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483B1 -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483B1
KR101893483B1 KR1020170007265A KR20170007265A KR101893483B1 KR 101893483 B1 KR101893483 B1 KR 101893483B1 KR 1020170007265 A KR1020170007265 A KR 1020170007265A KR 20170007265 A KR20170007265 A KR 20170007265A KR 101893483 B1 KR101893483 B1 KR 101893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house
control
relay
connection
rel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325A (ko
Inventor
정우영
Original Assignee
정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영 filed Critical 정우영
Priority to KR1020170007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483B1/ko
Publication of KR20180084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용 개폐기 등 비닐하우스의 설비물 증설 내지 축소에 따라 그 콘트롤러의 제어 용량 내지 기능의 확대 및 확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가 해당 비닐하우스의 전용 콘트롤러 및 다른 비닐하우스와의 연계 및 보완 작동이 이루어지는 콘트롤러 그룹의 한 콘트롤로로써 전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는 릴레이 모듈의 골격을 형성하는 모듈 본체와, 상기 모듈 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별 외부의 전기·전자적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속핀들이 모여 있는 접속핀 그룹부와, 상기 릴레이별 상기 접속핀 그룹부의 해당 접속핀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오/오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릴레이별로 설치되는 복수의 기본 제어 스위치 및 상기 릴레이의 독립 작동 또는 그룹 작동의 선택을 위해 상기 릴레이별로 설치되는 복수의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과, 서로 다른 상기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의 상기 접속핀 그룹부 내 상기 접속핀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둘 이상의 상기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이 그룹화되어 동작되거나 둘 이상의 상기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 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상기 릴레이가 그룹화되어 동작될 수 있게 하는 제어 그룹 형성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Relay module for control of vinyl greenhouse and controller for vinyl greenhouse therefor}
본 발명은 천정용 개폐기 등 비닐하우스의 설비물 증설 내지 축소에 따라 그 콘트롤러의 제어 용량 내지 기능의 확대 및 확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가 해당 비닐하우스의 전용 콘트롤러 및 다른 비닐하우스와의 연계 및 보완 작동이 이루어지는 콘트롤러 그룹의 한 콘트롤러로써 전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이나 원예 작물 등(이하 “재배 식물”이라 통칭함)은 저마다 성장 환경이 다르며, 따라서 재배 식물별 성장 환경을 적합하게 맞추어 주는 정도에 따라 해당 재배 식물의 수확량 및 품질에서 큰 차이가 난다. 다시 말해, 재배 식물별 수확량 확대 및 고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해당 재배 식물의 성장 환경을 적합하게 맞추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한 주요한 방안 및 시설로써 비닐하우스가 이용되는데, 비닐하우스는 외부 기후 특히, 온도, 바람, 햇빛 및 계절적인 영향으로부터 재배 식물을 보호하면서 최적의 성장 환경을 조성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실내 온도의 조절을 위해 측면 창 또는 천정의 환기창을 구비하며, 최근에는 천정 등이 개폐되는 방식의 비닐하우스도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비닐하우스는 통상 천정의 개폐 외에도 냉난방, 급수, 조명 등의 시설물 제어를 위해 콘트롤러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비닐하우스에 제공되고 있는 기존의 콘트롤러는 해당 비닐하우스의 시설물 규모에 맞춰 제작되어 확장을 할 수 없는 형태였고, 이에 따라 비닐하우스의 시설물 증설이 있을 경우 별도의 콘트롤러를 새로 제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지만, 이러한 불편함 해소를 위해 비닐하우스의 시설물 규모에 비해 해당 콘트롤러의 용량 내지 크기를 무작정 크게 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또한, 여러 채의 비닐하우스가 모여 있는 단지형 비닐하우스 시설에서 비닐하우스별 전용의 콘트롤러가 설치되어 운용될 뿐 서로 다른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 간에 연계 및 보완이 불가능하였고, 이에 따라 비닐하우스 단지에 대한 효율적인 콘트롤러 설치 및 운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93353호(2008.01.14.공고), “비닐하우스 개폐기의 회전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1106620호(2012.01.20.공고), “비닐 하우스용 개폐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천정용 개폐기 등 비닐하우스의 설비물 증설 내지 축소에 따라 그 콘트롤러의 제어 용량 내지 기능의 확대 및 확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가 해당 비닐하우스의 전용 콘트롤러 및 다른 비닐하우스와의 연계 및 보완 작동이 이루어지는 콘트롤러 그룹의 한 콘트롤로로써 전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설비 증설 내지 축소 시에 제어 용량을 용이하게 확대시키거나 콘트롤러의 유휴 영역을 최소화시키고, 따라서 단일의 비닐하우스는 물론 여러 채의 비닐하우스가 모여 있는 단지형 비닐하우스 시설에 대한 적용 시에도 해당 제어 기능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은, 릴레이 모듈의 골격을 형성하는 모듈 본체와, 상기 모듈 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독립 작동 또는 그룹 작동의 선택을 위해 설치되는 복수의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 및 둘 이상의 상기 릴레이에 대한 상기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의 출력단에 포함되는 출력라인들 중 일부 출력라인과 둘 이상의 상기 릴레이 간 접속이 선택되게 하는 복수의 릴레이 선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는 가동부재의 슬라이딩을 통해 상기 독립 작동 또는 그룹 작동을 위한 회로로의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형 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는 릴레이 모듈의 골격을 형성하는 모듈 본체와, 상기 모듈 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별 외부의 전기·전자적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속핀들이 모여 있는 접속핀 그룹부와, 상기 릴레이의 독립 작동 또는 그룹 작동의 선택을 위해 설치되는 복수의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 및 둘 이상의 상기 릴레이에 대한 상기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의 출력단에 포함되는 출력라인들 중 일부 출력라인과 둘 이상의 상기 릴레이 간 접속이 선택되게 하는 복수의 릴레이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과, 서로 다른 상기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의 상기 접속핀 그룹부 내 상기 접속핀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둘 이상의 상기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이 그룹화되어 동작되거나 둘 이상의 상기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 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상기 릴레이가 그룹화되어 동작될 수 있게 하는 제어 그룹 형성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그룹 형성 회로부는 상기 접속핀 그룹부 내 상기 접속핀들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들을 포함하여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접속핀 그룹부 내 해당되는 접속핀과 접속시키는 상태로 상기 접속핀 그룹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릴레이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 소켓의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핀 그룹부 내 상기 접속핀은 전원 공급, 상기 제어용 릴레이 모듈의 그룹 제어를 위한 신호, 비닐하우스 내 시설물에 대한 타임, 온도, 습도 또는 인터넷 제어를 위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위해 할당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천정용 개폐기 등 비닐하우스의 설비물 증설 내지 축소에 따라 그 콘트롤러의 제어 용량 내지 기능의 확대 및 확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가 해당 비닐하우스의 전용 콘트롤러 및 다른 비닐하우스와의 연계 및 보완 작동이 이루어지는 콘트롤러 그룹의 한 콘트롤로로써 전환 작동이 가능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설비 증설 내지 축소 시에 제어 용량을 용이하게 확대시키거나 콘트롤러의 유휴 영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작용에 따라 단일의 비닐하우스는 물론 여러 채의 비닐하우스가 모여 있는 단지형 비닐하우스 시설에 대한 적용 시에도 해당 제어 기능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해당 제어를 위한 제어 시설 비용의 절감이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의 회로 구성의 일 예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를 예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의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블록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을 개념적으로 보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을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100: 이하 “릴레이 모듈”이라 약칭함)은 모듈 본체(110), 복수의 릴레이(120), 접속핀 그룹부(130), 복수의 릴레이 선택 스위치(140) 및 복수의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듈 본체(110)는 릴레이 모듈(100)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즉, 모듈 본체(110)는 릴레이 모듈(100)의 외형 및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어서 설명될 복수의 릴레이(120), 접속핀 그룹부(130), 복수의 릴레이 선택 스위치(140) 및 복수의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150)가 설치 또는 지지될 수 있는 모체를 형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모듈 본체(110)가 베이스판(111) 및 이러한 베이스판(111)의 일면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벽판(112,113)을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듈 본체(110)는 릴레이 모듈(100)의 외형 및 기본 골격을 형성하면서 복수의 릴레이(120), 접속핀 그룹부(130), 복수의 릴레이 선택 스위치(140) 및 복수의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150)가 설치 또는 지지될 수 있게 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릴레이(120)는 모듈 본체(110)에 각각 설치되며, 이러한 릴레이(120)들은 통상의 릴레이 중 어느 한 종류가 사용되면 될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릴레이(1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릴레이(120)들의 설치 상태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릴레이(120)들은 모듈 본체(110)에 포함되는 두 측벽판(112,113)의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일면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모듈 본체(110)에 포함되는 두 측벽판(112,113)의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일면에 각각 한 쌍의 릴레이(120)가 설치되어 릴레이 모듈(100)에 총 4개의 릴레이(120)가 설치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속핀 그룹부(130)는 릴레이(120)별 외부의 전기·전자적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속핀(131)들이 모여 그룹 형태를 이루고 있는 구성이다.
복수의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150)는 릴레이(120)의 독립 작동 또는 그룹 작동의 선택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150)들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릴레이(120)들 각각은 독립 작동을 하거나 다른 릴레이(120)와 그룹을 이루면서 그룹 작동을 하게 된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140) 각각은 모듈 본체(110)의 두 측벽판(112,113)에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150)는 접속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릴레이(120)가 독립 작동 모드가 되거나 다른 릴레이와의 그룹 작동 모드가 되도록 하는 스위칭 동작이 가동부재(151)의 슬라이딩을 통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형 스위치의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150)는 해당 릴레이(120)의 독립 작동 모드 또는 그룹 작동 모드로의 선택적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스위치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릴레이 선택 스위치(140)는 릴레이(120)에 대한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150)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150)의 출력단에 포함되는 출력라인들 중 일부 출력라인과 둘 이상의 릴레이(120) 간 접속이 선택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릴레이 선택 스위치(140) 각각은 모듈 본체(110)의 두 측벽판(112,113)에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릴레이 선택 스위치(140)가 토글스위치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릴레이 선택 스위치(140)는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150)의 출력단에 포함되는 출력라인들 중 일부 출력라인과 둘 이상의 릴레이(120) 간 접속이 선택되게 하는 기능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스우치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의 회로 구성의 일 예를 예시한 도면이며, 이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릴레이 모듈(100)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것일 뿐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릴레이 모듈(100)의 회로 구성을 정확히 표현한 것은 아니므로, 기본 제어 스위치(140) 내지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150)의 수 등에서 일치되지 않는 점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천정용 개폐기의 개폐 모터 등 비닐하우스의 설비물 증설 시 기존 릴레이 모듈(100)에 새로운 릴레이 모듈(100)을 용이하게 연결하여 해당 비닐하우스의 설비물 증설에 따른 전기적 용량 확충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반대로 비닐하우스의 설비물 축소 시 현재 릴레이 모듈(100) 내 릴레이(120) 중 유휴 상태가 되는 릴레이(120)를 다른 비닐하우스의 릴레이 모듈(100) 내지 같은 비닐하우스의 다른 릴레이 모듈(100)로 편입시켜 해당 릴레이 모듈(100)과 그룹 작동을 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닐하우스의 설비 증설 내지 축소 시에 제어 용량을 용이하게 확대시키거나 릴레이 모듈(100) 내 릴레이(120)의 유휴되는 정도를 최소화하고, 따라서 단일의 비닐하우스는 물론 여러 채의 비닐하우스가 모여 있는 단지형 비닐하우스 시설에 대한 적용 시 해당 제어 기능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면서 해당 제어를 위한 제어 시설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를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의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를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의 회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200 : 이하 “비닐하우스 콘트롤러”라 함)는 복수의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100) 및 제어 그룹 형성 회로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용 릴레이 모듈(10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100)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제어 그룹 형성 회로부(2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어 그룹 형성 회로부(210)는 서로 다른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100)의 접속핀 그룹부(130) 내 접속핀(131)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둘 이상의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100)이 그룹화되어 동작되거나 둘 이상의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100) 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릴레이(120)가 그룹화되어 동작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어 그룹 형성 회로부(210)는 릴레이 소켓(2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릴레이 소켓(211)은 릴레이 모듈(100)의 접속핀 그룹부(130) 내 접속핀(131)들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미도시)들을 포함하여 상기 접속단자를 접속핀 그룹부(130) 내 해당되는 접속핀(131)과 접속시키는 상태로 접속핀 그룹부(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릴레이 소켓(211)의 상기 접속단자 및 접속핀 그룹부(130) 내 접속핀(131)은 전원 공급, 제어용 릴레이 모듈의 그룹 제어를 위한 신호, 비닐하우스 내 시설물에 대한 타임, 온도, 습도 또는 인터넷 제어를 위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위해 할당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콘트롤러(20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비닐하우스에 대한 개폐 모터의 제어는 물론 해당 비닐하우스들 내의 냉난방, 급수, 조명 등의 시설물 제어 그리고 인터넷 기반으로 송·수신되는 각종 제어 신호를 통해 비닐하우스를 제어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릴레이 모듈(100)과 제어 그룹 형성 회로부(210) 간의 전기적 접속이 릴레이 소켓(211)을 매개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도 1 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릴레이 모듈(100)의 기능을 기반으로 한 비닐하우스들 대상의 제어가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콘트롤러(200)를 통한 비닐하우스의 시설물들 제어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릴레이 모듈(100)의 설명에서 서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는, 천정용 개폐기 등 비닐하우스의 설비물 증설 내지 축소에 따라 그 콘트롤러의 제어 용량 내지 기능의 확대 및 확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가 해당 비닐하우스의 전용 콘트롤러 및 다른 비닐하우스와의 연계 및 보완 작동이 이루어지는 콘트롤러 그룹의 한 콘트롤로로써 전환 작동이 가능케 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설비 증설 내지 축소 시에 제어 용량을 용이하게 확대시키거나 콘트롤러의 유휴 영역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단일의 비닐하우스는 물론 여러 채의 비닐하우스가 모여 있는 단지형 비닐하우스 시설에 대한 적용 시에도 해당 제어 기능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해당 제어를 위한 제어 시설 비용의 절감을 가능케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릴레이 모듈 110 : 모듈 본체
111 : 베이스판 112,113 : 측벽판
120 : 릴레이 130 : 접속핀 그룹부
131 : 접속핀 140 : 릴레이 선택 스위치
150 :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 151 : 가동부재
200 : 비닐하우스 콘트롤러 210 : 제어 그룹 형성 회로부
211 : 릴레이 소켓

Claims (5)

  1. 릴레이 모듈의 골격을 형성하는 모듈 본체와, 상기 모듈 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별 외부의 전기·전자적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속핀들이 모여 있는 접속핀 그룹부와, 상기 릴레이의 독립 작동 또는 그룹 작동의 선택을 위해 설치되는 복수의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 및 둘 이상의 상기 릴레이에 대한 상기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작동모드 선택 스위치의 출력단에 포함되는 출력라인들 중 일부 출력라인과 둘 이상의 상기 릴레이 간 접속이 선택되게 하는 복수의 릴레이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
    서로 다른 상기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의 상기 접속핀 그룹부 내 상기 접속핀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둘 이상의 상기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이 그룹화되어 동작되거나 둘 이상의 상기 비닐하우스 제어용 릴레이 모듈 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상기 릴레이가 그룹화되어 동작될 수 있게 하는 제어 그룹 형성 회로부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그룹 형성 회로부는 상기 접속핀 그룹부 내 상기 접속핀들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들을 포함하여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접속핀 그룹부 내 해당되는 접속핀과 접속시키는 상태로 상기 접속핀 그룹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릴레이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소켓의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핀 그룹부 내 상기 접속핀은 전원 공급, 상기 제어용 릴레이 모듈의 그룹 제어를 위한 신호, 비닐하우스 내 시설물에 대한 타임, 온도, 습도 또는 인터넷 제어를 위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위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
  4. 삭제
  5. 삭제
KR1020170007265A 2017-01-16 2017-01-16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 KR101893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265A KR101893483B1 (ko) 2017-01-16 2017-01-16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265A KR101893483B1 (ko) 2017-01-16 2017-01-16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325A KR20180084325A (ko) 2018-07-25
KR101893483B1 true KR101893483B1 (ko) 2018-08-30

Family

ID=6305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265A KR101893483B1 (ko) 2017-01-16 2017-01-16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4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256B1 (ko) * 2005-03-15 2006-09-20 박은석 비닐 하우스 원격 관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7559A (ja) * 1996-02-27 1997-09-09 Shinko Electric Co Ltd リレー制御装置
CA2522140C (en) * 2004-10-26 2007-08-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Operation switch wiring mechanism
KR100793353B1 (ko) 2007-06-22 2008-01-14 한상만 비닐하우스 개폐기의 회전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KR101106620B1 (ko) 2009-06-16 2012-01-20 주식회사 세운에이텍 비닐 하우스용 개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256B1 (ko) * 2005-03-15 2006-09-20 박은석 비닐 하우스 원격 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325A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94199A1 (en) A Smart Switch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Switch Module using a Standard Light Switch
US6583522B1 (en) Switchable multiple source power supply
US6888441B2 (en) Apparatus adapted to be releasably connectable to the sub base of a thermostat
US6055144A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utilizing circuit breakers with internal control and communication circuitry
CA2443428A1 (en) Programmable controller for remotely controlling input power through a switch to a load and an associated method of operation
CN103543738B (zh) 一种智能空气开关设计方法及智能空气开关系统
CN104808559A (zh) 一种无线开关控制方法、系统及相关设备
US20240044983A1 (en) Load testing device
US6531790B2 (en) Generator transfer switching system with multiple generator modes
KR101893483B1 (ko) 비닐하우스의 제어용 릴레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콘트롤러
US10756663B2 (en) HVAC controller that provides multiple types of proportional motor control signals, an HVAC system that includes the same and a proportional control signal circuit
AU2019101685A4 (en) Universal Bluetooth remote control apparatus
US20100200177A1 (en) Model curtain driving apparatus
CN211806182U (zh) 多组件系统及机器人设备
KR102277855B1 (ko) 스마트 팜 시스템에서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CN105843083A (zh) 智能窗帘控制系统及电路
JP5588321B2 (ja) 負荷制御スイッチ及び負荷制御スイッチシステム
CN104932333A (zh) Knx控制系统和knx/ip网关
KR101310956B1 (ko) 다채널 ssr 모듈
CN1312719C (zh) 塑壳断路器
CN112859715A (zh) 一种可远程控制智能电表开关的系统
Marston Power control circuits manual
KR100497747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스위치
FI20195924A1 (en) SEPARATE CONTROL OF INTERNAL AND OUTER PELTIER ELEMENTS
CN217362185U (zh) 中压金属封闭开关设备隔爆型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