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780B1 - 범퍼 바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범퍼 바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780B1
KR100732780B1 KR1020027007486A KR20027007486A KR100732780B1 KR 100732780 B1 KR100732780 B1 KR 100732780B1 KR 1020027007486 A KR1020027007486 A KR 1020027007486A KR 20027007486 A KR20027007486 A KR 20027007486A KR 100732780 B1 KR100732780 B1 KR 100732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umper
along
flang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209A (ko
Inventor
순트그렌안데르스
린트베르그마츠
베르그룬트괴란
Original Assignee
아크라 테크닉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라 테크닉 아베 filed Critical 아크라 테크닉 아베
Publication of KR20020069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1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91Tube making or refo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16Structural member making
    • Y10T29/49622Vehicular structural member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16Structural member making
    • Y10T29/49623Static structure, e.g., a building component
    • Y10T29/49625Openwork, e.g., a truss, joist, frame, lattice-type or box beam
    • Y10T29/49627Fram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16Structural member making
    • Y10T29/49623Static structure, e.g., a building component
    • Y10T29/49634Beam or gir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85Tube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99Work on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완성차 및 그의 제조에 대한 많은 요구 및 요망사항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자동차산업에 현존하는 엄격한 기술적 및 경제적 허용치내에서 사고시에 안전한 자동차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사고시에 안전한 차량을 제조하기 위한 비용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한쪽 방향으로 연장되며, 2개의 끝단 및 폐쇄된 단면을 가지며, 한개의 앞쪽 플랜지(1)와, 한개의 뒷쪽 플랜지(2)와, 한개의 상부측부(3) 및 한개의 바닥측부 (4)를 적어도 포함하는 범퍼 바에 관한 것이다. 이 범퍼바는 바를 따라서 놓이는 뒷쪽 플랜지(2)의 적어도 한 부분이, 마찬가지로 바를 따라 놓이는 앞쪽 플랜지(1)의 적어도 한 부분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눌려들어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따른 범퍼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범퍼 바 및 그의 제조방법{BUMPER B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 바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완성차용의 많은 요구 및 요망이 있어왔다. 이들 중에는, 차량이 충격시에 승객 및 화물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도 포함한다. 이들은 차량상의 다양한 부품이 충격시에 에너지를 흡수하고, 에너지를 분배하며, 에너지를 전도하도록 설계 및 제조가 되는 것으로 달성된다.
만약 충돌물체로부터 차량으로의 에너지의 전달이 제한되어 있다면, 예를 들어 차량이 저속으로 충돌물체로 진행하면, 그 부품들이 힘들을 흡수 및 분배하여야만 하며, 그에 따라서 가능한한 적은 형상의 변화가 차량 및 부품에 일어나게 된다. 형상변화는 일시적인, 소위 "탄성변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충돌물체로부터 차량으로의 에너지의 전달이 크다면, 예를 들어 차량이 고속으로 충돌물체로 진행하면, 에너지를 흡수하는 부품들은 힘들을 흡수 및 분배하여, 에너지가 가능한한 제어가능한 방식으로 되도록 사용되며, 예를 들어 차량의 특정한 부품이 미리 파괴될 목적으로 특정되고 구성되며, 충돌후에 용이하게 대체될 수 있는 그러한 부품들을 파괴하도록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는 통상 "소성변형" 이라 한다.
다수개의 상이한 구성부품들은 통상 상이한 충돌시에 필요한 모든 기능들을 제공하고, 에너지를 다룰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부품 및 부위들은 구성물질, 제조시의 취급 및 완성차에 있어서 대형으로 되고, 모양이 사나우며, 비싸기 조차하다.
더우기, 차량들은 요구되는 운전성능, 외부 및 내부의 칫수 및 공간을 제공하는 디자인을 가져야만 한다. 차량은 소비자의 욕구 및 기대에 부응하는 외관을 가져야만 한다. 종종 사고시의 안전과 차량의 설계사이에는 갈등이 있게 된다. 소형이고, 빠르며 종종 형상에 있어서 최소한인 차량들이 다수개의 잘 꾸며진 안전공간과 함께 대형인 차량보다 구매자들의 주의를 끌고 있다.
또한, 차량의 제조시에 만족시켜야만 하는 요구 및 요망사항들이 다수 있다. 이들은 실제의 제조시 및 제조 후에, 환경, 제조 기술 및, 경제적인 관점과도 관련된다.
사고시의 안전에 대한 증가하는 요구는 범퍼 바의 기본구조에 변형을 가져왔다. 최근에는 범퍼 바가 폐쇄된 단면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바의 설계는 범퍼의 충돌력과 비틀림 부하, 분배에 있어서 최적인 방식을 지향한다. 그러나, 폐쇄된 단면은 바를 대형으로 하며, 이는 많은 공간을 요구함을 의미하며, 차체내의 가용면적내에 탑재하는 것이 가끔 어려웠다.
EP 0 449 599, A1 은, 로울(roll) 형상의 범퍼 및 그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이 범퍼는 폐쇄된 단면을 가진다. 또한, 이 범퍼는 그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는 평평한 구조로 끝단부분에 압착 및 변형된다. 이 러한 변형은, 도 13 내지 1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범퍼의 외부 칫수를 한쪽 방향으로 감소시키며, 다른 방향으로는 증가시킨다. 이는, 자연스럽게, 만약 가용공간이 하나이상의 방향으로 한정되어 있다면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변형은 충돌시뿐만이 아니라, 제어하기 어려운 재료에 있어서의 텐션을 증가시킨다.
US 005603541, A 는, 개방된 단면을 가지는 범퍼 바를 개시하는데, 이 바는 그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그 바의 끝단들에는 내부로 구부러질 수 있는 부품들이 마련된다. 이들 부품들이 차량의 전방향에서 그 바 구성내에서 구부러지거나 접혀질 때에는, 바의 끝단이 임의의 외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많은 정비 및 제조공장들은 장착할 준비가 되고 값비싼 바를 구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 바의 충돌부위들도 나쁜 영향을 받게 되는데, 왜냐하면 이는 재료의 제거 및 재료 그 자체의 다양한 처리공정의 문제로 되며, 이는 재료의 텐션 및 변형이 쉽게 된다.
공지의 범퍼 바의 구조는 현존하는 요구 및 요망에 대한 완전한 해답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산업내에 존재하는 엄격한 기술적이며 경제적인 수율과 함께 사고시에 안전한 자동차를 제조할 수 있는 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장 저렴하게 사고시에 안전한 자동차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특정된 특성을 가지는 범퍼 바 및, 특허청구의 범위 제 8 항에 특정된 특성을 가지는 범퍼 바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타의 특징 및 장점도 기술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바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서의 Ⅱ-Ⅱ 선에 따른 바의 단면도, 도 3 은 도 1 에서의 Ⅲ-Ⅲ 선에 따른 하나의 바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 에서 나타낸 범퍼바는 차량의 앞끝단에 수평으로, 또한 차량의 측면 바의 앞끝단에 장착된다. 측면 바에 범퍼를 장착하는 것은 자유롭게 선택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이 범퍼가 차량상에 탑재되었을 때에는, 그의 용도는 차량과 다른 물체사이의 충돌시에 흡수된 에너지를 분배 및 방출하는 것이다. 이 바는 충돌시에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또는 전방으로부터 경사지게 차량상에 작용하는 힘들을 주로 다루게 된다. 이하의 내용에 있어서, 자량의 전방끝단이 방향표시기준을 제공한다 . "전방"이라는 단어는 차량의 통상 주행방향을 나타내며, "후방"이라 함은 반대방향을 나타낸다.
이 바는 예를 들면 강판과 같은 판형 금속으로 형성된다. 보론강이 양호한 결과를 제공하며, 경제적으로도 장점을 가진다. 이 바는 한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단면이 폐쇄된 튜브와 같이 형성된다 (도 1 참조). 이 바는 앞쪽 플랜지 (1)와, 뒷쪽 플랜지(2), 상부측부(3) 및 바닥측부(4)(도 2 참조)을 포함한다. 이들 플랜지들과 상부 및 바닥부들은 하나의 동일한 재료의 부분들로 포함되어 구성되며바의 주된 제한표면을 형성한다. 앞쪽 플랜지(2)는 이 바가 탑재되었을 때 차량의 전방을 가리키게 되며, 차량과 충돌물체 사이의 제 1 접촉영역을 구성하게 된다. 뒷쪽 플랜지(2)는 이 바를 차량의 측면 바의 앞쪽 끝단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플랜지(1) 및 (2)와 상부측부 및 바닥측부(3) 및 (4)들은 밴드(5), 홈(6) 및 (7)이 마련되거나, 또는 바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길이방향 및/또는 횡단방향으로, 유사한 재료의 성형품들이 마련되어, 바의 에너지 흡수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바는 그의 중앙부에서는 분할되지 않은 개방된 내부를 가지며, 따라서 최대용적을 가지고, 바의 주된 축 주위에서 분포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참조). 바 의 중앙부는 충돌시에 가능한 가장 양호한 에너지 흡수를 위하여 큰 용적 및 큰 재료량을 가진다.
이 바의 형상은 차량으로의 바의 탑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끝단부분에서 바뀐다 (도 1 및 도 3 참조). 형상의 변화는 제어된 방식으로, 예를 들면 성형공정에서 일어난다. 뒷쪽 플랜지(2)의 길이부(2.1)는 앞쪽 플랜지(1)의 길이부(1.1)를 향하여 눌러진다. 길이부(1.1) 및 (2.1)는 2개의 플랜지(1) 및 (2)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각각 구성한다. 또한, 각 플랜지상의 2개 이상의 길이부에 근거한 형상의 변화도 가능하다. 상부측부(3)와 바닥측부(4) 및 뒷쪽 플랜지(2) 사이의 경계영역을 포함하는 뒷쪽 플랜지(2)의 대부분은, 바의 안쪽으로 프레스된다. 이러한 상호간의 프레스를 통하여, 이 바는 양 끝단에서 길이 X 에 걸쳐서 개방된 내부를 가지는 2개의 튜브형상 부(8)를 얻게 된다. 상부측부(3) 및 바닥측부(4) 와 뒷쪽 플랜지(2) 사이의 경계영역내의 바에는 프레스를 용이하게 하고 가이드를 제공하는 길이방향 밴드(5)가 마련된다. 뒷쪽 플랜지(2)는 프레싱시에 접힘이 가능한 벨로우즈로서 기능하는 길이방향 홈(6)들을 가진다. 홈(6)내의 판금재료는 프레싱시에 늘어나고 재료내의 내부 텐션의 발생을 감소하는데 기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크랙의 형성 및 약화가 감소된다.
뒷쪽 플랜지(2)는 길이부(2.1)의 내부면이 앞쪽 플랜지(1)의 길이부(1.1)의 내부면과 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눌려진다 (도 3 참조). 2 개의 플랜지(1) 및 (2)는 길이 X 에 걸쳐서 상호간에 용접된다. 앞쪽 플랜지(1)는 상호간의 프레싱에 의하여 그의 형상이 변형되지는 않으며, 바의 전체길이를 통하여 동일한 외관을 가지게 된다. 앞쪽 플랜지(1)는 그의 길이방향 중앙부(1.1)에 길이방향의 도랑형상의 오목부(9)를 가진다. 또한 뒷쪽 플랜지도 그의 길이방향 중앙부(2.1)에 길이방향의 도랑형상의 오목부(9)를 가진다. 이들 2개의 오목부(9) 및 (10)들은 바의 중앙의 속이 빈 부분으로 안쪽으로 향하며, 양자는 각각 바닥부(9.1) 및 (10.1)를 가진다. 앞쪽 플랜지의 오목부(9)의 바닥부(9.1)는, 바의 끝단에서 뒷쪽 플랜지의 홈(10)의 바닥부(10.1)와 접촉하게 된다. 용접부위는 기본적으로는 길이 X 만큼 길며, 이 바는 길이 X 를 따라서 2개의 튜브형 형상(8)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호간의 프레싱 및 용접은 이 바가 이 영역에서 그의 중앙부에서와는 상이한 에너지-흡수 특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용접된 부위의 영역은 충돌시에 명확한 회전가이드를 구성한다. 이 바는 이러한 독특한 구역에서 보다 용이하게 파단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많은 양의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바는 중앙부에서 최대용적을 가지며, 끝단부에서는 최소용적을 가지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이 구역에서 플랜지들은 상호간에 용접접합에 의하여 일체로 된다. 바의 용적은 용접부위가 끝나는 점으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바의 중앙부에서 최대용적으로 된다.
이 바는 약간 굽어져 있다 (도 1 참조). 바의 끝단들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후방을 가리키며, 이러한 방식으로 바는 용이하게 차량의 전방의 둥글게 형성된 앞쪽 형상을 따르게 된다. 바의 상부 및 바닥부는 바의 구부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횡방향의 홈(7)을 가진다. 이들 홈(7)은 벨로우즈로서 기능하며, 바의 구부림시에 늘어난다. 이들 홈(7)들은 구부림 가이드로서도 기능한다. 홈(7)내에서의 잉여의 판금재는 구부림시에 늘어나고 이는 재료내의 내부텐션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크랙의 형성및 약화가 최소화된다. 앞쪽 플랜지(1)에 대하여 뒷쪽 플랜지(2)를 함께 프레싱함으로서 바의 끝단의 구부림이 용이해지는데, 이는 바의 폭 B 이 감소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구부림에 대한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 바는 일정한 높이 H 를 가지며, 전체 길이를 따라서 가변되는 폭 B 을 가진다 (도1 참조). 바는 중앙부에서 최대 폭을 가지며, 끝단부에서 최소폭을 가진다. 물론, 그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유사한 방식으로 밴드와 홈의 구성을 가지도록 바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싱후의 바의 외부칫수는 바의 초기상태와 항상 같거나 더 작아진다. 이 바는 그의 어느 부분에서도 더 길거나, 더 높아지지 않는다. 또한 바는 약화를 초래할 수 있는 재료의 감소에도 노출되어 있지 않다.
이 바는 이 형식의 바에 부과되는 내구성에 대한 요구와, 외관, 적용성, 및 비용절감에 관한 현존하는 요구를 만족할 수 있다. 범퍼바는 자동차산업에 존재하는 엄격한 기술적 및 경제적 요구내에서 사고시에도 안전한 자동차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범퍼 바를 제조하는 방법은 평평한 판금재를 롤(roll)성형 장치내로 공급 함으로써 시작된다. 판금재는 롤성형 장치내에서 폐쇄된 단면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연장된 부재로 성형된다. 폐쇄된 단면은 롤성형후에 만나고 접촉하는 판금재의 모서리들을 상호간에 스포트 용접, 심(seam) 용접 또는 유사한 방법에 의하여 상호 용접함으로써 얻어진다. 롤성형장치는 바의 성형을 가능하게 하고, 최종적인 텐션 강도 및 기타 충돌시에 힘을 떠맡는 바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판금재내의 밴드(5), 길이방향 홈(6) 및 횡방향 홈(7)을 성형할 수 있다. 롤성형이 시작하기 전에, 판금재는 적절한 길이로 재단될 수 있고, 이는 범퍼 바의 최종길이를 원하는대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판금재는 롤성형 공정후에도 재단될 수 있다.
이 후에, 바는 오븐내에 놓여지고 재료에 대한 적절한 오스테나이트 처리 온도로 가열된다. 보론강에 대한 적절한 온도는 900℃ 근방이다. 일단 바가 적절한 온도에 도달하면, 성형 및 담금질장치내에 놓인다.
뒷쪽 플랜지의 길이방향 중앙부(2.1)는 성형장치내에서 앞쪽 플랜지의 길이방향 중앙부(1.1)을 향하여 눌리어지고, 그에 의하여, 범퍼바의 폭 B, 소위 구축높이가 감소된다. 이러한 내부방향으로의 프레싱은 범퍼 바의 끝단부에서 발생하며, 고정되는 바의 이 영역으로부터 도1 에 나타낸 길이 X 를 따라서 바깥쪽으로 차량의 측면바까지 이루어진다. 롤성형동안에, 바는 밴드(5)를 수납하고, 이 밴드는 상호간의 프레싱을 용이하게 하도록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뒷쪽 플랜지(2)에는 뒷쪽 플랜지의 프레싱동안에 벨로우즈로서 늘어나고 성형을 용이하게 하는 길이방향의 홈(6)이 마련된다. 재료의 늘어남 및 그로부터의 텐션에 대한 위험부담은 최소화된다. 바의 가장 먼 부분의 끝단에서 바의 단면의 중앙부에서 상호 프레싱이 완 성되는 것이 유리하며, 따라서 2개의 플랜지(1) 및 (2)는 상호접촉하게 된다. 상호간의 프레싱의 후에 길이 X 를 따라서 플랜지의 내부면들이 상호간에 만나는 곳에서 범퍼 바의 플랜지(1)및 (2)가 용접되는 것이 유리하다. 용접부위는 충돌력을 감당하는, 충돌시의 회전 및 파단가이드를 구성한다.
상호간의 프레싱에 부가하여, 범퍼바는 구부림에 의한 수평방향의 길이를 따라서 성형된다. 바는 롤성형장치의 외부로 나올때는 완전히 직선이다. 공기의 저항을 감소하고 충돌력 흡수를 위한 차량의 특성을 개선하며,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차량의 전방은 차량의 측면을 향하여 뒤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범퍼바는 가용공간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동등한 곡선을 가져야 한다. 바의 끝단은 상호간에 프레싱을 수행하도록 동일한 성형장치에 의하여 뒤쪽으로 구부러진다. 롤 성형시에, 바는 상부측부(3)및 바닥측부(4)상에 횡방향의 홈(7)들을 구비하게 되며, 이는 구부러짐을 용이하게 한다. 홈(7)들은 벨로우즈로서 늘어나며 따라서 재료의 연장 및 그로부터 일어나는 텐션이 최소화된다. 앞쪽 플랜지(1)에 대한 뒷쪽 플랜지(2)의 상호 프레싱은 바의 구부림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바의 폭 B, 즉, 탄성강도가 바의 뒤쪽 부분에서 감소하기 때문이다.
성형후에, 범퍼바는 담금질되고, 성형기계내에 위치된 채로 있게 된다. 이 방법은 범퍼가 한개의 부품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롤성형 장치및 상세부분을 성형하고 동시에 담금질시에 바에 안정성을 부여하는 또 하나의 다른 성형장치만을 필요로 할 뿐이다. 사고시에 안전한 자동차의 제조가 비용효율적이면서 높은 품질로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바의 특정부분의 상세한 디자인 및 기타의 해결방법이 가능하다. 홈과 밴드의 수효, 외관 및 구성등은 바의 충돌특성을 제어하고 가변시키기 위하여 변화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내용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한 안내내용으로서만 의도된 것이다.

Claims (10)

  1. 한쪽 방향으로 연장되며, 2개의 끝단 및 폐쇄된 단면을 가지는 바를 구비하고, 상기 바는 차량의 통상적인 운행방향으로 전방을 향하는 한 개의 앞쪽 플랜지(1)와, 차량을 마주 대하는 한개의 뒷쪽 플랜지(2)와, 한개의 상부측부(3) 및 한개의 바닥측부(4)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바를 따라서 놓이는 뒷쪽 플랜지(2)의 적어도 한 부분(2.1)이, 앞쪽 플랜지(1)의 적어도 한 부분(1.1)에 대하여 눌려지고, 상기 상호간의 눌림(pressing)은 바의 끝단으로부터 일정하게 한정된 길이(X)를 따라 상기 바의 중심을 향하여 행해짐으로써, 상기 바가 그 중앙부에서 최대용적을 가지고 상기 일정하게 한정된 길이(X)를 따라 상기 바의 끝단부에서 최소용적을 가지도록 상기 부분(1.1 및 2.1)의 내부면들이 상호간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앞쪽 및 뒷쪽 플랜지(1 및 2)들은, 바를 따라 놓여있는 부분(1.1 및 2.1)들을 따라서 바의 끝단으로부터 바의 중앙으로 향하여 상기 길이(X)에 걸쳐 서로 접합됨으로써, 상기 길이 X를 따라 개방된 내부를 가지는 2개의 튜브형상부(8)가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1.1 및 1.2)들은, 상기 두 플랜지(1 및 2)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을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바.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바를 따라서 놓이는 뒷쪽 플랜지(2)의 상기 부분(2.1) 근방의 영역내에, 바를 따라서 놓이며 상기 눌림을 용이하게 하는 밴드(5)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바.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바를 따라서 놓이는 뒷쪽 플랜지(2)의 상기 부분(2.1) 근방의 영역내에, 바를 따라서 놓이며 상기 눌림시에 벨로우즈(bellows)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발휘하는 홈(6)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바.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는 그 끝단들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후방을 가리키며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바.
  7. 제 6 항에 있어서, 바의 상부측부(3) 및 바닥측부(4)는 바를 횡단하여 지나가고 구부림시에 벨로우즈와 같이 작용하는 홈(7)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바.
  8. 바의 플랜지(1 및 2)와, 상부측부(3) 및 바닥측부(4)를 초기 성형한 후에, 그 바의 재료의 선택에 근거하여, 선택된 오스테나이트 처리온도로 가열하고, 이후 성형장치내에서 상기 바를 성형하는, 제 1 항에 따른 범퍼바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바를 따라 놓이는 뒷쪽 플랜지(2)의 적어도 한 부분(2.1)이, 상기 바를 따라서 놓이는 앞쪽 플랜지의 적어도 한 부분(1.1)에 대하여 눌려들어가게 하고, 상기 상호간의 눌림은, 상기 바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바의 중심을 향하여 일정하게 한정된 길이(X)에 걸쳐 수행함으로써, 상기 부분(1.1 및 2.1)의 내부면들이 상호간에 접촉하고, 상기 바가 그 중앙부에서 최대용적을 가지며 상기 일정하게 한정된 길이(X)를 따른 바의 끝단부에서 그 최소용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바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플랜지의 눌림에 의하여 바의 구부림을 시작 진행하여, 그 후의 성형을 성형장치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바의 제조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성형후의 바를 성형장치내에서 담금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바의 제조방법.
KR1020027007486A 1999-12-14 2000-11-23 범퍼 바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32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904566-8 1999-12-14
SE9904566A SE516762C2 (sv) 1999-12-14 1999-12-14 Stötfångarbalk och förfarande vid tillverkning av densamm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209A KR20020069209A (ko) 2002-08-29
KR100732780B1 true KR100732780B1 (ko) 2007-06-27

Family

ID=2041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486A KR100732780B1 (ko) 1999-12-14 2000-11-23 범퍼 바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352297B1 (ko)
EP (1) EP1237755B1 (ko)
JP (1) JP4582987B2 (ko)
KR (1) KR100732780B1 (ko)
AT (1) ATE273152T1 (ko)
DE (1) DE60012974T2 (ko)
SE (1) SE516762C2 (ko)
WO (1) WO20010440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7550B1 (en) * 1999-11-12 2002-06-04 Steven H. Walker Metal structural member
SE516760C2 (sv) 1999-12-14 2002-02-26 Accra Teknik Ab Stötfångarbalk
JP4368483B2 (ja) * 2000-02-28 2009-11-1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バンパビーム構造
DE10013527A1 (de) * 2000-03-20 2001-10-11 Benteler Werk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standteil eines Stoßfängers bildenden stählernen Querträgers für Kraftfahrzeuge und Querträger
US6540276B2 (en) * 2000-11-09 2003-04-01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Bumper reinforcement structure
US6926320B2 (en) 2001-07-02 2005-08-09 Meridian Automotive Systems, Inc. Stamped folded bumper beam
SE523371C2 (sv) * 2001-08-31 2004-04-13 Accra Teknik Ab Balk
US7407219B2 (en) * 2004-03-24 2008-08-05 Shape Corporation Energy management beam
DE10226756B4 (de) * 2002-06-14 2006-08-17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toßfänger für ein Kraftfahrzeug
US6910721B2 (en) * 2002-12-20 2005-06-28 Pullman Industries, Inc. Elongated bumper bar with sections twisted rotationally about the axis of elongation
US7066525B2 (en) * 2003-02-25 2006-06-27 Pullman Industries, Inc. Wishbone shaped vehicle bumper beam
DE10327008B3 (de) * 2003-06-12 2005-01-13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toßfänger für ein Kraftfahrzeug
KR100527125B1 (ko) * 2003-06-19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의 백빔 구조
US6923482B2 (en) 2003-06-27 2005-08-02 Magna International Inc. Multiple material bumper beam
US7077439B2 (en) * 2003-08-25 2006-07-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bum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254977B2 (en) * 2004-01-20 2007-08-14 Pullman Industries, Inc. Coolant delivery system and continuous fabrication apparatus which includes the system
US7503116B2 (en) * 2004-01-20 2009-03-17 Noble Advanced Technologies, Inc. Continuous process for producing a shaped steel member
US6948749B2 (en) * 2004-01-26 2005-09-27 Trim Trends Co., Llc Cross member for vehicle bumper ba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7108303B2 (en) * 2004-04-07 2006-09-19 Pullman Industries, Inc. Crushed profile bumper and method for producing
ATE507017T1 (de) * 2004-05-13 2011-05-15 Accra Teknik Ab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ormen und abschrecken eines trägers
US6971691B1 (en) 2004-06-25 2005-12-06 Shape Corporation Vehicle bumper beam
US7163241B2 (en) 2004-06-25 2007-01-16 F.Tech R&D North America Inc. Vehicle bumper beam having non-uniform cross sections
US6986536B1 (en) * 2004-06-25 2006-01-17 Shape Corporation Vehicle bumper beam
US7197824B1 (en) 2004-07-20 2007-04-03 Trim Trends, Co., Llc Cross member for vehicle bumper ba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60028032A1 (en) * 2004-08-06 2006-02-09 Karl Henseleit Vehicle bum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FR2883830B1 (fr) * 2005-03-30 2007-08-24 Vallourec Vitry Traverse de pare-chocs pour vehicules automobiles, preservant les pietons
US7066508B1 (en) * 2005-03-31 2006-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mper cross-section with hinges
US7210717B1 (en) 2005-03-31 2007-05-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ghtweight bumper for automobiles
DE102005029738B4 (de) * 2005-06-24 2018-10-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Energieabsorberelement und dieses verwendende Kraftfahrzeugkarosserie
JP4732055B2 (ja) * 2005-07-29 2011-07-2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ロール成形装置、ロール成形方法及びロール成形部品
US7665778B2 (en) * 2006-02-02 2010-02-23 Karl Henseleit Vehicle bum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80093867A1 (en) * 2006-10-24 2008-04-24 Shape Corporation B-shaped beam with integrally-formed rib in face
US7891155B2 (en) * 2007-02-15 2011-02-22 Surowiecki Matt F Sheet metal header beam
JP4546496B2 (ja) * 2007-03-09 2010-09-15 株式会社丸順 自動車用バンパービーム
US7503601B2 (en) 2007-05-31 2009-03-17 Shape Corp. B-shaped beam with radiused face but recessed center
KR100946258B1 (ko) * 2007-12-17 2010-03-09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차량용 역 씨-형 범퍼 빔
US7866716B2 (en) * 2008-04-08 2011-01-11 Flex-N-Gate Corporation Energy absorber for vehicle
WO2009126617A1 (en) * 2008-04-10 2009-10-15 Noble Advanced Technologies, Inc. Energy absorbing beam with controlled crush characteristics
SE532302C2 (sv) * 2008-04-24 2009-12-08 Gestamp Hardtech Ab Krockskyddsbalk
JP2010083381A (ja) * 2008-09-30 2010-04-15 Kobe Steel Ltd バンパーシステ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177417B2 (ja) * 2008-11-14 2013-04-0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バンパー構造体及びバンパー構造体の製造方法
US20100122981A1 (en) * 2008-11-18 2010-05-20 Evironmental Packaging Technologies Limited Shipping container systems
EP2352662A4 (en) * 2008-12-04 2016-12-21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HOCK ABSORPTION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543756B2 (ja) * 2009-11-05 2014-07-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バンパ装置
JP5237252B2 (ja) * 2009-12-22 2013-07-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自動車のバンパー構造体
US8205921B2 (en) * 2010-02-25 2012-06-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truded aluminum bumper having triggers
DE102010035619B4 (de) * 2010-08-26 2022-04-07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Kraftfahrzeug mit einem Deformationselement
EP3290129A1 (en) * 2010-09-23 2018-03-07 Shape Corp. Tubular beam with center leg
DE102012106249B4 (de) * 2012-07-11 2018-10-31 Dura Automotive Holdings U.K., Ltd. Stoßfängerprofil
KR101435418B1 (ko) * 2012-11-26 2014-08-2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범퍼빔
KR101424529B1 (ko) * 2012-11-26 2014-08-0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범퍼빔
US10065587B2 (en) 2015-11-23 2018-09-04 Flex|N|Gate Corporation Multi-layer energy absorber
DE102016112344A1 (de) * 2016-07-06 2018-01-11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stärkungs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
WO2023140358A1 (ja) * 2022-01-20 2023-07-27 日本製鉄株式会社 開断面バンパーレインフォース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8224A (en) * 1970-11-16 1972-10-17 Siderurgica Occidental C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teel structural shapes
US3851909A (en) * 1972-03-24 1974-12-03 Dura Corp Vehicle bump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597601A (en) * 1985-03-18 1986-07-01 Transpec, Inc. Energy absorbing vehicle bumper
US4652032A (en) * 1985-10-16 1987-03-24 Borg-Warner Chemicals, Inc. Vehicle bumper assembly
JP2727201B2 (ja) * 1988-09-03 1998-03-1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バンパー構造
FR2653723B1 (fr) * 1989-11-02 1992-01-03 Peugeot Pare-chocs de vehicules automobiles comportant des moyens d'absorption d'energie.
US5395036A (en) * 1990-03-26 1995-03-07 Shape Corporation Method of roll-forming an end automotive bumper
US5306058A (en) 1990-03-26 1994-04-26 Shape Corporation Tubular roll-formed automotive bumper
US5104026A (en) * 1990-03-26 1992-04-14 Shape Corporation Apparatus for roll-forming an automotive bumper
US5080412A (en) * 1991-04-22 1992-01-14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and bumper beam combination
NO173538C (no) * 1991-09-06 1993-12-29 Norsk Hydro As Konstruksjonsbjelke og fremgangsmaate ved produksjon av den samme
JPH06247237A (ja) 1993-02-22 1994-09-06 Nippon Steel Chem Co Ltd 車両用バンパ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033A (ja) * 1993-06-16 1995-01-06 Kobe Steel Ltd 自動車用バンパーの補強構造
US5340178A (en) * 1993-11-12 1994-08-23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bumper beam
US5425561A (en) * 1993-12-21 1995-06-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Flexible insert for an automotive bumper
JPH07205732A (ja) * 1994-01-13 1995-08-08 Yamakawa Ind Co Ltd バンパーリインホースとその製造方法
SE503450C2 (sv) * 1994-01-26 1996-06-17 Plannja Hardtech Ab Stötfångarbalk
JP2772621B2 (ja) 1994-09-30 1998-07-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ンパビーム
US5498045A (en) * 1994-12-14 1996-03-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Blow molded bumper beam and U-bolt attachment
DE19509541A1 (de) * 1995-03-16 1996-09-1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toßfänger für ein Kraftfahrzeug
JP3120957B2 (ja) * 1995-07-07 2000-12-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ンパビームの製造方法
JPH09141329A (ja) * 1995-11-20 1997-06-03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バンパ装置の補強部材の製造方法
NO960288D0 (no) * 1996-01-24 1996-01-24 Raufoss Automotive As Stötfangerskinne
FR2756524B1 (fr) * 1996-11-29 1999-01-08 Renault Pare-chocs absorbeur d'energie pour vehicules
DE19726720C1 (de) * 1997-06-24 1998-10-08 Daimler Benz Ag Strukturbauteil
US6042163A (en) * 1998-01-28 2000-03-28 Shape Corporation Vehicle bumper including end se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000738A (en) * 1998-03-13 1999-12-14 Chrysler Corporation Force-absorbing vehicle bumper
US5997057A (en) * 1998-04-16 1999-12-07 Chrysler Corporation Bumper end cap
US6082792A (en) * 1998-05-07 2000-07-04 General Electric Company Vehicle bumper
US6240820B1 (en) * 1998-05-19 2001-06-05 Shape Corporation Die apparatus for cutting end of bumper bar
WO2000006423A1 (en) * 1998-07-29 2000-02-10 Conix Corporation Bumper beam extensions
EP1113947B1 (en) * 1998-09-18 2004-02-11 Cosma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Forming Bumper Beam Assemblies
US6349521B1 (en) * 1999-06-18 2002-02-26 Shape Corporation Vehicle bumper beam with non-uniform cross section
US6477774B1 (en) * 1999-09-30 2002-11-12 Dana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vehicle frame assembly
JP3623916B2 (ja) * 1999-11-11 2005-02-23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バンパリィンホースメント
US6485072B1 (en) * 1999-12-15 2002-11-2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Bumper system for motor vehicl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프랑스 공개특허공보 제2756524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54827A1 (en) 2001-12-27
EP1237755B1 (en) 2004-08-11
JP4582987B2 (ja) 2010-11-17
DE60012974T2 (de) 2005-08-11
KR20020069209A (ko) 2002-08-29
EP1237755A1 (en) 2002-09-11
US6684505B2 (en) 2004-02-03
US6352297B1 (en) 2002-03-05
SE9904566L (sv) 2001-06-15
ATE273152T1 (de) 2004-08-15
DE60012974D1 (de) 2004-09-16
SE9904566D0 (sv) 1999-12-14
JP2003516902A (ja) 2003-05-20
SE516762C2 (sv) 2002-02-26
WO2001044018A1 (en) 200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780B1 (ko) 범퍼 바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66578B1 (ko) 자동차용 범퍼 빔
KR0150591B1 (ko) 자동차 문의 보호빔
EP1773627B1 (en) Bumper beam for a motor vehicle
CN105722745B (zh) 具有u形横截面的横梁
KR101755391B1 (ko) 차량용 비-필러
JP4288162B2 (ja) ビーム材
KR100751624B1 (ko) 범퍼 바
US20160362139A1 (en) Vehicle body side frame
US8061034B2 (en) Method for forming a bumper beam for a motor vehicle
JP2008120227A (ja) 車両用衝撃吸収具の製造方法
US20050138812A1 (en) Method of elongated bumper bar with sections twisted rotationally about the axis of elongation
CN204340947U (zh) 一种连续变厚度的汽车吸能盒
WO2017038960A1 (ja)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の製造法
JP5137323B2 (ja) バンパー補強部材の製造方法
KR102497745B1 (ko) 차량 차축용 폐쇄 중공형 프로파일의 제조 방법
UA123731C2 (uk) Передня частина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засобу та спосіб її виготовлення
US7066525B2 (en) Wishbone shaped vehicle bumper beam
JP3623916B2 (ja) バンパリィンホースメント
KR102063362B1 (ko) 롤 포밍 도어 임팩트 빔 제조방법
JP5011516B2 (ja) 車両用衝撃吸収体
EP1262374B1 (en) Crash energy absorbing element
KR101865740B1 (ko) 일체형 핫 스탬핑 조립체
CN112158157A (zh) 一种双中央支腿管梁及其成型方法
JP5206813B2 (ja) 曲がり形状を有する閉断面構造部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