착하여 분리층(150)을 형성한다. 분리층(150)에 의해, 제 1 정보 기록층(120)과 제 2 정보 기록층(130)은 분리되어 있다.
레이저광(170)은 대물렌즈(160)에 의해 집속된 레이저광(170)이 입사면(110) 측에서 입사하여, 레이저광(170)에 의해 정보 기록층에 정보가 기록된다. 도 1은 제 1 정보 기록층(120)을 통과한 레이저광(170)에 의해 정보가 제 2 정보 기록층(130)에 기록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광 디스크(100)의 포맷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제 1 정보 기록층(120) 및 제 2 정보 기록층(130)의 포맷도이다. 도 3에서는 광 디스크(100)의 디스크 중심에서 반경 방향을 따른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광 디스크(100)의 중심을 반경 방향(0)으로 도시한다. 반경 방향은 광 디스크(100)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도시한다. 도면의 왼쪽 방향이 광 디스크(100)의 내주 측, 오른쪽 방향이 광 디스크(100)의 외주 측을 도시한다. 도 3에 있어서, 도면의 아래 방향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제 1 정보 기록층(120)은 제 1 재생 전용 영역(ROM; 122)과, 제 1 기록 재생 영역(RAM; 124)을 포함한다. 제 1 기록 재생 영역(124)은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TEST; 126)과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DATA; 128)을 포함한다. 도 1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120)은 내주로부터 제 1 재생 전용 영역(122),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126),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128)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정보 기록층(130)은 제 2 재생 전용 영역(ROM; 132)과 제 2 기록 재생 영역(RAM; 134)을 포함한다. 제 2 기록 재생 영역(134)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TEST; 136)과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DATA; 138)을 포함한다. 제 2 재생 전용 영역(132)과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 사이의 영역(133)은 예를 들면, 사용하지 않는 미사용 영역이다. 도 1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120)은 내주로부터 제 2 재생 전용 영역(132), 미사용 영역(133),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138)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재생 전용 영역(122) 및 제 2 재생 전용 영역(132)에는 정보를 도시하는 위상 비트열이 형성된다. 제 1 기록 재생 영역(124) 및 제 2 기록 재생 영역(134)에는 정보를 도시하는 홈이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재생 전용 영역은 광 디스크 자신의 정보 및 어드레스 정보 등, 재기록할 필요가 없는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그에 대하 여, 기록 재생 영역은 재기록될 가능성이 높은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렇게, 재생 전용 영역과 기록 재생 영역이란 정보의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형태로 정보를 기록한다. 재생 전용 영역은 재기록될 필요성이 없는 정보가 기록되기 때문에, 위상 비트열에 의해 기판 성형과 동시에 정보를 기록한다. 한편, 기록 재생 영역은 재기록될 가능성이 높은 정보가 기록되기 때문에, 홈 상에 성막된 기록막에 정보가 기록 마크 형태로 기록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테스트 기록 영역은 그 테스트 기록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데이터 기록 영역은 유저 데이터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정보 기록층(120) 및 제 2 정보 기록층(130)은 디스크 중심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또한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의 정보 기록층이 2층인 경우,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의 입사 측에 의해 가까운 정보 기록층을 제 1 정보 기록층이라 부르고,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의 입사 측에서 보다 먼 정보 기록층을 제 2 정보 기록층이라 부른다. 단,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의 정보 기록층은 2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정보 기록층을 갖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광 디스크(100)의 포맷을 설명한다.
제 1 기록 재생 영역(124)은 제 1 정보 기록층(120)에 있어서, 광 디스크(100)의 중심에서 반경(r1)의 위치로부터 외주에 걸쳐 설치된다.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은 제 2 정보 기록층(130)에 있어서, 반경(r2)의 위치로부터 길이(a)의 영역을 갖도록 설치된다.
제 1 기록 재생 영역(124)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개시점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개시점에 비하여 길이(δ)만큼 짧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점이란 어느 영역 중 가장 반경이 짧은 지점, 종료점이란 어느 영역 중 가장 반경이 긴 지점을 도시한다.
여기서, 제 2 정보 기록층(130)의 테스트 기록을 행하기 위해,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에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상정한다.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170)은 제 1 정보 기록층(120)을 통과한다. 레이저광(170)은 집속되어 입사되기 때문에, 레이저광(170)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스폿; 175)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보다 넓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 디스크(100)는 제 1 기록 재생 영역(124)이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170)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17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제 1 기록 재생층(124)의 개시점을 제 2 테스트 기록 재생 영역의 개시점보다 상술한 길이(δ)만큼 짧게 하고 있다. 도 3에서는,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의 내주 측만을 고려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있어서는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126)의 개시점보다 외주 측은 모두 제 1 기록 재생 영역(124)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의 외주 측에 입사되는 레이저광(170)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에 집속되는 레이저광(170)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120) 내의 영역(175)의 길이는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과 대응하는 길이(a)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이 대응하는 영역의 각각의 끝으로부터 내주 측 및 외주 측으로의 길이(δ)와의 합에 상당한다. 즉, 영역(175)의 길이는 길이(δ+a+δ)로 표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δ)는 제 1 정보 기록층(120)에 있어서 레이저광(170)이 넓어지고 있는 것에서 기인한다. 제 1 기록 재생 영역(124)이 적어도 이 영역(175)을 포함하도록 제 1 기록 재생 영역(124) 및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을 배치하면,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을 사용하여 테스트 기록을 행할 때에, 레이저광(170)은 제 1 정보 기록층(120) 중 제 1 기록 재생 영역(124)만을 통과한다.
제 2 정보 기록층(130)의 테스트 기록을 행할 때에, 제 1 정보 기록층(120) 중 제 1 기록 재생 영역(124)만을 레이저광(170)이 통과하도록 제 1 기록 재생 영역(124) 및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을 배치하는 것은 이하의 이유에서 비롯한다.
기록 재생 영역과 재생 전용 영역과는 다른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기록 재생 영역의 투과율이 재생 전용 영역의 투과율과 다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레이저광이 정보 기록층의 재생 전용 영역과 기록 재생 영역 양쪽을 통과하면, 각각의 영역을 통과하여 제 2 정보 기록층에 도달하는 광량에 차이가 생겨버린다.
일반적으로, 기록 재생 영역 중 미기록 영역의 투과율은 재생 전용 영역의 투과율과 동등하다고 간주할 수 있지만,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기록 재생 영역 중 기록 영역의 투과율은 재생 전용 영역의 투과율과 다르다. 그 결과, 제 1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이 기록 상태인 경우에, 제 1 정보 기록층(120)의 재생 전용 영역(122)과 기록 재생 영역(124)에서 투과율이 다르기 때문이다.
기록 재생 영역은 기록 마크(어몰퍼스)가 형성된다. 기록 마크가 형성되면, 기록 재생 영역의 투과율이 증대하는 경우와 감소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하에서는 증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때에는 기록 재생 영역에 있어서의 투과 광량은 재생 전용 영역보다도 커진다.
비교를 위해, 도 4에 제 1 정보 기록층의 포맷이 제 2 정보 기록층의 포맷과 동일한 광 디스크(40O)의 포맷도를 도시한다.
광 디스크(400)는 제 1 정보 기록층(420)과, 제 2 정보 기록층(430)과, 제 1 정보 기록층(420)과 제 2 정보 기록층(430)을 분리하는 분리층(450)을 구비한다.
제 1 정보 기록층(420)은 제 1 재생 전용 영역(ROM; 422)과 제 1 기록 재생 영역(RAM; 424)을 포함한다. 제 1 기록 재생 영역(424)은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TEST; 426)과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DATA; 428)을 포함한다.
제 2 정보 기록층(430)은 제 2 재생 전용 영역(ROM; 432)과 제 2 기록 재생 영역(RAM; 434)을 포함한다. 제 2 기록 재생 영역(434)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TEST; 436)과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DATA; 438)을 포함한다.
비교예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420)의 포맷은 제 2 정보 기록층(430)의 포맷과 동일하기 때문에, 제 1 기록 재생 영역(424)의 개시점(r1')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436)의 개시점(r2')과 같다.
이 경우, 제 2 정보 기록층(430)의 테스트 기록을 위해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436)의 최내주 측(즉,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436)의 좌단)에 레이저광(470)이 조사되면, 레이저광(470)의 제 1 정보 기록층(420) 내의 스폿의 반은 제 1 재생 전용 영역(422)을 투과하고 있다.
그 결과, 제 1 정보 기록층(420)을 통과하여 제 2 정보 기록층(430)에 도달하는 레이저광(470)의 광량은 제 1 재생 전용 영역(422) 및 제 2 기록 재생 영역(424) 양쪽을 통과할 때에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정확한 테스트 기록을 행할 수 없다.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영역의 광 투과율이 재생 전용 영역의 광 투과율보다도 큰 경우, 재생 전용 영역을 통과하는 레이저광의 기록 파워를 보다 높게 한 결과를 원하는 기록 파워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436)의 최내주(즉, 도 4의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436)의 좌단)에서 파워 학습을 위한 테스트 기록을 행하면, 적정한 기록 파워보다도 높은 기록 파워를 테스트 기록 결과로 해버리기 때문에, 실제의 데이터 정보 기록 시에 과대한 파워로 기록하게 된다.
더구나,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436)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470) 전체에 대한 제 1 재생 전용 영역(422)을 투과하는 레이저광의 비율에 의해, 제 2 정보 기록층(430)까지 도달하는 레이저광(470)의 광량은 변화한다. 그 결과,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436) 중 정보를 기록하는 위치에 의해 테스트 기록 결과가 달라 져버린다.
이에 대하여, 도 3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에서의 포맷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 중 어느 하나의 장소에서 테스트 기록을 행하여도, 레이저광(170)이 제 1 재생 전용 영역(122)의 영향을 받는 일은 없다. 따라서, 테스트 기록에 의해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5를 사용하여, 제 1 정보 기록층(120)에서의 스폿(175)의 넓이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제 2 정보 기록층(130)에 레이저광(170)을 집속하였을 때의 제 1 정보 기록층(120)에 있어서의 스폿(175) 길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제 2 정보 기록층(130)의 집속점(172)에 레이저광(170)을 집속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집속점(172)에 레이저광이 집속되는 각도(θ)는,
θ=sin-1(NA/n)
이 된다. 제 1 정보 기록층(120)과 제 2 정보 기록층(130)의 두께 방향의 거리를 d, 대물렌즈(160)의 개구율을 NA, 분리층(150)의 굴절율을 n으로 하면, 제 1 정보 기록층(120)에 있어서의 스폿(175)의 반경(δ)은,
δ=d·tanθ=d·tan(sin-1(NA/n))
이라 표현된다.
이렇기 때문에, 도 3에 있어서의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126)의 개시점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의 개시점보다도 적어도 위 식에서 도시하는 길이(δ)만큼 떨어져 있으면, 제 1 기록 재생 영역(124)은 레이저광(170)에 의한 제 1 정보 기록층(120) 내의 스폿(175)을 포함한다. 따라서, 테스트 기록에 의해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100)는 제 1 기록 재생 영역(124)이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에 정보를 기록하는 레이저광(170)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120) 내의 영역(175)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테스트 기록에 의해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에서는 제 2 재생 전용 영역(132)과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6) 사이를 미사용 영역(133)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사용 영역(133)을 제 3 데이터 기록 영역(137)으로 치환하여도 된다. 이 때, 제 3 데이터 기록 영역(137)의 길이는 적어도 길이(δ) 설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광 디스크(600)는 미사용 영역(133)을 제 3 데이터 기록 영역(137)으로 치환한 점을 제외하고, 도 3에 도시한 광 디스크(100)의 포맷과 같다. 이 포맷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되는 광 디스크(100)와 비교하여 데이터 기록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정보 기록층의 중심이 어긋나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실제로 다층 기록 매체를 제작할 경우, 복수의 정보 기록층을 접착하는 공정에서 정보 기록층의 위치에 어긋남이 생기는 일이 있다. 이렇게 정보 기록층간의 위치 어긋남에서 기인하여, 테스트 기록 영역의 개시점에 어긋남이 생기는 경우, 제 1 실시예에서 고려한 어긋남의 길이(δ)만으로는 부족하다. 본 실시예를 적용함으로써, 2개의 정보 기록층이 광 디스크의 중심에서 어긋나 배치되어버리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제 1 정보 기록층(720)과 제 2 정보 기록층(730) 사이에 δm의 위치 어긋남이 존재하는 경우의 광 디스크(700)의 포맷도이다.
광 디스크(700)는 제 1 정보 기록층(720)과, 제 2 정보 기록층(730)과, 제 1 정보 기록층(720)과 제 2 정보 기록층(730)을 분리하는 분리층(750)을 구비한다.
제 1 정보 기록층(720)은 제 1 재생 전용 영역(ROM; 722)과, 제 1 기록 재생 영역(RAM; 724)을 포함한다. 제 1 기록 재생 영역(724)은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TEST; 726)과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DATA; 728)을 포함한다. 도 7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720)은 내주로부터 제 1 재생 전용 영역(722),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726),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728)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정보 기록층(730)은 제 2 재생 전용 영역(ROM; 732)과 제 2 기록 재생 영역(RAM; 734)을 포함한다. 제 2 정보 기록층(730)은 미사용 영역(733)을 포함하여도 된다. 제 2 기록 재생 영역(734)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TEST; 736)과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DATA; 738)을 포함한다. 도 7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730)은 내주로부터 제 2 재생 전용 영역(732), 미사용 영역(733), 제 2 테 스트 기록 영역(736),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738)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720) 및 제 2 정보 기록층(730)의 디스크 중심을 기준으로 정의한 경우의 제 1 기록 재생 영역(724),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732)의 개시점의 어긋남(δ')은,
δ'=r2-r1=δ+δm=d·tan(sin-1(NA/n))+δm
이라 표현된다. 이것은 제 1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제 1 정보 기록층(720)에 있어서의 스폿(725)의 길이(δ)에, 제 1 정보 기록층(720) 및 제 2 정보 기록층(730)과의 위치 어긋남의 길이(δm)를 가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 1 기록 재생 영역(724)의 개시점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736)의 개시점보다도 적어도 위 식에서 도시하는 길이(δ')만큼 떨어져 있으면, 제 1 정보 기록층(720)과 제 2 정보 기록층(730) 사이에 길이(δm)의 위치 어긋남이 생겨 있어도, 제 1 기록 재생 영역(724)은 제 1 정보 기록층(720)에 있어서의 레이저광(770)의 스폿(775)을 포함한다.
즉, 제 1 정보 기록층(720) 및 제 2 정보 기록층(730)의 디스크 중심을 기준으로 정의하여 생각하면, 제 1 기록 재생 영역(724)이 영역(775)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영역(775)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736)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770)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720) 내의 영역이다. 영역(775)의 길이는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736)에 대응하는 길이(a)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736) 끝의 각각으로부터의 길이(δ')와의 합이 필요하다(즉, 제 1 정보 기록 층(720)에 있어서의 길이(δ'+a+δ')). 제 1 기록 재생 영역(724)이 영역(775)을 포함하도록 제 1 기록 재생 영역(724)과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736)을 배치하면, 테스트 기록에 의해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이 기록 상태 영역인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 디스크(800)의 포맷도이다.
광 디스크(800)는 제 1 정보 기록층(820)과, 제 2 정보 기록층(830)과, 제 1 정보 기록층(820)과 제 2 정보 기록층(830)을 분리하는 분리층(850)을 구비한다.
제 1 정보 기록층(820)은 제 1 재생 전용 영역(822)과, 제 1 기록 재생 영역(824)을 포함한다. 제 1 기록 재생 영역(824)은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826)과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828)을 포함한다. 도 1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820)은 내주로부터 제 1 재생 전용 영역(822),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826),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828)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정보 기록층(830)은 제 2 재생 전용 영역(832)과 제 2 기록 재생 영역(834)을 포함한다. 제 2 기록 재생 영역(834)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836)과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838)을 포함한다. 제 2 재생 전용 영역(832)과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836) 사이의 영역(833)은 예를 들면, 사용하지 않는 미사용 영역으 로 하여도 된다. 도 8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820)은 내주로부터 제 2 재생 전용 영역(832), 미사용 영역(833),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836),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838)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 디스크(800)에서는 제 1 기록 재생 영역(824)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836)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870)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820) 내의 기록 상태 영역(875)을 포함한다. 기록 상태 영역(875)은 영역 내의 전부가 기록 상태이다. 기록 상태 영역(875)의 길이는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836)에 대응하는 길이(a)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836) 끝의 각각의 위치로부터 길이(δ)와의 합(즉, 제 1 정보 기록층(820)에 있어서의 길이(δ+a+δ)의 영역)이다.
기록 상태 영역(875)은 예를 들면,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836)을 사용하기 전에, 제 1 기록 재생 영역(824) 중 영역(875) 전체에 미리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로써, 레이저광(870)을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836)의 어느 부분에 집속시켜도 제 1 기록 재생 영역(824) 중 레이저광(870)이 통과하는 부분(즉, 영역(875))의 투과율을 같게 할 수 있다. 제 1 기록 재생 영역(824)에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광 투과율이 다르지만, 영역(875)은 모두 기록 상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되는 기록 상태 영역(875)에 어떠한 정보를 기록해 두면,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836)에서 테스트 기록을 행할 때에 도달하는 레이저광(870)의 광량이 같아진다. 그 결과,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820)과 제 2 정보 기록층(830)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경우에는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기록 상태 영역(875)의 길이(δ'+a+δ')에 미리 정보를 기록하여도 된다.
또한, 기록하는 정보는 데이터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정보를 변조하여 얻어진 정보여도 더미 데이터 정보를 변조하여 얻어진 정보여도 된다.
또한, 기록 상태 영역(875)에의 기록은 광 디스크 제조 후의 검증 시에 행하면, 기록 장치에서 이 기록 공정을 행할 필요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새로운 광 디스크를 기록 장치에 도입할 때에 기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을 행하는 광학적 기록 장치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를 작성하기 위한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900)이다. 이하, 도 9를 사용하여 이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900)의 동작을 설명한다.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900)는 광 디스크(800)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907)와, 레이저 광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광 디스크(800)가 원하는 정보 기록층의 원하는 개소에 레이저광을 집속시키는 광 헤드(903)를 구비하고 있다. 이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900) 전체 동작은 시스템 제어부(901)에 의해 제어된다. 이 시점에서, 광 디스크(800)의 기록 상태 영역(875)은 완전히 기록된 상태인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900)는 더욱이, 데이터 정보를 변조하여 얻어진 정보에 따라서, 광 헤드(903) 내의 레이저 광원의 광 강도를 변조하는 기록부(902)와, 광 디스크(800)로부터의 반사광에 근거하는 재생 신호의 파형 처리를 하여 재생 정보를 복조하기 위한 재생부(90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정보 기록층(820)에서,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836)에의 기록 시에 레이저광(870)의 광로가 될 수 있는 영역인지의 여부(즉, 제 2 테스트 영역(836)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영역(875)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간섭 영역 판별부(905)와, 그 제 2 테스트 영역(836)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영역(875)을 재생하여, 재생 결과에 근거하여 영역(875)이 기록 상태인지 미기록 상태인지를 판별하는 기록 상태 판별부(906)를 포함한다.
이하, 도 8과 도 9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9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시스템 제어 회로(901)가 스핀들 모터(907)를 회전시키고, 광 헤드(903)가 광 디스크(800) 상의 제 1 정보 기록층(820) 상에 레이저광(870)을 집속하여, 제 1 정보 기록층(820)을 재생한다. 재생부(904)로부터의 어드레스 재생 정보에 근거하여, 간섭 영역 판별부(905)는 재생하고 있는 영역이 영역(875)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시스템 제어부(901)는 영역(875) 내의 어느 영역까지 광 헤드(903)를 시크하여 영역(875) 내의 어느 영역을 재생한다.
그리고 재생부(104)로부터의 재생 정보에 근거하여, 영역(875) 내의 어느 영역에서 재생하고 있는 트랙이 기록 상태인지 미기록 상태인지를 기록 상태 판별부(906)에서 판단한다. 이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미기록 상태인 경우에는 영역(875) 내의 어느 영역의 트랙에 어떠한 정보를 기록하여, 영역(875)이 있는 영역을 기록 상태로 한다. 혹은, 기록 상태 판별부(906)의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이미 기록 상태인 경우에는 영역(875) 내의 재생하고 있는 영역이 이미 기록 상태인 것을 확인한다. 이들 동작을 영역(875) 전체에 걸쳐 행한다.
이렇게 하면, 영역(875)은 모두 기록 상태가 되며, 따라서, 기록 상태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레이저광(870)을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836)의 어느 부분에 집속시켰을 때라도,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836)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875)의 광 투과율을 같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836) 중 어느 부분에서 테스트 기록을 행할 때라도 도달하는 레이저광의 광량이 같아져,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4 실시예)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836)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875)을 기록 상태 영역으로 하는 동작을 설명하였다. 그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을 전부 미기록 상태로 하는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 디스크(10O0)의 포맷도 이다.
광 디스크(1000)는 제 1 정보 기록층(1020)과, 제 2 정보 기록층(1030)과, 제 1 정보 기록층(1020)과 제 2 정보 기록층(1030)을 분리하는 분리층(1050)을 구비한다.
제 1 정보 기록층(1020)은 제 1 재생 전용 영역(1022)과, 제 1 기록 재생 영역(1024)을 포함한다. 제 1 기록 재생 영역(1024)은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1026)과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1028)을 포함한다. 도 10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1020)은 내주로부터 제 1 재생 전용 영역(1022),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1026),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1028)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정보 기록층(1030)은 제 2 재생 전용 영역(1032)과 제 2 기록 재생 영역(1034)을 포함한다. 제 2 기록 재생 영역(1034)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036)과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1038)을 포함한다. 제 2 재생 전용 영역(1032)과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036) 사이의 영역(1033)은 예를 들면, 사용하지 않는 미사용 영역으로 하여도 된다. 도 10에 있어서, 제 2 정보 기록층(1030)은 내주로부터 제 2 재생 전용 영역(1032), 미사용 영역(1033),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036),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1038)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 디스크(1000)에서는 제 1 기록 재생 영역(1024)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036)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1070)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1020) 내의 미기록 영역(1075)을 포함한다. 미기록 영역(1075)은 영역 전체가 미기록인 영역이다. 미기록 영역(1075)의 길이는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036)에 대응하는 길이(a)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036) 끝의 각각의 위치로부터의 길이(δ)와의 합(즉, 제 1 정보 기록층(1020)에 있어서의 길이(δ+a+δ)의 영역)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기록 재생 영역(1024)에 대해서는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036)에 대응하는 영역과,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036) 끝의 각각의 위치로부터 δ떨어진 위치까지의 범위(즉, 제 1 정보 기록층(1020)에 있어서의 δ+a+δ의 범위)는 테스트 기록 시에는 미기록으로 해 둔다.
또한, 테스트 기록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기록 조건을 산출하기 위한 정보를 제 1 정보 기록층(1020) 및 제 2 정보 기록층(1030) 중 임의의 영역에 기록하여도 된다. 이 경우, 최적의 기록 조건을 산출하기 위한 정보는 예를 들면, 미기록 상태와 기록 상태에서의 투과 광량차로부터 미기록 상태에서의 기록 조건에 일정한 계수를 곱하기 위한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036)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1020) 내의 영역은 전부 미기록 상태이다. 따라서, 이 조건에서 구한 기록 조건은 정보가 기록된 제 1 정보 기록층(1020)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1038)에 있어서 기록을 행할 때에 최적이 아닐 가능성이 있다.
이하에, 미기록 상태와 기록 상태에서의 투과 광량차로부터 미기록 상태에서의 기록 조건에 일정한 계수를 곱하는 구체예를 설명한다.
미기록 상태에서의 투과 광량에 대하여 기록 상태에서의 투과 광량이 s배가 되는 광 디스크의 경우, 미기록 상태에서 테스트 기록하여 구한 최적 기록 파워가 Pm이었다고 하면, 기록 상태에서의 최적 기록 파워(Pk)는 이하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Pk=Pm/s
여기서, s를 투과율 보정 계수라 정의한다. 이러한 산출을 하면, 미리 제 1 정보 기록층(1020)의 특정 영역을 기록하지 않아도, 제 1 정보 기록층(1020)을 통과하는 영역이 기록 상태인 경우의 최적의 기록 파워를 추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3 실시예를 사용할 경우에, 제 1 정보 기록층(820)의 기록 상태 영역(875)을 작성하는 데 시간이 관련되는 경우에는, 제 3 실시예와 같이 최적의 기록 조건을 직접적으로 구하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와 같이 최적의 기록 조건을 산출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 1 정보 기록층(1020)과 제 2 정보 기록층(1040)의 위치에 어긋남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길이(δ'+a+δ')인 미기록 영역(1075)을 테스트 기록 시에 미기록으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최적 기록 파워를 결정하기 위한 투과율 보정 계수(s)를 광 디스크(1000)의 특정 영역(예를 들면, 제 1 재생 전용 영역(1022) 또는 제 2 재생 전용 영역(1032))에 기록해 두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광 디스크마다 투과율 보정 계수(s)가 다른 경우라도, 광 디스크를 광 디스크 기록 장치에 투입하면, 광 디스크 기록 장치는 이 계수를 즉석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광 디스크 기록 장치가 실제로 정보를 기록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테스트 기록 시의 미기록 영역은 항상 정보를 기록하지 않은 기록 금지 영역이어도 된다. 혹은, 트래킹 서보를 위한 가이드 홈을 형성하지 않은 미러 영역이어도 된다.
(제 5 실시예)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에 있어서 기록 재생 영역이 레이저광의 스폿을 포함하는 형태를 설명하여 왔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제 1 정보 기록층의 재생 전용 영역이 레이저광의 스폿을 포함하는 형태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 5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 디스크(1100)의 포맷도이다.
광 디스크(1100)는 제 1 정보 기록층(1120)과, 제 2 정보 기록층(1130)과, 제 1 정보 기록층(1120)과 제 2 정보 기록층(1130)을 분리하는 분리층(1150)을 구비한다.
제 1 정보 기록층(1120)은 제 1 재생 전용 영역(1122)과, 제 1 기록 재생 영역(1124)을 포함한다. 제 1 기록 재생 영역(1124)은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1126)과,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1128)을 포함한다. 도 11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1120)은 내주로부터 제 1 재생 전용 영역(1122),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1126),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1128)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정보 기록층(1130)은 제 2 재생 전용 영역(1132)과, 제 3 재생 전용 영 역(1133)과 제 2 기록 재생 영역(1134)을 포함한다. 제 2 기록 재생 영역(1134)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136)과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1138)을 포함한다. 도 11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1130)은 내주로부터 제 2 재생 전용 영역(1132),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136), 제 3 재생 전용 영역(1133),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1138)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재생 전용 영역(1122)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136)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1170)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1120)의 영역(스폿; 117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영역(1175)의 길이는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136)에 대응하는 길이(a)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136) 끝의 각각 위치로부터의 길이(δ)와의 합(즉, 제 1 정보 기록층(1120)에 있어서의 δ+a+δ의 범위)이다. 이로써,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136)의 어느 한 위치에서 테스트 기록을 행하여도,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136)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은 제 1 재생 전용 영역(1122)을 통과한 레이저광이다. 그 결과, 테스트 기록을 행하는 위치에 의해, 구한 기록 조건이 흩어지는 일은 없어진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 4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테스트 기록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기록 조건을 산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기록 마크열이 형성되어 기록 상태로 되어 있는 제 1 기록 재생 영역(1124)을 통과하여 기록하는 경우의 최적 기록 조건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 1 정보 기록층(1120)과 제 2 정보 기록층(1130)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경우, 제 2 실시예에서 상술한 것과 마찬 가지로, 제 1 재생 전용 영역(1122)이 제 1 정보 기록층(1120)에 있어서의 영역(1175)의 길이(δ'+a+δ')를 포함하도록 배치한다.
(제 6 실시예)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에서는,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을 행하기 위해 제 2 정보 기록층 내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는 구체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은 테스트 기록 시 뿐만 아니라, 제 2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라도, 기록 시에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의 재생 전용 영역과 기록 재생 영역 양쪽을 투과하면, 제 2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에 도달하는 레이저광의 광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정확한 기록을 행할 수 없어, 기록한 신호를 재생할 때의 신호 품질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 6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 디스크(1200)의 포맷도이다.
광 디스크(1200)는 제 1 정보 기록층(1220)과, 제 2 정보 기록층(1230)과, 제 1 정보 기록층(1220)과 제 2 정보 기록층(1230)을 분리하는 분리층(1250)을 구비한다.
제 1 정보 기록층(1220)은 제 1 재생 전용 영역(1222)과, 제 1 기록 재생 영 역(1224)을 포함한다. 도 12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1220)은 내주로부터 제 1 재생 전용 영역(1222), 제 1 기록 재생 영역(1224)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정보 기록층(1230)은 제 2 재생 전용 영역(1232)과 제 2 기록 재생 영역(1234)을 포함한다. 도 12에 있어서, 제 2 정보 기록층(1230)은 내주로부터 제 2 재생 전용 영역(1232), 제 2 기록 재생 영역(1234)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재생 전용 영역(1222)의 면적을 제 2 정보 기록층의 재생 전용 영역(12)의 면적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서는, 제 1 기록 재생 영역(1224)의 개시점이 제 2 기록 재생 영역(1234)의 개시점보다 길이(δ)만큼 짧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제 2 기록 재생 영역(1234)의 어느 한 부분에 정보를 기록하여도 제 1 기록 재생층(1224)은 제 2 기록 재생 영역(1234)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1220)의 영역(1275)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 2 기록 재생 영역(1234)은 제 1 기록 재생 영역(1224)의 영향만을 받으며, 제 1 재생 전용 영역(1222)의 영향을 받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 2 기록 재생 영역(1234)에 정확히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도 12의 실시예에서 제 1 정보 기록층(1220) 및 제 2 정보 기록층(1230)의 위치에 어긋남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기록 재생 영역(1224)의 개시점과 제 2 기록 재생 영역(1234)의 개시점을 δ'만큼 어긋나게 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제 1 재생 전용 영역(1222)의 면적을 제로로 하여도 된다. 이로써, 제 1 정보 기록층(1220) 제조 시에 제 1 재생 전용 영역(1222)의 위상 비트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디스크 기판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6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정보 기록층수는 2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정보 기록층수는 3층 이상이어도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제 7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 디스크(1300)의 포맷도이다.
광 디스크(1300)는 제 1 실시예를 확장한 다른 형태의 매체이다. 이 형태는 정보 기록층을 N층 설치한 것이며, N층 중에서 3개의 정보 기록층(i, j, k)을 대상으로 하여, 테스트 기록으로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할 수 있도록 기록 재생 영역을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정보 기록층(1310)은 레이저 입사 측에서 보아 i번째 층이고, 제 2 정보 기록층(1320)은 j번째, 제 3 정보 기록층(1330)은 k번째이다. 제 1 정보 기록층(1310)과 제 2 정보 기록층(1320) 사이의 거리를 dij, 제 2 정보 기록층(1320)과 제 3 정보 기록층(1330) 사이의 거리를 djk, 제 1 정보 기록층(1310)과 제 3 정보 기록층(1330) 사이의 거리를 dik로 한다.
제 1 정보 기록층(1310)은 제 1 재생 전용 영역(1312)과, 제 1 기록 재생 영 역(1314)을 포함한다. 제 1 기록 재생 영역(1314)은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1316)과,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1318)을 포함한다.
제 2 정보 기록층(1320)은 제 2 재생 전용 영역(1322)과 제 2 기록 재생 영역(1324)을 포함한다. 제 2 기록 재생 영역(1324)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26)과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1328)을 포함한다.
제 3 정보 기록층(1330)은 제 3 재생 전용 영역(1332)과 제 3 기록 재생 영역(1334)을 포함한다. 제 3 기록 재생 영역(1334)은 제 3 테스트 기록 영역(1336)과 제 3 데이터 기록 영역(1338)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 1 기록 재생 영역(1312)의 개시점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26)의 개시점에서 적어도 δij 떨어져 배치하고, 또한, 제 3 테스트 기록 영역(1336)의 개시점에서 적어도 δik 떨어져 배치한다. 더욱이, 제 2 기록 재생층(1324)의 개시점은 제 3 테스트 기록 영역(1336)의 개시점에서 적어도 δjk 떨어져 배치한다. 여기서,
δij=dij·tan(sin-1(NA/n))
δik=dik·tan(sin-1(NA/n))
δjk=djk·tan(sin-1(NA/n))
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NA는 레이저광(1370)을 집속시키는 대물렌즈의 개구율이고, n은 제 1 정보 기록층(1310)과, 제 2 정보 기록층(1320)과 제 3 정보 기록층(1330) 사이의 분리층의 굴절율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26)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1370)은 제 1 정보 기록층(1310)에서는 제 1 기록 재생 영역(1314)만을 통과한다. 또한, 제 3 테스트 기록 영역(1336)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1370)은 제 1 정보 기록층(1310)에서는 제 1 기록 재생 영역(1314)만 통과하고, 제 2 정보 기록층(1320)에서는 제 2 기록 재생 영역(1324)만을 통과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대상으로 하는 정보 기록층이, 예를 들면, 제 1 정보 기록층(1310)과 제 2 정보 기록층(1320) 사이, 혹은, 임의의 장소에 존재하는 경우 라도, 제 2 정보 기록층(1320)이 제 1 정보 기록층(1310)보다도 입사면에 대하여 보다 멀리 위치하여,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326)에 정보를 기록하는 레이저광(1370)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1310) 내의 영역이 모두 기록 재생 영역이면, 제 1 실시예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 8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제 8 실시예에 관련되는 광 디스크(140O)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광 디스크(1400)는 제 1 정보 기록층(1420)과, 제 2 정보 기록층(1430)과, 제 1 정보 기록층(1420)과 제 2 정보 기록층(1430)을 분리하는 분리층(1450)을 구비한다.
제 1 정보 기록층(1420)은 제 1 재생 전용 영역(1422)과, 제 1 기록 재생 영역(1424)과 제 2 재생 전용 영역(1429)을 포함한다. 제 1 기록 재생 영역(1424)은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1426)과,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1428)을 포함한다. 도 14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1420)은 내주로부터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1426), 제 1 재생 전용 영역(1422),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1428), 제 2 재생 전용 영역(1429)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정보 기록층(1420)은 제 1 리드 인 영역(1425)과, 제1 리드 아웃 영역(1427)을 포함한다. 제 1 리드 인 영역(1425)은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1426)과, 제 1 재생 전용 영역(1422)을 포함한다. 제 1 리드 아웃 영역(1427)은 제 2 재생 전용 영역(1429)을 포함한다.
제 2 정보 기록층(1430)은 제 3 재생 전용 영역(1432)과, 제 2 기록 재생 영역(1434)과, 제 4 재생 전용 영역(1433)과, 제 5 재생 전용 영역(1439)을 포함한다. 제 2 기록 재생 영역(1434)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436)과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1438)을 포함한다. 도 14에 있어서, 제 2 정보 기록층(1430)은 내주로부터 제 3 재생 전용 영역(1432),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436), 제 4 재생 전용 영역(1433),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1438), 제 5 재생 전용 영역(1439)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정보 기록층(1430)은 제 2 리드 인 영역(1435)과 제 2 리드 아웃 영역(1437)을 포함한다. 제 2 리드 인 영역(1435)은 제 3 재생 전용 영역(1432),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436)과, 제 4 재생 전용 영역(1433)을 포함한다. 제 2 리드 아웃 영역(1437)은 제 5 재생 전용 영역(1439)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 디스크(1400)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우선하는 경우, 광 디스크(140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1428)과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1438)의 크기를 같게 한 포맷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디스크(1400)에서는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1428) 및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1438)의 내주 측에 제 1 리드 인 영역(1425) 및 제 2 리드 인 영역(1435), 외주 측에 제 1 리드 아웃 영역(1427) 및 제 2 리드 아웃 영역(1439)을 각각 설치한다. 또한, 제 1 리드 인 영역(1425)의 내부에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1426)을 설치하고, 제 2 리드 인 영역(1435)의 내부에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436)을 설치한다.
여기서,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1426)과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436)의 위치를 길이(δ) 이상 어긋하게 하여, 제 1 재생 전용 영역(1422)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436)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1470)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1410) 내의 불균일 광 방지 영역(1475)을 포함한다. 영역(1475)의 길이는 길이(δ+a+δ)로 표현된다. 불균일 광 방지 영역(1475)은 그 내부에 입사하는 레이저광(1470)을 불균일한 형상으로 투과하는 것을 막는 영역이다.
불균일 광 방지 영역(1475)은 예를 들면, 재생 전용 영역이다.
혹은, 불균일 광 방지 영역(1475)은 기록 금지 영역 또는 미러 영역이어도 된다. 이로써,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436)의 어느 한 위치에서 테스트 기록을 행하여도, 구한 기록 조건이 흩어지는 일이 없어진다. 더욱이, 이렇게 형성함으로써, 제 1 리드 인 영역(1425) 및 제 2 리드 인 영역(1435), 제 1 데이터 기록 영역(1428) 및 제 2 데이터 기록 영역(1438), 제 1 리드 아웃 영역(1427) 및 제 2 리드 아웃 영역(1437)의 각각의 개시점·종료점·용량을 제 1 정보 기록층(1420)과 제 2 정보 기록층(1430)에서 같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광 디스크(1400)의 결함 관 리 및 기록 정보 관리를 행하기 쉽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1426),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1436)은 제 1 리드 아웃 영역(1427), 제 2 리드 아웃 영역(1437)에 설치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각 영역의 배치, 디스크의 형상은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매체 자신이나 기록 재생 장치에 따른 적절한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에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에 의하면, 제 2 정보 기록층에서의 테스트 기록 시에,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영역의 모두 기록 상태 또는 모두 미기록 상태 중 어느 한 쪽으로 하기 때문에, 테스트 기록에 의해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에 의하면, 제 2 정보 기록층에서의 테스트 기록 시에,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영역을 모두 재생 전용 영역 또는 모두 기록 재생 영역으로 하기 때문에, 테스트 기록에 의해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에 의하면, 제 1 정보 기록층의 재생 전용 영역의 면적을 제 2 정보 기록층의 재생 전용 영역의 면적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제 2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의 어느 부분에도 정확하게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에 의하면, 제 2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할 때에,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영역을 모두 재생 전용 영역 또는 모두 기록 재생 영역으로 하기 때문에,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를 정확하게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에 의하면,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시에, 제 1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 내의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영역에 미리 정보를 기록해 두기 때문에, 테스트 기록에 의해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 재생 방법에 의하면,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시에, 제 1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 중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영역이 미기록 상태인 때에는 테스트 기록 결과에 근거하여, 최적의 기록 조건을 산출함으로써,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매체는 재생 전용 영역 또는 기록 재생 영역의 한 쪽이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을 포함한다.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은 재생 전용 영역 또는 기록 재생 영역 중 어느 한 쪽을 통과한 광이다. 따라서,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은 제 1 정보 기록층의 재생 전용 영역과 기록 재생 영역 양쪽을 통과하는 경우에 생기는 통과 광량의 변화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 결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을 사용하여 정확한 기록 조 건을 구할 수 있다.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은 테스트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이고, 길이(δ)는 δ=d·tan(sin-1(NA/n)), 여기서, 제 1 정보 기록층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의 거리를 d, 분리층의 굴절율을 n, 레이저광을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을 NA로서 나타낼 수 있다.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은 테스트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이고,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여기서, δm은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정보 기록층이 상대적인 위치에 어긋남이나 편심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라도, 제 2 정보 기록층에서의 테스트 기록 시에, 제 1 정보 기록층에 의한 광량 변화 영향을 받지 않고, 제 2 정보 기록층에 있어서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정보 기록층에서 적어도 테스트 기록 영역의 끝 위치로부터 δ(각 정보 기록층이 상대적인 위치에 어긋남이나 편심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δ')만큼 떨어진 위치까지의 영역을 데이터 기록 영역으로 하는 것이 데이터 기록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매체는 모두 기록 상태 또는 모두 미기록 상태의 소정의 영역이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을 포함한다.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의 기록 상태는 기록 상태 또는 모두 미기록 상태 중 어느 하나이다. 따라서,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은 기록 상태의 영역과 미기록 상태의 영역 양쪽을 통과하여 존재함으로써 생기는 통과 광량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 결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을 사용하여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할 수 있다.
모두 미기록 상태의 소정의 영역은 예를 들면, 기록 금지 영역, 미러 영역, 리드 인 영역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2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해서는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은 테스트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길이(δ)는 δ=d·tan(sin-1(NA/n))이고, 여기서, 제 1 정보 기록층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 거리를 d,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의 분리층의 굴절율을 n, 레이저광을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을 NA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2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해서는,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은 테스트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여기서,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을 δm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이 매체에 의해, 각 정보 기록층의 상대적인 위치에 어긋남이나 편심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라도, 제 2 정보 기록층에서의 테스트 기록 시에, 제 1 정보 기록층에 의한 광량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을 사용하여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2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해서는 제 2 정보 기록층에서 적어도 테스트 기록 영역의 끝 위치로부터 δ(각 정보 기록층의 상대적인 위치에 어긋남이나 편심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δ')만큼 떨어진 위치까지의 영역을 데이터 기록 영역으로 하는 것이 데이터 기록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테스트 기록 영역에 있어서의 최적의 기록 조건을 산출하기 위한 정보가 복수의 정보 기록층 중 어느 한 특정 영역에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의 투과율이 제 2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의 투과율과 달라도, 한 쪽 기록 조건만 구할 수 있다면, 다른쪽의 정확한 기록 조건을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를 기동시키는 기록 재생 장치는 미기록 상태 시와 기록 상태 시의 투과 광량의 상위로부터 결정되는 계산 방법을 즉석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기록 재생 장치에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를 도입한 후 빠르게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할 수 있다.
이 매체에 의해, 제 1 정보 기록층의 재생 전용 영역 또는 기록 재생 영역의 한 쪽이 제 2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을 포함한다. 제 2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은 재생 전용 영역 또는 기록 재생 영역 중 어느 한 쪽을 통과한 광이다. 따라서, 제 2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은 제 1 정보 기록층의 재생 전용 영역과 기록 재생 영역 양쪽을 통과하는 경우에 생기는 통과 광량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 결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에 정확한 기록을 행할 수 있다.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은 기록 재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기록 재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길이(δ)는 δ=d·tan(sin-1(NA/n)), 여기서, 제 1 정보 기록층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 향 거리를 d,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의 분리층의 굴절율을 n, 레이저광을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을 NA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 2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은 기록 재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기록 재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길이 δ'=d·tan(sin-1(NA/n))+δm, 여기서, δm은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적 정보 기록 재생 매체는 제 1 정보 기록층의 재생 전용 영역의 면적을 제로로 하여, 제 2 정보 기록층의 기록 재생 영역에의 기록 시에, 제 1 정보 기록층의 재생 전용 영역의 영향을 받는 부분을 최소로 하여, 제 2 정보 기록층에 정확하게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 매체에 의해, 제 1 정보 기록층 제조 시에 재생 전용 영역의 위상 비트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디스크 기판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대응하는 정보 기록층의 리드 인 영역 또는 리드 아웃 영역은 제 1 테스트 영역과 기록 재생 영역과 제 2 테스트 영역을 포함하기 때문에, 리드 인 영역 또는 리드 아웃 영역 중 어느 하나만으로, 다른 정보 기록층의 기록 조건을 구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정보 기록층의 불균일 광 방지 영역이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불균일 광 방지 영역은 예를 들면, 재생 전용 영역이다.
불균일 광 방지 영역은 예를 들면, 재생 전용 영역과 기록 금지 영역과 미러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 적어도 1개로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은 테스트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여기서, 제 1 정보 기록층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 거리를 d, 분리층의 굴절율을 n, 레이저광을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을 NA로서 나타낼 수 있다.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은 테스트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여기서, δm은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정보 기록층의 상대적인 위치에 어긋남이나 편심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라도, 제 2 정보 기록층에서의 테스트 기록 시에, 제 1 정보 기록층에 의한 광량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제 2 정보 기록층에 있어서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 록하기 전에,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에 정보가 격납된다. 따라서,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은 제 1 정보 기록층에 기록 상태와 미기록 상태 영역이 양쪽 존재하는 것에서 기인하여 광량 변화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으며, 그 결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있어서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은 테스트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길이(δ)는 δ=d·tan(sin-1(NA/n))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d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 거리, n은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의 분리층의 굴절율, NA는 레이저광을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이다.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은 테스트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길이(δ')는 δ'=d·tan(sin-1(NA/n))+δm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제 1 정보 기록층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은 δm이다.
이 방법에 의해, 각 정보 기록층이 상대적인 위치에 어긋남이나 편심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라도, 제 2 정보 기록층에서의 테스트 기록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에 기록 상태와 미기록 상태의 영역이 양쪽 존재하는 것에 의한 광량 변화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는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할 수 있다.
미리 기록하는 정보는 예를 들면, 더미 데이터를 변조함으로써 얻어지는 정보여도 된다.
미리 정보를 기록할 때에, 검증 공정에서 기록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의 기능 및/또는 그 상태에 근거하여,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적 기록 조건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은 테스트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길이(δ)는 δ=d·tan(sin-1(NA/n))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d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 거리, n은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의 분리층의 굴절율, NA는 레이저광을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이다.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은 테스트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길이(δ')는 δ'=d·tan(sin-1(NA/n))+δm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제 1 정보 기록층과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은 δm이다.
이 방법에 의해, 각 정보 기록층이 상대적인 위치에 어긋남이나 편심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라도, 제 2 정보 기록층에서의 테스트 기록에 있어서, 제 1 정보 기록층이 미기록 상태 시와 기록 상태 시의 투과 광량차로부터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최적의 기록 조건 산출에 관한 정보를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의 특정 영역에 기록해 두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매체에 의해 산출 방법이 다른 경우라도, 기록 재생 장치가 산출 방법을 즉석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매체를 장치에 투입한 후에 실제로 정보를 기록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에 의해,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 중에 미기록 상태의 영역이 존재하여도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전에,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하는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때문에, 제 2 정보 기록층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기록 상태의 영역과 미기록 상태의 영역이 양쪽 존재하는 영역을 통과함으로써 생기는 광량 변화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제 2 정보 기록층에 있어서의 정확한 기록 조건을 구할 수 있다.

Claims (34)

  1.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로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재생 전용 영역 및 기록 재생 영역 중 적어도 한 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테스트 기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 전용 영역 또는 상기 기록 재생 영역 중 어느 한 쪽이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재생 전용 영역 및 기록 재생 영역 중 적어도 한 쪽과 상기 테스트 영역이 배치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을 분리하는 분리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
    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d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의 거리이고, n은 상기 분리층의 굴절율이며, NA는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인,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끝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길이(δ)까지 떨어진 영역에 배치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을 갖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이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으로, 여기서, δm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인,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끝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길이(δ')까지 떨어진 영역에 배치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을 갖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6.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로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소정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테스트 기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영역이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소정의 영역 및 상기 테스트 영역은 배치되며,
    상기 소정의 영역은 모두 기록 상태 또는 모두 미기록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기록 상태인 소정의 영역은 기록 금지 영역인,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기록 상태인 소정의 영역은 미러 영역인,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기록 상태인 소정의 영역은 리드 인 영역인,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을 분리하는 분리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
    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d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의 거리이고, n은 상기 분리층의 굴절율이며, NA는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인,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끝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길이(δ)까지 떨어진 영역에 배치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을 갖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이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으로, 여기서, δm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인,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의 끝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길이(δ')까지 떨어진 영역에 배치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을 갖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14.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로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테스트 기록 영역과 기록 재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의 투과율이 상기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의 투과율과 다르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 또는 상기 기록 재생 영역의 적어도 한 쪽이 최적의 기록 조건을 산출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및 제 2 정보 기록층 중 어느 특정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15.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로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재생 전용 영역 및 제 1 기록 재생 영역 중 적어도 한 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제 2 기록 재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 전용 영역 또는 상기 제 1 기록 재생 영역 중 어느 한 쪽이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재생 전용 영역 및 상기 제 1 기록 재생 영역 중 적어도 한 쪽과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이 배치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 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을 분리하는 분리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
    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d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의 거리이고, n은 상기 분리층의 굴절율이며, NA는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에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인,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재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이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 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으로, 여기서, δm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인,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의 재생 전용 영역의 면적이 제로인,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19.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을 분리하는 분리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로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과 불균일 광 방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과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의 간격이 길이(δ)보다 커지고, 또한, 상기 불균일 광 방지 영역이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불균일 광 방지 영역과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과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이 배치되며,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
    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d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의 거리이고, n은 상기 분리층의 굴절율이며, NA는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에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인,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제 1 리드 인 영역 및 제 1 리드 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한 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제 2 리드 인 영역 및 제 2 리드 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한 쪽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리드 인 영역 및 상기 제 2 리드 인 영역 또는 상기 제 1 리드 아웃 영역 및 상기 제 2 리드 아웃 영역 중 어느 한 쪽이 상기 제 1 테스트 기록 영역 및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을 각각 포함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의 상기 불균일 광 방지 영역은 재생 전용 영역인,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불균일 광 방지 영역은 재생 전용 영역과 기록 금지 영역과 미러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 적어도 1개로 이루어지는 영역인,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이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으로, 여기서, δm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인,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이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으로, 여기서, δm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인,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25.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를 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재생 전용 영역 및 기록 재생 영역 중 적어도 한 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테스트 기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은,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에 미리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미리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후에,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을 분리하는 분리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
    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d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의 거리이고, n은 상기 분리층의 굴절율이며, NA는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제 2 테스트 기록 영역에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인,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이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으로, 여기서, δm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인,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기록하는 정보는 더미 정보를 변조함으로써 얻어지는 정보인,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검증 공정을 사용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30.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를 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은 재생 전용 영역 및 기록 재생 영역 중 적어도 한 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테스트 기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은,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이 상기 재생 전용 영역 또는 상기 기록 재생 영역 중 미기록 상태의 영역인지 또는 상기 기록 재생 영역 중 기록 상태의 영역인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있어서 테스트 기록을 실행하여 기록 조건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 결과 및 구해진 상기 기록 조건에 근거하여, 제 2 정보 기록층에 대한 최적의 기록 조건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을 분리하는 분리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
    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d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두께 방향의 거리이고, n은 상기 분리층의 굴절율이며, NA는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에 집속하기 위한 대물렌즈의 개구율인,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중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이 대응하는 영역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기록 재생 영역의 외측 방향으로 길이(δ')만큼 떨어진 영역으로, 상기 길이(δ')는,
    δ'=d·tan(sin-1(NA/n))+δm
    으로, 여기서, δm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의 최대 위치 어긋난 양인,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기록 조건 산출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및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 중 특정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34.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1 정보 기록층과,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을 통과한 레이저광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정보 기록층을 구비한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를 위한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로서,
    상기 제 2 정보 기록층은 테스트 기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는,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을 판별하는 간섭 영역 판별부와,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이 기록 상태인지 미기록 상태인지를 판별하는 기록 상태 판별부와,
    상기 간섭 영역 판별부와 상기 기록 상태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정보 기록층 내의 영역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하는, 광학적 정보 기록 장치.
KR1020037003706A 2000-09-13 2001-09-12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및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광학적정보 기록 장치 KR100760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77775 2000-09-13
JP2000277775 2000-09-13
PCT/JP2001/007927 WO2002023542A1 (en) 2000-09-13 2001-09-12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060A KR20030033060A (ko) 2003-04-26
KR100760839B1 true KR100760839B1 (ko) 2007-09-27

Family

ID=18763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706A KR100760839B1 (ko) 2000-09-13 2001-09-12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및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광학적정보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0) US7376058B2 (ko)
EP (5) EP1318509B1 (ko)
JP (3) JP4756815B2 (ko)
KR (1) KR100760839B1 (ko)
CN (3) CN1937041A (ko)
AU (2) AU2001286209B2 (ko)
CA (3) CA2410779C (ko)
HK (1) HK1059677A1 (ko)
MX (1) MXPA02012521A (ko)
WO (1) WO20020235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37041A (zh) * 2000-09-13 2007-03-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学信息记录方法
US7180849B2 (en) * 2001-05-18 2007-02-20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storage medium enabling uniform light transmittance, optical read/write apparatus for same, and optical read/write method for same
JP4101666B2 (ja) * 2002-01-22 2008-06-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
KR100925213B1 (ko) * 2002-06-07 2009-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멀티 레이어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광 파워조절방법
KR20030094855A (ko) * 2002-06-08 2003-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멀티 레이어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포맷팅관리방법
AU2003257644A1 (en) * 2002-08-21 2004-03-11 Nec Corporatio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medium recording method, recording/reproduction method, and reproduction method, recording device,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reproduction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medium
JP2004127390A (ja) * 2002-09-30 2004-04-22 Toshiba Corp 多層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EP1575035B1 (en) * 2002-12-20 2010-03-10 Mitsubishi Kagaku Media Co.,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method for recording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recorder
WO2004086393A2 (en) * 2003-03-24 2004-10-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mum power control for multilayer optical disc
CN1551198B (zh) * 2003-05-20 2010-09-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息记录介质、信息记录方法及信息记录装置
KR100677108B1 (ko) * 2003-06-12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매체
EP1914737B1 (en) 2003-06-12 201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CA2472075C (en) * 2003-06-25 2013-02-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using optical disk
US7345973B2 (en) 2003-06-26 2008-03-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layer writable optical record carrier with an optimum power calibration are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optimum power calibration areas on such a record carrier
US7518962B2 (en) 2003-06-28 2009-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with respect to a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ing optimal power control areas
US7327650B2 (en) 2003-06-28 2008-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ing optimal power control areas, and an apparatus to record and/or read with respect to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7286454B2 (en) * 2003-06-30 2007-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RS50885B (sr) 2003-07-01 2010-08-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stupci i uređaji koji su namenjeni za snimanje informacija na dvoslojnim optičkim diskovima za snimanje
US7333417B2 (en) * 2003-09-08 2008-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nd/or reading data from the same
ATE487216T1 (de) 2003-09-30 2010-11-15 Pioneer Corp Informationsaufzeichnungsvorrichtung und - verfahren
CN1890717B (zh) 2003-10-03 2010-05-12 日本先锋公司 信息记录装置及方法
US7916588B2 (en) * 2003-10-20 2011-03-29 Panasonic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ccess apparatus, access method, program, and write-once recording medium
JP2005174527A (ja) * 2003-11-21 2005-06-30 Ricoh Co Ltd 記録方法、記録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4043490B2 (ja) * 2003-12-26 2008-02-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667753B1 (ko) 2004-02-28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데이터의 기록 방법 및 장치
KR100667754B1 (ko) * 2004-03-03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이 정보 저장 매체의 데이터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CN100385516C (zh) * 2004-03-03 2008-04-30 三星电子株式会社 信息存储介质及其数据记录/重现方法和设备
US7385891B2 (en) * 2004-03-03 2008-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 medium, and an apparatus to record/reproduce data on/from a portion of the medium through which a test beam is passed while determining an optimum power
JP2005285254A (ja) 2004-03-30 2005-10-13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
CN101188123B (zh) * 2004-04-09 2010-12-01 日本胜利株式会社 信息记录介质及信息记录介质的记录方法
JP4424211B2 (ja) 2004-04-09 2010-03-03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の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KR100677114B1 (ko) 2004-04-27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이 정보 저장 매체의 데이터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WO2005116995A1 (ja) * 2004-05-27 2005-12-08 Pioneer Corporation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03535B2 (ja) * 2004-05-27 2010-12-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WO2005122159A1 (ja) 2004-06-10 2005-12-22 Pioneer Corporation 情報記録媒体、並びに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CN1993741B (zh) * 2004-06-11 2010-05-05 日本先锋公司 信息记录介质、信息记录装置和方法以及计算机程序
KR100667755B1 (ko) * 2004-06-23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광 디스크, 데이터 기록 방법 및그 장치
CN1973323B (zh) * 2004-06-25 2013-05-08 三菱电机株式会社 光盘、光盘装置、光盘记录方法及光盘驱动方法
WO2006003979A1 (ja) 2004-07-05 2006-01-12 Pioneer Corporation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044938B1 (ko) 2004-07-10 201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정보 저장 매체 및 기록/재생 장치
JPWO2006028114A1 (ja) * 2004-09-09 2008-07-3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6028115A1 (ja) * 2004-09-09 2006-03-16 Pioneer Corporation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RU2376658C2 (ru) 2004-09-13 2009-12-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 данных на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KR101111513B1 (ko) * 2004-09-13 2012-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의 기록방법과 기록장치
EP2068318B1 (en) * 2004-09-28 2010-12-01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device
JP4622454B2 (ja) 2004-10-28 2011-02-02 Tdk株式会社 多層光記録媒体
JP4042865B2 (ja) 2005-01-06 2008-02-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940633B2 (en) * 2005-01-06 2011-05-10 Pioneer Corporation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060082513A (ko) * 2005-01-12 2006-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의 기록방법과 기록장치
EP1837865A4 (en) * 2005-01-14 2008-12-17 Pioneer Corp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DATA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RECORDING
CN100481214C (zh) * 2005-01-14 2009-04-22 日本先锋公司 信息记录介质、信息记录装置和方法、以及用于记录控制的计算机程序
US7760589B2 (en) * 2005-01-14 2010-07-20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rding control
TWI358063B (en) * 2005-01-14 2012-02-11 Pioneer Corp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
JP2006268889A (ja) * 2005-03-22 2006-10-05 Victor Co Of Japan Ltd 光情報記録装置
JP3895354B2 (ja) * 2005-05-26 2007-03-22 株式会社リコー 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20070003511A (ko) * 2005-06-30 200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JP2007048409A (ja) * 2005-08-12 2007-02-22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
US7948844B2 (en) * 2005-09-05 2011-05-24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the like
TWI348154B (en) * 2005-09-05 2011-09-01 Pioneer Corp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JP4072546B2 (ja) * 2005-09-12 2008-04-09 日本電気株式会社 2層光ディスク
WO2007037288A1 (ja) * 2005-09-27 2007-04-05 Pioneer Corporation 多層記録ディスクに対して情報を記録する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2007172732A (ja) * 2005-12-21 2007-07-05 Fujifilm Corp 光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システム
WO2007138915A1 (ja) * 2006-06-01 2007-12-06 Pioneer Corporation 記録媒体
JP2008004151A (ja) * 2006-06-21 2008-01-10 Toshiba Corp 片面多層光ディスク、bca記録装置、bca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CN101506878A (zh) * 2006-08-21 2009-08-1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盘装置及其控制方法
CN101261847B (zh) * 2007-03-07 2010-06-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信息记录设备测试方法
JP4720768B2 (ja) * 2007-03-28 2011-07-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状媒体及びディスク装置
US20080267021A1 (en) * 2007-04-30 2008-10-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cording method, optical disk, reproduction method, and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JP4810519B2 (ja) * 2007-09-14 2011-11-09 株式会社リコー 多層式追記型光記録媒体及びその記録方法、記録装置
US8198083B1 (en) 2007-10-31 2012-06-12 William Gunter Loudon Organotypic slice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JP2009134785A (ja) * 2007-11-29 2009-06-18 Hitachi-Lg Data Storage Inc 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4494487B2 (ja) * 2008-03-10 2010-06-30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記録媒体、光記録再生方法および再生方法
JP4494488B2 (ja) * 2008-03-10 2010-06-30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記録再生装置、再生装置
JP4494486B2 (ja) * 2008-03-10 2010-06-30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記録媒体、光記録再生方法および再生方法
JP2010009685A (ja) * 2008-06-27 2010-01-14 Sony Corp 多層光記録媒体、記録装置、記録レーザパワー調整方法
WO2010050143A1 (ja) 2008-10-27 2010-05-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US20100103793A1 (en) * 2008-10-27 2010-04-29 Panasonic Corporation Multilayer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in the multilayer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4586096B2 (ja) 2009-02-24 2010-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層光ディスクおよびその記録方法
JP4664425B2 (ja) * 2009-06-05 2011-04-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層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
JP5140131B2 (ja) * 2010-10-25 2013-02-06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記録媒体、光記録再生装置および再生装置
JP6020899B2 (ja) * 2012-10-10 2016-11-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および方法
WO2016189943A1 (ja) * 2015-05-26 2016-12-0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光記録媒体、再生装置、再生方法
RU2727566C2 (ru) * 2018-09-20 2020-07-22 Шанхай Нейгюэнг Информейшн Текнолоджи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птического хранения данны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7816A (ja) * 1989-11-15 1991-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情報記録部材および光学情報記録再生装置
JPH09180248A (ja) * 1995-12-27 1997-07-11 Toshiba Corp 光ディスク
EP0841658A2 (en) * 1996-11-12 1998-05-13 Victor Company Of Japan, Ltd. Optical disc, optical disc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optical disc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5389A (en) * 1986-09-29 1989-01-03 Spectra-Physics, Inc. Method of making an ion laser tube
US5255262A (en) * 1991-06-04 1993-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 data surface optical data storage system with transmissive data surfaces
EP0762410A4 (en) * 1994-05-10 1998-01-07 Hitachi Maxell MAGNETOOPIC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 PLAYBACK METHOD AND DEVICE
AU3914895A (en) * 1994-11-30 1996-06-06 Sony Corporation Data recording medium and record/playback apparatus using the data recording medium
US5764619A (en) * 1995-04-07 1998-06-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two separate recording layers
US5726954A (en) * 1995-04-10 1998-03-10 Nikon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JP3249031B2 (ja) * 1995-06-01 2002-01-21 株式会社リコー 光情報記録再生方法
JPH0916964A (ja) 1995-06-26 1997-01-17 Pioneer Electron Corp 光学式記録媒体および光ビームの供給パワー設定方法
DE69609076T2 (de) * 1995-10-19 2001-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formationsspeichermedium, informationswiedergabeverfahren und informationswiedergabegerät
US6052347A (en) * 1996-02-23 2000-04-18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ptimum recording power for an optical disk
US6215758B1 (en) * 1996-10-04 2001-04-10 Sony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JPH11550A (ja) * 1997-06-12 1999-01-06 Fuji Photo Film Co Ltd 熱応答性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それを用いた感熱記録材料及び多色感熱記録材料
JPH113550A (ja) 1997-06-12 1999-01-06 Nikon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
JP3855390B2 (ja) * 1997-09-16 2006-12-0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ディスク状記録媒体
JPH11144325A (ja) * 1997-11-10 1999-05-28 Victor Co Of Japan Ltd 光ディスク
WO1999044195A1 (fr) 1998-02-27 1999-09-02 Optware Corporation Procede et appareil d'informations optiques, procede et appareil de reproduction d'informations optiques, appareil pour enregistrer/reproduire des informations optiques, et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optiques
TW473712B (en) * 1998-05-12 2002-01-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ewritable double layer optical information medium
EP0957477A3 (en) 1998-05-15 2003-11-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therefor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CN2368131Y (zh) 1998-07-02 2000-03-08 铼德科技股份有限公司 Cd及dvd复合式光盘
US6795389B1 (en) * 1998-09-10 2004-09-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ith substrate and multiple information
JP3076033B1 (ja) * 1998-09-14 2000-08-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学情報の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媒体
EP1777702B1 (en) * 1998-10-21 2008-05-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tion
JP3720624B2 (ja) * 1999-04-26 2005-11-30 株式会社リコー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と光ディスクの最適記録パワー値決定方法
JP3363112B2 (ja) * 1999-06-30 2003-01-08 株式会社東芝 積層光記録媒体、積層光記録媒体の再生方法および積層光記録媒体の再生装置
JP2001307334A (ja) * 2000-04-21 2001-11-02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再生方法
DE60113346T2 (de) * 2000-07-26 2006-06-22 Kabushiki Kaisha Toshiba, Kawasaki Aufzeichnungsträger für Informationen mit einem Indexstartfeld
CN1937041A (zh) * 2000-09-13 2007-03-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学信息记录方法
JP3819268B2 (ja) * 2000-09-28 2006-09-06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記録装置および光記録方法、光記録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3022532A (ja) * 2001-07-06 2003-01-24 Columbia Music Entertainment Inc 光情報記録媒体ならびにその記録方法および情報記録装置
US20020136122A1 (en) * 2001-03-21 2002-09-26 Kazuhiko Nakano Optical information record medium, method of recording information on optical information record medium,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WO2004086393A2 (en) * 2003-03-24 2004-10-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mum power control for multilayer optical disc
EP1914737B1 (en) * 2003-06-12 201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CA2472075C (en) * 2003-06-25 2013-02-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using optical disk
JP2005285254A (ja) * 2004-03-30 2005-10-13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
KR100667766B1 (ko) * 2004-10-23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JP2009093707A (ja) * 2007-10-04 2009-04-30 Sony Corp 記録装置、記録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7816A (ja) * 1989-11-15 1991-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情報記録部材および光学情報記録再生装置
JPH09180248A (ja) * 1995-12-27 1997-07-11 Toshiba Corp 光ディスク
EP0841658A2 (en) * 1996-11-12 1998-05-13 Victor Company Of Japan, Ltd. Optical disc, optical disc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optical dis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09504A1 (en) 2011-04-13
CA2658113C (en) 2011-06-14
JP4756815B2 (ja) 2011-08-24
US20030185121A1 (en) 2003-10-02
US20080198713A1 (en) 2008-08-21
US20080212428A1 (en) 2008-09-04
US7376058B2 (en) 2008-05-20
EP2320419A1 (en) 2011-05-11
JP4613229B2 (ja) 2011-01-12
AU8620901A (en) 2002-03-26
KR20030033060A (ko) 2003-04-26
US20080074980A1 (en) 2008-03-27
CA2687697A1 (en) 2002-03-21
EP1318509A1 (en) 2003-06-11
EP2148330B1 (en) 2011-11-09
CN1242388C (zh) 2006-02-15
MXPA02012521A (es) 2004-07-30
US7894318B2 (en) 2011-02-22
CN1937041A (zh) 2007-03-28
EP2148330A1 (en) 2010-01-27
US20080212447A1 (en) 2008-09-04
US20110205874A1 (en) 2011-08-25
JP2010176842A (ja) 2010-08-12
EP1318509A4 (en) 2007-07-04
CA2687697C (en) 2011-07-12
CA2410779A1 (en) 2002-11-28
US20080212458A1 (en) 2008-09-04
US20080198712A1 (en) 2008-08-21
EP2309504B1 (en) 2013-06-12
CA2410779C (en) 2009-07-07
HK1059677A1 (en) 2004-07-09
JP2008282530A (ja) 2008-11-20
US20080198714A1 (en) 2008-08-21
CN1838260B (zh) 2010-08-11
EP1318509B1 (en) 2011-11-09
US20080247305A1 (en) 2008-10-09
CN1447968A (zh) 2003-10-08
CN1838260A (zh) 2006-09-27
EP2309503A1 (en) 2011-04-13
JP4757346B2 (ja) 2011-08-24
JPWO2002023542A1 (ja) 2004-01-22
WO2002023542A1 (en) 2002-03-21
CA2658113A1 (en) 2002-11-28
AU2001286209B2 (en)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839B1 (ko) 광학적 정보 기록 매체 및 광학적 정보 기록 방법, 광학적정보 기록 장치
KR101029388B1 (ko) 정보 기록 매체 및 정보 기록 장치
JP2002237050A (ja) 情報記録装置
JP4200335B2 (ja) 情報記録媒体、並びに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JP2008159203A (ja) 光記録媒体、光記録媒体の記録再生方法
JP4510029B2 (ja) 光学式記録媒体の記録再生方法および記録再生装置
US20100172226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US20100103793A1 (en) Multilayer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in the multilayer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3849877B2 (ja) 光学的情報記録媒体
JP4154256B2 (ja) 光学式情報記録媒体の記録再生装置、および光学式情報記録媒体の記録再生方法
JP2005327328A (ja) 3次元光情報記録媒体
JP2003223718A (ja) 情報記録媒体、並びに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