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845B1 -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 - Google Patents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845B1
KR100737845B1 KR1020070043761A KR20070043761A KR100737845B1 KR 100737845 B1 KR100737845 B1 KR 100737845B1 KR 1020070043761 A KR1020070043761 A KR 1020070043761A KR 20070043761 A KR20070043761 A KR 20070043761A KR 100737845 B1 KR100737845 B1 KR 100737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
index finger
grip
good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용
Original Assignee
김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용 filed Critical 김정용
Priority to KR102007004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845B1/ko
Priority to US12/447,628 priority patent/US8146173B2/en
Priority to PCT/KR2007/006225 priority patent/WO2008069535A1/en
Priority to JP2009540143A priority patent/JP2010511470A/ja
Priority to CN2007800446824A priority patent/CN101557862B/zh
Priority to DE112007002697T priority patent/DE112007002697T5/de
Priority to GB0908656A priority patent/GB24567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른 그립에 의해 좋은 스윙을 유도하는 골프장갑에 관한 것이다. 바른 그립은 엄지와 검지사이의 『피부접촉 길이(d)』가 붙어있는 자세로서 『피부접촉 길이(d)』가 붙어있다는 느낌을 피부감촉에 의하여 느낄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 것이다.
달리 말하면 피부감촉을 통하여 바른 그립이 어드레스에서 백스윙을 거쳐 임팩트 순간까지 바른 그립이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좋은 스윙을 얻고자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골프장갑의 엄지부위가 없는 장갑을 형성한 것이다. 엄지부위가 없는 개구부의 위치는 엄지와 검지를 벌렸을 때 엄지와 검지사이에 형성된 저점부를 중심으로 엄지의 원주 방향과 동일하게 하거나 그이하가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피부감촉을 더 크게 하기위하여 『피부접촉 길이(d)』에 대응되는 검지의 밑동하단부위에 피부접촉 홀을 형성하였고 이를 통하여 엄지의 둘째 마디와 검지의 밑동하단부위가 직접 피부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엄지 개구부의 단부 끝마무리를 신축성이 좋은 얇은 스판재질이나 실리콘이 얇게 코팅된 직조섬유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엄지의 개구부의 단부가 늘어지거나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원 발명은 피부감촉에 의하여 바른 그립을 유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좋은 스윙을 가능하게 한 유용한 발명이다.
바른 그립, 좋은 스윙, 피부접촉 길이, 엄지, 검지 밑동부위, 피부접촉 홀, 스판재질

Description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Golf glove for right grip and suitable swing}
도1a 본 발명의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으로 그립한 상태를 보인 개략사시도
도1b 본 발명의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으로 그립한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의 개략사시도
도2a 엄지와 검지를 편 상태의 왼손바닥(LF)을 보인 사시도
도2b 엄지와 검지를 편 상태의 왼손 등(LB)을 보인 사시도
도3a 바른 그립을 위한 엄지와 검지사이가 접면되어있는 형태의 왼손과 오른손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3b 도3a의 바른 그립으로 왼손과 오른손이 그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4 바른 그립의 형태를 보인 왼손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5 본 발명의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으로 그립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6a 본 발명의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의 손바닥 쪽을 나타낸 사시도
도6b 본 발명의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의 손등 쪽을 나타낸 사시도
도7a 본 발명의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의 손바닥 쪽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7b 본 발명의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의 손등 쪽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8a 본 발명의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의 손바닥 쪽을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8b 본 발명의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의 손등 쪽을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L; 왼손, LF; 왼손 바닥, LB; 왼손 등, R; 오른손, RF; 오른손 바닥, RB; 오른손 등, 10; 엄지, 20; 검지, O; 저점, S1; 엄지 첫째 관절, S2; 엄지 둘째 관절, S3; 검지 셋째 관절, A; 손바닥 도톰한 부위, d; 피부접촉길이,
30; 장갑, 32; 개구부, 33; 검지외피, 35; 피부접촉 홀, 37; 재봉선, 39; 스판재질, 40; 클럽
본 발명은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Golf glove)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스윙(Swing)에 의하여 볼을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거리만큼 보내는 운동이다. 스윙(Swing)이란 볼을 치기 위해 클럽을 휘두르는 동작이다. 클럽과 몸을 이어 주는 것은 양손이다. 따라서 클럽을 휘두른다는 것은 ‘팔을 휘두르는 것’과 같다. 골프는 민첩한 운동 신경을 요구하는 다른 운동과는 달리 목표지점을 머리 속에 상상하고 정지해 있는 볼을 주시한다는 점에서 높은 정신력과 집중력 그리고 조건반사신경이 요구되는 운동이다.
스윙은 다음과 같은 일련의 동작이 모여 이루어진 하나의 동작이다.
『어드레스→ 백스윙 → 백스윙 탑 → 다운스윙 → 임팩트 → 팔로우스루 → 피니쉬』
가. 어드레스(Address)
'어드레스'라는 의미는 골프스윙의 동작을 하기 전에 올바른 스윙을 하기 위한 스윙 직전의 몸의 자세를 일컫는 용어이다. 즉 어드레스는 골프의 스윙동작을 위한 정지상태의 기본자세를 말한다.
이를테면 어드레스에서 정지 상태에 있는 볼의 지점과 볼을 보내고자 하는 목표 지점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그 비거리에 해당하는 클럽을 선택하고 볼과 클럽페이스의 방향등을 정하는 자세를 말한다. 특히 어드레스에서 양쪽 손의 그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어드레스란 볼을 치기 위한 첫 준비자세이기 때문에 필드에서 의도된 것과는 달리 미스 샷이 나오게 되는 것은 거의 대부분이 어드레스가 잘못된 것에 기인한다. 어드레스에서 잘못된 볼의 방향성과 관련된 주된 요소가 바로 그립이다. 잘못된 볼의 방향성은 거의 대부분이 바르지 못한 그립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바른 그립은 좋은 스윙을 만든다.
나. 백스윙(Back Swing)과 백스윙 탑 (Back Swing top)
백스윙은 팔과 손을 포함한 클럽과 클럽 페이스를 움직여 파워를 축적하는 동작이다. 백스윙의 정점이 백스윙 탑이다. 백스윙 탑에서는 그립에 의하여 클럽의 무게를 지지하고 있는 곳이다. 클럽의 무게는 중력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이를 지지하는 그립의 형태를 살펴보면 중력방향과 정반대방향으로 왼손의 엄지가 클럽의 무게를 지지하고 있는 형태로 되어있다. 만약 왼손의 엄지가 클럽을 중력방향의 정반대의 방향으로 받쳐주지 못하면 그립으로는 백스윙 탑에서 클럽의 무게를 지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립이 잘되었건 잘못되었건 간에 반드시 백스윙 탑에서의 왼손엄지는 클럽을 아래서 위로 받쳐주는 형태이어야 한다. 왼손엄지가 아래서 위로 받쳐주는 형태에서 약간이라도 벗어나게 되면 그립에 의해서 클럽무게를 지탱할 수 없다.클럽이 아래로 떨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다. 다운스윙(Down Swing)과 임팩트(Impact)
다운스윙은 백스윙에서 축적된 파워를 서서히 풀어 볼을 임팩트하면서 동시에 팔로우스루하는 동작이다.
라. 피니쉬(Finish)
다운스윙(Down Swing)에서 클럽헤드가 볼을 임팩트(Impact)한 후 스윙을 마무리하는 단계의 동작이다.
골프스윙의 기본은 팔과 손을 포함한 클럽과 클럽 페이스를 움직여 백스윙에서 파워를 축적했다가 다운스윙에서 그 파워를 서서히 풀어 볼을 최대의 파워와 스피드로 임팩트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백스윙에서 힘을 축적하기위하여 몸, 팔, 손, 클럽과 클럽 페이스를 바르게 여는 동작을 하여야하고, 축적된 힘을 서서히 푸는 다운스윙에서는 클럽과 클럽페이스를 어드레스시의 모습대로 닫는 동작으로 하여야 한다. 힘을 축적하기위해 백스윙에서 열었던 만큼 다운스윙에서는 바르게 닫아 주어야 스윙의 스피드도 생기고 타깃으로 똑바로 나가는 샷을 할 수 있게 된다.
거의 모든 아마추어 골퍼들은 힘의 축척을 위한 백스윙에서는 몸, 팔, 손, 클럽과 클럽 페이스를 비교적 바르게 열어 놓지만 다운스윙을 하면서는 클럽과 클럽페이스를 닫으며 힘을 풀어 놓는 동작을 바르게 하지 못해 열린 클럽 페이스가 바르게 닫히지 못하는 스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힘을 풀어 놓는 동작에서 열린 클럽 페이스가 바르게 닫히지 못하는 원인을 찾는다면 스윙동작에 관여한 일련의 스윙동작 하나하나에서 그 원인을 찾아야할 것이다. 그러나 그 원인의 대부분이 그립에 있다는 것은 골프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일련의 스윙동작을 보면 백스윙이나 다운스윙은 큰 근육을 사용하는 동작인데 반하여 그립은 상대적으로 작은 근육을 사용하는 동작이다. 큰 근육은 반복연습에 의하여 동작에 대한 기억이 오래가는데 반하여 작은 근육은 동작에 대한 기억이 오래가지 못한다는데 그 이유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큰 근육에 의한 동작은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반하여 작은 근육에 의한 동작은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하더라도 그 동작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제 바른 그립과 바르지 않은 그립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바른 그립은 좋은 스윙을 만든다. 좋은 스윙이란 스윙의 스피드가 빠르고 볼이 타깃으로 똑바로 나가는 샷이 가능한 스윙을 말한다. 우리는 이와 같은 좋은 스윙을 원하고 있는 것이다. 그립이 잘못되면 좋은 스윙을 기대할 수 없다.
골프 클럽을 만드는 기술 발전은 스윙 패턴을 변화시켰다. 이와 같이 스윙은 변화가 많았지만 그립과 어드레스와 같은 기본 동작만은 큰 변화 없이 지속되어 왔다. 골프스윙에서 그립은 가장 기본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마추어 골퍼들 상당수가 그 중요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잘못된 스윙을 고치려고 할 뿐, 그립을 점검해보려는 경우는 드물다. 프로 선수들이 늘 그립부터 체크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그립 자세는 스윙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잘못된 그립 동작은 검지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의 둘째마디 부위사이가 떨어진 형태이다. 검지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의 둘째마디 부위사이가 떨어진 그립으로 클럽손잡이를 잡는다면 양손에 공간이 많이 생겨 클럽손잡이와 손 사이가 떠 있게 된다. 이런 그립은 양손의 일체감이 없고 스윙 시 클럽손잡이가 손 안에서 돌아가게 된다. 또 강한 스윙 시 손목이 지나치게 돌아가 정확한 임팩트를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임팩트가 정확하지 못하면 비거리는 물론이고 볼의 방향성이 잘못되게 된다.
좋은 스윙을 위한 바른 그립은 검지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의 둘째마디 부위사이가 붙어있는 형태이다.(도3a 및 도3b 참조) 이와 같은 모양을 하고 양손이 합쳐진 그립의 형태를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ⅰ) 먼저 양손이 하나처럼 합쳐질 수 있는 준비자세로서 양손의 엄지와 검지사이를 도3a와 같이 붙인다.
『검지(20)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10)의 둘째마디 부위사이를 붙인다』는 것에 대하여 그 의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엄지(10)는 나머지 4손가락과는 달리 그 위치가 최하단부에 위치해있다. 여기에다 그 길이도 검지(20)보다 짧은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검지(20)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10)의 둘째마디 부위사이를 붙인다』는 의미는 단순히 검지(20)의 셋째 마디 부근에 붙이는 것이 아니라 검지(20)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10)의 둘째마디 부위가 밀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도3a 및 도3b에 의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엄지(10)의 첫 번째 관절을 S1, 검지(20)의 세 번째 관절을 S3, 엄지(10)와 검지(20)가 이루는 엄지(10)와 검지(20)사이의 저점을 O라 하고 OS1의 길이를 ℓ이라한다.
검지(20)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10)의 둘째마디 부위가 밀착되는 밀착길이(d)는 저점 O를 기준으로 d = (1/2~3/4)ㆍℓ 에 해당된다. 이러한 범위는 사람마다 엄지(10)와 검지(20)의 길이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바른 그립을 위한 가장 바람직한 밀착길이는 d = 2/3ㆍℓ 이다.
검지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의 둘째마디 부위가 밀착되는 밀착길이(d)를 이하에서 『피부접촉 길이』 d라 부르기로 한다.
검지(20)의 밑동 하단부위는 검지(20)의 세 번째 관절 S3 하단부를 말한다.
ⅱ) 다음 동작으로 클럽(40)손잡이를 쥐지 않은 상태에서 왼손을 오른손에 붙여 본다. 왼손 엄지를 오른손 생명선에 퍼즐의 조각을 끼우듯 맞춘다.
ⅲ) 왼손 엄지의 휘어지는 손등부위와 오른손바닥의 도톰하게 나온 부위가 합쳐지게 그립 한다.(도3b 참조)
이와 같이 그립 잡는 연습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클럽 없이 맨손으로 연습할 것을 전문가는 권하고 있다. 그립이 골프의 가장 기본요소이기도 하지만 특히 반복연습에 의하여도 바른 그립을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것이 그만큼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립이란 원래 손가락 하나의 위치만 바뀌어도 감각이 이상하고 볼이 잘 맞지 않는 것은 경험적으로 익히 알고 있다.
엄지(10)와 검지(20)가 『피부접촉 길이』 d를 갖도록 그립하는 것이 바른 그립이라면 의식적으로 『피부접촉 길이(d)』가 밀착되도록 엄지(10)와 검지(20)사이를 붙여야한다.
바른 그립은 좋은 스윙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양손이 일체된 상태이고 스윙 시 클럽 손잡이가 손 안에서 돌아가지 않는 그러한 그립이기 때문이다.
『피부접촉 길이(d)』가 밀착되도록 그립이 완성된 후에는 백스윙으로 이어진다.
백스윙 탑에서 엄지(10)의 역할에 대해서 살펴본다.
백스윙 탑에서의 엄지(10)는 클럽의 자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엄지(10)가 『피부접촉 길이(d)』를 갖으면서 검지(20) 밑동 하단부위에 붙어 있어야 바른 그립이 된다면 백스윙 탑에서도 이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
클럽(40)의 무게는 중력방향이기 때문에 백스윙 탑에서의 엄지(10)는 중력방향과 정반대방향으로 지지하여야한다. 엄지(10)의 방향이 중력방향과 일직선이 되어야 엄지(10)에 가장 하중이 적게 걸리면서 가장 편안하게 지지하게 된다. 가장 편안한 상태에서 지지된다면 어드레스에서의 그립도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그러나 엄지(10)의 방향이 중력방향과 일직선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게 되면 엄지(10)가 지지하는 힘도 그만큼 커져야한다. 경사진 만큼 수직분력의 힘이 더 있어야 중력방향의 클럽(4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엄지(10)도 그만큼 힘이 더들어가게 되므로 불편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엄지(10)가 지지하는 힘이 가장 적으면서 가장 편안함을 느끼게 되는 지지방향이 중력방향이므로 무의식적으로 경사진 엄지(10)를 중력방향으로 바꾸게 된다. 엄지(10)를 움직여 클럽(40)의 중력방향으로 클럽(40)손잡이를 되잡게 되는 손의 움직임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엄지(10)의 움직임에 의하여 어드레스의 그립상태가 백스윙 탑에서 그대로 유지되지 못하는 결과가 된다. 엄지(10)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클럽(40) 헤드의 방향도 바뀌게 된다.
어드레스의 그립상태가 백스윙 탑에서 유지되지 않는다면 좋은 스윙은 기대할 수 없다.
다시 말하면 백스윙 탑에서 엄지(10)를 움직이게 되면 그립하고 있는 손의 위치가 다르게 되어 스윙 시 클럽(40) 헤드가 볼과 스퀘어로 임팩트 되지 않는다. 스퀘어로 볼이 임팩트 되지 않았기 때문에 볼은 타깃방향으로 나가지 않고 미스 샷이 된다.
이와 같이 미스 샷의 주범은 그립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골프 전문가들이 그립을 중요시하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다음으로 미스 샷과 그립과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바른 그립이 『피부접촉 길이(d)』를 갖도록 엄지(10)와 검지(20)사이를 의식적으로 붙이는 것이라면 바르지 않은 그립은 이와 달리 엄지(10)와 검지(20)사이가 붙어있지 않고 떨어져있는 그립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바른 그립은 바르지 않은 그립에 비하여 편안하다는 느낌을 쉽게 느끼지는 못한다. 사람은 조금이라도 불편하게 느껴지면 무의식적으로 편안함을 추구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어드레스에서부터 백스윙 탑을 거쳐 임팩트 시까지 엄지(10)와 검지(20)사이의 『피부접촉 길이(d)』가 붙어있는 상태로 유지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엄지(10)와 검지(20)는 어깨나 등 근육에 비하여 아주 작은 근육이다. 작은 근육은 클럽(40)의 무게를 지지하는 것조차 힘겹다. 특히 백스윙 탑에서 클럽(40)의 무게를 지지하면서 엄지(10)와 검지(20)사이가 붙어있도록 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엄지(10)가 클럽(40)의 무게에 대하여 힘겹게 느끼는 순간 무의식적으로 엄지(10)가 취할 수 있는 가장 편한 자세로 움직이게 된다는 것은 다 알고 있는 상식이다.
예컨대 붙어있는 엄지(10)와 검지(20)사이를 떼기만 해도 엄지(10)도 검지(20)도 편안해진다.
만약 엄지(10)와 검지(20)사이가 붙어있는 것이 편안하게 느껴진다면 굳이 엄지(10)와 검지(20)사이를 의식적으로 붙어있도록 할 필요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는 이와 정반대이다. 즉, 엄지(10)와 검지(20)사이가 붙어있지 않고 떨어진 상태로 그립하게 되면 가장 편안하다.
그런데 골퍼들은 하나같이 좋은 스윙을 소망한다. 이를 위해서 엄지(10)와 검지(20)사이의 『피부접촉 길이(d)』를 의식적으로 붙이는 연습을 해야 한다. 그렇다고 아무리 연습을 많이 한다하더라도 연습에 의해서 항상 일정하게 엄지(10)와 검지(20)사이의 『피부접촉 길이(d)』가 붙어있는 그립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엄지(10)와 검지(20)와 같은 작은 근육은 큰 근육인 등과는 달리 기억에 의해 움직인다기보다 감각이 우선하여 움직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많은 큰 근육은 훈련에 의하여 반복된 동작을 오래 기억하는 것이 특징인 반면, 작은 근육은 아무리 많이 훈련하더라도 근육이 잘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바꿔 말하면 큰 근육은 기억된 동작을 일정하게 반복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작은 근육은 기억된 반복동작을 기대할 수 없고 다만 감각에 의한 동작뿐이다.
감각에 의한 동작은 반복된 훈련에 의해 기억된 동작과는 달리 일정한 동작을 만들어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그립을 할 때마다 바른 그립을 만들려는 『의식 적』인 노력에 의해서만이 가능하다.
『의식적』인 노력이란 어드레스 단계에서 엄지(10)와 검지(20)사이의 『피부접촉 길이(d)』를 떼지 않고 붙이려는 노력을 말할 뿐 아니라 백스윙 탑에서도 그대로 엄지(10)와 검지(20)사이의 『피부접촉 길이(d)』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말한다.
의식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엄지(10)와 검지(20)가 편해지기 위해서 떨어지려는 무의식적인 행동을 의식적으로 극복하고자하는데 한계가 있다.
엄지(10)와 검지(20)사이의 『피부접촉 길이(d)』를 의식적으로 붙였다하더라도 백스윙 하는 동작에 신경을 쓰다보면 엄지(10)와 검지(20)는 벌써 편해지는 쪽으로 가서 떨어지고 만다. 백스윙 동작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백스윙 탑에서 엄지(10)와 검지(20)사이가 떨어진 줄도 모른다.
실제 백스윙 동작에 신경을 쓰다보면 그립을 의식하지 못하는 것도 사실이다.
장갑을 낀 경우에는 왼손의 엄지(10)에 낀 장갑의 외피와 검지(20)에 낀 장갑의 외피가 붙어있는 상태에서는 엄지(10)와 검지(20)사이의 『피부접촉 길이(d)』가 붙어있다는 감각이 없으므로 그립 상태를 의식하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 그러나 장갑을 끼지 않은 맨손인 경우에는 엄지(10)와 검지(20)사이의 『피부접촉 길이(d)』가 붙어있다는 것을 피부의 접촉에 의하여 그 감촉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장갑을 끼지 않은 맨손으로 엄지(10)와 검지(20)사이를 의식적 으로 붙이는 것이 장갑을 낀 경우보다 피부감촉에 의하여 어드레스 시는 물론이고 백스윙 탑에서도 오래토록 유지될 수 있다.
그립은 스윙 시 클럽손잡이가 원심력에 의해 왼손으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셋째, 넷째, 다섯째(세끼 손가락) 손가락은 단단히 쥐면서 첫째(엄지)와 둘째(검지) 손가락은 가볍게 쥐는 것이 일반적이다.
셋째, 넷째, 다섯째손가락은 스윙 시 클럽손잡이가 손으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때 장갑은 원심력에 대하여 마찰력으로 저항하게 된다. 장갑과 클럽 손잡이의 마찰력이 스윙의 원심력을 지지한다.
만약 장갑을 끼지 않게 되면 마찰력이 직접 클럽손잡이와 맨손사이에 작용하게 되므로 셋째, 넷째, 다섯째손가락에 물집 등의 상처가 생기게 된다. 그뿐 아니라 여름철에 손에 땀이 나게 되면 클럽 손잡이가 미끄러져 그립에서 빠져나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장갑을 끼는 이유이다.
그런데 첫째(엄지)와 둘째(검지) 손가락은 셋째, 넷째, 다섯째손가락과는 달리 원심력을 지지하는 역할은 없다. 원심력을 지지하는 역할이 없기 때문에 첫째(엄지)와 둘째(검지) 손가락은 셋째, 넷째, 다섯째손가락보다 클럽 손잡이를 강하게 쥐지 않는다. 좋은 스윙을 위한 방향타 역할을 할뿐이다. 방향타역할을 하기위해서는 클럽 손잡이를 가볍게 쥐어야한다. 거의 쥐는 힘이 없을수록 좋은 스윙이 가능하다.
엄지와 검지사이를 붙이는 이유도 클럽 손잡이를 가볍게 쥐기 위해서다.
엄지와 검지가 클럽 손잡이를 가볍게 쥐기 위해서는 장갑을 끼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맨손은 클럽 손잡이를 쥐고 있는 정도를 피부의 감촉으로 직접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장갑을 끼게 되면 피부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둔하게 느끼게 되어 의식적이든 무의식이든 간에 통상 클럽 손잡이를 강하게 쥐게 된다.
엄지와 검지에 힘이 들어가게 되면 엄지와 검지가 불편을 느끼게 되어 엄지와 검지사이가 붙어있지 못하고 떨어지고 만다. 이렇게 되면 바른 그립이 아니어서 좋은 스윙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를 바꿔 말하면 스윙 시를 위해서는 셋째, 넷째, 다섯째손가락에 장갑을 끼는 것이 유리하고, 좋은 스윙을 위한 바른 그립을 위해서는 엄지와 검지에 장갑을 끼지 않고 맨손이 되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말할 수 있다.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골프장갑은 ⅰ) 다섯 손가락이 모두 외피로 둘러싸여있거나 ⅱ) 손가락의 둘째마디 정도에서 다섯 손가락 모두 잘려지거나 아니면 ⅲ) 엄지의 첫째마디와 검지의 둘째마디에서 잘려진 것이 지금까지 나온 골프장갑들이다.
『엄지와 검지사이가 붙어있어야 한다』는 것은 『검지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의 둘째마디 부위가 밀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ⅱ) ⅲ)의 경우는 엄지와 검지사이가 붙어있어야 할 위치에 피부접촉에 의한 일체감을 갖도록 하는 것과는 거리가 먼 개구형태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골프장갑은 엄지와 검지사이에 장갑의 외피가 2중으로 겹쳐진 구조이므로 피부접촉이 전혀 없다. 피부접촉에 의하여 엄지와 검지사이가 붙어있다는 느낌을 느낄 수 있도록 된 구조가 아니다.
설령 엄지와 검지사이가 붙어있어야 한다는 의식을 하고 있었더라도 피부접촉이 없기 때문에 백스윙 과정에서 엄지와 검지사이가 쉽게 떨어지고 만다.
따라서 『엄지와 검지사이가 붙어있어야 한다』는 것은 반복된 동작에 의해 기억되기보다는 감각에 의한 의식된 동작이므로 이러한 감각을 피부접촉에 의하여 깨우는 것도 바른 그립을 위한 하나의 해결방안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왼손엄지와 검지사이의 그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제 왼손 엄지와 오른손과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좋은 스윙은 왼손과 오른손이 일체로 된 상태이다. 왼손 엄지와 오른손이 일체가 되기 위해서는 왼손 엄지가 오른손의 생명선에 꼭 끼워져 있는 형태가 되어야한다.
그 일체감은 왼손 엄지와 오른손의 생명선의 피부접촉에 의하여 느끼게 된다.
그런데 종래 장갑은 왼손 엄지에 낀 장갑 외피 때문에 오른손 생명선과의 직접 피부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일체감을 느끼지 못한다. 설령 일체감을 느낀다 해도 오래가지 못한다. 근육의 기억에 의한 일체감이라기보다는 감각에 의한 일체감이기 때문이다. 큰 근육이 아니라서 일체감을 쉽게 잊어버린다는 것이 문제이다.
일체감을 잊어버리게 되면 그립에 힘이 들어가거나 백스윙 탑에서의 그립의 위치가 변하게 되어 좋은 스윙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왼손 엄지와 오른손의 생명선과의 일체감을 잊어버리게 하는 주범이 왼손 엄지에 낀 장갑외피에 있는 것이라면 왼손 엄지의 장갑외피를 없애는 것이 그 해결방안이 될 것이다.
왼손엄지와 오른손의 생명선이 직접 피부접촉하게 되면 일체감에 대한 감각이 스윙과정에서도 쉽게 잊어버리지 않는다. 왼손에 장갑을 끼지 않고 오른손과 직접 피부 접촉하여 실험한 결과 왼손에 장갑을 낀 것에 비해 일체감이 더 오래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그립에 있어서 왼손과 오른손이 일체로 되게 하기위해서는 왼손에 장갑을 끼지 않고 맨손이 되든지 아니면 왼손 장갑의 엄지부분의 외피를 없애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왼손에 장갑을 끼지 않게 되면 클럽의 원심력에 의하여 셋째, 넷째, 다섯째 손가락이 상처를 입을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여름철에 손의 땀에 의하여 클럽이 손에서 빠져나가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다면 왼손에 장갑을 낄 수밖에 없는 것이라면 좋은 스윙을 위한 좋은 그립과, 그리고 왼손과 오른손의 일체감을 유도하는 장갑이 필요하다.
이러한 골프장갑이 바로 본원 발명이다.
좋은 스윙을 위한 바른 그립이 『검지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의 둘째마디 부위가 붙어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그 붙어있는 것이 오래 의식될 수 있도 록 하기위하여 『검지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의 둘째마디 부위』가 피부 접촉되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엄지와 검지가 이루는 엄지와 검지사이의 저점에서 엄지의 원주방향과 동일하거나 그 이하가 되도록 엄지의 장갑외피가 없도록 한 구성이다.
장갑의 외피가 없는 왼손의 엄지가 검지의 밑동 하단부위의 외피와 많이 접촉되면 될 수록 왼손 엄지가 느끼는 피부감촉이 커지게 된다. 엄지가 느끼는 피부감촉은 장갑을 낀 왼손 전체로 퍼지면서 마치 왼손에 장갑을 끼지 않은 것처럼 느껴지게 된다. 왼손 엄지하나가 느낀 피부감촉이 이러한 느낌을 가져온다는 것은 손만이 가질 수 있는 신비로움이다. 이를 달리 설명할 수가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30)은 엄지부위가 없도록 개구부(32)를 형성한 구성이다.(도1a 및 도1b 참조) 특히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것이므로 없어진 엄지부위의 위치가 가장 중요하다.
『검지(20)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10)의 둘째마디 부위』가 붙어있는 형태에서만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이 이루어지므로 엄지(10)부위가 없는 위치는 검지(20)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10)와의 피부접촉이 크게 되는 위치이다.
엄지(10)부위가 없는 위치가 이와 같다면 엄지(10)의 바닥면과 클럽(40)의 손잡이가 접촉되는 면적도 커져 (도5 참조) 피부의 감촉이 커지게 될 뿐 아니라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유지하게 된다.
그렇다면 왼손엄지(10)와 검지(20)를 벌렸을 때(도2a와 도2b 참조) 엄지(10)와 검지(20)가 이루는 엄지(10)와 검지(20)사이의 저점(O)을 기준으로 엄지부위가 없는 장갑(30)의 개구부(32)를 엄지(10)의 원주 방향과 동일하게 하거나 그이하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b, 도7b, 도8b 참조)
엄지부위가 없는 장갑(30)의 개구부(32)의 단부를 엄지(10)의 원주방향이하에 위치시킨다는 것은 원주방향에서 손목방향으로 내려간 위치까지 포함함을 의미한다.
그런데 왼손의 모양이나 크기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것은 아니다. 같은 크기와 모양으로 장갑을 만들었다하더라도 손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저점(O)의 위치가 각기 다르다.
이러한 점에서 엄지(10)와 검지(20)가 이루는 엄지(10)와 검지(20)사이의 저점(O)은 저점부 부근을 의미한다.
왼손엄지(10)와 클럽(40)손잡이가 접촉되는 접촉면이 클수록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감촉이 좋아지는 것이므로 골프장갑의 외관에 문제가 없다면 손등에서의 생략 위치는 그리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장갑의 외관을 고려하여 주먹을 쥐었을 때 손등(LB) 쪽의 엄지(10)부분의 뼈가 튀어나온 부위, 즉 S2부위 이하가 바람직하다. (도6b, 도7b, 도8b 참조)
좋은 스윙을 위한 바른 그립은 『검지(20)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10)의 둘째마디 부위』가 붙어있다는 것을 오래 의식하고자 한 것이므로 검지(20)의 밑동 하단부위에 작은 피부접촉 홀(35)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1b 참조) 피부접촉 홀(35)과 엄지(10)가 직접 피부접촉하게 되므로 『검지(20)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10)의 둘째마디 부위』가 붙어있다는 것을 오래 의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부접촉 홀(35)의 형상 및 사이즈는 엄지(10)와 접촉되는 면이 클수록 효과적이므로 이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에 적합한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상관이 없다.
한편 엄지(10)의 원주 방향으로 엄지부위가 없는 장갑(30)을 형성한 개구부(32)의 단부는 끝마무리처리를 해야 한다.
끝마무리 처리가 되지 않으면 골프장갑(30)의 개구부(32)의 단부가 늘어지거나 확장되는 현상을 피할 수 없다. 통상 골프장갑은 신축성의 가죽이나 이와 유사한 합성수지재질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끝마무리 처리는 바느질에 의하거나 가죽원단 대신 신축성이 좋은 얇은 스판재질(39)를 사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a, 도6b, 도7a, 도7b 참조)
신축성이 좋은 얇은 스판재질(39)로 끝마무리 처리뿐만 아니라 엄지(10)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손바닥의 도톰한 부위(A)까지 확대한다면 (도8a와 도8b 참조) 엄지(10)에 의한 피부감촉에다 손바닥 부위에 의한 감촉이 더해져서 그만큼 피부감촉에 의한 감각이 상승하게 된다.
스판재질(39)은 얇고 신축성이 좋은 재질을 말하는 것이므로 이와 유사한 것이라면 여기에 포함된다. 예컨대 직조된 섬유위에 실리콘이나 라텍스 등과 같은 탄성이 좋은 재질을 얇게 코팅하는 것도 이에 포함된다.
피부감촉에 의한 감각이 상승됨으로 인하여 결과적으로는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골프장갑(30)은 오른손잡이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왼손잡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양손에 장갑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골프장갑(30)은 그대로 적용된다. 기본개념이 동일하다면 어느 손에 사용하든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왼손엄지와 검지를 벌렸을 때 엄지와 검지가 이루는 엄지와 검지사이의 저점부를 기준으로 엄지의 원주 방향과 동일하게 하거나 그이하가 되도록 엄지부위를 생략한 장갑을 형성함으로써 엄지와 검지사이의 『피부접촉 길이(d)』가 붙어있다는 느낌을 피부감촉에 의하여 느낄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느낌을 어드레스에서 백스윙을 거쳐 임팩트 순간까지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좋은 스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피부접촉 길이(d)』에 대응되는 검지의 밑동 하단부위에 피부접촉 홀(35)을 형성함으로써 피부접촉 홀(35)을 통하여 엄지와 검지사이가 직접 피부접 촉하게 되어 『검지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의 둘째마디 부위』가 붙어있다는 것을 더 오래 의식할 수 있게 되므로 더 좋은 스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엄지의 개구부의 단부 끝마무리를 신축성이 좋은 얇은 스판재질이나 실리콘이 코팅된 직조섬유로 처리함으로써 엄지의 개구부의 외피단부가 늘어지거나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엄지부위가 없는 장갑의 개구부의 단부에서부터 손바닥의 도톰한 부위(A)까지 신축성이 좋은 얇은 스판재질 등으로 확대ㆍ처리함으로써 엄지에 의한 피부감촉에다 손바닥 부위에 의한 감촉이 더해져서 그만큼 피부감촉의 효율이 상승하게 되어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더한층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통상의 골프장갑에 있어서 엄지(10)와 검지(20)를 크게 벌렸을 때 엄지(10)와 검지(20)가 이루는 엄지(10)와 검지(20)사이의 저점 O를 기준으로 엄지부위가 없는 장갑(30)의 개구부(32)를 형성하되 그 개구부(32)의 단부를 엄지(10)의 원주 방향이하가 되게 하고 또 장갑(30)을 끼었을 때 검지(20)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10)의 둘째마디 부위사이의 피부 접촉길이(d)만큼 밀착되게 하면서 엄지의 바닥면과 클럽(40)의 손잡이가 직접 피부 접촉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검지(20)의 밑동 하단부위와 엄지(10)의 둘째마디 부위사이의 피부 접촉길이(d)에 대응되는 검지(20)의 밑동 하단부위의 외피에 피부접촉 홀(35)을 형성하여 엄지(10)의 둘째마디 피부와 직접 접촉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엄지부위가 없는 장갑(30)의 개구부(32)의 단부를 신축성이 좋은 스판재 질(39)로 끝마무리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엄지부위가 없는 장갑(30)의 개구부(32)의 단부를 섬유 직조로 처리하되 섬유직조는 그 위에 실리콘이 얇게 코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엄지(10)의 원주 방향으로 엄지부위가 없는 장갑(30)의 단부에서부터 손바닥의 도톰한 부위(A)까지 신축성이 좋은 얇은 스판재질(39)로 확대ㆍ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엄지(10)와 검지(20)가 만나는 엄지(10)와 검지(20)사이의 저점 O와 검지(20)의 셋째마디 S3 하단부사이의 외피를 신축성이 좋은 얇은 스판재질(39)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
KR1020070043761A 2006-12-06 2007-05-04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 KR100737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761A KR100737845B1 (ko) 2006-12-06 2007-05-04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
US12/447,628 US8146173B2 (en) 2006-12-06 2007-12-04 Golf glove for right grip and suitable swing
PCT/KR2007/006225 WO2008069535A1 (en) 2006-12-06 2007-12-04 Golf glove for right grip and suitable swing
JP2009540143A JP2010511470A (ja) 2006-12-06 2007-12-04 正しいグリップと好適なスイングのためのゴルフグローブ
CN2007800446824A CN101557862B (zh) 2006-12-06 2007-12-04 用于正确握杆和适当挥杆的高尔夫手套
DE112007002697T DE112007002697T5 (de) 2006-12-06 2007-12-04 Golfhandschuh für eine richtige Greifhaltung und einen geeigneten Schwung
GB0908656A GB2456713A (en) 2006-12-06 2009-05-20 Golf glove for right grip and suitable sw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2696 2006-12-06
KR1020060122696 2006-12-06
KR1020070043761A KR100737845B1 (ko) 2006-12-06 2007-05-04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845B1 true KR100737845B1 (ko) 2007-07-13

Family

ID=39492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761A KR100737845B1 (ko) 2006-12-06 2007-05-04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46173B2 (ko)
JP (1) JP2010511470A (ko)
KR (1) KR100737845B1 (ko)
CN (1) CN101557862B (ko)
DE (1) DE112007002697T5 (ko)
GB (1) GB2456713A (ko)
WO (1) WO20080695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624B1 (ko) 2007-09-07 2010-12-09 김정용 2중 구조에 의하여 엄지부위의 늘어짐을 방지하는 골프장갑
KR101120299B1 (ko) 2009-08-11 2012-03-08 임수희 골프용 장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3742A1 (en) * 2008-06-23 2009-12-24 Gathering Storm Llc D/B/A Tmax Gear Golf glove having perforations
KR200458597Y1 (ko) * 2011-04-22 2012-03-05 임창선 골프용 장갑
US9538797B2 (en) * 2012-04-05 2017-01-10 Nike, Inc. Flexible supported glove structures
US9158959B2 (en) * 2013-07-17 2015-10-13 Motorola Solutions, Inc. Palm identification and in-place personalized interactive display
US20170099891A1 (en) 2013-07-22 2017-04-13 Summit Glove Inc. Protective device for use with a glove
US11825887B2 (en) 2013-07-22 2023-11-28 Summit Glove Inc. Protective device for use with a glove
US11925221B2 (en) 2013-07-22 2024-03-12 Summit Glove Inc. Protective device for use with a glove having textured grip
US9380794B2 (en) 2013-07-22 2016-07-05 Summit Glove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glove failure
US11219253B2 (en) 2015-06-19 2022-01-11 Summit Glove Inc. Safety glove with fingertip protective member
US10980295B2 (en) 2013-07-22 2021-04-20 Summit Glove Inc. Protective device for use with a glove
US10750803B2 (en) 2013-07-22 2020-08-25 Summit Glove Inc. Protective device for use with a glove
US10645984B2 (en) 2016-12-20 2020-05-12 Summit Glove Inc. Protective device for use with a glove
JP6949407B1 (ja) * 2021-06-18 2021-10-13 峻之 石田 適正なグリップが得られるゴルフ用グローブ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7111A (ja) * 2000-09-20 2002-04-02 Nippon Surfactant Kogyo Kk 固形状含水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固形状油中水型組成物及び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02875A (en) 1938-06-03 1942-11-24 Lykins John Golfer's glove
US2270882A (en) 1938-08-05 1942-01-27 Albert C Link Gripping glove for golf clubs
US2264366A (en) 1939-05-06 1941-12-02 Henry A Johnson Golf glove
US2700159A (en) * 1953-05-22 1955-01-25 Wilmer F Van Denburgh Adjustable golf glove
US2751598A (en) * 1954-06-28 1956-06-26 Benjamin B Romeo Golf gloves
US2975429A (en) * 1959-09-30 1961-03-21 Donald J Newman Golf glove
US3100302A (en) 1961-12-06 1963-08-13 Billings Parnell Samuel Golf glove
US3369258A (en) 1966-08-31 1968-02-20 Gilbert I. Smith Glove with wrap-around fastening means
US3387306A (en) * 1966-11-03 1968-06-11 Korey John Golf glove
JPS60176673A (ja) * 1984-02-22 1985-09-10 株式会社アンレツト ゴルフ用手袋
US4882787A (en) * 1988-09-02 1989-11-28 Hull Harold L Golf glove
US5146627A (en) * 1991-07-02 1992-09-15 Weiser Charles W Golf glove with reduced palmar area and method of making
US5423089A (en) * 1993-11-10 1995-06-13 Joh Engineering Science Co. Golf glove
US5500956A (en) 1994-07-15 1996-03-26 Schulkin; William V. Basketball glove
US5768709A (en) * 1994-11-29 1998-06-23 Newkirk; James C. Pet therapeutic massager glove
JP2922437B2 (ja) * 1994-12-24 1999-07-26 株式会社スワニー スポーツ用の手袋
US5628068A (en) * 1995-03-20 1997-05-13 Delong; Harold Pitching glove having webbed fingers
US6195803B1 (en) * 1995-06-19 2001-03-06 Marsha A Russell Sports activity glove attached to the hand with reusable adhesive
JPH1088410A (ja) * 1996-09-13 1998-04-07 Hashisen:Kk 手 袋
US6216276B1 (en) * 1997-07-01 2001-04-17 Bruce A. Eibert Padded athletic gloves
JPH11104287A (ja) * 1997-10-06 1999-04-20 Takahiko Omae ゴルフ手袋
US6427248B1 (en) * 1997-10-09 2002-08-06 David M. Albert Grip-enhancing glove
US6035443A (en) * 1999-03-24 2000-03-14 Stanley L. Green Exposed palm golf glove for covering selected fingers of a golfer
US6708346B2 (en) * 2000-09-22 2004-03-23 Applications Systems Technologies, Inc. Golf glove and method of forming same
CA2473265A1 (en) * 2002-02-01 2003-08-07 Danny Gold Pre-curved gunn cut gloves
JP3094773U (ja) * 2002-12-19 2003-07-04 川田工業株式会社 ゴルフ手袋
CN2683206Y (zh) * 2003-12-19 2005-03-09 朴正镐 高尔夫手套
JP4106081B2 (ja) * 2004-07-20 2008-06-25 キム キュン−ジュン ゴルフグローブ
DE102005018527A1 (de) * 2005-04-20 2006-10-26 David Bauer Golftrainingshandschu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7111A (ja) * 2000-09-20 2002-04-02 Nippon Surfactant Kogyo Kk 固形状含水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固形状油中水型組成物及び化粧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297111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624B1 (ko) 2007-09-07 2010-12-09 김정용 2중 구조에 의하여 엄지부위의 늘어짐을 방지하는 골프장갑
KR101120299B1 (ko) 2009-08-11 2012-03-08 임수희 골프용 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57862B (zh) 2011-11-16
WO2008069535A1 (en) 2008-06-12
DE112007002697T5 (de) 2009-10-22
CN101557862A (zh) 2009-10-14
GB0908656D0 (en) 2009-07-01
JP2010511470A (ja) 2010-04-15
US8146173B2 (en) 2012-04-03
GB2456713A (en) 2009-07-29
US20100043119A1 (en)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845B1 (ko) 바른 그립과 좋은 스윙을 위한 골프 장갑
US11700895B2 (en) Glove for conforming to hands of various sizes
US5456650A (en) Ergonomic exercising and bracing device
US10016671B2 (en) Open palm hand covers and uses of said covers
US2083604A (en) Golf glove
JP2008513047A (ja) 各種スポーツにおけるスイングのトレーニング装置
US20210077890A1 (en) Six finger sports glove
JP4106081B2 (ja) ゴルフグローブ
US6269487B1 (en) Tennis glove
US10828553B2 (en) Open palm hand covers and uses of said covers
US20110230283A1 (en) Sports training aid and method
US8206233B2 (en) Wrist positioning athletic device
US5628068A (en) Pitching glove having webbed fingers
WO2015049935A1 (ja) ゴルフ用手袋
US9089762B1 (en) Golf glove
US20220132956A1 (en) Garment with directional indicia for visualizing and remembering a coordinated movement of body segments
US11617936B2 (en) Volleyball setter training glove
JP3127829U (ja) ゴルフ用指サック
KR101120299B1 (ko) 골프용 장갑
JP3105771U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器具
US20080274818A1 (en) Golf training glove and method
JP5376188B1 (ja) スイング練習補助具
JPH11178973A (ja) 運動用手袋
JP2021074336A (ja) 運動用具
JP2009183757A (ja) ゴルフ用指サ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