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899B1 -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899B1
KR100732899B1 KR1020050089833A KR20050089833A KR100732899B1 KR 100732899 B1 KR100732899 B1 KR 100732899B1 KR 1020050089833 A KR1020050089833 A KR 1020050089833A KR 20050089833 A KR20050089833 A KR 20050089833A KR 100732899 B1 KR100732899 B1 KR 100732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quid
adhesive liquid
laminated body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1683A (ko
Inventor
노부요시 야기
요시히로 가메다
히로아키 기타가와
츠요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필름과 다른 필름의 접합 시에, 접착액이 접합면에서 누출되는 것을 고화시키지 않고 방지할 수 있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 그것에 사용하는 제조 장치,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 적층물, 이 필름 적층물을 구비한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필름 (1) 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다른 필름 (2) 이 형성된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필름 (1) 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다른 필름 (2) 을 배치하고, 상기 필름 (1) 과 다른 필름 (2) 의 접합 부분에 접착액을 공급하고, 또한, 필름 (1) 의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흐르려고 하는 접착액에 저항하는 액체를 필름 (1) 의 적어도 일방의 단에서 공급하면서, 상기 필름 (1) 과 다른 필름 (2) 을 압착에 의해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름 적층물, 광학 필름, 보호 필름, 화상 표시 장치

Description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제조 장치{METHOD OF MANUFACTURING FILM LAMINATE, AND MANUFACTURING DEVICE FOR USE THEREI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관한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 는 상기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 은 상기 도 2 의 요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4 는 상기 편광판의 제조 장치에 관한 흡인 (吸引) 노즐에 있어서 흡인구의 개구 부분의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관한 편광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편광자 (필름)
2 보호 필름 (다른 필름)
3 접착제액 (접착액)
4 롤 (접합 수단)
5 공급 노즐 (액체 공급 수단)
6 액체
7 공급구
8 흡인 노즐 (흡인 수단)
9 여분의 길이부
10 흡인구
11 접착제액 공급 노즐 (접착제액 공급 수단)
13 접착제액 (접착액)
21 편광판 (필름 적층물)
22 보호 필름 (다른 필름)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79871호
본 발명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다른 필름이 접착액을 통하여 형성된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 그것에 사용하는 제조 장치,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 적층물,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판, 이 편광판을 구비한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접착제나 점착제와 같은 접착액을 통한 필름의 접합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필름에 접착액을 도포한 후에 접합하는 방법이나, 한 쌍의 필름 사이에 접착액을 공급하고, 1 쌍의 롤 사이 등의 압착 수단을 통과시킴으로써 접합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접합 시에 점도가 낮은 접착액을 사용하는 경우, 필름 단부로부터의 접착액의 넘침이나 유출, 접착액의 블리드 아웃에 의한 필름 및 장치의 오염이 문제가 되었다.
이에 대하여, 상기 특허 문헌 1 에서는, 편광자와 보호 필름 사이에 공급한 접착제액의 공급량이 지나치게 과잉된 경우에, 롤 압력으로 여분의 접착제액이 보호 필름의 좌우 양측에서 유출되어 롤이나 보호 필름을 오염시키는 것이 지적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기 특허 문헌 1 에서는, 보호 필름의 폭 방향의 적어도 일단부에서 폭 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보호 필름의 폭 방향 단부에 공기의 방죽 (堰) 을 형성하고, 이 방죽에 의해 접착제액을 폭 방향 중앙부에 근접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공기의 분사에 의해, 특히 단부의 접착제액이 건조ㆍ고화되기 때문에,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충분히 접착 고정할 수 없는 것에 추가하여, 불균일해지기 쉬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의 방죽에 의해 폭 방향 중앙부에 근접된 여분의 접착제액을, 보호 필름 단부에 형성한 흡인 노즐로써 흡인 제거하는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 이 흡인 노즐 내부에는 급수 노즐이 형성되어 있고, 급수 노즐에서 공급하는 물로써 접착제액의 고화에 의해 흡인구가 폐쇄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급수 노즐이 흡인 노즐 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고, 급수 노즐의 청소나 손질을 할 때에는, 흡인 노즐 내에 청소도구를 넣거나, 또는 급수 노즐을 흡인 노즐 밖으로 끌어낼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작업이 번잡해진다.
또한, 흡인 노즐 내에 급수 노즐을 형성함으로써, 흡인 노즐 내의 흡인 공간을 축소하여 흡인력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급수 노즐에서 나오는 물이 흡인 노즐 내부로 흡인되는 접착제액을 저해하여 원활한 흡인을 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단부에서 공기를 분사할 때에 생기는 문제는,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상기 특허 문헌 1 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 방법에 의해 편면씩 접합하는 경우에도 생기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필름의 접합 시, 예를 들어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접합 시에, 접착액이 접합면에서 누출되는 것을 고화시키지 않고 방지할 수 있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청소나 손질이 용이하고, 접착액이 접합면에서 누출되는 것을 고화시키지 않고 방지할 수 있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 적층물, 단부까지 이용가능한 편광판, 그것을 구비한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원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 그것에 사용하는 제조 장치,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 적층물,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판, 그것을 구비한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해서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하기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다른 필름이 형성된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다른 필름을 배치하고, 상기 필름과 다른 필름의 접합 부분에 접착액을 공급하고, 또한,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흐르려고 하는 접착액에 저항하는 액체를,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에서 공급하면서, 상기 필름과 다른 필름을 압착에 의해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이면,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유출되려고 하는 접착액에 대하여, 이것에 저항하는 유동의 액체를 공급하기 때문에, 필름의 단에서 접착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필름과 다른 필름의 접합에 사용하는 롤 등의 접합 수단이나, 다른 필름 등이 접착액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액의 누출은 액체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 공기가 분사되었을 때와 같이 접착액이 건조하여 고화되는 일도 없다. 이것에 의해, 필름과 다른 필름이 확실히 접착 고정된 필름 적층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필름과 다른 필름을 접합하기 전에,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유출되려고 하는 접착액, 또는 상기 액체에 의해 희석된 접착액을 흡인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접합에 제공하지 않은 여분의 접착액을 흡인 제거하기 때문에, 필름과 다른 필름의 접합에 알맞은 양의 접착액으로 양자를 접합할 수 있다. 그 결과, 면내에서 균일한 필름 적층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접착액의 흡인 제거는 액체로 희석하면서 행해도 되고, 이 경우는 접착액이 고화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흡인 제거가 용이해진다.
상기 다른 필름으로서, 상기 필름보다도 폭이 크고, 폭 방향으로 여분의 길이부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액체의 공급을 여분의 길이부의 형성 범위 내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이면, 액체의 공급을 여분의 길이부의 범위 내에서 행함으로써, 필름과 다른 필름의 접합에 제공하는 접착액이 액체에 의해서 희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다른 필름으로서, 상기 필름보다도 폭이 크고, 폭 방향으로 여분의 길이부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접착액 또는 상기 액체에 의해 희석된 접착액의 흡인 제거를 여분의 길이부의 형성 범위 내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이면, 접합에 제공하지 않은 여분의 접착액을 액체로 희석하면서 여분의 길이부의 형성 범위 내에서 흡인 제거하기 때문에, 필름의 단부에 있어서도 다른 필름과 확실히 접착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액체로서, 상기 접착액을 용해시키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액체가 접착액을 용해시키는 것이면, 접합에 제공하지 않은 접착액은 액체에 의해 희석된다. 그 결과, 여분의 접착액의 제거 시 에 이 접착액이 고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필름으로서 편광자를 사용하고, 또한, 상기 다른 필름으로서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접착성에 불균일이 없고, 면내 균일한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필름 적층물의 제조 장치는,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다른 필름이 형성된 필름 적층물의 제조에 사용하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필름과 이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배치된 다른 필름의 접합 부분에 접착액을 공급하는 접착액 공급 수단, 상기 필름의 중앙부에서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유출되려고 하는 접착액에 저항하는 액체를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에서 공급하는 액체 공급 수단, 및 상기 필름과 다른 필름을 압착에 의해 접합하는 접합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이면, 다른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유출되려고 하는 접착액에 대하여, 이것에 저항하는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수단을 갖기 때문에, 다른 필름의 단에서 접착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접합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필름과 다른 필름의 접합에 사용하는 롤이나, 다른 필름 등이 접착액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액의 누출은 액체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 공기가 분사되었을 때와 같이 접착액이 건조하여 고화되는 일도 없고, 그 결과, 결이 없는 필름 적층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유출되려고 하는 접착액, 또는 상기 액체에 의해 희석된 접착액을 흡인 제거하는 흡인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접합에 제공하지 않은 여분의 접착액을 액체로 희석하면서 흡인 제거하기 때문에, 흡인 수단이 접착액의 고화에 의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상기한 바와 같이, 흡인 수단에 있어서 흡인하는 부분의 주변이나 내부에 접착액을 희석하는 위한 급수 노즐 등을 형성할 필요도 없어지므로, 흡인력의 향상과 효율적인 흡인 제거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흡인 수단은 액체 공급 수단과 독립적인 구성이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청소나 손질 등의 작업성이 우수하다.
상기 다른 필름으로서, 상기 필름보다도 폭이 크고, 폭 방향으로 여분의 길이부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액체 공급 수단의 송출부가 여분의 길이부의 형성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이면, 액체 공급 수단의 송출부를 여분의 길이부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필름과 다른 필름의 접합에 제공하는 접착액이 액체에 의해서 희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다른 필름으로서, 상기 필름보다도 폭이 크고, 폭 방향으로 여분의 길이부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흡인 수단의 흡인부가 여분의 길이부의 형성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이면, 흡인 수단의 흡인부도 여분의 길이부의 형성 범위 내에 위치하 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여분의 접착액을 액체로 희석하면서 제거하여, 그 결과 필름의 단부에 있어서도 다른 필름과 확실히 접착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흡인부에서의 개구 부분은 소정의 방향으로 편평 (偏平) 하게 되어 있어, 이 개구 부분의 편평 방향과 필름의 폭 방향이 대략 평행해지도록 흡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이면, 흡인부를 필름과 다른 필름의 접합 부분에 접근시킬 수 있어, 접착액 및 액체를 효율적으로 흡인할 수 있다.
상기 필름으로서 편광자를 사용하고, 또한, 상기 다른 필름으로서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필름 적층물로서, 접착성에 불균일이 없고 면내 균일한 편광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필름 적층물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다른 필름이 형성된 필름 적층물로서, 상기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다른 필름을 배치하고, 상기 필름과 다른 필름의 접합 부분에 접착액을 공급하고, 또한, 다른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흐르려고 하는 접착액에 저항하는 액체를 다른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에서 공급하면서, 상기 필름과 다른 필름을 압착에 의해 접합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필름 적층물은, 다른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유출되려고 하는 접착액에 대하여, 이것에 저항하는 유동의 액체를 공급하여, 다른 필름의 단에서 접착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얻어진 것이다. 즉, 상기 구성이면, 다른 필름 등이 접착액에 의해 오염되는 일 없이 얻어진 필름 적층물이다. 또한, 접착액의 누출을 공기가 아니라 액체에 의해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필름과 다른 필름이 접합에는 건조하여 고화된 접착액에 의해 이루어진 부분도 없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필름 적층물은, 접착성에 불균일이 없고, 면내가 균일하여 결도 없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보호 필름이 형성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보호 필름을 배치하고,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접합 부분에 접착액을 공급하고, 또한, 보호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흐르려고 하는 접착액에 저항하는 액체를 보호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에서 공급하면서,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가압에 의해 접합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편광판은, 보호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유출되려고 하는 접착액에 대하여, 이것에 저항하는 유동의 액체를 공급하여, 보호 필름의 단에서 접착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얻어진 것이다. 즉, 상기 구성이면, 보호 필름 등이 접착액에 의해 오염되는 일없이 얻어진 편광판이다. 또한, 접착액의 누출을 공기가 아니라 액체에 의해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접합에는 건조하여 고화된 접착액에 의해 이루어진 부분도 없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편광판은, 접착성에 불균일이 없고, 면내가 균일하여 결도 없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광학 필름은,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보호 필름이 형성된 편광판이 적어도 1 장 적층되어 있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보호 필름을 배치하고, 상기 편광 자와 보호 필름의 접합 부분에 접착액을 공급하고, 또한, 보호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흐르려고 하는 접착액에 저항하는 액체를 보호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에서 공급하면서,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가압에 의해 접합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보호 필름이 형성된 편광판, 또는 이 편광판이 적어도 1 장 적층되어 있는 광학 필름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보호 필름을 배치하고,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접합 부분에 접착액을 공급하고, 또한, 보호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흐르려고 하는 접착액에 저항하는 액체를 보호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에서 공급하면서,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가압에 의해 접합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관해서, 도 1∼도 5 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다만, 설명에 불필요한 부분은 생략하고, 또한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 등을 하여 도시한 부분이 있다.
먼저, 본 발명에 관한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편광판을 예로 들어 이하에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상기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위한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요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 는, 상기 편광판의 제조 장치에 관한 흡인 노즐에 있어서 흡인구의 개구 부분의 형 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편광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편광자 (필름; 1) 의 양측에 보호 필름 (다른 필름; 2) 을 각각 배치하고, 편광자 (1) 를 보호 필름 (2) 사이에 끼운 상태로 한다. 그 상태에서 보호 필름 (2) 과 함께 편광자 (1) 를, 상기 도면에서의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반송한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드시 편광자 (1) 및 보호 필름 (2) 이 수직 방향으로 반송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 반송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고, 적절히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 (2) 은, 폭 방향으로 여분의 길이부 (9) 를 갖고, 편광자 (1) 보다도 폭이 큰 구성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편광자 (1) 와 동일한 사이즈의 보호 필름을 사용해도 된다. 편광자 (1) 및 보호 필름 (2) 에 관해서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편광자 (1) 와 보호 필름 (2) 과의 접합 부분에는, 접착제액 공급 노즐 (접착제액 공급 수단; 11) 에 의해 접착액 (3) 이 공급된다. 접착제액 공급 노즐 (11) 은, 편광자 (1) 의 양면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접착액 (3) 의 공급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적하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접착액 (3) 의 공급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당히 필요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접합 부분의 근방으로서, 폭 방향에서의 중앙 부근에서 접착액 (3) 을 적하해도 된다. 또한, 보호 필름 (2) 상의 접합 부분에서 소 정의 거리만큼 격리된 위치에 접착액 (3) 을 적하시켜, 접착액 (3) 을 접합 부분에 따라 넣도록 해도 된다. 다만, 이 경우, 보호 필름 (2) 은, 수평 방향보다도 상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적하 위치는 복수 개소로 해도 된다.
접합 부분에 공급된 접착액 (3) 은, 편광자 (1; 또는 보호 필름 (2)) 의 폭 방향의 전면에 걸쳐 액 고임 (12) 을 형성한다. 이 액 고임 (12) 을 통과한 편광자 (1) 및 보호 필름 (2) 에 접착액 (3) 을 균등하게 도포할 수 있다.
접착액 (3) 의 공급량, 및 공급 속도 등은, 사용하는 접착액 (3) 의 종류나 점도 등에 따라 적절히 최적값으로 설정된다.
접착액 (3) 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종래 공지된 다양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와 붕산, 붕사, 글루탈알데히드, 멜라민 및 옥살산 등의 수용성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들 수 있다. 편광자 (1) 와의 접착성이 가장 양호한 점을 고려하면,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1000∼5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40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비누화도는 90∼100몰%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액 (3) 을 구성하는 용매로는, 일반적으로 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나 산 등의 촉매를 배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접착액 (3) 의 구성 재료로는 점착제를 사용해도 된다. 점착 제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종래 공지된 다양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액의 점도는 1∼1000mPaㆍs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mPaㆍs 의 범위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보호 필름 (2) 의 단부에 접착액이 유출되기 쉬워,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보호 필름 (2) 의 양단측을 향하여 흐르려고 하는 접착액 (3) 에 대하여, 보호 필름 (2) 의 양단측에서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을 향하도록 액체 (6) 를 공급한다. 액체 (6) 의 공급은, 공급 노즐 (액체 공급 수단; 5) 을 사용하여 행한다. 공급 노즐 (5) 은, 보호 필름 (2) 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편광자 (1) 및 보호 필름 (2) 이 수평 방향으로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접합 부분도 거의 수평으로 되어 있어서, 여분의 접착액 (3) 이 좌우 각각의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에 의한다. 다만, 편광자 (1) 및 보호 필름 (2) 이 일방의 측에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는 경우나, 1 쌍의 롤 (4; 후술한다) 이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서 접합 부분도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접착액 (3) 은 일방의 측으로 유동한다. 따라서, 그와 같은 경우에는 공급 노즐을 접착액 (3) 의 하류측에만 배치하면 충분한다. 액체 (6) 의 공급에 의해, 보호 필름 (2) 의 양단측을 향하여 흐르려고 하는 여분의 접착액 (3) 은, 여분의 길이부 (9) 의 범위 내에서 막혀, 접착액 (3) 의 누출이 방지된다.
액체 (6) 의 토출량, 토출압은, 접착액 (3) 의 유동을 막을 수 있는 범위 내에 그치게 할 필요가 있다. 필요 이상으로 액체 (6) 의 토출량이 많으면, 접착액 (3) 이 희석되어 접착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또한, 액체 (6) 의 토출 방향으로는, 폭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접착액 (3) 의 유출을 막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공급 노즐 (5) 은, 그 공급구 (7) 가 보호 필름 (2) 의 좌우 양측단보다 폭 방향 내측, 즉 여분의 길이부 (9) 의 형성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6) 가 보호 필름 (2) 의 좌우 양측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접합 부분에 액체 (6) 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합 부분에서의 접착액 (3) 이 희석되는 것을 막는다. 그 결과, 편광자 (1) 의 양단부에 있어서도 충분한 양의 접착액 (3) 이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편광자 (1) 의 단부에 있어서도 보호 필름 (2) 이 확실하게 접착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액체 (6) 로는, 상기 접착제를 용해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등의 유기 용매나 물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 (1) 와 보호 필름 (2) 의 접합에 기여하지 않는 여분의 접착액 (3) 을 흡인 제거하기 위한 흡인 노즐 (흡인 수단; 8) 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합에 알맞은 양의 접착제액을 불균일 없이, 편광자 (1) 의 좌우 양단에 이르는 전체면에 공급할 수 있고, 그 결과, 면내에서의 접착성에 불균일이 없고 면내 균일한 편광판이 얻어진다. 또한, 흡인 노즐 (8) 은, 보다 상세하게는 여분의 접착액 (3) 그 자체를 흡인하는 것은 아니고, 액체 (6) 에 의해 희석된 상태에 있는 접착액 (3) 을 흡인한다. 접착액 (3) 그 자체를 흡인하면, 원활한 흡인이 저해되는 데다가, 접착액 (3) 이 곧 고화되어 흡인구 (10) 를 막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흡인 노즐 (8) 은, 그 흡인구 (10) 가 여분의 길이부 (9) 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착액 (3) 이 액체 (6) 에 의해 희석된 상태로 흡인을 행하기 때문이다. 또한, 흡인구 (10) 가 편광자 (1) 의 단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면, 단부에서는 접착액 (3) 이 액체 (6) 에 의해 희석되기 때문에, 적어도 단부에서는 보호 필름 (2) 과의 접착이 불충분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흡인 노즐 (8) 은 공급 노즐 (5) 과는 별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나 손질이 용이해진다.
상기 흡인구 (10) 의 개구 부분의 형상으로는, 소정의 방향으로 편평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 부분의 그와 같은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도 4 (a)∼4(j)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원형, 반원형, 직사각형, 코너를 R 형상의 모따기 가공한 직사각형, 편평형상의 마름모형, 편평형상의 구름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개구 부분의 편평 방향은 폭 방향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흡인구 (10) 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흡인구 (10) 를 편광자 (1) 와 보호 필름 (2) 의 접합 부분에 접근시킬 수 있어, 여분의 접착제액 (13) 및 액체 (6) 를 효율적으로 흡인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편광자 (1) 및 보호 필름 (2) 은, 중첩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1 쌍 의 롤 (접합 수단; 4) 사이에 안내된다. 또한, 롤 (4) 사이를 통과한 편광자 (1) 및 보호 필름 (2) 이, 롤 압력에 의해 확실히 접착 고정된다. 여기서, 롤 (4) 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종래 공지된 다양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조하는 편광판의 외관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면정밀도가 높은 롤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 (4) 의 재질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금속 또는 고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접합 수단으로는, 롤 (4) 이외에 평면상의 압착 수단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편광판 (필름 적층물; 21) 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 (1) 의 양면에 보호 필름 (2) 이 각각 적층된 구성이다. 또한, 양단부는 보호 필름 (2) 끼리 여분의 길이부 (9) 로 접착된 구조를 갖는다.
편광자 (1) 는, 친수성 고분자에 팽윤, 염색, 연신, 가교 등의 처리를 적절히 행하여 제조된다. 친수성 고분자로는, 염색 공정에서의 요오드 또는 2 색성 염료의 배향성의 장점으로부터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필름, 이들의 부분 비누화필름, 셀룰로오스계 필름 등의 고분자 필름에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 등 폴리에틸렌계 배향 필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를 연신하는 경우는, 총 연신 배율을 3 배에서 7 배의 범 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 배에서 6 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총 연신 배율이 3 배 미만인 경우는 고편광도의 편광판을 얻는 것이 곤란하고, 7 배를 초과하는 경우는 필름이 파단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친수성 고분자는, 팽윤, 염색, 연신, 가교 등의 모든 공정에서 총 연신 배율을 3 배에서 7 배의 범위까지 서서히 연신해도 되고, 어느 하나의 공정에서만 연신해도 되고, 동일 공정에서 복수회 연신해도 된다.
또한, 편광자 (1) 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5∼80㎛ 정도가 일반적이다.
상기 보호 필름 (2) 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폴리머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ㆍ스티렌 공중합체 (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폴리아미드계 폴리머, 폴리이미드계 폴리머,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ㆍ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염화비닐계 폴리머, 나일론이나 방향족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술피드계 폴리머, 비닐알코올계 폴리머, 염화비닐리덴 계 폴리머, 비닐부티랄계 폴리머, 알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또는 상기 폴리머의 블렌드물 등도 들 수 있다. 기타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또는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43529호 (WO01/37007) 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 예를 들어, (A) 측쇄에 치환 및/또는 비치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B) 측쇄에 치환 및/비치환 페닐 및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이소부틸렌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호 (交互)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ㆍ스티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필름을 들 수 있다. 필름은 수지 조성물의 혼합 압출품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필름은 위상차가 작고, 광탄성 계수가 작기 때문에 편광판의 변형에 의한 불균일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또한 투습도가 작기 때문에 가습 내구성이 우수하다.
보호 필름 (2) 으로는, 위상차가 가급적 작은 것일수록 좋다. 또한, 이러한 관점과 편광 특성 및 내구성 등을 고려하면,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중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가 적합이다. 또한, 미립자의 함유에 의해 그 표면이 미세 요철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보호 필름 (2) 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보호 필름 (2) 의 두께는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박형 편광판의 경우, 두께 40㎛ 정도의 트 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상의 편광판 (두께 80㎛ 의 TAC) 보다도 본 발명에 의한 컬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음을 알고 있다. 총두께 (편광판의 두께) 가 얇고 탄력이 없는 만큼, 편광판의 수분 변동에 의한 컬에 대한 영향을 보다 받기 쉽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보호 필름 (2) 의 투습도는, 400∼1000g/㎡4h 의 범위 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습도가 상기 범위 외이더라도, 비교적 투습도가 높은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판을 사용하였을 때에 본 발명의 컬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다. 투습도는, JIS Z0208 의 투습도 시험 (컵법) 에 준하여, 40℃, 90% 의 상대 습도차로, 면적 1㎡ 의 시료를 24 시간으로 통과하는 수증기의 g 수이다.
또한, 편광자 (1) 의 양면에 형성하는 각 보호 필름 (2) 은, 각각 동일한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형성해도 되고, 다른 폴리머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보호 필름 (2) 을 편광자 (1) 의 일방의 면에만 접합하고, 타방의 면에 접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타방의 면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나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나, 확산 내지 안티글레어를 목적으로 한 처리를 실시하여도 된다.
하드 코트 처리는 평광판 표면의 스크래치 방지 등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적당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의한 경도나 미끄러짐 특성 등이 우수한 경화 피막을 보호 필름 (2) 의 표면에 부가하는 방식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사 방지 처리는 편광판 표면에서의 외광 의 반사 방지를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이며, 종래에 준한 반사 방지막 등의 형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티킹 방지 처리는 인접층과의 밀착 방지를 목적으로 실시된다.
또한, 안티 글레어 처리는 편광판의 표면에서 외광이 반사되어 편광판 투과광의 시인을 저해하는 것의 방지 등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샌드블라스트 방식이나 엠보스 가공 방식에 의한 조면화 방식이나 투명 미립자의 배합 방식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보호 필름 (2) 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 미세 요철 구조의 형성에 함유시키는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0.5∼20㎛ 의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도 갖는 무기계 미립자, 가교 또는 미가교의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미립자 등의 투명 미립자가 사용된다.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미립자의 사용량은,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투명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2∼70 중량부 정도이고, 5∼5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안티글레어층은, 편광판 투과광을 확산하여 시각 등을 확대하기 위한 확산층 (시각 확대 기능 등) 을 겸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 상기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하드 코트층, 확산층이나 안티글레어층 등은, 보호 필름 (2) 자체로 형성할 수 있는 것 이외에, 별도 광학 기능층으로서 보호 필름 (2) 과는 별체의 것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편광판 (21) 은, 용도 등에 따라 광학 기능층을 적층한 광학 필름 (도시 생략) 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광학 기능층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편광판 (21) 에 점착제층을 통하여 광학 기능층을 접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위상차 필름 (1/2 또는 1/4 파장 필름 등을 포함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필름은, 필요에 따라 1 층 또는 2 층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편광판 (21) 에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고, 타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 기능층으로서 시야각 확대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편광자 (1) 에 점착제층을 통하여 적층함으로써, 광시야각의 편광판이 얻어진다.
반사형 편광판은, 편광판 (21) 에 반사층을 형성한 것이며, 시인측 (표시측) 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표시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된다. 반사형 편광판의 형성은, 복굴절층이 적층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의 보호 필름 (2) 에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을 부설하는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매트 처리한 보호 필름 등의 편면에, 알루미늄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박막이나 증착막을 부설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필름 (2) 의 미립자 함유에 의한 표면 미세 요철 구조 상에, 증착 방식이나 도금 방식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금속 반사층을 부설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은, 입사광을 난반사에 의해 확산시켜 비춤이나 난반사를 방지하여, 명암의 불균일를 억제할 수 있는 이점 등을 갖는다. 또한, 미립자 함유의 보호 필름 (2) 은, 입사광 및 그 반사광이 그것을 투과할 때 에 확산되어 명암 불균일을 보다 억제할 수 있는 이점 등도 갖고 있다. 보호 필름 (2) 의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반영시킨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의 형성은, 예를 들어 진공 증착 방식, 이온 플레이팅 방식, 스퍼터링 방식 등의 증착 방식이나 도금 방식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금속을 보호 필름 (2) 의 표면에 직접 부설하는 방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반사형 편광판은, 상기 편광판 (21) 의 보호 필름 (2) 에 직접 형성하는 태양 대신에, 그 보호 필름 (2) 에 준한 적당한 필름에 반사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반사 시트 등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반사층은, 통상, 금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반사면이 보호 필름 (2) 이나 편광판 등으로 피복된 상태의 사용 형태가, 산화에 의한 반사율의 저하를 방지한다. 또한, 초기 반사율을 장시간 지속시켜, 반사층에 대하여 보호 필름 (2) 을 별도 적층하는 것도 회피할 수 있다.
반투과형 편광판은, 상기에 있어서 반사층으로 광을 반사하고, 또한 투과하는 하프 미러 등의 반투과형 반사층으로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반투과형 편광판은, 통상 액정셀의 이면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반투과형 편광판을 구비한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를 밝은 환경 하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인측 (표시면측) 에서 입사하는 외광을 표시광으로서 이용하고, 어두운 환경 하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백라이트 등으로부터의 광을 표시광으로서 사용한다. 따라서, 소비 전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편광판 (21) 에, 또한 위상차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에 관해서 설명한다. 편광판 (21) 에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으로는, 편광판 (21) 에 점착제층을 통하여 적층하거나, 보호 필름 (2) 을 박리한 면에 새로운 접착층을 형성하여 적층하거나, 보호 필름 (2) 을 박리하지 않고, 접착층을 형성하거나 형성하지 않고 밀착하여 적층하는 방법 등이 적절히 사용된다. 직선 편광을 타원 편광 또는 원 편광으로 바꾸거나, 타원 편광 또는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거나, 또는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위상차 필름 등이 사용된다. 특히, 직선 편광을 원 편광으로 바꾸거나,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기도 하는 위상차 필름으로는, 이른바 1/4 파장 필름 (λ/4 판이라고도 함) 이 사용된다. 1/2 파장 필름 (λ/2 판이라고도 함) 은, 통상,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사용된다.
타원 편광판은, 예를 들어 STN (Super Twisted Nematic)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해 생긴 착색 (청 또는 황) 을 보상 (방지) 하여, 상기 착색이 없는 흑백 표시하는 경우 등에 유효하게 사용된다. 또한, 3 차원의 굴절률을 제어한 것은,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생기는 착색도 보상 (방지)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원 편광판은, 예를 들어 화상이 컬러 표시가 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의 색조를 조정하는 경우 등에 유효하게 사용되고, 또한, 반사 방지의 기능도 갖는다. 상기한 위상차 필름의 구체예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이나 그 밖의 폴리올레핀,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아미드와 같은 적당한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연신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복굴절성 필름 이나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을 필름으로 지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은, 예를 들어 각종 파장 필름이나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한 착색이나 시야각 등의 보상을 목적으로 한 것 등의 사용 목적에 따른 적당한 위상차를 갖는 것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여 위상차 등의 광학 특성을 제어한 것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타원 편광판이나 반사형 타원 편광판은, 편광판 (21) 또는 반사형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을 적당한 조합으로 적층한 것이다. 이러한 타원 편광판 등은, (반사형)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이 조합되도록 그들을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순차 별개로 적층함으로써도 형성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미리 타원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으로 한 것은, 품질 안정성이나 적층 작업성 등이 우수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편광판 (21) 과 휘도 향상 필름을 접합한 편광판은, 통상 액정셀의 이면측에 형성되어 사용된다. 휘도 향상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백라이트나 이면측에서의 반사 등에 의해 자연광이 입사하면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 또는 소정 방향의 원 편광을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휘도 향상 필름을 편광판 (21) 에 적층한 편광판은,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켜 소정 편광 상태의 투과광을 얻음과 함께, 상기 소정 편광 상태 이외의 광은 투과하지 않고 반사시킨다. 또한, 이 휘도 향상 필름면에서 반사한 광을 다시 그 뒷측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통하여 반전시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시키고,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소정 편광 상태의 광으로서 투과시켜 휘도 향상 필름 을 투과하는 광의 증량을 도모함과 함께, 편광자 (1) 에 흡수시키기 어려운 편광을 공급하여 액정 화상 표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의 증대를 도모함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휘도 향상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서, 백라이트 등으로 액정셀의 이면측에서 편광자 (1) 를 통해서 광을 입사한 경우에는, 편광자 (1) 의 편광축에 일치하지 않는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은, 거의 편광자 (1) 에 흡수되어, 편광자 (1) 를 투과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사용한 편광자 (1) 의 특성에도 의존하지만, 약 50% 의 광이 편광자 (1) 에 흡수되어, 그 만큼, 액정 화상 표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이 감소하여, 화상이 어두워진다. 휘도 향상 필름은, 편광자 (1) 에 흡수되는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을 편광자 (1) 에 입사시키지 않고 휘도 향상 필름에서 일단 반사시키고, 다시 그 뒷측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통하여 반전시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시키는 것을 반복하고, 이 양자 사이에서 반사, 반전되고 있는 광의 편광 방향이 편광자 (1) 를 통과할 수 있는 편광 방향이 된 편광만을 휘도 향상 필름은 투과시켜 편광자 (1) 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백라이트 등의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에 사용할 수 있어, 표시 화면을 밝게 할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과 상기 반사층 등의 사이에는, 확산판을 형성할 수도 있다. 휘도 향상 필름에 의해서 반사한 편광 상태의 광은 상기 반사층 등으로 진행하지만, 설치된 확산판은 통과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함과 동시에 편광 상태를 해소하여, 비편광 상태가 된다. 즉, 확산판은 편광을 원래의 자연광 상태로 되돌린다. 이 비편광 상태, 즉 자연광 상태의 광이 반사층 등을 향하여, 반사층 등을 통하여 반사하고, 다시 확산판을 통과하여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하는 것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휘도 향상 필름과 상기 반사층 등의 사이에, 편광을 원래의 자연광 상태로 되돌리는 확산판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화면의 밝기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표시 화면의 표시 불균일을 저감시켜, 균일하고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확산판을 형성함으로써, 첫회의 입사광은 반사의 반복 회수가 알맞게 증가하여, 확산판의 확산 기능과 맞물려 균일하고 밝은 표시 화면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휘도 향상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유전체의 다층 박막이나 굴절률 이방성이 상위 (相違) 하는 박막 필름의 다층 적층체와 같이,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은 투과하고 다른 광은 반사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이나 그 배향 액정층을 필름 기재 상에 지지한 것과 같이, 좌선성 또는 우선성 회전으로 원편광된 광 중 어느 일방을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등의 적당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을 투과시키는 타입의 휘도 향상 필름은, 그 투과광을 그대로 편광판 (21) 에 편광축을 가지런히 입사시킴으로써, 편광판 (21) 에 의한 흡수 손실을 억제하면서 효율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한편,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같이 원 편광을 투과하는 타입의 휘도 향상 필름에서는, 그대로 편광자 (1) 에 입사시킬 수도 있다. 또한, 흡수 손실을 억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원 편광을 위상차판을 통하여 직선 편광화하여, 편광판 (21) 에 입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위상차판으로서 1/4 파장판을 사용함으로 써,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가시광 영역 등의 넓은 파장 범위에서 1/4 파장 필름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 필름은, 예를 들어 파장 550nm 의 담색광에 대하여 1/4 파장 필름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층과 다른 위상차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층, 예를 들어 1/2 파장 필름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층을 중첩하는 방식 등에 의해 얻어진다.
또,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관해서도, 반사 파장이 상이하지만 조합하여 2 층 또는 3 층 이상 중첩한 배치 구조로 함으로써, 가시광 영역 등의 넓은 파장 범위에서 원 편광을 반사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넓은 파장 범위의 투과 원 편광이 얻어진다.
또한, 편광판 (21) 은 상기 편광 분리형 편광판과 같이, 편광판 (21) 과 2 층 또는 3 층 이상의 광학 기능층을 적층한 것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형 편광판이나 반투과형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을 조합한 반사형 타원 편광판이나 반투과형 타원 편광판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편광판 (21) 및 그것을 구비한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나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EL)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이 액정 표시 장치는 1 쌍의 투과형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 사이에 액정셀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투과형 편광판과 액정셀은, 종래 공지된 점착제 등에 의해 접착된다. 표시면측의 프론트 편광판과 액정셀의 이면측의 리어 편광판과는, 동종의 것이어도 되고, 이종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작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확산판, 안티글레어층, 반사 방지막, 보호판,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 시트, 광확산판, 백라이트 등의 적당한 부품을 적당한 위치에 1 층 또는 2 층 이상 배치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드로는, TN (Twisted Nematic) 모드, STN 모드, VA (Vertical Aligned) 모드, 또는 OCB (0ptically self-Compensated Birefringence) 모드 등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 (21) 또는 광학 필름은, 유기 EL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표시 장치는, 투명 기판 상에 투명 전극과 유기 발광층과 금속 전극을 순차로 적층하여 발광체 (유기 EL 발광체) 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유기 발광층은, 다양한 유기 박막의 적층체이고, 예를 들어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공 주입층과 안트라센 등의 형광성 유기 고체로 이루어지는 발광층과의 적층체나, 또는 이러한 발광층과 페릴렌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나, 또한 또는 이들 정공 주입층, 발광층, 및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 등, 다양한 조합을 갖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는, 투명 전극과 금속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유기 발광층에 정공과 전자가 주입되고, 이들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에 의해서 생기는 에너지가 형광 물질을 여기하고, 여기된 형광 물질이 기저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광을 방사한다는 원리로 발광한다. 도중의 재결합이라는 메카니즘은, 일반의 다이오드와 동일하며, 이로부터도 예상할 수 있도록, 전류와 발광 강도는 인가 전압 에 대하여 정류성을 동반하는 강한 비선형성을 나타낸다.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유기 발광층에서의 발광을 제거하기 위해서, 적어도 일방의 전극이 투명성을 갖고 있으면 충분한다. 통상은, 산화인듐주석(ITO) 등에 의해 형성한 투명 전극을 양극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전자 주입을 쉽게 하여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음극에 일함수가 작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통상 Mg-Ag, Al-Li 등의 금속 전극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 유기 발광층은, 두께 10nm 정도로 매우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기 발광층도 투명 전극과 같이 광을 거의 완전히 투과한다. 그 결과, 비발광 시에 투명 기판의 표면에서 입사하여, 투명 전극과 유기 발광층을 투과하여 금속 전극에서 반사한 광이, 다시 투명 기판의 표면측으로 나가기 때문에, 외부에서 시인하였을 때, 유기 EL 표시 장치의 표시면이 경면과 같이 보인다.
전압의 인가에 의해서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의 표면측에 투명 전극을 구비함 과 함께, 유기 발광층의 이면측에 금속 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발광체를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 투명 전극의 표면측에 편광판 (21) 을 형성함과 함께, 이들 투명 전극과 편광판 (21) 사이에 위상차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 및 편광판 (21) 은, 외부에서 입사하여 금속 전극에서 반사해 온 광을 편광하는 작용을 갖기 때문에, 그 편광 작용에 의해서 금속 전극의 경면을 외부에서 시인시키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위상차 필름을 1/4 파장 필 름으로 구성하고, 또한 편광판 (21) 과 위상차 필름의 편광 방향이 이루는 각을 π/4 로 조정하면, 금속 전극의 경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즉, 이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입사하는 외부광은, 편광판 (21) 에 의해 직선 편광 성분만이 투과한다. 이 직선 편광은 위상차 필름에 의해 일반적으로 타원 편광이 된다. 특히, 위상차 필름이 1/4 파장 필름이고 게다가 편광판 (21) 과 위상차 필름의 편광 방향이 이루는 각이 π/4 일 때에는 원 편광이 된다.
이 원 편광은, 투명 기판, 투명 전극, 유기 박막을 투과하고, 금속 전극에서 반사하고, 다시 유기 박막, 투명 전극, 투명 기판을 투과하여, 위상차 필름으로 다시 직선 편광이 된다. 그리고, 이 직선 편광은, 편광판 (21) 의 편광 방향과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편광판 (21) 을 투과할 수 없다. 그 결과, 금속 전극의 경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그 밖의 사항)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당해 실시 태양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 에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 노즐 (5) 및 흡인 노즐 (8) 을 좌우 각각 1 개씩 배치한 태양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공급 노즐 (5) 및 흡인 노즐 (8) 의 개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호 필름 (2) 의 좌우 양측에 2 개 또는 그 이상의 복수개씩 배치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한 수단에 의해, 이하에 서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관한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누출되려고 하는 접착액을 액체에 의해 방지하기 때문에, 접착액이 건조 고화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접착성에 불균일이 없는 면내가 균일한 필름 적층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필름 적층물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접착액의 누출을 액체에 의해 방지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필름과 다른 필름의 접합에 사용하는 롤이나, 다른 필름 등이 접착액에 의해 오염되는 일이 없다. 또한 흡인 수단은, 접합에 제공하지 않은 여분의 접착액을 액체로 희석하면서 흡인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흡인 수단이 접착액의 고화에 의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흡인 수단은, 액체 공급 수단과 독립된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청소나 손질 등의 작업성이 우수하다. 게다가, 흡인 수단에 있어서, 그 흡인하는 부분의 주변이나 내부에 접착액을 희석하기 위한 급수 노즐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흡인력의 향상과 효율적인 흡인 제거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필름 적층물에 의하면, 접착액의 누출을 액체에 의해 방지하면서, 필름의 단부에 있어서도 적절한 양의 접착액이 공급되도록 하여 다른 필름과 접합된 것이기 때문에, 접착성에 불균일이 없고, 면내 균일하며 결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에 의하면, 접착액의 누출을 액체에 의해 방지하면서, 편광자의 단부에 있어서도 적절한 양의 접착액이 공급되도록 하여 보호 필름과 접합된 것이기 때문에, 접착성에 불균일이 없고, 면내가 균일하며 결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광학 필름에 의하면, 면내가 균일하며 결이 없는 편광판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광학 특성이 우수한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면내가 균일하며 결이 없고 광학 특성이 우수한 편광판, 또는 광학 특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특성이 우수한 것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다른 필름이 형성된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상기 다른 필름을 배치하고,
    상기 필름과 상기 다른 필름의 접합 부분에 접착액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흐르려고 하는 접착액에 저항하는 액체를 상기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에서 공급하면서,
    상기 필름과 상기 다른 필름을 압착에 의해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과 상기 다른 필름을 접합하기 전에,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유출되려고 하는 접착액, 또는 상기 액체에 의해 희석된 접착액을 흡인 (吸引)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필름으로서, 상기 필름보다도 폭이 크고, 폭 방향으로 여분의 길이부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액체의 공급을 여분의 길이부의 형성 범위 내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필름으로서, 상기 필름보다도 폭이 크고, 폭 방향으로 여분의 길이부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접착액 또는 상기 액체에 의해 희석된 접착액의 흡인 제거를 여분의 길이부의 형성 범위 내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로서, 상기 접착액을 용해시키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으로서 편광자를 사용하고, 또한, 상기 다른 필름으로서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
  7.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다른 필름이 형성된 필름 적층물의 제조에 사용하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필름과 상기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배치된 상기 다른 필름의 접합 부분에, 접착액을 공급하는 접착액 공급 수단,
    상기 필름의 중앙부에서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유출되려고 하는 접착액에 저항하는 액체를 상기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에서 공급하는 액체 공급 수단, 및
    상기 필름과 상기 다른 필름을 압착에 의해 접합하는 접합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유출되려고 하는 접착액, 또는 상기 액체에 의해 희석된 접착액을 흡인 제거하는 흡인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필름으로서, 상기 필름보다도 폭이 크고, 폭 방향으로 여분의 길이부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액체 공급 수단의 송출부가 여분의 길이부의 형성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필름으로서, 상기 필름보다도 폭이 크고, 폭 방향으로 여분의 길이부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흡인 수단의 흡인부가 여분의 길이부의 형성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부에서의 개구 부분은 소정의 방향으로 편평 (偏平) 하게 되어 있고,
    상기 개구 부분의 편평 방향과 필름의 폭 방향이 대략 평행해지도록 흡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으로서 편광자를 사용하고, 또한, 상기 다른 필름으로서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적층물의 제조 장치.
  13.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다른 필름이 형성된 필름 적층물로서,
    상기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상기 다른 필름을 배치하고, 상기 필름과 상기 다른 필름의 접합 부분에 접착액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다른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을 향하여 흐르려고 하는 접착액에 저항하는 액체를 상기 다른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단에서 공급하면서, 상기 필름과 다른 필름을 압착에 의해 접합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적층물.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50089833A 2004-09-27 2005-09-27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제조 장치 KR100732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79883 2004-09-27
JP2004279883A JP4335773B2 (ja) 2004-09-27 2004-09-27 フィルム積層物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683A KR20060051683A (ko) 2006-05-19
KR100732899B1 true KR100732899B1 (ko) 2007-06-27

Family

ID=3623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833A KR100732899B1 (ko) 2004-09-27 2005-09-27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35773B2 (ko)
KR (1) KR100732899B1 (ko)
CN (1) CN100494257C (ko)
TW (1) TWI3115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32124B (zh) * 2006-05-09 2012-06-13 日东电工株式会社 组合型光学薄膜的制造方法、及其装置、组合型光学薄膜及图像显示装置
JP4853877B2 (ja) 2007-11-19 2012-01-11 日東電工株式会社 連結シート製品の製造方法、連結シート製品および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
WO2009066604A1 (ja) * 2007-11-19 2009-05-28 Nitto Denko Corporation 連結シート製品の製造方法、連結シート製品および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
WO2009120547A2 (en) * 2008-03-25 2009-10-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int film composit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2268486A2 (en) 2008-03-25 2011-01-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IT1392435B1 (it) * 2008-12-23 2012-03-09 Luxottica Srl Pellicola multistrato raffigurante un'immagine bidimensionale colorata visibile solo attraverso un filtro polarizzatore e procedimento per realizzarla.
JP2010228353A (ja) * 2009-03-27 2010-10-14 Fujifilm Corp 保護シート付き樹脂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CN103842860B (zh) * 2011-09-26 2016-11-0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板的制造方法
JP6120779B2 (ja) * 2012-02-01 2017-04-2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839651B1 (ko) * 2012-02-03 2018-04-2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성 적층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6045161B2 (ja) * 2012-03-07 2016-12-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614211B1 (ko) * 2013-09-30 2016-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면형 박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WO2016167059A1 (ja) * 2015-04-17 2016-10-2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47753B2 (ja) * 2015-04-17 2020-02-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96350B2 (ja) * 2015-07-07 2017-03-1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WO2017026078A1 (ja) * 2015-08-10 2017-02-1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6679268B2 (ja) * 2015-10-22 2020-04-15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148775B1 (ja) * 2016-02-25 2017-06-14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175527B1 (ja) * 2016-02-25 2017-08-02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442435B2 (ja) * 2016-05-26 2018-12-1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EP3264147B1 (en) 2016-06-30 2024-05-08 LG Display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a polarizer
JP2017151421A (ja) * 2017-02-10 2017-08-31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935229B2 (ja) * 2017-05-16 2021-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円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円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782676B2 (ja) * 2017-10-03 2020-11-1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9133049A (ja) 2018-02-01 2019-08-08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付光学積層体
JP7273472B2 (ja) * 2018-08-27 2023-05-15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
CN110377185B (zh) * 2019-08-08 2022-09-20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曲面盖板和显示面板的贴合方法、显示屏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632A (ko) * 2001-06-07 2002-12-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광학 필름,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사용한 액정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632A (ko) * 2001-06-07 2002-12-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광학 필름,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사용한 액정 표시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9363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94257C (zh) 2009-06-03
TW200610777A (en) 2006-04-01
JP4335773B2 (ja) 2009-09-30
TWI311574B (en) 2009-07-01
CN1754902A (zh) 2006-04-05
KR20060051683A (ko) 2006-05-19
JP2006088651A (ja)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899B1 (ko) 필름 적층물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제조 장치
KR100807606B1 (ko)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액정 패널, 액정 표시 장치,화상 표시 장치 및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0899971B1 (ko) 조합형 광학 필름, 적층 조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장치
KR100711045B1 (ko) 적층체의 절단 방법
KR101008869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1102291B1 (ko) 광학 표시 장치의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TWI383182B (zh)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ing plate, a polarizing plate, an optical film,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40099422A (ko) 광확산성 시트, 광학소자 및 화상표시장치
TWI295622B (en)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and manufacturing installation thereof
KR20070097518A (ko) 편광판,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표시 장치
KR20060121945A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그것에 의해 얻어진 편광 필름 및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0882169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080045607A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861157B1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표시 장치
JP4137550B2 (ja) 偏光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湿式延伸装置
JP2004177781A (ja) 楕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015277A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651054B2 (ja) 偏光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湿式延伸装置
JP2011039525A (ja) 光学表示装置の製造システ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183247B2 (ja) 塗布方法および塗布膜
JP5064075B2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050051556A (ko) 적층시트의 절삭가공 방법, 적층시트, 광학소자 및화상표시장치
JP2004177785A (ja) 粘着型楕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50078987A (ko) 광시야각 편광판의 제조방법
JP2004167673A (ja) 積層シートの切削加工方法及び積層シート及び光学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