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910B1 -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910B1
KR100726910B1 KR1020037016829A KR20037016829A KR100726910B1 KR 100726910 B1 KR100726910 B1 KR 100726910B1 KR 1020037016829 A KR1020037016829 A KR 1020037016829A KR 20037016829 A KR20037016829 A KR 20037016829A KR 100726910 B1 KR100726910 B1 KR 100726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pair
pulley
car sid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9021A (ko
Inventor
이시이다까시
사노히로시
가와사끼간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9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승강로 바닥부의 피트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카의 상부에 있어서 보수 작업을 집중적으로 행할 수 있고, 또한 톱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16L, 16R)를 카(10)의 상부에 설치하는 동시에, 트랙션 도르래(17) 및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16L, 16R)의 회전축선이 모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16L, 16R)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르래 지지 보(15)를 카 프레임의 상부 보(13)와 카(10)의 천정면 사이의 간극에 배치하는 동시에, 카측 도르래(16L, 16R)의 회전축보다도 하방에 배치한다.
카, 트랙션 도르래, 보, 블래킷, 권취 로프, 가이드 레일, 톱클리어런스

Description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MACHINEROOMLESS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로의 정상부에 기계실을 갖지 않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물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동시에 일조권 등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승강로의 정상부에 기계실을 갖지 않는, 이른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7 및 도8에 도시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카(1)가 승강하는 승강로의 정상부 벽면(2)에 구동 장치(3)가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이 구동 장치(3)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트랙션 도르래(4)에 복수개의 소경 로프로 이루어지는 권취 로프(5)가 권취되어 있다.
권취 로프(5) 중, 트랙션 도르래(4)로부터 카(1)측으로 수직 하강하는 부분은 카(1)의 좌측 측벽(1a)에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5a)과, 카(1)의 하방에 지지된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1b, 1c) 사이에서 좌우 방향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5b)과, 카(1)의 우측 측벽(1d)에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승강로 정상부의 히치부(6)에 고정되는 부분(5c)으로 이루어지고, 카(1)를 2 : 1 로핑으로 현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권취 로프(5) 중 트랙션 도르래(4)로부터 균형추(7)측에 수직 하강하는 부분은 승강로의 측벽(2)에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균형추(7)의 상부에 지지된 추측 도르래(7a)에 권취되는 부분과, 추측 도르래(7a)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승강로 정상부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히치부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균형추(7)를 2 : 1 로핑으로 현가하고 있다.
그런데, 도7 및 도8에 도시한 종래의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카(1)를 현가하기 위한 카측 도르래(1b, 1c)가 카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 바닥부에 설치되는 피트의 깊이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카(1)의 좌우 측벽(1a, 1d)에 따라서 권취 로프(5)가 연장되어 있으므로, 카(1)의 좌우 방향(도어 개폐 방향)의 치수(W1)를 확보하고자 하면, 승강로 단면의 좌우 방향 치수(L)의 값이 커져 버린다.
환언하면, 승강로 단면의 좌우 방향 치수(L)의 값을 일정하게 하면, 카(1)의 좌우 방향 치수(W1)를 작게 해야만 한다.
또한, 구동 장치(3)나 트랙션 도르래(4) 및 승강로의 정상부 측벽에 고정 설치된 제어 장치(8)의 보수는 최상방 위치까지 상승시킨 카(1) 상에 작업원이 타고 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반해, 카 하부 도르래(1b, 1c)의 보수는 카(1)를 최하방 위치까지 강하시켜 피트 내에서 행해야만 한다.
이에 의해, 상술한 종래의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승강로 바닥부의 피트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카의 상부에 있어서 보수 작업을 집중적으로 행할 수 있거나, 또는 톱클리어런스(승강로의 천정면과 카측의 최상부 사이의 상하 방향 간극)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개량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수단은,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에 회전 구동되는 상기 승강로 내에 배치된 트랙션 도르래와,
상기 트랙션 도르래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와,
상기 트랙션 도르래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혹은 상기 회전축선이 연장되는 방향 각도에 접근한 방향 각도로 연장되는 회전축선의 주위에 회전 가능한 상기 카의 상부에 지지된 카측 도르래와,
상기 트랙션 도르래에 권취되는 동시에 그 일단부측이 상기 카측 도르래를 거쳐서 상기 카를 현가하고 또한 그 타단부측이 균형추를 현가하는, 복수개의 로프로 이루어지는 권취 로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이다.
또한, 전후 방향이라 함은, 카 도어의 개폐 방향(좌우 방향)에 대해 수직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도어 개폐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어느 정 도의 각도를 이루는 경우도 포함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카측 도르래를 카의 상부에 설치하므로 승강로 바닥부의 피트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트랙션 도르래나 카측 도르래뿐만 아니라, 트랙션 도르래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나, 이 구동 장치 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승강로의 정상부에 설치된 제어 장치 등의 보수를 카의 상부에 탄 작업원이 집중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권취 로프가 카의 좌우 측벽에 따라서 연장되지 않으므로,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를 일정하게 하였을 때에 카로 인해 보다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환언하면, 카의 수평 단면 치수를 일정하게 하였을 때에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트랙션 도르래 및 카측 도르래의 회전축선이 서로 평행하게 혹은 접근한 방향 각도,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루는 각도가 0도 내지 45도의 범위에서 연장되므로, 양 도르래 사이에서 연장되는 권취 로프의 어긋남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가 최상방 위치까지 상승하여 트랙션 도르래와 카측 도르래 사이의 상하 방향 간격이 좁아졌을 때라도 트랙션 도르래 및 카측 도르래의 로프 홈에 대한 권취 로프의 경사각을 작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꼬인선으로 구성되는 권취 로프와 각 도르래의 로프 홈과의 접촉에 수반하여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카의 하방에는 카측 도르래나 권취 로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승강로의 바닥부에 설치하는 버퍼를 카의 바닥면의 중심 위치에 대향시켜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수단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카측 도르래가 상기 카의 좌우 측벽의 근방에 각각 배치되는 동시에, 서로 평행한 회전축선의 주위에 회전하는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따르면, 좌우 어느 한 쪽의 카측 도르래를 트랙션 도르래의 바로 아래 혹은 그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트랙션 도르래와 카측 도르래 사이에 변환 도르래를 개재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승강로의 천정과 카 사이의 상하 방향 간극, 이른바 톱클리어런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트랙션 도르래에 대한 권취 로프의 권취 각도를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트랙션 도르래에 대해 권취 로프를 확실하게 마찰 결합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수단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카측 도르래가 수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카의 수직 방향의 투영면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따르면, 카의 측벽을 승강로의 내벽면에 접근시켜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를 일정하게 하였을 때에 카로 인해 보다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환언하면, 카의 수평 단면 치수를 일정하게 하였을 때에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수단은,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가 수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카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카의 중심 위치라 함은, 카에 승객이 타고 있지 않을 때에 설계적으로 상정되는 위치이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따르면, 수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카의 중심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가 배치되므로, 카에 작용하는 중력과 카를 상방에 현수하는 힘이 수평 방향으로 크게 오프셋되는 일이 없어, 카를 안정적으로 현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수단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카의 상방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부 보를 가진 상기 카를 지지하기 위한 카 프레임과,
그 길이 방향 중앙부의 상면이 상기 상부 보의 길이 방향 중앙부의 하면에 접속되는 동시에 그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르래 지지 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르래 지지 보가 그 상면보다도 상방에 상기 카측 도르래의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따르면, 카측 도르래의 회전축선보다도 하방에 도르래 지지 보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도르래 지지 보의 상면에 접속되는 상부 보를 카의 상면에 의해 접근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가 최상방 위치까지 상승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승강로의 천정과 카측의 최상부 사이의 상하 방향 간극, 이른바 톱클리어런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카측 도르래에 작용하는 카를 상방에 현수하는 힘은 도르래 지지 보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보의 하면으로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수단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카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카측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여 상기 카의 승강을 안내하는 상기 카 프레임의 상부에 부착된 안내 수단을 더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카 프레임 중 상기 카측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카측 가이드 레일을 전후 방향으로 협지하도록 배치된 전후 한 쌍의 종부재를 갖고,
또한 상기 안내 수단이 상기 상부 보의 하면과 상기 카의 상면 사이이고, 또한 상기 전후 한 쌍의 종부재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구항 6에 기재된 머신룸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카 프레임의 상부 보보다도 하측에 안내 수단이 위치하므로, 카측 가이드 레일의 최상단부 근방까지 카 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승강로의 천정과 카측 최상부 사이의 상하 방향 간극, 이른바 톱클리어런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수단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가 수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카의 수직 방향의 투영면과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구항 7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따르면, 구동 장치 중 적어도 일부가 카의 상방에 위치하므로 트랙션 도르래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카의 좌우 측벽 중 구동 장치를 설치한 측의 측벽을 승강로의 내벽에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를 일정하게 하였을 때에 카로 인해 보다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환언하면, 카의 수평 단면 치수를 일정하게 하였을 때에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수단은, 청구항 7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권취 로프의 타단부측에 의해 현가되는 균형추와,
상기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전후 한 쌍의 추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전후 한 쌍의 추측 가이드 레일의 상단부 사이에 걸쳐져 전후 방향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하 한 쌍의 횡벽과 이들 횡벽끼리를 접속하는 종벽을 가진 지지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좌우 한 쌍의 카측 가이드 레일 중 상기 추측 가이드 레일의 근방에 위치하는 카측 가이드 레일의 상단부면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면 상에 적재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구항 8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지지 프레임의 상하 방향 치수분만큼 여분으로 카측 가이드 레일이 추측 가이드 레일보다도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승강로의 천정을 향해 보다 상방까지 카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추측 가이드 레일과 1개의 카측 가이드 레일에 의해 구동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수단은, 청구항 8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종벽의 배면보다도 상기 카측 가이드 레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의 상방에 그 중심이 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구항 9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구동 장치의 중심이 지지 프레임의 종벽의 배면보다도 카측 가이드 레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의 상방에 위치하므로, 지지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의 구부림 모멘트가 지지 프레임에 작용하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구동 장치의 중량이 작용해도 2개의 추측 가이드 레일과 1개의 카측 가이드 레일이 만곡되는 일은 없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수단은,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권취 로프의 타단부측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속 설치된 히치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구항 10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권취 로프의 타단부측에 작용하는 장력을 합계 3개인 가이드 레일로 지지하게 되므로, 각 가이드 레일의 만곡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수단은, 승강로 내를 승강 가능한 카와, 이 카 상부에 설치되는 도르래와,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카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와,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 가능한 균형추와, 상기 구동 장치에 걸쳐져 일단부측이 상기 도르래에, 타단부측이 상기 균형추에 연접하는 권취 로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이다.
즉, 청구항 11에 기재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자유롭게 구동 장치, 트랙션 도르래, 카를 지지하는 도르래, 가이드 레일 등을 승강로 내에 배치 할 수 있고, 또한 승강로 바닥부의 피트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 형태의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4는 트랙션 도르래 및 카측 도르래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5는 가이드 슈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구동 장치의 지지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a) 및 정면도(b).
도7은 종래의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8은 도7에 도시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
이하, 도1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카의 도어가 개폐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 승객이 카에 출입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 수직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한다.
또한, 동일 부분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이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최초에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카(10)는 좌우 한 쌍의 카측 가이드 레일(11L, 11R)에 의해 안내되어 건물에 설치한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카(10)의 전방면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도어(12L, 12R)는 좌우 방향으로 개폐된다.
카(10)를 지지하는 카 프레임은 카(10)의 상방에서 좌우 방향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부 보(13)와, 이 상부 보(13)의 좌우 양단부에 접속된 좌우 한 쌍의 세로 기둥(14L, 14R)을 갖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세로 기둥(14L, 14R)은 좌우 한 쌍의 카측 가이드 레일(11L, 11R)을 각각 전후 방향에 협지하는 전후 한 쌍의 종부재(14a, 14b)를 갖고 있다.
카(10)와 상부 보(13) 사이의 상하 방향의 간극에는 상부 보(13)에 대해 수평면 내에서 경사져 연장되는 도르래 지지 보(15)가 설치되어 있다.
도르래 지지 보(15)는 그 길이 방향 중앙부의 상면이 상부 보(13)의 길이 방향 중앙부의 하면에 밀착하도록 상부 보(13)에 접속되어 있다.
도르래 지지 보(15)의 양단부의 상면에는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16L, 16R)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블래킷(지지 수단)(15a)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16L, 16R)의 회전축선보다도 하방에 도르래 지지 보(15)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카 프레임의 상부 보(13)를 카(10)의 상면에 접근시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카(10)가 최상방 위치까지 상승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승강로의 천정과 카(10)의 최상부 사이의 상하 방향 간극, 이른바 톱클리어런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16L, 16R)에 작용하는 카(10)를 상방에 현수하기 위한 힘은 도르래 지지 보(15)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보(13)의 하면에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좌측의 카측 가이드 레일(11L)의 상단부 근방에 배치된 트랙션 도르래(17)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의 주위에 회전 구동된다.
이 트랙션 도르래(17)에 권취된 권취 로프(5)의 일단부측은 트랙션 도르래(17)로부터 좌측의 카측 도르래(16L)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5a)과,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16L, 16R)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5b)과, 우측의 카측 도르래(16R)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우측 히치부(6R)에 고정되는 부분(5c)으로 이루어지고, 카(10)를 2 : 1 로핑으로 현가하고 있다.
트랙션 도르래(17)에 권취된 권취 로프(5)의 타단부측은 균형추(18)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추측 도르래(18a)를 향해 트랙션 도르래(17)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5d)과, 추측 도르래(18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좌측 히치부(6L)에 고정되는 부분(5e)으로 이루어지고, 균형추(18)를 2 : 1 로핑으로 현가하고 있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16L, 16R)는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카(10)의 중심(G)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권취 로프(5)의 각 부분 중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16L, 16R)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5b)이 수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카(10)의 중심(G)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16L, 16R)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카(10)에 작용하는 중력과 카(10)를 상방으로 현수하는 힘이 수평 방향으로 크게 오프셋되는 일이 없어, 카(10)를 안정적으로 현가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카측 가이드 레일(11L, 11R)이 카(10)의 중심(G)에 대해 좌우 방향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10)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트랙션 도르래(17)의 회전축선과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16L, 16R)의 회전축선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이들 도르래를 배치할 수 있다.
혹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션 도르래(17)의 회전축선의 방향 각도와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16L, 16R)의 회전축선의 방향 각도가 접근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루는 각도가 0도 내지 45도의 범위에서 연장되도록 이들 도르래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트랙션 도르래(17)와 좌측의 카측 도르래(16L) 사이에서 연장되는 권취 로프(5)의 어긋남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10)가 최상방 위치까지 상승하여 트랙션 도르래(17)와 좌측의 카측 도르래(16L) 사이의 상하 방향 간격이 좁아졌을 때라도, 트랙션 도르래(17) 및 좌측의 카측 도르래(16L)의 로프 홈에 대한 권취 로프(5)의 경사각을 작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꼬인선으로 구성되는 권취 로프(5) 각 도르래의 로프 홈과의 접촉에 수반하여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권취 로프(5)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평평한 가요성의 로프 또는 벨트를 사용하여 카를 지지하는 카 상부 혹은 하부 도르래의 회전축과 트랙션 도르래의 회전축을 평행하게 하여 구성하여 엘리베이터에 비해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자유롭게 구동 장치, 트랙션 도르래, 카를 지지하는 도르래, 가이드 레일 등을 승강로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즉, 트랙션 도르래(17)와 상부 도르래(16L)를 전술한 소정의 관계로 해 두면 승강로 내에 있어서 자유롭게 각 부를 배치할 수 있고, 카, 승강로 단면 형상에 따 라서 자유롭게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16L, 16R)는 카(10)의 좌우 측벽(10L, 10R)의 근방에 있어서 카(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승강로 바닥부의 피트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트랙션 도르래(17)나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16L, 16R)뿐만 아니라, 트랙션 도르래(17)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22)나, 이 구동 장치(2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승강로의 정상부에 설치된 제어 장치(8)의 보수를 카(10)의 상부에 탄 작업원이 집중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권취 로프(5)가 카(10)의 좌우 측벽(10L, 10R)에 따라서 연장되지 않으므로, 카(10)의 좌측 측벽(10L)이 트랙션 도르래(17)의 하방에 오도록 카(10)를 확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를 일정하게 하였을 때에 카(10)로 인해 보다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환언하면, 카(10)의 수평 단면 치수를 일정하게 하였을 때에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좌측의 카측 도르래(16L)가 트랙션 도르래(17)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므로 트랙션 도르래(17)에 대한 권취 로프(5)의 권취 각도를 크게 취할 수 있고, 트랙션 도르래(17)에 대해 권취 로프(5)를 확실하게 마찰 결합시킬 수 있다.
게다가 또한, 트랙션 도르래(17)와 좌측의 카측 도르래(16L) 사이에 변환 도르래를 개재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승강로의 천정과 카(10) 사이의 상하 방향 간극, 이른바 톱클리어런스를 작게 할 수도 있다.
게다가, 카(10)의 하방에는 카측 도르래나 권취 로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승강로의 바닥부에 설치하는 버퍼를 카(10) 바닥면의 중심 위치에 대향시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보(13)의 하면과 카(10)의 상면 사이이고, 또한 전후 한 쌍의 종부재(14a, 14b) 사이에는 안내 수단으로서의 가이드 슈우(19)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의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와 같이 가이드 슈우(19)가 상부 보(13)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일이 없으므로, 카(10)는 좌우 한 쌍의 카측 가이드 레일(11L, 11R)의 최상단부에 가장 접근한 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로의 천정과 카(10) 사이의 상하 방향 간극, 이른바 톱클리어런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균형추(18)의 승강을 안내하는 전후 한 쌍의 추측 가이드 레일(20f, 20r)의 상단부 사이에는 상하 한 쌍의 횡벽(21a, 21b)과 이들 횡벽끼리를 접속하는 종벽(21c)을 가진 단면 형상이, 역ㄷ자형의 지지 프레임(21)이 전후 방향에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걸쳐져 블래킷(20a)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카측 가이드 레일(11L)의 상단부면과 지지 프레임(21)의 상면 사이에는 트랙션 도르래(17)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22)가 적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측의 카측 가이드 레일(11L)은 지지 프레임(21)의 상하 방향 치수분만큼 여분으로 전후 한 쌍의 추측 가이드 레일(20f, 20r)보다도 상방으로 연장되므로, 승강로의 천정을 향해 보다 상방까지 카(1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추측 가이드 레일(20f, 20r)과 1개의 카측 가이드 레일(11L)에 의해 구동 장치(2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22)는 지지 프레임(21)의 종벽(21a)의 배면보다도 카측 가이드 레일(11L)측으로 치우친 위치의 상방에 그 중심이 오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지지 프레임(2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의 구부림 모멘트가 지지 프레임(21)에 작용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구동 장치(22)의 중량이 작용해도 2개의 추측 가이드 레일(20f, 20r) 및 1개의 카측 가이드 레일(11L)이 모두 만곡되는 일이 없다.
또한, 지지 프레임(21)에 고정된 지지판에 좌측의 히치부(6L)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권취 로프(5)의 균형추(18)측 단부에 작용하는 장력을 합계 3개의 가이드 레일로 지지하므로 각 가이드 레일의 만곡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일실시 형태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16L, 16R)를 이용하여 카(10)를 현가하고 있지만, 좌측의 카측 도르래(16L)에 의해서만 카(10)를 현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동 장치(22)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21)의 단면 형상이 역ㄷ자형으로 되어 있지만, H자형 혹은 I자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균형추(18)가 카(10)의 좌측에 있어서 승강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카(10)의 뒤측에서 승강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즉,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카측 도르래를 카 상부에 설치하므로 상승로 바닥부의 피트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좌우 한 쌍의 카측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와,
    상기 승강로의 정상부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선 주위에 회전 구동되는 트랙션 도르래와,
    상기 트랙션 도르래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와,
    상기 카의 상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상부 보를 갖고, 상기 카를 지지하기 위한 카 프레임과,
    상기 카의 상면과 상기 상부 보 사이의 간극 내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그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상기 상부 보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접속되고, 그 좌우 양단부에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르래 지지 보와,
    상기 트랙션 도르래에 권취되는 동시에 그 일단부측이 상기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를 거쳐서 상기 카를 현가하고 또한 그 타단부측이 균형추를 현가하는 복수개의 로프로 이루어지는 권취 로프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는 상기 트랙션 도르래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혹은 상기 회전축선이 연장되는 방향 각도로 접근한 방향 각도로 연장되는 회전축선의 주위에 각각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는 상기 카의 좌우 측벽의 근방에 각각 배치되는 동시에, 서로 평행한 회전축선의 주위에 회전하는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는 수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카의 수직 방향의 투영면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카측 도르래는 수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카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카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카측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여 상기 카의 승강을 안내하는 상기 카 프레임의 상부에 부착된 안내 수단을 더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카 프레임 중 상기 카측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카측 가이드 레일을 전후 방향에 협지하도록 배치된 전후 한 쌍의 종부재를 갖고,
    또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상부 보의 하면과 상기 카의 상면 사이이고, 또한 상기 전후 한 쌍의 종부재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수직 방향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카의 수직 방향의 투영면과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로프의 타단부측에 의해 현가되는 균형추와,
    상기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전후 한 쌍의 추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전후 한 쌍의 추측 가이드 레일의 상단부 사이에 걸쳐져 전후 방향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하 한 쌍의 횡벽과 이들 횡벽끼리를 접속하는 종벽을 가진 지지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카측 가이드 레일 중 상기 추측 가이드 레일의 근방에 위치하는 카측 가이드 레일의 상단부면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면 상에 적재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종벽의 배면보다도 상기 카측 가이드 레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의 상방에 그 중심이 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로프의 타단부측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속 설치된 히치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11. 삭제
KR1020037016829A 2002-04-26 2003-04-11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KR100726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27231 2002-04-26
JPJP-P-2002-00127231 2002-04-26
JPJP-P-2002-00129164 2002-04-30
JP2002129164A JP4229633B2 (ja) 2002-04-26 2002-04-30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PCT/JP2003/004656 WO2003091143A1 (fr) 2002-04-26 2003-04-11 Ascenseur sans local de machineri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298A Division KR100769386B1 (ko) 2002-04-26 2003-04-11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021A KR20040019021A (ko) 2004-03-04
KR100726910B1 true KR100726910B1 (ko) 2007-06-12

Family

ID=292723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829A KR100726910B1 (ko) 2002-04-26 2003-04-11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KR1020067012298A KR100769386B1 (ko) 2002-04-26 2003-04-11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298A KR100769386B1 (ko) 2002-04-26 2003-04-11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93631B2 (ko)
EP (1) EP1500622B1 (ko)
JP (1) JP4229633B2 (ko)
KR (2) KR100726910B1 (ko)
CN (1) CN1301894C (ko)
AU (2) AU2003236219B2 (ko)
MY (1) MY138719A (ko)
TW (1) TWI225032B (ko)
WO (1) WO20030911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39194A1 (de) * 2012-03-15 2013-09-18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Treibscheibenaufzug ohne Triebwerksra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0831B2 (ja) * 2002-09-24 2009-06-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US7377366B2 (en) * 2002-11-25 2008-05-27 Otis Elevator Company Sheave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JP4303946B2 (ja) * 2002-12-09 2009-07-2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US8172041B2 (en) * 2004-06-01 2012-05-08 Toshiba Elevator Kabushiki Kaisha Machine room-less elevator
DE602004023135D1 (de) * 2004-07-19 2009-10-22 Otis Elevator Co Aufzugskabinenführungsvorrichtung für einen aufzug ohne maschinenraum
JP3968363B2 (ja) * 2004-12-27 2007-08-29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JP5046489B2 (ja) * 2005-03-01 2012-10-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JP4907120B2 (ja) * 2005-07-26 2012-03-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EP1760028B1 (en) * 2005-09-06 2009-07-22 Elex Italia S.r.l. Room-less lifting equipment for persons and goods
JP2007246194A (ja) * 2006-03-14 2007-09-27 Toshiba Elevator Co Ltd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EP2014597A1 (en) * 2006-05-01 2009-01-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CN101088901B (zh) * 2006-06-13 2012-05-02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无机房电梯装置
CN101096255B (zh) * 2006-06-30 2011-03-30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装置
JP5173281B2 (ja) * 2007-06-29 2013-04-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JP2010184791A (ja) * 2009-02-13 2010-08-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2011051736A (ja) * 2009-09-02 2011-03-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FI125068B (fi) * 2009-12-11 2015-05-29 Kone Corp Hissikorin ripustusjärjestely
CN101837922A (zh) * 2010-05-28 2010-09-22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电梯轿架的上梁结构
CN102180393A (zh) * 2011-04-25 2011-09-14 杭州优迈科技有限公司 电梯钢丝绳的缠绕方式及电梯
JP5846811B2 (ja) * 2011-08-31 2016-01-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昇降体
CN102616629A (zh) * 2012-03-20 2012-08-01 希姆斯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上置式无机房电梯
FI125124B (fi) * 2012-05-23 2015-06-15 Kone Corp Hissijärjestely ja menetelmä
JP2015037984A (ja) * 2013-03-07 2015-02-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2781481B1 (en) * 2013-03-19 2015-08-19 KONE Corporation A counterweight arrangement for an elevator
JP6082641B2 (ja) * 2013-04-05 2017-0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EP2842902B1 (en) * 2013-08-26 2016-02-03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CN105764829B (zh) * 2013-11-25 2019-12-20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电梯系统的底板
CN106458517A (zh) * 2014-06-11 2017-02-22 奥的斯电梯公司 电梯系统
CN104555651A (zh) * 2015-01-20 2015-04-29 浙江利顿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电梯上梁
WO2016166563A1 (en) 2015-04-17 2016-10-2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O2017072255A1 (de) * 2015-10-30 2017-05-04 Inventio Ag Wartungsplattform für eine aufzugskabine
CN108328460A (zh) * 2018-01-18 2018-07-27 天津莱茵克拉电梯有限公司 一种一体化别墅梯轿架
EP3560877A1 (en) * 2018-04-27 2019-10-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frame
CN109678036A (zh) * 2018-12-13 2019-04-26 中国矿业大学 矿山立井超深距离大载重提升系统及其配重分配方法
KR102233659B1 (ko) * 2019-07-15 2021-03-31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개수방법
CN117486040B (zh) * 2024-01-02 2024-04-30 紫金矿业建设有限公司 一种竖井采矿用罐笼旋调升降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4619B2 (ja) 1992-07-07 1997-10-15 コネ エレベータ ゲーエムベーハー 駆動綱車エレベータ
JPH11139717A (ja) 1997-10-29 1999-05-25 Otis Elevator Co 高速対応型エレベーター
JP2000318947A (ja) * 1999-05-12 2000-11-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0318948A (ja) * 1999-04-30 2000-11-2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1122564A (ja) * 1999-10-25 2001-05-08 Toshiba Elevator Co Ltd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JP2001171953A (ja) * 1999-12-16 2001-06-26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用駆動装置の支持装置
JP2002504469A (ja) * 1998-02-26 2002-02-1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かごと昇降路側壁との間に配置された駆動モータを有する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1478A (ja) * 1991-05-20 1992-11-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吊り車取付装置
FI94123C (fi) * 1993-06-28 1995-07-25 Kone Oy Vetopyörähissi
FI93632C (fi) * 1993-06-28 1995-05-10 Kone Oy Alakoneistoinen vetopyörähissi
JPH0859097A (ja) * 1994-08-03 1996-03-05 Otis Elevator Co 巻き上げ式エレベーター
US5957243A (en) * 1997-07-25 1999-09-28 Otis Elevator Company Tandem sheave assembly, and method to install an elevator car having a tandem sheave
PT1066213E (pt) 1998-02-26 2006-09-29 Otis Elevator Co Sistema de elevador com motor de accionamento montado em altura
JP2000086114A (ja) * 1998-09-14 2000-03-2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装置
US6848543B2 (en) * 1998-10-30 2005-02-01 Otis Elevator Company Single wall interface traction elevator
US6085874A (en) * 1998-12-22 2000-07-11 Otis Elevator Company Rail-climbing elevator counterweight having flat machines
JP2002080178A (ja) * 2000-09-04 2002-03-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002087738A (ja) * 2000-09-14 2002-03-27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かご上タラップ
AU2002228028B2 (en) * 2001-01-04 2006-04-13 Kone Corporation Gearless cable lift with a dual wind drive disk mechanism
JP4416381B2 (ja) * 2002-06-14 2010-02-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4619B2 (ja) 1992-07-07 1997-10-15 コネ エレベータ ゲーエムベーハー 駆動綱車エレベータ
JPH11139717A (ja) 1997-10-29 1999-05-25 Otis Elevator Co 高速対応型エレベーター
JP2002504469A (ja) * 1998-02-26 2002-02-1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かごと昇降路側壁との間に配置された駆動モータを有するエレベータ装置
JP2000318948A (ja) * 1999-04-30 2000-11-2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0318947A (ja) * 1999-05-12 2000-11-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1122564A (ja) * 1999-10-25 2001-05-08 Toshiba Elevator Co Ltd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JP2001171953A (ja) * 1999-12-16 2001-06-26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用駆動装置の支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39194A1 (de) * 2012-03-15 2013-09-18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Treibscheibenaufzug ohne Triebwerksra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25032B (en) 2004-12-11
AU2003236219A1 (en) 2003-11-10
WO2003091143A1 (fr) 2003-11-06
CN1301894C (zh) 2007-02-28
AU2003236219B2 (en) 2008-09-18
TW200306941A (en) 2003-12-01
US20040182651A1 (en) 2004-09-23
JP2004001904A (ja) 2004-01-08
EP1500622A4 (en) 2009-05-20
JP4229633B2 (ja) 2009-02-25
MY138719A (en) 2009-07-31
KR20040019021A (ko) 2004-03-04
KR20060082084A (ko) 2006-07-14
KR100769386B1 (ko) 2007-10-22
EP1500622B1 (en) 2012-02-22
US7293631B2 (en) 2007-11-13
EP1500622A1 (en) 2005-01-26
AU2008212041A1 (en) 2008-10-02
CN1522221A (zh)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910B1 (ko)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350988B2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JP4401069B2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JP4270831B2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US8172041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US7413055B2 (en) Elevator
JP4849712B2 (ja) エレベータ
US7562745B2 (en) Elevator with an operation space in a center of a machine room
JP5046489B2 (ja) エレベータ
JP2012056773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KR100871361B1 (ko)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KR100789518B1 (ko)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JP449375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091218B2 (ja) エレベータ
WO2020100306A1 (ja) エレベーター
JP200827374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