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073B1 -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 - Google Patents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073B1
KR102127073B1 KR1020190090157A KR20190090157A KR102127073B1 KR 102127073 B1 KR102127073 B1 KR 102127073B1 KR 1020190090157 A KR1020190090157 A KR 1020190090157A KR 20190090157 A KR20190090157 A KR 20190090157A KR 102127073 B1 KR102127073 B1 KR 102127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ntrol panel
pcb
relays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우
우정엽
김범규
이기연
전종한
Original Assignee
(주) 그린텍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그린텍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 그린텍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90090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50/00Geotherma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536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racks or cabinets of standardised dimensions, e.g. electronic racks for aircraft or telecommunication equipment
    • H05K7/20554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 H05K7/2059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within rooms for removing heat from cabinets, e.g. by air conditioning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도 원방감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열로 온도 제어하고,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에 있어서, 제 1 통합케이블(140)과 제 2 통합케이블(160) 사이의 개별 배선마다 개폐를 제어하는 복수의 릴레이(420); 각 릴레이(420)마다 구비되고, 릴레이(420)에 인가되는 제 1 전압(430) 또는 제 2 전압(434)을 선택할 수 있는 전압변환스위치(152); 각 릴레이(420)마다 구비되고, 복수의 릴레이(420)를 제 1 그룹(460) 또는 제 2 그룹(464)으로 선택할 수 있는 그룹설정스위치(154); 및 복수의 릴레이(420), 전압변환스위치(152) 및 그룹설정스위치(154)가 탑재되는 PCB(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이 제공된다.

Description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Water and sewage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control panel by a printed circuit boards}
본 발명은 상하수도 원방감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열로 온도 제어하고,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방감시제어 시스템(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은 원방에 설치된 현장계기 및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원격소장치(RTU, Remote Terminal Unit)가 수집한 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앙감시실에 설치된 감시제어용 컴퓨터에 전송하여 현장의 상황을 온라인으로 감시제어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상하수도의 원방감시 제어반은 다수의 상수도 시설 및/또는 하수도 시설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런데, 종래의 상하수도 원방감시 제어반은 내부에 개별 전장품을 설치하고 이들 사이를 PVC 덕트를 통해 다량의 이면 배선을 연결하는 구성이었다. 또한, 종래의 상하수도 원방감시 제어반은 별도의 제어부나 프로세서가 내장되어 있지 않았고 환기용 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전부였다. 따라서, 하절기에는 내부 온도가 크게 상승하여 환기용 팬으로는 온도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었고, 제어반 내부의 전장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오랜 기간동안 사용됨에 따라 제어반의 내부로 먼지, 벌레,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고장의 원인이 되곤 하였다.
아울러, 수많은 릴레이와 스위치를 일일이 배선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사용중 배선불량으로 인한 고장이 잦았다. 또한, 고장이 발생했을 때 고장 부위를 찾기 어려웠고, 수많은 배선이 엉켜 있어서 미관상으로도 매우 좋지 않았다.
1. 미국 특허출원 제 14/378261호(Cooling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 a subsurface environment) 2. 미국 특허출원 제 13/184951호(Telecom utility cabinet arranged for air-based geothermal cool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열을 이용하여 계절과 상관없이 원방감시 제어반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지열로 온도 제어하는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전장품 사이의 배선을 통합 배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하고, 내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열로 온도 제어하는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의 먼지, 해충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접지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지열로 온도 제어하는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릴레이와 스위치 사이의 배선을 PCB로 구현한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에 있어서, 제 1 통합케이블(140)과 제 2 통합케이블(160) 사이의 개별 배선마다 개폐를 제어하는 복수의 릴레이(420); 각 릴레이(420)마다 구비되고, 릴레이(420)에 인가되는 제 1 전압(430) 또는 제 2 전압(434)을 선택할 수 있는 전압변환스위치(152); 각 릴레이(420)마다 구비되고, 복수의 릴레이(420)를 제 1 그룹(460) 또는 제 2 그룹(464)으로 선택할 수 있는 그룹설정스위치(154); 및 복수의 릴레이(420), 전압변환스위치(152) 및 그룹설정스위치(154)가 탑재되는 PCB(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이 제공된다.
또한, 제 1 전압은 24V이고, 제 2 전압은 220V일 수 있다.
또한, 제 1 그룹(460)은 18개의 릴레이(420)를 포함하는 제 1 릴레이그룹(440)이고, 그리고 제 2 그룹(464)은 18개의 릴레이(420)를 포함하는 제 2 릴레이그룹(450)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릴레이(420), 전압변환스위치(152) 및 그룹설정스위치(154)는 PCB(400)의 일면상에 탑재되고, PCB(400)는 일면이 노출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된다.
또한, PCB(400)는 복수의 PCB고정볼트(410)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된다.
또한, 전압변환스위치(152)와 그룹설정스위치(154)는 딥스위치(432, 462)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열을 이용하여 계절과 상관없이 원방감시 제어반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서,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전장품 사이의 배선을 통합 배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하고, 내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먼지, 해충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제어반의 내구년한을 약 7년까지 증대시킬 수 있고, 접지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어 별도의 접지 공사를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릴레이부(150)를 PCB로 구현함으로써 배선 제작이나 배선 불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제작과 유지보수에 매우 생산성이 높다.
또한, 종래 어리럽게 연결되어 있던 구리배선을 모두 PCB로 대체함으로써 미관상 깔끔함을 줄 수 있고, 교체 수리가 용이하다.
아울러, 딥스위치로 전압과 그룹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어서 원방감시제어반의 용이한 조작과 직관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반(100)과 지열수집부(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중 온도 제어에 관한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1중 릴레이부(150)와 입출력부(170)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1중 방진패드(270)의 평면도,
도 6a는 도 1중 케이블마감재(280)의 설치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케이블마감재(28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1중 릴레이부(150)의 상세 정면도,
도 8은 도 7중 A-A 단면의 단면도,
도 9는 도 7중 전압변환스위치(152)의 평면도,
도 10는 도 7중 제 1 릴레이그룹(440)과 제 2 릴레이그룹(450)을 구분하는 평면도,
도 11은 도 7중 그룹설정스위치(154)의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열로 온도 제어하는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반(100)은 직육면체의 케이스(110)로 구성되며, 내부 상단에는 제어부(130)가 위치하고, 중간에는 릴레이부(150)가 위치하며, 하단에는 입출력부(170)가 위치한다.
제어부(130)의 내부에는 CPU, 마이컴과 같은 프로세서와 주변장치(예: RAM, ROM, 저장장치, I/O포트,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통신장치 등)가 구비된다.
릴레이부(150)는 32채널의 디지털 출력을 위한 릴레이와 시퀸스 회로가 내장된다. 릴레이부(150)의 전면에는 다수의 전압변환스위치(152)와 다수의 그룹설정스위치(154)가 구비된다. 전압변환스위치(152)와 그룹설정스위치(154)는 각 릴레이 별로 딥스위치로 구성함으로써 시퀸스 구성을 용이하도록 한다.
입출력부(170)는 상하수도 시설의 현장에 설치된 각 센서들로부터 수집되는 감시제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출력한다. 이를 위해 입출력부(170)에는 32채널의 단자대가 구비된다.
제 1 통합케이블(140)은 제어부(130)와 릴레이부(150) 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며, 제 2 통합케이블(160)은 릴레이부(150)와 입출력부(170) 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4는 도 1중 릴레이부(150)와 입출력부(170)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통합케이블(140, 160)의 각 양단은 40핀 타입의 단자로 구성되어 쉽게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2 통합케이블(140, 160)은 제어반의 제작기간을 단축하고 확장성을 높이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반(100)과 지열수집부(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중 온도 제어에 관한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반(100)의 케이스(110)는 기초부(260) 상에 설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약 2m ~ 10m 깊이 내에 지열수집부(300)를 설치한다. 설치 깊이가 너무 얕으면 지열량이 미비하고, 너무 깊으면 설치비용이 과다해진다.
LCD(112)는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제어반(100)의 각종 상태를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필요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투명감시창(140)은 케이스(110)중 LCD(112) 영역에 설치되어 케이스(110)의 전면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투명감시창(140)을 통해 제어반(100)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온도센서(200)는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스(1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급기팬(210)은 케이스(110)의 내부중 상부 영역에 설치되어 지열수집부(3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케이스(110) 내부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급기팬(210)은 모터와 팬을 포함한다.
배기팬(230)은 케이스(110)의 내부중 하부 영역에 설치되어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를 지열수집부(30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배기팬(230)은 모터와 팬을 포함한다. 급기팬(210)과 배기팬(230)의 동작과 회전 속도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제습기(240)는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고, 케이스(11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공기를 제습한다. 이러한 제습기(240)의 동작과 제습량은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고, 제습기(240)는 습도센서(미도시)를 내장한다.
히터(250)는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반(10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기능을 한다. 히터(250)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며, 겨울철 지열만으로 온도제어가 부족할 때 보조장치로 사용된다.
지열수집관(320)은 일단이 급기팬(210)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기팬(230)에 연결되며, 중간 영역은 길게 연장되어 지하에 매설된다. 지하에 매설되는 지열수집관(320)은 동파이프로 구성하여 열전달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직 부분은 합성수지관으로 형성할 수 있다. 지열수집관(320)은 지하에서 지열수집판(310)에 밀착되도록 조립되고, 열전달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지그재그로 배관된다.
지열수집판(310)은 지하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매설되며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지열수집판(310)의 일면에는 지열수집관(320)이 지그재그로 배관되어 있고, 타면에는 금속 메취(330)가 구비된다.
접지선(340)의 일단은 제어반(100)의 접지단자(350)와 연결되고, 타단은 지하를 경유하여 메쉬(3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반(100)에서 발생하는 서지 전압은 접지선(340)과 메쉬(330)를 통해 지하로 전달됨으로써 제어반(100) 내부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기초부(260)는 제어반(100)을 튼튼하게 지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이 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중 방진패드(270)의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패드(270)는 기초부(260)와 케이스(110)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진동이나 충격 전달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의 먼지유입을 방지하여 제어반(100)을 보호한다. 중앙구(275)는 방진패드(270)의 중앙 영역에 원형이나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전선관(290)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a는 도 1중 케이블마감재(280)의 설치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케이블마감재(28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마감재(280)는 제어반(100)으로 인입되는 전선관(290)의 둘레에 틈이 없도록 하여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케이블 마감재(280)는, 전선관(290)을 둘러싸는 한쌍의 마감부재(282)로 이루어지고, 맞대면하는 영역에는 반원형의 규격홀(284)이 다수 함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격홀(284)과 전선관(290) 사이에는 빈틈이 없도록 패킹(286)이 충진된다.
규격홀(284)의 내부에는 똑딱이와 같이 쉽게 탈락 가능한 똑딱이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블 마감재(280)를 시공할 때, 전선관(290)의 직경에 따라 똑딱이부재를 쉽게 탈락시킨 후 패킹(286)을 끼워 빈틈없이 케이블 마감재(280)를 시공한다.
도 7은 도 1중 릴레이부(150)의 상세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중 A-A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400)의 일면 및/또는 배면에 회로배선(405)을 이미 형성한다. 그리고, PCB(400)의 일면에 36개의 릴레이(420)와 36개의 전압변환스위치(152) 및 36개의 그룹설정스위치(154)를 탑재하여 납땜으로 완성한다.
즉, 하나의 릴레이(420) 상부에 하나의 전압변환스위치(152)를 배치하고, 릴레이(420) 하부에 하나의 그룹설정스위치(154)를 배치한다. 이때, 전압변환스위치(152)가 해당 릴레이(420)에 인가되는 전압을 결정하고, 그룹설정스위치(154)가 해당 릴레이(420)가 속하게 되는 그룹을 결정한다.
도 9는 도 7중 전압변환스위치(152)의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변환스위치(152)는 제 1 딥스위치(432)로 구현할 수 있다. 제 1 딥스위치(432)를 손으로 제 1 전압(430)까지 올리면 해당 릴레이(420)에 24볼트가 인가되고, 제 2 전압(434)까지 내려면 해당 릴레이(420)에 220볼트가 인가된다.
도 10는 도 7중 제 1 릴레이그룹(440)과 제 2 릴레이그룹(450)을 구분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36개의 릴레이(420)중 상단의 18개의 릴레이(420)가 제 1 릴레이그룹(440)으로 설정되고, 하단의 18개의 릴레이(420)가 제 2 릴레이그룹(450)으로 설정된다. 도 10은 그룹 분할을 나타내는 예시일 뿐이고, 복수개의 릴레이(420)를 임의로 제 1, 2, 3, 4, ..., n 릴레이그룹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총36개의 릴레이(420)를 반드시 균등 분할할 필요없이 제 1 릴레이그룹(440)에 10개의 릴레이(420)를 할당하고, 제 2 릴레이그룹(450)에 26개의 릴레이(420)를 할당할 수도 있다.
도 11은 도 7중 그룹설정스위치(154)의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설정스위치(154)는 제 2 딥스위치(462)로 구현할 수 있다. 제 2 딥스위치(462)를 손으로 제 1 그룹(430)까지 올리면 해당 릴레이(420)가 제 1 릴레이그룹(440)에 속하게 되고, 제 2 그룹(464)까지 내려면 해당 릴레이(420)에 제 2 릴레이그룹(450)에 속하게 된다.
실시예의 동작
하절기의 경우 온도센서(200)에서 측정한 제어반(100) 내부의 온도는 설정치 이상으로 높다. 이를 감지한 제어부(130)는 배기팬(170)을 동작시켜 뜨거워진 내부 공기를 지열수집관(320)으로 보낸다. 이후, 뜨거운 공기는 지열수집판(310)의 지열수집관(320)을 통과하면서 지하의 차가운 토양과 열교환을 통해 차가운 공기가 된다. 급기팬(210)은 차가워진 공기를 유동시켜 제어반(100) 상부에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어반(100) 내부의 공기는 낮아질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온도범위내에 속하도록 제어부(130)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한다. 만약 비가 내리거나 안개 등으로 습도가 높은 경우 제어부(130)는 제습기(240)를 가동하여 제어반(10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한다.
동절기의 경우 온도센서(200)에서 측정한 제어반(100) 내부의 온도는 설정치 이하로 낮다. 이를 감지한 제어부(130)는 배기팬(170)을 동작시켜 차가운 내부 공기를 지열수집관(320)으로 보낸다. 이후, 차가운 공기는 지열수집판(310)의 지열수집관(320)을 통과하면서 지하의 일정한 온도의 토양과 열교환을 통해 가온된 공기가 된다. 급기팬(210)은 가온된 공기를 유동시켜 제어반(100) 상부에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어반(100) 내부의 공기는 높아질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온도범위내에 속하도록 제어부(130)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한다. 만약 외부와의 온도차로 결로가 생기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습기(240)를 가동하여 제어반(10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결로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혹한기와 같이 지열만으로 가온이 충분치 못한 경우 제어부(130)는 히터(250)를 가동하여 내부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 제어반,
110 : 케이스,
112 : LCD,
114 : 투명창,
130 : 제어부,
140 : 제 1 통합케이블,
150 : 릴레이부,
152 : 전압변환스위치,
154 : 그룹설정스위치,
160 : 제 2 통합케이블,
170 : 입출력부,
200 : 온데센서,
210 : 급기팬,
230 : 배기팬,
240 : 제습기,
250 : 히터,
260 : 기초부,
270 : 방진패드,
275 : 중앙구,
280 : 케이블마감재,
282 : 마감부재,
284 : 규격홀,
286 : 패킹,
290 : 전선관,
300 : 지열수집부,
310 : 지열수집판,
320 : 지열수집관,
330 : 메쉬,
340 : 접지선,
350 : 전지단자,
400 : PCB,
405 : 회로배선,
410 : PCB고정볼트,
420 : 릴레이,
430 : 제 1 전압,
432 : 제 1 딥스위치,
434 : 제 2 전압,
440 : 제 1 릴레이그룹,
450 : 제 2 릴레이그룹,
460 : 제 1 그룹,
462 : 제 2 딥스위치,
464 : 제 2 그룹.

Claims (6)

  1.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에 있어서,
    제 1 통합케이블(140)과 제 2 통합케이블(160) 사이의 개별 배선마다 개폐를 제어하는 복수의 릴레이(420);
    상기 각 릴레이(420)마다 구비되고, 상기 릴레이(420)에 인가되는 제 1 전압(430) 또는 제 2 전압(434)을 선택할 수 있는 전압변환스위치(152);
    상기 각 릴레이(420)마다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릴레이(420)를 제 1 그룹(460) 또는 제 2 그룹(464)으로 선택할 수 있는 그룹설정스위치(154); 및
    상기 복수의 릴레이(420), 상기 전압변환스위치(152) 및 상기 그룹설정스위치(154)가 탑재되는 PCB(4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압(430)은 24V이고, 상기 제 2 전압(434)은 220V이며,
    상기 제 1 그룹(460)은 18개의 릴레이(420)를 포함하는 제 1 릴레이그룹(440)이고, 그리고
    상기 제 2 그룹(464)은 18개의 릴레이(420)를 포함하는 제 2 릴레이그룹(450)이며,
    제어반(100)으로 인입되는 전선관(290)의 둘레에는 케이블마감재(280)가 구비되어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케이블마감재(280)는,
    다수 함몰형성된 규격홀(284)의 내부에 똑딱이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전선관(290)의 직경에 따라 상기 똑딱이부재를 쉽게 탈락시킨 후, 패킹(286)을 끼워 빈틈없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릴레이(420), 상기 전압변환스위치(152) 및 상기 그룹설정스위치(154)는 상기 PCB(400)의 일면상에 탑재되고,
    상기 PCB(400)는 상기 일면이 노출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PCB(400)는 복수의 PCB고정볼트(410)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변환스위치(152)와 상기 그룹설정스위치(154)는 딥스위치(432, 46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
KR1020190090157A 2019-07-25 2019-07-25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 KR102127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157A KR102127073B1 (ko) 2019-07-25 2019-07-25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157A KR102127073B1 (ko) 2019-07-25 2019-07-25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073B1 true KR102127073B1 (ko) 2020-06-25

Family

ID=7140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157A KR102127073B1 (ko) 2019-07-25 2019-07-25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814B1 (ko) * 2023-03-14 2023-08-17 엑스티지(주)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0411U (ko) * 1993-12-30 1995-07-26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릴레이 체커
KR20060052092A (ko) * 2004-10-26 2006-05-19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조작스위치 배선기구
KR20130026968A (ko) * 2011-09-06 2013-03-14 엘벡스 비디오 리미티드 구내에서의 그룹별 또는 모든 조명이나 가전기기를 스위칭 온-오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61047B1 (ko) * 2017-12-01 2018-05-24 차성환 릴레이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0411U (ko) * 1993-12-30 1995-07-26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릴레이 체커
KR20060052092A (ko) * 2004-10-26 2006-05-19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조작스위치 배선기구
KR20130026968A (ko) * 2011-09-06 2013-03-14 엘벡스 비디오 리미티드 구내에서의 그룹별 또는 모든 조명이나 가전기기를 스위칭 온-오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61047B1 (ko) * 2017-12-01 2018-05-24 차성환 릴레이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미국 특허출원 제 14/378261호(Cooling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 a subsurface environment)
2. 미국 특허출원 제 13/184951호(Telecom utility cabinet arranged for air-based geothermal coo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814B1 (ko) * 2023-03-14 2023-08-17 엑스티지(주)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148805U (zh) 一种防水型配电柜
CN205489180U (zh) 变电站高压开关室自动除湿装置
CN106255366A (zh) 一种顶部带有散热防护装置的电气控制柜
KR102127073B1 (ko)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
CN209608177U (zh) 一种智能开关柜
CN203243639U (zh) 一种室外电子设备机柜的改进结构
CN108649444A (zh) 一种多腔室金属铠装中置式开关设备
CN108616045A (zh) 带监控系统综合配电柜
CN210742535U (zh) 一种端子箱微气象监控系统
CN108288826A (zh) 一种排风除潮的户外环网柜
CN213209117U (zh) 一种用于电缆沟的报警装置
KR102106733B1 (ko) 지열로 온도 제어하는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
CN205946433U (zh) 一种顶部带有散热防护装置的电气控制柜
CN106322627B (zh) 一种智能家居室内湿度的控制调节装置
DE102011053616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kritischer Temperaturentwicklungen an Solaranlagen mit Photovoltaik-Modulen und Funktionsmodul für eine solche Vorrichtung
CN103944086A (zh) 一种节能免维护恒温二次柜
CN104819384B (zh) 一种管道交接管件渗漏检测装置及方法
CN206002989U (zh) 一种中置柜温湿度调控装置
CN2906710Y (zh) 基于can总线的温室群环境监控装置
CN205882415U (zh) 一种防尘电表箱
CN206895095U (zh) 一种航天器用电气控制箱
CN218959247U (zh) 一种用于变电站的运行环境辅控装置
CN205581694U (zh) 一种智能温湿度控制器
CN206022934U (zh) 一种实时防潮除湿的智能配电柜
CN205753158U (zh) 一种电源控制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