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814B1 -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 - Google Patents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814B1
KR102567814B1 KR1020230032928A KR20230032928A KR102567814B1 KR 102567814 B1 KR102567814 B1 KR 102567814B1 KR 1020230032928 A KR1020230032928 A KR 1020230032928A KR 20230032928 A KR20230032928 A KR 20230032928A KR 102567814 B1 KR102567814 B1 KR 10256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stopping
hatch
pair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동기
Original Assignee
엑스티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스티지(주) filed Critical 엑스티지(주)
Priority to KR1020230032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06End wall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 내장되어 열차 차량의 전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Front hatch system electric control panel device}
본 발명은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차용 전두부 해치 도어를 정밀하고 원활하게 개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원을 신뢰성이 있고 안정적으로 공급 제어 가능하고 열차 차량의 각종 전기 시스템을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전기 배전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용 열차의 차량 내에 수납 가능한 전두부 해치가 공지되어 있다. 열차용 전두부 해치는 전방의 두 개의 해치 도어의 개방시 도어 개방 작동 기구에 의해 해치 도어가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된다. 공지의 도어 개방 작동 기구에 의해 열차의 전두부 해치 도어가 닫힌 상태로 있다가 두 개의 해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열차의 차량 내에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의 해치 도어를 개방할 때와 닫을 때에 신뢰성이 있는 작동을 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열차 차량의 각종 전기 시스템을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전기 배전반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47618호(2019년11월15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328567호(2002년03월04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655135호(2006년12월01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2004494호(2019년07월22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열차용 전두부 해치 도어를 정밀하고 원활하게 개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원을 신뢰성이 있고 안정적으로 공급 제어 가능하고 열차 차량의 각종 전기 시스템을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 내장되어 열차 차량의 전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 내장된 제어부 함체(194); 상기 제어부 함체(194)에 내장되며 열차 차량의 전기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부품 소자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195); 상기 인쇄회로기판(195)에 탑재된 변압기(196);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탑재된 전원 소자(197);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 내장되어 전원 공급부와 열차 차량의 전기 시스템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터미널(19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 내장된 히터(HI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두부 해치 도어를 정밀하고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인하여 원활하게 개폐 가능하고, 열차용 전두부 해치 도어를 정밀하고 원활하게 개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원을 신뢰성이 있고 안정적으로 공급 제어 가능하고 열차 차량의 각종 전기 시스템을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배전반 장치를 채용한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내지 도 9는 도 1 내지 도 4의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와 측면도 및 정면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전기 배전반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전기 배전반 장치의 구조와 주요부인 리미트 스위치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 내장되어 열차 차량의 전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이다.
본 발명을 채용하는 전두부 해치 시스템은 해치 프레임(120); 상기 해치 프레임(120)에 기단부가 힌지(HG)를 매개로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스윙 아암(130); 좌우 한 쌍의 상기 스윙 아암(130)의 선단부에 안쪽면에 결합된 좌우 한 쌍의 해치 도어(140); 상기 해치 프레임(120)에 장착되어 좌우 한 쌍의 상기 해치 도어(140)를 개폐시키는 해치 도어 개폐 유닛; 상기 해치 프레임(120)에 구비되어 좌우 한 쌍의 상기 해치 도어(1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 유닛;을 포함한다.
전두부 해치 시스템은 공압 배전반 장치(360)에 의해 개폐 작동 실린더와 록킹 작동 실린더에 공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되어 해치 도어(140)가 공압에 의해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해치 프레임(120)은, 복수개의 바아가 종횡으로 연결된 하부 해치 프레임부(122); 복수개의 수평 바아와 수직 바아가 연결되어 상기 하부 해치 프레임부(122)에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직립 해치 프레임부(124); 복수개의 바아가 종횡으로 연결되며 상기 직립 해치 프레임부(124)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 해치 프레임부(126);를 포함한다.
좌우 한 쌍의 상기 스윙 아암(130)의 기단부가 힌지(HG)를 매개로 상기 상부 해치 프레임부(126)에 결합되어 상기 해치 프레임(120)에 좌우 한 쌍의 상기 스윙 아암(130)의 기단부가 힌지(HG)를 매개로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 해치 도어 개폐 유닛은, 상기 해치 프레임(120)의 상부 해치 프레임부(126)에 중간 부분이 중간 힌지(HG)를 매개로 결합되고, 선단부로 인출되는 실린더 로드가 좌우 한 쌍의 상기 스윙 아암(130)에 힌지(HG)를 매개로 결합된 좌우 한 쌍의 개폐 작동 실린더(152);를 포함한다. 좌우 한 쌍의 개폐 작동 실린더(152)는 힌지(HG)를 매개로 상부 해치 프레임부(126)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유닛은, 좌우 한 쌍의 상기 스윙 아암(13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좌우 한 쌍의 록킹 지지핀(162); 상기 해치 프레임(120)의 상기 상부 해치 프레임부(126)에 결합되며 실린더 로드는 상기 해치 도어(140) 방향을 향하여 수평하게 배치된 록킹 작동 실린더(164); 상기 록킹 작동 실린더(164)의 실린더 로드에 결합된 록킹 지지 브라켓(166); 상기 록킹 지지 브라켓(166)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선단부와 상하면으로 관통된 록킹 지지홀(168LH)을 구비한 록킹 리테이닝편(168);을 포함한다.
상기 해치 프레임(120)의 상기 하부 해치 프레임부(122)에 기단부가 힌지(HG)를 매개로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해치 도어(140)의 안쪽면에 힌지(HG)를 매개로 연결된 좌우 한 쌍의 하부 스윙 아암(132);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19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해치 프레임(120)에 장착되는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 내장되어 열차 차량의 전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는 전방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의 일측이 힌지(HG)를 매개로 결합된다.
상기 전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 내장된 제어부 함체(194); 상기 제어부 함체(194)에 내장되며 열차 차량의 전기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부품 소자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195); 상기 인쇄회로기판(195)에 탑재된 변압기(196);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탑재된 전원 소자(197);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 내장되어 전원 공급부와 열차 차량의 전기 시스템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터미널(19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변압기(196)는 상호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교류 전압을 더 높이거나 낮추는 데 사용되는 기기로서, 철도용 열차의 각종 전기 시스템에 교류 전압을 더 높이거나 낮추어서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 소자(197)는 열차 차량의 각종 전기 시스템에 필요한 용량이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열차 차량의 각종 전기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접속 터미널(198)은 열차 차량의 각종 전기 시스템에 주전원 공급부와 전기 코드(ECD)를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열차 차량의 다양한 전기 시스템에 유용하게 전원을 공급하는 매체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 내장된 히터(HIT);를 더 포함한다.
상기 히터(HIT)로 인하여 겨울철과 같이 추운 계절에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 내부에 내장된 각종 전기 소자(예를 들어, 변압기(196)나 전원 소자(197) 등)이 너무 낮은 온도로 인하여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히터(HIT)는 전후면에 방열 블록(HEB)이 결합되어, 후면의 방열 블록(HEB)이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의 후면 케이스 패널의 안쪽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방열 블록(HEB)으로 인하여 히터(HIT)의 열이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 직접 전달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의 과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의 후면 케이스 패널의 안쪽면에는 채널부재(206)가 장착되고, 상기 채널부재(206)에 상기 접속 터미널(198)과 상기 히터(HIT) 후면의 한쪽 방열 블록(HEB)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채널부재(206)에 일괄적으로 접속 터미널(198)과 상기 히터(HIT) 후면의 한쪽 방열 블록(HEB)을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접속 터미널(198)과 히터(HIT) 등의 설치가 편리하고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클로즈 리미트 스위치(300)는 해치 프레임(120)에 구비된 좌우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 하우징(302,312); 상기 리미트 스위치 하우징(302,3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톱핑 샤프트; 상기 스톱핑 샤프트에 결합된 스톱핑 터치편(303,313); 상기 스톱핑 터치편(303,3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톱핑 롤러(304,314); 상기 리미트 스위치 하우징(302,312)에 내장됨과 동시에 양단부는 각각 스톱핑 샤프트와 리미트 스위치 하우징(302,312)에 연결된 스톱핑 리트릿 탄성체(305,3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톱핑 롤러(304,314)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스톱핑 센서(306,316)가 구비되고, 상기 스톱핑 센서(306,316)는 무선통신수단을 매개로 상기 전기 배전반에 내장된 컨트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 한 쌍의 개폐 작동 실린더(152)의 내부에 공압 배전반 장치(360)를 통해 공압이 공급되면 좌우 한 쌍의 개폐 작동 실린더(152)의 실린더 로드가 후퇴되어 있던 상태에서 전진하여 좌우 한 쌍의 스윙 아암(130)이 해치 프레임(120)과 연결된 기단부의 힌지(HG)와 좌우 한 쌍의 개폐 작동 실린더(152)의 실린더 로드와 연결된 힌지(HG)를 기준으로 서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좌우 한 쌍의 해치 도어(140)가 닫힌 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록킹 작동 실린더(164)의 실린더 로드가 전진하여 록킹 지지 브라켓(166)이 전진하고, 록킹 지지 브라켓(166)에 결합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록킹 리테이닝편(168)도 전진하여 선단부와 상하면으로 관통된 록킹 지지홀(168LH)이 좌우 한 쌍의 상기 스윙 아암(130)의 저면에서 돌출된 좌우 한 쌍의 록킹 지지핀(162)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므로, 좌우 한 쌍의 해치 도어(140)가 닫힌 록킹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가 도어 록킹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는 잠금 장치에 의해 좌우 해치 도어(140)의 록킹 상태를 유지하는데, 본 발명의 잠금 장치에는 록킹 작동 실린더(164)가 제공되고, 록킹 지지 브라켓(166)이 실린더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해치 도어(140)용 스윙 아암(130)은 록킹 지지핀(162)에 의해 잠금 상태(해치 도어(140) 록킹 상태)로 유지된다.
좌우 한 쌍의 스윙 아암(130)이 좌우 한 쌍의 개폐 작동 실린더(152)의 실린더 로드의 전진에 의해 스윙 아암(130) 저면의 각각의 록킹 지지핀(162)이 서로 거리가 까워지는 위치로 오게 되면, 좌우 한 쌍의 해치 도어(140)는 닫힌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좌우 한 쌍의 스윙 아암(130)에 구비된 터치 브라켓(130TB)이 클로즈 리미트 스위치(300)를 작동시켜서 록킹 작동 실린더(164)의 작동에 의해 좌우 해치 도어(140)를 록킹 상태로 유지(잠금 상태로 유지)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서 좌우 한 쌍의 해치 도어(140)가 닫힌 상태에서는 해치 도어(140)에 각각 구비된 터치 브라켓이 스톱핑 롤러(304,314) 외주면의 스톱핑 센서(306,316)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톱핑 롤러(304,314)와 스톱핑 터치편(303,313)을 스톱핑 샤프트를 기준으로 밀어서 각각의 클로즈 리미트 스위치(300)의 각각의 스톱핑 샤프트는 한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한 쌍의 스톱핑 롤러(304,314)와 스톱핑 센서(306,316)는 회동되면서 상기 스톱핑 센서(306,316)로부터 좌우 해치 도어(140)가 닫힌 신호를 상기 전기 배전반 내부의 컨트롤부에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부에서는 좌우 한 쌍의 개폐 작동 실린더(152)에 공압 라인(412)으로 연결된 외부의 공압 장치로부터 개폐 작동 실린더(152) 내부로의 공압 공급을 중지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록킹 작동 실린더(164)에 공압 라인(412)을 통해 연결된 외부의 록킹 공압 장치로부터 록킹 공압이 공급되는 것을 중단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좌우 한 쌍의 해치 도어(14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의 클로즈 리미트 스위치(300)와 전기 배전반에 구비된 컨트롤부의 연계 작동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해치 도어(140)를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닫은 상태(클로즈 상태)로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좌우 한 쌍의 해치 도어(1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클로즈 리미트 스위치(300)의 스톱핑 리트릿 탄성체(305,315)는 자체로 뒤틀려 있으면서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고 있게 되며, 좌우 한 쌍의 해치 도어(140)가 열린 상태에서 좌우 한 쌍의 스윙 아암(130)에 구비된 각각의 터치 브라켓(130TB)이 상기 스톱핑 롤러(304,314)와 스톱핑 센서(306,316)와 스톱핑 터치편(303,313)을 밀어주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스톱핑 리트릿 탄성체(305,315)가 뒤틀려 있던 상태에서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뒤틀리지 않은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스톱핑 샤프트가 리미트 스위치 하우징(302,312)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톱핑 롤러(304,314)와 스톱핑 센서(306,316)와 스톱핑 터치편(303,313)을 원래의 위치로 회동 복귀되도록 한다.
따라서, 좌우 해치 도어(140)가 열린 상태(오픈 상태)에서 좌우 한 쌍의 클로즈 리미트 스위치(300)의 스톱핑 롤러(304,314)와 스톱핑 센서(306,316)와 스톱핑 터치편(303,313)을 원래의 위치로 확실하고 편리하게 복귀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오픈 리미트 스위치(310)는 해치 프레임(120)에 구비된 좌우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 하우징(302,312); 상기 리미트 스위치 하우징(302,3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톱핑 샤프트; 상기 스톱핑 샤프트에 결합된 스톱핑 터치편(303,313); 상기 스톱핑 터치편(303,3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톱핑 롤러(304,314); 상기 리미트 스위치 하우징(302,312)에 내장됨과 동시에 양단부는 각각 스톱핑 샤프트와 리미트 스위치 하우징(302,312)에 연결된 스톱핑 리트릿 탄성체(305,3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톱핑 롤러(304,314)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스톱핑 센서(306,316)가 구비되고, 상기 스톱핑 센서(306,316)는 무선통신수단을 매개로 상기 전기 배전반에 내장된 컨트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좌우 한 쌍의 해치 도어(14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해치 도어(140)에 각각 구비된 터치 브라켓(130TB)이 스톱핑 롤러(304,314) 외주면의 스톱핑 센서(306,316)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톱핑 롤러(304,314)와 스톱핑 터치편(303,313)을 스톱핑 샤프트를 기준으로 밀어서 각각의 오픈 리미트 스위치(310)의 각각의 스톱핑 샤프트는 한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한 쌍의 스톱핑 롤러(304,314)와 스톱핑 센서(306,316)는 회동되면서 상기 스톱핑 센서(306,316)로부터 좌우 해치 도어(140)가 열린 신호를 상기 전기 배전반 내부의 컨트롤부에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부에서는 좌우 한 쌍의 개폐 작동 실린더(152)에 공압 라인(412)으로 연결된 외부의 공압 장치로부터 개폐 작동 실린더(152) 내부로의 공압 공급을 중지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록킹 작동 실린더(164)에 공압 라인(412)을 통해 연결된 외부의 록킹 공압 장치로부터 록킹 공압이 공급되는 것을 중단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좌우 한 쌍의 해치 도어(140)가 열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의 오픈 리미트 스위치(310)와 전기 배전반에 구비된 컨트롤부의 연계 작동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해치 도어(140)를 안정적이고 확시하게 열린 상태(오픈 상태)로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좌우 한 쌍의 해치 도어(140)가 열린 상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오픈 리미트 스위치(310)의 스톱핑 리트릿 탄성체(305,315)는 자체로 뒤틀려 있으면서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고 있게 되며, 좌우 한 쌍의 해치 도어(140)가 열린 상태에서 좌우 한 쌍의 스윙 바아에 구비된 각각의 터치 브라켓이 상기 스톱핑 롤러(304,314)와 스톱핑 센서(306,316)와 스톱핑 터치편(303,313)을 밀어주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스톱핑 리트릿 탄성체(305,315)가 뒤틀려 있던 상태에서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뒤틀리지 않은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스톱핑 샤프트가 리미트 스위치 하우징(302,312)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톱핑 롤러(304,314)와 스톱핑 센서(306,316)와 스톱핑 터치편(303,313)을 원래의 위치로 회동 복귀되도록 한다.
따라서, 좌우 해치 도어(140)가 닫힌 상태(오픈 상태)에서 좌우 한 쌍의 오픈 리미트 스위치(310)의 스톱핑 롤러(304,314)와 스톱핑 센서(306,316)와 스톱핑 터치편(303,313)을 원래의 위치로 확실하고 편리하게 복귀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의 일측벽에는 양면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코드 인입홀(342)을 구비한 코드 삽입 지지 블록(340)이 구비되고, 상기 코드 삽입 지지 블록(340)은 전방 코드 삽입 블록부(340A)와 후방 코드 삽입 블록부(340B)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 코드 삽입 블록부(340A)의 상하면에는 양면으로 관통된 후크 결합홀(HCK)을 구비한 상부 후크 결합편(343)과 하부 후크 결합편(344)이 구비되고, 상기 후방 코드 삽입 블록부(340B)의 전면에는 상하 후크부재(345)가 구비되고, 상하 후크 부재에는 후크편(346)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방 코드 삽입 블록부(340A)을 후방 코드 삽입 블록부(340B) 쪽으로 밀어주면, 상기 후방 코드 삽입 블록부(340B)의 전면에 구비된 상하 후크 부재의 후크편(346)이 상기 후크 결합홀(HCK)을 통과하여 상기 전방 코드 삽입 블록부(340A)의 상부 후크 결합편(343)과 하부 후크 결합편(344)의 전단부에 원터치식으로 걸려지므로, 상기 전방 코드 삽입 블록부(340A)과 후방 코드 삽입 블록부(340B)을 원활하고 신속하게 원터치식으로 결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드 삽입 지지 블록(340)의 코드 인입홀(342)의 내주면 일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코드 삽입 지지 블록(340)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하우징 결합홀(352); 상기 하우징 결합홀(352)에 수용되어 결합된 그립 하우징(354); 상기 그립 하우징(354)의 전방 하우징편(354FP)의 양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그립 하우징(354)의 내부 공간부와 연통된 그립편 출몰홀(355); 상기 그립 하우징(354)의 내부 공간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기단부에는 상기 전방 하우징편(354FP)의 안쪽면에 걸려지는 걸림 플랜지(356HF)를 구비한 그립편(356); 상기 그립편(356)의 후단부와 상기 그립 하우징(35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그립편(356)을 상기 코드 삽입 지지 블록(340)의 코드 인입홀(342) 쪽으로 밀어주도록 탄지하는 그립 작동 스프링(35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드 삽입 지지 블록(340)의 코드 인입홀(342)에 전기 코드(ECD)가 들어오기 이전에는 복수개의 그립편(356)의 일부가 그립 작동 스프링(358)이 밀어내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드 삽입 지지 블록(340)의 코드 인입홀(342)과 연통된 그립 하우징(354)의 그립편 출몰홀(355)을 통해서 상기 코드 인입홀(342)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코드 삽입 지지 블록(340)의 코드 인입홀(342)에 전기 코드(ECD)가 삽입되면, 상기 전기 코드(ECD)가 밀어내는 힘에 의해 복수개의 그립편(356)이 그립 하우징(354)의 내부로 들어가고 상기 그립 작동 스프링(358)은 압축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복수개의 그립편(356)이 전기 코드(ECD)를 견고하게 그립하여 잡아주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코드 삽입 지지 블록(340)의 코드 인입홀(342)에 전기 코드(ECD)를 삽입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복수개의 그립편(356)이 전기 코드(ECD)를 그립하여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코드 삽입 지지 블록(340)의 코드 인입홀(342)에서 쉽게 전기 코드(ECD)가 빠지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 내부에 수용된 각종 전기 장치(예를 들어, 상기 변압기(196)와 접속 터미널(198) 부분 등)에 전기 코드(ECD)가 연결된 상태를 더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20. 해치 프레임 122. 하부 해치 프레임부
124. 직립 해치 프레임부 126. 상부 해치 프레임부
130. 스윙 아암 132. 하부 스윙 아암
140. 해치 도어 142. 해치 도어측 브라켓
152. 개폐 작동 실린더
162. 록킹 지지핀 164. 록킹 작동 실린더
166. 록킹 지지 브라켓 168. 록킹 리테이닝편
192. 전기 배전반 케이스 194. 제어부 함체
195. 인쇄회로기판 196. 변압기
197. 전원 소자 198. 접속 터미널
202. 히터 204. 방열 블록
206. 채널부재 300. 클로즈 리미트 스위치
302. 리미트 스위치 하우징 303. 스톱핑 터치편
304. 스톱핑 롤러 305. 스톱핑 리트릿 탄성체
306. 스톱핑 센서 310. 오픈 리미트 스위치
312. 리미트 스위치 하우징 313. 스톱핑 터치편
314. 스톱핑 롤러 315. 스톱핑 리트릿 탄성체
316. 스톱핑 센서 340. 코드 삽입 지지 블록
340A. 전방 코드 삽입 블록부 340B. 후방 코드 삽입 블록부
342. 코드 인입홀 ECD. 코드
343. 상부 후크 결합편 344. 하부 후크 결합편
HCK. 후크 결합홀 345. 후크부재
346. 후크편 352. 하우징 결합홀
354. 그립 하우징 354FP. 전방 하우징편
355. 그립편 출몰홀 356. 그립편
356HF. 걸림 플랜지 358. 그립 작동 스프링

Claims (3)

  1.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 내장되어 열차 차량의 전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 내장된 제어부 함체(194);
    상기 제어부 함체(194)에 내장되며 열차 차량의 전기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부품 소자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195);
    상기 인쇄회로기판(195)에 탑재된 변압기(196);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탑재된 전원 소자(197);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 내장되어 전원 공급부와 열차 차량의 전기 시스템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터미널(198);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의 일측벽에는 양면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코드 인입홀(342)을 구비한 코드 삽입 지지 블록(340)이 구비되고, 상기 코드 삽입 지지 블록(340)은 전방 코드 삽입 블록부(340A)와 후방 코드 삽입 블록부(340B)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 코드 삽입 블록부(340A)의 상하면에는 양면으로 관통된 후크 결합홀(HCK)을 구비한 상부 후크 결합편(343)과 하부 후크 결합편(344)이 구비되고, 상기 후방 코드 삽입 블록부(340B)의 전면에는 상하 후크부재(345)가 구비되고, 상하 후크 부재에는 후크편(346)이 구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배전반 케이스(192)에 내장된 히터(HI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
KR1020230032928A 2023-03-14 2023-03-14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 KR10256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928A KR102567814B1 (ko) 2023-03-14 2023-03-14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928A KR102567814B1 (ko) 2023-03-14 2023-03-14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814B1 true KR102567814B1 (ko) 2023-08-17

Family

ID=87800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928A KR102567814B1 (ko) 2023-03-14 2023-03-14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81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567B1 (ko) 1999-12-29 2002-03-15 김형국 음성을 이용한 발전기 배전반 점검장치
KR100655135B1 (ko) 2006-07-20 2006-12-08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기배전반의 시공방법
KR20070058160A (ko) * 2005-12-01 2007-06-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lc를 이용한 전철용 직류 배전반 제어장치
KR101952120B1 (ko) * 2017-09-15 2019-05-08 범아기전(주) 철도차량의 배선절감장치
KR102004494B1 (ko) 2019-03-11 2019-07-26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전반용 전기 케이블 접지 구조물
KR102047618B1 (ko) 2019-02-20 2019-12-02 이동섭 배전반 및 전기 자동제어반의 얼라이너 패널 구조
KR102127073B1 (ko) * 2019-07-25 2020-06-25 (주) 그린텍아이엔씨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
KR20200139069A (ko) * 2019-06-03 2020-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통합배전반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567B1 (ko) 1999-12-29 2002-03-15 김형국 음성을 이용한 발전기 배전반 점검장치
KR20070058160A (ko) * 2005-12-01 2007-06-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lc를 이용한 전철용 직류 배전반 제어장치
KR100655135B1 (ko) 2006-07-20 2006-12-08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기배전반의 시공방법
KR101952120B1 (ko) * 2017-09-15 2019-05-08 범아기전(주) 철도차량의 배선절감장치
KR102047618B1 (ko) 2019-02-20 2019-12-02 이동섭 배전반 및 전기 자동제어반의 얼라이너 패널 구조
KR102004494B1 (ko) 2019-03-11 2019-07-26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전반용 전기 케이블 접지 구조물
KR20200139069A (ko) * 2019-06-03 2020-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통합배전반 시스템
KR102127073B1 (ko) * 2019-07-25 2020-06-25 (주) 그린텍아이엔씨 Pcb에 의한 상하수도 원방감시제어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6223B1 (en) Cradle with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withdrawable vacuum circuit breaker
BRPI0902167A2 (pt) subunidade de centro de controle de motor, mecanismo de atuação controlado remotamente e centro de controle de motor
WO2018219268A1 (en) Auto-sliding cover system for refueling ports and charging ports
CN104481326B (zh) 具有电连接件的隐藏式门铰链
US20210404227A1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door
KR102582949B1 (ko) 전두부 해치 시스템
KR102567814B1 (ko)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전기 배전반 장치
CN107069521B (zh) 一种开关柜
CA2433695A1 (en) Coupling device for work pieces
KR20230097569A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장치
CN107575097A (zh) 智能机柜锁
CN105742091A (zh) 一种开关柜五防联锁操作机构
CN201061112Y (zh) 一种汽车滑门送电装置
CN107925227A (zh) 机械门联锁装置
CN110295801B (zh) 用于锁装置的方法
CN204983981U (zh) 电动插销锁
US20100183365A1 (en) Assembly and Mounting Rack
CN209860465U (zh) 一种插拔式配电箱多功能联锁机构
ITMI970916A1 (it) Gruppo elettrico con dispositivo di azionamento per un interruttore
CN107909754A (zh) 一种基于窄带物联网远程报警的防拆装置
CN107834416B (zh) 一种电气多重锁止的开关室底盘车装置
KR102567818B1 (ko) 전두부 해치 시스템의 공압 배전반 장치
CN106129882B (zh) 开关柜及其活门锁定机构
CN2935563Y (zh) 户内电源开关箱面板
CN114622782B (zh) 车辆外把手组件、车辆解锁系统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