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370B1 -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 - Google Patents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370B1
KR101639370B1 KR1020150010143A KR20150010143A KR101639370B1 KR 101639370 B1 KR101639370 B1 KR 101639370B1 KR 1020150010143 A KR1020150010143 A KR 1020150010143A KR 20150010143 A KR20150010143 A KR 20150010143A KR 101639370 B1 KR101639370 B1 KR 101639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guide
piece
coupling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배
Original Assignee
(주)경도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도상사 filed Critical (주)경도상사
Priority to KR1020150010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370B1/ko
Priority to JP2017502561A priority patent/JP6267827B2/ja
Priority to PCT/KR2015/013667 priority patent/WO2016117827A1/ko
Priority to EP15879081.6A priority patent/EP3123890A4/en
Priority to CN201580016058.8A priority patent/CN10613223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370B1/ko
Priority to US15/258,239 priority patent/US2016037443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9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Landscapes

  • Buckl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허리띠, 신발끈 등의 대상물을 결속하기 위하여 가방, 의류, 신발 등에 사용되는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암버클과 수버클이 간단한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분리되는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버클과 수버클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수버클은 제1연결구가 일단에 형성된 수버클몸체; 상기 수버클몸체의 타단 일측에 형성되고 외측면에 제1안내면이 형성된 결합안내편; 및 상기 수버클몸체의 타단 타측에 상기 결합안내편과는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결합안내편 측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며 외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외측면에 제2안내면이 형성된 탄성결합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암버클은 제2연결구가 일단에 형성된 암버클몸체; 상기 암버클몸체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안내편 및 상기 탄성결합편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체; 및 상기 수용체의 일측에 절결 형성되어 상기 결합안내편 및 상기 탄성결합편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탄성결합편의 걸림돌기가 노출된 형태로 걸림되는 걸림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Easy separating operation buckle}
본 발명은 벨트, 허리띠, 신발끈 등의 대상물을 결속하기 위하여 가방, 의류, 신발 등에 사용되는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암버클과 수버클이 간단한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분리되는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클(buckle)은 가방, 의류, 신발 등의 제품에 사용되는 것으로, 벨트, 허리띠, 신발끈 등과 같은 한 개의 끈 양단 또는 두 개의 끈을 간편하게 결속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버클은 한 쌍의 암버클과 수버클이 상호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즉, 암버클과 수버클을 결합시킬 때는 암버클의 단부를 수버클의 내측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일정이상의 압력으로 밀어넣으면 암버클의 단부 양측에 형성된 탄성편이 수버클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걸림되면서 상호 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암버클과 수버클을 분리시킬 때는 수버클의 걸림구멍으로 노출된 암버클의 탄성편을 일정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하면 암버클이 수버클에서 이탈되면서 상호 분리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버클은 암버클과 수버클을 분리할 때 암버클의 두 탄성편을 동일한 압력으로 동시에 가압하지 않을 경우 암버클의 단부가 수버클의 내측에서 한쪽으로 틀어지면서 한 번에 분리되지 않아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버클이 설치되는 위치나 적용되는 제품에 따라 암버클의 두 탄성편을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 암버클의 두 탄성편을 동시에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하기 쉽지 않으므로 상기한 문제점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111159호, 1996.10.19.자 공고.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8650호, 2000.11.01.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암버클과 수버클의 구조 및 형태를 개선 보완하여 버클의 파지가 쉽지 않은 경우에도 암버클과 수버클을 간편한 조작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은 암버클과 수버클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수버클은 제1연결구가 일단에 형성된 수버클몸체; 상기 수버클몸체의 타단 일측에 형성되고 외측면에 제1안내면이 형성된 결합안내편; 및 상기 수버클몸체의 타단 타측에 상기 결합안내편과는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결합안내편 측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며 외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외측면에 제2안내면이 형성된 탄성결합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암버클은 제2연결구가 일단에 형성된 암버클몸체; 상기 암버클몸체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안내편 및 상기 탄성결합편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체; 및 상기 수용체의 일측에 절결 형성되어 상기 결합안내편 및 상기 탄성결합편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탄성결합편의 걸림돌기가 노출된 형태로 걸림되는 걸림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안내면은 상기 탄성결합편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안내면은 상기 결합안내편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안내편의 상면과 하면에는 제1안내홈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제1안내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용체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제1안내돌기와 대응되는 한 쌍의 제2안내홈이 상기 제1안내홈과 대응되는 제2안내돌기를 사이에 두고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수버클몸체의 일단 일측과 타측에 각각 동일선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연결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암버클몸체의 일단 일측과 타측에 각각 동일선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2연결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암버클과 수버클이 결합된 상태에서 암버클의 일측에 노출된 수버클의 걸림돌기를 가압하면 수버클이 암버클에서 간편하게 분리됨에 따라 버클의 파지를 쉽지 않은 경우에도 버클의 분리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버클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높인 버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높인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높인 버클의 수버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높인 버클의 암버클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높인 버클은 가방, 신발, 의류 등에 사용되는 벨트, 허리띠, 신발끈 등을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암버클과 수버클로 구성되어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를 가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높인 버클은 암버클과 수버클이 결합된 상태에서 버클의 파지가 쉽지 않은 경우에도 간편한 조작을 통해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수버클과 암버클이 결합된 상태에서 암버클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공에 노출된 상태로 걸림된 수버클의 탄성결합편을 일정이상의 압력으로 가압 하면 수버클이 암버클에서 분리되는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즉, 종래 버클의 분리방식과 다르게 한 손가락으로 수버클의 탄성결합편을 가압하기만 하면 수버클과 암버클이 간편하게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버클이 설치되는 위치나 적용되는 제품에 따라 버클의 파지가 쉽지 않은 조건에서도 버클의 분리 조작이 용이하므로 버클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높이 버클(10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암버클(300)과 수버클(2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수버클(200)은 도 3과 같이 수버클몸체(210)와 결합안내편(230) 및 탄성결합편(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버클몸체(210)는 결합안내편(230)과 탄성결합편(240)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때 수버클몸체(210)의 일단에는 제1연결구(3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구(320)는 벨트, 허리띠, 신발끈 등을 수버클(200)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연결구(320)는 도 3과 같이 수버클몸체(210)의 일단 일측과 타측에 각각 동일선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연결공(321)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안내편(230)은 수버클몸체(210)의 타단 일측에 형성되어 수버클(200)과 암버클(300)이 결합될 때 탄성결합편(240)과 함께 암버클(3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탄성결합편(240)이 암버클(300)의 내측에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결합안내편(230)은 외측면에 제1안내면(231)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안내면(231)은 수버클몸체(210)의 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결합편(240)은 수버클몸체(210)의 타단 타측에 형성되어 수버클(200)과 암버클(300)이 결합될 때 결합안내편(230)과 함께 암버클(3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암버클(300)에 걸림 고정되어 수버클(200)이 암버클(300)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탄성결합편(240)은 결합안내편(230)과는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결합안내편(230) 측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결합편(240)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24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걸림돌기(241)의 외측면에는 제2안내면(242)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안내면(242)은 제1안내면(231)과 대응되게 수버클몸체(210)의 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암버클(300)은 도 4와 같이 암버클몸체(310)와 수용체(330) 및 걸림공(3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암버클몸체(310)는 수용체(33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때 암버클몸체(310)의 일단에는 제2연결구(3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구(320)는 벨트, 허리띠, 신발끈 등을 수버클(200)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연결구(320)는 도 4와 같이 암버클몸체(310)의 일단 일측과 타측에 각각 동일선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2연결공(3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체(330)는 암버클몸체(310)의 타단에 형성되어 수버클(200)과의 결합시 수버클(200)의 결합안내편(230)과 탄성결합편(240)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수용체(330)는 입구가 개구된 수용공간(331)이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공간(331)은 결합안내편(230)과 탄성결합편(240)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안내편(230)과 탄성결합편(240)이 이루는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수용체(330)의 내측으로 결합안내편(230)과 탄성결합편(240)이 삽입될 때 제1안내면(231)과 제2안내면(242)이 수용체(330)의 내면 양측과 접촉되는 과정에서 탄성결합편(240)이 결합안내편(230) 측으로 유동하면서 결합안내편(230)과 탄성결합편(240)가 이루는 직경이 작아지는 작용에 의해 수용체(330)의 내측으로 자연스롭게 삽입되게 된다.
상기 걸림공(340)은 수용체(330)의 일측에 절결 형성되어 결합안내편(230)과 탄성결합편(240)이 수용공간(331)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돌기(241)가 걸림 고정되게 하여 수버클(200)이 암버클(300)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는 구성이다.
즉, 걸림공(340)은 수용공간(331)의 내측으로 결합안내편(230)과 탄성결합편(240)이 완전히 삽입되면서 탄성결합편(240)이 결합안내편(230)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귀될 때 걸림돌기(241)가 노출된 형태로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수버클(200)의 걸림돌기(241)를 일정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하면 걸림돌기(241)가 걸림공(340)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결합안내편(230)과 탄성결합편(240)이 함께 수용체(330)에서 이탈됨에 따라 수버클(200)과 암버클(300)이 도 2와 같이 분리되게 된다.
한편, 도 2와 같이 결합안내편(230)의 상면과 하면 양측에는 제1안내홈(233)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제1안내돌기(232)가 각각 형성되고 수용체(330)의 내측 상면과 하면 양측에는 한 쌍의 제2안내홈(333)이 제2안내돌기(332)를 사이에 두고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단, 제1안내돌기(232)는 제2안내홈(333)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제2안내돌기(332)는 제1안내홈(233)과 대응되게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안내돌기(232)와 제2안내돌기(332)는 결합안내편(230)과 탄성결합체(240)가 수용체(330)의 수용공간 내측으로 삽입될 때 제1안내홈(233)과 제2안내홈에 각각 내입된 상태에서 안내를 받아 결합안내편(230)과 탄성결합체(240)가 정해진 위치에 맞게 곧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은 암버클과 수버클이 결합된 상태에서 암버클의 일측에 노출된 수버클의 걸림돌기를 가압하면 수버클이 암버클에서 간편하게 분리됨에 따라 버클의 파지를 쉽지 않은 경우에도 버클의 분리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버클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버클
200: 수버클
210: 수버클몸체
220: 제1연결구
221: 제1연결공
230: 결합안내편
231: 제1안내면
232: 제1안내돌기
233: 제1안내홈
240: 탄성결합편
241: 걸림돌기
242: 제2안내면
300: 암버클
310: 암버클몸체
320: 제2연결구
321: 제2연결공
330: 수용체
331: 수용공간
332: 제2안내돌기
333: 제2안내홈
340: 걸림공

Claims (6)

  1. 암버클과 수버클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수버클은 제1연결구가 일단에 형성된 수버클몸체; 상기 수버클몸체의 타단 일측에 형성되고 외측면에 제1안내면이 형성된 결합안내편; 및 상기 수버클몸체의 타단 타측에 상기 결합안내편과는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결합안내편 측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며 외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외측면에 제2안내면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탄성결합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암버클은 제2연결구가 일단에 형성된 암버클몸체; 상기 암버클몸체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안내편 및 상기 탄성결합편이 동시에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체; 및 상기 수용체의 일측에만 절결 형성되어 상기 결합안내편 및 상기 탄성결합편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탄성결합편의 걸림돌기가 노출된 형태로 걸림되는 걸림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안내면은 상기 탄성결합편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안내면은 상기 제1안내면과 대응되게 상기 결합안내편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안내편의 상면과 하면에는 제1안내홈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제1안내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용체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제1안내돌기와 대응되는 한 쌍의 제2안내홈이 상기 제1안내홈과 대응되는 제2안내돌기를 사이에 두고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수버클몸체의 일단 일측과 타측에 각각 동일선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연결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암버클몸체의 일단 일측과 타측에 각각 동일선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2연결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
KR1020150010143A 2015-01-21 2015-01-21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 KR101639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143A KR101639370B1 (ko) 2015-01-21 2015-01-21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
JP2017502561A JP6267827B2 (ja) 2015-01-21 2015-12-14 分離操作が容易なバックル
PCT/KR2015/013667 WO2016117827A1 (ko) 2015-01-21 2015-12-14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
EP15879081.6A EP3123890A4 (en) 2015-01-21 2015-12-14 Buckle having easy separation operation
CN201580016058.8A CN106132232B (zh) 2015-01-21 2015-12-14 分离操作容易的带扣
US15/258,239 US20160374436A1 (en) 2015-01-21 2016-09-07 Buckle having easy separation op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143A KR101639370B1 (ko) 2015-01-21 2015-01-21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370B1 true KR101639370B1 (ko) 2016-07-13

Family

ID=56417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143A KR101639370B1 (ko) 2015-01-21 2015-01-21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374436A1 (ko)
EP (1) EP3123890A4 (ko)
JP (1) JP6267827B2 (ko)
KR (1) KR101639370B1 (ko)
CN (1) CN106132232B (ko)
WO (1) WO20161178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9366B2 (en) 2017-08-11 2021-09-28 Nathanael Benjamin Interlinking collar components and collar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11304481B1 (en) 2019-02-25 2022-04-19 Nomad Innovations, Llc Buckle
CN211558995U (zh) * 2019-09-18 2020-09-25 石狮市青灿兴五金工艺品有限公司 一种插扣式带头可拆卸的皮带扣及其皮带
US11096454B2 (en) * 2019-09-30 2021-08-24 Qing Can Xing Hardware Crafts Co., Ltd. Double-sided usable belt buckle and belt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0464A (en) * 1977-08-10 1979-04-24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KR19980087244A (ko) * 1997-05-30 1998-12-05 앤셔 죠셉 유지 스트랩을 구비한 측방 해제식 버클
KR200198650Y1 (ko) 1998-08-18 2000-11-01 노정웅 버클
KR20040014269A (ko) * 2002-08-08 2004-02-14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KR20110011759U (ko) * 2010-06-15 2011-12-21 안기원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8274A (en) * 1926-10-07 1929-06-25 Deere & Co Buckle
IT1195788B (it) * 1982-03-19 1988-10-27 Itw Fastex Italia Spa Fibbia con chiusura a scatto avente le due parti accoppiabili identiche
JPS59177312U (ja) * 1983-05-13 1984-11-27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バツクル
FR2571227A1 (fr) * 1984-10-09 1986-04-11 Itw De France Piece d'aboutement
JP2824836B2 (ja) * 1986-12-25 1998-11-18 株式会社 ニフコ プラスチック製の雌雄型バックル
US5203058A (en) * 1992-05-01 1993-04-20 American Cord & Webbing Co., Inc. Twin buckle for fastening straps and the like
US5438737A (en) * 1994-04-14 1995-08-08 National Molding Corporation Snap closure type buckle with quick release
USD390160S (en) * 1996-11-08 1998-02-03 David Milligan Quick release clip
US5974639A (en) * 1998-10-16 1999-11-02 Illinois Tool Works Inc. Non-flex locking buckle
JP2003033209A (ja) * 2001-07-23 2003-02-04 Ykk Corp バックル
KR20100109070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체결버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0464A (en) * 1977-08-10 1979-04-24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KR19980087244A (ko) * 1997-05-30 1998-12-05 앤셔 죠셉 유지 스트랩을 구비한 측방 해제식 버클
KR200198650Y1 (ko) 1998-08-18 2000-11-01 노정웅 버클
KR20040014269A (ko) * 2002-08-08 2004-02-14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KR20110011759U (ko) * 2010-06-15 2011-12-21 안기원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32232B (zh) 2019-02-01
US20160374436A1 (en) 2016-12-29
WO2016117827A1 (ko) 2016-07-28
EP3123890A4 (en) 2017-11-29
CN106132232A (zh) 2016-11-16
EP3123890A1 (en) 2017-02-01
JP2017512618A (ja) 2017-05-25
JP6267827B2 (ja)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370B1 (ko)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
KR101635745B1 (ko) 신발끈 결속장치
EP3165117B1 (en) Buckle
KR101777109B1 (ko) 버클
US20080115334A1 (en) Drawstring toggle
US20090282653A1 (en) Cord lock
US9795192B2 (en) Buckle
KR102177493B1 (ko) 버클
KR200413079Y1 (ko) 스냅단추
KR20130131575A (ko) 버클
US10294968B2 (en) Article retaining device and method of attachment
KR101659936B1 (ko) 사용이 편리한 신발끈 결속장치
KR101573906B1 (ko) 길이 조절이 간편한 가방용 버클
CN105686226B (zh) 一种带扣
KR101072055B1 (ko) 코드 록
US9204692B2 (en) Quick release buckle
TWM508607U (zh) 繩扣及其物件
CN211092051U (zh) 一种磁力扣具及包含该磁力扣具的防弹背心
US20070256282A1 (en) Release buckle
US20230380547A1 (en) Buckle
TWM512646U (zh) 繩索扣
JP4883497B2 (ja) 携行品の着身連結具
KR20180002153U (ko) 허리띠 및 허리띠용 버클
KR950003346Y1 (ko) 버클 조립체
TWM512647U (zh) 繩索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