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030B1 - 농작업기 - Google Patents

농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030B1
KR100760030B1 KR1020037002438A KR20037002438A KR100760030B1 KR 100760030 B1 KR100760030 B1 KR 100760030B1 KR 1020037002438 A KR1020037002438 A KR 1020037002438A KR 20037002438 A KR20037002438 A KR 20037002438A KR 100760030 B1 KR100760030 B1 KR 100760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rame structure
preliminary
frame
work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8811A (ko
Inventor
츠구노리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8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 B62D49/0664Light, simple, and economical tractors
    • B62D49/0671Light, simple, and economical tractors the driver riding on the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농작업기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기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시킨 좌우 한 쌍의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부에,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킨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를 설치하고, 상기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에서 예비모판을 지지하도록 구성한 농작업기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부에, 전측 프레임 구성체를 가로로 가설함과 동시에, 상기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를 상기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로 연결하도록 했다.










Description

농작업기 {AGRICULTURAL MACHINE}
본 발명은 농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농작업기는 자유롭게 주행 가능하게 구성한 주행기체(走行機體)의 후부에, 작업기를 승하 가능하게 배설하고, 주행기체는 기체(機體) 프레임의 하방으로 주행부를 배설하는 한편, 기체 프레임의 전측상부(前側上部)에 원동기부를 배설하고, 상기 원동기부의 후방위치에 운전 조작부를 배설했다.
기체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시킨 좌우 한 쌍의 센터프레임 구성체의 전부(前部)에 좌우폭 방향으로 연장시킨 전측 프레임 구성체를 가로로 가설하는 한편,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후부에, 배면에서 보면 대략 門형상의 리어프레임 구성체를 가로로 가설함으로써 대략 사각형틀 형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기체 프레임은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측 중도부에 좌우폭 방향으로 연장시킨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를 설치하고 있어, 상기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의 좌우단부에 예비모판을 재설(載設)했다.
즉, 종래의 농작업기에서는 예비모판을 기체 프레임의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 만으로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기체 프레임은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중도부분과 후부 사이의 좌우폭 방향으로 연장시킨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를 각각 가로로 가설하고, 이들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에 의하여 운전 조작부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스텝을 지지했다.
이러한 스텝의 직후방(直後方) 위치에는 리어데크(rear deck)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기체 프레임의 센터 프레임 구성체에 리어데크를 지지하기 위한 리어데크 지지프레임 구성체를 부착하고, 상기 리어데크 지지 프레임 구성체에 리어데크를 부착하도록 했다.
즉 종래의 농작업기에서는 기체 프레임에 리어데크 지지프레임 구성체를 부착하고, 상기 리어데크 지지프레임에 리어데크를 부착하는 구성이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농작업기에서는 기체 프레임의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만으로 예비모판을 지지하였기 때문에,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가 중량물인 예비모판을 충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서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의 강도를 확보했었다.
그로 인해,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의 중량이나 비용이 증대하고, 이에 따른 농작업기 전체의 경량화나 저렴화의 장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농작업기에서는, 기체 프레임에 스텝 지지프레임 구성체와는 다른 부재인 리어데크 지지 프레임 구성체를 부착하지 않으면, 리어데크를 기체 프레임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치 않은 구조이었다.
그로 인해,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와는 별도로, 리어데크 지지프레임 구성체를 준비해야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농작업기를 구성하는 부품점수가 증대하고, 제조 비용이나 부품관리 비용이 증대하는 문제점과 동시에 기체의 중량도 증대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기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시킨 좌우 한 쌍의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부(前部)에 좌우폭 방향으로 향하게 연장한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를 설치하고, 상기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로 예비모판을 지지하고, 또한 좌우 한 쌍의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부에 전측 프레임 구성체를 가로로 가설함과 동시에, 상기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를 상기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로 연결한다.
또한, 평면에서 보면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로 둘러 쌓인 영역 내부에 배터리를 배설했다.
또한, 평면에서 보면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의 측부로 둘러 쌓인 영역 내부에 유압펌프를 배설했다.
또한, 평면에서 보면 좌우 한 쌍의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중도부와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의 중도부로 둘러 쌓인 영역 내부에 엔진을 배설함과 동시에, 평면에서 보면 좌우 한 쌍의 센터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의 측부로 둘러 쌓인 두 개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 내부에 배터리를 배설하는 한편, 다른 영역 내 부에 유압 펌프를 배설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체 프레임의 상부에 운전조작부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스텝을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스텝의 후방에 리어데크를 배설하고, 더욱이 기체 프레임에 스텝을 지지하기 위한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를 설치하고, 상기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로 리어데크도 지지하도록 구성했다.
또한, 상기 스텝지지프레임 구성체는, 기단부를 좌우폭 방향으로 향하게 연장함과 동시에, 선단부를 전후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상기 선단부로 스텝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기단부로 리어데크를 지지하도록 했다.
또한, 상기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기단부에 리어데크를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Bracket)을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은 리어데크를 바꾸어 시비(施肥:비료)기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기는 자유롭게 주행 가능하게 구성한 주행기체의 후부에 작업기로서의 식부(植付)기를 승강 가능하게 연설(連設)하고 있고, 주행기체는 기체프레임을 구성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시킨 좌우 한 쌍의 센터프레임 구성체의 전부에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킨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를 설치하고, 상기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로 예비모판를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센터프레임 구성체의 전부에 전측 프레임 구성체를 가로로 가설함과 동시에, 상기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를 상기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 측부에 연결한 것이다.
그로 인해, 예비모판의 하중을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에서 받는 것뿐만 아니라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에서도 받게 되어, 이들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가 협동하여 중량물인 예비모판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고,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 자체의 경량화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농작업기 본체의 경량화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평면에서 보면 센터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의 측부로 둘러 쌓인 영역 내부에 배터리를 배설한 경우에는, 배터리의 주위에 센터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의 측부가 존재하게 되어, 만일 기체 주행중에 밭이나 노면으로부터 돌이나 진흙 등이 튀어 올라와도, 이들 돌이나 진흙 등은 센터프레임 구성체나 전측 프레임 구성체나 예비모판지지프레임 구성체에 충돌할 뿐 배터리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일은 없다.
이에 따라 센터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의 측부가 배터리의 보존확보 부재로서 기능하게 되고, 이들 보존확보 부재에 의해, 배터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농작업기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고, 더욱이 배터리를 보존확보하기 위한 보존확보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이것에 의해서도 농작업기의 경량화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보면 센터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의 측부로 둘러 쌓인 영역 내부에 유압펌프를 배설한 경우에는, 유압펌프의 주위로 센터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의 측부가 존재하게 되어, 만일 기체 주행중에 밭이나 노면으로부터 돌이나 진흙 등이 튀어 올라와도, 이들 돌이나 진흙 등은 센터프레임 구성체나 전측 프레임 구성체나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에 충돌할 뿐 유압펌프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일은 없다.
이에 따라 센터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의 측부가 유압펌프의 보존확보 부재로서 기능하게되고, 이들 보존확보 부재에 의해 유압펌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농작업기의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유압펌프를 보존확보하기 위한 보존확보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이것에 의해서도 농작업기의 경량화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보면 좌우 한 쌍의 센터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중도부와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의 중도부로 둘러 쌓인 영역 내부에 엔진을 배설함과 동시에, 평면에서 보면 좌우 한 쌍의 센터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의 측부로 둘러 쌓인 두 개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 내부에 배터리를 배설하는 한편, 다른 영역 내부에 유압 펌프를 배설한 경우에는, 상술한 배터리나 유압펌프의 보존확보가 가능한 것뿐만 아니라 중량물인 엔진을 중심으로 같은 중량물인 배터리와 유압펌프를 좌우로 갈라서 배설하게 되어 좌우 중량 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어 기체의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기는 자유롭게 주행 가능하게 구성한 주행기체의 후부에 작업기로서 식부(植付)기를 승강 가능하게 연설하고, 주행기체는 기체프레임의 상부에 운전조작부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스텝을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스텝의 후방에 리어데크를 배설한 것이다.
또한, 기체 프레임에 스텝을 지지하기 위한,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를 설치하고, 상기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로 리어데크도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로 인해 기체 프레임에 설치한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 만으로, 스텝뿐만 아니라 상기 스텝의 후방에 배설한 리어데크도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어데크를 지지하기 위한 전용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농작업기를 구성하는 부픔 점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나 부품관리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기단부를 좌우폭 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선단부를 전후방향으로 연장시켜, 상기 선단부에서 스텝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기단부로 리어데크를 지지하도록 한 경우에는, 스텝 지지프레임 구성체를 제조가 쉽고 저렴한 가격으로 할 수 있어, 보다 한층 농작업기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기단부에 리어데크를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에 리어데크로 바꾸어 시비(施肥)기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시비기를 장착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준비 할 필요가 없어, 이것에 의해서도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의 저렴화나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전식기(田植機)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2는 기체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상기 기체프레임의 좌측면도.
도 4는 원동기부를 나타내는 좌단면 측면도.
도 5는 스티어링 샤프트 지지 프레임 구성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 지지 프레임 구성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8은 스텝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보닛(Bonnet)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시비(施肥)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로서의 보닛을 나타내는 좌단면 측면도.
도 12는 스티어링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토크 발생기(Torque generator)와 스티어링 케이스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도 14는 토크 발생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스티어링 케이스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6은 키 스위치 패널(key-switch panel)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상기 키 스위치 패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8은 상기 키 스위치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기로서 전식기(1)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기는 전식기(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트럭, 콤바인, 야채 이식기 등의 각종 농작업에 이용되는 작업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식기(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유롭게 주행 가능하게 구성된 주행기체(2)의 후부에 식부기(植付機)(3)를 승강기구(4)를 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연설한다.
주행기체(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5)의 하방으로 주행부(6)를 배설하는 한편, 기체 프레임(5)의 전부에 원동기부(7)를 배설하고, 상기 원동기부(7)의 후방위치에 운전조작부(8)를 배설한다.
이하, 주행기체(2)의 각부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체 프레임 (5)]
우선 기체 프레임(5)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기체 프레임(5)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대략 중앙부로부터 후측을 상 부방향으로 굴곡시킨 좌우 한 쌍의 센터프레임 구성체(9),(10)를 구성하고 상기 센터 프레임 구성체(9),(10)의 전단부 사이에 중앙부분을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좌우측부에서 굴곡시켜 좌우측부를 후방으로 연장시켜 평면에서 보면 대략 コ자형의 원통형태의 전측 프레임 구성체(11)를 가설하고, 센터프레임 구성체(9),(10)의 전측 중도부 사이에, 좌우폭 방향으로 연장시킨 중공 직사각형 모양의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spare seedling loading tables)(12)를 가설하고, 또한 센터프레임 구성체(9),(10)의 중도부분에, 좌우폭 방향으로 연장시킨 원통형의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13)와 정면에서 보면 대략 원통형상의 좌석 지지프레임 구성체(14)의 기단부를 가설하고 또한 센터 프레임 구성체(9),(10)의 후단부 사이에, 배면에서 보면 대략 門형상의 중공 직사각형 형태의 리어프레임 구성체(15)의 상부를 설치한다.
또한, 기체 프레임(5)은 전측 프레임 구성체(11)의 중앙부와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12)의 중앙부와의 사이에, 엔진(16)을 재치하기 위한 직사각형 평편형의 엔진 지지체(17)를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가설하고, 상기 엔진 지지체(17)의 후단에는 스티어링기구(18)를 지지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평편형의 스티어링 지지체(19)를 연설(延設)한다.
또한, 기체 프레임(5)은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12)의 좌우 단부에, 예비모판(20)을 구성하는 예비모판 지지 지주(21)의 기단부를 브래킷(22)을 통하여 각각 부착하고, 이러한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12)의 좌우단부에 전측 프레임 구성체(11)의 좌우 단부를 연결하고, 이들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12)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11)의 우측부 사이에, 배터리(23)를 재치(載置)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평편형의 배터리 지지체(24)를 가설하고, 또한 센터프레임 구성체(9),(10)와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12)와의 교차부 근방에, 좌우 한 쌍의 스텝지지 지주(51),(52)를 상부방향으로 입설(立設)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센터프레임 구성체(9),(10)의 전단부 사이에, 전측프레임 구성체(11)를 가로로 가설함과 동시에, 상기 전측 프레임 구성체(11)의 좌우측부를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12)의 좌우측부에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예비모판(20)의 하중을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12)의 좌우단부에서 받게 될 뿐만 아니라, 전측 프레임 구성체(11)의 좌우단부에서도 받게 되어, 이들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12)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11)가 협동하여 중량물인 예비모판(20)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예비 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12)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12)를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예비모판 지지프레임 구성체(12)의 경량화나 저렴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기체 전체의 경량화나 저렴화를 도모한다.
또한, 기체 프레임(5)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측 프레임 구성체(11)의 중앙상부에 좌우 한 쌍의 스티어링 샤프트 지지프레임 구성체(25),(26)의 전단부를 부착하고, 양 스티어링 샤프트 지지 프레임 구성체(25),(26)의 후단부에 스티어링 샤프트(27)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통형상의 스티어링 포스트(28)를 대략 U자 형태의 브래킷(29)을 통하여 부착한다.
또한, 기체 프레임(5)은 도 2 ,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門형태의 리어 프레임 구성체(15)의 좌우측부에 좌우 한 쌍의 원통형상의 스텝 지지프레임 구성체(30)(31)의 기단부를 부착함과 동시에, 이들 리어프레임 구성체(15)의 모서리부와 스텝지지프레임 구성체(30),(31)의 기단부와의 사이에, 리어데크 지지 브래킷(32),(33)을 부착한다. 각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30),(31)는 기단부를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킴과 동시에 중도부에서 굴곡하고, 선단부를 전후방향으로 향하게 연장시킨 형태가 된다.
[주행부 6]
주행부(6)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행부(6)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5)에 설치된 스티어링 지지체(19)의 후부(後部)에 미션케이스(34)의 전부를 부착하고, 상기 미션케이스(34)의 전부(前部)에 좌우 한 쌍의 프론트 액슬 케이스(35),(36)를 연동연결하고, 각 프론트 액슬 케이스(35),(36)에 전 차륜(37)을 연동연설한다.
또한, 주행부(6)는 미션케이스(34)의 후부에 좌우폭 방향으로 연장시킨 리어 액슬 케이스(38)를 연동연결하고, 상기 리어 액슬 케이스(38)의 좌우단부에 후차륜(39)을 각각 연동연결한다. 이러한 리어 액슬 케이스(38)는 좌우측 상부를 기체 프레임(5)의 리어 프레임 구성체(15)의 기단부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기체 프레임(5)의 스티어링 지지체(19)에 미션 케이스(34)를 부착함과 동시에, 상기 미션케이스(34)의 후단부에 연설한 리어 액슬 케이스(38)를 기체 프레임(5)의 리어 프레임 구성체(15)에 부착함으로써, 기체 프레임(5)과 미션케 이스(34) 및 리어 액슬 케이스(38)가 일체로 되어, 견고한 기체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으며,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도부로부터 후상방으로 굴곡시킨 센터프레임 구성체(9),(10)의 후부와 리어 프레임 구성체(15)와 미션케이스(34) 및 리어 엑셀 케이스(38)로 대략 삼각 트러스구조를 구성하고 있어, 이에 따라 기체의 강성이 높아져, 기체의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평면에서 보면 미션케이스(34)와 프론트 액슬 케이스(35),(36)로 형성된 요부에 좌우 센터프레임 구성체(9),(10)를 관통시킴으로써, 센터프레임 구성체(9),(10)의 위치를 종래 보다도 낮추어, 기체의 저중심화(低重心化)를 도모하며,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차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승강성(乘降性)을 향상시키고 있다.
[원동기부 7]
원동기부(7)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동기부(7)는 도 1 내지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5)의 엔진 지지체(17)에 엔진(16)을 재설하고, 상기 엔진(16)의 상방향에 연료탱크(40)를 배설함과 동시에, 엔진(16)의 좌측부에 머플러(muffler)(59)를 연설하고, 상기 머플러(59)의 전단부에 배기통(60)을 전측하방으로 돌설하고, 상기 배기통(60)의 선단부에 배기구(61)를 형성하고, 이들 엔진(16)이나 연료탱크(40)나 머플러(59)를 보닛(Bonnet)(62)으로 피복한다.
또한, 원동기부(7)는 엔진(16)의 후방 좌측부와 전방 우측부에 구동축(41),(42)을 각각 돌출 시키고, 엔진(16)의 후방 좌측부에 돌출시킨 구동축(41)에는, 주행부(6)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주행동력 전달기구(43)를 연동연결하는 한편, 엔진(16)의 전방우측부에 돌출시킨 구동축(42)에는, 발전기구(44)를 연동연결한다.
즉, 원동기부(7)는 엔진(16)의 후방 좌측부에 구동축(41)을 돌설하고, 상기 구동축(41)의 선단부에 주행동력 전달기구(43)의 일부를 구성하는 벨트식 무단계 변속의 변속장치(45)를 연동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변속장치(45)의 좌측부에 동일 축상에 식부기(3) 등을 유압 구동하기 위한 유압펌프(46)를 부착하고, 상기 유압펌프(46)에도 엔진(16)의 구동축(41)을 연동연결한다. 주행동력 전달기구(43)는 엔진(16)의 구동축(41)에 변속장치(45)의 출력측 풀리(47)를 부착하는 한편, 미션케이스(34)의 전방 좌측부에 돌출시킨 입력축(48)에 입력측 풀리(49)를 부착하고, 이들 출력측 풀리(47)와 입력측 풀리(49)와의 사이에, 전동벨트(50)를 매달아 걸쳐 놓고, 엔진(16)의 동력을 변속장치(45)로 변속한 후에, 미션케이스(34)와 프론트 액슬 케이스(35),(36)나 리어 액슬 케이스(38)를 통하여 전후차륜(37),(39)으로 전달한다.
한편, 원동기부(7)는 엔진(16)의 전방 우측부에 구동축(42)을 돌설하고, 상기 구동축(42)의 선단부에 발전기구(44)를 연동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발전기구(44)는 엔진(16)의 구동축(42)의 선단부(42)에 출력측 풀리(53)를 부착하는 한편, 기체 프레임(5) 우측의 센터프레임 구성체(10)의 전측부에 입설한 발전기 지지 지주(54)와 우측의 스텝지지 지주(52)와의 사이에, 발전기(55)를 부착하고, 상기 발전기(55)의 입력축(56)에 입력측 풀리(57)를 부착하고, 이들 출력측 풀리(53)와 입력측 풀리(57)와의 사이에, 전동벨트(58)를 매달아 걸쳐 놓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엔진(16)의 좌우측 방향으로 구동축(41),(42)을 각각 돌출시킴과 동시에, 엔진(16)의 좌측에 주행동력 전달기구(43)를 배설하는 한편, 엔진(16)의 우측에 발전기구(44)를 배설하고, 엔진(16)의 좌측에 돌설한 구동축(41)에 주행동력 전달기구(43)를 연동연결하고, 엔진(16)의 우측에 돌설한 구동축(42)에 발전기구(44)를 연동연결하기 때문에, 운전조작부(8)의 전방측에 엔진이 배설되고, 상기 엔진(16) 전방측에 발전기구(44)를 배설한 종래의 농작업기에 비하면, 운전조작부(8)로부터 전방측 기체의 길이를 가급적으로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운전조작부(8)부터 전방 시계(視界)가 엔진(16)이나 발전기구(44)를 피복한 보닛(62)에 의해 차단되지 않게 되어, 주행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체에서 전방측의 기체 길이가 짧아짐으로, 최소 선회반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선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욱이 전방측의 기체의 길이가 짧아지는 분량 만큼 기체의 전후길이도 짧아져 기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엔진(16)을 사이에 두고 발전기구(44)와는 반대측에 엔진(16)의 배기구(61)를 배설하기 때문에, 엔진(16)의 배기구(61)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 가스가 발전기구(44)와는 반대측으로 배출되어지게 되어, 배기 가스가 직접적으로 발전기구(44)로 내뿜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엔진(16)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인해 발전기구(44)의 외관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발 전기구(44) 주변의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발전기구(44)의 고온에 기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체 프레임(5)에 형성한 스텝 지지 지주(52)를 이용하여, 발전기구(44)의 일부를 구성하는 발전기(55)를 지지하기 때문에, 스텝 지지 지주(52)가 발전기(55)를 지지하기 위한 지주로서도 기능하게 되어, 발전기(5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지며, 이에 따라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어 부품관리 비용이나 제조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센터프레임 구성체(9),(10)의 전단부 사이에, 전측 프레임 구성체(11)를 가로로 가설함과 동시에, 상기 전측 프레임 구성체(11)의 좌우단부를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12)의 좌우측부로 연결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면 좌우 한 쌍의 센터 프레임 구성체(9),(10)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11)의 중도부와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12)의 중도부로 둘러 쌓인 폐쇄 루프형태의 영역(S1)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보면 센터프레임 구성체(9),(10)의 전방 좌우측부에, 센터프레임 구성체(9),(10)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11)의 좌우측부와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12)의 좌우측부로 둘러 쌓인 좌우 한 쌍의 폐쇄 루프형태의 영역(S2),(S3)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평면에서 보면 중앙 영역(S1) 내부에 엔진(16)과 변속장치(45)를 배설함과 동시에, 좌측 영역(S2) 내부에 유압펌프(46)를 배설하고, 우측 영역(S3) 내부에 배터리(23)를 배설한다,
이와 같이 중량물인 엔진(16)을 중심으로, 같은 중량물인 배터리(23)와 유압펌프(46)를 좌우로 나누어 배치하고 좌우의 중량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시켜, 기체의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평면에서 보면 중앙 영역(S1) 내부에 엔진(16)과 변속장치(45)를 배설하기 때문에, 엔진(16)이나 변속장치(45)의 주변에, 센터 프레임 구성체(9),(10)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11)의 중도부와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12)의 중도부가 존재하게 되어, 센터프레임 구성체(9),(10)의 전측부와 전측프레임 구성체(11)의 중도부와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12)의 중도부가 두렁(畦) 등의 장해물로부터 엔진(16)이나 변속장치(45)를 보호하는 보호부재로서 기능하게 되어, 이들 보호부재에 의해 엔진(16)이나 변속장치(4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농작업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엔진(16)이나 변속장치(45)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이것에 의해서도, 농작업기의 경량화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보면 좌측 영역(S2) 내부에 유압펌프(46)를 배설하기 때문에, 유압펌프(46)의 주위에, 센터프레임 구성체(9),(10)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11)의 측부와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12)의 측부가 존재하게 되어, 센터프레임 구성체(9),(10)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11)의 측부와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12)의 측부가 두렁 등의 장해물로부터 유압펌프(46)을 보호하는 보호부재로서 기능하게 되어, 이들 보호부재에 의해 유압펌프(46)의 파손을 방 지할 수 있어, 농 작업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유압펌프(46)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이것에 의해서도 농작업기의 경량화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평면에서 보면 우측 영역(S3) 내부에 배터리(23)를 배설하기 때문에, 배터리(23)의 주위에, 센터프레임 구성체(9),(10)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11)의 측부와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12)의 측부가 존재하게 되어, 센터프레임 구성체(9),(10)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11)의 측부와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12)의 측부가 두렁 등의 장해물로부터 배터리(23)를 보호하는 보호부재로서 기능하게 되어, 이들 보호부재에 의해 배터리(2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농 작업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배터리(23)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이것에 의해서도 농작업기의 경량화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엔진(16)이나 배터리(23)나 유압펌프(46)는 도 1, 도 4 및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편상의 프론트스텝(63)으로 피복되어 있다.
이러한 프론트 스텝(63)은 전측 중앙부에 전단부의 일부를 개방한 절개부(64)를 형성하고 평면에서 보면 대략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두 갈래 형태로 되어 있는 선단부분을 엔진(16)의 좌우측방향으로 연장시킨 상태로 기체 프레임(5)에 형성한 스텝 지지 지주(51),(52)의 상부에 재설한다.
또한, 프론트 스텝(63)은 두 갈래의 전부에 형성한 절결부(64)에 전측 커버(65)를 개폐 가능하도록 배설하며, 상기 전측커버(65)는 하단부에 대략 원통 형상의 보스(66),(66)을 형성하고, 상기 보스(66),(66)를 전측프레임 구성체(11)의 중앙부에 삽입함으로써 전측 프레임 구성체(11)를 중심으로 전후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측 커버(65)의 내측에 엔진(16)의 엔진오일 검유(檢油)를 겸한 급유구(67)를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스텝(63)의 전측 중앙부에 절결부(64)를 형성하여, 프론트 스텝(63)을 평면에서 보면 대략 U자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프론트 스텝(63)을 떼어낼 때에 프론트 스텝(63)과 엔진(16) 등의 기체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가 서로 간섭하기 어렵게 되어, 프론트 스텝(63)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프론트 스텝(63)을 떼어 내고 수행하는 유지보수(maintenance)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프론트스텝(63)의 전측 중앙부에 형성한 절결부(64)에, 개폐 덮개로서 기능하는 전측커버(65)를 배설함으로써, 프론트스텝(63)을 떼어내지 않고 전측 커버(65)를 개폐하는 것만으로 엔진(16)의 하부나 엔진(16)에 연동연결한 주행동력 전달기구(43)의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유지보수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전측 커버(65)의 내측에, 엔진(16)의 엔진오일 검유를 겸한 급유구(67)를 위치시킴으로써, 프론트 스텝(63)을 떼어내지 않고 전측 커버(65)를 개폐하는 것만으로, 엔진 오일의 검유나 급유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엔진오일의 검유나 급유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프론트스텝(63)의 전측 중앙부에 형성한 절결부(64)에는, 개폐 덮개를 바꾸어 윈치(Winches)나 펌프 등의 부착물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프론트스텝(63)의 상부에는 전방으로부터 보닛(62)과 프론트 칼럼커버(68)의 순서로 재설하고, 보닛(62)에 의해 엔진(16)과 연료탱크(40)의 전방 및 좌우측을 피복하고 아울러, 프론트 칼럼커버(68)에 의해 엔진(16)과 연료탱크(40)의 후방을 피복한다. 이들 보닛(62)과 프론트 칼럼커버(68)는 일체로 되어 기체전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보닛(62)이 전측 보닛 구성체로서 기능하는 한편, 프론트 칼럼커버(68)가 후측 보닛 구성체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보닛(62)은 도 5 및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의 좌우폭 보다 상부의 좌우폭을 좁게 함으로써, 정면에서 보면 대략 중앙부보다 상부측에 요(凹)부(69),(69)를 형성한다. 이러한 요부(69)는 보닛(62)의 좌우측면에 연속되는 매끄러운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보닛(62)의 상부에 정면에서 보면 요부(69)를 형성함으로써, 보닛(62)의 하방측부에 설치된 프론트 스텝(63)의 상면(上面)을 작업자가 이동할 때에, 보닛(62)의 상부와 작업자와의 사이 간격을 넓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행기체(2)의 후부에 시비기(135)를 탑재한 경우(도 10 참조)에, 비료를 보급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비료포대를 들고 프론트스텝(63) 위를 보닛(62)을 따라 이동할 때에, 비료포대를 보닛(62)의 상부에 형성한 요부를 통과시킬수 있으므로, 비료포대를 운반하는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여유을 가지고 프론트 스텝(63)의 상면을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보닛(62)에 형성한 요부(69)를 곡면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만일 비료포대의 운반시에 비료포대가 보닛(62)에 접촉하더라도, 비료포대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비료포대의 파손으로 인하여, 비료가 흩날려 기체(機體)에 부착함으로써 녹이 발생한다거나 또는 흩날린 비료를 청소하는 수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닛(62)은 전단하부에 결합부(70)를 형성하는 한편, 후단상부에 잠금부(71)를 형성한다.
즉 보닛(62)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하부에 결합부(70)로서의 설편(舌片:tongue piece)(70a)을 형성하고, 한편 스티어링 샤프트(steering shaft) 지지 프레임 구성체(25),(26)의 중도부 사이에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킨 브래킷(72)을 가로로 가설하고, 상기 브래킷(72)의 중앙하부에 결합편(73)을 설치하고, 상기 결합편(73)에 가로로 긴 모양의 결합공(74)을 천설(穿設)하고, 상기 결합공(74)에 상기 설편(70a)을 삽입함으로써 기체 프레임(5)에 보닛(62)의 전단부를 결합한다.
한편 보닛(62)은 후측상부에 개구(開口)(75)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75)에 연료탱크(40)의 급유구(76)를 위치시키고, 개구(75)에 급유용의 급유구 덮개(77)를 개폐 가능하도록 부착하고, 또한 개구(75)의 상단테두리에 잠금부(71)로서의 설단(71a)을 형성하고, 상기 설단(71a)에, 잠금 부재인 손잡이 나사(knob screw)(81)를 삽입하기 위한 손잡이 나사 삽통공(78)을 천설하는 한편, 스티어링 포스트(28)의 상단부에 브래킷(79)을 전방향으로 돌설하고, 상기 브래킷(79)의 전단부에 암나사(80)를 부착하고 있으며, 보닛(62)의 손잡이 나사 삽통공(78)에 삽입 한 손잡이 나사(81)를 암나사(80)에 끼움으로써, 보닛(62)을 기체에 고정한다. 이러한 손잡이 나사(81)는 급유구 덮개(77)내부에 위치하며, 급유구 덮개(77)를 열고 급유구 덮개(77)의 내측부에 손잡이 나사(81)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보닛(62)의 잠금 조작이나 잠금 해제 조작을 수행하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보닛(62)에 상기 보닛(62)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70)와 보닛(62)을 잠그기 위한 잠금부(71)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잠금부(71)를 개폐 덮개로서의 급유구 덮개(77)로 피복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 덮개(급유구 덮개(77))의 내측에서 잠금부(71)의 잠금 조작 및 잠금 해제 조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로 인해 외견상으로 잠금부(71)가 노출되어 있지 않아서, 잠금부(71)에 작업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일이 없어지고, 잠금이 해제되어 보닛(62)이 탈락하는 것을 복잡한 구조로 하지 않아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견상으로 잠금부(71)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디자인 면에 있어서도 양호하다.
특히 개폐 덮개로서 보닛(62)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한 급유용의 급유구 덮개(77)를 이용하기 때문에, 잠금부(71)를 피복시키기 위한 개폐 덮개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성하는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어서, 제조비용이나 부품관리 비용의 저렴화나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부(71)를 피복하는 개폐 덮개로서 급유구 덮개(77)를 사용하지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닛(62)의 하단부에 개폐 가능 하게 설치한 전측 커버(65)를 개폐 덮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11에서는 상술한 도 4에서의 구성과 거의 동등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즉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닛(62)은 전단하부에 잠금부(71)로서의 설편(71a)을 형성하고, 상기 설편(71a)에 잠금 부재로서의 손잡이 나사(81)를 삽입하기 위한 손잡이 나사 삽통공(78)을 천설하는 한편, 스티어링 샤프트 지지 프레임 구성체(25),(26)의 중도부 사이에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한 브래킷(72)을 가로로 가설하고, 상기 브래킷(72)의 중앙부에 암나사(80)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80)에 설편(71a)의 손잡이 나사 삽통공(78)에 삽입한 손잡이 나사(81)를 끼움으로써, 기체 프레임(5)에 보닛(62)을 끼운다. 이러한 손잡이 나사(81)는 전측 커버(65)의 내측에 위치하고, 전측커버(65)에 의해 피복된다.
한편 보닛(62)은 후단후부에 결합부(70)로서의 설편(70a)을 형성하는 한편, 프론트 컬럼 커버(68)의 전단상부에 결합요부(82)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요부(82)에 설편(70a)을 결합한다.
이와 같이 보닛(62)의 잠금부(71)를 피복하는 개폐 덮개로서, 기체의 전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전측커버(65)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체의 전방에서 보닛(62)의 착탈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엔진(16)등의 유지보수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운전 조작부 8]
운전 조작부(8)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조작부(8)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5)의 좌석 지지 프레임 구성체(14)의 중앙상부에 좌석(83)을 부착하고, 상기 좌석(83)의 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스티어링 샤프트(27)를 회동 가능하도록 배설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7)를 스티어링 포스트(28)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스티어링 포스트(28)를 프론트 칼럼 커버로 피복하고, 상기 프론트 칼럼 커버(68)의 우측에 조작레버(주변속 레버(84a)나 묘단레버(84b))나 좌우 브레이크 페달(미도시)를 배설하는 한편, 프론트 칼럼 커버(68)의 좌측에 클러치 페달(85)을 배설한다. 도면 중에 104는 스티어링 샤프트(27)상단에 부착한 스티어링 휠이다.
좌석(83)의 수직전방 위치에는 도 4 및 도 16 내지 도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티어링 포스트(28)에 브래킷(86)을 통하여 부착한 가로로 긴 직사각형 상자 모양의 키 스위치 패널(87)을 배설한다.
키 스위치 패널(87)은 상면에 각종 경고 램프(88a~88d)(예를 들면 묘단작업을 재촉하는 경고램프(88a), 비료의 보급을 재촉하는 경고램프(88b), 비료의 막힘을 알리는 경고램프(88c), 좌우 브레이크 페달의 연결이 해제되어 있는 것을 알리는 경고램프(88d)등)나 스위치(89a~89c)(예를 들면 경고 부저 정지스위치(89a), 엔진시동·정지 전환스위치(89b), 식부(植付)깊이 자동조정 입력스위치(89c) 등)를 배설함과 동시에, 후측면(좌석(83)에 대향하는 측면)의 우측하부에 요부(90)를 형성하고, 상기 요부(90)에 키 스위치(91)를 배설하고, 상기 키 스위치(91)에 키(92)를 삽입하도록 하며, 요부(90)는 키 스위치(91)에 장착한 키(92)의 후단이 평면에서 보면 키 스위치 패널(87)의 후단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깊이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키 스위치 패널(87)의 상면에 경고램프(88a~88d)를 배설함으로써, 작업자는 운전조작중에 경고램프(88a~89d)를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운전조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키 스위치 패널(87)의 상면전부(上面前部)를 수평면으로 하고, 이러한 수평면에 경고램프(88a~88d)를 배치함으로써, 작업자가 경고램프(88a~88d)를 눈으로 확인하기 쉽게 함과 동시에, 키 스위치 패널(87)의 상면후부를 작업자의 시선에 맞추어 전고후저의 경사로 형성하고, 이러한 경사면에 스위치(89a~89c)를 배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스위치(89a~89c)를 조작하기 쉽게 하여 운전조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키 스위치 패널(87)의 측면에 형성된 요부(90)에 키 스위치(91)를 배설함으로써, 키 스위치(91)에 키(92)를 삽입하는 경우에 키(92)의 후단부가 키 스위치 패널(87)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량을 가급적으로 적게 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작업자의 신체가 잘못하여 키(92)의 후단부에 접촉되는 위험이 감소되어 키(92)의 오작업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우천시에 키 스위치(91)에 빗물이 직접 닿는 일이 없게 되어, 키 스위치(91)의 내부로 빗물이 침입하는 일이 없어져서, 키 스위치(91)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요부(90)를 좌석(83)에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좌석(83)에 앉아서도 용이하게 키(92) 조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전방측의 공간을 넓게 할 수 있어 쾌적한 운전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요부(90)를 키 스위치(91)에 장착하는 키(92)의 선단이 평면에서 보면 키 스위치 패널(87)로부터 돌출하지 않게 형성하기 때문에, 키 스위치(91)에 키(92)를 삽입하여도 작업자의 신체가 잘못하여 키(92)의 후단부에 접촉하는 일이 없어서, 키(92)의 오동작을 방지 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조작부(8)는 도 4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티어링 샤프트(27)의 기단부에, 파워 스티어링용의 토크 발생기(93)의 상단부를 연동연결하고, 상기 토크 발생기(93)의 하단부에 감속기구(94)(도 13 참조)를 수용하는 스티어링 케이스(95)를 연동연결하고, 이러한 스티어링 케이스(95)는 종래와 같이 미션케이스(34)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미션케이스(34)와는 별개로 독립된 별체(別體)로서 형성한다.
이들 토크 발생기(93)와 스티어링 케이스(95)는 엔진(16)과 미션케이스(34)의 사이에 배설한다.
즉 엔진(16)의 후방하부에 형성된 요부(96)에 토크 발생기(93)를 상면을 후상방으로 경사지게 한 상태로 배설하는 한편, 미션케이스(34)의 전방 하부에 형성한 요부(97)에, 스티어링 케이스(95)를 상면을 후상방으로 경사지게 한 상태로 배설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스티어링 케이스(95)와 미션케이스(34)와를 별체로 형성함으로써, 농작업기의 사양을 변경할 때에는 사양변경에 따라 스티어링 케이스(95)의 배설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만으로 가능하며, 미션케이스(95)자체의 형태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 이에 따라 농작업기의 사양변경을 신속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티어링 케이스(95)나 토크 발생기(93)를 엔진(16)과 미션케이스(34)와의 사이에 배설함으로써, 엔진(16)과 미션케이스(34)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기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엔진(16)의 후부와 미션케이스(34)의 전부에 요부(96),(97)를 각각 형성하고, 양 요부(96),(97)사이에 스티어링 케이스(95)나 토크 발생기(93)를 배설함으로써, 스티어링 케이스(95)나 토크 발생기(93)를 배설하기 위한 공간으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엔진(16)의 후방하부와 미션케이스(34)의 전방하부에 요부(96),(97)를 각각 형성하고, 양 요부 (96),(97)사이에 스티어링 케이스(95)나 토크 발생기(93)를 전저후고(前低後高)의 경사형태로 배설함에 따라, 엔진(16)과 스티어링 케이스(95)와 토크 발생기(93)와 미션케이스(34)를 밀착시켜 집중적으로 배설할 수 있고, 한층 더 기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토크 발생기(93)와 스티어링 케이스(95)의 부착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4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5)에 엔진(16)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엔진 지지체(17)의 후단에, 스티어링 케이스(95)를 지지하기 위한 스티어링 지지체(19)를 연설하고, 상기 스티어링 지지체(19)의 상부에 토크 발생기(93)를 재설하는 한편, 스티어링 지지체(19)의 하부에 스티어링 케이스(95)를 배설하고, 이들 토크 발생기(93)와 스티어링 케이스(95)를 좌우 2개씩의 총 4개의 볼트(98)를 사용하여, 기체 프레임(5)의 스티어링 지지체(19)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체결하고, 또한 상기 스티어링 지지체(19)의 후단부와 미션케이스(34)의 전단 부를 브래킷(99)을 통하여 연결하는 한편, 스티어링 케이스(95)의 후단하부에 미션케이스(34)의 전단하부를 보강지지체(100)를 통하여 연결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 지지체(17)의 전단부(전측 프레임 구성체(11))와 스티어링 지지체(19)의 후단부(브래킷(99)과 미션케이스(34)와의 체결부인 볼트(101))와 보강 지지체(100)의 후단부(보강 지지체(100)와 미션케이스(34)와의 체결부인 볼트(102))가 측면에서 보면 가상 삼각형(103)의 각 정점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엔진(16)과 미션케이스(34)를 스티어링 케이스(95)를 통하여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엔진지지체(17)자체의 강도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어, 이에 따라 기체의 강성(剛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토크 발생기(93)와 스티어링 케이스(95)와의 사이에, 기체 프레임(5)을 구성하는 스티어링 지지체(19)를 개재시켜, 상기 스티어링 지지체(19)에 토크 발생기(93)와 스티어링 케이스(95)를 부착한다.
이와 같이 토크 발생기(93)와 스티어링 케이스(95)를 동일부재인 기체 프레임(5)의 스티어링 지지체(19)로 부착하기 때문에, 부착 구조를 간략화 할 수 있고, 부착에 필요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이에 따라 제조비용과 부품관리 비용을 저렴화 할 수 있으며,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토크 발생기(93)를 기체 프레임(5)의 스티어링 지지체(19)에 부착하기 때문에, 스티어링휠(104)에 걸리는 하중을 기체 프레임(5)의 스티어링 지지체(19)로 받게 되어, 스티어링 케이스(95)에 걸리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스티어 링 케이스(95)를 종래의 것보다도 경량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 할 수 있다.
특히 토크 발생기(93)와 스티어링 케이스(95)를 기체 프레임(5)의 스티어링 지지체(19)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체결하기 때문에, 체결 하는 곳이 한 곳으로 집중하게 되어 조립작업성이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토크 발생기(93)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크 발생기 본체(105)의 하단부에서, 토크 발생기 본체(105)와 스티어링 케이스(95)와의 사이에 케이스 체(106)를 설치하고, 이러한 케이스 체(106)에 의해, 토크 발생기 본체(105)의 내부에 형성된 파워 스티어링용 오일순환유로를 밀폐하도록 구성한다. 도면 중에 107은 오일 흡입구, 108은 오일 배출구이다.
이러한 케이스체(106)는 토크 발생기 본체(105)의 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개구(drain opening)(109)를 후단부에 형성한다. 도면 중 110은 드레인 파이프이다.
또한, 토크 발생기(93)는 토크 발생기 본체(105)의 하단부에 돌출시킨 중간축(111)의 선단부에, 케이스 체(106)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출력축(112)의 기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출력축(112)의 선단부에 출력기어(113)를 부착한다. 도면 중 114는 베어링, 115는 배킹이다.
한편, 스티어링 케이스(95)는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티어링 케이스 본체(116)의 상부 개구를 스티어링 케이스 덮개(117)로 덮고, 내부에 감속기구(94)를 수용 배설한다. 상기 본 실시예에서는 토크 발생기(93)가 밀폐구조로 되어, 토크 발생기(93)의 내부를 순환하는 오일이 스티어링 케이스(95)의 내부에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스티어링 케이스(95)는 밀폐구조로 할 필요는 없다.
감속기구(94)는, 스티어링 케이스 본체(116)와 스티어링 케이스 덮개(117)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입력축(118)의 상부에, 대직경 변속 기어(119)를 부착함과 동시에 입력축(118)의 하부에 소직경 변속기어(120)를 부착하고, 한편 스티어링 케이스 본체(116)의 후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출력축(121)의 상부에, 부채모양의 선회기어(122)를 부착하고, 이들 소직경 변속기어(120)와 선회 기어(122)를 맞물리도록 한다.
또한, 스티어링 케이스(95)는, 스티어링 케이스 본체(116)의 후방하부에, 출력축(121)를 하방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출력축(121)의 하단부에 판형상의 피트먼 아암(pitman arm)(123)을 부착하고, 상기 피트먼 아암(123)의 전단부에 좌우 한 쌍의 드래그링크(drag link)(124),(125)를 연동연결하고, 이러한 드래그링크(124), (125)는 좌우의 프론트 엑셀 케이스(35),(36)로 설정된 너클암(knuckle arms)(미도시)으로 연동연결한다.
또한, 스티어링 케이스(95)는, 스티어링 케이스본체(116)의 하면에 원호형태의 홈(126)을 형성하는 한편, 피트먼 아암(123)의 상면에 핀(127)을 상방으로 돌출시키고, 이러한 핀(127)이 홈(126)을 따라 회동 이동하게 하고, 또한 홈(126)의 양 단부에 핀(127)이 정확히 접하게 함으로써, 피트먼 아암(123)의 회동을 저지한다. 이러한 스티어링 케이스(95)에 형성된 홈(126)을 스티어링 휠(104)의 조향각(steering angle) 스토퍼로서 사용함으로써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 면서 조향각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스티어링 케이스 덮개(117)와 스티어링 지지체(19)에 관통공(128), (129)을 각각 천설하고, 토크 발생기(93)의 하단부에 돌설한 출력축(112)을 케이스체(106)나 관통공(128),(129)을 관통시킴으로써, 출력축(112)과 출력기어(113)를 스티어링 케이스(95)의 내부로 삽통하고, 스티어링 케이스(95)의 내부에서 출력기어(113)와 대직경 변속기어(119)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토크 발생기(93)와 스티어링 케이스(95)를 연동연결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토크 발생기(93)와 스티어링 케이스(95)와의 사이에 설치된 케이스체(106)에서 토크 발생기(93)를 밀폐하기 때문에, 스티어링 케이스(95)를 밀폐구조로 할 필요가 없고, 토크 발생기(93)와 스티어링 케이스(95)를 밀폐구조로 하기 위한 배킹이나 체결구가 필요 없게 되어,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나 부품관리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토크 발생기(93)와 케이스 체(106)를 떼어, 토크 발생기(93)를 바꾸어 적절한 연결구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가능하며, 파워 스티어링 기능을 갖지 않은 사양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사양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토크 발생기(93)와 케이스 체(106)가 밀폐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 케이스(95)에서 토크 발생기(93)와 케이스 체(106)를 떼어 내어도 토크 발생기(93)와 케이스 체(106)에서 오일이 샐 위험이 없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케이스 체(106)에, 토크 발생기 본체(105)의 오일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개구(109)를 형성하기 때문에, 드레인 개구(109)로 토크 발생기(93)의 내부의 오일을 깨끗하게 빼낼 수 있어, 토크 발생기(93)의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토크 발생기(93)의 출력축(112)을 케이스체(106)를 관통시킨 스티어링 케이스(95)에 삽통함으로써, 토크 발생기(93)를 스티어링 케이스(95)로 연동연결하기 때문에, 토크 발생기(93)의 출력축(112)을 스티어링 케이스(95)의 입력축으로서 겸용이 가능하여 부품의 수가 줄게되어,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나 부품관리비용의 저렴화나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조작부(8)는 도 1 및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83)의 주위에 스텝(130)을 배설하고, 이러한 스텝(130)과 상기 프론트 스텝(63)으로 바닥부를 형성한다.
스텝(130)은 전단부를 프론트 스텝(63)의 후단부에 연설하고, 좌우측부에 승강용의 사이드 스텝(131),(132)을 형성한다.
상기 스텝(130)과 프론트 스텝(63)의 분할위치(스텝(130)의 전단 및 프론트스텝(63)의 후단의 위치)는 종래 보다도 기체 후방측에 위치시켜, 스티어링 휠(104)의 후단 수직 하방 위치 근방으로 하고 있어, 이에 따라 프론트스텝(63)을 떼어내는 것만으로 변속장치(45)의 유지보수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한 분할 위치가 기체 후방측으로 이동한 분량만큼 스텝(130)을 소형경량화 할 수 있어, 스텝(130)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텝(130)은 좌석(83)의 수직하방향을 측면에서 보면 요부 형태로 형성함으로서 작업자의 발 밑에 요부(133)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발 밑이 넓어져서 쾌적한 운전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스텝(130)은 좌우 양 단부를 후차륜(39)의 좌우측 방향까지 연장시킴으로써 습전(濕田:배수가 잘되지 않아 항상 물이 많은 논) 등에서, 후차륜(39)의 외측에 부착한 보조 차륜(미도시)의 전측 상방향을 피복 함으로써, 이로 인해 기체측 방향에서 묘단레버(84B)를 조작 할 때, 작업자에 진흙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스텝(130) 자체가 넓게 되어 묘단시나 비료 보충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욱이 스텝(130)위로 물체가 낙하하여 보조차륜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텝(13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중앙부에서는 기체 프레임(5)의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13)로 지지되고, 또한 좌우 후측부에서는 기체 프레임(5)의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30),(31)로 지지된다.
이와 같이 스텝(130)의 좌우 후단부를 지지하는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30), (31)는, 스텝(130)뿐만 아니라 스텝(130)의 후방에 배설된 기체 후단부를 덮는 리어 데크(rear deck)(134)도 지지한다.
즉, 각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30),(31)는 기단부를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킴과 동시에 중도부로 굴곡하여 선단부를 전후방향으로 연장시킨 형태로 되어 있어,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단부로 리어데크(134)를 지지하고, 한편 전후방향으로 연장한 선단부로 스텝(130)을 지지한다.
그리고 리어데크(134)는 리어 프레임 구성체(15)의 모서리부와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30),(31)의 기단부와의 사이에 설치한 리어데크 지지 브래킷(32), (33)으로 고정한다.
이러한 리어데크 지지브래킷(32),(33)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데크(134)를 바꾸어 시비기(135)를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체 프레임(5)에 스텝(130)을 지지하기 위한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30),(31)를 설치하고, 상기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30),(31)로 리어데크(134)도 지지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기체 프레임(5)에 설치한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30),(31)만으로 스텝(130)뿐만 아니라 상기 스텝(130)의 후방에 배설한 리어 데크(134)도 지지할 수 있어, 이에 따라 리어데크(134)를 지지하기 위한 전용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농작업기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이나 제품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30),(31)의 기단부를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킴과 동시에, 선단부를 전후방향으로 연장시켜, 상기 선단부로 스텝(130)을 지지하는 한편, 기단부로 리어데크(134)를 지지하도록 하기 때문에,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30),(31)를 제조가 쉽고 저렴한 가격으로 할 수 있어, 한층 더 농작업기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30),(31)의 기단부에 리어데크(134)를 장착하기 위한 리어데크 지지 브래킷(32),(33)을 설치하고 상기 리어데크 지지브래킷(32),(33)에, 리어데크(134)를 바꾸어 시비기(135)를 장착 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시비기(135)를 장착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준비 할 필요가 없어, 이에 따른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이에 따른 비용의 저렴화나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은 형태로 실시되어, 이하에 기재된 것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기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좌우 한 쌍의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부에,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된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를 설치하고, 상기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로 예비모판을 지지하고, 또한 좌우 한 쌍의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부에, 전측 프레임 구성체를 가로로 가설함과 동시에, 상기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를 상기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에 연결하므로, 예비모판의 하중을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단부로 받을 뿐 아니라,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 측부로도 받게 된다. 즉 이들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로도 받게 되어, 이들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가 협동하여 중량물인 예비모판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예비모판지지 프레임을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 자체의 경량화나 저렴화를 도모하는 것뿐만 아니 라, 농작업기 전체의 경량화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평면에서 보면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로 둘러 쌓인 영역 내부로, 배터리를 배설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주위로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가 존재하게 되어,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가 두렁 등의 장애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기 때문에, 보호부재로서 기능하고 이들 보호부재에 의하여 배터리의 손상을 방지 할 수 있어, 농작업기의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이것에 의해서도 농작업기의 경량화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평면에서 보면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로 둘러 쌓인 영역 내부에 유압펌프를 배설하기 때문에 유압펌프의 주위로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가 존재하게 되어,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가 두렁 등의 장애물로부터 유압펌프를 보호하기 때문에 보호부재로서 기능하여 이들 보호부재에 의해 압력 펌프의 손상을 방지 할 수 있고, 농작업기의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유압펌프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어, 이 것에 의해서도 농작업기의 경량화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평면에서 보면 좌우 한 쌍의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중도부와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중도부로 둘러 쌓인 영역 내부에 엔진을 배설함과 동시에, 평면에서 보면 좌우 한 쌍의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 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로 둘러 쌓인 두 개의 영역 중에 하나의 영역의 내부에 배터리를 배설하는 한편, 다른 영역의 내부에 유압펌프를 배설하기 때문에, 상술한 배터리나 유압펌프의 보호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중량물인 엔진을 중심으로, 마찬가지로 중량물인 배터리나 유압펌프를 좌우로 나누어 배치하게 되어, 좌우의 중량 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어 기체의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기체 프레임의 상부에, 운전조작부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스텝을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스텝의 후방으로 리어데크를 배설하고, 또한 기체 프레임에 스텝을 지지하기 위한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를 설치하고, 상기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로 리어데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 프레임에 설치된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만으로 스텝뿐만 아니라 상기 스텝의 후방으로 배설한 리어데크도 지지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데크를 지지하기 위한 전용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농작업기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이나 부픔 관리 비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기단 부를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킴과 동시에 선단부를 전후방향으로 연장시켜, 상기 선단부로 스텝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기단부로 리어데크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를 제조가 쉽고 저렴한 가격으로 할 수 있어, 한층 더 농작업기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기단부에 리어데크를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에 리어데크를 바꾸어 시비기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시비기를 장착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 이에 의해서도 부품의 수가 줄어 비용의 저렴화나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8)

  1. 기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시킨 좌우 한 쌍의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부(前部)에,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킨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를 설치하고, 상기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에서 예비모판을 지지하고,
    또한, 좌우 한 쌍의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부에, 전측 프레임 구성체를 가로로 가설함과 동시에, 상기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를 상기 예비모판 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좌우측부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면 센터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로 둘러 쌓인 영역의 내부에 배터리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면 센터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로 둘러 쌓인 영역의 내부에 유압펌프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
  4. 제 2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면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로 둘러 쌓인 영역의 내부에 유압펌프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
  5.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면 좌우 한 쌍의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중도부와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중도부로 둘러 쌓인 영역의 내부에 엔진을 배설함과 동시에, 평면에서 보면 좌우 한 쌍의 센터 프레임 구성체의 전측부와, 전측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와 예비모판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측부로 둘러 쌓인 두 개의 영역중의 하나의 영역의 내부에 배터리를 배설하는 한편, 다른 영역의 내부에 유압펌프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의 상부에, 운전 조작부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스텝을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스텝의 후방에 리어데크를 배설하고,
    또한, 기체 프레임에, 스텝을 지지하기 위한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를 설치하고, 상기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로 리어데크도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지지 프레임 구성체는 기단부를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킴과 동시에 선단부를 전후방향으로 연장시켜, 상기 선단부로 스텝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기단부로 리어데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지지 프레임 구성체의 기단부에, 리어데크를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은 리어데크를 바꾸어 시비기를 장착가능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
KR1020037002438A 2001-06-20 2001-10-17 농작업기 KR100760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86398A JP4754725B2 (ja) 2001-06-20 2001-06-20 農作業機
JPJP-P-2001-00186398 2001-06-20
PCT/JP2001/009127 WO2003000032A1 (fr) 2001-06-20 2001-10-17 Machine agrico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811A KR20030028811A (ko) 2003-04-10
KR100760030B1 true KR100760030B1 (ko) 2007-10-04

Family

ID=19025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438A KR100760030B1 (ko) 2001-06-20 2001-10-17 농작업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754725B2 (ko)
KR (1) KR100760030B1 (ko)
CN (1) CN1275504C (ko)
TW (1) TWI246882B (ko)
WO (1) WO20030000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94912B (zh) * 2013-02-28 2017-08-11 井關農機股份有限公司 作業車輛
CN109041710B (zh) * 2013-11-29 2021-11-19 井关农机株式会社 苗移植机
CA3018328A1 (en) 2014-10-31 2016-04-30 Purdue Pharma Methods and compositions particularly for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
JP6616274B2 (ja) * 2016-12-07 2019-12-04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
JP6861561B2 (ja) * 2017-03-31 2021-04-21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水田作業機
US10722473B2 (en) 2018-11-19 2020-07-28 Purdue Pharma L.P. Methods and compositions particularly for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4610A (en) * 1987-07-21 1989-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m demodulator circuit
JPH01292927A (ja) * 1988-05-19 1989-11-27 Toshiba Corp データ伝送方式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9440B2 (ja) * 1998-06-24 2004-02-23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車の機体構造
JP3984729B2 (ja) * 1998-09-25 2007-10-0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乗用田植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4610A (en) * 1987-07-21 1989-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m demodulator circuit
JPH01292927A (ja) * 1988-05-19 1989-11-27 Toshiba Corp データ伝送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00019A (ja) 2003-01-07
CN1447644A (zh) 2003-10-08
CN1275504C (zh) 2006-09-20
JP4754725B2 (ja) 2011-08-24
KR20030028811A (ko) 2003-04-10
WO2003000032A1 (fr) 2003-01-03
TWI246882B (en)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6816B2 (ja) 作業機
KR100760030B1 (ko) 농작업기
JP3636146B2 (ja) トラクタのフロアカバー
JP4819248B2 (ja) 農作業機
JP4718045B2 (ja) 農作業機
JP4808866B2 (ja) 農作業機
JP3821741B2 (ja) 乗用型作業機
JP4699642B2 (ja) 農作業機
JP4503883B2 (ja) 農作業機
JP2002337757A (ja) クローラ式作業機
JP4777544B2 (ja) 農作業機
JP5008109B2 (ja) 田植機
JP2003002238A (ja) 農作業機
JP2008296880A (ja) 走行車両
JP2003291853A (ja) 作業機の機体構造
JP2003002237A (ja) 農作業機
JP4739610B2 (ja) 移動農機
JP2003002242A (ja) 農作業機
JP3981545B2 (ja) ボンネットの着脱構造
JP4627922B2 (ja) クローラ式作業機
JP2505795Y2 (ja) 施肥作業機
JP4694717B2 (ja) クローラ式作業機
JP3503038B2 (ja) 田植機
JP4454305B2 (ja) 乗用型作業車
JP4116232B2 (ja) 乗用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