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591B1 - 자동차 문의 보호빔 - Google Patents
자동차 문의 보호빔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50591B1 KR0150591B1 KR1019950031964A KR19950031964A KR0150591B1 KR 0150591 B1 KR0150591 B1 KR 0150591B1 KR 1019950031964 A KR1019950031964 A KR 1019950031964A KR 19950031964 A KR19950031964 A KR 19950031964A KR 0150591 B1 KR0150591 B1 KR 01505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ce
- protective
- plate portion
- bottom plate
- protective beam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760 Harden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60J5/0444—Beams characterised by a special cross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으로 비교적 경량이면서도, 충분한 내충격 하충 흡수력을 가지고 안정도 강도를 보유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가능한 자동차문의 보호빔을 제공한다. 보호빔은 고인장 강철 블랭크 부재에 의해 일체로 제조된 빔부와 빔부의 양 단부에 위치한 팜(palm)부를 가진다. 빔부는 바닥판부, 바닥판부로부터 이격된 삼각형모향의 정점부로부터 바닥판부에 대해 실질직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지지판부들과, 지지판부들의 양 단부를 바닥판부의 가로축의 엣지에 각각 연결시키는 측판부들을 가진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문을 위한 보호빔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a)도는 기본적인 모양을 보여주는 보호빔 전체의 사시도이고, 제1(b)도와 제1(c)도는 빔부에서는 단면도.
제2도는 내지 제2(e)도는 보호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성형과정에서 각 공정단계의 빔부의 단면도.
제3(a)도 내지 제3(d)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빔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빔부의 다양한 변형예들의 단면도.
제4도는 하중과 변형예의 변위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각 특성 곡선을 보여주는 그래프.
제5(a)도는 내지 제5(d)도는 완성된 제품으로서의 보호빔을 도시한것으로서, 제5(a)도는 완성된 제품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5(b)도는 제5(a)도의 X-X선에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 제5(c)도는 제5(a)도의 Y-Y선에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 제5(d)도는 제5(a)도의 Z-Z선에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
제6도는 통상적인 보호빔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
제7도는 다른 통상적인 보호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8도는 자동차문내에서 통상적인 보호빔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의 일반적으로 자동차 문을 위한 보호빔(guide beam)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충돌시에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 패널과 내부 패널에 의하여 구획된 자동차 문의 내부공간내에 설치된 보강 보호빔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년 동안 자동차의 안정에 대한 요구의 증가로 인하여, 보호빔이라고 불리우는 보강장치가 자동차문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왔다. 그러한 보호빔은 중량이 가벼워야 하며 자동차 측면에서의 충돌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한다. 특히, 그러한 보호빔은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하여 우수한 충격하중 흡수특성을 가지는 것이 요구된다.
통상적인 보호빔이므로서, 60내지 100kgf/mm2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고인장 강철 패널이 사용되어 왔다. 고인장 강철패널들은 스폿 용접에 의하여 조합되어 제6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박스 형태의 단면을 형성한다(일본특허출원 공개번위 제208633호/1992년의 제4도 참조). 또한, 또다른 통상적인 보호빔은, 제7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튜브형의 몸체의 양측 단부에 팜(palm)부분들을 용접함으로써 형성된다.
제6도에서 예시된 보호빔(10)은 프레스가공을 통하여 3개의 직사각형 모양의 융기부(ridge)를 가지도록 주름진 중심부재(11)를 가진다. 중심부재(11)의 양 측면에는, 박스 형태의 단면적을 형성하도록 스폿 용접에 의하여 돌리패널(12)과 패치패널(13)이 짜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보호빔(10)은 중심부재(11)의 융기부들이 실질적으로 평형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자동차 문의 내부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충돌시 가능한 많은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반면에, 제7도에 도시된 보호빔(20)은 100내지 180kgf/mm2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고장력 강철 또는 경화 강철로 형성된 튜브형 부재인 베이스부재(21)를 포함한다. 팜(palm)부들(이하에서, 마운팅판들이라고 함)은 용접등에 의하여 튜브형의 베이스부재(21)의 축의 양단부에 붙여져 있다. 보호빔(10 또는 20)은, 제8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빔의 양단부들을 내부 패널(31)에 고정시킨 채로, 자동차문(30)의 내부 패널(31)의 양측 플랜지부들사이에 연장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제8도에서, 참조번호(32)는 자동차 문의 외부패널을 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제6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박스 형태의 구조를 가진 보호빔(10)의 경우에는, 스팬의 중앙부에 집중하중이 가해지는 충돌 시험에서, 가해진 하중이 최대에 도달할 때, 중심부재(11)의 뒤츨림이 발생하고, 그후로 하중이 급격하게 감소된다. 그러므로, 충격흡수 특성의 관점으로 보면, 제6도에 도시된 보호빔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반면에, 제7도에 도시된 보호빔(20)의 경우는 튜브형으로 형성된 베이스부재(21)를 가지고 있고, 베이스부재(21)의 단면이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인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부재(21)는 어떠한 방향으로 가해진 하중에 대하여도 동일한 파괴 조건들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기하학적인 관성 모멘트(I)와 단면계수(Z)는 베이스부재(21)와 마운팅판사이의 용접부분에 걸쳐서 갑자기 변화한다. 마운팅판들(22)은 베이스부재(21)에 비하여 굽힘응력에 약한 내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재(21)의 양 단부들은 충격하중의 흡수를 위하여는 상대적으로 작은 기여를 하는 재질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베이스부재(21)가 경화되었을 때, 보호빔(20)자체에 뒤틀림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부가 없고, 제조가 용이하고 우수한 충격하중 흡수특성을 가지는 저렴한 자동차 문의 보호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로서, 자동차문의 보호빔은 바닥판부, 상기 바닥판부로부터 이격된 삼각형 모양의 정점부로부터 상기 바닥판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있는 지지판부, 및 상기 정점부에 있는 상기 지지판부들의 각 단부들을 상기 바닥판부의 가로축상의 엣지(edge)에 각각 연결하는 측판부로 구성된 실질적으로 삼각형 모양의 단면적을 가지고, 고인장 강철 블랭크 부재로 일체로 만들어진 빔부(beam portions); 및 상기 보호빔을 자동차문의 부재상에 고정지지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빔부의 양 장축단부에서 상기 빔부와 일체로 형성된 팜부(palm portions)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판부는 상기 정점부로부터 이격된 단부들을 가지고, 상기 단부들은 상기 바닥판부와 접촉되어 있다.
상기 팜부는 마주하는 단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실질적인 삼각 형 모양이고, 상기 바닥판부와 동일한 면에 놓여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부의 일부는 상기 팜부의 보강역할을 하기 위하여 상기 팜부의 엣지들에까지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팜부는 보강 비드로 형성될 수 있다.
싱기 지지판부는 상기 바닥판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인 팁단부(tipend portion)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동차문의 보호빔은 자동차문 위의 평면에 평행하게 놓인 제1편부와, 상기 자동차문의 상기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놓이면서 상기 평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에서 상기 자동차문에 가해지는 제1 충격력 성분을 견디는 제2편부와, 상기 제1편부와 상기 제2편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충격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제2편부와 협력하는 제3편부에 의하여 텅빈(hollow) 단면을 가지는 빔부; 및 상기 보호빔을 자동차문의 부재상에 고정지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빔부들의 양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3편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차문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
실질적인 구성에서, 상기 제2편부는 측면으로 나란히 겹쳐진 두 개의 평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편부의 한 쌍은 상기 평판들을 각각 상기 제1편부의 가로축상의 2개의 엣지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3편부의 각각은 상기 자동차문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비스듬하게 뻗어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빔부는 중앙선에 대하여 대칭적인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편부는 상기 제1편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팁단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편부의 말단부는 상기 빔부의 텅빈 공간애에서 끝나고, 이러한 말단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충격력에서 상기 빔부의 변형을 허용하면서, 상기 제2편부의 상기 말단부의 배치상태를 좌우하는 충격력에서 상위 빔부의 변형에 대항하는 내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편부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2편부는 상기 제1편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인 팁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두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문을 위한 보호빔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아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하여 다양한 특정의 세부사항들이 공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은 이러한 특정의 세부사항들이 없이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잘 알려진 구조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서 명시된 자동차문의 보호빔에서 빔부를 구성하는 제1편부(片部), 제2편부 및 제3편부는 본 발명의 제1양태에서 명시된 자동차문의 보호빔에서 빔부를 구성하는 바닥판부(底板部), 지지판부(支指板部)및 측판(側板部)에 각각 상응하고, 이러한 판부들의 개념을 일반적인 용어로 표현한 것에 불과한 것입니다. 또한, 첨부한 도면상의 각각의 도면부호(4), (5) 및 (6)은 본 발명의 제1양태에서 바닥판부, 지지판부, 및 측판부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제2양태에서는 제1편부, 제2편부, 및 제3편부로 대체하여 설명이 가능하므로, 제1편부, 제2편부 및 제3편부를 도면상에서 별도의 부호로 표시하여 설명하는 것을 생략하였다.
제1(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문의 보호빔의 바람직한 실시에의 기본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제1(b)도와 제1(c)도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보호빔상에 충격 하중을 전달하기 위한 경로들을 보여준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의 보호빔(1)은 펀칭등에 의하여 얇은 강철판으로부터 절단된 블랭크부재의 성형 가공(벤딩 가공)만에 의하여 형성된다. 성형가공에 의하여 완성된 보호빔(1)은 양 단부에 위치한 필수적인 삼각형 모양의 팜부(2)를 가지고, 이러한 팜부들은 축 단부들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넓어진다. 양 팜부들(2) 사이에 연장되어있는 빔부(3)는 제1(b)도와 제1(c)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굽은 단면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빔부(3)의 단면은 팜부(2)에 연결된 바닥판부(5)와, 자동차 몸체의 바깥을 향하는 정점부측을 향하여 비스듬한 바닥판의 가로측의 양 엣지로 부터 연장된 측판부(6)를 가지는 일반적인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블랭크부재의 양 측면 엣지는 서로를 연결하는 지지판부(4)를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판부의 가로축의 중심을 향하여 정점부에서 굽어있다.
충격력(P)이 상기의 같은 구조의 보호빔(1)에 바닥판부(5)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가해졌을 때, 제1(b)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화살표가 가르키는 방향으로 충격하중은 양 측판부(6)과 지지판부(4)에 분산된다. 그러므로, 충격의 집중이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 이때에, 보호빔(1)의 하중-변위 특성은 제4도의 특성곡선(C1)에 의하여 도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갑작스런 뒤틀림은 결코 발생하지 않고, 충격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또한, 충격력(P)이 제1(c)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가해지는 경우, 하중(P)은 주로 절반부(도면에서는 좌측반부)에 걸린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대부분의 하중이 지지판부(4)에 걸리게 되어, 보호빔(1)의 단면전체는 충격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에 충분한 기하학적관성 모멘트를 가질 수 있다.
다음은 제2(a)도 내지 제2(f)도를 참조하면서, 제1(a)도 내지 제1(c)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보호빔(1)의 성형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2(a)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체 보호빔(1)을 전개시키는 형상의 블랭크에 제1볼록형 다이(7A)와 제2오목형 다이(7B) 사이에 위치한다. 그런 다음, 블랭크에 대하여 프레스가공을 수행하여 중앙선(100)에 대하여 대칭인 실질적으로 채널 모양의 제1단계의 가공부재(1A)를 형성한다. 그런다음, 제1단계의 가공 부재(1A)에 제1볼록형 다이(7C)와 제2오목형 다이(7D)를 이용한 제2단계의 프레스가공을 행하여 제2(b)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W-모양의 제2단계의 가공부재(1B)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제2(c)도, 제2(d)도, 제2(e)도에 도시된 단계에서, 평평한 헤드를 가진 눌림다이(7E)에 의하여 제2단계의 가공부재(1B)의 엣지부의 만곡부(1AA)을 가압하여 만곡부(1AA)의 절곡각이 예각이 되도록 가공시킨다. 이어서, 제2(d)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눌름다이(7F)에 의하여, 지지판부(4)로 작용하는 엣지부들을 더욱 내부로 가압시킨다. 제2(f)도에 도시된 단계에서, 평판다이(7G)와 눌림다이(7H)에 의하여, 바닥판부를 평평하게 가압하고 엣지부들을 더욱 내부로 가압시킨다. 제2(e)도의 단계 후에, 지지판부(4)로 되는 엣지부들이 서로 가깝게 근접하면서 마주하는 제3단계의 가공부재(1C)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제2(c)도 내지 제2(e)도의 단계들을 통하여 형성된 제3단계의 가공부재(1C)는 제2(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부(3)의 모양으로 플레스가공된다. 제2(바)도의 단계에서, 다듬질 다이들(7K와 7L)은 일반삼각형의 단면적을 가지는 빔부(3)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다시말해서, 다듬질 다이들(7K 와 7L) 사이의 일반삼각형의 다이캐비티내에 제3단계의 가공부재(1C)를 접어 넣으므로써, 정점부부터 바닥판부(5)을 향하여 연장되어있는 지지판부를 갖는 빔부(3)의 최종적인 모양이 형성된다.
제3(a)도 내지 제3(d)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를 보여준다. 이 중에서, 제3(a)도와 제3(b)도는 정점부에서 가로 축방향의 엣지들을 안으로 벤딩하여 형성된 지지판부(4A)이 바닥판부(5)에 이르지 않고 실질적인 삼각형 모양의 빔의 공간내에서 종결된 실시예들을 보여주고 있다. 지지판부(4A)의 길이는 임의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지지판부(4A)의 길이가 짧을수록 지탱할 수 있는 최대 하중이 본질적으로 낮아지지만, 제4도의 커브 C2(점선)와 C3(2점쇄선)에 의하여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변위점이 변위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빔부(3)가 상대적으로 낮은 하중에서 변형을 초래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큰 변위량에서도 하중을 견딜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3(c)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보호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판부(4A)의 팁단부들이 바닥판부(5)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형하게 굽어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3(d)도는 제3(a)와 제3(b)도의 실시예의 추가적 변형예를 보여주며, 여기서는 바닥판부(5)로부터 떨어져서 보통 위치하는 지지판부(4A)의 팁단부들을 바닥판부(5)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굽어있다. 제3(d)도의 경우에 있어서, 바닥판부(5)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팁단부들을 지지판부(4A)의 안정적인 배치를 보장하여 높은 하중이 가해져도 지지판부(4A)의 뒤틀림을 확실하게 방지하게 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3(c)의 제3(d)도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고, 바닥판부들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된 팁단부들은 최대허용하중을 추가로 증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제5(a)도 내지 제5(d)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문의 보호빔의 최종제품의 한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빔부(3)는 제5(b)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1(a)도 내지 제1(c)도 각각 해당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와 유사한 삼각형 모양의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빔부(3)의 양 단부들에 있는 팜부(2)는 제5(c)도와 제5(d)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보강비드(9)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팜부(2)의 엣지에 있는 측판부(6)의 일부는 빔부(3)의 측판부들로 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어있는 형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판부들(6)의 연장부는 팜부(2)를 강화하기 위하여 작용할 수 있으며, 그것과 관련하여, 빔부(3)와 팜부(2) 사이의 강도의 갑작스런 변화를 피할 수 있게 한다.
문의 안쪽 패널(31)등에 팜부(2)의 양측을 설치하기 위하여, 팜부의 단부(2A)는 복수개의 지점에서 스팟 용접에 의하여 안쪽패널(31)위에 용접될 수 있다. 대신에, 팜부(2)내에 제공된 볼트 구멍(2B)을 사용하여, 조임 볼트들에 의하여 안쪽 패널(31)위에 팜부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볼트 조임과 용접이 모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팜부(2)의 모양과 팜부(2)위에 설치된 보강 비드(9)의 모양, 및 보강비드의 형성범위는 제5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되지 않는다. 또한, 블랭크부재의 강도, 두께와 크기는 고려되는 충격 하중과 관련하여 적당하게 설정되어질 수 있다.
또한, 빔부(3)의 형성 공정은 제2(a)도 내지 제2(f)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공정들로 제한하지 않고, 어떠한 드로잉 공법 또는 프레스 공법도 적용할 수 있다. 단언하면, 제1(a)도 내지 제3(d)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단면을 제공할 수 있는 어또한 공법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차문의 보호빔은 바닥판부와, 바닥판부로부터 이격된 삼각형의 정점부로부터 바닥판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있는 지지판부와, 정점부에 있는 지지판부의 단부를 바닥판부의 가로축의 엣지에 연결하는 측판부로 구성된 실질적으로 삼각형모양의 단면적을 가지고, 고인장 강철로 만들어진 빔부와; 자동차문의 부재상에 보호빔에 고정지지하기 위하여 빔부들의 양 장축단부들에서 빔부와 일체로 형성된 팜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경량이면서도 충분한 충격하중 흡수력을 가지고 안정된 강도를 보유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보호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여준 보호빔의 구조는 용접을 필요로 하기보다는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주로 형성되기 때문에, 용접열로 인하여 변형되거나 재료 강도가 저하되거나, 또한 뒤틀림을 유발할 가능성을 피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가능한 충격하중을 고려하여 재료, 재료의 두께와 크기의 선택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분야에서 숙력된 자들은 본 발명은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다양한 다른 변경, 생략과 첨가를 행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로 한정하여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된 특징들을 포함하는 범위와 이의 균등범위내에 속하는 가능한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 자동차문의 보호빔에 있어서, 바닥판부, 상기 바닥판부로부터 이격된 삼각형 모양의 정점부로부터 상기 바닥판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있는 지지판부, 및 상기 정점부에 있는 상기 지지판부들의 각 단부들을 상기 바닥판부의 가로축상의 엣지(edge)들에 각각 연결하는 측판부로 구성된 실질적으로 삼각형 모양의 단면적을 가지고, 고인장 강철 블랭크 부재로 일체로 만들어진 빔부(beam portions); 및 상기 보호빔을 자동차문의 부재상에 고정지지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빔부의 양 장축단부에서 상기 빔부와 일체로 형성된 팜부(palm portion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문의 보호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부는 상기 정점부로부터 이격된 단부들을 가지고, 상기 단부들은 상기 바닥판부와 접촉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문의 보호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팜부는 마주하는 단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실질적인 삼각형 모양이고, 상기 바닥판부와 동일한 면에 놓여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문의 보호빔.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의 일부는 상기 팜부의 보강역할을 하기 위하여 상기 팜부의 엣지들에까지 연장되어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문의 보호빔.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팜부는 보강 비드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문의 보호빔.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부는 상기 바닥판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인 팁단부(tipend portion)를 가지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문의 보호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부는 상기 바닥판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인 팁단부를 가지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문의 보호빔.
- 자동차문의 보호빔에 있어서, 자동차문 위의 평면에 평행하게 놓인 제1편부와, 상기 자동차문의 상기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높이면서 상기 평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에서 상기 자동차문에 가해지는 제1 충격력 성분을 견디는 제2편부와, 상기 제1편부와 상기 제2편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충격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제2편부와 협력하는 제3편부에 의하여 텅빈(hollow) 단면을 가지는 빔부; 및 상기 보호빔을 자동차문의 부재상에 고정지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빔부들의 양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팜부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문의 보호빔.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편부는 상기 자동차문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문의 보호빔.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편부는 측면으로 나란히 겹쳐진 두 개의 평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편부의 한 쌍은 상기 평판들을 각각 상기 제1편부의 가로축상의 2개의 엣지들에 연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문의 보호빔.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편부의 각각은 상기 자동차문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비스틈하게 연장되어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문의 보호빔.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빔부는 중앙선에 대하여 대칭적인 단면적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문의 보호빔.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편부의 말단부는 상기 빔부의 텅빈 공간애에서 끝나고, 이러한 말단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충격력에서 상기 빔부의 변형을 허용하면서, 상기 제2편부의 상기 말단부의 배치상태를 좌우하는 충격력에서 상위 빔부의 변형에 대항하는 내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편부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문의 보호빔.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편부는 상기 제1편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인 팁단부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문의 보호빔.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편부는 상기 제1편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여진 상기 말단부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문의 보호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7-025087 | 1995-02-14 | ||
JP02508795A JP3763858B2 (ja) | 1995-02-14 | 1995-02-14 | 自動車用ドアのガードビー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50591B1 true KR0150591B1 (ko) | 1998-10-01 |
Family
ID=1215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31964A KR0150591B1 (ko) | 1995-02-14 | 1995-09-26 | 자동차 문의 보호빔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5813718A (ko) |
EP (1) | EP0728607A3 (ko) |
JP (1) | JP3763858B2 (ko) |
KR (1) | KR015059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9601246L (sv) * | 1996-04-01 | 1997-10-02 | Plannja Hardtech Ab | Skyddsbalk |
DE19647334B4 (de) * | 1996-11-15 | 2004-07-15 | Benteler Ag | Seitenaufprallträger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
DE19726720C1 (de) * | 1997-06-24 | 1998-10-08 | Daimler Benz Ag | Strukturbauteil |
JP3947278B2 (ja) * | 1997-09-10 | 2007-07-18 | 富士重工業株式会社 | 車両のドアロック解除機構 |
JPH1191352A (ja) * | 1997-09-24 | 1999-04-06 | Sanyo Mach Works Ltd | インパクトバ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6020039A (en) * | 1998-04-21 | 2000-02-01 | Inland Steel Company | Automobile door impact beam |
DE19836851C1 (de) * | 1998-08-14 | 2000-03-30 | Daimler Chrysler Ag | Schutzanordnung an einem Radlauf einer Kraftwagen-Rohbaustruktur |
WO2000015453A1 (en) | 1998-09-16 | 2000-03-23 | Cosma International Inc. | Vehicle door reinforcing beam and method of making it |
US6454884B1 (en) | 2000-06-12 | 2002-09-24 | Pullman Industries, Inc. | Method of manufacturing a vehicle structural beam |
JP2002012032A (ja) * | 2000-07-03 | 2002-01-15 | Om Kogyo Kk | 自動車ドア補強材 |
WO2002004240A1 (en) * | 2000-07-12 | 2002-01-17 | Shape Corporation | Roll-formed and stamped doorbeam |
US6643931B2 (en) * | 2000-07-12 | 2003-11-11 | Shape Corporation | Method of manufacturing a one-piece tubular doorbeam |
EP1186453B1 (de) | 2000-08-19 | 2003-01-08 | Benteler Ag | Seitenaufprallträger |
DE10128198C2 (de) * | 2001-06-11 | 2003-12-24 |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 Seitenaufprallträger für ein Kraftfahrzeug und Platine als Halbzeug für einen Seitenaufprallträger |
US6644701B2 (en) | 2002-01-14 | 2003-11-11 | Shape Corporation | Bumper energy absorber with foam and non-foam pieces |
DE10212792B4 (de) * | 2002-03-22 | 2005-05-12 |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 Seitenaufprallträger |
US6918224B2 (en) * | 2002-05-01 | 2005-07-19 | Benteler Automotive Corporation | Heat treatment strategically strengthened door beam |
US6672635B2 (en) * | 2002-06-06 | 2004-01-06 | Netshape Corporation | Bumper with integrated foam and non-foam components |
US7055886B2 (en) * | 2003-03-28 | 2006-06-06 | Shape Corporation | Low-profile high-strength vehicle door beam |
PL1510643T3 (pl) * | 2003-09-01 | 2018-06-29 | Forster Profilsysteme Ag | Profil i sposób wytwarzania profilu |
DE102004024986A1 (de) * | 2004-05-21 | 2005-12-15 | Daimlerchrysler Ag | Hohlprofil für eine Seitentür eines Kraftfahrzeugs |
DE202005018612U1 (de) * | 2005-11-28 | 2007-04-12 | Wagon Automotive Gmbh | Seitenaufprallträger für eine Kraftfahrzeugtür |
EP2123496B1 (en) | 2007-03-30 | 2013-09-11 |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 Automotive door with enhanced side collision performance |
ES2481443T3 (es) * | 2007-04-04 | 2014-07-30 |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 Elemento de resistencia para carrocería de automóvil |
KR100862476B1 (ko) * | 2007-12-13 | 2008-10-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 패드 |
EP2397352B1 (en) * | 2009-02-11 | 2013-05-15 | Honda Motor Co., Ltd. | Vehicle door structure |
DE102009011378B4 (de) * | 2009-03-05 | 2012-03-22 |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 Türaufprallträger |
JP5424733B2 (ja) * | 2009-06-17 | 2014-02-26 |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 補強ブレース |
AT12813U1 (de) * | 2011-01-17 | 2012-12-15 | Hlf Heiss Ges M B H | Traversenprofil und palettenregal |
KR101320378B1 (ko) * | 2011-12-22 | 2013-10-22 | 소범식 |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및 이것의 제조 방법 |
KR101326974B1 (ko) * | 2012-10-04 | 2013-11-13 | (주) 지.에이 테크 | 내구성과 체결력 강화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빔 |
WO2014114340A1 (en) * | 2013-01-24 | 2014-07-31 | Aktiebolaget Skf | Fastener element |
US20160059677A1 (en) * | 2013-04-03 | 2016-03-03 | Honda Motor Co., Ltd. | Vehicle door |
JP6005599B2 (ja) * | 2013-07-23 | 2016-10-12 | 豊田鉄工株式会社 | 車両用フロアブレースの製造方法 |
JP5960116B2 (ja) * | 2013-12-19 | 2016-08-02 | 豊田鉄工株式会社 | 車両用のパイプ状補強部材 |
DE102014115158B4 (de) * | 2014-10-17 | 2018-07-05 |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 Türaufprallträger aus Strangpressprof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
KR20180003563A (ko) * | 2015-04-17 | 2018-01-09 | 쉐이프 코프. | 차량 옆문 침입 저항용 임팩트 빔 |
JP2020157354A (ja) * | 2019-03-27 | 2020-10-01 |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 金属パイプ及び金属パイプの成形方法 |
EP4035790A4 (en) * | 2019-09-25 | 2023-04-12 | Nippon Steel Corporation | COMPONENT,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NENT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OMPONENT |
DE102021111340A1 (de) | 2021-05-03 | 2022-11-03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Türaufprallträger, Kraftfahrzeugtür und Kraftfahrzeug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96946A (en) * | 1987-09-04 | 1989-01-10 | Inland Steel Company | Automotive vehicle door and bar reinforcement |
JP3015835B2 (ja) * | 1990-11-16 | 2000-03-06 | 東プレ株式会社 | 衝撃吸収特性に優れた軽量なドアガードバー |
JPH04260815A (ja) * | 1991-02-14 | 1992-09-16 | Toyota Motor Corp | 自動車ドア用インパクトビーム |
NO173537C (no) * | 1991-09-06 | 1993-12-29 | Norsk Hydro As | Forsterkningsbjelke og kjoeretoeydoer med bjelken |
US5232261A (en) * | 1992-06-04 | 1993-08-03 | Nhk Spring Co., Ltd. | Door impact beam for an automobile |
SE501812C2 (sv) * | 1992-09-25 | 1995-05-22 | Plannja Hardtech Ab | Skyddsbalk i fordon |
JPH0725239A (ja) * | 1993-06-25 | 1995-01-27 | Suzuki Motor Corp | 自動車のドア用インパクトビーム |
GB9315579D0 (en) * | 1993-07-28 | 1993-09-08 | Alcan Int Ltd | Reinforcing beam |
US5370437A (en) * | 1993-08-19 | 1994-12-06 | Benteler Industries, Inc. | Universal impact beam tube pocket |
US5580120A (en) * | 1995-02-23 | 1996-12-03 | Mascotech Tubular Products, Inc. | Vehicle door intrusion beam |
-
1995
- 1995-02-14 JP JP02508795A patent/JP3763858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09-13 EP EP95114401A patent/EP0728607A3/en not_active Ceased
- 1995-09-25 US US08/533,836 patent/US5813718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09-26 KR KR1019950031964A patent/KR015059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813718A (en) | 1998-09-29 |
JP3763858B2 (ja) | 2006-04-05 |
EP0728607A2 (en) | 1996-08-28 |
EP0728607A3 (en) | 1997-01-15 |
JPH08216684A (ja) | 1996-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50591B1 (ko) | 자동차 문의 보호빔 | |
KR100955550B1 (ko) | 차체 후드용 패널 구조체 | |
EP0852191B1 (en) | Energy absorbing structure for automobile | |
JP4208005B2 (ja) | 車両用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 |
JP2003503272A (ja) | 自動車のバンパビーム | |
JP2007523797A (ja) | 自動車用バンパー・ビーム | |
JP3226273B2 (ja) | 自動車の軽金属ボディのための桁部材 | |
CN114364577A (zh) | 用于机动车的保险杠横梁 | |
JPH08188174A (ja) | 車両の衝突緩衝装置 | |
US20220048455A1 (en) | Bumper arrangement | |
CN112519710A (zh) | 提高车辆正面碰撞兼容性和小偏置碰撞安全性防撞梁结构 | |
JP5235007B2 (ja) | クラッシュボックス | |
JP4834353B2 (ja) | 車両用エネルギ吸収ビーム及び車両用ドア構造 | |
JPH06227333A (ja) | バンパー装置 | |
US6332302B1 (en) | Impact ba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3308719B2 (ja) | バンパー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 | |
CN116323029A (zh) | 长条构造构件及坯件 | |
JPH0891154A (ja) | バンパーステイ | |
JP3723289B2 (ja) | 自動車用ドアのガードビーム | |
JP2007076433A (ja) | 自動車のドアビーム | |
JP2002264740A (ja) | 車両用ビーム | |
JP3847854B2 (ja) | 自動車用ドアのガードビーム | |
KR20070071377A (ko) | 보강된 임팩트 빔 | |
EP4230508A1 (en) |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of automobile | |
US20240208446A1 (en) | Bumper assembly with crossmemb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518 Year of fee payment: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