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298Y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298Y1
KR910008298Y1 KR2019890019357U KR890019357U KR910008298Y1 KR 910008298 Y1 KR910008298 Y1 KR 910008298Y1 KR 2019890019357 U KR2019890019357 U KR 2019890019357U KR 890019357 U KR890019357 U KR 890019357U KR 910008298 Y1 KR910008298 Y1 KR 9100082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plate
locking
elastic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9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376U (ko
Inventor
가즈미 가사이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13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3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2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2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3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 push-button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6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Landscapes

  • Buckl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배면도.
제4도는 제2도의 Ⅳ-Ⅳ선을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Ⅴ-Ⅴ선을 따른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에 보인 버클의 일부를 구성하는 숫플러그부재의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을 따른 단면도.
제8도는 제1도에 보인 버클의 나머지 부분을 구성하는 암 소켓부재의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우측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배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단면도.
제12도는 제8도의 XII-XII선을 따른 단면도.
제13도는 제9도의 XIII-X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클 11 : 플러그 부재
12 : 소켓부재 13 : 편평 다리
14 : 잠금발 14a : 받침면
15 : 연결프레임 16 : 중앙 가로대
17 : 횡단안내홈 18 : 안내돌기
19 : 발목 20 : 가로홈
21 : 연결가로대 22 : 안내채널
22a : 개방단부 23 : 윗판
24 : 뒷판 25 : 외부슬롯
26 : 내부슬롯 27 : 탄성잠금날개
28 : 가로요홈 29 : 보유면
30 : 안내요홈 31 : U형 슬롯
32 : 탄성누름판 33 : 가로요홈
34 : 누름판 헤드 35 : 보강벽
36 : 보강리브 B : 벨트
본 고안은 의복, 가방, 수통(canteen)에 부착된 벨트나 끈의 고정되어 있지 않은 끝부분들을 해제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납작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로 성형된 버클은 싼값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근년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성형된 합성수지 버클은 버클을 부착한 물품의 사용중에 받는 힘을 견디도록 비교적 두껍고 커다랗게 된다.
버클의 최근경향은 보다 얇고 납작한 디자인으로 가고 있다. 이러한 납작한 버클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60-126010호에 하나 개시되어 있다. 그 버클은, 금속으로 되어 있으며, 말단에 잠금 계단을 가진 한쌍의 잠금다리를 포함하는 숫부재와, 벨트 보유부를 갖는 기초부재와, 기초부재의 양측을 덮는 앞뒤판들과, 암부재의 잠금계단과 해제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탄성잠금부재를 갖는 탄성부재와로 이루어진 암부재로 구성된다.
뒷판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를때 숫부재의 잠금다리들과 암부재의 탄성부재를 풀어주는 누름부재가 있다.
암부재가 4개의 부품으로 조립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즉 기초부재 앞판, 뒷판 그리고 탄성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납작한 버클은 복잡하고 시간낭비되는 조립공정을 필요로하고 따라서 제조비용이 많이든다.
이와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납작하고, 버클을 부착한 물품의 미적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금속버클에 필적하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암부재의 복잡한 조립공정을 불필요하게 하여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요약하면,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편평한 한조각의 소켓부재를 포함하는데, 이 소켓부재는 플러그부재의 한쌍의 다리의 잠금발과 결합하여 소켓 및 플러그 부재들을 서로 잠글 수 있는 탄성 잠금날개를 가진 윗판과 손으로 눌리면 탄성잠금날개를 잠금발과의 결합에서 해제되게 눌러서 소켓 및 플러그 부재들을 해제하도록된 탄성 누름판과를 포함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버클은, 한쌍의 잠금발이 한표면으로 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측방으로 이격된 편평다리를 포함하는 평면상의 플러그 부재와, 플러그부재의 편평다리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안내채널을 중간에 형성하는 윗판과 뒷판을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편평한 한 조각의 소켓부재로서, 윗판은 안내채널안으로 돌출하고 잠금발들과 결합할 수 있어 플러그 부재와 소켓부재를 서로 잠그는 탄성잠금날개를 포함하며, 그 뒷판은 탄성잠금 날개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휘어져서 잠금날개를 안내채널 밖으로 밀수 있어 잠금날개와 잠금밭들을 서로 결합해제시키는 탄성누름판을 포함하는 상기 소켓부재로 구성된다.
이 구조에 의하여, 버클의 플러그 및 소켓부재들이 결합될 때 플러그 부재의 다리들은 소켓부재의 안내채널에 삽입된다. 다리들이 밀려서 전진할때 각 다리의 잠금발은 소켓부재의 탄성잠금날개와 결합하여 탄성 잠금날개가 안내채널 밖으로 휘어지게 한다. 다리가 더욱 전진하여 잠금다리가 탄성잠금날개를 지나 이동하면 탄성잠금날개가 잠금발을 교정하도록 그 초기위치로 탄성복귀하므로 버클의 소켓및 플러그부재들을 결합시킨다.
소켓 및 플러그부재들을 해제하려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탄성누름판을 눌러서 탄성잠금날개가 안내채널 밖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하여 잠금발이 잠금날개와의 잠금결합에서 해제되게 한다. 따라서, 플러그 부재는 소켓부재에서 해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부분을 나타내며 제1도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버클(10)을 나타낸다. 버클(10)은 플러그 부재(11) 및 플러그 부재(11)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켓부재(12)로 구성된다.
제6도와 제7도에 나타낸것과 같이 플러그부재(11)에는 직사각형의 편평한 중공 연결 프레임(15)의 한쪽끝에서 뻗는 한쌍의 측방으로 떨어진 편평다리(13, 13)가 있는데, 각각의 다리(13)의 한면에는 한쌍의 잠금발(14, 14)이 각각 뻗어나와 있다. 중공연결프레임(15)은 끈 또는 벨트(B)(제5도)의 끝부분에 연결되게되어 있고 벨트 끝부분이 둥글게 감기는 중앙가로대(16)를 포함한다. 연결프레임(15)에는 또한 벨트 단부가 통과하도록 가로대(16)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뻗는 한쌍의 횡단안내홈(17)이 있다.
이후에 설명될 목적을 위해서 한쌍의 안내돌기(18, 18)는 연결 프레임(15)의 한면에 다리(13)의 각 기단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안내돌기(18)는 플러그부재(11)에서 잠금발(14)와 같은 쪽에 배치된다. 다리(13)는 잠금발(14)의 인접부에서 감소된 두께의 발목(19)을 가진다. 얇은 발목(19)을 이렇게 제공한 상태에서 잠금발(14)은 제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다리(13)의 최대 두께와 같은 두께를 가진다. 잠금발(14)은 각각 다리(13) 각각의 기단을 향한 한쌍의 받침면(14a)을 가진다.
플러그부재(11)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금속으로 되어 있으나, 이 버클을 부착한 물품의 사용중에 받게 되는 힘을 견디기에 충분할만큼 강하다면 성형된 합성수지 플러그부재로도 될 수 있다.
소켓부재(12)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고, 제8도에 나타낸것과 같이 소켓부재(12)의 몸체와 연결가로대(21)에 의해 그사이에 형성된 가로홈(20)을 포함한다. 벨트B(제5도)의 다른 단부는 연결가로대(21)에 둥글게 감겨서 부착된다. 제11도와 제12도에 나타낸것과 같이, 소켓부재(12)의 몸체는 납작한 상자모양으로 되고 윗판(23)과 뒷판(24)을 가지며 그사이에 플러그부재(11)의 다리(13)를 수용하는 안내채널(22)을 형성한다. 안내채널(22)에는 다리(13)가 통과하여 드나드는 개방단부(22a)(제12도)가 있다. 윗판(23)두께는 뒷판(24)의 두께보다 약간 크다.
윗판(23)에는 제8도와 같이 서로 나란히 뻗는 U형외부 슬롯(25)과 U형 내부슬롯(26)이 있어서 그들사이에 U형 탄성잠금날개(27)를 형성한다. 또한 윗판(23)의 외면에는 U형 탄성잠금날개(27)를 형성한다. 또한 윗판(23)의 외면에는 U형의 내부및 외부슬롯(25, 26)의 인접 단부들 사이에 각각 뻗어 있어 U형 탄성잠금날개(27)의 탄성을 향상시키는 한쌍의 정렬된 가로요홈(28)이 있다. U형 탄성잠금날개(27)는 그 양단부에서 윗판(23)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안내채널(22)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으며 그 양단부는 안내채널(22)의 개방단부(22a)를 향하게 되어있다. U형 탄성잠금날개(27)의 말단은, 플러그부재(11)의 잠금발(14)과 결합하도록 안내채널(22)안으로 굽혀지거나 계단식으로 들어가 있다. U형 탄성잠금날개(27)에는 그 말단을 따라 뻗어있고 잠금발(14)의 각 받침면(14a)과 잠금결합할 수 있는 횡단보유면(29)이 있어서 플러그 및 소켓부재들(11, 12)을 서로 잠그게 되어 있다.
또한 윗판(23)의 내면에는 소켓부재(12)의 개방단부로부터 안내채널(22)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한쌍의 안내요홈(30)(제8도와 제13도)이 있어 플러그부재(11)의 결합하는 안내돌기(18)를 꼭 맞게 수용한다. 이렇게 안내돌기(18)와 안내요홈(30)을 조합시킴으로써 플러그부재(11)와 소켓부재(12)는 그 앞뒷면의 잘못된 결합을 일으키지 않고 쉽고 신뢰성있게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제10도에 나타낸것과 같이 뒷판(24)에는 대체로 거꾸로된 U형의 슬롯(31)이 있는데, 이 슬롯의 양단부는 안내채널(22)의 개방단부(22a)(제5도)로 부터 멀리 향하고 있어서 뒷판(24)과 기단에서 일체로 연결된 거의 직사각형인 탄성 누름판(32)을 형성한다. U형 슬롯(31)의 양단부는, 탄성누름판(32)에 보다 큰 탄성을 주기위해 뒷판(24)의 외면에서 뻗어있는 가로요홈(33)에 의해서 함께 연결되어있다. 탄성 누름판(32)은, 뒷판(24)의 폭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고 제4도에 보인바와 같이 플러그부재(11)의 편평다리들(13) 사이의 거리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있어서 나중에 설명될 목적을 위해서 플러그부재(11)의 편평다리(13)와의 간섭이 없이 탄성잠금날개(27)와 결합할 수 있다. 제5도에 나타낸것과 같이, 탄성누름판(32)은 평상시 뒷판(24)과 같은 평면에 놓이고, 그 말단에는 확대된 누름판헤드(34)가 탄성잠금날개(27)의 말단과 대면하면서 안내채널(22)안으로 돌출하여있다.
누름판 헤드(34)는 평상시 탄성잠금날개(27)로 부터 일정간격 떨어져있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탄성누름판(32)을 안내채널(22) 안으로 누르면 누름판헤드(34)는 탄성잠금날개(27)와 결합하게 되며 계속해서 잠금날개(27)를 안내채널(22) 밖으로 탄성적으로 휘도록 밀어서 탄성잠금날개(27)와 잠금발(14)이 서로 결합해제되게한다.
합성수지로 성형된 납작한 상자형의 소켓부재(12)는 종래의 성형 소켓부재들보다 상당히 얇다. 소켓부재(12)에는 윗판(23) 및 뒷판(24)과 일체로 되고 안내채널(22)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한쌍의 평행 이격된 보강벽(35)이 있다. 보강벽(35)은, U형 내부슬롯(26)의 안쪽에 배치되고 슬롯(26)으로 부터 안내채널(22)의 개방단부(22a)로 뻗고 제13도에서와 같이 개방단부(22a)에 조금 못미쳐 종격되어 있어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러그부재(11)가 소켓부재(12)에 결합될때 플러그부재(11)의 연결프레임(15)과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제13도에 나타낸것과 같이 소켓부재(12)에는 윗판(23)과 일체로 되고 보강벽(35)에 나란히 뻗은 보강리부(rib)(36)가 있다. 보강리브(36)는 안내채널(22)의 밀폐단부에 배치되고 윗판(23)의 폭의 중앙에 있다.
제1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버클(10)의 플러그 및 소켓부재들(11, 12)을 결합하려면 잠금발(14)이 버클(10)의 앞쪽을 향하도록 플러그 부재(11)의 편평다리(13)를 소켓부재(12)의 안내채널(22)에 삽입한다.
이때 잠금발(14)은 U형 탄성잠금날개(27)의 밑면과 마찰 결합하게되어 잠금날개(27)는 안내채널(22)밖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밀린다. 편평다리(13)가 더욱 전진하면 잠금발(14)은 잠금날개(27)의 보유면(29)을 지나 이동하게되어 잠금날개(27)는 그 원래 위치로 탄성복귀할 수 있게 된다. 이 위치에서 각 잠금발(14)의 받침면(14a)은 잠금날개(27)의 보유면(29)과 결합하게되어 플러그 및 소켓부재들(11, 12)을 결합된 위치로 잠근다. 플러그부재(11)의 안내돌기(18)(제6도)가 소켓부재(12)의 결합하는 안내요홈(제13도)에 꼭맞게 수용되므로 편평다리(14)의 전진이동은 부드럽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그 및 소켓 부재들(11, 12)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탄성 누름판(32)을 안내채널(22)로 눌러넣는다. 그러면 이때 누름판(32)의 확대된 누름판 헤드(34)는 탄성잠금날개(27)를 그 탄성에 반하여 안내채널(22) 밖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민다.
누름판(32)을 더욱 밀면 잠금날개(27)의 보유면(29)이 잠금발(14)의 받침면(14a)에서 해제되어 플러그부재(11)는 소켓부재(12)로 부터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구성의 버클(10)에는 많은 장점이 있다. 평면상의 플러그부재(11)와 납작한 상자형의 소켓부재(12)에 의하여 버클(10)은, 종래의 성형된 버클보다 상당히 얇으면서도 비교적 두꺼운 종래의 성형 버클에 필적하는 강도를 가진다. 이러한 납작한 버클은 최근의 패션과 조화를 잘 이루고 이 버클을 부착한 물품의 미적인 외관을 해치지 않는다. 합성수지로 성형된 소케부재는 한조각의 구조로 되고 따라서 금속으로된 종래의 소켓부재에서와 같이 복잡한 조립작업의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성형된 한조각 소켓부재는 구조상 단순하고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Claims (13)

  1. (a)한쌍의 잠금발(14)이 그 한표면으로 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측방으로 이격된 편평다리(13)를 포함하는 평면상의 플러그 부재(11)와, (b)상기 플러그부재(11)의 상기 편평다리들(13)을 수용하는 안내채널(22)을 중간에 형성하는 윗판(23)과 뒷판(24)을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편평한 한조각의 소켓부재(12)로서, 상기 윗판(23)은 상기 안내채널(22)안으로 돌출하고 상기 잠금발들(14)과 결합할 수 있어 상기 플러그부재(11)와 상기 소켓부재(12)를 서로 잠그는 탄성잠금날개(27)를 포함하며, 상기 뒷판(24)은 상기 탄성잠금날개(27)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휘어져서 상기 잠금날개(27)를 상기 안내채널(22) 밖으로 밀수 있어 상기 잠금날개(27)와 상기 잠금발들(14)을 서로 결합해제시키는 탄성누름판(32)을 포함하는 소켓부재(12)로 구성되는 버클(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들(13)이, 각기 각각의 잠금발들(14)가까이에 감소된 두께의 한쌍의 발목(19)을 가지는 버클(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발들(14)의 두께가 상기 다리들(13)의 최대 두께와 같은 버클(1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재(11)에는 상기 다리들(13)이 뻗어나온 연결프레임(15)과 상기 연결프레임(15)의 한면에 각각의 다리들(13)의 기단들 가까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돌기(18)가 더 포함되어 있고, 상기 윗판(23)과 뒷판(24) 가운데 하나가 상기 안내돌기(18)를 꼭 맞게 수용하는 안내요홈(24)을 가지는 버클(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18)와 상기 잠금발들(14)은 상기 플러그부재(11)의 같은쪽에 배치되어 있는 버클(1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잠금날개(27)는 U자형으로되어 있고, 상기 U형 탄성잠금날개(27)는 그 양단부가 상기 안내채널(22)의 개방단부(22a)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양단부에서 상기 윗판(23)에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윗판(23)에는 상기 U형 탄성잠금날개(27)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는 U형 외부 슬롯(25)과 상기 U형 탄성잠금날개(27)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있는 U형 내부슬롯(26)이 있는 버클(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윗판(23)의 바깥면에는 상기 U형 외부 및 내부슬롯들(25, 26)의 인접 상단부들 사이에 각기 뻗어 있는 한쌍의 정렬된 요홈(28)이 있는 버클(1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누름판(32)이 그 일단부에서 상기 뒷판(24)과 연결되고 평상시 상기 뒷판(24)과 같은 평면에 놓이며, 상기 탄성누름판(32)은 그 말단에서 상기 안내채널(22)안으로 돌출하는 확대된 누름판 헤드(34)를 가지는 버클(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누름판(32)의 상기 말단은, 상기 탄성누름판(32)의 상기 일단부보다 상기 안내채널(22)의 개방단부(22a)에 더욱 가깝게 배치된 버클(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누름판(32)이 직사각형에 가깝고, 상기 뒷판(24)에는 상기 직사각형 탄성누름판(32)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 뻗는 대체로 U자형인 슬롯(31)이 잇는 버클(1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뒷판(24)의 바깥면에는 상기 U형 슬롯(31)의 양단부 사이에 뻗은 요홈(33)이 있는 버클(10).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재(12)가, 상기 윗판(23) 및 뒷판(24)과 일체로 되고 상기 안내채널(22)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벽(35)을 포함하는 버클(10).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재(12)가, 상기 윗판(23) 및 뒷판(24)가운데 하나의 일체로 되고 상기 보강벽(35)에 나란히 뻗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36)를 더 포함하는 버클.
KR2019890019357U 1988-12-19 1989-12-18 버클 KR91000829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4223 1988-12-19
JP1988164223U JPH0785Y2 (ja) 1988-12-19 1988-12-19 バック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376U KR900011376U (ko) 1990-07-02
KR910008298Y1 true KR910008298Y1 (ko) 1991-10-15

Family

ID=1578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9357U KR910008298Y1 (ko) 1988-12-19 1989-12-18 버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99886A (ko)
EP (1) EP0375379B1 (ko)
JP (1) JPH0785Y2 (ko)
KR (1) KR910008298Y1 (ko)
CA (1) CA2005171C (ko)
DE (1) DE68911114T2 (ko)
ES (1) ES204713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167Y2 (ja) * 1989-11-10 1995-10-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バックル
JPH0650523U (ja) * 1992-12-22 1994-07-12 吉田工業株式会社 袋物・鞄などの蓋の係止具
US5855057A (en) * 1997-12-29 1999-01-05 National Molding Corp. Buckle assembly
GB2332703B (en) * 1997-12-29 1999-12-22 Nat Molding Corp Plug and socket type buckle assembly
US6430846B1 (en) * 2001-07-13 2002-08-13 Gnan-Jang Plastics Co., Ltd. Shoe with detachable vamp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048A (en) * 1880-08-10 Fastener for carriage-aprons
US1825357A (en) * 1929-04-03 1931-09-29 Lasselsberger Leopold Disengageable coupling device
GB1220350A (en) * 1967-05-10 1971-01-27 Romac In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utomobile safety belt buckles
US4035877A (en) * 1975-09-15 1977-07-19 Brownson Ivan F Buckle
GB2079833A (en) * 1980-07-14 1982-01-27 Little Rock Ltd Buckles for baby carriers
GB2099494B (en) * 1981-05-28 1985-05-01 Krauss Jack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uckles
DE8120432U1 (de) * 1981-07-13 1981-12-24 Fildan, Gerhard, Ing.(Grad.), 7250 Leonberg Verschluss, insbesondere fuer kleidungsstuecke, gurte u. dergl.
GB8331919D0 (en) * 1983-11-30 1984-01-04 Itw Ltd Buckles
JPS60126010A (ja) * 1983-12-08 1985-07-0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稈搬送装置
JPS60126010U (ja) * 1984-02-04 1985-08-24 モリト株式会社 金属製バツクル
JPH0411531Y2 (ko) * 1986-08-12 1992-03-23
JPH0540733Y2 (ko) * 1987-09-30 1993-10-15
EP0390943A1 (de) * 1989-04-04 1990-10-10 Proizvodstvennoe Obiedinenie "Prozhektor" Verfahren zum Waschen von Textili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05171C (en) 1994-04-05
DE68911114D1 (de) 1994-01-13
CA2005171A1 (en) 1990-06-19
JPH0785Y2 (ja) 1995-01-11
JPH0284510U (ko) 1990-06-29
US4999886A (en) 1991-03-19
EP0375379B1 (en) 1993-12-01
KR900011376U (ko) 1990-07-02
DE68911114T2 (de) 1994-06-09
EP0375379A1 (en) 1990-06-27
ES2047134T3 (es) 199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2725A (en) Snap buckle
US6571433B2 (en) Buckle
KR950003345Y1 (ko) 버클 조립체
US3844000A (en) Clasp
KR100614036B1 (ko) 삼각 버클 어셈블리
US5465472A (en) Buckle
US5855057A (en) Buckle assembly
EP0125631B1 (en) Buckle
EP0681793B1 (en) Buckle which is releasable by depression of a hinged member
US7979966B2 (en) Buckle
EP0309943B1 (en) Buckle assembly
KR0126402B1 (ko) 버클
US6446314B1 (en) Push release buckle with improved latching capability
JPS6324361B2 (ko)
CN112841818B (zh) 搭扣
JPH0822242B2 (ja) バックル
US4894890A (en) Buckle assembly
KR910008298Y1 (ko) 버클
KR0139101Y1 (ko) 가요성 물품의 두개의 상보적인 부품들을 해제 가능하도록 함께 고정시키는 걸쇠
KR890000077Y1 (ko) 버 클
KR100395591B1 (ko) 의류용 후크
JP2004065773A (ja) バックル
JPH04221502A (ja) ベルト連結用のバックル
JPS6345929Y2 (ko)
JP3248104B2 (ja) バックル・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