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435B1 - 조작스위치 배선기구 - Google Patents

조작스위치 배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435B1
KR100724435B1 KR1020050094216A KR20050094216A KR100724435B1 KR 100724435 B1 KR100724435 B1 KR 100724435B1 KR 1020050094216 A KR1020050094216 A KR 1020050094216A KR 20050094216 A KR20050094216 A KR 20050094216A KR 100724435 B1 KR100724435 B1 KR 100724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operation switch
relay
wiring mechanism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092A (ko
Inventor
타케시 하테마타
타카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11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38253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2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Liquid crys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4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58Casings flush 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3Application domotique, e.g. for house automation, bus connected switches, sensors, loads or intelligent wi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4Programmable interface between a set of switches and a set of functions, e.g. for reconfiguration of a control pan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4Protecting elements,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별도로 형성된 어드레스 설정기를 이용하는 일없이, 어드레스의 설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소형의 조작스위치 배선기구를 제공한다.
조작스위치 배선기구는 3개 모듈 치수로 형성된 기기체(10)를 구비하고, 이 기기체(10)의 앞면에, 릴레이의 어드레스에 대응된 어드레스가 개별적으로 할당되는 8개의 조작스위치의 조작자에 씌운 조작버튼(B1~B8)과, 각 조작스위치의 어드레스의 조합을 복수의 조합 중에서 택일적으로 선택하는 로터리 스위치의 조작자(26)를 배치함과 아울러, 기기체(10)의 내부에, 각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와 조작된 조작스위치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전송신호를 신호선에 송출하는 신호처리부를 수납하고, 또한 기기체(10)의 앞면에, 앞면의 거의 전체를 덮는 화장 커버(13)를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Description

조작스위치 배선기구{OPERATION SWITCH WIRING MECHANISM}
도 1은 실시형태1의 조작스위치 배선기구를 나타내고, 화장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상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동상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4는 동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동상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6은 동상을 이용하는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2의 조작스위치 배선기구를 나타내고, 도 7(a)~도 7(c)은 화장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3에 이용하는 릴레이 블록을 나타내고, 도 8(a)은 릴레이 블록의 외관사시도, 도 8(b)은 릴레이 블록과 본체 유닛의 접속부분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4의 조작스위치 배선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상을 나타내고, 도 10(a)은 정면도, 도 10(b)은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동상의 화장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a)은 일부생략한 정면도, 도 11(b) 및 도 11(c)은 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동상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고, 화장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일부생략 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동상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내고, 화장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일부생략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동상의 다른 구조에 있어서의 화장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a)는 일부생략한 정면도, 도 14(b) 및 도 14(c)는 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동상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내고, 화장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일부생략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7은 동상의 전송신호의 설명도이다.
도 18(a)~도 18(c)은 종래의 조작 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기체 13 … 화장 커버
26 … 조작자 B1~B8 … 조작버튼
본 발명은, 조명 부하 등의 부하의 원격감시제어를 행하는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이용되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부하의 원격감시제어를 행하기 위해 신호선을 통해서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신호를 송신하고, 부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릴레이 를 전송신호에 의해 개폐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원격감시제어시스템으로서는, 예컨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선식의 신호선(105)에, 전송유닛(100)과, 조작스위치(103)의 상태를 감시하는 조작 단말기(101)와, 릴레이(104)의 릴레이 접점(도면 생략)에 의해 조명기구와 같은 부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제어 단말기(102)를 접속해서 구성되는 것이 있고, 본 시스템에서는 조작 단말기(101) 및 제어 단말기(102)에 설정되어 있는 개별 어드레스을 이용하여 전송유닛(100)이 조작 단말기(101) 및 제어 단말기(102)를 각각 별도로 인식한다. 또한, 도면 중의 106은 릴레이(104)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트랜스이다.
이러한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는, 전송유닛(100)으로부터 도 1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형식을 갖는 전송신호(Vs)를 송출함으로써, 각 단말기(101,10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고 있다. 즉 전송신호(Vs)는, 신호의 송출 개시를 나타내는 시작 펄스(ST), 신호의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데이터(MD), 각 단말기(101,102)를 개별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어드레스 데이터(AD), 부하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CD), 전송오류를 검출하는 체크섬 데이터와 같은 에러 정정부호(CS), 각 단말기(101,102)로부터 반송신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대기기간(WT)으로 이루어지는 복극성(±24V)의 시분할 다중신호이며, 펄스폭변조에 의해 데이터가 전송되게 되어 있다.
각 단말기(101,102)에서는, 각각 신호선(105)을 통해서 수신한 전송신호(Vs)의 어드레스 데이터(AD)에 포함되는 어드레스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자신의 어드레 스와 일치하면, 전송신호(Vs)로부터 제어 데이터(CD)를 받아들임과 아울러, 전송신호(Vs)의 반송 대기기간(WT)에 데이터를 전류모드신호[신호선(105)을 적당한 저임피던스를 통해서 단락하는 것에 의해 송출되는 신호]로서 반송한다.
조작 단말기(101)에서는, 조작스위치(103)의 조작이 있으면 도 17(b)에 나타내는 통상시에 전송되어 오는 전송신호(Vs)의 시작 펄스(ST)의 수신기간에 인터럽트 신호(Vi)를 도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류 모드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전송유닛(100)에는 신호 송신수단과 인터럽트 처리수단이 설치되고, 신호 송신수단에 의해 모드 데이터(MD)를 폴링 모드로서, 항상 감시할 대상의 단말기 혹은 더미의 어드레스 데이터(AD)를 가지는 전송신호(Vs)를 항상 송출하고 있고, 이 모드의 전송신호(Vs)의 시작 펄스(ST)에 동기해서 조작 단말기(101)로부터 조작스위치(103)의 조작에 대응해서 송출되는 인터럽트 신호(Vi)가 수신되면, 인터럽트 처리수단에서는 조작 단말기(101)를 그룹 단위로 식별하는 그룹 어드레스를 가지는 전송신호(Vs)를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인터럽트 신호(Vi)를 송신한 조작 단말기(101)를 검출하게 되어 있다.
이 때, 인터럽트 신호를 송출한 조작 단말기(101)는 자기가 속하는 그룹 어드레스의 액세스시에 자기 어드레스를 반송 대기기간(WT)에 반송신호로서 반송하고, 이 반송신호를 수신한 전송유닛(100)에서는 보내져 온 어드레스 데이터를 기초로 인터럽트 신호(Vi)를 송출한 조작 단말기(101)를 검출하여, 상기 조작 단말기(101)를 액세스하는 전송신호(Vs)를 송출하고, 상기 조작 단말기(101)로부터 반송 대기기간(WT)에 조작스위치(103)의 조작 데이터를 감시 데이터로서 반송신호에 의 해 반송시킨다.
전송유닛(1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인터럽트 처리를 거쳐서, 상기 조작 단말기(101)에 대응관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어 단말기(102)로의 제어 데이터(CD)를 감시 데이터에 기초해서 작성하여, 상기 제어 단말기(102)의 어드레스 데이터(AD)와 함께 전송신호(Vs)에 의해 시분할 다중전송한다. 이 전송신호(Vs)에 의해 액세스된 제어 단말기(102)는 릴레이(104)를 제어 구동하여, 그 릴레이 접점에 의해 부하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한다.
그리고, 이러한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는 조작 단말기(101)의 조작스위치(103)의 조작에 따라서, 대응하는 제어 단말기(102)에 의해 릴레이(104)를 통해서 부하를 온/오프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송유닛(100)이, 조작 단말기(101)와 제어 단말기(102)를 어드레스에 의해 대응시킨 데이터 테이블인 제어 테이블을 저장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고, 어느 하나의 조작 단말기(101)에서의 조작스위치(103)의 온/오프 정보가 전송신호(Vs)를 이용하여 전송유닛(100)에 통지되면, 제어 테이블에 의해 상기 조작 단말기(101)에 대응되어 있는 제어 단말기(102)에 대해서 전송신호을 이용하여 릴레이(104)를 개폐하는 지시를 전송하고, 이 지시를 받은 제어 단말기(102)에 있어서 릴레이(104)가 개폐된다. 여기서, 1대의 조작 단말기(101)는 최대 4회로의 조작스위치(103)을 구별해서 이용할 수 있게 구성됨과 아울러, 1대의 제어 단말기(102)는 최대 4회로의 릴레이(104)를 구별해서 이용할 수 있게 구성되고 있고, 전송유닛(100)에 설치한 제어 테이블에서는 조작스위치(103) 및 릴레이(104)의 회로별로 대응관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 테이블에서는, 조작스위치(103)와 릴레이(104)를 일대일로 연결시키는 것 외에, 1 : 다수로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컨대, 릴레이(104)를 사용해서 부하로서의 조명기구로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것으로 하면, 전송유닛(100)에서는, 1개의 스위치로 1회로의 조명기구의 점등과 소등을 행하는 개별제어와, 1개의 스위치로 복수 회로의 조명기구의 점등과 소등을 일괄해서 행하는 일괄제어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개별제어는 1지시로 1회로의 부하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고, 일괄제어는 1지시로 복수 회로의 부하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일괄제어로서는, 제어대상이 되는 부하의 범위를 스위치에 대응시켜 두고, 1개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해당 범위의 부하를 일괄해서 온 또는 오프하는 그룹 제어와, 제어대상이 되는 부하의 어드레스의 범위와 각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부하의 온과 오프의 구별을 스위치에 대응시켜 두고, 1개의 스위치의 조작으로 해당 범위의 부하를 각각 온 또는 오프하는 패턴 제어가 있다.
그런데, 종래부터 그룹 제어나 패턴 제어 등의 일괄제어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단말기(102)의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어드레스 설정기가 제공되고 있었지만(예컨대 특허문헌1 또는 특허문헌2 참조), 조작 단말기(101)나 제어 단말기(102) 이외의 시스템 구성요소가 늘어나고, 또한 어드레스 설정기는 설정시 밖에 사용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제어시에는 불필요한 시스템 구성요소가 늘어나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어드레스 설정기를 사용하지 않고, 조작 단말기(101)에서 조작스위치(103)에 할당한 어드레스를 변경하여 부하제어를 행할 수 있게 한 것이 종래부터 제공되고 있고, 예컨대 도 18(a)에 나타내지는 셀렉터 스위치(110)에서는,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셀렉터 키(111)를 구비하고, 각 셀렉터 키(111)의 어드레스를 설정 스위치부(112)가 구비된 각종 조작스위치로 설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치 스위치가 부착된 액정 패널(121)을 구비한 셀렉터 스위치(121)도 제공되고 있고, 액정 패널(121)의 화면 상에 작성된 조작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패턴 어드레스나 그룹 어드레스의 설정을 행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2-108493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 평6-303681호 공보
상술한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는, 어드레스 설정기를 이용하지 않고서 조작 단말기(101)의 어드레스를 변경하여 릴레이(104)의 어드레스와의 대응관계를 변경할 경우, 다수의 셀렉터 키(111)와 각 셀렉터 키(111)의 어드레스 설정을 행하는 설정 스위치부(112)를 구비한 셀렉터 스위치(110)를 사용하거나, 또는, 터치 스위치가 부착된 액정 패널(121)을 구비한 셀렉터 스위치(120)를 이용하고 있었지만, 셀렉터 스위치(110,120)는 예컨대 관리인실 등에 설치되어 시스템 전체의 조명 부하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고, 그 때문에 패턴 제어나 그룹 제어 등의 많은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스위치 자체가 대형이며 고가인 것으로 되고, 또한 설정 조작이 복잡하기 때문에 어드레스의 설정에 익숙한 사람이 아니면 설정작업이 어려웠다.
또한 도 1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영면에 매입 배치되는 조작 단말기(101)의 배면에 어드레스 설정을 위한 4비트의 딥 스위치(DS)를 설치하고, 딥 스위치(DS)의 조작에 의해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것도 종래부터 제공되고 있지만, 조작 단말기(101)를 매입 배치하기 전에는 어드레스 설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나, 매입 배치한 후에는 딥 스위치(DS)가 시공면의 내측에 숨겨지기 때문에, 조작 단말기(101)를 떼어내지 않으면 어드레스의 설정을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별도로 형성된 어드레스 설정기를 이용하는 일없이, 어드레스의 설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소형의 조작스위치 배선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은, 개별 어드레스가 할당된 조작스위치의 온/오프를 감시하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와, 개별 어드레스가 할당된 릴레이의 개폐를 제어하는 원격제어 배선기구를 신호선에 접속하고, 조작스위치 배선기구가,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와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신호를 신호선에 출력하고, 조작스위치의 어드레스와 대응된 어드레스의 릴레이를 원격제어 배선기구가 개폐하는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이용되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로서, 매입형의 배선기구용으로 규격화된 일련의 설치 프레임에 3개까지 부착가능한 단위치수의 배선기구를 단폭방향으로 3개 배열한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고, 앞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시공면에 매입 배치되는 기기체를 구비하고, 기 기체의 앞면에, 릴레이의 어드레스에 대응된 어드레스가 개별적으로 할당되는 복수개의 조작스위치와, 각 조작스위치의 어드레스의 조합을 복수의 조합 중에서 택일적으로 선택하는 어드레스 설정부를 배치함과 아울러, 기기체의 내부에, 각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와 조작된 조작스위치의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신호를 신호선에 송출하는 신호처리부를 수납하고, 또한, 기기체의 앞면에, 어드레스 설정부를 적어도 덮는 화장 커버를 착탈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기기체의 앞면에, 어드레스 설정부에 의한 어드레스의 설정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의 발명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 배선기구는, 상기 기기체의 내부에, 신호선을 통해서 전송신호에 의해 송신되는 원격제어 배선기구에 접속된 릴레이의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과, 수신한 릴레이의 어드레스 정보와 어드레스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복수개의 조작스위치의 어드레스를 비교하고, 설정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릴레이가 전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설정 에러를 표시하는 수단을 더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는, 복수의 상기 릴레이의 어드레스와 다대일(many-to-one)의 관계로 대응된 어드레스가 할당되고, 상기 화장 커버는, 상기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의 발명은, 청구항4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설정부는, 상기 릴레이의 어드레스 중에서 제어대상범위의 선두의 어드레스와 제어대상범위의 최종 어드레스 및 그 사이에 존재하는 1 내지 복수의 어드레스의 조합을 택일적으로 선택하는 것이며, 상기 제어대상범위의 선두의 어드레스 및 제어대상범위의 최종 어드레스가 개별적으로 수동으로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6의 발명은, 청구항4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설정부는, 상기 릴레이의 모든 어드레스마다 상기 조작스위치의 어드레스와의 대응의 유무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1)
우선 본 실시형태를 이용하는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개요를 도 6의 전체구성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시스템은, 2선식의 신호선(7)에, 도 16에 나타낸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조작 단말기(101)의 기능을 갖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와, 전송유닛(100)의 기능을 갖는 릴레이 제어 모장치(parent device)(이하, 모장치라고 약칭한다)(2)와, 전송유닛(100)의 기능은 갖지 않고 제어 단말기(102)의 기능을 갖는 복수대의 릴레이 제어 자장치(child device)(이하, 자장치라고 약칭한다)(3)를 접속해서 구성된다. 원격제어 배선기구로서의 모장치(2)와 자장치(3)는, 본체 유닛(4,4')에 릴레이 블록(5)을 착탈가능하게 접속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각 릴레이 블록(5)은 대응하는 부하(6)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릴레이를 구비하고 있다.
모장치(2)는 전송유닛(100)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2선식의 신호선(7)을 통해서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를 접속함으로써,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에 설치한 복수개(예컨대 8개)의 조작스위치(SW1~SW8)의 조작을 모장치(2)에 설치한 릴레이 블록(5)이 구비하는 릴레이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자장치(3)에는 제어 단말기(102)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신호선(7)을 이용해서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를 접속하고 있는 모장치(2)에, 신호선(7)을 통해서 자장치(3)를 접속하면,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에 설치한 8개의 조작스위치(SW1~SW8)의 조작을 자장치(3)에 설치한 릴레이 블록(5)이 구비하는 릴레이에 반영할 수 있다.
여기서, 모장치(2)에는 최대 8개의 릴레이 블록(5)을 접속할 수 있고, 모장치(2)에 접속되는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는 1~8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릴레이 블록(5)은 본체 유닛(4)에 대하여 일렬로 연접되어 있고, 각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는 한쪽끝에 접속된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를 1로 하고, 끝에서부터 N번째의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를 N(N=1,2,3…8)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서는 모장치(2)에 자장치(3)를 최대 10대까지 접속할 수 있고, 각각의 자장치(3)에는 릴레이 블록(5)을 최대 4개까지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며, 자장치(3)에 접속되는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는, 자장치(3)에 설치한 로터리 스위치(8)를 이용해서 설정된다. 즉, 각각의 자장치(3)에 접속되는 4개의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는 연속한 번호로 설정되고, n(1에서 10까지의 정수)을 로터리 스위치(8)의 회전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하면, 로터리 스위치(8)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선두 어드레스가 (4×n+5)로 결정된다. 따라서, 각각의 자장치(3)에 접속되는 4개의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는 9~12, 13~16, 17~20, …, 45~48 중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설정되게 된다.
그리고 이 시스템의 최대 구성은, 모장치(2)를 1대, 자장치(3)를 10대로 하고, 모장치(2)에 릴레이 블록(5)을 8대, 각 자장치(3)에 릴레이 블록(5)을 4대씩 접속한 경우이며, 릴레이 블록(5)은 전체 48대 접속되게 되고, 그 어드레스는 1~48까지의 번호로 설정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의 구성에 대해서 도 1~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의 회로 블록도이고,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컨트롤부(1a)와, 8개의 조작스위치(SW1~SW8)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부(1b)와, 로터리 스위치(RS)로 이루어지는 어드레스 설정부(1c)과, 신호선(7)을 통해서 전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입력부(1d)와, 신호선(7)을 통해서 전송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출력부(1e)와, 각 조작스위치(SW1~SW8)에 대응해서 설치한 8개의 발광다이오드(LD1~LD8)로 이루어지는 표시부(1f)와, 신호선(7)을 통해서 송신되는 복극(複極)의 전송신호(Vs)를 전파정류(full-wave rectification)함으로써 내부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1g)를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한다.
도 4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의 분해 사시도이고,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의 기기체(10)는 합성수지제의 보디(11)와 커버(12)를 결합해서 구성되고, 커버(12)의 앞면에는 합성수지제의 화장 커버(13)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기기체(10)는, 매입형의 배선기구용으로 규격화된 일련의 설치 프레임에 3개까지 부착가능한 단위치수의 매입형 배선기구를 단폭방향으로 3개 배열한 치수(3개 모듈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앞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시공면에 매입 배치된다.
보디(11)는 앞면이 개구한 세로로 긴 대략 상자형상이고,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측면에는 1쌍의 걸림 돌기(16)가 상하로 이간되어 돌출되어 있다. 한편, 커버(12)는 보디(11)의 개구를 폐쇄하는 직사각형 판형상이고,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 측변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는 각 1쌍의 조립 설편(17)이 후방으로 연장되고, 각 조립 설편(17)에 설치한 걸림 구멍(17a)에 걸림 돌기(16)가 결합함으로써 보디(11)와 커버(12)가 결합된다. 또한 걸림 돌기(16)와 조립 설편(17)을 결합시킬 때에는 걸림 돌기(16)의 끝면에 설치한 테이퍼(16a)와 조립 설편(17)의 탄성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보디(11)의 상하 양측면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는 설치편(18,18)이 상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 설치편(18)에는 시공면에 매설된 매입 박스(도면 생략)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박스 나사를 삽입통과시키는 긴구멍(19)과, 벽재 등에 보디(11)를 직접 부착하기 위한 설치 나사를 삽입통과하는 나사 삽입통과구멍(20)과, 앞면에 화장 커버(13)를 노출시키는 창구멍을 갖는 플레이트 프레임(도면 생략)을 부착하기 위한 플레이트 나사용 나사구멍(21)이 적어도 설치되어 있다.
보디(11)의 내부에는, 도 5에 나타낸 각 부(1a~1g)를 구성하는 조작스위치(SW1~SW8), 로터리 스위치(RS), 발광다이오드(LD1~LD8) 등의 회로부품을 실장한 프린트 배선판으로 이루어지는 회로기판(22)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8개의 조작스위치(SW1~SW8)는 회로기판(22)의 우측끝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됨과 아울러, 8개의 발광다이오드(LD1~LD8)는 회로기판(22)의 좌측끝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대응하는 조작스위치(SW1…)와 발광다이오드(LD1…)가 좌우로 배열하여 배치되 어 있다. 또한, 로터리 스위치(RS)는 회로기판(22)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커버(12)는, 나사 삽입통과구멍(20) 및 나사구멍(21)이 형성된 설치편(18,18)의 단부를 제외한 보디(11) 앞면의 거의 전체를 덮는 것이 가능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긴구멍(19,19)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C자형으로 노치된 노치부(23,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12)에는, 조작스위치(SW1~SW8)에 대향하는 부위에 각 조작스위치(SW1~SW8)의 조작자에 씌워지는 조작버튼(B1~B8)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발광다이오드(LD1~LD8)에 대향하는 부위에 각이 진 형의 발광다이오드(LD1~LD8)를 각각 삽입통과시키는 8개의 투과구멍(24)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12)의 중앙부에는 각이 진 형으로 오목한 오목부(25)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25)의 바닥에는 로터리 스위치(RS)의 조작자(26)를 삽입통과시키는 삽입통과구멍(25a)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25)의 저면에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명판(30)이 부착되고, 명판(30)의 중앙의 구멍을 통해서 조작자(26)가 전방으로 돌출한다. 이 명판(30)에는 조작자(26)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눈금이나, 각 눈금으로 전환했을 때에 설정되는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숫자(예컨대 「1~8」, 「9~16」등)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화장 커버(13)는, 길이방향 및 단폭방향의 치수가 커버(12)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된 직사각형 판형상이며, 이면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는 각 1쌍의 조립 클로편(27)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각 조립 클로편(27)을 커버(12)의 설치구멍(28) 내에 삽입하여, 각 조립 클로편(27)의 선단의 클로(27a)를 설치구멍(28)의 구멍 가장자리에 결합시킴으로써, 화장 커버(13)가 커버(12)에 착탈가능하 게 부착된다. 또한, 화장 커버(13)의 후면 아래측 가장자리에는 분리 홈(29)이 형성되어 있고, 화장 커버(13)를 커버(12)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분리 홈(29) 내에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의 선단을 삽입하여 공구를 비틈으로써, 조립 클로편(27)의 클로(27a)와 설치구멍(28)의 결합이 빠지기 때문에, 화장 커버(13)를 커버(12)[기기체(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화장 커버(13)에는, 커버(12)에 설치한 조작버튼(B1~B8)에 대향하는 부위에 각 조작버튼(B1…)을 각각 삽입통과시키는 둥근 구멍(31)이 관통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발광다이오드(LD1~LD8)에 대향하는 부위에 각 발광다이오드(LD1)의 발광면을 각각 노출시키는 투과구멍(32)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장 커버(13)의 좌우방향의 중앙부에는 카드 수납 오목개소(33)가 형성되어 있어, 이 카드 수납 오목개소(33) 내에 네임 카드(15)를 수납 장착한다. 그리고, 화장 커버(13)의 앞면에는, 카드 수납 오목개소(33) 내에 네임 카드(15)를 수납한 상태에서 가요성을 갖는 수지제의 표명판(14)이 붙여진다. 표명판(14)은 멤브레인 시트로 칭해지는 것으로, 화장 커버(13)의 앞면과 길이방향 및 단폭방향의 치수가 대략 동일한 박판모양으로 형성되어서, 화장 커버(13)의 둥근 구멍(31)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전방을 향해서 돔형상으로 돌출하는 누름 조작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명판(14)에는 적어도 화장 커버(13)의 투과구멍(32)에 대응하는 부위와 네임 카드(15)에 대응하는 부위에 투명부위로 이루어지는 투광부를 설치하고 있고, 이들 투광부를 통해서 발광다이오드(LD1~LD8)의 광이나 네임 카드(15)의 표시가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우선 회로부품이 실장된 회로기판(22)을 보디(11)의 내부에 수납한 후, 보디(11)의 앞면에 커버(12)를 씌워서 조립 설편(17)의 걸림 구멍(17a)에 걸림 돌기(16)를 결합시킴으로써, 보디(11)와 커버(12)가 결합된다. 이 때, 회로기판(22)에 실장된 각 조작스위치(SW1…)의 조작자에는 커버(12)에 전후이동가능하게 부착된 조작버튼(B1…)이 씌워지고, 발광다이오드(LD1~LD8) 및 로터리 스위치(RS)의 조작자(26)는 커버(12)의 투과구멍(24) 및 삽입통과구멍(25a)을 통해서 전방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카드 수납 오목개소(33) 내에 네임 카드(15)를 수납한 상태에서, 앞면에 표명판(14)이 붙여진 화장 커버(13)를 커버(12)[기기체(10)]의 앞면에 씌워서, 화장 커버(13)의 조립 클로편(27)을 커버(12)의 설치구멍(28)에 걸어 걸림시킴으로써, 화장 커버(13)가 커버(12)의 앞면에 부착된다. 이 때, 표명판(14)의 누름 조작부(14a)를 누르면, 누름 조작부(14a)가 오목해지므로 표명판(14)을 통해서 조작버튼(B1…)을 누름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에는 8개의 조작스위치(SW1~SW8)가 설치되어 있고, 각 조작스위치(SW1~SW8)의 어드레스를 상술한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에 대응시켜 설정함으로써, 각 조작스위치(SW1~SW8)의 조작에 따라 8개의 릴레이 블록(5)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최대 48개의 릴레이 블록(5)을 접속할 수 있으므로, 48개의 릴레이 블록(5)을 8개씩 6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서, 1대의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로 1그룹분의 릴레이 블록(5)의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48개의 릴레이 블록(5)에 대해서 1에서 48까지의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있으므로, 예컨대 어드레스 번호가 1~8, 9~16, 17~24, 25~32, 33~40, 41~48의 릴레이 블록(5)을 각각 1개의 그룹으로 그룹분리함으로써, 어드레스 번호에 따라 6개의 그룹으로 그룹분리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가 구비하는 8개의 조작스위치(SW1~SW8)에 대해서 연속한 어드레스를 오름차순으로 할당함과 아울러, 로터리 스위치(RS)의 조작자(26)의 회전위치에 따라 선두 어드레스[조작스위치(SW1)의 어드레스]가 1, 9, 17, 25, 33, 41의 8가지로 전환되고, 조작스위치(SW1~SW8)의 어드레스의 조합이 1~8, 9~16, …, 41~48 중 어느 하나로 전환 설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표명판(14)의 누름 조작부(14a)를 누름 조작하고, 표명판(14) 및 조작버튼(B1…)을 통해서 조작스위치(SW1…)를 누름 조작하면, 누름 조작된 조작스위치(SW1…)로부터 조작 입력이 컨트롤부(1a)에 주어지고, 상술한 인터럽트 처리를 거쳐 신호출력부(1e)로부터 누름 조작된 조작스위치(SW1…)의 어드레스가 감시 데이터로서 전송신호(Vs)에 의해 모장치(2)에 송신된다. 이 때 모장치(2)에서는, 수신한 전송신호(Vs)에 포함되는 어드레스가 모장치(2)에 접속된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와 일치하고 있으면, 이 릴레이 블록(5)의 개폐를 제어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대응하는 자장치(3)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자장치(3)에 의해 대응하는 어드레스의 릴레이 블록(5)의 개폐를 제어시키는 것이다. 그 후, 모장치(2)로부터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에 대하여 대응하는 릴레이 블록(5)의 제어 상태가 반송되므로, 컨트롤부(1a)가 누름 조작된 조작스위치(SW1…)에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LD1…)를 점등 또는 소등시켜서 릴레이 블록(5)의 개폐상태[즉 부하(6)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리 스위치(RS)의 조작자(26)의 회전위치에 따라 조작스위치(SW1~SW8)의 어드레스의 조합이 복수 가지로 전환되므로, 화장 커버(13)를 분리하여 로터리 스위치(RS)의 조작자(26)를 조작함으로써, 어드레스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조작스위치(SW1…)의 개수에 어드레스의 조합의 수를 곱한 수의 릴레이 블록(5)을 1대의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로터리 스위치(RS)의 조작자(26)는 화장 커버(13)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덮어져 있고, 설정시 이외에는 로터리 스위치(RS)의 조작자(26)가 화장 커버(13)에 의해 숨겨져 있으므로, 오조작이나 장난 등에 의해 어드레스의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의 기기체(10)는 3개 모듈 치수의 매입형 배선기구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셀렉터 스위치에 비해서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실시형태2)
본 발명의 실시형태2를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어드레스 설정부(1c)의 구성 이외에는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므로,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의 실시형태1에서는 어드레스 설정부(1c)를 로터리 스위치(RS)에 의해 구성하고, 로터리 스위치(RS)의 조작자(26)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조작스위치(SW1~SW8)의 어드레스의 조합이 8가지로 전환되게 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2)의 앞면이 모멘터리형의 푸시 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어드레스 설정용의 스위치(SW10)를 설치하고, 이 스위치(SW10)를 소정 시간이상 길게 누르면, 스위치(SW10)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을 받아서 컨트롤부(1a)의 동작이 어드레스 설정모드로 전환되고, 스위치(SW10)가 유효해진다. 어드레스 설정모드로 동작중에는 8개의 발광다이오드(LD1…) 중, 발광다이오드(LD1~LD6)가 어드레스의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서 동작하고, 발광다이오드(LD1,LD2,…,LD8)는 각각 어드레스 번호의 1~8, 9~16, …, 41~48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스위치(SW10)의 조작에 의해 어드레스 설정모드로 전환되면, 컨트롤부(1a)는 현재의 어드레스 설정에 대응한 발광다이오드(LD1…)를 점등시켜서, 현재의 어드레스 설정을 표시하고 있고, 그 후 스위치(SW10)를 1회 누름 조작할 때마다 컨트롤부(1a)는 어드레스 설정의 조합을 1~8→9~16→…→41~48→1~8→…과 같이 순환적으로 전환함과 아울러,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LD1…)를 점등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어드레스 설정이 종료하면, 스위치(SW10)를 길게 누르거나 또는 스위치(SW10)의 조작을 일정시간이상 행하지 않음으로써 컨트롤부(1a)는 어드레스 설정모드를 종료하고, 일반적인 제어모드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조작스위치(SW1…)의 어드레스의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설정 미스(오류)나 부품의 고장 등에 의한 잘못된 설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하(6)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D1~LD6)를 어드레스 설정의 표시수단으로서 겸용하고 있지만,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하(6)의 동작 표시용의 발광다이오드(LD1…)와는 별도로, 어드레스 의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D11~LD16)를 설치하고, 스위치(SW10)의 조작을 항상 유효하게 하여, 스위치(SW10)가 1회 누름 조작될 때마다 컨트롤부(1a)가 어드레스 설정의 조합을 1~8→9~16→…→41~48→1~8→…과 같이 순차적으로 전환함과 아울러,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LD11…)를 점등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LD11~LD16) 대신에 어드레스 설정의 조합을 숫자로 표시하는 7세그먼트의 LED 표시기(34)를 설치하고, 스위치(SW10)의 조작을 항상 유효하게 하여, 스위치(SW10)가 1회 누름 조작될 때마다 컨트롤부(1a)가 어드레스 설정의 조합을 1~8→9~16→…→41~48→1~8→…과 같이 순차적으로 전환함과 아울러, LED 표시기(34)의 표시를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고, 어드레스 표시용의 발광다이오드(LD11…)를 6개 설치할 경우에 비해서 표시수단이 콤팩트하게 되고, 스위치(SW1…)나 발광다이오드(LD1…)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게 된다. 여기서, LED 표시기(34)의 표시의 「1」 「2」… 「6」을, 각각, 어드레스의 1~8, 9~16, …, 41~48에 대응시키면, 1에서 6까지의 숫자로 어드레스의 설정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3)
본 발명의 실시형태3을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2에서 설명한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에, 릴레이 블록(5)이 전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어드레스의 그룹에는, 어드레스를 설정할 수 없는 기능을 추가하고 있다. 또한,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의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형태2와 마찬가지이므로,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은 본 실시형태를 사용하는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릴레이 블록(5)을 나타내고 있고, 릴레이 블록(5)은 기기체(50)의 내부에 래칭형의 릴레이를 내장하고 있다. 기기체(50)의 일면에는, 세트용 권선과 리셋용 권선에 각각 접속된 4개의 코일 단자(52)와,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된 삽입편(5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모장치(2) 및 자장치(3)의 본체 유닛(4,4')에 설치한 소켓부에 삽입편(51) 및 코일 단자(52)를 삽입 접속함으로써, 본체 유닛(4,4')에 릴레이 블록(5)이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본체 유닛(4,4')과 릴레이 블록(5)이 일체가 된다. 여기서, 본체 유닛(4,4')에는 1쌍의 검출 전극(41a,41b)이 설치되어 있고, 본체 유닛(4,4')에 릴레이 블록(5)을 접속하면, 검출 전극(41a,41b) 사이에 삽입편(51)이 삽입되어, 검출 전극(41a,41b) 사이가 삽입편(51)을 통해 도통하므로, 검출 전극(41a,41b) 사이가 단락 상태로 있는지 또는 개방 상태로 있는지를 검출함으로써, 릴레이 블록(5)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모장치(2)에서는, 본체 유닛(4)에 설치한 8개의 릴레이 소켓에 릴레이 블록(5)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항상 감시하고 있어, 릴레이 블록(5)이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면,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에 대하여 접속된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신호(Vs)에 의해 송신한다. 또한 자장치(3)도, 본체 유닛(4')에 설치한 4개의 릴레이 소켓에 릴레이 블록(5)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항상 감시하고 있고, 릴레이 블록(5)이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면, 모장치(2)에 대하여 접속된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신호(Vs)에 의해 송신하고, 이 정보는 모장치(2)로부터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에 대하여 전송신호(Vs)에 의해 송신된다.
이와 같이, 모장치(2) 및 자장치(3)는, 릴레이 소켓에 릴레이 블록(5)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항상 검출하고 있고, 그 검출 결과가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에 전송신호에 의해 송신되므로,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에서는, 릴레이 블록(5)이 전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어드레스의 그룹에 어드레스 설정부(1c)를 이용하여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의 신호입력부(1d)가, 모장치(2)로부터 전송신호(Vs)에서 송신되는 모장치(2) 및 자장치(3)에 접속된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면, 컨트롤부(1a)가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 정보를 기억시키고 있고, 어드레스 설정시에 스위치(SW10)를 조작해서 설정 어드레스가 전환된 경우에, 메모리에 기억된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 정보와 어드레스의 설정내용을 비교하여, 설정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릴레이 블록(5)이 1개라도 접속되어 있으면,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서 어드레스의 설정내용을 표시한다. 한편, 설정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릴레이 블록(5)이 전혀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컨트롤부(1a)는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소등시킨 채로 하고,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지 않음으로써 설정 에러를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이 어드레스의 릴레이 블록(5)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레이아웃 변경 등에 의해 릴레이의 수가 증감한 경우에도, 잘못된 어드레스로 설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4)
본 발명의 실시형태4를 도 9~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종 래기술에서 설명한 일괄제어 중 그룹 제어를 행하기 위한 조작스위치 배선기구이며,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이므로, 다소 형상이 다른 것이여도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릴레이 블록(5)을 일괄해서 온하기 위한 조작스위치(이하, 「일괄 온 조작스위치」라고 부른다)(SW11)와, 동일한 복수의 릴레이 블록(5)을 일괄해서 오프하기 위한 조작스위치[이하, 「일괄 오프 조작스위치」라고 부른다](SW12)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부(1b)과, 2개의 로터리 스위치(RS1,RS2)로 이루어지는 어드레스 설정부(1c)과, 일괄 온 조작스위치(SW11) 및 일괄 오프 조작스위치(SW12)에 대응해서 설치한 2개의 발광다이오드(LD9,LD10)로 이루어지는 표시부(1b)를 회로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회로는 회로기판(22)에 실장되어서 기기체(10) 내에 수납된다. 기기체(10)는, 앞면개구하는 직육면체형상의 보디(11)와, 보디(11)의 앞면개구를 폐쇄하는 커버(12)를 결합해서 형성된다. 보디(11)와 커버(12)는, 커버(12)의 양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조립 클로(12a)를 보디(11)의 양측벽에 형성한 조립 구멍(11a)에 결합시킴으로써 결합된다. 커버(12)는 실시형태1에서 설명한 일련의 설치 프레임을 겸하고 있다. 보디(11)의 후면에는 신호선(105)을 접속하기 위한 나사 부착의 단자(60)가 2개 노출된다. 단자(60)는, 대략 L형상으로 형성된 단자판(61)과, 단자판(61)에 있어서 보디(11)의 후면을 따라 배치되는 가로편에 나사결합하는 단자 나사(62)를 구비한다. 이 단자(60)는, 단자판(61)의 세로 편을 보디(11)의 후방벽에 삽입통과하고, 세로편의 선단부에 설치한 다리편(63)을 코킹함으로써 보디(11)에 고정된다. 각 단자(60)는 회로기판(22)의 회로에 리드선(64)을 통해서 접속된다.
커버(12)에는, 회로기판(22)에 실장된 일괄 온 조작스위치(SW11) 및 일괄 오프 조작스위치(SW12)의 푸시 버튼형의 작동자(35)에 대응하는 위치, 및 로터리 스위치(RS1,RS2)의 조작자(26)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각각 관통구멍(36)이 형성되고, 작동자(35) 및 조작자(26)는 관통구멍(36)을 통해서 커버(12)의 앞면측으로 돌출한다. 커버(12)에는, 일괄 온 조작스위치(SW11) 및 일괄 오프 조작스위치(SW12)에 대응한 발광다이오드(LD9,LD10)를 노출시키는 투과구멍(37)이 형성된다. 관통구멍(36), 투과구멍(37)은 커버(12)의 앞면에 형성된 오목개소(12b)의 저면에 개구하고, 이 오목개소(12b)에는 명판(38)이 끼워져 부착된다. 명판(38)에는 관통구멍(36), 투과구멍(37) 등에 대응하는 투과구멍(38a)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2)의 앞면의 대부분은 화장 커버(70)에 의해 덮여진다. 화장 커버(70)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인 핸들 기판(71)과, 핸들 기판(71)의 앞면에 형성된 오목개소(73)에 끼워져 부착되는 핸들 플레이트(72)를 구비한다. 핸들 기판(71)은, 커버(12)의 좌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고정편(74)과, 고정편(74)에 대하여 힌지부(도면 생략)를 통해서 각각 일체로 결합된 직사각형 판형상의 2장의 조작핸들(75)로 이루어진다. 고정편(74) 및 조작핸들(75)에는 커버(12)에 형성한 결합구멍(39)에 결합가능한 결합 클로(77)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74)에 설치한 결합 클로(77)는 결합구멍(39)에 결합하면 커버(12)에 대하여 고정편(74)의 이동을 금지하도록 돌출 치수가 설정되고, 조작핸들(75)에 설치한 결합 클로(77)는 결합구멍(39)에 결합한 상태에서 조작핸들(75)이 커버(12)에 이간 접촉하는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게 돌출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즉, 조작핸들(75)은 힌지부 등의 스프링력에 의해 커버(12)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조작핸들(75)에 대하여 미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결합 클로(77)와 결합구멍(39)의 결합에 의해 커버(12)로부터의 빠짐방지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조작핸들(75)에 대하여 미는 힘이 작용하면 힌지부를 중심으로 해서 조작핸들(75)이 커버(12)에 접근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조작핸들(75)에의 미는 힘에 의해 일괄 온 조작스위치(SW11) 및 일괄 오프 조작스위치(SW12)의 작동자(35)에 미는 힘을 작용시켜 양 스위치(SW11,SW12)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편(74)에는, 커버(12)의 투과구멍(37)에 대응해서 관통구멍(79)이 형성되고, 관통구멍(79)은 고정편(7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 단차부(41)에 면하고 있다. 오목 단차부(41)에는 투광성을 갖는 표시 커버(80)가 끼워져 부착되고, 표시 커버(80)는 점착제나 접착제을 이용하여 핸들 기판(71)에 고정 부착된다. 또한, 핸들 플레이트(72)는, 앞면의 좌우방향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돌출하게 만곡하고, 조작핸들(75)의 앞면에 설치된 오목개소(73)에 끼워져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를 조립할 때에는, 우선, 단자판(61)의 세로편을 보디(11)에 삽입하여 다리편(63)을 코킹하여 단자판(61)를 보디(11)에 고정하고, 단자 나사(61)를 단자판(61)에 나사결합시킨다. 다음에, 회로기판(22)과 단자판(61)을 리드선(64)에 의해 결선하고, 커버(12)에 명판(38)을 점착하고, 보디(11)와 커버(12)를 결합한다. 또한, 표시 커버(80) 및 핸들 플레이트(72)를 핸들 기판(71)에 고정한다. 그 후, 핸들 기판(71)을 커버(12)에 결합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괄 온 조작스위치(SW11) 및 일괄 오프 조작스위치(SW12)의 어드레스를, 복수의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에 1 : 다수로 대응시켜 설정함으로써, 일괄 온 조작스위치(SW11)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릴레이 블록(5)을 일제히 온하는 동시에 일괄 오프 조작스위치(SW12)의 조작에 따라 동일한 복수의 릴레이 블록(5)을 일제히 오프하는 제어(그룹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한쪽의 로터리 스위치(RS1)로 그룹 제어의 대상범위의 선두 어드레스를 설정함과 아울러, 다른쪽의 로터리 스위치(RS2)로 대상범위의 최종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예컨대 선두의 어드레스 번호를 9, 최종의 어드레스 번호를 32로 하면, 9~32의 어드레스가 할당된 24개의 릴레이 블록(5)이 그룹 제어의 대상범위로서 일괄해서 온/오프되게 된다. 본 시스템에서는 1대의 모장치(2)에 대해서 48개의 릴레이 블록(5)이 제어가능하고, 모장치(2)에 8개, 자장치(3)에 4개의 릴레이 블록(5)을 각각 접속할 수 있고, 또한 48개의 릴레이 블록(5)에 대하여 모장치(2)에 접속되는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1에서 48까지의 어드레스(어드레스 번호)를 할당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장치(2)에 접속되는 8개의 릴레이 블록(5)을 4개씩의 2개의 그룹으로 그룹 분리하고, 이 모장치(2)와 접속하는 최대 10대의 자장치(3)에 접속되는 4개의 릴레이 블록(5)을 1개의 그룹으로 하여 합계 12의 그룹으로 그룹 분리하고 있다. 즉, 어드레스 번호가 1~4의 그룹G1, 5~8의 그룹G2, 9~12의 그룹G3, 13~16의 그룹G4, 17~20의 그룹G5, 21~24의 그룹G6, 25~28의 그룹G7, 29~32의 그룹G8, 33~36의 그룹G9, 37~40의 그룹G10, 41~44의 그룹G11, 45~48의 그룹G12이며, 이들 그룹G1~G12에 각각 속하는 어드레스 번호의 범위가, 명판(38) 표면에 있어서의 로터리 스위치(RS1,RS2)의 조작자(26)가 삽입통과되는 투과구멍(38a)의 주위에 시계방향으로 기재되어 있다.(도 11 참조).
따라서, 한쪽의 로터리 스위치(RS1)의 조작자(26)의 회전위치에 따라 그룹 제어의 대상범위의 선두 어드레스가 1, 5, 9, 13, 17, 21, 25, 29, 33, 37, 41, 45의 12가지로 전환됨과 아울러, 다른쪽의 로터리 스위치(RS2)의 조작자(26)의 회전위치에 따라 그룹 제어의 대상범위의 종료 어드레스가 4, 8, 12, 16, 20, 24, 28, 42, 46의 12가지로 전환되는 것이다. 여기서, 그룹(G3~G12)은 10대의 자장치(3)와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리 스위치(RS1,RS2)로 어느 하나의 그룹(G3~G12)을 설정하는 것은, 모장치(2)에 접속되는 최대 10대의 자장치(3) 중 어느 2대를 그룹 제어의 대상범위의 최초와 최후로 설정하는 것과 같다. 또한, 도 11에서는 한쪽의 로터리 스위치(RS1)로 그룹 제어의 대상범위의 선두 어드레스의 어드레스 번호가 1로 설정되고, 다른쪽의 로터리 스위치(RS2)로 그룹 제어의 대상범위의 종료 어드레스의 어드레스 번호가 48로 설정되어 있고, 시스템상의 48개의 릴레이 블록(5)이 모두 그룹 제어의 대상범위에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화장 커버(70)의 조작핸들(71)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일괄 온 조작스위치(SW11) 또는 일괄 오프 조작스위치(SW12)를 누름 조작하면, 누름 조작된 조작스위치(SW11,SW12)로부터 조작 입력이 컨트롤부(1a)에 주어지고, 상술한 인터럽트 처리를 거쳐서 신호출력부(1e)로부터 그룹 제어의 대상범위에 포함되는 복수의 어드레스가 감시 데이터로서 전송신호(Vs)에 의해 모장치(2)에 송신된다. 이 때 모장치(2)에서는, 수신된 전송신호(Vs)에 포함되는 어드레스가 모장치(2)에 접속된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와 일치하고 있으면, 이들 복수의 릴레이 블록(5)의 개폐를 제어하고, 일치하지 않고 있으면 대응하는 1 내지 복수의 자장치(3)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각 자장치(3)에 의해 대응하는 복수의 어드레스의 릴레이 블록(5)의 개폐를 제어시키는 것이다. 그 후, 모장치(2)로부터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에 대해서 대응하는 릴레이 블록(5)의 제어 상태가 반송되므로, 컨트롤부(1a)가 누름 조작된 일괄 온 조작스위치(SW11) 또는 일괄 오프 조작스위치(SW12)에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LD9,LD10)를 점등 또는 소등시켜서 릴레이 블록(5)의 개폐상태[즉 부하(6)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로터리 스위치(RS1,RS2)의 조작자(26)의 회전위치에 따라 일괄 온 조작스위치(SW11) 및 일괄 오프 조작스위치(SW12)와 1 : 다수로 대응하는 릴레이 블록(5)의 어드레스의 조합(그룹 제어의 대상범위)이 복수 가지로 전환되므로, 화장 커버(70)를 분리하여 로터리 스위치(RS1,RS2)의 조작자(26)를 조작함으로써, 그룹 제어의 대상범위의 어드레스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로터리 스위치(RS1,RS2)의 조작자(26)는 조작핸들(75)을 구비한 화장 커버(7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덮여져 있고, 설정시 이외에는 로터리 스위치(RS1,RS2)의 조작자(26)가 화장 커버(70)에 의해 숨겨져 있으므로, 잘못된 조작이나 장난 등에 의해 어드레스의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로터리 스위치(RS1,RS2) 대신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업 키(82) 및 다운 키(83)와, 업 키(82) 및 다운 키(83)의 누름 조작에 의해 설정되는 어드레스 번호를 2자리로 디지털 표시하는 7세그먼트의 LED 표시기(84)의 세트를 어드레스 설정부(1c)에 2세트 설치하게 하면, 그룹 제어의 대상범위의 선두 어드레스 및 종료 어드레스로서, 1~48의 임의인 어드레스 번호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혹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드레스 설정부(1c)를 복수(5개)의 딥 스위치(DP1~DP5)로 구성하고, 각 딥 스위치(DP1~DP5)의 복수(10개)의 극을 각각 어드레스 번호의 1~48에 순서대로 할당하고, 예컨대, "1"로 전환되었을 때에 그룹 제어의 대상범위에 포함되게 하면, 그룹 제어의 대상범위를 연속한 어드레스 번호로 설정할 필요가 없게 되어, 설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자장치(3)의 대수를 최대 10대로 하고, 릴레이 블록(5)의 접속 대수는 모장치(2)가 최대 8개, 자장치(3)가 최대 4개와, 시스템 전체가 최대 48개로서 설명을 행했지만, 자장치(3)의 대수나 릴레이 블록(5)의 대수를 상기 대수에 한정한다는 취지는 아니고, 시스템의 용도나 부하의 대수 등의 사용조건에 따라 적당하게 대수를 설정하면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에서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가 1대밖에 접속되어 있지 않지만,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를 복수대(최대 6대) 접속해도 되고, 각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의 어드레스는 어드레스 설정부(1c)를 이용하여 다른 어드레스로 설정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있어서는, 조작 단말기 (101)와 제어 단말기(102)의 어드레스는, 단말기를 단위로 하여 설정되는 채널과, 조작스위치(103) 및 부하의 회로를 식별하는 부하 번호로 이루어지고, 현재의 상태의 제품에서는 채널은 0~63의 합계 64채널, 부하 번호는 각 채널에 대해서 4회로씩 설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각 조작 단말기(101) 및 각 제어 단말기(102)에 채널이 설정되고, 각 조작 단말기(101)는 최대 4개의 조작스위치(103)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 제어 단말기(102)에는 최대 4개의 부하가 접속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개별제어에 있어서는 합계 256회로의 부하가 제어가능하다. 이러한 조작스위치(103)와 부하의 대응관계는, 전송유닛(100)의 메모리에 설치한 제어 테이블에 설정된다. 즉, 시공시에는, 각 조작 단말기(101) 및 각 제어 단말기(102)에의 어드레스의 설정이 종료한 후, 조작스위치(103)와 부하의 대응관계를 제어 테이블에 설정함으로써, 조작스위치(103)의 조작에 대하여 원하는 부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개별제어에 있어서의 조작스위치(103)와 부하의 대응관계는 동일 어드레스가 대응하도록 하고 있고, 조작 단말기(101) 및 제어 단말기(102)에 어드레스를 설정하면 조작스위치(103)와 부하의 대응관계는 자동적으로 설정되게 되어 있다. 단, 조작 단말기(101)와 제어 단말기(102)는 단말기종별의 데이터에 의해 구별된다.
그리고, 상술의 종래 시스템의 조작 단말기(101)에 상당하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1)에 있어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룹 제어의 대상범위의 선두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채널의 10의 자리수 및 1의 자리수를 각각 설정하는 2개의 로터리 스위치(RS11,RS12)와, 동일한 대상범위의 종료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채널의 10의 자리수 및 1의 자리수를 각각 설정하는 2개의 로터리 스위치(RS21,RS22)로 이루어지는 어드레스 설정부(1c)를 설치하거나, 또는 로터리 스위치(RS11, RS12, RS21, RS22) 대신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업 키(82) 및 다운 키(83)와, 업 키(82) 및 다운 키(83)의 누름 조작에 의해 설정되는 채널과 부하 번호를 디지털 표시하는 7세그먼트의 LED 표시기(84)로 이루어지는 어드레스 설정부(1c)를 설치하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청구항1의 발명에 의하면, 기기체의 앞면에 복수개의 조작스위치가 배치되고, 어드레스 설정부을 이용하여 각 조작스위치의 어드레스의 조합을 복수의 조합 중에서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어드레스 설정부의 설정을 전환함으로써, 조작스위치의 개수에 어드레스의 조합의 수를 곱한 수의 릴레이를 1대의 조작스위치 배선기구로 조작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어드레스 설정부는 화장 커버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덮여지므로, 어드레스 설정시 이외에는 어드레스 설정부를 화장 커버로 덮음으로써, 오조작이나 장난 등에 의해 어드레스가 잘못 설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스위치 배선기구의 기기체는 매입형의 단위치수의 배선기구를 단폭방향으로 3개 배열한 치수(이 치수를 3개 모듈 치수라고 한다.)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셀렉터 스위치에 비해서 조작스위치 배선기구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라는 효과도 있다.
청구항2의 발명에 의하면, 표시수단의 표시로부터 어드레스 설정부에 의한 어드레스의 설정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어드레스의 잘못된 설정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3의 발명에 의하면, 수신된 릴레이의 어드레스 정보와 어드레스 설정부에서 설정된 어드레스를 비교하고, 설정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릴레이가 전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설정 에러를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대응하는 릴레이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어드레스에 설정된 경우에는 설정 에러를 표시함으로써, 레이아웃 변경 등에 의해 릴레이의 수가 증감된 경우에도, 잘못된 어드레스로 설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4의 발명에 의하면, 어드레스 설정부을 이용하여 조작스위치의 어드레스와 복수의 릴레이의 어드레스의 조합을 복수의 조합 중에서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어드레스 설정부의 설정을 전환함으로써, 조작스위치에 의해 일괄해서 온/오프되는 복수의 릴레이의 어드레스 설정이 조작스위치 배선기구만으로 가능하게 되고, 또한, 어드레스 설정부는 조작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을 구비한 화장 커버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덮여지므로, 어드레스 설정시 이외에는 어드레스 설정부를 화장 커버로 덮음으로써, 오조작이나 장난 등에 의해 어드레스가 잘못 설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5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스위치로 일괄해서 온/오프하고자 하는 릴레이의 어드레스 범위의 선두와 최후미의 각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설정부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가능하므로, 어드레스의 설정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6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스위치에 의한 온/오프의 대상이 되는 릴레이 의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설정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동으로 설정가능하므로, 청구항5의 발명과 같이 범위지정할 경우에 비교해서, 보다 세밀하게 또한 자유롭게 어드레스 설정을 행할 수 있다라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개별 어드레스가 할당된 조작스위치의 온/오프를 감시하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와, 개별 어드레스가 할당된 릴레이의 개폐를 제어하는 원격제어 배선기구를 신호선에 접속하고, 상기 조작스위치 배선기구가, 상기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와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신호를 신호선에 출력하고, 상기 조작스위치의 어드레스와 대응된 어드레스의 릴레이를 상기 원격제어 배선기구가 개폐하는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이용되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로서,
    매입형의 배선기구용으로 규격화된 일련의 설치 프레임에 3개까지 설치가능한 단위치수의 배선기구를 단폭방향으로 3개 배열한 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고, 앞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시공면에 매입 배치되는 기기체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체의 앞면에, 상기 릴레이의 어드레스에 대응된 어드레스가 개별적으로 할당되는 복수개의 조작스위치와, 각 조작스위치의 어드레스의 조합을 복수의 조합 중에서 택일적으로 선택하는 어드레스 설정부를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기기체의 내부에, 각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와 조작된 조작스위치의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신호를 신호선에 송출하는 신호처리부를 수납하고, 또한, 상기 기기체의 앞면에, 상기 어드레스 설정부를 적어도 덮는 화장 커버를 착탈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체의 앞면에, 상기 어드레스 설정부에 의한 어드 레스의 설정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 배선기구는, 상기 기기체의 내부에, 신호선을 통해서 전송신호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원격제어 배선기구에 접속된 상기 릴레이의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과, 수신된 릴레이의 어드레스 정보와 상기 어드레스 설정부에서 설정된 복수개의 조작스위치의 어드레스를 비교하고, 설정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릴레이가 전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설정 에러를 표시하는 수단을 더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는, 복수의 상기 릴레이의 어드레스와 다대일의 관계로 대응된 어드레스가 할당되고, 상기 화장 커버는, 상기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설정부는, 상기 릴레이의 어드레스 중에서 제어대상범위의 선두의 어드레스와 제어대상범위의 최종 어드레스 및 그 사이에 존재하는 1 내지 복수의 어드레스의 조합을 택일적으로 선택하는 것이며, 상기 제어대상범위의 선두의 어드레스 및 제어대상범위의 최종 어드레스를 개별적으로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설정부는, 상기 릴레이의 모든 어드레스마다 상기 조작스위치의 어드레스와의 대응의 유무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스위치 배선기구.
KR1020050094216A 2004-10-26 2005-10-07 조작스위치 배선기구 KR100724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11497A JP3838253B2 (ja) 2004-08-26 2004-10-26 操作スイッチ配線器具
JPJP-P-2004-00311497 2004-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092A KR20060052092A (ko) 2006-05-19
KR100724435B1 true KR100724435B1 (ko) 2007-06-04

Family

ID=3620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216A KR100724435B1 (ko) 2004-10-26 2005-10-07 조작스위치 배선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60068B2 (ko)
KR (1) KR100724435B1 (ko)
CN (1) CN100553363C (ko)
CA (1) CA2522140C (ko)
TW (1) TWI3015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042B1 (ko) * 2004-11-10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JP4442503B2 (ja) * 2005-04-25 2010-03-3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配線器具及びそれに用いるハンドル部材
EP2062807B1 (en) * 2006-09-26 2010-11-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Rotary switch
JP4996318B2 (ja) * 2007-04-24 2012-08-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US8364325B2 (en) 2008-06-02 2013-01-29 Adura Technologies, Inc. Intelligence in distributed lighting control devices
US20100114340A1 (en) * 2008-06-02 2010-05-06 Charles Huizenga Automatic provisioning of wireless control systems
US8275471B2 (en) * 2009-11-06 2012-09-25 Adura Technologies, Inc. Sensor interface for wireless control
US20100052487A1 (en) * 2008-08-29 2010-03-04 Michael Stein Frame for supporting keypad and other in-wall electronic components
USD668242S1 (en) 2008-08-25 2012-10-02 Russound/Fmp, Inc. In-wall audio system controller
US8849427B2 (en) * 2011-05-23 2014-09-30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Jog push button
US9192019B2 (en) 2011-12-07 2015-11-17 Abl Ip Holding Llc System for and method of commissioning lighting devices
CN106383588B (zh) * 2016-09-19 2023-10-13 深圳市摩集客数码科技有限公司 指令设定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893483B1 (ko) * 2017-01-16 2018-08-30 정우영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
JP6832529B2 (ja) * 2017-04-21 2021-02-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操作端末器
CN108819717A (zh) * 2018-06-02 2018-11-16 新乡市光明电器有限公司 车上军事岗位综合操控器
CN110311993B (zh) * 2019-07-09 2020-09-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app的空调地址管理系统
KR102127073B1 (ko) * 2019-07-25 2020-06-25 (주) 그린텍아이엔씨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
CN114625058A (zh) * 2022-04-21 2022-06-14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控制设备及其操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161A (ko) * 1996-12-13 1998-09-15 문성주 조명 제어 시스템
KR20010000346A (ko) * 2000-09-19 2001-01-05 박인표 스위치용 원격제어장치
KR20010074236A (ko) * 2001-04-12 2001-08-04 유영민 가정용조명기기전자제어시스템
JP2001313183A (ja) * 2000-04-28 2001-1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モコン式照明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196A (en) * 1883-10-09 Muffled school slate
JPH02108493A (ja) 1988-10-14 1990-04-20 Sumitomo Metal Ind Ltd セラミックス接合材
JP3215539B2 (ja) 1993-04-15 2001-10-09 松下電工株式会社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一括制御設定用端末器
DE4422215A1 (de) * 1994-06-24 1996-01-04 Zumtobel Licht Steuersystem für mehrere verteilt anzuordnende Verbraucher, sowie Verfahren zum In-Betrieb-Setzen eines solchen Steuersystems
JPH09179810A (ja) 1995-12-25 1997-07-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ユニット選択装置
KR100643013B1 (ko) 2004-06-25 2006-11-10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원격제어 배선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161A (ko) * 1996-12-13 1998-09-15 문성주 조명 제어 시스템
JP2001313183A (ja) * 2000-04-28 2001-1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モコン式照明システム
KR20010000346A (ko) * 2000-09-19 2001-01-05 박인표 스위치용 원격제어장치
KR20010074236A (ko) * 2001-04-12 2001-08-04 유영민 가정용조명기기전자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22140A1 (en) 2006-04-26
TW200636406A (en) 2006-10-16
CA2522140C (en) 2007-08-28
US20060089726A1 (en) 2006-04-27
CN1767691A (zh) 2006-05-03
KR20060052092A (ko) 2006-05-19
TWI301566B (en) 2008-10-01
US7760068B2 (en) 2010-07-20
CN100553363C (zh)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435B1 (ko) 조작스위치 배선기구
US7701359B2 (en) Setting device of control system
JP4915551B2 (ja) タイムスイッチ
JP4696849B2 (ja) 操作スイッチ配線器具
AU2016201840B2 (en) Improvements in Switches
JP3838253B2 (ja) 操作スイッチ配線器具
KR100779122B1 (ko) 조작 스위치 배선기구 및 그것에 사용하는 핸들부재
JP5044444B2 (ja) 操作端末器
JPH0530579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操作端末器
JPS6214145B2 (ko)
TWI405470B (zh) Switchgear
JP2886612B2 (ja) 遠隔操作用スイッチ装置
JP3517253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スイッチ装置
JP2710686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H0697797B2 (ja) 遠隔監視制御用端末器
JPS5947920B2 (ja) 多重伝送遠隔制御システムの操作スイツチ装置
JP2905571B2 (ja) 遠隔監視制御用端末器
JPH0799715A (ja) 操作用端末器の取付枠
JPH06303667A (ja) 電動シャッタシステム
JPH09288950A (ja) 遠隔制御用リレーユニット
JPH06303669A (ja) 電動シャッタシステムの操作装置
JP2011010037A (ja) 操作スイッチ配線器具
JP2011010036A (ja) 操作スイッチ配線器具
JPH0695786B2 (ja) 遠隔監視制御装置
JPH07212855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セレクタ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