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658B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658B1
KR100737658B1 KR1020030053964A KR20030053964A KR100737658B1 KR 100737658 B1 KR100737658 B1 KR 100737658B1 KR 1020030053964 A KR1020030053964 A KR 1020030053964A KR 20030053964 A KR20030053964 A KR 20030053964A KR 100737658 B1 KR100737658 B1 KR 100737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member
opening
female member
insertion piec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4269A (ko
Inventor
우에하라료이치로
후지모토가요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29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수형부재(10)와, 상기 수형부재(10)가 삽입계지되는 암형부재(20)를 구비한다. 상기 수형부재(10)는 수형부재 본체(11)와, 상기 수형부재 본체에 형성된 탄성변형가능한 삽입편(15)과, 상기 삽입편에 형성된 피계지면(18)과, 상기 삽입편에 형성되어 삽입편을 탄성변형시키는 조작부(17)를 포함한다. 암형부재(20)는 암형부재 본체(21)와, 상기 암형부재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수형부재(10)의 삽입편(15)이 삽입되는 삽입구멍(23)과, 삽입구멍에 형성되어 삽입편의 피계지면과 계합하여 수형부재를 암형부재에 계지하는 계지면(27)과, 상기 계지면에 삽입편의 피계지면이 계지되었을 때 수형부재의 조작부를 외표면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25)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암형부재의 주위벽들중 측벽(21A)으로부터 표리벽(21B, 21C)의 내부를 향해 절결되고, 또한 측벽측 개구연(26B)에 측벽측 개구내로 돌출되는 돌기부(28)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 소켓, 수형부재, 암형부재, 삽입편, 플러그

Description

버클{BUCKL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수형부재와 암형부재의 분해사시도.
도3은 수형부재와 암형부재와의 계지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수형부재와 암형부재와의 계지상태 해제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개구부의 형상을 변형시킨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형부재 11: 본체
15: 삽입편 17: 조작부
18: 피계지면 20: 암형부재
27: 계지면 28: 돌기부
본 발명은 수형부재와 암형부재를 구비한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띠형 부재의 양단 또는 2개의 띠형상 부재들을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클 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띠형 부재의 양단 또는 2개의 띠형상 부재들을 연결 및 분리하는 수단으로서 버클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버클은 플러그와, 이러한 플러그가 삽입계지되는 소켓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러그는 플러그 본체와, 상기 플러그 본체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쌍의 삽입편을 구비한다. 각각의 삽입편의 선단부분에는 삽입안내면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삽입안내면으로부터 삽입편 기단측에 조작부 및 피계지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은 소켓 본체와, 상기 소켓 본체에 형성되어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구멍에는 입구측에 삽입편의 삽입안내면과 당접하여 삽입편을 삽입방향에 대해 거의 직각방향(상호내측)으로 탄성변위시키는 당접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당접부로부터 삽입방향 내측에 피계지면을 계지하는 계지면 및 삽입편의 조작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플러그를 소켓에 계지하기 위해서는 플러그의 삽입편을 소켓의 삽입구멍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각각의 삽입편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안내면이 소켓의 당접부에 당접하기 때문에, 각각의 삽입편이 서로 내측으로 탄성변위되면서 삽입된다. 잠시후, 각각의 삽입편의 피계지면이 소켓에 형성된 계지면을 넘으면, 내측으로 탄성변위되어 있던 각각의 삽입편이 외측으로 탄성복귀하기 때문에, 각각의 삽입편의 피계지면이 소켓에 형성된 계지면에 계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플러그의 조작부가 소켓의 개구부로부터 외표면으로 노출되어 있다.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는 소켓의 개구부로부터 외표면으로 노출된 플러그의 조작부를 서로 내측으로 가압하여, 삽입편을 내측으로 탄성변위시킨다. 이에 따라, 각각의 삽입편의 피계지면이 소켓에 형성된 계지면으로부터 해제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인출하면 플러그가 소켓으로부터 인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버클에 있어서, 플러그의 조작부가 노출된 소켓의 개구부는 소켓의 주위벽들중 측벽으로부터 표리벽 내부를 향하여 절결되고, 특히 측벽측 개구가 내부 보다 크게 되도록 표리벽이 경사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인출할 때는 소켓의 개구부로부터 노출된 플러그의 조작부를 서로 내측으로 가압할 때, 가압하는 손가락이 필요이상으로 개구부의 내부로 들어가고, 플러그의 삽입편을 필요이상으로 크게 탄성변위시키는 결과를 유발한다.
그 결과, 플러그의 삽입편이 손상(파손)되거나, 내구성에 문제를 유발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삽입편의 손상이나 내구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버클은 수형부재와, 상기 수형부재가 삽입계지되는 암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수형부재는 수형부재 본체와, 상기 수형부재 본체에 형성된 탄성변위가능한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에 형성된 피계지면과, 상기 삽입편에 형성되어 삽입 편을 탄성변형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형부재는 암형부재 본체와, 상기 암형부재 본체에 형성되어 수형부재의 삽입편이 삽입되는 삽입구멍과, 상기 삽입구멍에 형성되어 삽입편의 피계지면과 결합되고 상기 수형부재를 암형부재에 계지하는 계지면과, 상기 계지면에 삽입편의 피계지면이 계지되었을 때, 수형부재의 조작부를 외표면에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암형부재 본체의 주위벽들중 측벽으로부터 표리벽 내부를 향하여 절결되고, 상기 개구부의 주연에 상기 개구부내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수형부재를 암형부재에 계지하기 위해서는 수형부재의 삽입편을 암형부재의 삽입구멍에 삽입한다. 삽입편의 피계지면이 암형부재의 계지면에 계지되고, 수형부재가 암형부재에 삽입계지된다.
이러한 상태 즉, 수형부재가 암형부재에 삽입계지된 상태에 있어서, 수형부재를 암형부재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는 암형부재의 개구부로부터 노출된 수형부재의 조작부를 가압하여 수형부재와 암형부재와의 계지상태를 해제한다. 이때, 수형부재의 조작부를 가압할 때, 암형부재의 개구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하는 손가락이 돌기부에 당접하고, 개구부의 내부로 깊이 칩입하지 않기 때문에, 삽입편의 손상이나 내구성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수형부재의 삽입편이 필요이상으로 탄성변위되지 않기 때문에, 삽입편의 손상이 적고, 또한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개구부의 주연에서 삽입구멍의 입구측과는 반대측의 개구연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구멍의 입구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는 삽입구멍의 입구측과는 반대측의 개구연으로부터 입구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클에서는 계지면을 입구 근처의 개구연에 설치하는 형식이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형식에서는 개구부의 입구측에 배치되는 계지면에 대해 돌기부가 진출하는 형태로 된다. 이에 의해, 손가락으로 수형부재의 조작부를 가압하여 수형부재와 암형부재와의 계지상태를 해제할 때, 돌기부에서 손가락 끝의 위치가 계지면 근처에서 제약을 받고, 손가락의 불록한 부분으로 조작부의 계지면 부위를 가압하기 때문에, 손가락의 삽입량이 적어져도 수형부재와 암형부재와의 계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표리벽 절결연들중 상기 삽입구멍의 입구측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부위로부터 연속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기부의 폭방향 칫수는 상기 삽입구멍의 입구측에 도달함에 따라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돌기부의 폭방향은 돌기부의 돌출방향(버클의 삽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이며, 돌기부의 폭방향 칫수가 삽입구멍의 입구측에 도달함에 따라 적어지는 형상은 돌기부가 상기 입구측에 도달함에 따라 좁아지는 형상 또는 돌출되는 형태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가 표리벽 절결연으로부터 측벽까지 연속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 돌기부에 당접해도 손가락이 한장소에 집중적으로 압박되는 일이 없다. 또한,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돌기부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표리벽 절결연으로부터 연속하고 또한 상기 측벽에 연속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가 표리벽 절결연으로부터 측벽까지 연속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 돌기부에 당접해도 손가락이 한장소에 집중적으로 압박되지 않는다. 또한 곡면형상이기 때문에, 돌기부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형부재가 암형부재에 계지된 상태에서, 상기 암형부재의 개구부로부터 노출된 수형부재의 조작부를 가압하여 수형부재와 암형부재와의 계지상태를 해제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돌기부의 돌출된 선단은 상기 삽입구멍내에 계지된 삽입편의 선단 보다 삽입구멍의 입구측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형부재는 암형부재 본체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돌출설치된 한쌍의 삽입편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삽입편의 외측에 피계지면 및 조작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암형부재는 수형부재 본체의 양측벽에 상기 계지면 및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형부재는 외측에 피계지면 및 조작부를 갖는 한쌍의 삽입편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암형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한쌍의 삽입편의 선단에 형성된 피계지면이 암형부재의 계지면에 각각 계지된 상태로 되기 때 문에, 수형부재를 암형부재에 대해 안정한 상태로 계지할 수 있다. 또한, 수형부재를 암형부재로부터 해제할 때에도, 한쌍의 삽입편의 외측에 형성된 조작부를 서로 내측으로 가압하면 좋기 때문에, 수형부재를 암형부재로부터 해제하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형부재 및 암형부재는 각각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형부재 및 암형부재는 각각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성형되기 때문에, 저렴한 값으로 양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형부재 및 암형부재는 띠형상 부재를 삽입계지하는 띠부착구멍을 각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형부재 및 암형부재에는 띠부착구멍이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띠부착구멍에 띠형상 부재를 삽입 및 계지할 수 있는 것만으로, 이들 수형부재 및 암형부재에 띠형상 부재를 간단히 연결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편리한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실시예의 버클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버클(1)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상 부재의 단부(2, 3)를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성형된 수형부재(10)와,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수형부재(10)가 삽입계지되는 암형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형부재(10) 및 암형부재(20)의 재료에 대해서는 합성수지로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 등의 기타 다른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수형부재(1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부재 본체(11)와, 상기 수형부재 본체(11)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돌출설치된 탄성변위가능한 한쌍의 삽입편(15)과, 상기 삽입편(15)의 사이에 이들과 평행하게 돌출설치된 하나의 안내편(19)을 구비하고 있다.
수형부재 본체(11)는 중앙부에 띠형상 부재의 단부(2)가 삽입계지되는 띠부착구멍(12)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양측에 암형부재(20)의 접합면(20A) 양측에 당접하는 당접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띠부착구멍(12)의 중간에는 연결대(13)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대(13)에 의해 띠부착구멍(12)이 2개의 띠부착구멍(12A, 12B)으로 분할되어, 띠형상 부재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삽입편(15)은 수형부재 본체(11)의 양측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폭이 좁은 탄성 아암부(15A)와, 상기 탄성 아암부(15A)의 선단에 팽창돌출된 팽창돌출부(15B)를 포함한다. 상기 팽창돌출부(15B)의 외측에는 선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해 외측으로 팽창하는 삽입안내면(16)과, 상기 삽입안내면(16)으로부터 연속하여 외측을 향해 부드럽게 만곡된 조작부(17)와, 상기 조작부(17)로부터 내측으로 거의 직각 또는 예각으로 형성된 피계지면(18)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편(19)은 두께가, 수형부재 본체(11)로부터 중간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얇게 형성된 후, 다시 중간부로부터 선단을 향해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편(19)의 이면측에는 사각형의 공간부(19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재료를 조절할 수 있다.
암형부재(2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부재 본체(21)를 포함한다.
암형부재 본체(21)에는 띠형상 부재의 단부(3)가 삽입계지되는 띠부착구멍(22)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수형부재(10)와의 접합면(20A)으로부터 띠부착구멍(22)을 관통하여, 수형부재(10)의 삽입편(15) 및 안내편(19)이 삽입되는 삽입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형부재(20)의 접합면(20A)[수형부재(10)와의 접합면]은 중앙부분이 내부를 향해 오목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삽입구멍(23)의 입구양측벽은 서로를 향해 점차적으로 내측으로 경사지고, 삽입편(15)이 삽입될 때 삽입안내면(16)에 당접하여 삽입편(15)을 삽입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위시키는 당접부(24)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당접부(24)로부터 삽입구멍(23)의 내부 양측벽에는 수형부재(10)의 조작부(17)를 외표면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25)는 삽입구멍(23)이 형성된 암형부재 본체(21)의 주위벽들중 측벽(21A)이 표리벽(21B, 21C) 내부를 향하여 절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벽측 개구연(25A)으로부터 표리벽(21B, 21C) 내부를 향하여 오목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측 개구연(25A, 25B)에서 삽입구멍(23)의 입구 근처의 측벽측 개구연(25A)에는 삽입편(15)의 피계지면(18)과 계합하여 수형부재(10)를 암형부재(20)에 계지하는 계지면(27)이 설치되고, 삽입구멍(23)의 입구측과는 반대측의 측벽측 개구연(25B)에는 측벽측 개구내로 돌출되는 돌기부(28)가 설치되어 있 다.
상기 돌기부(28)는 표리벽(21B, 21C)의 절결연(25C)으로부터 연속하고, 측벽(21A)에 연속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리벽(21B, 21C)의 절결연(25C)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측벽측 개구연(25A)측으로 융기된 후, 측벽(21A)에 완만하게 연속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돌기부(28)의 폭방향 칫수는 돌기부(28)의 기부(도3의 L1의 하단측의 일점쇄선의 부위)에서 폭이 넓어지고, 돌기부(28)의 선단부(도3의 L1의 상단측)에서 좁아지게 되어 있고, 이에 의해 돌기부(28)는 돌출방향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돌기부(28)의 높이(도3의 L1) 즉, 수형부재(10)의 삽입방향에 있어서 표리벽(21B, 21C)의 절결연(25C)의 가장 깊은부분 위치로부터 돌기부(28)의 선단까지의거리(L1)는 조작부(17)를 가압하는 손가락이 돌기부(28)와 삽입편(15)의 삽입안내면(16) 및 조작부(17)와의 간극으로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수형부재(10)가 암형부재(20)에 삽입계지된 상태에서, 조작부(17)의 최외측면은 수형부재 본체(21)의 측벽(21A)을 연결하는 윤곽선으로부터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수형부재(10)를 암형부재(20)에 계지하기 위해서는 수형부재(10)의 삽입편(15)을 암형부재(20)의 삽입구멍(23)에 삽입해야 한다. 이에 따라, 삽입편(15)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안내면(16)이 암형부재(20)의 당접부(24)에 당접하기 때문에, 삽입편(15)이 삽입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방향(내측)으로 탄성변위되면서 삽입되어 간다. 그후, 삽입편(15)의 피계지면(18)이 암형부재(20)의 계지면(27)을 넘어가면, 탄성변위되어 있던 삽입편(15)이 본래의 상태로 탄성복귀되기 때문에, 삽입편(15)의 피계지면(18)이 수형부재(20)의 계지면에 계지된다. 이에 의해, 수형부재(10)를 암형부재(20)에 계지할 수 있다.
수형부재(10)를 암형부재(20)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는 암형부재(20)의 개구부(25)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삽입편(15)의 선단조작부(17)를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수형부재(10)의 삽입편(15)이 내측으로 탄성변위되기 때문에, 즉, 피계지면(18)이 계지면(27)으로부터 해제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수형부재(10)를 암형부재(20)로부터 인출하면 수형부재(10)를 암형부재(20)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수형부재(10)의 조작부(17)를 내측으로 가압할 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하는 손가락이 돌기부(28)에 맞닿고, 개구부(25)의 내부로 깊이 칩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형부재(10)의 삽입편(15)이 필요이상으로 탄성변위되지 않기 때문에, 삽입편(15)의 손상이나 파손이 적고, 내구성도 향성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하는 손가락이 돌기부(28)에 맞닿고, 개구부(25)의 내부로 깊이 칩입하지 않는 것은 수형부재(10)의 조작부(17)와 암형부재(20)의 개구부(25)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염려가 없다. 예를 들어 수형부재(10)를 암형부재(20)로부터 해제하는 조작시에, 삽입편(15)의 조작부(17)를 가압하고 있는 손가락의 힘을 일순간에 없애거나 경감하면, 삽입편(15)이 외측으로 탄성복귀되려고 한다. 이때, 삽입편(15)이 외측으로 탄성복귀되어도, 가압하는 손가락이 돌기부(28)에 의해 개구부(25)의 내부로 깊이 칩입하지 않기 때문에, 수형부재(10)의 조작부(17)와 암 형부재(20)의 개구부(25)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염려도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수형부재(20)에 형성된 개구부(25)는 삽입구멍(23)이 형성된 암형부재 본체(21)의 주위벽들중에서 측벽(21A)으로부터 표리벽(21B, 21C) 내부를 향하여 절결되고, 또한 측벽측 개구연(25B)에 측벽측 개구내로 돌출하는 돌기부(28)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수형부재(10)를 암형부재(20)로부터 해제할 때 수형부재(10)의 조작부(17)를 가압하면, 가압하는 손가락이 돌기부(28)에 맞닿고, 개구부(25)의 내부로 깊이 칩입하지 않기 때문에, 즉 수형부재(10)의 삽입편(15)이 필요이상으로 탄성변위되지 않기 때문에, 삽입편(15)의 손상이 적고,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2)돌기부(28)에 의해, 가압하는 손가락이 개구부(25)의 내부로 깊이 칩입하지 않기 때문에, 수형부재(10)의 조작부(17)와 암형부재(20)의 개구부(25)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염려가 없다. 즉, 수형부재(10)를 암형부재(20)로부터 해제할 때, 삽입편(15)의 조작부(17)를 가압하고 있는 손가락의 힘을 일순간에 없애거나 경감하였을 때, 삽입편(15)이 외측으로 탄성복귀되려고 하지만, 삽입편(15)이 외측으로 탄성복귀되어도, 가압하는 손가락이 돌기부(28)에 의해 개구부(25)의 내부로 깊이 칩입하지 않기 때문에, 수형부재(10)의 조작부(17)와 암형부재(20)의 개구부(25)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염려가 없다.
(3)돌기부(28)는 암형부재 본체(21)의 표리벽(21B, 21C)의 절결연(25C)으로부터 연속하고, 측벽(21A)에 연속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 이 돌기부(28)에 당접해도, 손가락이 한 장소에 집중적으로 가압되지 않으며, 또한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부(28)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4)개구부(25)를 구성하는 측벽측 개구연들(25A, 25B)중에서, 삽입구멍(23)의 입구 근처의 측벽측 개구연(25A)에 계지면(27)이 설치되고, 삽입구멍(23)의 입구측과는 반대측의 측벽측 개구연(25B)에 돌기부(2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수형부재(10)의 조작부(17)를 가압하여 수형부재(10)와 암형부재(20)와의 계지상태를 해제할 때, 손가락의 볼록한 부분으로 조작부(17)의 계지면(27) 근처의 부위를 가압하기 때문에, 손가락의 눌러밀어넣는 양이, 적어도 수형부재(10)와 암형부재(20)와의 계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5)수형부재(10)는 외측에 피계지면(18) 및 조작부(17)를 갖는 한쌍의 삽입편(15)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암형부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한쌍의 삽입편(15)에 형성된 피계지면(18)이 암형부재(20)의 계지면(27)에 각각 계지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수형부재(10)를 암형부재(20)에 대해 안정한 상태로 계지할 수 있다. 또한, 수형부재(10)를 암형부재(20)로부터 해제할 때에도, 한쌍의 삽입편(15)의 외측에 형성된 조작부(17)를 서로 내측으로 가압하면 좋기 때문에, 수형부재(10)를 암형부재(20)로부터 쉽게 해제할 수 있다.
(6)수형부재(10) 및 암형부재(20)는 각각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저렴하게 양산할 수 있다.
(7)수형부재(10) 및 암형부재(20)는 띠형상 부재를 삽입계지하는 띠부착구멍(12, 22)을 각각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띠부착구멍(12, 22)에 띠 형상 부재를 삽입 및 계지하는 것만으로 상기 수형부재(10) 및 암형부재(20)에 띠형상부재를 간단하게 연결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편리성이 매우 우수하다.
(8)수형부재(10)가 암형부재(20)에 삽입계지된 상태에서, 조작부(17)의 최외측면이, 암형부재 본체(21)의 측벽(21A)을 연결하는 윤곽선으로부터 내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즉, 암형부재 본체(21)의 외표면으로부터 수형부재(10)의 조작부(17)가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띠나 벨트 등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설명된 구조의 버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변형예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암형부재(20)에 형성한 개구부(25)가 측벽측 개구연(25A)으로부터 표리벽(21B, 21C)의 내부를 향하여 오목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개구부(2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측 개구연(25A, 25B)으로부터 표리벽(21B, 21C)의 내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하방[암형부재(20)의 띠부착구멍(22)측]으로 서로 평행하고 또한 직선형으로 경사지는, 능(菱)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이에 따르면, 능 형상의 개구부(25)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측벽측 개구연(25B)에 돌기부(28)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돌기부(28)의 높이(L1)에 대해서는 조작부(17)를 가압하는 손가락이 돌기부(28)와 삽입편(15)의 삽입안내면(16) 및 조작부(17)와의 사이에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높이이면 좋지만,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25)의 측벽측 개구연(25A, 25B) 사이의 칫수(L2)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절히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측벽측 개구연(25A, 25B) 사이의 칫수(L2)가 가압하는 손가락 굵기에 대응한 칫수 즉, 손가락이 측벽측 개구연(25A, 25B)에 맞닿을(걸쳐질) 정도의 칫수가 되도록 돌기부(28)의 높이(L1)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삽입편(15)의 선단에 삽입안내면(16)을 형성하였지만, 삽입안내면(16)은 삽입편(15)의 선단이 아니어도 무방하며, 중간위치 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개구부(25)의 측벽측 개구연(25A)에 계지면(27)을 형성하였지만, 계지면(27)의 위치도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구부(25)와는 다른 장소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삽입편(15)은 2개가 사용되었지만, 하나만 사용되도 무방하며,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도6은 삽입편(15)이 하나인 실시예의 버클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암형부재(20)에 형성되는 개구부(25) 또한 편측에 하나만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상기 실시예의 (1) 내지 (8)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버클은 버클종류 등 어떠한 용도에도 사용가능하지만, 특히 일정 이상의 인장력에 대해서도 해제되지 않는 용도에 적합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형부재(10) 및 암형부재(20)를 합성수지로 성형(사출성형, 또는 사출압축성형)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등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Claims (8)

  1. 수형부재(10)와, 상기 수형부재가 삽입계지되는 암형부재(20)를 구비하며; 상기 수형부재(10)는 수형부재 본체(11)와, 상기 수형부재 본체에 형성된 탄성변형가능한 한쌍의 삽입편(15)과, 상기 삽입편에 형성된 피계지면(18)과, 상기 삽입편에 형성되어 삽입편을 탄성변형시키는 한쌍의 조작부(17)를 포함하며; 상기 암형부재(20)는 암형부재 본체(21)와, 상기 암형부재 본체에 형성된 상기 수형부재(10)의 삽입편(15)이 삽입되는 삽입구멍(23)과, 상기 암형부재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편의 피계지면(18)과 계합하여 수형부재를 암형부재에 계지하는 계지면(27)과, 상기 계지면에 삽입편의 피계지면이 계지되었을 때 상기 수형부재의 조작부(17)를 외표면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25)를 포함하는 버클(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5)는 삽입구멍(23)이 형성된 암형부재 본체(21)의 표리벽(21B, 21C)을, 내측을 향해 결합면이 제공된 측벽의 주연으로부터 곡면형상으로 내부를 향해 절결하므로써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개구부의 주연에서 상기 개구부내로 돌출되는 돌기부(28)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구멍의 입구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개구부의 엣지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곡면형상의 개구부와 연속되도록, 암형부재의 표리벽의 절결 영역의 주연으로부터 측벽까지 연속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하며; 외측면을 향해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는 조작부 측의 반대측은 상기 개구부의 곡면과 동일한 곡면을 나타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8)는 개구부(25)의 주연에서 상기 삽입구멍(23)의 입구측과는 반대측의 개구연(25B)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구멍의 입구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8)는 표리벽 절결연(25C)들중 상기 삽입구멍(23)의 입구측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부위로부터 연속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기부의 폭방향 칫수는 삽입구멍(23)의 입구측에 도달함에 따라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8)는 개구부의 주연에서 상기 표리벽을 따라 표리벽 절결연(25C)으로부터 연속하고, 상기 측벽(21A)에 연속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1)은 암형부재(20)의 개구부(25)로부터 노출된 수형부재(10)의 조작부(17)를 가압하여 수형부재와 암형부재와의 계지상태를 해제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돌기부(28)의 돌출된 선단은 삽입구멍(23)의 내부에 계지된 삽입편(15)의 선단 보다 상기 삽입구멍(23)의 입구측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부재(10)는 수형부재 본체(11)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돌출설치된 한쌍의 삽입편(15)을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삽입편(15)의 상호이격된 측의 표면에는 상기 피계지면(18) 및 조작부(17)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암형부재(20)는 삽입구멍(23)의 양측에 계지면(27) 및 개구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부재(10) 및 암형부재(20)는 각각 합성수지로 일체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부재(10) 및 암형부재(20)는 띠형상 부재를 삽입계지하는 띠부착구멍(12, 22)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030053964A 2002-08-08 2003-08-05 버클 KR100737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31993A JP3892363B2 (ja) 2002-08-08 2002-08-08 バックル
JPJP-P-2002-00231993 2002-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269A KR20040014269A (ko) 2004-02-14
KR100737658B1 true KR100737658B1 (ko) 2007-07-09

Family

ID=30437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964A KR100737658B1 (ko) 2002-08-08 2003-08-05 버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025310A1 (ko)
EP (1) EP1388301B1 (ko)
JP (1) JP3892363B2 (ko)
KR (1) KR100737658B1 (ko)
CN (1) CN1248610C (ko)
DE (1) DE60325920D1 (ko)
TW (1) TW2004057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411A (ko) 2017-02-02 2018-08-13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스트랩 연결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5994B2 (en) * 2005-01-28 2010-06-01 Ykk Corporation Buckle, injection molding die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US20070089280A1 (en) * 2005-10-24 2007-04-26 Pontaoe John S Side-release buckle assembly
US8256072B2 (en) * 2006-12-12 2012-09-04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JP5651282B2 (ja) * 2007-07-03 2015-01-0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4912251B2 (ja) * 2007-08-08 2012-04-11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DE112010005684T5 (de) * 2010-06-24 2013-05-29 Ykk Corp. Aufbau eines Gurtbefestigungsteils
CN102758572B (zh) 2012-08-07 2015-08-26 上海鸿研物流技术有限公司 铰链固定结构和隐藏式铰链及容器
KR101639370B1 (ko) * 2015-01-21 2016-07-13 (주)경도상사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
KR101635745B1 (ko) * 2015-01-21 2016-07-04 (주)경도상사 신발끈 결속장치
JP3197854U (ja) 2015-03-25 2015-06-04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0464A (en) 1977-08-10 1979-04-24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US5027481A (en) 1990-11-01 1991-07-02 Illinois Tool Works Shell buckle
KR930022803A (ko) * 1992-04-22 1993-11-24 정용문 시그날링 데이타 제어방식 및 회로
JPH09206113A (ja) * 1995-11-30 1997-08-12 Yoshio Tokuda プラスチック製ガイドレスバックル
JPH10211005A (ja) 1997-01-30 1998-08-11 Yoshio Tokuda バック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6915A (ja) * 1998-09-30 2000-04-18 Ykk Corp バックル
JP4299941B2 (ja) * 2000-02-10 2009-07-22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0464A (en) 1977-08-10 1979-04-24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US5027481A (en) 1990-11-01 1991-07-02 Illinois Tool Works Shell buckle
KR930022803A (ko) * 1992-04-22 1993-11-24 정용문 시그날링 데이타 제어방식 및 회로
JPH09206113A (ja) * 1995-11-30 1997-08-12 Yoshio Tokuda プラスチック製ガイドレスバックル
JPH10211005A (ja) 1997-01-30 1998-08-11 Yoshio Tokuda バック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411A (ko) 2017-02-02 2018-08-13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스트랩 연결부재
US10306950B2 (en) 2017-02-02 2019-06-04 Woojin Plastic Co., Ltd. Strap connection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88301B1 (en) 2009-01-21
JP3892363B2 (ja) 2007-03-14
EP1388301A1 (en) 2004-02-11
US20040025310A1 (en) 2004-02-12
KR20040014269A (ko) 2004-02-14
CN1473523A (zh) 2004-02-11
JP2004065773A (ja) 2004-03-04
TW200405796A (en) 2004-04-16
DE60325920D1 (de) 2009-03-12
CN1248610C (zh)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679B1 (ko) 버클
US7979966B2 (en) Buckle
JPH047772Y2 (ko)
KR100737658B1 (ko) 버클
KR100286868B1 (ko) 버클
KR20080070544A (ko) 버클
JPH11309004A (ja) バックル
US6308825B1 (en) Plastic chain and pin retainer
US10588383B2 (en) Buckle
CN110482004B (zh) 绳带紧固器
TWI619444B (zh) 帶扣
US6995319B2 (en) Cord end cover
EP2161441B1 (en) Double locking connector for an injector
US20220117362A1 (en) Plug for buckle, and buckle
CN106606010B (zh) 带扣
JP3130203B2 (ja) バックル
JP3426558B2 (ja) 機器携帯用ベルト端末具
JP3589398B2 (ja) 端子抜き治具
KR910008298Y1 (ko) 버클
JPH0724105U (ja) バックル
TWI726392B (zh) 帶扣
JPH0711610Y2 (ja) バックル
JP3248104B2 (ja) バックル・アセンブリ
WO2023017566A1 (ja) コードストッパー
JPH09173107A (ja) 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