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244B1 -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244B1
KR100715244B1 KR1020050113192A KR20050113192A KR100715244B1 KR 100715244 B1 KR100715244 B1 KR 100715244B1 KR 1020050113192 A KR1020050113192 A KR 1020050113192A KR 20050113192 A KR20050113192 A KR 20050113192A KR 100715244 B1 KR100715244 B1 KR 100715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oker
temperature
electric pressure
ac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쁨
윤선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웅진쿠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쿠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쿠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3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취사전에 현미 또는 콩 등의 영양분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활성화시켜 가장 좋은 영양분이 생성될 수 있도록 취사전에 전처리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밥솥에 수납된 조리물의 종류 및 활성화 취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조리물이 미리 설정된 1차 활성화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밥솥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1차 활성화 단계에서 1차 활성화 온도에 도달한 상기 조리물이 미리 설정된 2차 활성화 시간 동안 2차 활성화 온도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밥솥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2차 활성화 단계에서 활성화된 상기 조리물이 조리되도록 상기 밥솥의 온도 및 압력을 증가시켜 취사하는 단계; 및 상기 취사단계에서 상기 조리물이 취사 완료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밥솥의 온도 및 압력을 감소시키며 뜸을 들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현미 및 콩 등의 조리물을 취사하기 전에 전처리 과정을 통해 상기 조리물들에 포함된 영양소가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양이 증대된 현미밥 등의 조리물을 제공할 있는 장점이 있다.
전기압력밥솥, 현미, 취사, 전처리, 활성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reprocess cooking and cooking of electric pressure cooker}
도 1 은 일반적인 전기압력밥솥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일반적인 전기압력밥솥의 취사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12: 키 입력부
14: 온도센서 16: 히터부
18: 표시부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압력밥솥의 취사전에 현미 또는 콩 등의 영양분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활성화시켜 가장 좋은 영양분이 생성될 수 있도록 취사전에 전처리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압력밥솥은 밀폐된 공간의 솥을 전기 히터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식품을 단시간에 조리하는 조리기구로서, 일반적인 전기압력밥솥은 각 내용물에 따라 취사조건이 구비되어 있고, 이는 최초에 내솥이 안착된 상태가 검출된 이후 각 취사키의 동작에 따라 각각의 취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기압력밥솥은 밥솥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솥과 상기 외솥에 안착되는 내솥과, 전기압력밥솥을 덮는 뚜껑과 상기 내솥의 내용물을 가열하는 히터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기압력밥솥의 구성은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취사기능과 보온기능을 갖는 전기압력밥솥의 각종 동작환경을 설정하는 키들로 구성된 키 입력부(12)와, 전기압력밥솥의 바닥과 몸통 및 뚜껑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종 히터에 의해 발열되는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4)와, 키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과 온도센서(14)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값에 의해 전기압력밥솥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와, 전기압력밥솥의 바닥과 뚜껑 및 몸통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전기압력밥솥의 내부를 가열하는 각종 히터부(16)와, 상기한 전기압력밥솥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8)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에서 히터부(16)에 의해 구동되는 열판이 위치하 는 곳은 보통 내솥이 안착되는 외솥의 안쪽면 바닥이다. 이런 경우 열판의 히터에 의하여 내솥이 가열되거나 또는 열전도에 의하여 내솥에 열이 전달되면 내솥 내부의 쌀과 물이 가열되어 취사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압력밥솥에서의 취사과정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흐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취사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제어부(10)가 전기압력밥솥에 동작 전원을 투입하게 되면 키 입력 대기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취사를 하기 위하여 키 입력부(12)의 취사모드 설정키를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이때, 키 입력부(12)로부터 취사시작 키가 검출되면 제어부(10)는 취사를 진행하여 온도센서(12: 바닥, 몸통, 뚜껑에 설치된 취사온도 검출용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를 체크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0)는 검출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제 2 가열과정의 초기 온도로 미리 설정된 임계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상기 임계온도 이상이면 취사과정을 취소하고,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상기 임계온도 이하이면 제어부(10)는 온도센서(12)에서 검출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제 1 가열과정의 초기 온도로 미리 설정된 임계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전기압력밥솥 내부온도가 임계온도 이하면 히터부(16)에 포함된 취사용 히터,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전기압력밥솥 내부에 수납된 쌀을 불리기 위한 불림과정을 일정 시간 동안 진행하여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제 1 가열과정의 초기 온도로 미리 설정된 임계온도까지 상승시킨다.
상기 불림과정의 진행이 완료되면 제 2 가열과정의 초기 온도로 미리 설정된 임계온도까지 상승시키면서 취사량을 판정하는 제 1 가열과정을 수행하여 전기압력밥솥 내부에 수납된 쌀의 량을 판정하게 된다.
또한, 연속적으로 제 1 가열과정에서 판정된 취사량에 근거를 두어 열량을 배분하여 내부온도를 비등유지과정의 초기 온도로 미리 설정된 임계온도까지 상승시키는 제 2 가열과정을 수행하면서 취사량 판정에 의한 열량을 가변시킨다.
상기 제 2 가열과정을 수행하면서 취사량 판정에 의한 열량이 가변된 경우, 제어부(10)는 비등유지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 2 가열과정에서 판정된 취사량을 데이터화 하고 이후, 비등유지과정을 위한 가열 범위의 한계치를 결정한다.
상기 가열 범위의 한계치가 결정되면, 제어부(10)는 히터부(16)의 취사용 히터,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를 가열시키고 온도센서(14)로부터 검출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상기에서 결정된 임계온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상기 임계온도가 아니면, 제어부(10)는 온도센서(14)로부터 검출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임계온도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임계 온도 이하면 히터부(16)의 취사용 히터,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를 계속해서 가열시킨다.
또한, 상기 판단결과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상기 임계온도이거나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상기 임계온도 이상인 경우 일정한 온도를 일정시간 유지하 는 뜸과정을 진행하고 상기 뜸과정이 종료된 경우 취사과정을 모두 종료하고 보온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각 취사 과정의 임계치를 여러 가지의 이유로 인해 하드웨어적으로 설정 구현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10)에서는 현재 조리하고 있는 내용물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조리순서에 따라 진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조리순서에 입각한 그래프는 보편적인 조리물 즉, 백미를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므로 근래 각광받고 있는 현미 등에는 적합하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현미밥은 백미밥과 비교하여 많은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어 소비자들에게 건강식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현미밥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현미취사기능을 갖는 전기압력밥솥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백미 등의 취사시에 불림과정, 가열과정 및 뜸과정을 통해 조리가 진행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는 현미의 조리과정에서는 현미의 특성상 백미에 비해 물의 흡수율이 낮아서 조리후의 밥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미취사기능을 갖는 전기압력밥솥은 단순히 현미의 수분 흡수율만 증가시킨 후 취사를 진행함으로써, 현미가 가지고 있는 풍부한 영양소를 충분히 활성화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조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 현미보다는 발아 현미가 많은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으나 전기압 력밥솥에서 현미를 발아시키는데 있어서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압력밥솥에서 현미를 발아시키는 과정에서 충분한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밥솥 내부에서 현미가 발아하지 못하고 부패하는 문제점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으로 현미를 취사하는 경우 현미에 포함된 효소 및 항산화 성분 등의 유익한 영양소가 충분히 활성화될 수 있도록 최적의 불림 조건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밥솥에 수납된 조리물의 영양소가 증가하도록 활성화시켜 취사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밥솥에 수납된 조리물의 종류 및 활성화 취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조리물이 미리 설정된 1차 활성화 온도에 도달되도록 상기 밥솥을 가열하는 1차 활성화 단계; 상기 1차 활성화 단계에서 1차 활성화 온도에 도달한 상기 조리물이 미리 설정된 2차 활성화 시간 동안 2차 활성화 온도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밥솥을 가열하는 2차 활성화 단계; 상기 2차 활성화 단계에서 활성화된 상기 조리물이 조리되도록 상기 밥솥의 온도 및 압력을 증가시켜 취사하는 단계; 및 상기 취사단계에서 상기 조리물이 취사 완료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밥솥의 온 도 및 압력을 감소시키며 뜸을 들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밥솥에 수납된 조리물의 종류 및 활성화 취사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조리물은 현미 및 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물이 현미인 경우 상기 현미의 1차 활성화 온도는 37℃ ∼ 4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물이 현미인 경우 상기 현미의 활성화 조건은 2시간 ∼ 6시간의 활성화 시간 동안 33℃ ∼ 40℃의 활성화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물이 콩인 경우 상기 콩의 1차 활성화 온도는 30℃ ∼ 3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물이 콩인 경우 상기 콩의 활성화 조건은 2시간 ∼ 6시간의 활성화 시간 동안 32℃ ∼ 38℃의 활성화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불림 단계 및 활성화 단계에서 상기 밥솥의 내부 압력은 1.5기압 내지 2.1 기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차리 및 취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방법은 사용자가 전기압력밥솥에 취사 대상 조리물을 일정량의 물과 함께 넣고, 키 입력부(12)를 통해 상기 조리물의 취사 정보(예를 들면, 백미 취사, 현미 취사, 보온, 재가열 및 찜 등)와, 상기 조리물의 종류와 상기 조리물의 활성화 전처리의 선택 여부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키 입력부(12)를 통해 검출된 상기 조리물의 취사 정보, 종류 및 활성화 전처리 선택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조리물의 활성화 전처리 및 종류(예를 들면, 활성화 전처리가 가능한 현미 또는 콩 등의 조리물)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조리물에 대하여 활성화 전처리 및 취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활성화 전처리 정보를 설정(S100)한다.
즉 상기 S10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백미를 이용한 일반 취사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10)는 전기압력밥솥이 공지된 일반 취사로 동작할 수 있도록 취사 정보(예를 들면, 불림, 가열, 뜸으로 진행되는 취사)를 설정하고, 현미 또는 콩 등의 활성화 전처리 후 취사하는 활성화 전처리 취사를 선택한 경우 전기압력밥솥이 상기 선택된 조리물의 활성화 전처리에 필요한 취사를 할 수 있도록 취사 정보를 설정한다.
상기한 활성화 전처리는 현미, 콩 등의 영양소가 최대한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현미, 콩 등이 발아(현미, 콩으로부터 싹이 트는 것)하는 과정에서 발아에 필요한 영양소가 상기 현미, 콩에서 충분히 증가할 수 있도록 일정한 조건 을 제공하여 싹이 튼 발아 현미의 영양소보다는 낮지만 일반 현미의 영양소보다는 월등히 증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S100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조리물에 따라 제어부(10)는 미리 설정된 1차 활성화 온도(T1)에 도달하는 시간(h1)까지 히터부(16)를 통해 밥솥을 가열(S110)한다.
즉 제어부(10)는 상기 S100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조리물이 현미인 경우 상기 현미의 1차 활성화 온도인 37℃ ∼ 43℃에 도달하는 시간(h1)까지 히터부(16)를 구동하여 현미의 함수율이 증가하도록 1차 활성화를 한다.
또한, 상기 S100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조리물이 콩인 경우 제어부(10)는 상기 콩의 1차 활성화 온도인 30℃ ∼ 39℃에 도달하는 시간(h1)까지 히터부(16)를 구동하여 콩의 함수율이 증가하도록 1차 활성화를 한다.
한편, 제어부(10)는 밥솥의 바닥에 설치된 온도센서(14)를 통해 밥솥의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1차 활성화 과정 중의 수온을 검출한다.
상기 S110단계에서 1차 활성화 과정을 통해 함수율이 증가된 조리물은 미리 설정된 2차 활성화 시간(h2) 동안 2차 활성화 온도(T2)가 유지되도록 히터부(16)를 통해 상기 밥솥을 가열(S120)한다.
즉 상기 S12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상기 S110단계에서 1차 활성화 처리된 조리물 예를 들면, 상기 1차 활성화 처리된 조리물이 현미인 경우 상기 현미의 2차 활성화 조건으로 2시간 ∼ 6시간의 2차 활성화 시간(h2) 동안 33℃ ∼ 40℃의 2차 활성화 온도(T2)가 유지되도록 히터부(16)를 구동하여 현미의 영양소가 최대한 활 성화 될 수 있는 최적의 온도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S110단계에서 1차 활성화 처리된 조리물 예를 들면, 상기 1차 활성화 처리된 조리물이 콩인 경우 상기 콩의 2차 활성화 조건으로 2시간 ∼ 6시간의 2차 활성화 시간 동안(h2) 32℃ ∼ 38℃의 2차 활성화 온도(T2)가 유지되도록 히터부(16)를 구동한다.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전처리를 통해 활성화된 활성 현미의 실험 데이터이다. 여기서 실험 조건으로 1차 활성화 온도(T1)는 37℃ ∼ 43℃를 유지하고, 2차 활성화 조건으로 활성 현미 1은 33℃ ∼ 40℃의 2차 활성화 온도(T2)가 2시간의 2차 활성화 시간(h2) 동안 유지되도록 하였으며, 활성 현미 2는 33℃ ∼ 40℃의 2차 활성화 온도(T2)가 6시간의 2차 활성화 시간(h2) 동안 유지되도록 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산화 성분을 나타내는 Frap와, 발아가 잘 이루어질 경우 높은 수치가 나오는 Maltose, α-amylase, PeroXidase의 성분이 기존 현미보다 월등히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단위는 umol Trolox/g dw이고, GABA는 mg/10g이다.
현미 발아 현미 활성 현미 1 활성 현미 2
Maltose 0.188 0.705 0.404 0.524
α-amylase 1.228 2.151 1.294 1.510
peroxidase 0.36 3.18 0.32 0.38
Frap 0.208 0.199 0.229 0.244
GABA 0.26 1.14 0.37 0.50
또한, 표 2는 밥솥의 내부 압력에 따른 Frap의 수치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밥솥의 내부 압력이 1.9기압이고, 일반 불림 현미는 상온 25℃에서 25분의 불림 과정을 진행한 것이며, 활성 현미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활성화 단계 및 2차 활성화 단계를 진행한 것이다. 여기서 단위는 umol Trolox/g dw이다.
현미 일반 불림 현미 활성 현미
Frap 0.2253c 0.2713d 0.2917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 압력이 1.9기압인 상태를 유지하였으나, 전기압력밥솥의 내부 압력이 1.5기압 내지 2.1기압 중 어느 하나의 기압을 선택적으로 적용한 상태에서 1차 활성화 단계 및 2차 활성화 단계를 진행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 압력이 상기한 1.5기압 내지 2.1기압을 사용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으로 상기한 내부 압력 중 어느 하나의 압력으로 변경하여 본 발명에 따른 1차 활성화 단계 및 2차 활성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표 3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전처리를 통해 활성화된 활성 콩의 실험 데이터이다. 여기서 실험 조건으로 1차 활성화 온도(T1)는 30℃ ∼ 39℃를 유지하고, 2차 활성화 조건으로 활성 콩 1은 32℃ ∼ 38℃의 2차 활성화 온도(T2)가 2시간의 2차 활성화 시간(h2) 동안 유지되도록 하였으며, 활성 콩 2는 32℃ ∼ 38℃의 2차 활성화 온도(T2)가 6시간의 2차 활성화 시간(h2) 동안 유지되도록 하였다.
씻은 콩 발아 콩 활성 콩 1 활성 콩 2
Maltose 1.128 2.194 1.287 1.338
또한,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아가 잘 되었을 경우 높은 수치가 검출되는 Maltose가 기존 씻은 콩에 비하여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S110단계 및 S120단계를 수행하는 동안 내부의 영양소가 월등히 증가하여 활성화된 조리물은 가열과정(S130, S140 및 S150)을 진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는 히터부(16)의 동작을 제어하여 1차 가열단계(S130), 지연단계(S140) 및 2차 가열단계(S150)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1차 가열단계(S130)에서는 상기 전기압력밥솥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이 증가되도록 히터부(16)를 통해 가열되고, 일정한 1차 가열시간(h3) 동안 상기 밥솥의 내부 온도가 상기 활성화 온도(T2)보다 높은 1차 가열온도(T3)까지 가열되도록 하여 활성화된 조리물을 끓인다.
상기 S130단계를 수행한 다음 제어부(10)는 지연단계(S140)를 통해 상기 S130단계에서 증가한 상기 밥솥의 내부 온도 및 압력이 감소되도록 히터부(16)의 동작을 일정 시간(h4) 동안 중지하여 지연온도(T4)가 되도록 한다.
상기 S140단계를 수행한 다음 제어부(10)는 다시 히터부(16)를 동작시켜 상기 밥솥의 내부 온도 및 압력이 증가되도록 2차 가열시간(h5) 동안 2차 가열온도(T5)까지 가열(S150)하고, 상기 밥솥 내부에서 활성화된 조리물이 완전히 끓어 예를 들면 활성 현미밥이 되도록 한다.
상기 S150단계를 수행한 다음 제어부(10) 상기 S130단계 내지 S150단계의 취사 과정 후 뜸이 들도록 뜸들이는 시간(T6) 동안 온도(h6)를 유지하여 영양소가 충분히 증가된 조리물(예를 들면, 활성 현미 밥)이 맛있게 될 수 있도록 한다(S160).
상기 S160단계가 종료되면 제어부(10)는 취사 완료된 조리물이 따뜻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보온온도(T7)를 유지하는 보온 단계(S170)를 진행한다.
따라서 조리물을 취사하기 전에 불림 과정 및 활성화 과정을 차례로 수행함으로써 조리물의 영양소가 최대로 증가한 상태에서 취사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미 및 콩 등의 조리물을 취사하기 전에 전처리 과정을 통해 상기 조리물들에 포함된 영양소가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양이 증대된 현미밥 등의 조리물을 제공할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밥솥에 수납된 조리물의 영양소가 증가하도록 활성화시켜 취사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밥솥에 수납된 조리물로 현미 또는 콩이 선택되면 활성화 취사를 설정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설정된 상기 조리물이 미리 설정된 1차 활성화 온도에 도달되도록 상기 밥솥을 가열하는 1차 활성화 단계;
    c) 단계 b에서 상기 1차 활성화 온도에 도달한 상기 조리물이 미리 설정된 2차 활성화 시간 동안 2차 활성화 온도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밥솥을 가열하여 활성화 처리하는 단계;
    d) 단계 c에서 활성화된 상기 조리물이 조리되도록 상기 밥솥의 온도 및 압력을 증가시켜 취사하는 단계; 및
    e) 단계 d에서 상기 조리물이 취사 완료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밥솥의 온도 및 압력을 감소시키며 뜸을 들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의 1차 활성화 온도는 37℃ ∼ 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의 2차 활성화 조건은 2시간 ∼ 6시간의 2차 활성화 시간 동안 33℃ ∼ 40℃의 2차 활성화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콩의 1차 활성화 온도는 30℃ ∼ 3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콩의 2차 활성화 조건은 2시간 ∼ 6시간의 2차 활성화 시간 동안 32℃ ∼ 38℃의 2차 활성화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b 및 단계 c에서 상기 밥솥의 내부 압력은 1.5기압 내지 2.1 기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
KR1020050113192A 2005-11-24 2005-11-24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 KR100715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192A KR100715244B1 (ko) 2005-11-24 2005-11-24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192A KR100715244B1 (ko) 2005-11-24 2005-11-24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244B1 true KR100715244B1 (ko) 2007-05-08

Family

ID=3826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192A KR100715244B1 (ko) 2005-11-24 2005-11-24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2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027B1 (ko) * 2010-10-27 2018-09-27 세브 에스.아. 압력 밥솥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압력 밥솥
CN110840274A (zh) * 2019-10-24 2020-02-2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针对难熟粮食的烹饪器具控制方法及烹饪器具
CN112535414A (zh) * 2019-09-23 2021-03-2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控制装置和保温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265A (ko) * 1996-12-28 1998-09-25 배순훈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제어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265A (ko) * 1996-12-28 1998-09-25 배순훈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제어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027B1 (ko) * 2010-10-27 2018-09-27 세브 에스.아. 압력 밥솥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압력 밥솥
CN112535414A (zh) * 2019-09-23 2021-03-2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控制装置和保温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535414B (zh) * 2019-09-23 2022-02-2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控制装置和保温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840274A (zh) * 2019-10-24 2020-02-2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针对难熟粮食的烹饪器具控制方法及烹饪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7632B2 (ja) 炊飯器
KR100715244B1 (ko)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
KR100707812B1 (ko)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
JP6860370B2 (ja) 炊飯器
KR100660693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4894456B2 (ja) 炊飯器
KR101086286B1 (ko) 다기능 전기압력보온밥솥
KR102433974B1 (ko) 전기 밥솥의 취사방법
JP2006149713A (ja) 炊飯器
KR102433975B1 (ko) 전기 밥솥의 취사방법
CN112334047A (zh) 煮饭器
KR102530770B1 (ko) 취반기 제어방법
KR102433976B1 (ko) 전기 밥솥의 취사방법
KR0175504B1 (ko) 전기 보온밥솥의 햅쌀 취사 공정 제어방법
KR102421198B1 (ko) 교반 활성화부를 구비하는 다단식 취반기
JP4208137B2 (ja) 炊飯器
KR100531771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현미발아 취반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0434027C (zh) 用于控制高压保温电饭煲的米饭蒸煮处理的方法
KR0152806B1 (ko) 전기밥솥의 취반상태 제어방법
KR0175506B1 (ko) 전기 보온밥솥의 누룽지 취사 공정 제어방법
KR100193096B1 (ko) 전기보온밥솥의 취사동작 제어방법
JP5309691B2 (ja) 自動炊飯器
KR100197751B1 (ko) 전기보온밥솥에서 뜸 공정 제어 방법
KR19990005367A (ko) 전기압력밥솥의 제어방법
KR0175507B1 (ko) 열량가변에 의한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3