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680B1 - 원심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원심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680B1
KR100741680B1 KR1020027010360A KR20027010360A KR100741680B1 KR 100741680 B1 KR100741680 B1 KR 100741680B1 KR 1020027010360 A KR1020027010360 A KR 1020027010360A KR 20027010360 A KR20027010360 A KR 20027010360A KR 100741680 B1 KR100741680 B1 KR 100741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centrifugal separator
discharge
wall
discharg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3545A (ko
Inventor
오히나타테쯔오
미주카미히로요시
수주키노보루
요시다야수유키
마쯔이히로유키
우찌카와타카시
Original Assignee
코토부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구보다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토부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구보다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코토부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3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83Configuration of liquid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91Configuration of solids outlet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경사분리기형 원심분리장치에 있어서, 보울 내의 가장 함수율이 낮은 부분으로부터 직접 오니를 배출하고, 함수율의 저화와 분리효율의 향상을 도모한다.
고속회전되는 보울 내에, 이것과 상대속도차를 가지고서 회전되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수용한 원심분리장치에 있어서, 보울의 일단벽(2) 내에 탈수 덩어리의 배출경로(20)를 설치하고, 상기 경로의 보울 내로의 개구(20a)는 보울의 내주벽 근방에 형성하고, 배출경로는 탈수 덩어리의 배출에 대한 스로틀효과를 가지고, 상기 개구 근방에 침전층이 두꺼운 퇴적층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배출경로부터의 배출 덩어리는, 보울 일단에 퇴적된 침전층 중, 퇴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수두압에 의한 압밀효과가 가장 높은 부분에서부터의 것만이, 퇴적층의 수두압의 작용 하에 배출경로를 경유하여 배출된다.

Description

원심분리장치{CENTRIFUGAL SEPARATOR}
본 발명은 하수오니나 공업배수, 및 화학ㆍ식품공업용 모든 생산품의 농축, 탈수, 침전된 무거운 성분 및 분리수의 회수를, 원심력에 의해 행하도록 한 원심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니 등의 고액분리에는, 종래 일반적으로, 경사분리기형 원심분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분리장치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으로 긴 곧은 몸통부 (30)의 앞에 원추통(31)을 접속하여 형성한, 고속회전되는 보울(bowl)(외측 회전통) (1) 내에, 내통(내측회전통)(11)에 나선날개(12)를 설치하고, 보울(1)과 상대속도차를 가지고서 회전되는 스크류 컨베이어(10)를 수용하고 내통(11)으로부터 보울(1) 내에 오니 등의 처리액(a)을 공급하여, 원심력에 의해 고액분리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보울(1) 내에서 원심력에 의해, 침강분리된 무거운 성분인 탈수 덩어리(b)는, 나선날개 (12)에 의해 앞끝부를 향하여 순차 긁어 밀어내어지고, 원추통(31) 내에서 압밀 탈액작용을 받아, 앞끝의 오니배출구(7)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되고, 분리액(c)의 쪽은, 반대측인 보울(1)의 뒤끝벽(3)에 형성된 배출구멍(32)으로부터 넘치게 하여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 즉 보울의 반경이 크게 되는 방향을 하, 반경이 작게 되는 방향을 상으로 부른다.).
이 경사분리형 원심분리장치는, 보울(1) 내에 여과액을 저장하기 위하여, 여과액이, 덩어리를 배출하는 오니배출구(7)로부터 배출되어버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및, 비치로 불리우는 원추부에 의해서, 탈수 덩어리를 보울 내의 수위이상으로 끌어올려, 탈수효과를 높이도록 하기 위하여, 분리액의 배출구멍(32)과 동일정도 이상의 레벨(수위)까지 앞끝을 작은 지름으로 스로틀한 원추통(31)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종래의 원심분리장치는, 액상 중의 결정 등의 농축이나 탈수를 위하여 발전하여 온 것이지만, 이것과는 그 성질이 다른 오니와 같은 피처리물의 농축이나 탈수에 사용하고자 하면, 오니의 침전물은, 페이스트상이며 친수성이 강하고, 탈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말하자면 물을 스로틀하기 위해서 강한 압밀효과를 작용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종래의 경사분리기형 원심분리장치에 있어서 처리액(a)은, 보울(1)의 중앙부에 공급되었을 때, 공급 직후의 보울 곧은 몸통부(30)에 있어서는, 높은 원심력장(약 2000~3000G)에 의해 고액분리되는 것이지만, 탈수 덩어리(b)가 배출되는 보울 원추부(31)에서는,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지름)가 짧게 되기 때문에, 원심력이 약하게 되고, 함수율이 높아져 버리는 형상이 보인다. 실제, 도 7에 나타내는 장치에 있어서는, 곧은 몸통부와 원추부이 경계 근처인 d부분에 있어서 함수율이 최저로 되는 것이 관측되어 있다. 또한, 침전층이 배출되기 위해서는 강한 원심력에 반대되서 원추부를 상승시킬 필요가 있고,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서 이송하도록 하여도, 함수율이 낮은 경우에는 마찰저항에 의한 공통 선회가 발생해 버려, 덩어리는 저류한 채로 배출되지 않고, 또는 반대로, 곧은 몸통부(30)의 회전중심에 가까운 함수율이 비교적 높은 덩어리만이 배출되는 경향이 보인다.
또한, 탈수 덩어리(b)는, 보울 내의 수위를 넘어서 배출시키기 위한 큰 경사의 원추통을 통과하므로, 이 부분에서의 미끄러짐이 일어나서 배출이 악화되고, 분리액과 함께, 오니가 분리액 배출구(32)로부터 배출되어서 분리액이 오염되는 등의 결점이 있다. 또한, 배출되는 탈수 덩어리는, 곧은 몸통부(31)의 회전중심에 가까운 함수율이 비교적 높은 것이 배출되므로, 배출되는 탈수 덩어리의 함수율을 낮게 하기 위해서, 보울(1)의 회전수를 필요이상으로 높여서(약2,000~3,000rpm) 회전시키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큰 동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오니와 같은 스크류 컨베이어에서의 이송이 곤란한 페이스트상의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분리액의 배출구의 위치가 침전물의 배출구보다 높은 소위「음의 댐」 또는 「상측 일류(溢流)」로 불리우는 상태에서의 회전이 행해진다. 이 1개, 예컨대 ambler형(미국 특허 제3,172,851호, 일본 특개평6-190302호)에 있어서는, 보울 내의 피처리액의 수두(水頭)압을 이용하여 침전물의 배출을 돕고 있다.
그러나, 보울 내의 액면이 높기 때문에, 침전물은 비치부분에서도 액면하에 있고, 그대로 원심력에 의한 수두압이 낮은 비치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함수율이 높아져버린다라는 문제가 있었다.[보울 내에는 강한 원심력이 작용하고 있고, 보울 내의 어느 층에는, 그 위의 액층 또는 침전층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한 강한 누름압력(押壓力)을 받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 누름압력을 수두압으로 부른다.]
또한, Lee형 원심분리장치에 있어서는, 곧은 몸통부와 원추부의 경계 근방에, 보울 벽과 조금의 간극을 둔 칸막이판을 배치하고, 이 보울 벽과 칸막이판의 간극으로부터 침전층의 최하층만을 취출함으로써 낮은 함수율을 얻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함수율이 낮은 페이스트상의 침전층은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한 이송은 곤란하고, 이용가능한 수두도 보울 내의 수위뿐이므로, 배출하기 위해서 퍼올림장치(일본 특개평4-59065호) 등의 특수구조를 필요로 한다.
이 타입의 것 중 1개로서, 보울의 회전축으로부터 처리액을 공급하고, 회전축으로부터 분리액, 침전층을 배출하는 것이지만(특공소63-31261호), 분리장치로서는 우수한 성능을 갖는 것이지만, 탈수 덩어리의 함수율이 낮은 것에서는 배출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
상기 각종 원심분리장치는, 기본적으로, 침전층의 배출는 보울 내의 액면과 동등 내지는 그보다 높은 위치에 있고, 배출에 보울 내의 수두압을 이용하더라도, 보울 내의 처리액의 수두압은, 무거운 침전층의 수두압보다 작어, 수두압만으로 배출하는 것은 원리적으로 불가능하고, 어떠한 배출기구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경사분리형 원심분리장치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종래형 원심분리장치에 있어서, 가장 함수율이 낮은 d부분으로부터 직접 오니를 배출할 수 있는 원심분리장치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로써, 분리의 촉진에 의해서 분리효율의 향상이 도모됨과 아울러, 보울 회전수의 저감화가 실현가능하고, 동력의 절감과 원추형의 비치부분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장치의 간이,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원심분리장치에 있어서는, 고속회전되는 보울 내에, 이것과 상대속도차를 가지고서 회전되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수용한 원심분리장치에 있어서, 보울의 일단벽 내에 침전된 무거운 성분의 배출경로를 설치하고, 이 배출경로의 보울 내로의 개구가 보울 내주벽 근방에 형성된다.(본 명세서에 있어서, 보울이란,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처리액이 고액분리작용을 받고 있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배출경로의 배출 덩어리는, 보울 일단에 퇴적된 침전층 중, 퇴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수두압에 의한 압밀효과가 가장 높은 부분에서부터의 것만이 배출경로를 경유하여 배출되게 된다.
원심분리장치의 시동시에, 처리액이 보울 내로 공급되면, 고형분이 농축ㆍ탈수되는 일없이, 곧바로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고형분이 충분히 침전하기(따라서, 분리액의 맑고 깨끗한 정도를 높인다.) 위해서는, 보울 내에서 일정한 시간, 원심력의 작용을 받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적어도 시동초기의 단계에서는, 배출경로는 보울 내에서 소기의 액면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운전중에는, 분리액의 배출구가 탈수 덩어리의 배출구보다도 낮은 하측 일류로 불리우는 형태이어도, 반대로 높은 상측 일류라 불리우는 형태이어도 좋다. 상측 일류의 경우, 분리액의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서 결정되는 보울 내의 수면은 배출경로측에 퇴적된 침전층에 의해서 유지된다.
상기 배출경로는, 침전층으로부터의 탈수 덩어리의 배출량을 제한하는 스로틀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원심분리장치에 있어서는, 배출경로 중의 탈수 덩어리는, 주로 그 배면에 작용하는 침전층의 원심력에 의한 수두압에 의해서, 또한, 이것에 추가로 스크류의 반송력, 경우에 따라서는, 보울 내로의 처리액의 공급압에 의해서 압출된다.
배출량은, 배출경로로부터 받는 배출저항과, 이것을 압출하는 압력에 의해서 정해지므로, 배출경로의 개구 근방에 침전되는 무거운 성분의 퇴적층의 두께가 작은 경우는, 탈수 덩어리에 작용하는 압밀효과도 작고, 배출량도 적다. 따라서, 배출경로의 개구 근방의 퇴적층의 두께는,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서 긁어 밀어내어지는 침전된 무거운 성분의 퇴적에 의해서 점점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퇴적층의 두께가 증가하면, 압출력이 강하게 되어, 배출저항에 이겨내어서 배출량을 증대시키고, 침전된 무거운 성분의 퇴적층의 두께가 퇴적량과 배출량의 균형에 의해서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또한, 침전층의 비중은 처리액의 비중에 비해서 큰 것이므로, 배출에 이용가능한 수두압은, 종래장치에서 이용되고 있는 처리액의 수두압에 비해서 큰 것으로 되지만, 특히 배출량을 스로틀효과에 의해서 침전층이 액면보다 높게 쌓아올려진 상태에서는, 수두압은 매우 크게 되어, 탈수 덩어리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 경우의 퇴적층에 의한 탈수 덩어리에 대한 압밀효과는 최대로 되어, 배출고형분의 낮은 함수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심분리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의 원심분리장치에 있어서의 배출경로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배출경로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배출경로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경사분리기형 원심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보울 끝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배출경로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배출경로끝의 배출구에 설치되는 밸브의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1은, 밸브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단면도이고, 도 4는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 ~ 도 4에 있어서, 1은 고속회전되는 보울(외측회전통)이며, 횡형 원통의 곧은 몸통형을 이루고, 그 앞끝에 부설된 오니 배출실벽(6) 및 뒤끝벽(3)의 중앙부에는 중공축(4, 5)이 돌출하게 형성되고, 도시를 생략한 베어링에 지지되어서, 구동장치에 의해 고속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울(1)의 앞끝부에 부설된 오니 배출실의 둘레벽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오니배출구(7)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오니 배출실벽(6)과 오니배출구(7)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울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지만, 원심분리장치의 기본구성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보울(1)과 별체로 작성하는 등, 적당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보울(1)의 뒤끝벽(3)에는, 분리액의 배출구(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8)는 예컨대 복수의 부채꼴의 것을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거나, 혹은, 도 2와 같이 뒤끝벽(3)에 다수의 작은 구멍을 동심상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이 좋다.
10은 보울(1) 내에 수용된 스크류 컨베이어이며, 횡형 원통형의 회전몸통 (11)의 외주에 나선날개(12)가 감아장착되어 있고, 그 양끝부가, 보울(1)의 중공축(4, 5)의 보울 내 돌출부에 지지되고, 중공축(4)에 삽입통과된 회전축(13)에 의해, 보울(1)과 요구되는 속도차를 갖고서 회전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몸통(11) 내에는, 처리액(a)의 공급실(14)이 설치되고, 그 둘레벽에는, 보울(1)과 회전몸통(11) 사이의 고리형상 공간(17)과 통하는 공급구(15)가 개방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보울(1)의 후부 중공축(5)으로부터 삽입통과된 처리액의 공급관(16)이 공급실(14)에 개구하여 설치되어 있다.
보울(1)의 고리형상 공간(17)의 앞끝에는 벽(2)이 설치되고, 이 벽(2) 내에 탈수 덩어리(b)의 배출경로(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도 4를 참조하여, 배출경로 (20)의 보울 내로의 개구부(20a)는, 보울(1)의 둘레벽 내면에 접하여 형성되고,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울 밖으로의 배출구로 되는 개구부(20b)는 반경방향으로의 높이를 갖고 있다. 따라서, 개구부(20a)에 의해 배출경로에 침입가능한 침전물은 퇴적층의 가장 하부의 부분에만 한정되게 된다. 한편, 개구부(20b)는, 운전초기에 있어서, 처리액이 이 개구부(20b)를 일류하지 않을 정도로 공급되는 것이므로, 보울 내의 액면의 초기의 높이를 정한다.
이 개구부(20b)가 지나치게 높으면, 배출경로(20)의 탈수 덩어리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보울 내의 퇴적층에 작용하는 누름압력을 상쇄함으로써, 탈수 덩어리의 배출력이 저감하여 버리므로, 필요한 범위에서 가능한 한 낮은 것이 요망된다.
한편, 분리액의 배출구(8)는, 운전중의 고리형상 공간(17)의 액면을 정하고, 배출구(8)의 위치가 개구부(20b)보다 낮을 때는 소위 「하측 일류」의 상태에서의 운전으로 되고, 높을 때는 「상류 일류」의 상태에서의 운전으로 된다. 또한, 상측 일류의 상태에서의 운전의 경우, 처리액의 배출경로(20)로부터의 배출은, 개구부 (20a)의 근방에 퇴적한 침적층에 의해서 저지된다.
그 가장 극단의 경우는, 분리액의 배출은 축심으로부터의 배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탈수처리하는 처리액(a)은, 화살표와 같이 공급관(16)으로부터 공급실(14)에 들어가고, 공급구(15)로부터 고리형상 공간(17) 내에 공급되고, 보울(1) 및 스크류 컨베이어(10)의 회전의 원심력에 의해 고액분리되면서 나선날개(12)에 의해 앞끝을 향하여 반송되도록 된다. 그리고, 분리된 액체분인 분리액 (c)은, 뒤끝벽의 배출구(8)로부터 기기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침전층은 나선날개(12)에 의해서 보울(1)의 앞끝방향으로 긁어 밀어내어지면서, 또한 원심력에 의한 분리작용을 받아서, 잔류액분의 분리가 진행되고, 이 분리액(c)도 배출구(8)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보울(1)의 앞부에 반송된 침전층은, 고리형상 공간(17)의 앞끝에, 배출경로(20)로부터의 배출량과의 차만큼 퇴적한다. 이 퇴적층은, 침전된 무거운 성분이 예컨대 모래이면 비중은 약 2.5~3이고, 물의 1에 비해서 현격하게 무겁기 때문에, 이 퇴적층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한 수두압도 물의 경우에 비해서 2배 이상으로 된다. 또한, 분리액 배출구(8)에 의해서 결정되는 액면의 높이가, 회전몸통 (11)보다 낮고, 그 사이에 공간이 남아있으면, 퇴적층은 액면을 초과하여 쌓아 올려지고, 그 비중의 크기와 쌓아올림의 높이에 의해서, 배출경로의 배구(20a) 근방에는 큰 원심수두압이 작용하는 퇴적층에 대한 큰 압밀효과가 생기고, 이 원심수두압과 스크류의 반송력에 의해 배출경로와의 압출작용이 생긴다.
본 발명의 원심분리장치는, 상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종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도 5는 배출경로(20)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배출경로(20)가 앞의 실시형태와 같이, 그 단면이 끝에 경사진 직선형상을 이루는 것은 아니고, 개구(20a, 20b)의 사이에, 벽(2)과 거의 평행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배출경로는, 벽(2)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부분이어도, 개구(20a, 20b)의 사이에 필요한 길이(즉, 배출저항) 및 높이의 차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리형상 공간(17)의 앞끝벽(2)은, 상기 배출경로(20)를 형성하도록, 조금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보울 내벽 근방으로부터 회전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부재(21)와, 회전몸통(11)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부재(21)와 실질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장되고, 그 사이에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부재(22)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배출경로(20)를 형성하는 부재는 보울(1) 및 회전몸통(11)과는 별체로 하고, 볼트, 그 외의 수단에 의해서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때, 스페이서(23)를 끼워 맞붙이도록 하고, 스페이서의 두께를 적당 선택함으로써, 그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경로(20)의 크기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 있어서, 상반부분은 배출경로가 가느다란 경우, 하반부분은 큰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배출경로의 크기를 바꿈으로써 배출저항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부재(22) 앞끝의 보울 내벽으로부터의 높이는 일정하고, 퇴적층 중의 배출되는 부분은 불변이다.
또한, 이와 같은 부재(21, 22)의 간격조절은, 스페이서에 의하지 않고, 나사 등으로 각 부재를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루어져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와 같은 배출저항의 조절에 의해, 배출량과 함수율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부재(22)의 높이를 바꿈으로서, 퇴적층 중의 배출되는 부분을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탈수 덩어리의 배출경로(20)가 설치되는 보울 앞끝의 벽(2)은, 보울 둘레벽과 스크류 컨베이어(10)의 대향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었지만, 도 8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울 앞끝의 벽(32)은 보울(1)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부재이고, 스크류 컨베이어(30)는 보울(1) 내에 봉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경우는, 베어링(33)으로의 처리액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압 패킹 (34)으로 시일되어야만 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운전초기에 있어서, 처리액이 그대로 배출경로(20)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아니도록, 보울 밖으로의 개구(20b)는 보울 내로의 개구(20a)보다 높은 위치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운전초기에 있어서는 배출경로를 밸브(35)로 닫는 등의 방법에 의해, 도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개구(20b)를 개구 (20a)와 동일 높이 또는 개구(20a)보다 낮은 위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탈수 덩어리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밸브(35)는, 보울의 운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개구되는 일없이, 퇴적층의 수두압의 상승에 의해서 시작해서 개방되야만 한다. 도 10, 도 11은 이와 같은 밸브의 일예로서의 니들밸브를 나타낸다.
이들 도 8 내지 도 11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배출경로(20)는, 보울 벽의 원둘레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배출구멍으로서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심탈수장치는, 종래의 원심분리장치에 있어서의 상식과는 다른 기술사상에 기초하여, 보울 내의 침전물의 퇴적층 중, 가장 높은 압밀작용을 받고 있는 부분만을 직접 배출하는 것이므로, 탈수 덩어리의 함수율을 종전의 원심분리장치에 예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낮출 수 있었다.
또한, 함수율이 낮은 퇴적층은, 배출이 곤란하게 되는 것이 통상이었지만, 본 발명의 원심분리장치에 있어서는, 배출경로의 배출저항에 의해서 높은 퇴적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높은 수두압을 이용하여, 특별한 배출수단을 설치하는 일없이,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비교적 소형의 장치이면서, 높은 탈수율과, 높은 분리효율을 얻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9)

  1.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통형의 보울과, 이 보울 내에서 보울과 동축에, 또한 회전속도차를 갖고서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갖고, 회전중의 보울 내에 공급되는 처리액으로부터 무거운 성분을 원심력에 의해서 분리 침강시키고, 이것을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서 보울의 일측에 집적시키고, 무거운 성분과 분리액을 분리 배출하는 원심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울은 횡형 원통의 곧은 몸통형을 이루고, 이 보울의 일단벽 내에 침전된 무거운 성분의 배출경로를 설치하며, 이 배출경로의 보울 내로의 개구가 보울의 주벽 내면에 접하여 설치되고, 이 배출경로는 배출량을 제한하는 스로틀 통로로 되어 있으며, 이 스로틀 통로의 배출저항에 의해 상기 개구 근방에 최대 압밀상태의 무거운 성분의 퇴적층을 형성시키고, 이 무거운 성분의 퇴적층을, 이 퇴적물에 작용하는 원심수두압과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반송력에 의해, 최대 압밀상태 부분만을 직접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경로로부터의 퇴적된 무거운 성분의 보울 밖으로의 배출구는, 보울 반경보다 작은 반경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보울 내벽 근방으로부터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와, 이 부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장되고, 상기 부재와의 사이에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 내벽 근방으로부터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는 원추형 내면을 갖는 부재이고, 이 부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부재는 원추형 외면을 갖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 내벽 근방으로부터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와, 이 부재와 일정한 간격을 두어서 연장되는 부재는, 교환가능하게 보울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 내벽 근방으로부터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는 원추형 내면을 갖는 부재이고, 이 부재와 일정한 간격을 두어서 연장되는 부재는 원추형 외면을 갖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 내벽 근방으로부터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와, 이 부재와 일정한 간격을 두어서 연장되는 부재는, 적어도 그 한쪽이 보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 내벽 근방으로부터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는 원추형 내면을 갖는 부재이고, 이 부재와 일정한 간격을 두어서 연장되는 부재는 원추형 외면을 갖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장치.
KR1020027010360A 2000-02-10 2001-01-31 원심분리장치 KR100741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32896A JP4153138B2 (ja) 2000-02-10 2000-02-10 遠心分離装置
JPJP-P-2000-00032896 2000-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545A KR20020073545A (ko) 2002-09-26
KR100741680B1 true KR100741680B1 (ko) 2007-07-23

Family

ID=1855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360A KR100741680B1 (ko) 2000-02-10 2001-01-31 원심분리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780148B2 (ko)
EP (1) EP1304170B1 (ko)
JP (1) JP4153138B2 (ko)
KR (1) KR100741680B1 (ko)
CN (1) CN1217743C (ko)
AU (2) AU2001230553B2 (ko)
CA (1) CA2399443C (ko)
DE (1) DE60124554T2 (ko)
NZ (1) NZ520746A (ko)
TW (1) TW490321B (ko)
WO (1) WO20010585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3138B2 (ja) * 2000-02-10 2008-09-17 株式会社クボタ 遠心分離装置
WO2008091863A1 (en) 2007-01-23 2008-07-31 Kalypsys, Inc. Sulfonyl-substituted bicyclic compounds as ppar modulators for the treatment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DK176946B1 (da) * 2007-05-09 2010-06-14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separator og et væskefaseafløbsportelement
DK178254B1 (en) * 2010-11-12 2015-10-12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 separator, abrasion resistant element and set of abrasion resistant elements for a centrifugal separator
JP5191565B2 (ja) 2011-02-25 2013-05-08 寿工業株式会社 遠心脱水方法及び遠心脱水装置
CN103316780A (zh) * 2013-05-28 2013-09-25 浙江大金离心机有限公司 一种卧螺式离心机
JP6278307B2 (ja) * 2014-01-14 2018-02-14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遠心脱水装置
KR101706975B1 (ko) * 2014-02-14 2017-02-16 주식회사 케이씨텍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슬러리 조성물
CN106694240B (zh) * 2015-08-26 2019-04-30 苏州瑞威离心分离技术有限公司 卧螺卸料离心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0776A (en) * 1975-06-11 1976-12-24 Hoechst Ag Method of separating solid matters from suspensions
JP2000237630A (ja) * 1999-02-19 2000-09-05 Kubota Corp 遠心脱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06241A (en) 1929-03-09 1931-05-19 Dupuis Fernand Centrifugal separator
NL224735A (ko) 1957-02-18
US3096282A (en) * 1957-12-30 1963-07-02 Sharples Corp Improvement in centrifuges
JPS363447B1 (ko) * 1958-02-13 1961-04-18
US3098820A (en) * 1960-11-23 1963-07-23 Sharples Corp Centrifuge
US3172851A (en) * 1962-08-31 1965-03-09 Centrifuging liquid-solids mixtures
DE3005885A1 (de) * 1980-02-16 1981-09-03 Klöckner-Humboldt-Deutz AG, 5000 Köln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JPS57156055A (en) * 1981-03-23 1982-09-27 Kobe Steel Ltd Centrifugal concentrator
JPS58156359A (ja) * 1982-03-11 1983-09-17 Kotobuki Giken Kogyo Kk ボウル型遠心沈降分離機
JPS6245363A (ja) * 1985-08-23 1987-02-27 Kotobuki Giken Kogyo Kk 遠心濃縮機
DE3620912A1 (de) * 1986-06-21 1987-12-23 Kloeckner Humboldt Deutz Ag Zentrifuge zum kontinuierlichen trennen von stoffen unterschiedlicher dichte
DE3911320A1 (de) * 1989-04-07 1990-10-11 Kloeckner Humboldt Deutz Ag Zentrifuge zum kontinuierlichen trennen von stoffen unterschiedlicher dichte
US5261869A (en) * 1992-04-06 1993-11-16 Alfa Laval Separation, Inc. Decanter centrifuge having discontinuous flights in the beach area
JPH07508453A (ja) * 1992-04-10 1995-09-21 ワーマ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リミテッド 材料を分離するための装置
JP2720373B2 (ja) * 1992-12-18 1998-03-04 月島機械株式会社 遠心濃縮機
US5695442A (en) * 1995-06-06 1997-12-09 Baker Hughes Incorporated Decanter centrifuge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ducing cake with reduced moisture content and high throughput
JP3402418B2 (ja) * 1995-08-21 2003-05-06 月島機械株式会社 遠心濃縮機
JP3402419B2 (ja) * 1995-08-21 2003-05-06 月島機械株式会社 遠心濃縮機
US5653674A (en) * 1996-03-27 1997-08-05 Baker Hughes Incorporated Decanter centrifuge with discharge opening adjustment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 of operating
JP4153138B2 (ja) * 2000-02-10 2008-09-17 株式会社クボタ 遠心分離装置
JP2002153773A (ja) * 2000-11-22 2002-05-28 Kubota Corp 遠心分離装置
JP2002153772A (ja) * 2000-11-22 2002-05-28 Kubota Corp 遠心分離装置
JP2002153771A (ja) * 2000-11-22 2002-05-28 Kubota Corp 遠心分離装置
JP2002239415A (ja) * 2001-02-21 2002-08-27 Kubota Corp 遠心分離装置
JP2002239416A (ja) * 2001-02-21 2002-08-27 Kubota Corp 遠心分離装置
JP2002273269A (ja) * 2001-03-22 2002-09-24 Kubota Corp 遠心分離装置
JP3997059B2 (ja) * 2001-03-28 2007-10-24 株式会社クボタ 遠心分離装置
JP3942402B2 (ja) * 2001-11-01 2007-07-11 寿工業株式会社 遠心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0776A (en) * 1975-06-11 1976-12-24 Hoechst Ag Method of separating solid matters from suspensions
JP2000237630A (ja) * 1999-02-19 2000-09-05 Kubota Corp 遠心脱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99443A1 (en) 2001-08-16
EP1304170A1 (en) 2003-04-23
WO2001058596A1 (fr) 2001-08-16
JP4153138B2 (ja) 2008-09-17
AU2001230553B2 (en) 2005-09-15
DE60124554T2 (de) 2007-09-20
AU3055301A (en) 2001-08-20
JP2001219097A (ja) 2001-08-14
CN1398202A (zh) 2003-02-19
US6780148B2 (en) 2004-08-24
EP1304170B1 (en) 2006-11-15
NZ520746A (en) 2005-02-25
US20030013591A1 (en) 2003-01-16
CA2399443C (en) 2009-03-31
EP1304170A4 (en) 2004-08-25
TW490321B (en) 2002-06-11
CN1217743C (zh) 2005-09-07
DE60124554D1 (de) 2006-12-28
KR20020073545A (ko) 200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3674A (en) Decanter centrifuge with discharge opening adjustment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 of operating
US8794448B2 (en) Separation device
US4037781A (en) Decanter centrifuge apparatus
US3955756A (en) Solid-shell screw-conveyor centrifuge
KR100741680B1 (ko) 원심분리장치
JPH105624A (ja) 含水量の少ないケーキを高い処理量で生じさせるデカンタ遠心機及び関連方法
US4898571A (en) Solid bowl centrifuge
US5948256A (en) Centrifuge with cake churning
US20180001329A1 (en) Solid Bowl Centrifuge
JPH04193363A (ja) デカンタ型遠心分離機
KR100407896B1 (ko) 슬러지 농축탈수용 수평 원심분리기
RU2730323C1 (ru) Декантерная центрифуга
JP3779236B2 (ja) スクリュー式濾過脱水装置
SU927102A3 (ru) Центрифуга дл обезвоживани отсто сточных вод
JP3942402B2 (ja) 遠心分離装置
JP2002153771A (ja) 遠心分離装置
JP2002273269A (ja) 遠心分離装置
JPS632107Y2 (ko)
JPH04310255A (ja) スクリュウ型デカンタ−
KR0156262B1 (ko) 침강 원심 분리기
SU1748879A1 (ru) Осадительна центрифуга дл разделени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ой жидкой смеси
SU950441A2 (ru) Дешламатор
JP2002153773A (ja) 遠心分離装置
JP2003265908A (ja) 固液分離装置
RU2394653C1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осадительного центрифугиров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